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897B1 - 입력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897B1
KR101474897B1 KR1020127007965A KR20127007965A KR101474897B1 KR 101474897 B1 KR101474897 B1 KR 101474897B1 KR 1020127007965 A KR1020127007965 A KR 1020127007965A KR 20127007965 A KR20127007965 A KR 20127007965A KR 101474897 B1 KR101474897 B1 KR 101474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electrode pattern
detection electrode
main surface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7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1936A (ko
Inventor
야스나리 나가타
타카시 미나미
요시오 미야자키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61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입력 장치(X1~X5)는 주면(10a)을 갖는 기체(10)와, 기체(10)의 주면(10a) 상에 형성되는 제 1 검출 전극 패턴(20)과, 기체(10)의 주면(10a) 상에 형성되고 일부가 절연체(40)를 통하여 제 1 검출 전극 패턴(20)과 교차하는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을 구비하고, 절연체(40)는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을 따르는 단면에서 절연체(40)의 단부(42)로부터 꼭대기부(41)까지의 영역에 볼록 곡면(43)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입력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INPUT DEVICE AND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SAM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 조작한 개소를 입력 위치로서 검출하는 입력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과 같은 종래의 입력 장치는 기체와, 기체의 주면 상에 형성되는 제 1 검출 전극 패턴과, 기체의 주면 상에 형성되고 또한 제 1 검출 전극 패턴과 교차하는 제 2 검출 전극 패턴을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입력 장치에서는 제 1 검출 전극 패턴과 제 2 검출 전극 패턴 사이에 제 1 검출 전극 패턴과 제 2 검출 전극 패턴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절연체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절연체는 제 1 검출 전극 패턴의 일부를 덮도록 기체의 주면 상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검출 전극 패턴의 일부는 절연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검출 전극 패턴과 제 2 검출 전극 패턴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면서 제 1 검출 전극 패턴과 제 2 검출 전극 패턴을 교차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입력 장치에서는 절연체를 제 2 검출 전극 패턴을 따르는 단면으로 보았을 때에 절연체가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절연체에 대하여 사용시의 압박력 등이 가해지면 절연체가 변형되어 그 위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검출 전극 패턴에 응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 응력이 제 2 검출 전극 패턴에 반복하여 가해지면 제 2 검출 전극 패턴이 파손될 가능성이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2008-310551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 2 검출 전극 패턴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입력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일형태는 주면을 갖는 기체와, 상기 기체의 상기 주면 상에 형성되는 제 1 검출 전극 패턴과, 상기 기체의 상기 주면 상에 형성되고 일부가 절연체를 통해서 상기 제 1 검출 전극 패턴과 교차하는 제 2 검출 전극 패턴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절연체는 상기 제 2 검출 전극 패턴을 따르는 단면에서 상기 절연체의 단부로부터 꼭대기부까지의 영역에 볼록 곡면을 갖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입력 장치의 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평면도이고, (b)는 도 1의 입력 장치의 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Ⅰ-Ⅰ을 따른 단면도이고, (b)는 도 1의 Ⅱ-Ⅱ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a)의 R1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d)는 입력 장치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의 Ⅰ-Ⅰ을 따른 단면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의 Ⅰ-Ⅰ에 대응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R2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낸 도면이고, 기체의 주면에 대한 절연체의 경사 각도(θ)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의 Ⅰ-Ⅰ에 대응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입력 장치의 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의 I-I에 대응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입력 장치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액정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한 입력 장치를 나타내고 있고, 도 1의 Ⅰ-Ⅰ에 대응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6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고, (a)는 도 1의 Ⅰ-Ⅰ에 대응한 도면이며, (b)는 (a)의 R3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 참조하는 각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구성 부재 중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필요한 주요 부재만을 간략화해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는 본 명세서가 참조하는 각 도면에 나타내어져 있지 않은 임의의 구성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입력 장치(X1)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 장치(X1)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 장치(X1)는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조작함으로써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영역(EI)과, 입력 영역(EI)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영역(EO)을 갖고 있다. 또한, 외측 영역(EO)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영역인 외부 도통 영역(EG)을 갖고 있다.
입력 장치(X1)는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10), 제 1 검출 전극 패턴(20), 제 2 검출 전극 패턴(30), 절연체(40), 및 검출용 배선(50)을 구비하고 있다.
기체(10)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면(10a)을 갖고 있다. 기체(10)의 평면으로 볼 때의 형상은, 예를 들면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체(10)의 재료는 투광성을 갖는 것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투광성」이란 가시광에 대한 투과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입력 영역(EI)에 있어서 기체(10)의 주면(10a)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면이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조작함으로써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면이 된다.
제 1 검출 전극 패턴(20)은 기체(10)의 주면(10a)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검출 전극 패턴(20)은 제 1 검출 전극(21), 및 제 1 접속 전극(22)을 갖고 있다.
제 1 검출 전극(21)은 도 1에서 나타내어진 화살표 B 방향으로의 손가락 등에 의한 입력 위치의 검출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부재이다. 제 1 검출 전극(21)은 입력 영역(EI)에 대응하는 기체(10)의 주면(10a)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검출 전극(21)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검출 전극(21)은 평면으로 볼 때 형상이 대략 마름모꼴을 이루고 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검출 전극(21)의 재료로서는 투광성 및 도전성을 갖는 것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TO(Antimony Tin Oxide), AZO(Al-Doped Zinc Oxide), 산화주석, 산화아연, 또는 도전성 고분자 등이다.
제 1 검출 전극(21)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우선, 스퍼터링법, 증착법, 또는 화학기상성장(CVD)법에 의해 ITO 등의 재료를 기체(10)의 주면(10a) 상에 도포해 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형성한 막의 표면에 감광성 수지를 도포하고, 감광성 수지에 대하여 노광 처리, 현상 처리를 행함으로써 감광성 수지에 원하는 패턴을 형성한다. 그리고, 형성한 막에 대하여 약액 등을 이용하여 에칭을 행하고, 패터닝한다. 그리고, 형성한 막의 표면에 존재하는 감광성 수지를 제거함으로써 제 1 검출 전극(21)이 형성된다.
제 1 접속 전극(22)은 서로 이웃하는 제 1 검출 전극(21)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갖는 부재이다. 제 1 접속 전극(22)은 입력 영역(EI)에 대응하는 기체(10)의 주면(10a)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접속 전극(22)의 재료는 제 1 검출 전극(21)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제 1 접속 전극(22)의 형성 방법은 제 1 검출 전극(21)과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은 기체(10)의 주면(10a)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은 제 2 검출 전극(31), 및 제 2 접속 전극(32)을 갖고 있다.
제 2 검출 전극(31)은 도 1에서 나타내어진 화살표 A 방향으로의 손가락 등에 의한 입력 위치의 검출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부재이다. 제 2 검출 전극(31)은 입력 영역(EI)에 대응하는 기체(10)의 주면(10a) 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검출 전극(31)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검출 전극(31)의 형상은 평면으로 볼 때 형상이 대략 마름모꼴을 이루고 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검출 전극(31)의 재료는 제 1 검출 전극(21)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제 2 검출 전극(31)의 형성 방법은 제 1 검출 전극(21)과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절연체(40)는 제 1 검출 전극 패턴(20)과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부재이다. 절연체(40)는 제 1 검출 전극 패턴(20)에 있어서의 제 1 접속 전극(22)의 일부를 덮도록 기체(10)의 주면(10a) 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연체(40)는 제 1 접속 전극(22)에 대하여 기체(10)의 주면(10a)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면(40a)을 갖고 있다. 또한, 절연체(40)의 상면(40a)은 제 1 접속 전극(22)에 대향하는 꼭대기부(41)와, 꼭대기부(41)와 제 2 검출 전극(31) 사이에 위치하는 단부(42)를 갖고 있다. 절연체(40)의 재료는 절연성을 갖는 것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이다.
또한, 절연체(40)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을 따른 단면에서 절연체(40)의 단부(42)로부터 꼭대기부(41)까지의 영역에 볼록 곡면(43)을 갖고 있다. 또한, 절연체(40)에 볼록 곡면(43)을 갖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 2 접속 전극(32)은 서로 이웃하는 제 2 검출 전극(31)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갖는 부재이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접속 전극(32)은 절연체(40)의 상면(40a)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 2 접속 전극(32)의 일부는 절연체(40)를 통해서 제 1 접속 전극(22)의 일부와 교차하고 있다. 환언하면,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의 일부가 절연체(40)를 통해서 제 1 검출 전극 패턴(20)의 일부와 교차하고 있다. 제 2 접속 전극(32)의 재료는 제 1 검출 전극(21)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제 2 접속 전극(32)의 형성 방법은 제 1 검출 전극(21)과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연체(40)는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을 따른 단면에서 절연체(40)의 단부(42)로부터 꼭대기부(41)까지의 영역에 볼록 곡면(43)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절연체(40)가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을 따른 단면에서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경우에 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한 압박력이 절연체(40)에 가해져도 절연체(40)의 단부(42)에 위치하는 제 2 접속 전극(32)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즉, 절연체(40)는 절연체(40)의 단부(42)로부터 꼭대기부(41)까지의 영역에 걸쳐서 둥그랗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둥근 부분에 의해 응력이 완화되게 되기 때문이다.
도 4는 도 3(a)의 R1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의 상하 방향을 반대로 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는 기체(10)의 주면(10a)에 대한 절연체(40)의 경사 각도를 「θ」로 함과 아울러 기체(10)의 주면(10a)에 직교하는 방향과 절연체(40)가 이루는 각을 「θ'」로 하고 있다. 즉, θ+θ'=90°인 관계식이 성립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연체(40)의 경사 각도(θ)는 기체(10)의 주면(10a)에 직교하는 방향과 절연체(40)가 이루는 각(θ')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절연체(40)의 경사 각도(θ)는 2~20°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체(40)의 경사 각도(θ)가 2~20°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으면 절연체(40)의 볼록 곡면(43)에 의해 보다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절연체(40)의 경사 각도(θ)가 2~20°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으면 절연체(40)의 상면(40a)에 위치하는 제 2 접속 전극(32)이 사용자에게 시인되기 어려워진다. 제 2 검출 전극(31)의 높이 위치와 제 2 접속 전극(32)의 높이 위치의 차이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입력 장치(X1)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연체(40)의 상면(40a)은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을 따른 단면에 비하여 그 단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쪽이 평탄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3(a)에 나타내는 단면과 도 3(b)에 나타내는 단면을 비교했을 경우에, 도 3(a)에 나타내는 단면에 있어서의 절연체(40)의 상면(40a)보다 도 3(b)에 나타내는 단면에 있어서의 절연체(40)의 상면(40a) 쪽이 평탄한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평탄」이란, 곡률이 작은 것을 말한다. 「곡률」은 각 단면에 있어서, 예를 들면 단면을 따른 방향의 중심점을 기준점으로 하고, 이 기준점으로부터 최소 거리의 점과 최대 거리의 점의 2점에 있어서의 차이를 구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즉, 2점의 차이가 작을수록 곡률이 작은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체(40)는 상면으로 볼 때에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을 따른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신장되는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절연체(40)는 상면으로 볼 때에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을 따르는 방향(화살표 B 방향)의 길이가 제 1 검출 전극 패턴(20)을 따르는 방향(화살표 A 방향)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한 압박력이 절연체(40)에 가해지면 절연체(40)의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을 따르는 방향(화살표 B 방향)에 비교적 큰 응력이 가해지는 것에 대하여, 절연체(40)의 제 1 검출 전극 패턴(20)을 따르는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는 비교적 적은 응력이 가해지게 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절연체(40)의 상면(40a)이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을 따른 단면에 비하여 그 단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쪽이 평탄하면, 절연체(40)의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을 따르는 방향(화살표 B 방향)에 가해지는 비교적 큰 응력을 집중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이 결과, 절연체(40)의 단부(42)에 위치하는 제 2 접속 전극(32)에 가해지는 응력을 보다 완화할 수 있다.
검출용 배선(50)은 제 1 검출 전극 패턴(20) 및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에 전압을 인가하는 기능을 갖는 부재이다. 검출용 배선(50)은 외측 영역(EO)에 대응하는 기체(10)의 주면(10a) 상에 설치되어 있다. 검출용 배선(50)은 일단부가 제 1 검출 전극 패턴(20) 및 제 2 검출 전극 패턴(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단부가 외부 도통 영역(EG)에 위치하고 있다. 검출용 배선(50)의 재료는 도전성을 갖는 것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ITO, 산화주석,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은막, 또는 은 합금 등이다. 또한, 검출용 배선(50)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제 1 검출 전극(21)과 마찬가지의 형성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입력 장치(X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5(a)~(d)는 도 1의 Ⅰ-Ⅰ을 따른 단면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스퍼터링법, 증착법, 또는 화학기상성장(CVD)법에 의해 ITO 등의 재료를 기체(10)의 주면(10a) 상에 도포해 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형성한 막의 표면에 감광성 수지를 도포하고, 감광성 수지에 대하여 노광 처리, 현상 처리를 행함으로써 감광성 수지에 원하는 패턴을 형성한다. 그리고, 형성한 막에 대하여 약액 등을 이용하여 에칭을 행하고, 패터닝한다. 그리고, 형성한 막의 표면에 존재하는 감광성 수지를 제거함으로써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접속 전극(22)이 형성된다.
이어서, 원하는 형상을 한 금형(K)에 예를 들면 UV 경화성 아크릴 수지를 도포한다. 그리고,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도포한 금형(K)을 제 1 접속 전극(22)이 형성되어 있는 기체(10)의 주면(10a)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이 금형(K)에 대하여 기판의 주면(10a)과 반대측으로부터 UV광을 조사시킴으로써 아크릴 수지를 경화시킨다. 아크릴 수지의 경화 후에 금형(K)을 분리함으로써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체(40)가 형성된다.
이어서, 기체(10)의 주면(10a) 상에 ITO 등의 재료를 더 도포해 막을 형성한다. 이때, 절연체(40)는 단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절연체(40)의 단부(42)로부터 꼭대기부(41)까지의 영역에 볼록 곡면(43)을 갖고 있으므로, 이 볼록 곡면(43)에는 충분히 두껍게 막을 형성할 수 있다. 형성한 막에 대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패터닝함으로써 도 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검출 전극(31) 및 제 2 접속 전극(32)이 형성된다. 특히, 절연체(40)의 단부(42)에 위치하는 제 2 접속 전극(32)은 볼록 곡면(43)에 의해 두께가 충분히 확보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한 입력 장치(X1)가 제조된다.
단, 입력 장치(X1)의 제조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페이스트 형상의 수지를 기체(10)의 주면(10a) 상에 도포하고, 노광 처리 및 현상 처리를 행하여 단면으로 볼 때에 직사각형상의 절연체(40)를 형성한다. 그리고, 형성한 절연체(40)를 소정 시간 가열 처리한다. 이것에 의해, 절연체(40)의 점도를 낮게 해서 절연체(40)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본 실시형태와 같은 볼록 곡면(43)을 갖는 절연체(40)를 형성해도 된다.
이어서, 입력 장치(X1)의 입력 위치 검출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 영역(EI)에 있어서 기체(10)의 주면(10a)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근접, 접촉, 또는 압박하면 손가락과 제 1 검출 전극 패턴(20) 및 제 2 검출 전극 패턴(30) 간의 정전용량이 변화한다. 여기에서, 입력 장치(X1)에 구비되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드라이버는 손가락과 제 1 검출 전극 패턴(20) 및 제 2 검출 전극 패턴(30) 간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항상 검출하고 있다. 이 드라이버는 소정값 이상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면 정전용량의 변화가 검출된 위치를 입력 위치로서 검출한다. 이렇게 하여, 입력 장치(X1)는 입력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X1)가 입력 위치를 검출하는 방식으로서 상호 커패시턴스 방식 및 자기 커패시턴스(self-capacitance) 방식 중 어떠한 방식이어도 된다. 상호 커패시턴스 방식을 채용하면 동시에 복수의 입력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자기 커패시턴스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2]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입력 장치(X2)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 장치(X2)는 입력 장치(X1)와 마찬가지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다.
도 6은 입력 장치(X2)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의 Ⅰ-Ⅰ에 대응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R2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낸 도면이고, 기체(10)의 주면(10a) 에 대한 절연체(40)의 경사 각도(θ)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7의 절연체(40)의 각 부위에서의 경사 각도(θ)는, 절연체(40)의 각 부위에 접선을 그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접선과 기체(10)의 주면(10a)이 이루는 각도이다.
입력 장치(X2)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10)의 주면(10a)에 대한 절연체(40)의 경사 각도(θ)가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절연체(40)의 단부(42)와 꼭대기부(41) 사이에 극소치와 극대치를 갖고 있다. 또한, 극소치란 경사 각도(θ)의 그래프에 있어서 경사 각도(θ)가 감소로부터 증가로 전환될 때의 경사 각도(θ)의 값이다. 또한, 극대치란 경사 각도(θ)의 그래프에 있어서 경사 각도(θ)가 증가로부터 감소로 전환될 때의 경사 각도(θ)의 값이다.
즉 입력 장치(X2)에서는, 절연체(40)는 절연체(40)의 단부(42)와 꼭대기부(41) 사이에 오목 곡면(44)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 곡면(44)은 볼록 곡면(43)과 꼭대기부(41)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록 곡면(43)과 오목 곡면(44)은 매끄럽게 연속된 면이다. 입력 장치(X2)에서는 볼록 곡면(43)에 추가하여 오목 곡면(44)을 갖고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한 압박력이 절연체(40)에 가해져도 절연체(40)의 볼록 곡면(43) 및 오목 곡면(44)에 의해 응력이 완화되므로 절연체(40)의 단부(42)에 위치하는 제 2 접속 전극(32)에 가해지는 응력을 보다 완화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절연체(40)에 대한 오목 곡면(44)의 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 3]
이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입력 장치(X3)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 장치(X3)는 입력 장치(X1), 입력 장치(X2)와 마찬가지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다.
도 8은 입력 장치(X3)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의 Ⅰ-Ⅰ에 대응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입력 장치(X3)의 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평면도이다.
입력 장치(X3)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절연체(40)의 단부(42)에 위치하는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에 있어서의 제 2 접속 전극(32)의 두께(L1)는 절연체(40)의 꼭대기부(41)에 위치하는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에 있어서의 제 2 접속 전극(32)의 두께(L2)보다 두껍다. 이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압박에 의해 절연체(40)의 단부(42)에 위치하는 제 2 접속 전극(32)에 응력이 가해져도 절연체(40)의 단부(42)에 있어서 제 2 접속 전극(32)의 두께(L1)가 어느 정도 확보되어 있으므로 상기 부위에서의 제 2 접속 전극(32)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그 때문에, 입력 장치(X3)에서는 제 2 접속 전극(32)의 파손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X3)에서는 절연체(40)의 단부(42) 근방에 위치하는 기체(10)의 주면(10a) 상에 더미 전극(32a)을 형성하고 있다. 더미 전극(32a)을 형성함으로써 절연체(40)의 단부(42)에 위치하는 제 2 접속 전극(32)의 두께(L1)를 두껍게 하고 있다. 또한, 절연체(40)의 단부(42)에 위치하는 제 2 접속 전극(32)의 두께(L1)를 두껍게 할 수 있다면 이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입력 장치(X3)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으로 볼 때에 절연체(40)의 단부(42)에 위치하는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에 있어서의 제 2 접속 전극(32)의 폭(M1)은 절연체(40)의 꼭대기부(41)에 위치하는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에 있어서의 제 2 접속 전극(32)의 폭(M2)보다 넓다. 이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압박에 의해 절연체(40)의 단부(42)에 위치하는 제 2 접속 전극(32)에 응력이 가해져도, 절연체(40)의 단부(42)에 있어서 제 2 접속 전극(32)의 폭(M1)이 어느 정도 확보되어 있으므로 상기 부위에서의 제 2 접속 전극(32)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그 때문에, 입력 장치(X3)에서는 제 2 접속 전극(32)의 파손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X3)에서는 절연체(40)의 단부(42)에 위치하는 제 2 접속 전극(32)의 두께(L1)가 절연체(40)의 꼭대기부(41)에 위치하는 제 2 접속 전극(32)의 두께(L2)보다 두껍고, 또한 절연체(40)의 단부(42)에 위치하는 제 2 접속 전극(32)의 폭(M1)이 절연체(40)의 꼭대기부(41)에 위치하는 제 2 접속 전극(32)의 폭(M2)보다 넓은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입력 장치(X3)에서는 상기 폭(M1) 및 폭(M2)이 같은 폭이고, 또한 상기 두께(L1)가 상기 두께(L2)보다 두꺼워도 된다. 또한, 입력 장치(X3)에서는 상기 두께(L1) 및 두께(L2)가 같은 두께이고, 또한 상기 폭(M1)이 상기 폭(M2)보다 넓어도 된다.
[실시형태 4]
이어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입력 장치(X4)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 장치(X4)는 입력 장치(X1~X3)와 마찬가지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다.
도 10은 입력 장치(X4)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의 Ⅰ-Ⅰ에 대응한 단면도이다.
입력 장치(X4)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체(40) 단부(42)의 표면 거칠기는 절연체(40) 꼭대기부(41)의 표면 거칠기보다 크다. 절연체(40) 단부(42)의 표면 거칠기가 절연체(40) 꼭대기부(41)의 표면 거칠기보다 크므로, 절연체(40)의 단부(42)에 위치하는 제 2 접속 전극(32)의 상기 절연체(40)에 대한 접촉 면적은 절연체(40)의 꼭대기부(41)에 위치하는 제 2 접속 전극(32)의 상기 절연체(40)에 대한 접촉 면적보다 커진다. 즉, 절연체(40)의 단부(42)에 위치하는 제 2 접속 전극(32)의 접착 강도는 절연체(40)의 꼭대기부(41)에 위치하는 제 2 접속 전극(32)의 접착 강도보다 강하다. 이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압박에 의해 절연체(40)의 단부(42)에 위치하는 제 2 접속 전극(32)에 응력이 가해져도 절연체(40)의 단부(42)에 있어서 제 2 접속 전극(32)의 접착 강도가 어느 정도 확보되어 있으므로 상기 부위에서의 제 2 접속 전극(32)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이어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입력 장치(X5)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 장치(X5)는 입력 장치(X1~X4)와 마찬가지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다.
도 11은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입력 장치(X5)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입력 장치(X5)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10)는 제 1 검출 전극 패턴(20) 및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도록 휘어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체(10)는 입력 영역(EI)의 중앙 부분이 제 1 검출 전극 패턴(20) 및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즉,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조작하는 측)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압박에 의해 기체(10)에 응력이 가해져도 기체(10)가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조작하는 측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있으므로 제 1 검출 전극 패턴(20) 및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이어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입력 장치(X1)를 구비한 표시 장치(Y1)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 장치(Y1)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 장치(X1), 및 액정 표시 장치(Z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Z1)는 액정 표시 패널(60), 광원 장치(70), 및 하우징(80)을 구비하고 있다.
액정 표시 패널(60)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기판(61), 하측 기판(62), 및 밀봉 부재(63)를 구비하고 있고, 상측 기판(61)과 하측 기판(62) 사이에 액정층(도시 생략)이 개재되어 있다. 액정 표시 패널(60)은 액정층을 밀봉 부재(63)로 밀봉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지는 표시 영역(P)이 형성된다.
광원 장치(70)는 액정 표시 패널(60)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고, 액정 표시 패널(60)과 하측 하우징(8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80)은 액정 표시 패널(60) 및 광원 장치(70)를 수용하기 위한 부재이고, 상측 하우징(81) 및 하측 하우징(82)을 갖는다. 하우징(80)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수지, 또는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들 수 있다.
입력 장치(X1)와 액정 표시 장치(Z1)는 양면 테이프(T1)를 통하여 접착된다. 또한, 입력 장치(X1)와 액정 표시 장치(Z1)의 고정에 사용되는 고정용 부재는 양면 테이프(T1)에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 등의 접착 부재나, 입력 장치(X1)와 액정 표시 장치(Z1)를 물리적으로 고정하는 고정 구조체이어도 된다.
표시 장치(Y1)에 있어서는 외부에 설치된 액정용 구동 회로에 의해 화소마다 액정층을 제어하여 광원 장치(70)의 광을 액정 표시 패널(60)에 투과시키고, 표시 영역(P)에 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Y1)는 입력 장치(X1)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표시 장치(Y1)는 입력 장치(X1)가 얻는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 그 변형예를 나타낸다.
제 1 실시형태~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체(10)의 주면(10a)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면이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조작하는 면인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10)의 주면(10a) 상에 접합 부재(G1)를 개재하여 보호용 기판(10A)을 접합함으로써 이 보호용 기판(10A)을 통하여 기체(10)의 주면(10a)이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조작하는 면이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절연체(40)는 상면으로 볼 때에 제 2 검출 전극 패턴(30)을 따르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절연체(40)는 상면으로 볼 때에 원 형상, 타원 형상 등이어도 된다. 절연체(40)가 상면으로 볼 때 원 형상, 타원 형상이면 절연체(40)에 가해지는 응력을 보다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X2)에서는 절연체(40)의 극소치가 마이너스의 값을 취하지만,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스의 값을 취해도 된다.
또한, 표시 장치(Y1)에서는 표시 패널이 액정 표시 패널인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표시 패널은 CRT,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무기 EL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형광표시관,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표면 전계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페이퍼 등이어도 된다.
또한, 입력 장치(X1)를 구비한 표시 장치(Y1)의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상기 입력 장치(X1) 대신에 입력 장치(X2~X5)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입력 장치(X1~X5) 중 적어도 2개를 조합함으로써 새로운 입력 장치를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입력 장치(X1)와 입력 장치(X2)를 조합하여 새로운 입력 장치를 채용해도 되고, 입력 장치(X1~X3)를 조합하여 새로운 입력 장치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입력 장치(X1~X4)를 조합하여 새로운 입력 장치를 채용해도 되고, 입력 장치(X1~X5)를 조합하여 새로운 입력 장치를 채용해도 된다.
X1~X5 : 입력 장치 Y1 : 표시 장치
Z1 : 액정 표시 장치 10 : 기체
20 : 제 1 검출 전극 패턴 21 : 제 1 검출 전극
22 : 제 1 접속 전극 30 : 제 2 검출 전극 패턴
31 : 제 2 검출 전극 32 : 제 2 접속 전극
40 : 절연체 41 : 절연체의 꼭대기부
42 : 절연체의 단부 43 : 볼록 곡면
60 : 표시 패널(액정 표시 패널)

Claims (15)

  1. 주면을 갖는 기체,
    상기 기체의 상기 주면 상에 형성되는 제 1 검출 전극 패턴,
    상기 기체의 상기 주면 상에 형성되고 일부가 절연체를 통해서 상기 제 1 검출 전극 패턴과 교차하는 제 2 검출 전극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체는 상기 제 2 검출 전극 패턴을 따르는 단면에서 상기 절연체의 단부로부터 꼭대기부까지의 영역에 볼록 곡면을 가지며,
    상기 기체의 상기 주면에 대한 상기 절연체의 경사 각도는 2~20°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 2 검출 전극 패턴은 단면으로 볼 때에 상기 절연체와 상기 기체의 상기 주면 사이에 위치하지 않는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의 상기 주면에 대한 상기 절연체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 2 검출 전극 패턴을 따르는 단면에서 상기 절연체의 상기 단부와 상기 꼭대기부 사이에 적어도 1개의 극소치와 극대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의 상면은 상기 제 2 검출 전극 패턴을 따르는 단면에 비하여 그 단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쪽이 평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상면으로 볼 때에 상기 제 2 검출 전극 패턴을 따르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검출 전극 패턴을 따르는 단면에서 상기 절연체의 상기 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검출 전극 패턴의 두께는 상기 절연체의 상기 꼭대기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검출 전극 패턴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면으로 볼 때에 상기 절연체의 상기 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검출 전극 패턴의 폭은 상기 절연체의 상기 꼭대기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검출 전극 패턴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의 상기 단부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절연체의 상기 꼭대기부의 표면 거칠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입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는 상기 제 1 검출 전극 패턴 및 상기 제 2 검출 전극 패턴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도록 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9. 삭제
  10. 주면을 갖는 기체,
    상기 기체의 상기 주면 상에 형성되는 제 1 검출 전극 패턴,
    상기 기체의 상기 주면 상에 형성되고 일부가 절연체를 통해서 상기 제 1 검출 전극 패턴과 교차하는 제 2 검출 전극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체는 상기 제 2 검출 전극 패턴을 따르는 단면에서 상기 절연체의 단부로부터 꼭대기부까지의 영역에 볼록 곡면을 가지며,
    상기 기체의 상기 주면에 대한 상기 절연체의 경사 각도는 2~20°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 1 검출 전극 패턴은 복수의 제 1 검출 전극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 1 검출 전극끼리를 접속하는 제 1 접속 전극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 2 검출 전극 패턴은 복수의 제 2 검출 전극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 2 검출 전극끼리를 접속하는 제 2 접속 전극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 1 접속 전극은 상기 절연체를 통해서 상기 제 2 접속 전극과 교차하고,
    상기 제 2 검출 전극과 상기 제 2 접속 전극은 일체인 입력 장치.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검출 전극은 상기 제 1 접속 전극의 단부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접속 전극의 상기 단부는 상기 절연체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의 상기 주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면은 상기 기체의 상기 주면보다도 입력 조작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4. 제1항에 기재된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와 대향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27007965A 2009-12-28 2010-12-25 입력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 KR101474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97977 2009-12-28
JPJP-P-2009-297977 2009-12-28
PCT/JP2010/073466 WO2011081112A1 (ja) 2009-12-28 2010-12-25 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936A KR20120061936A (ko) 2012-06-13
KR101474897B1 true KR101474897B1 (ko) 2014-12-19

Family

ID=44226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7965A KR101474897B1 (ko) 2009-12-28 2010-12-25 입력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82857B2 (ko)
EP (1) EP2521012B1 (ko)
JP (3) JP4902023B2 (ko)
KR (1) KR101474897B1 (ko)
CN (1) CN102713799B (ko)
WO (1) WO20110811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41381B1 (en) * 2010-02-24 2017-09-06 Kyocera Corporation Input device,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KR101040851B1 (ko) 2010-03-23 2011-06-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WO2012046631A1 (ja) * 2010-10-08 2012-04-12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CN102799323B (zh) * 2011-05-27 2015-04-15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图型结构、其制造方法及触控面板
JP5939766B2 (ja) 2011-11-04 2016-06-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パネル
JP5846953B2 (ja) * 2012-02-15 2016-01-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036913B1 (ja) * 2012-02-29 2012-09-2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JP2013186632A (ja) * 2012-03-07 2013-09-19 Toppan Printing Co Ltd フィルム状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340181A (zh) * 2012-03-30 2013-10-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觸控面板及其觸碰感應層的製造方法
JP2013214185A (ja) * 2012-04-02 2013-10-17 Toppan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5850804B2 (ja) * 2012-06-19 2016-02-03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US20140000944A1 (en) * 2012-07-02 2014-01-02 Panasonic Corporation Touch panel
WO2014021657A1 (ko) * 2012-08-03 2014-02-06 (주)인터플렉스 절연층이 개선된 터치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631426B (zh) * 2012-08-26 2016-12-21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
KR20140040432A (ko) * 2012-09-26 2014-04-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101987329B1 (ko) * 2012-09-26 2019-06-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TWI515778B (zh) * 2012-12-20 2016-01-01 恆顥科技股份有限公司 觸控電極裝置
JP6002047B2 (ja) * 2013-01-11 2016-10-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CN103176678B (zh) * 2013-03-06 2014-05-07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导电网格搭桥结构及其制作方法
US9287644B2 (en) * 2013-03-06 2016-03-15 Nanchang O-Film Tech Co., Ltd. Bridge structure in conductive mes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253923B2 (ja) * 2013-08-30 2017-12-2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センサ内蔵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KR20150029507A (ko) * 2013-09-10 2015-03-18 미래나노텍(주)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센서,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영상표시장치
KR102211968B1 (ko) 2013-12-02 2021-0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표시 장치 및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CN103677413B (zh) * 2013-12-09 2016-09-21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触摸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TWM480117U (zh) * 2014-02-24 2014-06-11 Hannstouch Solution Inc 觸控面板
TWI502445B (zh) * 2014-06-11 2015-10-01 Innolux Corp 觸控顯示裝置及觸控基板
CN106415464A (zh) * 2014-06-20 2017-02-15 高通股份有限公司 其中形成有介电结构的电容式触摸面板
CN105335029A (zh) * 2014-08-12 2016-02-17 深圳莱宝高科技股份有限公司 电容式触摸屏及其制作方法
KR102312260B1 (ko) 2015-01-09 2021-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JP2017010726A (ja) * 2015-06-19 2017-01-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10678100B2 (en) * 2016-02-23 2020-06-09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5700760A (zh) * 2016-02-24 2016-06-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结构的金属架桥及触摸屏
JP6074533B2 (ja) * 2016-05-17 2017-02-0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180069165A (ko) 2016-12-14 2018-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7359276B (zh) * 2017-08-28 2020-07-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膜层结构、显示装置及膜层结构的制备方法
JP6433566B2 (ja) * 2017-10-19 2018-12-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6615975B2 (ja) * 2018-11-05 2019-12-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パネル
JP7317496B2 (ja) * 2018-12-05 2023-07-31 シャープ株式会社 筆記入力装置
CN211348433U (zh) * 2019-07-16 2020-08-25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电容检测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4398A1 (en) 2006-09-26 2008-03-27 David Gordon Wright Single-layer capacitive sensing device
JP2009123106A (ja) 2007-11-16 2009-06-04 Smk Corp タッチ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4164B2 (ja) 1993-06-24 2001-03-12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加硫可能な含フッ素エラストマー組成物
GB9406702D0 (en) * 1994-04-05 1994-05-25 Binstead Ronald P Multiple input proximity detector and touchpad system
JP3134925B2 (ja) 1997-04-04 2001-02-13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回路基板等の板状体の固着方法及び装置
JP2001154592A (ja) * 1999-09-13 2001-06-08 Minolta Co Ltd 表示装置
JP4068951B2 (ja) * 2002-01-29 2008-03-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4252676A (ja) * 2003-02-19 2004-09-09 Seiko Epson Corp タッチパネル付電気光学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付電気光学パネル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651519B1 (ko) 2005-12-08 2006-11-30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의 회로패턴 형성방법
US20080142249A1 (en) 2006-12-13 2008-06-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ive surface roughness for high speed signaling
TW200842681A (en) * 2007-04-27 2008-11-01 Tpk Touch Solutions Inc Touch pattern structure of a capacitive touch panel
JP4998919B2 (ja) * 2007-06-14 2012-08-15 ソニー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静電容量型入力装置
TW200901014A (en) * 2007-06-28 2009-01-01 Sense Pad Tech Co Ltd Touch panel device
JP5103254B2 (ja) * 2008-04-16 2012-12-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静電容量方式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面入力型表示装置
JP2009265748A (ja) * 2008-04-22 2009-11-12 Hitachi Displays Ltd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4678421B2 (ja) * 2008-05-16 2011-04-2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JP5127572B2 (ja) 2008-06-02 2013-01-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JP4997607B2 (ja) * 2008-12-12 2012-08-08 Smk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JP5262666B2 (ja) * 2008-12-12 2013-08-14 Smk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JP2010146283A (ja) 2008-12-18 2010-07-01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JP3149113U (ja) 2008-12-25 2009-03-12 洋華光電股▲ふん▼有限公司 キャパシタ式接触制御インダクション構造
CN101833184A (zh) 2009-03-13 2010-09-15 宸鸿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电容式触控板与液晶显示面板的整合结构
JP3152611U (ja) * 2009-05-26 2009-08-06 洋華光電股▲ふん▼有限公司 タッチパネルのキャパシター感知構造
JP2011076155A (ja) * 2009-09-29 2011-04-14 Seiko Epson Corp 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
JP2011091237A (ja) * 2009-10-23 2011-05-06 Seiko Epson Corp 回路基板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4398A1 (en) 2006-09-26 2008-03-27 David Gordon Wright Single-layer capacitive sensing device
JP2009123106A (ja) 2007-11-16 2009-06-04 Smk Corp タッチ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21012B1 (en) 2016-11-23
JPWO2011081112A1 (ja) 2013-05-09
JP2013020651A (ja) 2013-01-31
JP5683555B2 (ja) 2015-03-11
US20120182250A1 (en) 2012-07-19
CN102713799A (zh) 2012-10-03
CN102713799B (zh) 2015-11-25
JP2012033196A (ja) 2012-02-16
US9182857B2 (en) 2015-11-10
JP4902023B2 (ja) 2012-03-21
JP5121995B2 (ja) 2013-01-16
EP2521012A4 (en) 2015-04-08
WO2011081112A1 (ja) 2011-07-07
KR20120061936A (ko) 2012-06-13
EP2521012A1 (en)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897B1 (ko) 입력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
US10474305B2 (en) Touch window
CN110262687B (zh) 触摸面板
JP2020170536A (ja) タッチウィンドウ及びこれを含むタッチデバイス
JP4926270B2 (ja) 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US10884548B2 (en) 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US20150092359A1 (en)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with the same
EP3012722A2 (en) Touch panel
US20140190808A1 (en) Bridging structure for signal transmission of touch panel
JP5318289B2 (ja) 入力装置、電子機器、および携帯端末
KR20150134010A (ko) 터치윈도우
KR20170102452A (ko) 터치 패널
KR20180113081A (ko) 터치 패널
KR102302818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JP2011028680A (ja) 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US20140042008A1 (en) Touch panel
KR20160000242A (ko) 터치윈도우
KR102313959B1 (ko) 터치 윈도우
KR102199344B1 (ko) 터치 윈도우
JP2012248010A (ja) 入力装置、表示装置、および機器
KR102251876B1 (ko) 터치 윈도우
JP2012221477A (ja) 入力装置、表示装置、および携帯端末
KR20160020876A (ko) 터치윈도우
KR20150141008A (ko) 터치 패널
JP2010266954A (ja) タッチパネルおよびタッチパネル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