KR101960967B1 - 보존성이 향상된 고강도 유골함 - Google Patents

보존성이 향상된 고강도 유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967B1
KR101960967B1 KR1020170069455A KR20170069455A KR101960967B1 KR 101960967 B1 KR101960967 B1 KR 101960967B1 KR 1020170069455 A KR1020170069455 A KR 1020170069455A KR 20170069455 A KR20170069455 A KR 20170069455A KR 101960967 B1 KR101960967 B1 KR 101960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tray
weight
parts
lid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3037A (ko
Inventor
김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원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원엔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원엔시
Priority to KR1020170069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967B1/ko
Publication of KR20180133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05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1In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15Non-ceramic bind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의 시체를 화장한 뒤 남은 유골을 납골당 등에 안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서, 석회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황토 25 ~ 35 중량부, 입자 직경 0.5mm 이하의 가는 모래 25 ~ 35 중량부, 숯가루 4 ~ 8 중량부 및 토복령 분말 4 ~ 8 중량부를 고르게 섞고, 여기에 상기 석회의 1/4 ~ 1/3 부피에 해당되는 교반액을 투입하여 반죽물을 조성한 후, 상기 반죽물을 상기 유골함 형태로 일정기간 양생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존성이 향상된 고강도 유골함{A High-strength urn with improved preservability}
본 발명은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한 유골을 납골당 등에 안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존성과 강도가 보강된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고인을 땅에 묻는 매장 문화가 일반적이었으나, 국토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화장이 장려되고 있다. 이러한 장례 문화의 변화로 인해 최근에는 화장 비율이 90%에 달하고 있으며, 유골이 보관되는 유골함의 수요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유골함에 담긴 유골은 고인의 실제적 자취일 뿐 아니라 추모 및 숭배의 대상체로서, 변질되지 않고 오랫동안 잘 보존되어야 한다.
유골은 분말 상태이기 때문에 수분 함유량이 매우 낮아 공기 중의 수분을 쉽게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며, 유골에 포함된 인산, 칼슘성분은 수분에 대한 친화성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부패되기 쉽다.
종래의 유골함들은 세라믹, 옥, 또는 도자기 재질로 만들어져 가격이 저렴하고 외관상 보기 좋다는 장점은 있었으나, 재질 자체의 공극율 한계로 인해 밀폐성과 방수성이 떨어지고, 항균 및 탈취 기능이 없기 때문에 유골의 보존성에 문제가 있었다. 특히, 열처리 과정에서 취성이 높아져 쉽게 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내부공기를 제거한 진공 방식의 유골함이 제안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608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골함 본체(130)를 한 쌍의 커버(110, 120)로 밀봉하되, 내측커버(120)에 형성된 홀(128)을 통해 본체 내부의 공기를 빼낸 후 밀봉부재(200)로 홀(128)을 막는 것이 진공 방식의 유골함의 일반적인 구조이다.
그러나 이 역시 유골함을 구성하는 각 부품 사이에 간극이 존재함으로 인해 100%의 진공 상태를 반영구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고, 공기 빼기 과정에서 유골 중 일부가 유실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골함의 제작비용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6089호(2013.07.15. 등록 공고, 발명의 명칭 : 진공 유골함)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골함 내부공간의 밀폐성을 높일 수 있고, 유골함 내에 존재하는 세균과 습기를 제거하여 유골의 보존성을 강화할 수 있는 고강도의 유골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존성이 향상된 고강도 유골함은, 석회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황토 25 ~ 35 중량부, 입자 직경 0.5mm 이하의 가는 모래 25 ~ 35 중량부, 숯가루 4 ~ 8 중량부 및 토복령 분말 4 ~ 8 중량부를 고르게 섞고, 여기에 상기 석회의 1/4 ~ 1/3 부피에 해당되는 교반액을 투입하여 반죽물을 조성한 후, 상기 반죽물을 상기 유골함 형태로 일정기간 양생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존성이 향상된 고강도 유골함에 있어서, 상기 교반액은, 소나무 진액 및 느릅나무 껍질 추출액 중 어느 하나를 물과 일정비율로 섞어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존성이 향상된 고강도 유골함에 있어서, 상기 유골함(100)은, 함체(110)와 덮개(120)로 구분되고, 상기 덮개(120)와 맞닿는 함체(110)의 상단부를 따라 폐곡선을 이루며 상기 함체(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연질의 제1 패킹부재(130); 상기 제1 패킹부재(130)에 밀착되도록 상기 덮개(12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연질의 제2 패킹부재(140); 및 하반부는 상기 함체(11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반부는 상기 덮개(120)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유골함(100)의 내부공간(101)과 상기 제1, 2 패킹부재(130, 140) 사이를 차단하는 차단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존성이 향상된 고강도 유골함에 따르면, 석회분, 황토, 가는 모래 및 교반액를 일정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시멘트의 압축강도보다 더 단단한 고강도의 유골함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골함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유골함이 양생되는 과정에서 밀폐성과 방수성이 향상됨으로써, 유골의 보존성을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교반액에 소나무 진액 및 느릅나무 껍질 추출액 중 어느 하나를 혼합하여 유골함의 강도는 높이고 유골에 미칠 수 있는 화학적 영향은 최소화할 수 있고, 유골함에 숯가루와 토복령 분말이 포함됨으로써, 유골함 내의 수분과 혐기성 세균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골의 보존성이 더욱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존성이 향상된 고강도 유골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보존성이 향상된 고강도 유골함의 부분절개사시도.
도 3은 도 1의 보존성이 향상된 고강도 유골함이 별도의 보관함에 수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존성이 향상된 고강도 유골함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존성이 향상된 고강도 유골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보존성이 향상된 고강도 유골함의 부분절개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보존성이 향상된 고강도 유골함이 별도의 보관함에 수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존성이 향상된 고강도 유골함(100)은 사람의 시체를 화장한 뒤 남은 유골을 납골당 등에 안치하여 반영구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유골함은 주변 공기 및 습기가 유골함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내부조직이 치밀해야 하고, 유골함 내에 존재하는 세균과 습기, 악취를 자체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야 하며,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을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석회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황토 25 ~ 35 중량부, 입자 직경 0.5mm 이하의 가는 모래 25 ~ 35 중량부, 숯가루 4 ~ 8 중량부 및 토복령 분말 4 ~ 8 중량부를 고르게 섞고, 여기에 석회의 1/4 ~ 1/3 부피에 해당되는 교반액을 투입하여 반죽물을 조성한 후, 상기 반죽물을 상기 유골함 형태로 일정기간 양생하여 제작된다.
석회분, 황토, 가는 모래 및 교반액이 상기와 같이 대략 3:1:1:0.75의 비율로 혼합된 후, 수화작용(물을 부어 반죽할 때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유동성이 줄고 응고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거치면, 석회분과 점토 등으로 이루어진 시멘트의 평균 압축강도(1,500 N/㎠)보다 더 단단한 강도로 굳어지게 된다.
석회분, 황토 및 가는 모래와 교반액은 상대적으로 매우 느리게 반응이 진행되는 성질이 있는데, 초기에는 시멘트의 평균 압축강도의 1/4 정도를 나타내다가 시간이 흐를수록 점진적으로 그 강도가 세지면서 약 3 ~ 4개월 후에는 시멘트의 평균 압축강도를 넘어서는 것을 실험적으로 알 수 있다. 따라서, 반죽물을 유골함 형태로 제작한 후 적어도 3개월 이상 양생하여 유골함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골함(100)의 양생 초기에는 유골함(100)의 공극의 크기는 투수 및 통기가 가능한 50 ~ 750nm를 나타내다가, 유골함(100)이 양생이 진행되어 가면서 수화생성물인 시멘트 겔(cement gel)이 공극을 채워가면서 유골함(100)의 공극 분포 및 크기가 점점 작아지게 된다. 최종적으로, 3개월 후에는 유골함(100)의 공극이 투수 및 통기가 불가능한 10 ~ 50nm의 크기로 작아지게 된다. 이러한 유골함의 내부조직이 시간이 가면서 더 치밀해짐으로써, 유골함의 내부로 주변 공기 및 습기가 침투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골함의 밀폐성과 방수성이 향상됨에 따라 수분친화적인 유골이 직접 침투한 수분 또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여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참고로, 종래의 도자기와 같은 세라믹 재질은 공기와 수분이 통과할 수 있는 무수히 많은 공극이 벌집 형상을 이루며 분포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낮은 밀폐성과 높은 투수성을 보인다.
본 실시예에서 석회분, 황토, 가는 모래 및 교반액의 함량은 상기 수치범위 내에서 임계적 의의를 갖고,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석회분의 기준 함량에 대비하여, 황토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보다 적으면, 석회분과의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음에 따라 유골함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황토의 함량이 상기 상한치보다 많으면, 황토에 포함된 수지점토(clay) 성분으로 인해 점성이 높아져 유골함의 성형이 어려워지고 유골함의 양생과정에서 건조수축이 심하게 일어나며 유골함의 표면이 거칠어질 수 있다.
가는 모래는 황토보다 미세한 입자 직경 0.5mm 이하의 세사(細沙)를 말하며, 화산암을 분쇄한 포졸란(pozzolan)이 사용될 수 있다. 가는 모래는 콘크리트 혼화제의 일종으로서, 그 자체로는 수용성이 없으나 반죽물에 용해되어 있는 수산화칼슘과 상온에서 서서히 화합하여 불용성의 화합물을 만들 수 있는 실리카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미분 상태의 재료이다. 석회분의 기준 함량에 대비하여, 가는 모래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보다 적으면 유골함의 강도가 저하되고, 가는 모래의 함량이 상기 상한치보다 많으면, 반죽물의 믹싱이 어려워지고 유골함의 강도가 저하되거나 유골함에 균열이 일어날 수 있다.
교반액은 상기 수치범위가 반죽 작업 및 수화 반응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되, 단순히 물만 사용하는 것보다 응고제로서 소나무 진액 및 느릅나무 껍질 추출액 중 어느 하나를 물과 일정비율로 섞어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나무 진액으로부터 제조되는 로진(rosin) 또는 느릅나무 껍질 추출액에 함유된 프롤린(proline) 및 수용성 다당류는 반죽물의 응고 속도를 촉진하고 입자 간 결합구조를 유지시킴으로써, 유골함의 압축강도를 더욱 높여줄 수 있다. 또한, 응고제로서, 천연 추출물을 사용한 것은 유골에 미칠 수 있는 화학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반죽물의 양생, 즉 고체-액체 간의 수화반응을 통해 유골함을 제작하는데 반해, 종래에는 1200℃ 이상의 고온에서 고체 간의 반응을 일으키는 소결 방식으로 유골함을 제작하였다.
종래의 유골함은 제작기간이 상대적으로 짧고 외관이 우수하다는 장점은 있었으나, 재질 자체의 한계 때문에 밀폐성과 방수성이 떨어짐으로 인해 유골의 보존성에 문제가 있었다. 특히, 열처리 과정에서 유골함의 취성이 높아져 충격과 진동에 쉽게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유골함의 안정적인 보관을 담보할 수 없었다. 참고로, 취성이란 물체가 외부에서 힘을 받았을 때, 물체가 변형을 보이지 않고 파괴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유골함을 양생·건조하는데 90일 이상 소요되기는 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압축강도, 내부 밀폐성 및 방수성을 나타냄으로써, 종래의 문제점들을 모두 해소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골의 안정적 보존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유골함을 반복 소결(초벌구이, 본구이, 채식구이)하기 위한 불가마 등의 설비가 요구되고 그에 따른 작업에 위험성이 따랐지만, 본 발명은 유골함 양생을 위한 주형 설비만 필요하고 작업에는 별다른 위험성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유골함이 완전히 밀폐했다고 해서 유골함의 내부가 꼭 무균 상태로 유지된다고 보기 어렵다. 왜냐하면, 유골함 내에는 산소 없이도 살아가는 ‘혐기성 세균’이 존재하고, 진공상태가 아니므로 공기 및 습기가 잔존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본 실시예에는 숯가루와 토복령 분말이 포함된다.
숯가루는 다공질체로서, 습기를 빨아들이는 성질과 공기를 정화시키는 성질이 있다. 숯가루가 유골함 전체 영역에 걸쳐 분포되어 유골함 내부의 습기와 악취를 제거함으로써, 유골의 보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숯가루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보다 낮으면 숯의 효능이 매우 미미할 수 있고, 상기 상한치보다 높으면 유골함의 밀폐성이 저하되고 숯가루의 날림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토복령 분말은 망개나무의 뿌리인 토복령을 말려 분쇄한 가루로서, 여기에 포함된 에탄올 추출물이 효모와 같은 혐기성 세균이나 부패를 유발하는 바실러스(Bacillus) 균 등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제균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유골이 부패되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토복령 분말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보다 낮으면 토복령 분말의 효능이 매우 미미할 수 있고, 상기 상한치보다 높으면 유골함의 밀폐성 및 압축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유골함의 양생이 끝나면, 유골함에 천연도료인 옻을 칠하여 유골함의 표면을 더욱 매끄럽게 함과 동시에 보호막을 형성시켜 유골의 보존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본 실시예의 유골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지(160)에 담긴 유골이 수납되는 단독함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무늬, 망자의 이름 등이 새겨진 별도의 보관용기(10)에 보관되는 보조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유골함의 보존성 향상을 위해 유골함의 구조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선할 수도 있다. 통상, 유골함(100)은 함체(110)와 덮개(120)로 구성되고, 함체(110)와 덮개(120)가 맞닿는 부분의 기밀 유지를 위해 패킹부재가 구비된다.
패킹부재는 고무, 실리콘, 아크릴 등의 재료로 만들어지는데, 여기에는 황, 벤젠, 염소, 포름알데히드 등 다양한 화학성분과 미량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물질들이 유골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는 제1 패킹부재(130), 제2 패킹부재(140) 및 차단부재(150)가 더 포함된다. 연질의 제1 패킹부재(130)는 덮개(120)와 맞닿는 함체(110)의 상단부를 따라 폐곡선을 이루며 함체(110)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연질의 제2 패킹부재(140)는 제1 패킹부재(130)에 밀착되도록 덮개(120)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차단부재(150)는 하반부가 함체(11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반부는 덮개(120)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된다. 유골함(100)의 내부공간(101)과 제1, 2 패킹부재(130, 140) 사이가 차단부재(150)에 막혀 차단되는 것이다.
함체(110)와 덮개(120)의 상호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결합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덮개(120)에 있는 제2 패킹부재(140)의 구성을 제외한 상태에서, 제1 패킹부재(130)에 밀착되는 덮개(120)의 하단부에 돌기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제1 패킹부재(130)에 요홈을 형성함으로써, 함체(110)와 덮개(120)가 암수로 맞물려 억지끼움 형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석회분, 황토, 가는 모래 및 교반액를 일정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시멘트의 압축강도보다 더 단단한 고강도의 유골함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골함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유골함이 양생되는 과정에서 밀폐성과 방수성이 향상됨으로써, 유골의 보존성을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교반액에 소나무 진액 및 느릅나무 껍질 추출액 중 어느 하나를 혼합하여 유골함의 강도는 높이고 유골에 미칠 수 있는 화학적 영향은 최소화할 수 있고, 유골함에 숯가루와 토복령 분말이 포함됨으로써, 유골함 내의 수분과 혐기성 세균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골의 보존성이 더욱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존성이 향상된 고강도 유골함
110 : 함체
120 : 덮개
130 : 제1 패킹부재
140 : 제2 패킹부재
150 : 차단부재
160 : 한지

Claims (3)

  1. 화장된 유골을 담는 유골함에 있어서,
    상기 유골함(100)은, 석회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황토 25 ~ 35 중량부, 입자 직경 0.5mm 이하의 가는 모래 25 ~ 35 중량부, 숯가루 4 ~ 8 중량부 및 토복령 분말 4 ~ 8 중량부를 고르게 섞고, 여기에 상기 석회의 1/4 ~ 1/3 부피에 해당되는 교반액을 투입하여 반죽물을 조성한 후, 상기 반죽물을 상기 유골함 형태로 일정기간 양생하여 제작되고,
    상기 교반액은 소나무 진액 및 느릅나무 껍질 추출액 중 어느 하나를 물과 일정비율로 섞어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성이 향상된 고강도 유골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골함(100)은, 함체(110)와 덮개(120)로 구분되고,
    상기 덮개(120)와 맞닿는 함체(110)의 상단부를 따라 폐곡선을 이루며 상기 함체(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연질의 제1 패킹부재(130);
    상기 제1 패킹부재(130)에 밀착되도록 상기 덮개(12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연질의 제2 패킹부재(140); 및
    하반부는 상기 함체(11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반부는 상기 덮개(120)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유골함(100)의 내부공간(101)과 상기 제1, 2 패킹부재(130, 140) 사이를 차단하는 차단부재(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성이 향상된 고강도 유골함.
KR1020170069455A 2017-06-05 2017-06-05 보존성이 향상된 고강도 유골함 KR101960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455A KR101960967B1 (ko) 2017-06-05 2017-06-05 보존성이 향상된 고강도 유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455A KR101960967B1 (ko) 2017-06-05 2017-06-05 보존성이 향상된 고강도 유골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037A KR20180133037A (ko) 2018-12-13
KR101960967B1 true KR101960967B1 (ko) 2019-03-21

Family

ID=64671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455A KR101960967B1 (ko) 2017-06-05 2017-06-05 보존성이 향상된 고강도 유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9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187A (ko) 2018-08-22 2020-03-04 김명진 양생용 분말재료, 이 분말재료로 만든 친환경 모르타르 및 이 모르타르를 이용한 제습 및 항균 기능을 갖는 고강도 타일과 고강도 용기
KR102168768B1 (ko) * 2019-07-24 2020-10-22 황종태 회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회격 조성 방법
KR20230148634A (ko) 2022-04-18 2023-10-25 주식회사 한나눔산업 항균성, 기계적 물성 및 색도가 향상된 세라믹 제품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886A (ko) * 2003-03-14 2003-05-27 조한구 석회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93475A (ko) * 2006-03-14 2007-09-19 허동호 납골함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01960A (ko) * 2011-03-07 2012-09-17 주식회사 케이이씨맥 가족 납골함
KR101356799B1 (ko) * 2012-05-18 2014-01-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타히보, 토복령, 방아잎 및 양제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KR101286089B1 (ko) 2012-12-07 2013-07-15 권익중 진공 유골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187A (ko) 2018-08-22 2020-03-04 김명진 양생용 분말재료, 이 분말재료로 만든 친환경 모르타르 및 이 모르타르를 이용한 제습 및 항균 기능을 갖는 고강도 타일과 고강도 용기
KR102168768B1 (ko) * 2019-07-24 2020-10-22 황종태 회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회격 조성 방법
KR20230148634A (ko) 2022-04-18 2023-10-25 주식회사 한나눔산업 항균성, 기계적 물성 및 색도가 향상된 세라믹 제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037A (ko)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967B1 (ko) 보존성이 향상된 고강도 유골함
DE602006010366D1 (de) Verschlossene Kapsel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insbesondere Espresso
KR100290743B1 (ko) 탱자수액을 이용한 건축용 황토조성물
KR20170056947A (ko) 2중 유골함
KR101255949B1 (ko) 유골부패방지용 진공 구조 납골함
KR101149488B1 (ko) 납골함 용기 조성방법
JP2006519173A (ja) 固形遺骨及び固形遺骨つぼ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200190224Y1 (ko) 유해 보관용 납골단지
KR100743120B1 (ko) 납골함 본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767162B1 (ko) 기능성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KR100765132B1 (ko) 숯납골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37683Y1 (ko) 유골함
KR100935200B1 (ko) 골분의 부패 및 냄새를 방지하기 위한 납골토 및 그 이용방법
PT1651287E (pt) Compósito injectável para magnetocitólise de células ósseas metastásicas
KR200359905Y1 (ko) 대리석과 옥을 이용한 납골함
KR102667818B1 (ko) 경화제를 포함한 그라우트 조성물을 이용한 그라우트 제조방법
KR200359907Y1 (ko) 화강암과 옥을 이용한 납골함
EP2796122A1 (en) Ecological coffin
KR101568868B1 (ko) 건축 미장용 황토 모르타르
JPH0470021B2 (ko)
BG67091B1 (bg) Погребална разградима урна и метод за нейното производство
KR100558831B1 (ko) 광물질 석분을 이용한 납골함
JP2003220100A (ja) 自然分解性骨壺、及びその製造方法
AU2012101032A4 (en) A Display Urn
KR20200023187A (ko) 양생용 분말재료, 이 분말재료로 만든 친환경 모르타르 및 이 모르타르를 이용한 제습 및 항균 기능을 갖는 고강도 타일과 고강도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