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905B1 - 회전 전기 기계 - Google Patents

회전 전기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905B1
KR101477905B1 KR1020130055911A KR20130055911A KR101477905B1 KR 101477905 B1 KR101477905 B1 KR 101477905B1 KR 1020130055911 A KR1020130055911 A KR 1020130055911A KR 20130055911 A KR20130055911 A KR 20130055911A KR 101477905 B1 KR101477905 B1 KR 101477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lectric machine
stator
rotary electric
out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9111A (ko
Inventor
다이스케 미야자키
도시유키 야마기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Publication of KR20140059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적 공극을 거쳐서 서로 대향 배치된 고정자 및 회전자와, 회전자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출력 축과, 출력 축에 결합된 팬을 포함하는 회전 전기 기계를 개시한다. 팬은 축 방향에서 고정자의 단부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 원판부와, 원판부의 고정자 측 상에 고정자를 향해 돌출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블레이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회전 전기 기계{ROTATING ELECTRICAL MACHINE}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2년 11월 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2-244893 호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에 대한 개시 내용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관련되어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는 회전 전기 기계에 관한 것이다.
감속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부하를 직접 구동하는, 소위 다이렉트 드라이브형의 전동 모터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자기적 공극(air gap)을 거쳐서 대향 배치된 고정자(stator) 및 회전자(rotator)와, 상기 회전자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출력 축과, 상기 출력 축에 연결되는 팬(fan)을 구비하는 회전 전기 기계가 마련된다. 팬은 축 방향에서 고정자의 단부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 원판부, 및 고정자 쪽으로 돌출하도록 원판부의 고정자 측상에 마련된 복수의 블레이드부를 구비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회전 전기 기계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 2는 비교예에서의 도 1의 A부에 따른 부분의 확대도,
도 3은 일 실시예의 회전 커버를 도시하는 부분적으로 잘라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부의 확대도,
도 5는 돌출부의 형태 및 엠보싱 프로세스가 상이한 변형예의 회전 커버의 전체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변형예에서의 도 1의 A부에 따른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래비린스 구조를 가지는 돌출부가 반경 방향에 마련되는 변형예에서의 도 1의 A부에 따른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래비린스 구조를 가지는 돌출부가 축 방향에 마련되는 변형예에서의 도 1의 A부에 따른 부분의 확대도,
도 9는 래비린스 구조가 하우징측상에 또한 마련되었을 때 도 8의 B부의 확대도.
일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 전기 기계(1)의 구성이 도 1을 참고하여 설명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전기 기계(1)는 고정부(2) 및 회전부(3)를 구비한다. 즉, 회전 전기 기계(1)는 회전부(3) 및 고정부(2)를 내부에 구비한 내측 고정자형의 다이렉트 드라이브 모터(이후에 DD 모터로 언급함)이다.
고정부(2)는 하우징(4), 저면 브래킷(5), 전기자 코일(6), 그리고 2개의 스러스트 베어링(7)을 구비한다. 하우징(4)은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며, 회전 전기 기계(1) 내에 구비하는 대부분의 구성요소를 그 내부에 수납한다. 하우징(4)의 원통형 형상 내 반경 방향은 이후에 간단하게 "반경 방향"으로 언급되며; 하우징(4)의 원통형 형상 내 축 방향은 이후에 간단하게 "축 방향"으로 언급된다. 저면 브래킷(5)은 원판 형상을 갖는 저면부(5a) 및 고정 샤프트(5b)를 일체로 구비한다. 저면부(5a)는 하우징(4)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 고정 샤프트(5b)는 저면부(5a)의 중심으로 돌출된 중공형 튜브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 샤프트(5b)는 하우징(4)의 중심 부분을 관통한다. 저면부(5a)는 하우징(4)의 하나의 개구부(도면의 하부 부분에)를 막도록 고정된다. 복수의 전기자 코일(6)은 하우징(4)의 내측 원주 표면상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하도록 마련된다. 전기자 코일(6)은 각각의 청구항에 인용된 고정자에 상응한다.
회전부(3)는 출력 축(8), 영구 자석(9), 및 회전 커버(10)를 구비한다. 출력 축(8)은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중공 튜브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플랜지(8a)는 출력 축(8)의 한쪽 측(도면의 상부 측)상의 단부 부분에 형성된다. 플랜지(8a)가 상술된 하우징(4)의 개구 단부 측(도면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출력 축(8)은 고정 샤프트(5b)의 외측 원주 표면에 끼워맞춰진다. 출력 축(8)은 2개의 스러스트 베어링(7)(베어링들)을 관통하여 고정 샤프트(5b)에 또한 지지된다. 이 배치에 의해, 상술된 축 방향에서의 위치가 억제되면, 출력 축(8)은 도면의 상/하 방향을 따라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복수의 영구 자석(9)은 출력 축(8)의 외부 원주면 상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하도록 마련된다. 영구 자석(9)은 자기적 공극을 통과하여 상술된 반경 방향으로 상술한 전기자 코일(6)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회전 커버(10)는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도넛 형태(원형)의 원판 부재이다. 회전 커버(10)는 상술된 출력 축(8)의 플랜지(8a)에 도시하지 않는 볼트 등으로 부착되며, 그에 따라 하우징(4)의 개구 단부 측의 개구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영구 자석(9)은 각 청구항에 인용된 회전자에 상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회전 전기 기계(1)에서, 전기자 코일(6)의 각각에 동일한 사전설정된 주파수의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하우징(4) 내에서 원주 방향으로 교류 자기장이 발생된다. 다음에, 고정부(2)의 영구 자석(9)이 교류 자기장에 의한 인력(attracting force) 및 척력(repulsive force)을 수용하여 출력 축(8)에 토크를 발생시키고, 그에 따라 전체 회전부(3)가 회전된다. 전기자 코일(6) 사이에서 사전설정된 주파수의 변화의 순서가 전환되고, 그에 따라 출력 축(8)의 정회전 및 역회전의 전환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회전 전기 기계(1)는 DD 모터로서 기능하며, 이 모터는 감속 장치의 개입 없이 부하 기계(부하 대상물 : 특별히 도시하지 않음)를 출력 축(8)에 직접 연결시켜 구동한다. 결과적으로, 고정부(2) 측의 회전 전기 기계(1)의 본체와 출력축(8) 사이의 갭(또는 미끄럼 접촉 부분)이 대기 중에 더 노출되기 쉬울 수 있다. 따라서, 최근 몇 년간 DD 모터의 활용이 다양해짐에 따라,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갭을 통한 하우징(4) 내부로의 먼지 및 티끌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 기능이 요구된다.
일반적인 방진 구성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커버(10)로 하우징(4)의 개구부를 덮는 구성 이외에도, 고정부(2)에 마련된 탄성 부재의 오일 마개를 출력 축(8)에 미끄럼 접촉시키는 구성(특별히 도시하지 않음)이 있다. 오일 마개는 단지 방진 성능의 측면에서는 유리하다. 그러나, 오일 마개는 후술하는 사항들에서는 불리하다. 즉, 오일 마개가 사용될 때, 마찰에 의해 회전 전기 기계(1)의 토크 손실이 야기된다. 또한, 오일 마개가 사용될 때, 마개 부재의 마모 및 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회전 전기 기계(1)의 정격 회전수 자체를 낮게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오일 마개가 사용될 때, 마개 부재의 정기적인 교환 및 윤활유의 보충과 같은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따라서, 회전 전기 기계(1)의 성능 및 사용 편리성에 우선권이 주어질 때는, 본 실시예와 같이, 회전 커버(10)를 사용하는 방진 구성이 종종 적용된다.
회전 커버의 가장 단순한 구성은 단지 원형 평판이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비교예의 구성에서, 원형 평판의 외부 원주의 에지 부분은 구부러지고, 어떤 다른 접촉 없이 사전설정된 갭을 통과하여 상술된 반경 방향으로 하우징(4)의 개구부의 외부 원주에 대향한다. 그러나, 비교예의 구성에서, 하우징(4)의 내부 공간은 회전 커버(101)로 밀봉된다. 대류가 없는 공기 층(110)이 회전 커버(101)와 열원으로써 제공되는 전기자 코일(6) 사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열 방출이 불리하게 낮다.
반대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된 회전 커버(10)가 구비되며, 그에 따라, 상술된 열 방출 문제가 해결되었다. 즉, 도 3에 도시된 회전 커버(10)에서, 복수의 블레이드부(10b)가 원형 평판 부분(원판부에 상응함)(10a)의 내부 표면측(도 3에서 좌측 앞측의 평면)상에 구비된다. 결과적으로, 회전 커버(10) 전체적으로 회전 팬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된 축방향에서의 두께가 상술된 반경 방향에서 내부 측면으로부터 외부 측면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대로 테이퍼진(tapered) 돌출부(10c)에 원주방향으로 균등하게 이격된 6개의 위치에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엠보싱 프로세스가 실시되도록 실행되며, 이에 따라 엠보싱 프로세스 부분(10d)이 형성된다. 이러한 엠보싱 프로세스 부분(10d)에 의해, 6개의 블레이드부(10b)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원판부(10a)는 축 방향에서 고정자의 단부 부분을 덮고 보호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블레이드부(10b)는 덮고 보호하는 수단보다 고정자 측에 위치된 공기 층에서 강제 대류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형상의 엠보싱 가공 부분(10d)의 원호 부분은 회전 커버(10)의 상술한 반경 방향으로 외부 측면을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원주 방향에서 각 블레이드부(10b)의 폭은 상술한 반경 방향에서 내부 측면으로부터 외부 측면까지 증가한다. 그리고나서, 가장 외부 측면에서는, 6개의 블레이드부(10b)가 전체 원주 방향에 걸쳐서 원형적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원형적으로 연결된 부분의 외부 원주방향 표면(하우징(4)의 측면 상의 단부 표면)은, 하우징(4)의 내부 원주방향 표면과 상술한 반경 방향에서의 미소한 공극을 거쳐서 대향한다. 또한, 각 블레이드부(10b) 각각은 회전 방향(즉, 회전 대칭의 형상으로)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 즉, 본 실시예의 회전 전기 기계(1)는 회전 팬으로서 기능하는 회전 커버(10)를 포함한다. 회전 커버(10)는 상술한 축 방향으로 전기자 코일(6)의 단부 부분을 덮는 원형 평판부(10a)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배치에 의해, 전기자 코일(6)을 외부의 이물(물, 먼지와 토사 및 모래와 같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커버(10)는 원형 평판부(10a)의 전기자 코일(6)의 측면을 향해 돌출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블레이드부(10b)를 포함한다. 블레이드부(10b)는 출력 축(8)이 회전할 때에 원형 평판부(10a)와 함께 회전하며, 전기자 코일(6)과 회전 커버(10) 사이의 공기 층(110)에 원주 방향으로 강제 대류를 발생시킨다. 결과적으로, 전기자 코일(6)과 공기 층(110) 사이의 열전달 계수를 향상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전기자 코일(6)에서 발생하는 열의 분산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회전 전기 기계(1)에서, 회전 커버(10) 및 하우징(4)이 접촉하지 않는 것은 후술하는 의미를 가진다. 즉, 예를 들면, 전기자 코일(6) 및 영구 자석을 수납하는 공간의 밀봉성을 높이도록 회전 커버(10)의 원형 평판부(10a)와 하우징(4)이 접촉하는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이 접촉은 마찰 토크를 증가시켜 모터 특성의 저하를 야기한다. 또한, 이러한 접촉은 회전 커버(10)의 마모를 야기하기 때문에, 정기적인 유지보수를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특히, 회전 커버(10)가 하우징(4)과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모터 특성이 저하되는 일은 방지되며, 따라서 유지보수를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특히, 하우징(4)의 측면 상의 복수의 블레이드부(10b)의 단부 면은 전체 원주 방향에 걸쳐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된 단면 표면은 미소한 공극을 거쳐서 하우징(4)과 대향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전기자 코일(6)과 영구 자석(9)을 수납하는 내부 공간의 밀봉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외부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원형 평판부(10a)의 외부 원주방향 에지 부분을 구부리거나 또는 달리 형성되며, 그에 따라 회전 커버(10)와 하우징(4) 사이에 래비린스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밀봉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특히, 회전 커버(10)의 블레이드부(10b)의 각각이 회전 방향으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회전 전기 기계(1)가 정회전 방향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하는 경우라도, 회전 커버(10)에 의한 냉각 기능을 동일하게 실행할 수 있다.
소위 다이렉트 드라이브 형태의 회전 전기 기계(1)에 있어서, 출력 축(8)은 부하 기계에 직접 고정되므로, 회전 전기 기계(1)의 열이 부하 대상물로 전달되기 쉽다. 따라서, 회전 전기 기계(1)의 열 방출이 낮으면, 부하 기계는 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가 다이렉트 드라이브 형태의 회전 전기 기계(1)에 적용되며, 그에 따라 회전 전기 기계(1)에 의한 부하 기계로의 열의 영향을 더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개시된 실시예는 상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물이 그 사상 및 기술적 발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가능하다. 즉, 회전 커버(10)에 마련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부가, 회전 커버(10)가 회전될 때, 블레이드부와 전기자 코일(6) 사이의 공기 층(110)이 적절하게 교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 다른 구성이 채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예들은 아래에 순서대로 설명될 것이다.
(1) 돌출부 및 엠보싱 프로세스의 형성이 상이한 경우
도 5 및 도 6의 변형예에서, 상술된 반경 방향으로의 돌출부의 두께가 외부 측면으로부터 내부 측면까지 상술된 반경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대로 테이퍼진 돌출부(10e)가 제공된다. 돌출부(10e)에 원주방향으로 균등하게 이격된 6개의 위치에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엠보싱 프로세스가 실시되도록 실행되며, 이에 따라 엠보싱 프로세스 부분(10g)이 형성된다. 이러한 엠보싱 프로세스 부분(10g)에 의해, 6개의 블레이드부(10f)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예의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엠보싱 프로세스 부분(10g)의 원호 부분은 회전 커버(10A)의 내부 측면과 상술된 반경 방향으로 대향한다. 결과적으로, 원주 방향에서의 블레이드부(10f) 각각의 폭은 상술된 반경 방향에서 외부 측면으로부터 내부 측면까지 증가한다. 다음에, 가장 내부의 측면에서, 6개의 블레이드부(10f)는 전체 원주 방향에 걸쳐서 원형으로 및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블레이드부(10f) 각각은 또한 회전방향으로 대칭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술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 전기 기계(1)가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으로 구동될 때라도, 회전 커버(10A)에 의해 냉각 기능이 동일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2) 회전 커버가 돌출부를 갖는 경우(반경 방향)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하우징(4)의 개구부의 내부 원주방향 표면은 회전 커버(10)의 블레이드부(10b)의 외부 원형 접속 부분과 근접하고, 그에 따라 회전 커버(10)와 하우징(4) 사이에 래비린스 구조가 형성되며, 그 결과 밀봉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제한되지 않으며; 래비린스 구조로서 기능하는 돌출부가 회전 커버(10)의 외부 원주방향 에지 부분에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상술된 도 4 및 도 6에 대응하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굽힘부(10h)가 회전 커버(10B)의 외부 원주방향 에지 부분에 마련되며, 복수의 돌출부(10i)가 굽힘부(10h)의 그 내부 원주방향 표면에 마련된다. 이러한 돌출부(10i)는 상술된 굽힘부(10h)의 내부 원주방향 표면으로부터 회전축의 중심까지 돌출한다. 다음에, 그 돌출부(10i)의 전면 단부 부분이 상술된 반경 방향에서 미소한 공극을 거쳐 하우징(4)의 개구부 외부 원주방향 표면과 대향한다. 개별의 돌출부(10i)는 각각 상술한 반경 방향에서의 그 폭이 좁은(즉, 회전 부재는 회전 축 주변을 회전함) 원형 평판이며, 상술한 축 방향에서 서로 근접하여 배치된다. 돌출부(10i) 사이의 공간은 미소한 챔버로서 기능하며, 이들은 외부 공기 및 이물의 침입을 방지한다. 이러한 챔버가 연속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챔버는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래비린스 구조로 기능한다.
상술한 본 변형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 즉, 본 변형예의 회전 전기 기계(1)에서, 회전 커버(10B)의 원형 평판부(10a)는 원형 평판부(10a)와 하우징(4) 사이에 래비린스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돌출부(10i)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전기자 코일(6)과 영구 자석(9)을 수납하는 공간의 밀봉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외부 이물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블레이드부(10b)에 의해 래비린스 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블레이드부(10b)의 형상의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다.
(3) 회전 커버가 돌출부를 갖는 경우(축 방향)
돌출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지만,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가 회전 커버(10C)의 상술한 축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복수의 돌출부(10j)는 원형 평판부(10a)의 외부 원주방향 에지 부분으로부터 상술한 축 방향으로 돌출한다. 다음에, 돌출부(10j)의 전면 단부 부분은 상술한 축 방향에서 하우징(4)의 개구부의 단부 표면과 상술한 축 방향의 미소한 공극을 통해 대향한다. 또한, 개별의 돌출부(10j)는, 상술한 축 방향에서의 길이가 짧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즉, 회전 부재는 회전축 주위를 회전함), 상술된 반경 방향에서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10j)의 사이의 공간이 미소한 챔버로서 기능하며, 외부 공기 및 이물의 침입을 방지한다. 이러한 챔버가 연속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챔버는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래비린스 구조로서 기능한다.
이때에,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축 방향에서의 하우징(4)의 개구 부분의 단부 표면에 있어서, 회전 커버(10)의 측면 상에 개별의 챔버와 결합한 복수의 돌출부(4a)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보다 높은 방진 성능을 가지는 래비린스 구조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변형예에서, 변형예(2)에서 상술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기타
블레이드부(10b, 10f)의 형상 및 개수는 상술한 예시에 제한되지 않으며; 공기 교반의 기능을 가지는 다른 형상이 채택될 수도 있고, 다른 개수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술된 회전 커버(10, 10A, 10B, 10C)는, 예를 들어, 냉간 압연 강(cold-rolled steel)은 절삭에 의해 형성되도록 예상되지만, 수지(resin)와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및 각 변형예에서는, 회전 전기 기계로서 모터가 설명되었지만,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발전기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것 이외에도, 상술한 실시예 및 각 변형예가 요구 및 활용에 의해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상술한 실시예 및 각 변형예에서, 그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예가 가능하다.

Claims (8)

  1. 회전 전기 기계에 있어서,
    자기적 공극(a magnetic air gap)을 거쳐서 서로 대향 배치된 고정자 및 회전자와,
    상기 고정자가 그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회전자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출력 축과,
    상기 출력 축에 연결된 팬을 포함하며,
    상기 팬은,
    공극(an air gap)을 거쳐서 축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의 단부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상기 고정자 측상에 상기 고정자를 향해 돌출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블레이드부를 구비하는
    회전 전기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하우징과 접촉하지 않도록 마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
  3. 회전 전기 기계에 있어서,
    자기적 공극을 거쳐서 서로 대향 배치된 고정자 및 회전자와,
    상기 고정자가 그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회전자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출력 축과,
    상기 출력 축에 연결되며, 공극을 거쳐서 축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의 단부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 원판부, 및 상기 원판부의 상기 고정자 측상에 고정자를 향해 돌출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블레이드부를 구비한 팬을 포함하고,
    상기 팬은 상기 하우징과 접촉하지 않도록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부는, 상기 하우징 측상의 블레이드부의 각 단부 표면이 전체 원주 방향에 걸쳐서 서로 연결되고 그리고 연결된 단부 표면이 미소한 공극(a minute air gap)을 거쳐서 상기 하우징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회전 전기 기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부의 각각 연결된 단부 표면은 상기 하우징과 반경 방향에서 미소한 공극을 거쳐서 대향되는
    회전 전기 기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부는, 상기 원판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래비린스 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회전 전기 기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부의 각각은 서로 회전 방향으로 대칭 형상을 이루는
    회전 전기 기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축은 부하 대상물에 직접 고정되는
    회전 전기 기계.
  8. 삭제
KR1020130055911A 2012-11-06 2013-05-16 회전 전기 기계 KR101477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44893A JP5645028B2 (ja) 2012-11-06 2012-11-06 回転電機
JPJP-P-2012-244893 2012-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111A KR20140059111A (ko) 2014-05-15
KR101477905B1 true KR101477905B1 (ko) 2014-12-31

Family

ID=4814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911A KR101477905B1 (ko) 2012-11-06 2013-05-16 회전 전기 기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125166A1 (ko)
EP (1) EP2728715A2 (ko)
JP (1) JP5645028B2 (ko)
KR (1) KR101477905B1 (ko)
CN (1) CN10381226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27198B2 (ja) * 2016-12-07 2021-02-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電動工具
CN111247723B (zh) * 2017-10-27 2022-09-06 日本电产株式会社 马达以及马达的制造方法
JP2020133402A (ja) * 2019-02-12 2020-08-31 ナブテスコ株式会社 空気圧縮装置、モータの防塵方法
JP7123274B2 (ja) * 2019-05-16 2022-08-22 デュクシオン モータ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航空機用電気推進システム及び航空機
KR102353854B1 (ko) * 2020-04-16 2022-01-24 이건우 모터구조
CN114076106B (zh) * 2020-08-18 2024-03-12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电机组件、风机和吸油烟机
CN112039287A (zh) * 2020-08-27 2020-12-04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轧钢车间直流电机的冷却除尘系统以及轧钢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6610A (ja) * 1996-11-01 1998-05-22 Kokusan Denki Co Ltd エンジン駆動発電機
JP2000228843A (ja) * 1999-02-08 2000-08-15 Hitachi Ltd 回転機
JP2010130764A (ja) * 2008-11-26 2010-06-10 Nsk Ltd 電動機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0975A (en) * 1969-07-30 1971-10-05 Westinghouse Electric Corp Dynamoelectric machine with improved cooling means
US4184804A (en) * 1975-10-10 1980-01-22 Nippon Soken, Inc. Rotary electric machine having a cooling fan
JPS59103561U (ja) * 1982-12-27 1984-07-12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フアン
US4882510A (en) * 1988-08-08 1989-11-21 Emerson Electric Co. Motor cooling and particulate trapping structure
JPH054751U (ja) 1991-06-27 1993-01-22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モータのロータ支持構造
US5898246A (en) * 1998-03-13 1999-04-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Control of reluctance dynamoelectric machine cooling fluid
US6215212B1 (en) * 1999-08-12 2001-04-10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Shaftless rotor construction
FR2800931B1 (fr) * 1999-11-09 2004-01-23 Alstom Dispositif de ventilation et moteur electrique de traction ferroviaire equipe d'un tel dispositif
US6781264B1 (en) * 2001-05-02 2004-08-24 Reliance Electric Technologies, Llc Integral field cup and front end shield for an electric brake motor
US7157818B2 (en) * 2003-11-17 2007-01-02 Emerson Electric Co. Low noise ventilation system for electric motor
CN101053143B (zh) * 2004-09-13 2013-03-13 西门子工业公司 用于管理马达中的空气流的系统和方法
US7365471B2 (en) * 2005-03-04 2008-04-29 Remy Inc. Internal cooling fan with a non-repeating blade configuration
TWM291025U (en) * 2005-11-23 2006-05-21 Yen Sun Technology Corp Outer-poled air blast fan
JP2008193841A (ja) * 2007-02-06 2008-08-21 Yamaha Motor Co Ltd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付きエンジン
WO2009019779A1 (ja) * 2007-08-09 2009-02-1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車両用ブラシレス交流発電機
DE102007061597B4 (de) * 2007-12-20 2010-01-14 Siemens Ag Elektrische Maschine mit Doppelaxiallüfter
FR2929772B1 (fr) * 2008-04-08 2016-01-15 Leroy Somer Moteurs Machine electrique comportant un ventilateur a canaux multiples
FR2935074B1 (fr) * 2008-08-12 2023-04-28 Leroy Somer Moteurs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avec un ventilateur de refroidissement a chaque extremite du stator
JP2010074905A (ja) * 2008-09-17 2010-04-02 Sanyo Electric Co Ltd モールドモータ及び電動車両
DE202009001033U1 (de) * 2009-01-27 2010-06-24 Ebm-Papst Mulfingen Gmbh & Co. Kg Elektromotor mit Kühlventilatorwirkung
JP4884515B2 (ja) * 2009-10-30 2012-02-29 三菱電機株式会社 ブラシレス回転電機
JP2011193648A (ja) * 2010-03-15 2011-09-29 Asmo Co Ltd 回転電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6610A (ja) * 1996-11-01 1998-05-22 Kokusan Denki Co Ltd エンジン駆動発電機
JP2000228843A (ja) * 1999-02-08 2000-08-15 Hitachi Ltd 回転機
JP2010130764A (ja) * 2008-11-26 2010-06-10 Nsk Ltd 電動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25166A1 (en) 2014-05-08
KR20140059111A (ko) 2014-05-15
EP2728715A2 (en) 2014-05-07
JP2014093919A (ja) 2014-05-19
CN103812268A (zh) 2014-05-21
JP5645028B2 (ja)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905B1 (ko) 회전 전기 기계
US8841809B2 (en) Synchronous brushless multipolar machine having immobile armature and field windings
JPWO2015181900A1 (ja) 回転電機
JP2014087092A (ja) 回転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回転電機
EP3286368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agnetic gear device
JP2014072921A (ja) 回転電機
JP6121980B2 (ja) 回転電機
JP7487239B2 (ja) 転がり軸受の予圧部材を有する回転電気機械
JP2012080615A (ja) 可変磁束モータ
JP2020010486A (ja) 電動機のロータ
WO2015068846A1 (ja) 回転電機
JP2021173369A (ja) 磁気歯車装置
EP2556930B1 (en) Reciprocation driving device for a hair clipper blade assembly
KR20090097039A (ko) 모터 및 팬-모터 조립체
US20200136484A1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JP2020048290A (ja) 回転機
EP3364527A1 (en) Electric motor and blower
KR102093309B1 (ko) 토크리플 감소를 위한 노치구조의 전동기
JP3186600U (ja) 磁気浮上式ファン
JP2014107951A (ja) モータ
JP2018198503A (ja) モータ
WO2023022007A1 (ja) 磁気変調ギヤ及びギヤモータ
JP6263564B2 (ja) 回転電機のロータ及び回転電機
JP5484797B2 (ja) 電動モータ
JP2009038887A (ja) すべり軸受け、および電動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