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116B1 - 전자 팽창 밸브 및 전자 팽창 밸브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전자 팽창 밸브 및 전자 팽창 밸브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116B1
KR101476116B1 KR1020147018235A KR20147018235A KR101476116B1 KR 101476116 B1 KR101476116 B1 KR 101476116B1 KR 1020147018235 A KR1020147018235 A KR 1020147018235A KR 20147018235 A KR20147018235 A KR 20147018235A KR 101476116 B1 KR101476116 B1 KR 101476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electronic expansion
expansion valve
opening point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8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2415A (ko
Inventor
시게타카 와키사카
마사히로 오카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2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F25B41/35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by rotary motors, e.g. by stepp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75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31Sensor arrangements
    • F25B2313/0314Temperature sensors near the indoo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25B2700/193Pressures of the compressor
    • F25B2700/1931Discharge press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Abstract

공기 조화기(1)가 전자 팽창 밸브(30)의 밸브개방점에 따른 공조 제어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팽창 밸브(30), 및 전자 팽창 밸브(30)의 밸브개방점에 의거하여 공조 제어를 행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1)를 제공한다. 전자 팽창 밸브(30)에는, 전자 팽창 밸브(30)의 특성 데이터에 대응한 바코드(63)가 부여되어 있다. 특성 데이터는, 전자 팽창 밸브(30)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측정된 밸브개방점에 대응하는 펄스수를 포함한다. 밸브개방점은, 전자 팽창 밸브(30)의 밸브 구멍(34)을 지나 유동하는 가스의 유량이 설정치와 동일할 때의 스테핑 모터(50)의 펄스수에 의거하여 설정된다.

Description

전자 팽창 밸브 및 전자 팽창 밸브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ELECTRONIC EXPANSION VALVE AND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ELECTRONIC EXPANSION VALVE}
본 발명은, 밸브체를 스테핑 모터로 이동시킴으로써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전자 팽창 밸브, 및 이 전자 팽창 밸브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팽창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된 상태로 이행하는 밸브개방점은, 전자 팽창 밸브마다 상이하다. 이러한 차이는, 스테핑 모터의 부착 방법, 밸브체의 치수 및 밸브 시트의 치수에 편차가 있으므로 발생한다.
개개의 전자 팽창 밸브에 의한 밸브개방점의 편차는, 공기 조화기에 성능차를 발생시킨다. 동일 기종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같은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냉매 회로를 제어하는데, 각 공기 조화기에 실장되어 있는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개방점은 일반적으로 상이하다. 그 때문에, 전자 팽창 밸브에 대해 동일한 펄스 제어를 행한 경우에도, 개개의 전자 팽창 밸브는 상이한 냉매 유량을 갖게 된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공기 조화기에 의해서는 적정한 냉매 유량이 제공되지 않아, 공조 제어가 안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공조 제어의 안정성이 낮은 공기 조화기의 개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실장되어 있는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개방점에 의거하여 공조 제어를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공기 조화기에 실장되어 있는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개방점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공기 조화기에 탑재된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개방점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열교환기의 온도를 검출하면서 전자 팽창 밸브의 스테핑 모터에 입력하는 펄스수를 단계적으로 증대시킨다. 그리고, 이 과정에 있어서, 실내기의 열교환기가 소정 온도차 이상 저하했을 때의 펄스수에 의거해, 밸브개방점을 설정한다.
밸브개방점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밸브개방점의 측정 기간중, 냉매 회로를 둘러싸는 환경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필요가 있다. 즉, 실내 열교환기의 주위 온도 및 실외 열교환기의 주위 온도가 소정 시간에 걸쳐서 변화하지 않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공기 조화기의 운전중에 있어서 이러한 조건이 성립하는 경우는 대부분 없다. 이 때문에 밸브개방점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공기 조화기가,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개방점에 따른 적절한 공조 제어를 행하는 것은 곤란하며,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팽창 밸브가 요구되고 있다.
일본국 특허 공개 2009-68744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공기 조화기가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개방점에 따른 공조 제어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팽창 밸브를 제공하는 것, 및,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개방점에 의거하여 공조 제어를 행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양태에 의하면, 제1 냉매 배관과, 제2 냉매 배관과, 상기 제1 냉매 배관에 접속되어 있는 밸브실, 및 상기 밸브실과 상기 제2 냉매 배관 사이를 접속하는 밸브 구멍을 가진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 구멍에 삽입되는 밸브부를 갖는 밸브체로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밸브부에 의해서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 구멍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도록 이동 가능하고, 상기 밸브체가 이동할 때에,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 구멍의 내면과 상기 밸브체의 밸브부 사이의 거리가 변동하도록 구성된 상기 밸브체와, 스테핑 모터로서, 상기 스테핑 모터에 입력되는 펄스수에 따라 상기 밸브체를 이동시키는 상기 스테핑 모터를 구비한 전자 팽창 밸브가 제공된다. 상기 밸브 구멍을 지나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이 설정치일 때의 상기 스테핑 모터의 펄스수에 의거하여 밸브개방점을 설정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방점에 대응하는 펄스수가 측정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에는, 측정된 펄스수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특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자가 부여되어 있다.
전자 팽창 밸브에는, 밸브개방점의 펄스수를 포함하는 전자 팽창 밸브의 특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자가 부여되어 있다. 그 때문에, 공기 조화기가,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개방점에 따른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설정치는, 상기 밸브부에 의해서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 구멍이 폐쇄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제2 냉매 배관을 지나 유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유체의 유량의 최대 허용치 이상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밸브개방점에 대응하는 펄스수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상술한 전자 팽창 밸브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가 제공되고, 상기 공기 조화기는,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개방점을 기억하고, 또한 상기 밸브개방점에 의거하여 상기 전자 팽창 밸브를 제어한다.
공기 조화기는, 제조 공정에서 취득된 밸브개방점에 의거하여 전자 팽창 밸브를 제어한다. 이로써, 적정한 냉매 유량이 제공된다. 또, 안정적으로 공조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공기 조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조화기가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개방점에 따른 공조 제어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팽창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개방점에 의거하여 공조 제어를 행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의 공기 조화기에 대해서, 그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도 1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스토퍼 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외관도.
도 5는 도 1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에 대해서, 펄스수와 조임부 이격 거리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도 1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에 대해서, 펄스수와 냉매 유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도 1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에 대해서, 펄스수와 가스 유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도 1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실내의 공기 조화를 행하는 공기 조화기(1)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0)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 열교환기(20)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전자 팽창 밸브(30)와,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 열교환기(70)와, 사방 전환 밸브(80)와, 전자 팽창 밸브(3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90)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장치(90)는, 제어 회로(90A)와, 전자 팽창 밸브(30)의 특성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장치(91)를 갖고 있다. 기억장치(91)는, 예를 들면, 재기록 가능한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 회로(90A)에는, 온도 센서(81) 및 압력 센서(82)가 접속되어 있다. 온도 센서(81)는 냉매의 온도(이하, 냉매 온도)를 검출하고, 냉매 온도에 대응하는 냉매 온도 신호를 제어 회로(90A)에 출력한다. 압력 센서(82)는 냉매의 압력(이하, 냉매 압력)을 검출하고, 냉매 압력에 대응하는 냉매 압력 신호를 제어 회로(90A)에 출력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자 팽창 밸브(3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자 팽창 밸브(30)는, 제1 냉매 배관(31)과, 제2 냉매 배관(32)과, 제1 냉매 배관(31) 및 제2 냉매 배관(32)이 접속되는 밸브 본체(33)와, 봉형상의 밸브체(40)와, 밸브체(40)를, 그 중심축선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스테핑 모터(50)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 본체(33)는 원주형상이며, 밸브 본체(33)의 양단에 있어서 밸브 본체(33)의 중심축선에 직교하는 제1면(33A) 및 제2면(33C)과, 둘레면(33B)을 구비하고 있다. 제1면(33A)에는, 밸브 본체(33)의 중심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가이드관(38)이 설치되어 있으며, 가이드관(38)에는 밸브체(40)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가이드관(38)의 외주면에는 수나사(38A)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관(38)과 밸브체(40)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36)이 배치되어 있다.
밸브 본체(33)의 둘레면(33B)에는, 제1 냉매 배관(31)이 접속되어 있다. 밸브 본체(33)의 제2면(33C)에는, 제2 냉매 배관(32)이 접속되어 있다. 밸브 본체(33)의 내부에는, 밸브실(37)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냉매 배관(31)은, 밸브 본체(33)에 설치된 연락구멍(31A)을 통해 밸브실(37)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냉매 배관(32)은, 밸브 본체(33)에 설치된 밸브 구멍(34)을 통해서 밸브실(37)에 접속되어 있다. 밸브 구멍(34)의 내면에 있어서 밸브실(37)과 밸브 구멍(34)의 경계에는 밸브 구멍(34)으로부터 밸브실(37)을 향해, 그 내경이 증대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부는 밸브 시트(35)를 구성한다. 밸브 구멍(34)의 중심축선과 가이드관(38)의 중심축선과 밸브체(40)의 중심축선은 일치하고 있다. 밸브체(40)는, 가이드관(38) 내 및 밸브실(37)을 지나, 밸브 구멍(34)을 향해 이동 가능하다.
밸브체(40)는, 그 중심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본체부(41)와, 본체부(41)의 일단에 설치된 지지봉(42)과, 본체부(41)의 타단에 설치된 밸브부(43)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41)와 밸브부(43)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41)는, 지지봉(42)에 대해, 밸브체(40)의 중심축선을 따라서 상대 이동 가능, 또한 탈락 불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코일 스프링(36)에 의해 밸브 구멍(34)을 향해 탄성가압되어 있다. 본체부(41)와 지지봉(42)은 가이드관(38) 내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부(43)는, 밸브 시트(35) 사이에 가변 조임부를 형성하도록, 밸브실(37)에 배치되어 있다. 즉, 밸브체(40)가 이동할 때에, 밸브 본체(33)의 밸브 구멍(34)의 내면과 밸브부(43) 사이의 거리가 변동한다. 밸브부(43)는 원추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있다.
스테핑 모터(50)는, 스테이터(51)와, 로터(52)와, 로터(52)의 회전을 기계적인 기준 위치에서 멈추는 스토퍼 기구(56)와, 스테이터(51), 로터(52), 스토퍼 기구(56)를 수용하는 케이스(60)를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터(51)는 전자 코일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로터(52)는, 영구자석(53)과, 영구자석(53)을 고정하는 로터 본체(54)와, 밸브체(40)의 지지봉(42)이 부착되는 고정부(55)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60)에 대해 밸브 본체(33)가 고정되어 있다.
로터 본체(54)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터 본체(54) 내에는 가이드관(38)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로터 본체(54)의 내주면에는, 가이드관(38)의 수나사(38A)와 맞물리는 암나사(54A)가 형성되어 있다.
로터 본체(54)의 외주면에는, 스테이터(51)에 대향하도록 영구자석(53)이 부착되어 있다. 로터 본체(54)의 일단에 고정부(55)가 부착되어 있다. 고정부(55)의 내면에는, 코일 스프링(36)의 일단이 접촉하고 있다. 코일 스프링(36)의 타단은, 밸브체(40)의 본체부(41)의 단면에 접촉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스토퍼 기구(56)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토퍼 기구(56)는, 밸브체(40)의 지지봉(42)의 중심축선과 동축으로 로터(52)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톱니바퀴(57)와, 제1 톱니바퀴(57)에 맞물리는 제2 톱니바퀴(58)와, 제2 톱니바퀴(58)의 회전을 멈추는 스토퍼(59)를 구비하고 있다. 제2 톱니바퀴(58)는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 부채꼴 형상이며, 제1 톱니바퀴(57)보다도 큰 외경을 갖는다. 제2 톱니바퀴(58)는, 제2 톱니바퀴(58)의 반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단면(58A, 58B)을 갖는다. 제2 톱니바퀴(58)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 기구에 의해 케이스(6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스토퍼(59)는, 도시하지 않은 고정 부재에 의해 케이스(60)에 고정되어 있다. 제2 톱니바퀴(58)가 도 3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최대 각도까지 회전했을 때, 제2 톱니바퀴(58)의 단면(58B)은 스토퍼(59)에 접촉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스테핑 모터(50)의 구동에 의한 밸브체(4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테핑 모터(50)의 로터(52)가 정회전할 때, 수나사(38A)와 암나사(54A)의 맞물림에 의해, 로터(52) 및 밸브체(40)가 밸브 본체(33)를 향해 이동한다. 즉, 밸브체(40)의 밸브부(43)는 밸브 시트(35)를 향해 이동한다.
밸브부(43)의 선단이 밸브 구멍(34)에 진입하고, 밸브체(40)가 밸브 구멍(34)을 향해 더 이동할 때, 밸브부(43)의 원추면이 밸브 구멍(34)의 밸브 시트(35)에 접촉한다. 이 때, 밸브 구멍(34)이 밸브체(40)에 의해 폐쇄된다. 이와 같이, 밸브부(43)가 밸브 구멍(34)에 진입함으로써, 밸브체(40)의 밸브부(43) 및 밸브 시트(35) 사이의 간극이 축소된다.
스테핑 모터(50)의 로터(52)가 역회전할 때, 수나사(38A)와 암나사(54A)의 맞물림에 의해, 로터(52) 및 밸브체(40)가 밸브 본체(3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밸브체(40)의 밸브부(43)와 밸브 시트(35) 사이의 거리가 커진다.
다음에, 스토퍼 기구(56)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밸브부(43)가 밸브 시트(35)에 접촉할 때의 밸브체(40)의 위치를 「접촉 위치」라고 한다. 밸브체(40)가 접촉 위치에 있을 때, 밸브부(43)와 밸브 시트(35) 사이의 거리(이하, 조임부 이격 거리)는 「0」이다.
밸브체(40)가 밸브 구멍(34)을 향해 이동할 때, 제1 톱니바퀴(57)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 제2 톱니바퀴(58)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밸브체(40)가 접촉 위치에 이르렀을 때, 제2 톱니바퀴(58)의 단면(58B)과 스토퍼(59) 사이에는 간극이 있다. 즉, 제2 톱니바퀴(58)는 스토퍼(59)에 접촉하고 있지 않다.
밸브체(40)가 접촉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로터(52)가 정방향으로 더 회전할 때, 밸브체(40)와 고정부(55) 사이에 있는 코일 스프링(36)이 축소된다. 이 때문에, 밸브부(43)와 밸브 시트(35)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36)이 축소된 거리에 따른 힘이 가해진다. 이 상태에서 로터(52)가 정방향으로 소정의 회전 각도 위치까지 더 회전했을 때, 제2 톱니바퀴(58)의 단면(58B)이 스토퍼(59)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로터(52)의 회전이 규제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전자 팽창 밸브(30)의 외관을 설명한다.
스테핑 모터(50)의 케이스(60)에는, 전자 팽창 밸브(30)의 개별 식별 번호(62) 및 바코드(63)가 기재된 라벨(61)이 붙여져 있다.
개별 식별 번호(62)는 각 전자 팽창 밸브(30)에 개별적으로 부여된 번호이다. 즉, 각 전자 팽창 밸브(30)는 상이한 개별 식별 번호(62)를 갖는다. 바코드(63)는, 라벨(61)이 붙여진 전자 팽창 밸브(30)의 밸브개방점의 측정치(이하, 밸브개방점 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자이다. 밸브개방점은, 밸브부(43)와 밸브 시트(35)가 떨어지기 시작할 때의 펄스수에 의거하여 설정된다.
스테핑 모터(50)의 제어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스테핑 모터(50)에 입력되는 펄스 신호와 펄스수의 관계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스테핑 모터(50)는, 제어 회로(90A)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에 의거하여 로터(52)를 회전시킨다. 펄스 신호에는, 정회전 패턴의 펄스 신호와 역회전 패턴의 펄스 신호가 있다.
정회전 패턴의 펄스 신호는, 소정 여자 방식에 있어서 로터(52)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로터(52)의 정회전에 의해, 밸브체(40)는 밸브 구멍(34)을 향해 이동한다.
역회전 패턴의 펄스 신호는, 소정 여자 방식에 있어서 로터(5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로터(52)의 역회전에 의해, 밸브체(40)는 밸브 구멍(3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펄스 신호가 정회전 패턴일 때, 로터(52)는, 펄스 신호에 포함되는 펄스의 개수에 따른 회전 각도만큼 정회전한다. 이에 의해, 밸브체(40)는 밸브 구멍(34)을 향해 회전 각도에 따른 거리만큼 이동한다. 펄스 신호가 역회전 패턴일 때, 로터(52)는, 펄스 신호에 포함되는 펄스의 개수에 따른 회전 각도만큼 역회전한다. 이에 따라, 밸브체(40)는 밸브 구멍(3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각도에 따른 거리만큼 이동한다.
로터(52)가 스토퍼 기구(56)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는 상태(이하, 접촉 정지상태)에 있을 때, 펄스수는 「0」이라는 초기치로 설정된다. 이 초기화는, 예를 들면, 공기 조화기(1)의 기동시에 행해진다.
역회전 패턴의 펄스 신호가 입력될 때, 그 펄스 신호에 포함되는 펄스의 개수를, 로터(52)의 현재의 회전 각도 위치와 대응 관계에 있는 펄스수에 가산한 값을 새로운 펄스수로서 설정한다. 정회전 패턴의 펄스 신호가 입력될 때, 그 펄스 신호에 포함되는 펄스의 개수를, 로터(52)의 현재의 회전 각도 위치와 대응 관계에 있는 펄스수로부터 감산한 값을 새로운 펄스수로서 설정한다. 즉, 스테핑 모터(50)에 입력되는 펄스 신호에 포함되는 펄스의 개수의 누적치가 펄스수로서 부여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스테핑 모터(50)의 펄스수와 조임부 이격 거리(밸브부(43)으로 밸브 시트(35) 사이의 거리)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펄스수가 「0」일 때, 밸브부(43)는 밸브 시트(35)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조임부 이격 거리는 실질적으로 「0」과 같다. 또, 펄스수가 「0」에서, 밸브개방점에 대응하는 펄스수까지의 사이에 있을 때, 밸브부(43)는 밸브 시트(35)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조임부 이격 거리는 실질적으로 「0」과 같다.
펄스수가, 밸브개방점에 대응하는 펄스수보다도 커지면, 펄스수의 증대에 따라 조임부 이격 거리가 커진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개방점에 대응하는 펄스수를 기점으로 했을 때, 펄스수의 증분과 조임부 이격 거리는 대략 비례한다.
도 6을 참조하여, 2개의 전자 팽창 밸브(30)에 대해서, 냉매 유량과 밸브개방점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곡선 G(1)은 제1의 전자 팽창 밸브(30)의 특성을 나타내고, 곡선 G(2)는 제2의 전자 팽창 밸브(30)의 특성을 나타낸다.
도 6의 횡축에 있어서의 펄스수가, 밸브개방점에 대응하는 펄스수보다도 작을 때, 밸브부(43)와 밸브 시트(35)가 접촉한 상태(이하, 폐쇄 상태)에 있다. 폐쇄 상태에 있어서, 밸브부(43)와 밸브 시트(35) 사이에는 미소한 간극이 있기 때문에, 양 배관(31, 32) 사이에서, 냉매는 약간 유동한다. 이 때의 냉매 유량은 펄스수에 관계없이 대략 일정하다. 한편, 펄스수가, 밸브개방점에 대응하는 펄스수보다도 커지면, 밸브부(43)가 밸브 시트(35)로부터 이격하므로, 냉매 유량은 펄스수의 증분에 따라 커진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개방점은, 개개의 전자 팽창 밸브(30)에 따라서 상이하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한다.
전자 팽창 밸브(30)에는, 전자 팽창 밸브(30)를 구성하는 부품 치수의 편차, 조립 오차 또는 물리 특성의 편차가 존재한다. 그 때문에, 밸브부(43)가 밸브 구멍(34)을 향해 이동하여, 밸브 시트(35)에 접촉했을 때의 로터(52)의 회전 각도로부터, 로터(52)가 접촉 정지상태에 있을 때의 회전 각도까지의 각도차가 개개의 전자 팽창 밸브(30)에서 상이하다. 이 때문에, 각 전자 팽창 밸브(30)에 대해서 밸브개방점이 상이하다.
치수의 편차는, 밸브체(40)의 치수, 밸브부(43)의 원추면의 기울기, 밸브 시트(35)의 테이퍼부의 기울기, 코일 스프링(36)의 길이의 편차를 포함한다. 조립 오차는, 제1 톱니바퀴(57)와 제2 톱니바퀴(58)와 스토퍼(59)의 조립 오차, 밸브체(40)의 고정부(55)에 대한 조립 오차를 포함한다. 물리 특성의 편차는, 코일 스프링(36)의 스프링 상수의 편차, 스테핑 모터(50)의 토크의 편차를 포함한다.
개개의 전자 팽창 밸브(30)의 밸브개방점의 편차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
냉매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조임부 이격 거리를 펄스수에 따라 제어한다. 즉, 펄스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조임부 이격 거리를 바꿔, 냉매 유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냉매 유량 제어는, 펄스수와 냉매 유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어 맵에 의거하여 행해진다. 그러나, 각 공기 조화기(1)에 실장되어 있는 전자 팽창 밸브(30)의 밸브개방점은 개개로 상이하므로, 개개의 전자 팽창 밸브(30)에 대해 동일한 제어 맵을 이용하여 제어했을 때, 냉매 유량에 차가 발생한다. 특히, 원하는 냉매 유량이 적을 때, 개개의 전자 팽창 밸브(30)에 의해서 실현되는 냉매 유량은 크게 상이하다. 즉,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체(40)를 밸브개방점 부근에서 냉매 유량을 제어할 때, 같은 값의 펄스수를 각 전자 팽창 밸브(30)에 부여했다고 해도, 각 전자 팽창 밸브(30)에 의한 냉매 유량은 크게 상이하다.
예를 들면, 도 6에서, 제1의 전자 팽창 밸브(30) 및 제2의 전자 팽창 밸브(30)의 각각을 지령 펄스수 「X」로 제어할 때, 제1의 전자 팽창 밸브(30)의 냉매 유량은 F(1)로 표시되고, 제2의 전자 팽창 밸브(30)의 냉매 유량은 F(2)로 표시된다.
이러한 결과, 적은 냉매 유량으로 공기 조화기(1)를 운전하는 기간중에는, 개개의 공기 조화기(1)에 따라서 공조 정밀도가 상이하다. 예를 들면, 제어 맵을 적정하게 사용 가능한 범위 내에는 속하지 않은 밸브개방점을 갖는 전자 팽창 밸브(30)가 공기 조화기(1)에 실장되어 있는 경우, 그 공기 조화기(1)에서는, 과도하게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어 회로(90A)에 의한 피드백 제어를 실시해도,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 부근으로 안정되지 않는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팽창 밸브(30)의 밸브개방점에 의거하여 냉매 유량 제어의 펄스수를 보정한다. 이하에, 보정 처리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 맵의 일례로서, 도 6의 곡선 G(0)을 든다. 여기서, 곡선 G(0)의 밸브개방점을 기준 밸브개방점으로 한다.
제어 회로(90A)에 의해 냉매 유량의 목표치(이하, 목표 냉매 유량)가 설정된다. 이 때, 전자 팽창 밸브(30)에 입력해야 하는 펄스수(이하, 지령 펄스수)가 설정된다. 전자 팽창 밸브(30)의 밸브개방점이 기준 밸브개방점과 일치하는 경우, 제어 맵에 의해서, 목표 냉매 유량을 실현하는 최적의 펄스수가 설정되므로, 목표의 공조 상태에 최단 시간으로 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전자 팽창 밸브(30)에는 개체차가 존재하고, 전자 팽창 밸브(30)의 밸브개방점은 기준 밸브개방점과 상이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반의 전자 팽창 밸브(30)에 제어 맵을 이용하여 지령 펄스수를 설정했다고 해도, 실제의 냉매 유량은, 목표 냉매 유량과 상이하다. 이러한 상이함의 주된 원인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밸브개방점의 편차에 의한다.
이 때문에, 제어 회로(90A)는, 전자 팽창 밸브(30)의 밸브개방점에 의거하여 지령 펄스수를 보정한다. 즉, 공기 조화기(1)에 실장되는 전자 팽창 밸브(30)의 밸브개방점과 기준 밸브개방점의 차를 산출하고, 이 차를 보정치로 한다. 그리고, 당초의 지령 펄스수에 보정치를 가산함으로써, 보정 지령 펄스수를 산출한다. 전자 팽창 밸브(30)의 제어에 있어서는, 보정 지령 펄스수가 이용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지령 펄스수의 보정 처리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 맵은 곡선 G(0)에 의해 부여되는 것으로 한다. 실장되어 있는 전자 팽창 밸브(30)의 특성은 곡선 G(1)로 부여되는 것으로 한다. 곡선 G(1)은 밸브개방점(1)을 갖고, 곡선 G(1)의 밸브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펄스수에 대한 냉매 유량의 변화율은 곡선 G(0)과 대략 동일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목표 냉매 유량이 설정되었을 때, 제어 맵에 의하면 지령 펄스수는 「Y」로 표시된다. 그러나, 실장되어 있는 전자 팽창 밸브(30)의 특성은 곡선 G(1)로 부여되므로, 지령 펄스수 「Y」로 전자 팽창 밸브(30)를 제어했을 때, 냉매 유량이 부족해, 목표 냉매 유량과 일치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지령 펄스수 「Y」에 대해 보정치(밸브개방점(1)-기준 밸브개방점)를 가산하고, 보정 지령 펄스수 「Yx」를 산출한다. 보정 지령 펄스수 「Yx」에 의하면, 실장된 전자 팽창 밸브(30)에 의해 냉매 유량을 목표 냉매 유량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지령 펄스수의 보정 처리에 의해, 실제의 냉매 유량이 최적의 냉매 유량에 근접한다. 이로써, 최적의 냉매 유량으로 공조 제어가 행해지고, 이 결과, 공조 제어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개개의 전자 팽창 밸브(30)의 밸브개방점의 편차에 기인하여 개개의 공기 조화기(1)에 있어서 공조 제어의 안정성이 상이했는데, 이러한 공조 제어의 안정성의 편차가 작아진다.
도 7을 참조하여, 전자 팽창 밸브(30)의 밸브개방점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측정시에, 냉매 대신에 공기 또는 질소 가스 등의 가스가 이용된다. 또한, 도 7에는, 가스 유량이 적은 범위에 있어서의 펄스수와 가스 유량의 관계가 나타나 있다.
전자 팽창 밸브(30)의 밸브개방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측정 조건이 일정 시간 변화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조화기(1)의 운전중에 밸브개방점의 측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기는 하지만, 실내 열교환기(70)의 주위 온도 및 실외 열교환기(20)의 주위 온도가 변화하고, 이러한 측정 조건을 성립시키는 것은 어렵다. 이 때문에, 전자 팽창 밸브(30)의 밸브개방점은, 전자 팽창 밸브(30)의 제조 공정에서 측정된다.
이하, 밸브개방점의 측정 방법의 구체적인 예를 든다.
전자 팽창 밸브(30)의 제1 냉매 배관(31)으로부터 제2 냉매 배관(32)에 가스를 유통시킨다. 제1 냉매 배관(31)에 유입시키는 가스의 가스압, 가스 온도, 및 가스 유량은 측정중에 일정하게 한다. 그리고, 스테핑 모터(50)에 입력하는 펄스수를 0에서부터 서서히 증대시킴과 더불어, 각 펄스수에 있어서 제2 냉매 배관(32)을 지나 유동하는 가스의 가스 유량을 측정한다. 전자 팽창 밸브(30)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펄스수에 관계없이 제2 냉매 배관(32)을 지나 유동하는 가스의 가스 유량은 대략 일정하다. 밸브부(43)와 밸브 시트(35)가 이격할 때, 제2 냉매 배관(32)을 지나 유동하는 가스의 가스 유량이 증대한다. 그리고, 제2 냉매 배관(32)을 지나 유동하는 가스의 가스 유량이 설정치로 되었을 때의 펄스수를 밸브개방점 데이터(밸브개방점의 측정치)로서 기억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전자 팽창 밸브(30)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의 가스 유량을 누출 유량이라고 한다. 상기 설정치는, 누출 유량의 최대 허용치와 같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최대 허용치란, 폐쇄 상태의 전자 팽창 밸브(30)에 있어서 설계상 허용되는 냉매의 누출량의 최대치이다.
가스 유량은, 플로우미터 등의 유량계에 의해 측정한다. 가스 유량은, 제1 냉매 배관(31)과 제2 냉매 배관(32)의 차압에 의해 환산하여 산출해도 된다. 가스 유량의 계측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측정된 밸브개방점 데이터는, 정확하게는 밸브개방점과는 상이한 값이다. 그러나, 누출 유량의 최대 허용치는, 냉매 유량의 제어 범위에 있어서 최소치에 근사할 수 있으므로, 제2 냉매 배관(32)을 지나 유동하는 가스의 가스 유량이 누출 유량의 최대 허용치와 동일해질 때의 펄스수에 의거하여 밸브개방점을 설정할 수 있다.
밸브개방점 데이터는, 측정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30)에 관련지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밸브개방점 데이터는, 소정 형식에 의해 정수치로 치환되어, 바코드화된다. 바코드(63)(밸브개방점 코드)는 라벨(61)에 인자된다. 라벨(61)은 전자 팽창 밸브(30)의 케이스(60)에 부착된다. 이에 의해, 전자 팽창 밸브(30)와 밸브개방점 데이터가 일대일로 관련지어진다.
밸브개방점 데이터와 전자 팽창 밸브(30)를 관련짓는 것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밸브개방점 데이터는, 상기와 같이 제조 공정에서 측정된다. 이 때, 주위 환경이 대략 일정 조건으로 유지되고, 또한 전자 팽창 밸브(30)에 유통시키는 가스도 일정 조건으로 관리된다. 이로써, 각 전자 팽창 밸브(30)의 밸브개방점 데이터는 정확하게 측정된다. 그리고, 전자 팽창 밸브(30)와 밸브개방점 데이터가 일대일로 관련지어진다. 그래서, 전자 팽창 밸브(30)가 실장되는 공기 조화기(1)가, 그 전자 팽창 밸브(30)의 밸브개방점 데이터를 냉매 유량 제어를 위한 파라미터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냉매 유량 제어에 있어서 밸브개방점 데이터를 이용하여 펄스수를 보정하는 공기 조화기(1)에서는,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매 유량을 적정한 값으로 하기 때문에, 공조 제어의 안정성이 증대한다. 특히, 그 효과는, 유량이 적은 범위에서 냉매 유량을 제어할 때 현저해진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전자 팽창 밸브(30)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 S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부품으로부터 전자 팽창 밸브(30)를 조립한다. 단계 S20에서는, 전자 팽창 밸브(30)에 각종 검사 및 측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누출 유량 검사, 전체 개방 유량 검사, 중간 개도 유량 검사를 행한다. 또, 작동 검사 및 밸브개방점을 측정한다. 밸브개방점의 측정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행해진다.
누출 유량 검사에서는, 펄스수가 「0」일 때의 가스 유량(누출 유량)을 측정하여, 최대 허용치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가스 유량(누출 유량)이 최대 허용치보다도 클 때, 그 전자 팽창 밸브(30)를 불량품으로 한다.
전체 개방 유량 검사에서는, 펄스수가 최대치일 때의 가스 유량을 측정하고, 판정치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가스 유량이 판정치보다도 작을 때, 그 전자 팽창 밸브(30)를 불량품으로 한다. 또한, 판정치는 미리 설정되는 값이다.
중간 개도 유량 검사에서는, 펄스수가 중간치일 때의 가스 유량을 측정하여, 설정범위 내의 값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가스 유량이 설정범위 밖일 때, 그 전자 팽창 밸브(30)를 불량품으로 한다. 또한, 설정 범위란 미리 설정된 상한치와 하한치 사이의 범위를 나타낸다.
작동 검사는, 소정 전압으로 스테핑 모터(50)가 작동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스테핑 모터(50)가 작동하지 않을 때, 전자 팽창 밸브(30)를 불량품으로 한다. 또한, 불량품의 일부는, 다시 조립이 행해지고, 재검사되는 경우도 있다.
단계 S30에서는, 모든 검사에서 합격한 전자 팽창 밸브(30)를 선별한다. 상기 검사 중 어느 한 항목에서라도 불량으로 된 것은 불량품으로서 제거한다(단계 S40). 단계 S50에서는, 밸브개방점 데이터에 대응하는 바코드(63)를 라벨(61)에 인자하고, 이 라벨(61)을 전자 팽창 밸브(30)의 케이스(60)에 붙인다.
라벨(61)의 밸브개방점 데이터는, 공기 조화기(1)의 제조 공정에서, 공기 조화기(1)의 기억장치(91)에 기억된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팽창 밸브(30)에 붙여진 라벨(61)의 바코드(63)의 정보는 리더에 의해 판독되고, 이 정보가 밸브개방점 데이터로서 기억장치(91)에 기억된다.
이하, 상기 실시형태의 효과를 설명한다.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밸브개방점 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자인 바코드(63)(밸브개방점 코드)가 전자 팽창 밸브(30)에 부여되어 있다. 이로써, 공기 조화기(1)에, 전자 팽창 밸브(30)의 밸브개방점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전자 팽창 밸브(30)의 밸브개방점에 따른 제어를 공기 조화기(1)에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밸브개방점을 측정할 때의 가스 유량의 설정치를 누출 유량의 최대 허용치와 동일하게 한다. 이에 의해, 밸브개방점 데이터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즉, 밸브개방점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펄스수의 변화에 대한 냉매 유량의 변화의 비율이 변화하는 변곡점을 측정할 필요가 있는데,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측정을 행하지 않아도 된다.
(3) 상기 실시형태의 공기 조화기(1)는, 실장되어 있는 전자 팽창 밸브(30)의 밸브개방점 데이터를 기억하고, 또한 밸브개방점 데이터에 의거하여 전자 팽창 밸브(30)를 제어한다. 이 때문에, 냉매 유량이 적정치로부터 벗어나는 빈도가 적어진다. 또, 공조 제어의 안정성이 낮은 공기 조화기(1)의 개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형태를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 이하의 각 변형예는, 상이한 변형예와 조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팽창 밸브(30)에 가스를 유통시켜 밸브개방점을 측정하고 있는데,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밸브개방점을 측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냉매 배관(31) 및 제2 냉매 배관(32) 중 어느 한쪽의 냉매관으로부터 광을 입사함과 더불어 다른쪽의 냉매관에서 광의 누출량을 검출하고, 그 광의 누출량이 소정 광량과 동일할 때의 펄스수에 의거하여 밸브개방점을 설정한다.
·또, 전자 팽창 밸브(30)의 밸브개방점의 측정에 있어서, 가스를 대신해, 액체를 이용해도 된다. 또, 실제로 사용하는 냉매를 이용하여 밸브개방점을 측정해도 된다. 냉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1 냉매 배관(31)과 제2 냉매 배관(32) 사이의 온도차를 검출하고, 그 온도차가 소정 온도차와 동일할 때의 펄스수에 의거하여 밸브개방점을 설정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팽창 밸브(30)의 밸브개방점을 측정할 때의 설정치는 누출 유량의 최대 허용치와 동일하지만, 이 설정치가 누출 유량의 최대 허용치보다도 커도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1)의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팽창 밸브(30)의 밸브개방점 데이터를 바코드화하지만, 밸브개방점 데이터 이외의 전자 팽창 밸브(30)의 특성 데이터를 바코드화하여 전자 팽창 밸브(30)에 부여해도 된다. 밸브개방점 데이터 이외의 특성 데이터로는, 예를 들면, 누출 유량, 전체 개방 유량, 유량 커브의 변곡점 등을 들 수 있다. 누출 유량은, 누출 유량 검사에 의해 얻어지는 측정 데이터이다. 전체 개방 유량은, 전체 개방 유량 검사에 의해 얻어지는 측정 데이터이다. 유량 커브의 변곡점은, 펄스수의 증대에 따른 냉매 유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유량 커브에 있어서, 펄스수의 증대분에 대한 냉매 유량의 변화율이 증대할 때의 펄스수에 의거하여 설정된다. 이들 특성 데이터를 바코드화함으로써, 공기 조화기(1)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1)에 장착되는 전자 팽창 밸브(30)의 특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의 기억장치(91)에 기억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이들 데이터를 이용하는 냉매 유량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전자 팽창 밸브(30)의 특성의 편차에 의한 냉매 유량의 편차를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밸브개방점 데이터를 바코드화하지만, 그 식별자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식별자는, 전자 팽창 밸브(30)를 공기 조화기(1)에 실장할 때에, 소정의 수단에 의해 판독 가능한 형태이면 된다. 즉, 전자 팽창 밸브(30)에 대한 밸브개방점 데이터의 부여는, 이하의 각 양태가 포함된다.
·밸브개방점 데이터의 부여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 바코드(63)를 대신해 QR코드(등록상표)가 이용되어도 된다. 또, 밸브개방점 데이터의 수치를 라벨(61)에 인자해도 된다. 이 경우, 화상 인식에 의해 라벨(61)의 수치를 판독한다. 밸브개방점 데이터를 자기 신호로 변환하고, 자기 스트라이프로 형성하여 라벨(61)에 붙여도 된다. IC 태그에, 밸브개방점 데이터를 기록해도 된다. 이 경우, 다른 검사 결과를 IC 태그에 기억해도 된다.
·또, 밸브개방점 데이터의 부여의 다른 형태로서, 다음과 같은 방법도 있다.
전자 팽창 밸브(30) 자체에 밸브개방점 데이터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전자 팽창 밸브(30)의 개별 식별 번호(62)에 밸브개방점 데이터를 관련지어도 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시트 또는 전자 파일을 이용하여 개별 식별 번호(62)와 밸브개방점 데이터와 관련지어 기록한다. 공기 조화기(1)의 제조 공정에서는, 전자 팽창 밸브(30)의 개별 식별 번호(62)에 대응하는 밸브개방점 데이터를 데이터 시트 또는 전자 파일로부터 판독한다. 이러한 방법으로도, 전자 팽창 밸브(30)와 밸브개방점 데이터가 일대일로 관련지어지므로, 상기 (1)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 밸브개방점 데이터의 부여의 다른 형태로서, 다음과 같은 방법도 있다.
밸브개방점 데이터와, 밸브개방점 데이터 이외의 전자 팽창 밸브(30)의 특성 데이터(예를 들면, 누출 유량, 전체 개방 유량, 유량 커브의 변곡점 등)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하나의 코드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이 코드에 대응하는 바코드(63)를 판독했을 때, 소정의 해독 프로그램에 의해, 밸브개방점 데이터와, 밸브개방점 데이터 이외의 각종의 특성 데이터를 분리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스 유량이 설정치(예를 들면, 누출 유량의 최대 허용치)가 되었을 때의 펄스수를 밸브개방점 데이터(밸브개방점의 측정치)로서 기억하지만, 밸브개방점 데이터의 정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펄스수를 「0」에서부터 서서히 증대할 때의 유량 커브의 최초의 변곡점을 밸브개방점 데이터로서 기억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 상기 (1)에 나타낸 효과가 얻어진다.
이 경우, 전자 팽창 밸브(30)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된다.
제1 냉매 배관(31)과, 제2 냉매 배관(32)과, 상기 제1 냉매 배관(31)에 접속되어 있는 밸브실(37), 및 상기 밸브실(37)과 상기 제2 냉매 배관(32) 사이를 접속하는 밸브 구멍(34)을 가진 밸브 본체(33)와, 상기 밸브 본체(33)의 밸브 구멍(34)에 삽입되는 밸브부(43)를 갖는 밸브체(40)로서, 상기 밸브체(40)는, 상기 밸브부(43)에 의해서 상기 밸브 본체(33)의 밸브 구멍(34)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도록 이동 가능하고, 상기 밸브체(40)가 이동할 때에, 상기 밸브 본체(33)의 밸브 구멍(34)의 내면과 상기 밸브체(40)의 밸브부(43) 사이의 거리가 변동하도록 구성된 상기 밸브체(40)와, 스테핑 모터(50)로서, 상기 스테핑 모터(50)에 입력되는 펄스수에 따라 상기 밸브체(40)를 이동시키는 상기 스테핑 모터(50)를 구비한 전자 팽창 밸브(30)에 있어서, 상기 밸브 구멍(34)을 지나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의 펄스수에 대한 변화율이 증대하기 시작할 때의 상기 스테핑 모터(50)의 펄스수에 의거하여 밸브개방점을 설정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30)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방점에 대응하는 펄스수가 측정되고, 그 측정된 펄스수를 포함하는 전자 팽창 밸브(30)의 특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자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1)에 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 구멍(34)을 지나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의 펄스수에 대한 변화율이 증대하기 시작할 때란, 펄스수를 「0」에서부터 서서히 증대할 때의 유량 커브의 최초의 변곡점을 나타낸다.
1:공기 조화기
30:전자 팽창 밸브
31:제1 냉매 배관
32:제2 냉매 배관
33:밸브 본체
34:밸브 구멍
37:밸브실
40:밸브체
43:밸브부
50:스테핑 모터
63:바코드(식별자).

Claims (3)

  1. 제1 냉매 배관과,
    제2 냉매 배관과,
    상기 제1 냉매 배관에 접속된 밸브실, 및 상기 밸브실과 상기 제2 냉매 배관 사이를 접속하는 밸브 구멍을 가진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 구멍에 삽입되는 밸브부를 갖는 밸브체로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밸브부에 의해서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 구멍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도록 이동 가능하고, 상기 밸브체가 이동할 때에,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 구멍의 내면과 상기 밸브체의 밸브부 사이의 거리가 변동하도록 구성된 상기 밸브체와,
    스테핑 모터로서, 상기 스테핑 모터에 입력되는 펄스수에 따라 상기 밸브체를 이동시키는 상기 스테핑 모터를 구비한 전자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 구멍을 지나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이 설정치와 동일할 때의 상기 스테핑 모터의 펄스수에 의거하여 밸브개방점을 설정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방점에 대응하는 펄스수가 측정되고, 그 측정된 펄스수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특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자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치는, 상기 밸브부에 의해서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 구멍이 폐쇄되어 있을 때 상기 제2 냉매 배관을 지나 유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유체의 유량의 최대 허용치 이상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전자 팽창 밸브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개방점을 기억하고, 또한 상기 밸브개방점에 의거하여 상기 전자 팽창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147018235A 2012-01-04 2012-12-04 전자 팽창 밸브 및 전자 팽창 밸브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KR101476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00261 2012-01-04
JPJP-P-2012-000261 2012-01-04
PCT/JP2012/081325 WO2013103061A1 (ja) 2012-01-04 2012-12-04 電子膨張弁および電子膨張弁を備えた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415A KR20140092415A (ko) 2014-07-23
KR101476116B1 true KR101476116B1 (ko) 2014-12-23

Family

ID=48745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8235A KR101476116B1 (ko) 2012-01-04 2012-12-04 전자 팽창 밸브 및 전자 팽창 밸브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10114B2 (ko)
EP (1) EP2801771B1 (ko)
JP (1) JP5218694B1 (ko)
KR (1) KR101476116B1 (ko)
CN (1) CN104024770B (ko)
AU (1) AU2012364111B2 (ko)
ES (1) ES2573628T3 (ko)
WO (1) WO20131030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3064811T3 (pl) * 2013-10-28 2019-01-31 Gree Electric Appliances, Inc. Of Zhuhai Elektroniczny zawór rozprężny
US10588176B2 (en) * 2014-02-28 2020-03-10 Ayr Ltd. Electronic vaporiser system
EP3147593B1 (en) * 2015-09-22 2021-03-17 Honeywell spol s.r.o. Expansion valve for a vapor compression system
CN105299973B (zh) * 2015-10-19 2018-04-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的控制方法及系统
ITUA201656563U1 (it) * 2016-03-11 2017-09-11 Elbi Int Spa Dispositivo elettrovalvolare.
CN107284193B (zh) * 2016-03-31 2022-06-14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空调系统、该空调系统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JP2018185104A (ja) * 2017-04-26 2018-11-22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凍サイクル装置
US10082216B1 (en) * 2017-07-21 2018-09-2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daptive valve control system
KR102356392B1 (ko) * 2017-11-13 2022-02-08 에머슨 클라이미트 테크놀로지스 (쑤저우) 코., 엘티디. 전자 팽창 밸브
WO2021228780A1 (en) * 2020-05-11 2021-11-18 Rotiny Aps Actuator for fluid flow controllers
DE102020112658B4 (de) * 2020-05-11 2022-05-19 Pierburg Gmbh Expansionsventilanordnung für einen Kälte- oder Klimakreislauf
ES2943533T3 (es) * 2020-07-20 2023-06-14 Abb Schweiz Ag Compartimento de disyuntor
CN116697055A (zh) * 2020-12-14 2023-09-05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阀针组件、电子膨胀阀和制冷设备
US20240068699A1 (en) * 2021-02-17 2024-02-2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7357939B2 (ja) * 2021-03-08 2023-10-10 株式会社不二工機 弁本体アセンブリ、ステーターユニット、電動弁および空気調和機、ならびに、弁本体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およびステーターユニットの製造方法
CN113137716B (zh) * 2021-03-25 2023-01-31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用于多联机系统的膨胀阀类型识别方法及多联机
CN115711318A (zh) 2021-08-23 2023-02-24 株式会社不二工机 电动阀、该电动阀的控制方法及其制造方法
JP7345922B2 (ja) 2021-08-23 2023-09-19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479714B2 (ja) 2022-02-14 2024-05-09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制御装置および電動弁装置、ならびに、電動弁の制御方法
WO2023199425A1 (ja) * 2022-04-13 2023-10-19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媒漏洩検知システムおよび漏洩検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5330A (ja) 2010-06-10 2011-12-22 Hitachi Koki Co Ltd 遠心分離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6544A (ja) * 1992-03-12 1993-10-05 Toshiba Corp 冷凍機の電子膨脹弁制御装置
JPH06265222A (ja) * 1993-03-11 1994-09-20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機の膨張弁制御装置
JP3461633B2 (ja) 1995-09-29 2003-10-2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5675982A (en) * 1996-04-26 1997-10-14 Rocky Research Pulsed operation control valve
CN2314309Y (zh) * 1997-12-24 1999-04-14 泰州市电器厂 家用空调用电子膨胀阀
DE19846226C2 (de) * 1998-10-07 2002-07-11 Emerson Electric Gmbh Ventilanordnung
JP3937029B2 (ja) 1999-03-26 2007-06-27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
JP2001194029A (ja) * 2000-01-05 2001-07-17 Kubota Corp 冷凍回路における電子膨張弁の調整方法
JP3574447B2 (ja) * 2000-06-07 2004-10-06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空気調和機の起動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024152A (ja) * 2003-07-01 2005-0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式空気調和機の膨張弁制御方法
CN2703169Y (zh) 2004-06-02 2005-06-01 浙江盾安精工集团有限公司 变频空调用减速式电子膨胀阀
CN2786597Y (zh) 2005-04-14 2006-06-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室外机的测试机及测试系统
JP5022120B2 (ja) 2007-07-03 2012-09-12 株式会社不二工機 冷暖房システム用の電動弁
JP4898610B2 (ja) 2007-09-12 2012-03-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動膨張弁の開弁パルス設定方法およびマルチ形空気調和機
JP4329858B2 (ja) * 2007-11-30 2009-09-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5330A (ja) 2010-06-10 2011-12-22 Hitachi Koki Co Ltd 遠心分離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2364111B2 (en) 2014-10-16
EP2801771B1 (en) 2016-03-02
CN104024770A (zh) 2014-09-03
JP5218694B1 (ja) 2013-06-26
ES2573628T3 (es) 2016-06-09
WO2013103061A1 (ja) 2013-07-11
EP2801771A1 (en) 2014-11-12
AU2012364111A1 (en) 2014-07-17
US20150020540A1 (en) 2015-01-22
US9310114B2 (en) 2016-04-12
JP2013156006A (ja) 2013-08-15
KR20140092415A (ko) 2014-07-23
EP2801771A4 (en) 2014-12-24
CN104024770B (zh)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116B1 (ko) 전자 팽창 밸브 및 전자 팽창 밸브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US8827546B2 (en) Method for calibrating a superheat sensor
US10663186B2 (en) Apparatus and methods to determine economizer faults
DK2279365T3 (en) Control valve
US7969146B2 (en) Displacement measurement device
KR102088498B1 (ko) 자가 확증형 질량 유량 제어기 및 질량 유량계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RU2658443C1 (ru) Электронный расширительный клапан и способы калибровки электронного расширительного клапана
US20140353391A1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US7938382B2 (en) System and method of step detection for a stepper motor
US11106226B2 (en) Valve control device, valve control system, valve control coefficient calculation method, and valve control method
EP4219987A1 (en) Fuel metering unit
JP2006522318A (ja) 油圧弁の機能を試験する方法及び前記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試験台
CN107166073B (zh) 电动阀及其制造方法
JP7345922B2 (ja) 電動弁、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7341179A (zh) 节流单元
CN115711318A (zh) 电动阀、该电动阀的控制方法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