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009B1 - 바지선 - Google Patents

바지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009B1
KR101475009B1 KR1020130019416A KR20130019416A KR101475009B1 KR 101475009 B1 KR101475009 B1 KR 101475009B1 KR 1020130019416 A KR1020130019416 A KR 1020130019416A KR 20130019416 A KR20130019416 A KR 20130019416A KR 101475009 B1 KR101475009 B1 KR 101475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block
concave portion
dock
b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5310A (ko
Inventor
황태성
황준일
하태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9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009B1/ko
Publication of KR20140105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81Vibration isolation or damping elements or arrangements, e.g. elastic support of deck-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oundation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바지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은 제1 블록을 탑재하고 수면에 부유할 수 있는 제1 선체, 제1 블록과 조립 가능한 제2 블록을 탑재하고 수면에 부유할 수 있는 제2 선체 및 제1 선체와 제2 선체가 결합 가능하도록 제1 선체 및 제2 선체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바지선{BARGE}
본 발명은 바지선에 관한 것이다.
도크(dock) 등과 같이 선박의 건조를 위한 시설은 비교적 많은 건설 비용이 투입되는 시설이라는 점에서, 경제성을 고려하여 신축 또는 증축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만약 경제상황 악화 또는 상선의 공급 과잉 등에 의해 선박의 건조 시설이 가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조선해양업체에 큰 손해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특수한 형상 내지 대형 규격을 갖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도크를 갖출 필요가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제약으로 인해 도크의 신축 또는 증축은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한편, 기존의 도크에서 건조가 불가능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육상에서 건조하는 경우에는, 건조 완료 후 로드 아웃(load out) 등과 같은 진수 과정이 필요하다. 이 경우, 로드 아웃을 위한 추가적인 보강 공정을 거쳐야 한다는 점에서 비용상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로드 아웃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다는 점에서 건조 공기가 길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도크의 신축 또는 증축 없이도 기존의 도크를 활용하여 특수한 형상 내지 대형 규격을 갖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8246호 (2009.08.19.)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존의 도크를 활용하여 용이하게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건조할 수 있는 바지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블록을 탑재하고 수면에 부유할 수 있는 제1 선체, 제1 블록과 조립 가능한 제2 블록을 탑재하고 수면에 부유할 수 있는 제2 선체 및 제1 선체와 제2 선체가 결합 가능하도록 제1 선체 및 제2 선체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바지선이 제공된다.
여기서, 결합부는 제1 선체의 측면에서 제1 선체의 내부로 함입되는 오목부 및 오목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2 선체의 측면에서 제2 선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오목부에 삽입 가능한 볼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는 제1 선체의 내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볼록부는 오목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2 선체의 외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는 오목부와 볼록부 사이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오목부와 볼록부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는 제1 선체와 제2 선체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제1 선체와 제2 선체를 연결 가능한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연결부는 제1 선체와 제2 선체의 갑판 및 선저판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선체 및 제2 선체의 내부는 각각 수밀 가능한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도크 내에서 바지선의 제1 선체 및 제2 선체 각각에 탑재되는 각 블록을 제작하고, 제1 선체 및 제2 선체를 부유시켜 결합한 후 각 블록을 조립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도크를 활용하여 용이하게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건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에서 제1 선체 및 제2 선체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에서 결합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에서 제1 선체 및 제2 선체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에서 결합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1000)은 제1 선체(100), 제2 선체(200) 및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특수한 형상 또는 대형 규격의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경우, 기존의 도크 내에서 건조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기존의 도크 내에서 건조 가능한 복수의 블록(10, 20)으로 구획하여, 각 블록(10, 20)을 기존의 도크 내에서 따로 제작한 후 블록(10, 20)들을 조립하여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완성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블록(10)은 건조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일부분이고, 제2 블록(20)는 건조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다른 부분을 일컫는 것으로서, 건조 공법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되는 해양 구조물 중 절반은 제1 블록(10)으로, 나머지 절반은 제2 블록(20)으로 구획하고, 제1 블록(10)과 제2 블록(20)을 조립하여 해양 구조물을 완성할 수 있다.
한편, 블록(10, 20)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각 블록(10, 20)을 운반하여야 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선체(100) 및 제2 선체(200) 각각에 블록을 탑재하여 부유시킨 후 운반할 수 있다.
제1 선체(100)는 제1 블록(10)을 탑재하고 수면(30)에 부유할 수 있는 부분으로, 바지선(1000)을 구성하는 하나의 단위 모듈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선체(100)는 독립적으로 탑재물의 부유 내지 운반 기능을 수행할 도 있고, 제2 선체(200)와 결합되어 제2 선체(200)와 함께 탑재물의 부유 내지 운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2 선체(200)는 제1 블록(10)과 조립 가능한 제2 블록(20)을 탑재하고 수면에 부유할 수 있는 부분으로, 바지선(100)을 구성하는 다른 하나의 단위 모듈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블록(20) 또한 독립적으로 탑재물의 부유 내지 운반 기능을 수행할 도 있고, 제1 선체(100)와 결합되어 제1 선체(100)와 함께 탑재물의 부유 내지 운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를 각 도크에 투입하고, 도크의 물을 배출한 후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의 상부에서 각 블록(10, 20)을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육상에서 각 블록(10, 20)을 제작하는 것과 같이 보다 안정적이고 정밀한 제작이 가능하며, 블록(10, 20)의 제작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 블록(10, 20)의 제작이 완료되면, 도크에 물을 주입하여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를 부유시켜,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 각각에 탑재된 제1 블록(10)과 제2 블록(20)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한편, 운반 된 제1 블록(10)과 제2 블록(20)을 보다 정밀하게 조립하기 위해서는, 제1 블록(10)과 제2 블록(20)간의 상대적인 변위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으므로, 결합부(300)를 통해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부(300)는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가 결합 가능하도록 제1 선체(100) 및 제2 선체(200)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 간의 종방향 및 횡방향 상대 변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1000)은, 기존의 도크 내에서 제1 선체(100) 및 제2 선체(200) 각각에 탑재되는 각 블록(10, 20)을 제작하고, 제1 선체(100) 및 제2 선체(200)를 부유시켜 결합한 후 각 블록(10, 20)을 서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도크를 활용하여 용이하게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건조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1000)이 하나의 제1 선체(100)와 하나의 제2 선체(200)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 이상의 제1 선체(100)와 하나 이상의 제2 선체(200)가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도크의 규격 내지 건조될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1000)에서, 결합부(300)는 오목부(310) 및 볼록부(320)를 포함할 수 있고, 완충부(330) 및 연결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선체(100)의 측면에서 제1 선체(100)의 내부로 함입되는 부분으로, 볼록부(320)를 수용할 수 있다.
볼록부(3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3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2 선체(200)의 측면에서 제2 선체(200)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오목부(3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1000)은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가 결합될 때, 볼록부(320)가 오목부(310)에 삽입됨으로써,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가 접촉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등, 종방향 및 횡방향 상대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선체(100)에 오목부(310)가 형성되고 제2 선체(200)에 볼록부(320)가 형성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선체(100)에 볼록부(320)가 형성되고 제2 선체(200)에 오목부(31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 각각에 오목부(310)와 볼록부(320)가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오목부(310)는 제1 선체(100)의 내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볼록부(320)는 오목부(3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2 선체(200)의 외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오목부(310) 및 볼록부(3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의 결합 시, 오목부(310)와 볼록부(320)의 위치가 다소 어긋나더라도,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며 볼록부(320)가 원활하게 오목부(310)에 삽입될 수 있는 등,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가 보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완충부(330)는 오목부(310)와 볼록부(320) 사이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오목부(310)와 볼록부(320)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면(30)의 요동 등의 의해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완충부(330)가 충격을 일정 부분 흡수하여 진동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블록(10, 20)의 조립을 보다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고, 바지선(1000)의 손상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340)는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블록(10, 20)의 조립 중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310) 및 볼록부(320)를 통해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의 접촉면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340)가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를 연결하여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의 분리를 방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블록(10, 20)의 조립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340)는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의 갑판 및 선저판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는 연결판(34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341)은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 접촉면의 상부 또는 하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판(341)는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을 연결하는 역할과 동시에,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 간의 종방향 상대 변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에서는 연결판(341)이 갑판 또는 선저판에 덧대어진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갑판 또는 선저판을 연장하여 연결판(341)이 형성될 수도 있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연결부(3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310)와 볼록부(320)를 볼트 결합하거나 제1 선체(100) 및 제2 선체(2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판(341)을 볼트 결합하여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볼트 결합 부분은 가스켓 등을 설치하여 수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목부(310)와 볼록부(320)를 볼트 결합하면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의 접촉면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선체(100) 및 제2 선체(2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판(341)을 볼트 결합하면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볼트 결합을 통해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제1 선체(100)와 제2 선체(2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연결부(340)가 소켓(345)에 체결되는 볼트(343)를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핀 또는 리벳 등과 같이 다양한 체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1000)에서, 제1 선체(100) 및 제2 선체(200)의 내부는 각각 수밀 가능한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선체(100) 및 제2 선체(200)는 각각 내부 구역 중 일부에 해수를 채울 수 있다.
따라서, 제1 선체(100) 및 제2 선체(200) 내부 중 해수가 채워지는 구역 내지 해수량을 조절함으로써, 바지선(1000)의 흘수 또는 경사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제1 블록 20: 제2 블록
30: 수면 100: 제1 선체
200: 제2 선체 300: 결합부
310: 오목부 320: 볼록부
330: 완충부 340: 연결부
341: 연결판 343: 볼트
345: 소켓 1000: 바지선

Claims (6)

  1. 도크에서 건조가능한 제1 블록이 상부에 탑재되어 제작되며, 수면에 부유할 수 있어 상기 제작된 제1 블록을 도크 밖으로 운반할 수 있는 제1 선체;
    상기 제1 블록과 조립 가능한 제2 블록이 도크에서 건조가능하도록 상부에 탑재되어 제작되며, 수면에 부유할 수 있어 상기 제작된 제2 블록을 도크 밖으로 운반할 수 있는 제2 선체; 및
    상기 제1 선체와 상기 제2 선체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선체 및 상기 제2 선체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선체와 상기 제2 선체는 상기 결합부에 의해 바지선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운반된 제1 블록 및 상기 운반된 제2 블록을 조립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선체의 측면에서 상기 제1 선체의 내부로 함입되는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선체의 측면에서 상기 제2 선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오목부에 삽입 가능한 볼록부를 포함하는 바지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1 선체의 내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오목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선체의 외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지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 사이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바지선.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선체와 상기 제2 선체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상기 제1 선체와 상기 제2 선체를 연결 가능한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선체와 상기 제2 선체의 갑판 및 선저판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바지선.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체 및 상기 제2 선체의 내부는 각각 수밀 가능한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되는 바지선.
KR1020130019416A 2013-02-22 2013-02-22 바지선 KR101475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416A KR101475009B1 (ko) 2013-02-22 2013-02-22 바지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416A KR101475009B1 (ko) 2013-02-22 2013-02-22 바지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310A KR20140105310A (ko) 2014-09-01
KR101475009B1 true KR101475009B1 (ko) 2014-12-22

Family

ID=51754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416A KR101475009B1 (ko) 2013-02-22 2013-02-22 바지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0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922B1 (ko) 2018-06-14 2019-11-27 이신원 공기압 조절이 가능한 에어튜브 구조의 선박 평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3604A (ko) * 1974-04-10 1975-10-23
JPS50133603A (ko) * 1974-04-10 1975-10-23
JPS5544001A (en) * 1978-09-18 1980-03-28 Taisei Corp Construction method of joining concrete floating body on sea
JPH0986486A (ja) * 1995-09-22 1997-03-31 Hitachi Zosen Corp 浮体構造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3604A (ko) * 1974-04-10 1975-10-23
JPS50133603A (ko) * 1974-04-10 1975-10-23
JPS5544001A (en) * 1978-09-18 1980-03-28 Taisei Corp Construction method of joining concrete floating body on sea
JPH0986486A (ja) * 1995-09-22 1997-03-31 Hitachi Zosen Corp 浮体構造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922B1 (ko) 2018-06-14 2019-11-27 이신원 공기압 조절이 가능한 에어튜브 구조의 선박 평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310A (ko) 201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32704A1 (en) Prefabricated pontoon
CN101397050A (zh) 一种可拆卸式多功能浮船坞
KR101390868B1 (ko) 해양구조물의 예인저항 저감 부가물 및 이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KR20090045464A (ko) 바지선의 확장 구조 및 그 방법
KR101475009B1 (ko) 바지선
KR101252709B1 (ko) 부력 프리플렉션을 갖는 해상 부유식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617190B1 (ko) 접합식 플로팅 도크 및 확장 플로팅 도크
KR101390381B1 (ko) 해양구조물 로드아웃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로드아웃 방법
US20090304448A1 (en) A floating pontoon body to be tied together with at least another pontoon body
KR102393443B1 (ko) 해상 부체 구조물
KR20090009601U (ko) 플로팅 도크에서 선체의 이동 방지를 위한 스토퍼 장치
KR200441485Y1 (ko) 해상부유구조물
KR20160000614U (ko) 횡동요 저감 장치를 가지는 해양 부유식 구조물
KR20170019903A (ko) 스폰손을 탑재한 코퍼댐의 부력구조
KR100955771B1 (ko)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
KR101948644B1 (ko) 부력 장치
KR101995467B1 (ko) 부유체
KR101092487B1 (ko) 플로팅 안벽
KR20120011570A (ko) 선박의 건조 방법
KR101924779B1 (ko) 다기능 해상부유구조물
KR101766326B1 (ko) 경량 부자
KR101733642B1 (ko) 선박의 방현 장치
KR101563662B1 (ko) 확장형 바지
KR101220032B1 (ko) 텐덤공법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 적용 파셜워터공법
KR200479289Y1 (ko) 베어링 부재 보호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