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213B1 - 전원분배장치 - Google Patents

전원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213B1
KR101478213B1 KR20130101917A KR20130101917A KR101478213B1 KR 101478213 B1 KR101478213 B1 KR 101478213B1 KR 20130101917 A KR20130101917 A KR 20130101917A KR 20130101917 A KR20130101917 A KR 20130101917A KR 101478213 B1 KR101478213 B1 KR 101478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nector housing
main
plate bod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용
이훈재
Original Assignee
(주)신창코넥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창코넥타 filed Critical (주)신창코넥타
Priority to KR20130101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적어도 2개의 메인 컨택터가 근접하게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제1장착부가 나란히 형성된 제1판체와, 상기 제1판체의 하부에 배치되되, 절연판(인슐레이터)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판체와 결합되는 제2판체와, 상기 제2판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판체에 결합된 상기 적어도 2개의 메인 컨택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터미널 조립체 및 복수개의 버스 바 조립체와, 상기 제1판체와 상기 제2판체의 결합을 매개함과 아울러, 외부에 배치된 메인 전원부로부터 연장된 양전원부와 음전원부의 단자가 동시에 삽입되는 동작으로 상기 터미널 조립체와의 접속을 매개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함으로써,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품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원분배장치{Battery Distributer Unit}
본 발명은 전원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의 결합이 용이하고, 차량의 공간 자유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전원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을 사용하는 차량에서는 주로 사용되는 전원의 전압이 12볼트 정도의 저전압이나, 최근에 전기모터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자동차의 경우에는 모터의 구성을 위해 상대적으로 고전압도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차량에서 사용되는 부품의 경우 저전압용만이 요구되었는데,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자동차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고전압용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전원분배장치의 차량용 박스를 고전압부품과 저전압부품의 용도에 따라 별도로 제작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차량의 부품수가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예를 들어 하나의 박스에 고전압용과 저전압용 부품을 같이 두는 구성이 제시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일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외관을 형성하고 상부에 복수개의 전장 부품이 결합되는 제1판체(10)와, 상기 제1판체(10)의 하부에 절연판(미도시)이 사이에 위치되도록 결합되고, 상부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전장 부품(15,16,17)과의 전기적 연결을 매개하는 복수개의 버스 바 조립체 및 터미널 조립체(미도시)가 위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전장 부품(15,16,17) 중 적어도 2개는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담당하는 메인 컨택터(15)가 나란히 상기 제1판체(10)의 상부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부품 장착부(12) 중 해당 위치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전장 부품(15,16,17) 중 적어도 하나로써 고전압/고전류를 저전압/저전류로 변환시키는 프리차지 저항(Pre-charge Resister)(16)이 상기 복수개의 부품 장착부(12) 중 해당 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전장 부품(15,16,17) 중 적어도 하나로써 상기 메인 컨택터(15)를 통하여 공급되는 메인 전원의 공급 전 일시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프리차지 컨택터(17)가 상기 복수개의 부품 장착부(12) 중 해당 위치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1판체(10) 및 상기 제2판체(20)의 전체적인 형상이 직사각형의 수평단면을 가진다고 가정할 때 짧은 변을 가진 양단 중 어느 일측에는 외부에 위치된 메인 전원부(미도시)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제1소켓부 및 제2소켓부가 나란히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소켓부 및 상기 제2소켓부는 상기 복수개의 버스 바 조립체 및 상기 복수개의 터미널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재질의 제1볼트부(41a) 및 제2볼트부(41b)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볼트부(41a) 및 제2볼트부(41b)를 각각 둘러싸도록 제1구획벽 및 제2구획벽(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분배장치(1)는, 외부의 메인 전원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프리차지 컨택터(17)가 메인 전원이 공급되기 전 메인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함으로써 일시적인 고전압/고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조절하고, 복수개의 메인 컨택터(15)를 통하여 인가된 고전압/고전류가 프리차지 저항(16)을 거치면서 전기모터에 적합한 저전류/저전압으로 변환시켜 전원분배장치(1)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분배장치(1)는, 외부에 배치된 메인 전원부와의 연결을 매개하는 제1볼트부(41a) 및 제2볼트부(41b)를 해당하는 복수개의 버스 바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별도의 조립 작업이 필요하고, 실제 메인 전원부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와이어 단부에 연결 너트(미도시)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체결하는 동작으로 메인 전원부와의 연결 작업을 함은 물론 별도의 드릴링 작업을 하여야 하는 바, 별도의 조립 공구(너트를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 공구, 드릴링 작업을 위한 드릴 공구)가 필요하며 조립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금속재질을 이용하는 것으로부터 작업시 마모의 문제점과 재료비 상승의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분배장치(1)는, 메인 전원부로부터 인가되는 고전압/고전류의 전원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캐패시터(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보통인데, 외부에 캐패시터가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와이어 하네스에 의한 전기적인 연결을 필요로 하며, 이에 의한 조립 공수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판체(10) 및 제2판체(20)의 주 재료가 전도성을 띠지 않는 수지재로 형성되는 절연재질인 바 전체적인 절연에 문제가 없지만,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자동차의 특성 상 외부에 전원분배장치가 구비되는 바, 우천으로 인한 수분의 침투시 상기 복수개의 전장 부품(15,16,17)의 하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2판체(20)의 상부면에 수분이 고일 우려가 있어 전기적인 쇼트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배제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부품의 조립 공수를 절감하는 한편, 차량의 공간 자유도를 증진시키고, 우천으로 인한 전장 부품의 쇼트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전원분배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적어도 2개의 메인 컨택터가 근접하게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제1장착부가 나란히 형성된 제1판체와, 상기 제1판체의 하부에 배치되되, 절연판(인슐레이터)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판체와 결합되는 제2판체와, 상기 제2판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판체에 결합된 상기 적어도 2개의 메인 컨택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터미널 조립체 및 복수개의 버스 바 조립체와, 상기 제1판체와 상기 제2판체의 결합을 매개함과 아울러, 외부에 배치된 메인 전원부로부터 연장된 양전원부와 음전원부의 단자가 동시에 삽입되는 동작으로 상기 터미널 조립체와의 접속을 매개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메인 컨택터의 일측에 해당하는 상기 제1판체 및 상기 제2판체의 측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판체의 측부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1가이드 리브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판체의 측부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2가이드 리브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 리브 및 상기 제2가이드 리브의 형합 형상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일측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테두리에는 복수개의 걸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 리브 및 상기 제2가이드 리브의 테두리에는 상기 복수개의 걸림 홈에 각각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상기 메인 전원부의 음전원부 및 양전원부의 단자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 단자가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외부의 전원부로부터 연장된 와이어를 전기적 결합시킴에 있어서 소켓 결합 형식으로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바, 제품의 장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커넥터 하우징을 이용하여 제1판체 및 제2판체의 이격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이 전체적으로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캐패시터를 별도의 와이어를 통한 별도 공간에 연결하지 않고, 제1판체 상에 구비함으로써 차량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키고, 기존 캐패시터의 조립 공정수를 절감함은 물론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수분의 영향을 많이 받는 주요 전장부품의 하부에 해당하는 제2판체의 설치 부위에 드레인 홀을 형성함으로써 전기적인 쇼트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구성 중 제2판체의 하부면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구성 중 제2판체의 하부면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전원을 제어하는 적어도 2개의 메인 컨택터(150)가 실장되는 제1장착부(120)가 형성된 제1판체(100)와, 절연판(600)이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판체(1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판체(100)와 결합되는 제2판체(200)와, 상기 제2판체(200)에 결합되어 상기 제1판체(100)에 결합된 상기 적어도 2개의 메인 컨택터(15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터미널 조립체(510) 및 복수개의 버스 바 조립체(520) 및 상기 제1판체(100)와 상기 제2판체(200)의 결합을 매개함과 아울러, 외부에 배치된 메인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연장된 양전원부와 음전원부의 단자가 동시에 삽입되는 동작으로 상기 복수개의 버스 바 조립체(520)와의 접속을 매개하는 커넥터 하우징(4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판체(100)의 상부면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메인 컨택터(150)가 실장되는 상기 제1장착부(120) 외에 프리차지 컨택터(150A)가 실장되도록 제2장착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판체(100)의 상부면에는 외부의 메인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전압/고전류를 저전압/저전류로 변환시키는 프리차지 저항(350)(Pre-charge Resister)가 실장되도록 제3장착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판체(100)의 상부면에는 외부의 메인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전압/고전류의 전류를 안정화시키는 캐패시터(300)가 실장되도록 제4장착부(1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택터(150)와, 상기 프리차지 컨택터(150A)와, 상기 프리차지 저항(350) 및 상기 캐패시터(300)(이하, '복수개의 전장 부품'이라 칭한다) 각각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판체(100)와 상기 절연판(600)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터미널 조립체(510)에 결합되는 연결 단자(도면부호 미표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장착부(120) 내지 제4장착부(120)는, 상기 각각의 연결 단자가 상기 제1판체(100)를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되도록 미도시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장착부(120) 내지 제4장착부(120)는 각각 상기 복수개의 전장 부품이 안착되는 안착 공간(미도시)을 형성하되, 상기 안착 공간의 테두리에는 안착된 각각의 상기 복수개의 전장 부품의 측면을 지지하는 장착 리브(도면부호 미표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 리브는 도 2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120)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전장 부품이 삽입된 후 상단부가 걸림되도록 걸림 슬릿이 양단에 이격되게 각각 구비되고, 상기 걸림 슬릿은 상기 장착 리브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슬릿은 상기 복수개의 전장 부품이 삽입될 때 형상 변형되면서 벌려지는데, 상기 복수개의 전장 부품이 삽입된 후에는 재질의 복원력에 의하여 복원되면서 상기 복수개의 전장 부품의 상단부와 걸림된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전장 부품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개의 장착부(120)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전장 부품이 삽입되어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전장 부품의 수평 단면에 각각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판체(100)의 하부에는 상기 절연판(60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판체(200)가 배치되고, 상기 제2판체(200)의 상부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120)의 하부로 관통되는 상기 복수개의 전장 부품의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상기 복수개의 터미널 조립체(510)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터미널 조립체(510)는 상기 복수개의 버스 바 조립체(520)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메인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메인 전원부로부터 메인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복수개의 전장 부품을 거쳐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기자동차에서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550V/60A의 고전압/고전류의 전원의 안정화 단계를 거쳐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캐패시터(300)는, 공급되는 전원의 충전 및 방전을 통해 공급되는 전류를 완충시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프리차지 컨택터(150A) 및 상기 프리차지 저항(350)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컨택터(150)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상기 캐패시터(300)는, 종래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일실시예와는 달리 별도의 와이어 하네스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되, 차량의 별도의 공간 중 전원분배장치의 일측에 해당하는 공간에 배치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기 캐패시터(300)의 별도 공간에의 배치는 차량의 공간 설계의 자유도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별도의 와이어 하네스를 통한 전기적 연결 작업 공수가 소요되어 작업성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2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판체(100)의 상부면 중 상기 2개의 메인 컨택터(150)가 실장되는 상기 제1장착부(120)의 일측에 상기 프리차지 저항(350)을 설치하도록 상기 제3장착부(120)를 마련하고, 상기 제1장착부(120)를 기준으로 상기 제3장착부(120)에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제4장착부(120)를 마련하여 상기 캐패시터(300)가 실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캐패시터(300)가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에 모듈화되어 설치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와이어 하네스를 이용한 복잡한 전기적 연결 작업을 하는 대신 매우 간단하게 상기 제4장착부(120)에 삽입 고정시키는 작업 방식으로 전기적 연결 작업을 도모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패시터(300)가 장착되는 제4장착부(120)가 상기 전원분배장치에 모듈화되어 구비됨으로써, 차량의 별도 공간에 대한 캐패시터(300)의 장착을 생략함으로써 차량의 공간 자유도를 증진시키는 효과를 창출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2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판체(100) 및 상기 제2판체(200)의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의 수평 단면을 가진다고 할 때, 상기 커넥터 하우징(400)이 상기 직육면체의 수평 단면 중 짧은 변에 해당하는 부분에 상기 제1판체(100) 및 상기 제2판체(200)가 동시에 결합되도록 매개함과 아울러 상기 메인 전원부로부터 연장된 양전원부 및 음전원부의 단자가 동시에 삽입되는 동작으로 상기 복수개의 전장 부품에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400)은 대략 정육면체의 판체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400)의 외측면에는 상기 메인 전원부의 양전원부 및 음전원부의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 단자(450)가 각각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400)이 결합되는 상기 제1판체(100)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400)의 상부의 절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커넥터 하우징(40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 홈(420)에 삽입 걸림되도록 테두리 부분에 걸림 돌기(220)가 형성된 제1가이드 리브(210A)가 형성되고, 상기 제2판체(200)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400)의 하부의 절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걸림 홈(420)에 삽입 걸림되도록 테두리 부분에 걸림 돌기(220)가 형성된 제2가이드 리브(210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판체(100)에 상기 제2판체(200)가 결합되면, 상기 제1가이드 리브(210A) 및 상기 제2가이드 리브(210B)는 형합되는데, 상기 제1가이드 리브(210A)와 상기 제2가이드 리브(210B)의 형합 형상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400)의 내측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400)은 상기 제1가이드 리브(210A) 및 상기 제2가이드 리브(210B)의 테두리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되면서 상기 걸림 돌기(220)가 상기 걸림 홈(420)에 걸림되는 동작으로 견고하게 고정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400)의 삽입 단자(450)에 해당하는 부분을 통해 상기 메인 전원부의 양전원부 및 음전원부의 전기적 연결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복수개의 버스 바 조립체(520)가 위치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종래 메인 전원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필요하였던 제1볼트부 및 제2볼트부와의 너트 결합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음은 물론 드릴링 작업을 축소하고, 간단하게 상기 메인 전원부의 양전원부 및 음전원부의 단자를 상기 삽입 단자(450)를 통하여 접속시키는 동작으로 상기 메인 전원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커넥터 하우징(400)을 통하여 상기 제1판체(100)와 상기 제2판체(2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외력 또는 차량 운행에 따른 진동에 의하여 상기 제1판체(100) 및 상기 제2판체(200)가 유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판체(100) 및 상기 제2판체(200)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400)과 상기 제1가이드 리브(210A) 및 상기 제2가이드 리브(210B)의 결합 방식과 동일한 방식의 결합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2 및 도 3의 도면부호 201 및 101 참조). 그러나, 상기 메인 전원부가 접속되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400) 부분은 필수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버스 바 조립체(52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틈새가 필요하고, 종래에도 마찬가지로 제1구획벽 및 제2구획벽이 각각 제1판체(100) 및 제2판체(200)의 짧은 변에 형성되어 형합되어 형성된 것일 뿐이어서 별도의 결합력을 갖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400)의 상기 제1판체(100) 및 상기 제2판체(200)에 대한 결합을 통하여 견고한 결합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 전원부와의 연결시 작업 공수를 현저하게 줄이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는 차체에의 결합을 위한 러버 핀(700) 및 러버(710)가 모서리 부분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러버 핀(700)은 상기 차체와의 결합을 매개하고, 상기 러버(710)는 차량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진동에 민감한 상기 복수개의 전장 부품의 기능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는, 대체적으로 수분에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는 바, 상기 복수개의 터미널 조립체(510) 및 상기 복수개의 버스 바 조립체(520)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제2판체(200)의 상부면에 수분이 고일 경우 상기 복수개의 버스 바 조립체(520)를 통한 전기적 쇼트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크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는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전장 부품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제2판체(200)에 수분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하는 부분에 각각 복수개의 드레인 홀(250)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드레인 홀(250)은, 상기 제2판체(200)에 수분이 고이지 않도록 상기 제2판체(200)의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드레인 홀(250)은, 상기 제2판체(200)의 상부면 중 가장 낮은 부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분에 민감한 상기 복수개의 전장 부품이 침수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개의 전장 부품의 직하방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판체(100) 및 상기 제2판체(200) 사이에 구비된 상기 절연판(600)에 의하여 수분의 침투가 어느 정도 방지되기는 하지만, 상기 제1판체(100) 및 상기 제2판체(200)가 형성하는 틈새를 통한 수분의 유입 등 다양한 사유로 수분이 상기 제2판체(200)의 상부에 침투할 경우, 침투된 수분은 상기 복수개의 드레인 홀(250)을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전기적인 쇼트 현상을 방지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개의 드레인 홀(250)은, 상기 제2판체(200)에 복잡하게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버스 바 조립체(520)의 배치 구조에 따라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계되어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적어도 2개의 버스 바 조립체(520)가 동시에 수분의 유입에 따른 침수 우려가 있는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는 전류의 2극 성분을 수분에 의하여 매개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전기적인 쇼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최적의 설계 지표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조립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판체(100)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장착부(120)에 각각 해당하는 복수개의 전장 부품을 실장시킨다. 이때, 상기 캐패시터(300)를 상기 제4장착부(120)에 간단히 삽입하는 동작으로 실장시킴으로써 종래 와이어 하네스를 통한 전기적 연결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차량의 공간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1판체(100)와 상기 제2판체(200)의 짧은 변에 형성된 상기 제1가이드 리브(210A) 및 상기 제2가이드 리브(210B)의 형합 부분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400)을 결합시킨다. 이로써, 상기 제1판체(100)와 상기 제2판체(200)의 짧은 변 측의 결합력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다음으로, 상기 복수개의 전장 부품이 각 장착부(120)에 실장되면, 상기 전원분배장치를 상기 러버 핀(700) 및 러버(710)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해당되는 곳에 견고하게 장착한다. 상기 러버 핀(700) 및 러버(710)를 기 설치 위치에 간단하게 연결시키는 동작으로 설치하면 차량의 지속적인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 등으로부터 민감한 전장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메인 전원부의 음전원부 및 양전원부의 일체형 연결 단자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400)에 구비된 삽입 단자(450)에 삽입시키는 동작으로 상기 메인 전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면 조립이 완료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0: 제1판체 120: 장착부
150: 메인 컨택터 150A: 프리차지 컨택터
200: 제2판체 210A: 제1가이드 리브
210B: 제2가이드 리브 220: 걸림 돌기
250: 드레인 홀 300: 캐패시터
350: 프리차지 저항 400: 커넥터 하우징
420: 걸림 홈 450: 삽입 단자
510: 복수개의 터미널 조립체 520: 복수개의 버스 바 조립체
600: 절연판(인슐레이터) 700: 러버 핀
710: 러버

Claims (6)

  1.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적어도 2개의 메인 컨택터가 근접하게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제1장착부가 나란히 형성된 제1판체와;
    상기 제1판체의 하부에 배치되되, 절연판(인슐레이터)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판체와 결합되는 제2판체와;
    상기 제2판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판체에 결합된 상기 적어도 2개의 메인 컨택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터미널 조립체 및 복수개의 버스 바 조립체와;
    상기 제1판체와 상기 제2판체의 결합을 매개함과 아울러, 외부에 배치된 메인 전원부로부터 연장된 양전원부와 음전원부의 단자가 동시에 삽입되는 동작으로 상기 터미널 조립체와의 접속을 매개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메인 컨택터의 일측에 해당하는 상기 제1판체 및 상기 제2판체의 측부에 삽입 결합되는 전원분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판체의 측부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1가이드 리브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판체의 측부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2가이드 리브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전원분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 리브 및 상기 제2가이드 리브의 형합 형상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일측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인 전원분배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테두리에는 복수개의 걸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 리브 및 상기 제2가이드 리브의 테두리에는 상기 복수개의 걸림 홈에 각각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된 전원분배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상기 메인 전원부의 음전원부 및 양전원부의 단자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 단자가 각각 돌출 형성된 전원분배장치.
KR20130101917A 2013-08-27 2013-08-27 전원분배장치 KR101478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917A KR101478213B1 (ko) 2013-08-27 2013-08-27 전원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917A KR101478213B1 (ko) 2013-08-27 2013-08-27 전원분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213B1 true KR101478213B1 (ko) 2014-12-31

Family

ID=52680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1917A KR101478213B1 (ko) 2013-08-27 2013-08-27 전원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2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2330A (ja) * 2000-10-30 2002-05-17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JP2002159118A (ja) * 2000-11-17 2002-05-31 Yazaki Corp 電気接続箱
JP2009153318A (ja) * 2007-12-21 2009-07-09 Yazaki Corp ジャンクション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2330A (ja) * 2000-10-30 2002-05-17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JP2002159118A (ja) * 2000-11-17 2002-05-31 Yazaki Corp 電気接続箱
JP2009153318A (ja) * 2007-12-21 2009-07-09 Yazaki Corp ジャンクションブロッ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96456B1 (en) High-voltage electrical connection box
US8631571B2 (en) Method of installing a high altitude, high voltage terminal block assembly
US20170355327A1 (en) Automobile power supply device
KR101734683B1 (ko)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US9490090B2 (en) Fuse unit
KR20180125089A (ko) 배터리 시스템
KR101478214B1 (ko) 전원분배장치
CN111816827B (zh) 受接触保护的电池连接器、电池模块、系统和机动车辆
CN102859752A (zh) 具有可变形连接器支撑件、用于电动或混合动力车辆电池的蓄电池组件
KR101491323B1 (ko) 고전압 배터리의 안전 커넥터
US20150155125A1 (en) Fuse unit
KR101478213B1 (ko) 전원분배장치
KR100755031B1 (ko) 배터리용 퓨즈박스의 장착구조
KR20090006803U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버스바고정구조
KR102106970B1 (ko) 친환경 자동차의 고전원 장치 간 전원 연결장치
KR101744660B1 (ko) 컷아우트스위치의 상하 접속부 배전선로 연결체
CN112448073A (zh) 电池组模块和电驱动的机动车
JP6704648B2 (ja) 分電盤
CN111276918A (zh) 接线盒
JP4983640B2 (ja) 低圧配電設備
KR102246709B1 (ko) 부싱형 변류기 및 그 변류기를 적용한 배전반
CN215527986U (zh) 线束的连接装置
CN110149032B (zh) 电机总成和具有其的车辆
KR101717660B1 (ko)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KR20140118602A (ko)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