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817B1 - 개선된 sgp130Fc 이량체 - Google Patents

개선된 sgp130Fc 이량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817B1
KR101474817B1 KR1020097001634A KR20097001634A KR101474817B1 KR 101474817 B1 KR101474817 B1 KR 101474817B1 KR 1020097001634 A KR1020097001634 A KR 1020097001634A KR 20097001634 A KR20097001634 A KR 20097001634A KR 101474817 B1 KR101474817 B1 KR 101474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eptide dimer
polypeptide
pro
domain
a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7898A (ko
Inventor
게오르그 에이취. 와트지그
더크 씨게르트
Original Assignee
코나리스 리써치 인스티튜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나리스 리써치 인스티튜트 아게 filed Critical 코나리스 리써치 인스티튜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090037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1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cytokines; for lymphokines; for interferons
    • C07K14/715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cytokines; for lymphokines; for interferons for interleukins [I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9/00Hybrid peptides, i.e. peptides covalently bound to nucleic acids, or non-covalently bound protein-protein complex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0Interleukins [IL]
    • A61K38/204IL-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electrolyte homeostasis
    • A61P3/14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electrolyte homeostasis for calcium homeo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1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cytokines; for lymphokines; for interfer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4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cytokines, lymphokines or interferons
    • C07K16/244Interleukins [IL]
    • C07K16/248IL-6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30Non-immunoglobulin-derived peptide or protein having an immunoglobulin constant or Fc region, or a fragment thereof, attached thereto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besity (AREA)
  • Endocri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2개의 수용성 gp130 분자를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 이량체로서, 상기 분자 각각이 IgG1 단백질의 Fc 도메인에 융합되어 있으며, 상기 Fc 도메인의 힌지 영역이 변형되어 상기 이량체가 이로운 특성을 부여하는, 폴리펩타이드 이량체를 개시한다. 특히 바람직한 예로, 상기 힌지 영역은 아미노산 서열 모티프 Ala234-Glu235-Gly236-Ala237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이량체를 포함하는 약리학적 조성물 및 다양한 의학적 용도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개선된 sgp130Fc 이량체{IMPROVED sgp130Fc DIMERS}
본 발명은 IgG1 단백질의 Fc 도메인에 각각 융합되어 있는 2개의 수용성 gp130 분자를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 이량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Fc 도메인의 힌지 영역은 변형되어 이량체에 이로운 특성을 부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량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다양한 의학적인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다면 발현성 사이토카인 인터루킨-6(IL-6)은 광범위한 범위의 생물학적 기능을 나타내는데, 그 중에서도 B 세포의 자극 및 간에서의 갑작스러운 단백질 합성 유도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IL-6은 IL-6 특이 표면 수용체(IL-6R)에 대한 결합을 통해 타겟 세포에 대해 활성을 발휘한다. 이러한 수용체/리간드 복합체는 IL-6 수용체 복합체의 제2 서브유닛인 gp130의 동형이량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gp130의 이량화로 IL-6 신호 전달이 이루어진다. 2가지 기전(양자 택일의 스플라이싱 및 쉐딩(shedding))에 의해 만들어지는 수용성 타입의 IL-6R(sIL-6R) 역시 IL-6과 복합체를 이루었을 때 gp130 이량화와 시그널링을 촉발시킬 수 있다.
IL-6R의 세포질 영역은 신호 전달에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gp130 동형이량체에 의한 시그널링은 세포막에 결합된 IL-6R이나 수용성 IL-6R과 복합체를 이룬 IL-6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그러나, sIL-6R의 존재는 IL-6 반응성 세포의 리간 드에 대한 감작화로 이어진다. 아울러, 엄격하게 IL-6 의존적인 하이브리도마 세포는 배양 배지에 존재하는 sIL-6R이 계속적으로 제거될 경우 매우 소량의 IL-6에 반응하여 증식하지는 않는다.
처음에 인터루킨-6 신호 전달체로 설명된 gp130은 IL-6, IL-11, 백혈병 저해 인자(LIF), 온코스타틴 M(OSM) 및 섬모형 신경 영양 인자(CNTF) 등의 수많은 사이토카인들에 공유되어 있는 전이체 체인이다. 이들 사이토카인들 모두, 시그널링이 gp130의 동형이량화(IL-6의 경우), 또는 LIF-R(LIF, CT-1, OSM, CLC 및 CNTF의 경우) 또는 OSM-R(OSM의 경우)과의 이형이량화에 의해 촉발되는, 2자 또는 3자 수용체 복합체를 통해 작용한다. 이들 사이토카인은 따라서 다양한 조직들에서 유사한 생물학적 활성을 매개할 수 있다.
gp130은 거의 모든 세포 타입들에서 발견가능하지만, IL-6R은 훨씬 더 제한적인 발현을 보인다. 어떤 세포 타입에서 분리된 sIL-6R은 오직 gp130을 발현하는 세포에게만 IL-6에 대한 반응성을 부여한다. 이러한 시나리오를 트랜스-시그널링이라고 한다. 실제, sIL-6R과 IL-6의 복합체를 필요로하는 여러가지 세포성 활성이 개시되어 있지만, IL-6 단독은 확인되지 않았다. 수용성 gp130 단백질은 인간 혈장에서 고농도로 발견된다. 최근, 플렉서블한 펩타이드 링커에 의해 성숙형 IL-6의 N-말단에 sIL-6R의 C-말단을 공유 결합으로 융합시킨 설계자(designer) - 사이토카인 하이퍼-IL-6(H-IL-6)이 개시되었다. IL-6/sIL-6R 복합체에서 볼 수 있듯이, H-IL-6 역시 오직 gp130을 발현하는 세포에만 작용한다. 반면, 개별 성분 IL-6 및 sIL-6R과는 대조적으로, 상기 융합 분자는 100 내지 1000배 낮은 농도로도 상 응하는 생물학적 신호를 유도하는데 충분하다.
다양한 질병이나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수용성 IL-6R에 의존적인 IL-6 반응을 특이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그러한 질환으로는, 골 흡수(bone resorption), 칼슘 고혈증, 악액질, 종양 또는 그외 타입의 암(예, 대장암, 다발성 골수종, 백혈병, 홉킨스 질환), 자가면역 질환(예, 다발성 경화증(MS) 또는 1형 당뇨병), 염증 또는 아토피 질환(예, 크론 질환, 궤양성 직장염, 류마티스 관절염,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 천식, 건선, 유육종증(sarcoidosis), 홍반성 루푸스, 포도막염), 감염(예,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또는 그외 병원체에 의한), 내분비성 장애 및 대사성 질환이나 이화성 질환(예, 2형 당뇨병, 비만, 고혈당증 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포함한다. 예컨대, sgp130 이량체 또는 sgp130Fc 이량체가 치료적 적용에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근간이 되는 기술적 과제는 개선된 sgp130Fc 이량체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상기 기술적 과제에 대한 해법은 청구항에 기재된 사항을 특징으로 하는 구현예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을 도출하는 실험을 실시하던 중에, sgp130Fc 융합 단백질의 생물학적 활성, 정제성(purifiability) 및 안정성이 sgp130과 Fc 부분 사이의 힌지 영역의 아미노산 구성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모티프에 대한 Fc 수용체의 결합을 낮추기 위해, 인간 IgG1-Fc (EU 번호 매김에 따름)의 아미노산 234, 235 및 237을 돌연변이시켰다(Duncan et al., Nature (1988), 332: 563-564; Canfield and Morrison, J. Exp. Med. (1991), 173: 1483-1491; Wines et al., J. Immunol. (2000), 164: 5313-5318; Sondermann et al., Nature (2000), 406: 267). 예상하지 못하게도, 천연형 서열 Leu234-Leu235-Gly236-Gly237에서 Leu235를 글루타메이트(Glu, E) 또는 아스파르테이트(Asp, D)로 변형시켜, 소수성 모티프를 고친수성(하전된) 아미노산으로 파괴하므로써, sgp130Fc 융합 단백질의 생물학적 활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234 및 237 위치에서의 돌연변이는 이러한 효과를 가중시킨다. 가장 효과적인 돌연변이는 서열 Ala234-Glu235-Gly236-Ala237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용성 복합체(agonistic complex) IL-6/sIL-6R의 활성을 저해할 수 있으며, 각 단량체가 IgG 단백질의 Fc 도메인에 융합된 수용성 gp130 분자, 이의 변이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며, 상기 Fc 도메인의 힌지 영역에서 적어도 아미노산 잔기 Leu235가 하나 이상의 친수성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된, 2개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이량체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친수성 아미노산 잔기는 Glu 및 Asp이다.
용어 "수용성"은 본원에서 세포내 도메인, 바람직하기로는 트랜스멤브레인 도메인이 없는 gp130 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이량체는 공지 방법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용되는 도메인은 gp130의 전체 세포외 도메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작용성 복합체 IL-6/sIL-6R의 활성을 저해하는 능력을 가진 이의 돌연변이체 또는 단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단편은 세포외 도메인 D1 내지 D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편이다.
"IgG 단백질의 Fc 도메인에 융합된"이라는 표현은, 바람직하기로는 이량체의 융합 파트너가 주로 IgG1 단백질의 Fc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Fc 파트는 한가지 이상의 IgG 이소타입으로부터 유래된 서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합한 작동자 기능(effector function)을 최적화하기 위해 특정 서열 모티프를 선별하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에 속한다.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 이량체에 대한 바람직한 예에서, 힌지 부분의 아미노산 잔기 Leu234는 Phe 또는 Ala으로 치환된다.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 이량체에 대한 더 바람직한 예에서, 힌지 영역의 아미노산 잔기 Leu234 및/또는 Gly237은 아미노산 잔기 Ala로 치환된다.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 이량체에 대한 보다 더 바람직한 예에서, 힌지 영역은 Leu234-Leu235-Gly236-Gly237 대신 아미노산 서열 모티프 Ala234-Glu235-Gly236-Ala237을 포함한다.
특히, 힌지 영역이 아미노산 서열 Asp221-Lys222-Thr223-His224-Thr225-Cys226-Pro227-Pro228-Cys229-Pro230-Ala231-Pro232-Glu233-Ala234-Glu235-Gly236-Ala237-Pro238-Ser239-Val240을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 이량체가 바람직하다.
gp130 세포외 도메인(sgp130), 또는 이의 변이체나 단편의, 바람직하기로는 C-말단에서의 Fc 파트의 힌지 영역과의 융합은 직접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여러가지 길이와 다양한 아미노산 조합으로 이루어진 플렉서블 폴리펩타이드 링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링커는 전체가 인공적으로 제조(예, 글리신, 세린, 아스파라긴, 트레오닌 및 알라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2 - 50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함)되거나, 또는 천연적으로 형성되는 단백질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이들 링커는 이량체의 유연성 및 결합 특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sgp130Fc 융합 단백질은 폴리(His), Myc, Strep, 폴리아르기닌, Flag, 그린 형광 단백질(GFP), TAP, 글루타티온 S-트랜스퍼라제(GST), HA, 칼모듈린-결합 단백질(CBP), 말토스-결합 단백질(MBP), V5, HSV, S, 수포성 구내염 바이러스(VSV), 단백질 C, 루시퍼라제, Glu-Glu, E, 베타-GAL, T7 또는 신속한 정제, 웨스턴 블롯이나 ELISA에서의 검출, 면역침강 또는 생물분석에서의 활성 고갈/차단을 허용하기 위해 항체나 그외 결합 분자를 이용할 수 있는 기타 에피토프 등의, 테그에 추가적으로 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 이량체에 대한 보다 바람직한 예로, 1개 이상의 N-당화 부위가 수용성 gp130 분자, 이의 변이체 또는 단편과 Fc 도메인 사이에 삽입된다. 코어 서열 Asn-X-Ser 또는 Asn-X-Thr를 가진 N-당화 부위의 아미노산 모티프는 단백질내 모티프 내용에 의존적이며, 예컨대 NetNGlyc (Center for Biological Sequence Analysis,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 등의 무료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당업자가 예측하거나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sgp130Fc 이량체에 대한 바람직한 N-당화 링커 요소는 His-Asn-Leu-Ser-Val-Ile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이량체의 페길화(PEGylation)된 형태 또는 그외 화학적으로 변형된 형태이다. sgp130 분자의 페길화는 예컨대 인간 IFN-γ, IFN-α, IFN-β, IL-15 또는 IL-2에 대해 개시된 방법(Youngster et al., Curr Pharm Des (2002), 8:2139; Grace et al., J Interferon Cytokine Res (2001), 21:1103; Pepinsky et al., J Pharmacol Exp Ther (2001), 297:1059; Pettit et al., J Biol Chem (1997), 272:2312; Goodson et al. Biotechnology NY (1990), 8:343; Katre; J Immunol (1990), 144:209)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PEG-폴리펩타이드-이량체가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석 가능한 sIL-6R에 의존적인 IL-6 반응을 계속 차단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공하는데에는, 모든 종류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적합하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펩타이드-이량체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PEG 1000, 2000, 3000, 5000, 10000, 15000, 20000 또는 40000이며, 특히 PEG 20000 또는 40000가 바람직하다.
이량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단순 공유 결합, 플렉서블 펩타이드 링커, 또는 바람직하기로는 하나 이상의 이황화 결합을 통해 2개의 수용성 gp130이 서로 연결된다. 펩타이드 링커는 전적으로 인공적으로 제조(예, 글리신, 세린, 아스파라긴, 트레오닌 및 알라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2 - 50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함)되거나, 또는 천연적으로 형성되는 단백질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이황화 결합의 형성은, 예컨대 sgp130Fc 단량체를 코딩하는 핵산 서열이, 바람직하기로는 Fc 도메인의 힌지 영역에 1개 이상의 시스테인을 코딩하는 코돈을 포함하는, 재조합 발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이량체는 바람직하기로는 이량체의 단량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및 벡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고 있는 발현 벡터의 사용에 의한 재조합 방법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이량체 제조에 있어,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기존 클론으로부터 수득되며, 즉 바람직하기로는 천연적으로 형성되는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의 일부를 코딩한다(인간 gp130/IL6ST의 경우: GenBank sequence NM_002184 및 서포팅 클론; 인간 IgG1/IGHG1의 불변 영역의 경우: 예, GenBank sequence AK057754). 매우 엄격하거나 중간 수준의 엄격한 조건(이에 대한 정의는 Sambrook,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1989) N.Y. 참조) 하에서 천연 DNA 또는 RNA의 상보체와 혼성하는, 임의의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는 폴리펩타이드는, 이 폴리펩타이드가 천연 서열의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하는 한, 본 발명의 이량체를 제조하는데도 유용하다.
재조합 벡터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으며, 예로 Sambrook,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1989) N.Y.을 참조한다. 다양한 발현 벡터/숙주 시스템을 활용하여, 본 발명의 이량체를 코딩하는 서열을 포함 및 발현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시스템으로는 재조합 박테리오파지, 플라스미드 또는 코스미드 DNA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박테리아; 효모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효모; 바이러스 발현 벡터(예, 베큘로바이러스)가 감염된 곤충 세포 시스템; 바이러스 발현 벡터(예, 칼리플라워 모자이크 바이러스, CaMV;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TMV)나 박테리아 발현 벡터(예, Ti 또는 pBR322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된 식물 세포 시스템; 또는 동물 세포 시스템 등의, 미생물이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박테리아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 이량체의 의도된 용도에 따라 다수의 발현 벡터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적합한 벡터로는 박테리아 발현용 pSKK 발현 벡터가 있으나, 이로 한정되진 않는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스키조사카로마이세스 폼베(Schizosaccharomyces pombe) 또는 피키아 파스토리스(Pichia pastoris) 등의 천연형 또는 변형된(예, 당조작된) 효모 종에서, 구성적 프로모터(constitutive promoter), 유도성 프로모터, 또는 알파 인자, 알코올 옥시다제, PGH, 테트라사이클린 글루코스 등의 프로모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수의 벡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Grant et al. (1987) Methods Enzymol. 153:516-544; Siam et al. (2004) Methods 33:189-198; Macauley-Patrick et al. (2005) Yeast 22:249-270, Gellissen et al. (2005) FEMS Yeast Res. 5:1079-1096; Wildt and Gerngross (2005) Nat.Rev.Microbiol. 3:119-128을 참조한다.
식물 발현 시스템이 사용되는 기술 분야(예, Stoger et al. (2005) Curr.Opin.Biotechnol.16:167-173; Gomord et al. (2005) Trends Biotechnol. 23:559-565 참조)의 경우, 본 발명의 이량체 (또는 이의 단량체)를 코딩하는 서열의 발현은 다수의 프로모터 중 어느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 CaMV의 35S 및 19S 프로모터와 같은 바이러스 프로모터는 단독으로 또는 TMV 유래의 오메가 리더 서열(Takamatsu (1987) EMBO J. 6:307-311)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는, RUBISCO의 소형 서브유닛 또는 열 충격 프로모터 등의 식물 프로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Coruzzi et al. (1984) EMBO J. 3:1671-1680; Broglie et al. (1984) Science 224:838-843; and Winter et al. (1991) Results Probl. Cell Differ. 17:85-105). 이러한 구조체는 직접 DNA 형질전환 또는 병원체 매개의 형질간염에 의해 식물 세포에 도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법들은 일반적으로 이용가능한 다수의 리뷰들에 설명되어 있다(예, Hobbs and Murry in McGraw Hill Year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1992) McGraw Hill, New York, N.Y.; pp. 191-196 참조).
또한, 곤충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이량체 (또는 이의 단량체)를 발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시스템에서는 스포도프테라 프루기페르다(Spodoptera frugiperda) 세포 또는 트리코플루시아(Trichoplusia) 유충에서 외래 유전자를 발현시키기 위해, 벡터로서 AcNPV(Autographa californica nuclear polyhedrosis virus)가 사용된다. 서열을, 폴리헤드린 유전자와 같이 바이러스의 비필수 영역에 클로닝하여, 폴리헤드린 프로모터의 통제하에 위치시킬 수 있다. sgp130Fc 단량체 또는 이의 단편이나 변이체를 코딩하는 DNA 서열의 성공적인 삽입을 통해, 폴리헤드린 유전자는 불활성화되고, 코트 단백질이 결여된 재조합 바이러스가 만들어지게 될 것이다. 이후, 재조합 바이러스는 본 발명의 sgp130Fc를 발현시킬 수 있는, 예컨대 스포도프테라 프루기페르다 세포 또는 트리코플루시아 유충에 감염시키는데 사용된다(Engelhard et al. (1994) Proc. Nat. Acad. Sci. 91:3224-3227).
포유류 숙주 세포에서는, 예컨대 지질-기반의 형질감염 또는 세포의 바이러스 형질전이를 기본으로 한 많은 발현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아데노바이러스를 발현 벡터로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들)를 코딩하는 서열을 후기 프로모터 및 3중 리더 서열로 구성된 아데노바이러스 전사/번역 복합체에 연결시킬 수 있다. 바이러스 게놈의 비필수 E1 또는 E3 영역내 삽입을 이용하여, 감염된 숙주 세포로부터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를 발현시킬 수 있는 살아있는 바이러스를 수득할 수 있다(Logan, J. and Shenk, T. (1984) Proc. Natl. Acad. Sci. 81:3655-3659). 또한, RSV(Rous sarcoma virus) 인핸서 등의 전사 인핸서를 이용하여 포유류 숙주 세포에서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재조합 벡터(들)의 도입 후, 숙주 세포를 벡터를 함유하는 세포의 증식을 선별하는, 선택 배지에서 키운다. 상당히 많은 선별 시스템을 이용하여 형질전환된 세포주를 회수할 수 있다. 이러한 것으로는, tk.sup.- 또는 aprt.sup.- 세포에 각각 사용할 수 있는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티미딘 키나제(Wigler, M. et al. (1977) Cell 11:223-32) 및 아데닌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라제(Lowy, I. et al. (1980) Cell 22:817-23)가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항-대사산물, 항생제 또는 제초제 내성을 선별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dhfr은 메토트렉세이트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고(Wigler, M. et al. (1980) Proc. Natl. Acad. Sci. 77:3567-70), npt는 아미노글리코시드 네오마이신 및 G-418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고(Colbere-Garapin, F. et al (1981) J. Mol. Biol. 150:1-14), als 또는 pat는 각각 클로르설푸론 및 포스피노트리신 아세틸트랜스퍼라제에 대한 내성을 부여한다. 추가적인 선별 유전자로는, 예컨대 세포가 트립토판 대신 인돌을 이용하게 하는 trpB 또는 세포가 히스티딘 대신 히스티놀을 이용하게 하는 hisD가 개시되어 있다(Hartman, S. C. and R. C. Mulligan (1988) Proc. Natl. Acad. Sci. 85:8047-51). 안토시아닌, 베타-글루쿠로니다제 및 이의 기질 GUS, 및 루시퍼라제 및 이의 기질 루시페린 등의 마커를 이용한, 가시적인 마커의 사용이 대체적이며, 형질전환체의 식별 뿐만 아니라 특정 벡터 시스템에 기인한 일시적 또는 안정적인 단백질의 양을 정량하는데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Rhodes, C. A. et al. (1995) Methods Mol. Biol. 55:121-131).
재조합 폴리펩타이드의 정제는 이러한 목적에 있어 공지된 임의의 방법, 즉 추출, 침강, 크로마토그래피, 전기영동 등이 포함된 임의의 통상적인 과정으로 수행된다. 사용가능한 추가적인 정제 과정으로는, 예컨대 타겟 폴리펩타이드에 결합하며, 제조되어 컬럼내에 있는 겔 매트릭스 상에 고정된, 단백질 A, 단백질 G 또는 단일클론 항체를 이용하는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가 있다. 재조합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고 있는 불순물이 섞인 조제물을 컬럼을 통과시킨다. 불순물은 통과되고, 폴리펩타이드는 친화성 겔 매트릭스에 특이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컬럼에 결합될 것이다. 세정한 후, 폴리펩타이드는 pH 또는 이온 세기 변화에 의해 겔로부터 용리시키고, 단량체로 수득되면 이량화하고, 필요하다면 페길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펩타이드의 단량체를 코딩하는 DNA 서열로 형질전환된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숙주 세포 또는 배양물로부터 폴리펩타이드-단량체 또는 이량체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 이량체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 이량체는 작용성 복합체 IL-6/sIL-6R의 활성이 저해되어야 하는, 모든 병인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은 또한 유효량의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 이량체와 바람직하기로는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함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약리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은 활성 성분의 생물학적 활성 유효성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숙주에게 투여시 무독성인, 임의의 담체를 망라한다. 적합한 약리학적 담체의 예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인산 완충화된 식염수, 물, 오일/수 에멀젼 등의 에멀젼, 다양한 타입의 습윤제, 멸균 용액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담체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형화될 수 있으며, 개체에게 유효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유효량"은 질병의 진행 및 중증도에 영향을 미쳐, 병리의 감퇴 또는 저하를 유도할 수 있는, 활성 성분의 양을 의미한다.
질병 또는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용한 "유효량"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결정할 수 있다(예로, Fingl et al., The Pharmo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Goodman and Gilman, eds. Macmillan Publishing Co., New York, pp. 1-46 ((1975)을 참조함).
조성물의 투여는 여러가지 경로, 예컨대 정맥내, 복막내, 피하, 근육내, 국소 또는 진피내 투여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투약 요법은 주치의와 기타 임상적인 인자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의학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임의 환자에 대한 투여량은 환자의 체격, 체표면적, 연령, 성별, 투여할 특정 화합물, 투여 시기 및 경로, 치료 종류, 일반적인 건강 상태 및 병용되는 다른 약물 등의 수많은 인자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본 발명은 작용성 복합체 IL-6/sIL-6R의 차단이 이로운 효과가 되는 질병 또는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약리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 전술한 폴리펩타이드 이량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펩타이드-이량체의 바람직한 의학적 용도는 골 흡수(bone resorption), 칼슘 고혈증, 악액질, 종양 또는 그외 타입의 암(예, 대장암, 다발성 골수종, 백혈병, 홉킨스 질환), 자가면역 질환(예, 다발성 경화증(MS) 또는 1형 당뇨병), 염증 또는 아토피 질환(예, 크론 질환, 궤양성 직장염, 류마티스 관절염,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 천식, 건선, 유육종증(sarcoidosis), 홍반성 루푸스, 포도막염), 감염(예,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또는 그외 병원체에 의한), 내분비성 장애 및 대사성 질환이나 이화성 질환(예, 2형 당뇨병, 비만, 고혈당증 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이다.
도 1: sgp130Fc의 힌지 영역 뮤테인(mutein)
인간 IgG1-Fc의 하단 힌지 영역을 부위 특이 돌연변이 유발로 변형시켰다. 실험에서 결정된 이상적인 서열은 "AEGA"(화합물 CR5/18에 병합됨)이다.
약어 및 기호: aa, 아미노산(들); C, Fc 융합 단백질의 이량화에 필요한 이황화 결합을 형성하는 2개의 시스테인; X, 알라닌(Ala, A) 또는 페닐알라닌(Phe, F); Z, 글루타메이트(Gln, E) 또는 아스파르테이트(Asp, D).
도 2: 천연형 sgp130Fc 및 CR5/18의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용리 곡선
CR5/18은 천연형 sgp130Fc에 비해 응집물(부산물)의 현저한 감소를 보이므로, 오염되지 않은 산물의 수율이 더 높다.
도 3: MTS 세포 생존성 분석으로 측정한, CR5/18 또는 천연형 sgp130Fc에 의한 BAF3/gp130 세포의 IL-6/sIL-6R-유도성 증식 저해
CR5/18은 100 ng/mL IL-6 및 50 ng/mL sIL-6R에 의해 유도한 증식 차단에서 천연형(wt) sgp130Fc 보다 현저하게 높은 생물학적 활성을 보인다. 이는 sgp130Fc의 IC50(2)의 대략 절반인, CR5/18 IC50(1)이다.
약어 및 기호: IC50, 50% 저해 효과를 보이는 농도; IL-6, 인터루킨-6; I/R, IL-6 + sIL-6R; MTS, 대사적으로 활성인 세포에 의해 490 nm에서 흡광하는 수용성 포르마잔 산물로 변환되는 기질; OD, 490 nm에서의 광학 밀도; sIL-6R, 수용성 인터루킨-6 수용체.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sgp130Fc 뮤테인 CR5/18의 구축 및 생산
(A) 재료
게이트웨이 클로닝 시스템 구성(AccuPrime Pfx DNA 중합효소, 공여 벡터 pDONR221, CMV 프로모터-통제성 발현 벡터 pcDNA-DEST40, 삽입체 전달용 BP 및 LR 재조합효소, 및 컴피턴트(competent) E. coli 세포)를 인비트로겐사(Karlsruhe, Germany)에서 구입하였다. QuikChange II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 유발 키트는 Stratagene(Amsterdam, The Netherlands)으로부터 입수하였다. PAGE 정제된 돌연변이 유발 프라이머는 Microsynth(Balgach, Switzerland) 사 제품이다. CHO-K1 세포는 독일 미생물 및 세포 배양 콜렉션으로부터 입수하였다. 배양 배지 성분들은 하기와 같이 구입하였다: Ham's F12 배지, low IgG FBS 및 PBS(PAA Laboratories; Colbe, Germany), FBS(Biochrom; Berlin, Germany), 트립신/EDTA 용액(Invitrogen) 및 G418 용액(Sigma-Aldrich; Taufkirchen, Germany). 형질감염제 릭포펙타민 2000은 인비트로젠 사 제품이다. 면역침강용 단백질 A/G + 아가로스는 Santa Cruz(Heidelberg, Germany)사 제품이다. 면역침강와 웨스턴 블롯에서의 일차 검출 모두에, 마우스 항-인간 IgG (Fc) 단일클론 항체를 사용하였다(CBL102; Chemicon; Hofheim, Germany). 웨스턴 블롯 이차 검출은 항-마우스 IgG HRP-연결된 항체, ECL-플러스 웨스턴 블롯팅 기질 및 하이퍼필름 ECL(모두 GE Healthcare 사 제품; Munich, Germany)로 수행하였다. 롤러 병(2.1 L, 2,5X 표면)은 Greiner Bio-One (Frickenhausen, Germany) 사로부터 구입하였다. 진공 필터 유닛용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필터(0.45 ㎛)는 Sartorius (Gottingen, Germany) 사로부터 구입하였다. 친화성 및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EC)용 물질은 모두 GE Healthcare (Munich, Germany) 사 제품이다: XK16/20 컬럼, PD-10 탈염 컬럼 및 SEC용 HiLoad 26/60 Superdex 200 pg 컬럼의 MabSelect material (제품 코드 17-5199-01). Amicon Ultra-15 50 kDa Ultracel-PL 멤브레인 농축 유닛은 Millipore (Eschborn, Germany) 사로부터 구입하였다. PAGE 용으로 미리 제작된 아크릴아미드-비스 용액(19:1, 30%)은 Bio-Rad (Munich, Germany) 사로부터 제공받았다.
(B) CR5/18의 구축
gp130의 전체 세포외 도메인과 천연형 인간 IgG1 Fc(소스: 인간 gp130/IL6ST의 경우: GenBank sequence NM_002184 및 서포팅 클론; 인간 IgG1/IGHG1의 불변 영역의 경우: 예, GenBank sequence AK057754)를 포함하는 전장 sgp130Fc에 대한 cDNA의 코돈을 CHO-K1 세포에서의 발현에 맞게 최적화하였고, 이를 표준 게이트웨이 클로닝 과정으로 게이트웨이 프라이머, AccuPrime Pfx DNA 중합효소 및 BP 재조합효소를 이용하여 pDONR221에 서브클로닝하였다. 서브클로닝한 삽입체의 서열을 각각 250-300 bp의 적층된 정방향 및 역방향 서열분석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완전히 검증하였다. QuikChange II 키트를 이용한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 유발에서, IgG1-Fc의 하부 힌지 영역(EU 번호 매김에 따라 아미노산 234, 235 및 237)을 천연형 서열 "LLGG"에서 "AEGA"로 돌연변이시켰다. 돌연변이된 클론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체 서열 분석에 의해 검증하였다. 이후, 삽입체를 게이트웨이 LR 재조합에 의해 발현 벡터 pcDNA-DEST40에 이동시켰다. 삽입체에는 FC 파트 다음에 2개의 정지 코돈이 있어, pcDNA-DEST40 (V5 및 6xHis 에피토프)에 코드된 테그는 CR5/18에 존재하지 않게 된다. AlwNI 제한 효소 절단에 의해 양성 클론을 식별하고, 다시 서열을 검증하였다.
(C) 세포 배양 및 형질감염
CHO-K1 세포를 10% FBS가 보충된 Ham's F12 배지에서 37℃, 5% CO2 및 수 포화 대기하에서 배양하였다. 유지 배양물을 3-4일 마다 떼내어, 최대 20 세대 계대 배양한 것만 사용하였다. 리포펙타민 2000과 인비트로사의 CHO-K1에 적합한 표준 조건으로 세포에 발현 구조체 pcDNA-DEST40_CR5/18을 형질감염시켰다. 1차 일시적인 발현 테스트를 위해, CHO-K1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옮기고, 형질감염한 지 24시간 후 세포와 상층물 둘다를 회수하였다. 단백질 A/G 플러스 아가로스 및 항-인간 IgG(Fc) 항체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침서에 따라 상층물로부터 CR5/18을 면역침강시켰다. 전체 세포 단백질을 추출하고, 세포 용혈물 및 면역 침강물에 대해 항-인간 IgG(Fc) 항체를 이용한 웨스턴 블롯을 Waetzig et al., J. Immunol. 168: 5342 (200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D) CHO-K1 세포에서 CR5/18의 생산
일시적인 발현을 성공시킨 후, CHO-K1 세포를 형질감염시키고, 10 cm 플레이트에서 400 ㎍/ml G418을 이용하여 양성 클론을 선별하였다. 산물의 품질 및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미리-선별한 다클론 CHO-K1 풀을 롤러 병에 넣고, low IgG FBS와 함께 배양하였다. 컨플루언트 세포의 상층물을 1 주일에 2-3번 회수하고, 3,500 x g 및 4℃에서 15분간 2번 원심분리하여, 세포 찌꺼기를 제거한 다음, 즉시 사용하거나 -80℃로 동결시켰다. 한편, 안정적인 세포 클론을 한정 희석법으로 미리-선별된 풀로부터 선별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웨스턴 블롯 발현 분석으로 특정화하였다. 가장 안정적인 최대 발현을 보인 클론을 롤러 병에 옮겨, 영구 생산용 으로 이용하였다.
(E) 친화성 및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CR5/18-함유 상층물을 롤러 병의 배양물로부터 P-1 연동 펌프 및 AKTA Purifier 100 System (둘다 GE Healthcare; Munich, Germany)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프로토콜은 단일클론 항체 정제에 대한 제조사의 권고안을 기초로 하였다. 원심분리한 후, 신선한(fresh) 또는 해동한(얼음 상에서) 상층물의 pH를 6.7 - 7.0으로 조절하였다. 2번의 진공 여과(0.45 ㎛) 한 후, 상층물에서 탈기하고, 필요한 경우 pH를 다시 6.7 - 7.0으로 조절하였다. 이후, PBS-평형화된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컬럼(6-25 ml MabSelect, XK16/20 컬럼 내)에 2-4 L의 상층물을 유속 3-10 ml/min으로 P-1 펌프를 이용하여 주입하였다. PBS로 세정한 다음, 컬럼을 AKTA 정제기로 옮기고, 결합되지 않은 단백질의 양적 제거 후 A280이 안정화될 때까지 다시 PBS로 세정하였다. 용리 후, AKTA 시스템에, 혼합되어 원하는 pH 조건을 형성하는, 각각 pH 3.25 및 5.5의 50 mM 소듐 사이트레이트 완충액 2종을 구비하였다. pH 5.1에서의 1회 세정 단계 후, pH 3.7에서 용리시켰다. 분획 10 ml씩 1 M Tris-HCl (pH 11) 2 ml이 든 15 ml 튜브에 받았다. 피크 분획들을 모아, pH를 측정한 후, 필요에 따라 7.5로 조절하였다. 풀의 단백질 농도를 A280에서 측정하고, 풀을 Amicon Ultra-15 50 kDa Ultracel-PL 멤브레인 농축 유닛을 이용하여 최대 1.5 mg/ml로 조심스럽게 농축시켰다. PBS로 평형화한 PD-10 탈염 컬럼을 이용하여 사이트레이트 완충액을 PBS로 교체하고, 280 nm에서 다시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였다.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EC)에서, PBS 중의 최대 단백질 농도는 1.2 mg/ml이 권고되었다. SEC를 PBS로 평형화한 HiLoad 26/60 Superdex 200 pg 컬럼에서 유속 0.8 ml/min으로 AKTA 시스템으로 수행하였다. 천연형 sgp130Fc와는 대조적으로, CR5/18은 분자량이 보다 큰 응집물의 작은 피크 다음에 나온 하나의 피크에서 용리되었다(도 2). 첫 수행시, 모든 분획에서 샘플을 PAGE 분석용으로 취하였다. 피크 분획을 모아, 이의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여 PBS 중의 400-500 ㎍/ml로 설정한 다음, 1회 사용분의 분주물을 장기 보관을 위해 -80℃로 동결시켰다. 분획과 모은 샘플을 천연 PAGE(7.5%)와 그 다음의 은 또는 코마시 염색에 의해 분석하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R5/18의 부산물(응집물) 양은 병행 실험에서 정제한 모화합물 sgp130Fc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게다가, 원하는 산물(CR5/18 이량체)의 용리가 불순물(응집물)이 있는 분획으로부터 명확하게 분리가능하였지만, 천연형 sgp130Fc 경우에는 그렇지 않았다. 따라서, CR5/18 조제물의 수율(원하는 산물의 비율이 좀더 높기 때문) 및 품질 모두 기존의 sgp130Fc 보다 우수하며, 이는 산업적 생산에 단가 하락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결과는 CR5/18이 모분자 sgp130Fc 보다 명백하게 개선되었음을 시사한다.
실시예 2
표준화된 세포 증식 분석에서의 CR5/18의 생활성
(A) 재료
안정적으로 형질감염된 B 세포 전구 세포주 BAF3/gp130 및 설계자 사이토카 인 Hyper-IL-6을 이용하였다. 배양 배지 성분들은 하기와 같이 구입하였다: DMEM 및 PBS (PAA Laboratories; Colbe, Germany), FBS (Biochrom; Berlin, Germany) 및 트립신/EDTA 용액 (Invitrogen; Karlsruhe, Germany). 인터루킨-6 (IL-6) 및 수용성 인터루킨-6 수용체 (sIL-6R)는 각각 BioSource (Solingen, Germany) 및 R&D Systems (Wiesbaden, Germany)에서 구입하였다. 세포 적정 96 수성 비-방사활성 세포 증식 분석 (MTS)을 Promega (Mannheim, Germany)로부터 입수하였다.
(B) sgp130Fc 또는 CR5/18에 의한 IL-6/sIL-6R-유도성 BAF3/gp130 세포 증식의 차단
BAF3/gp130 세포의 증식 및 생존성은 배양 배지내 IL-6/sIL-6R 복합체의 존재에 의존한다. 유지를 위해, BAF3/gp130 세포를 10% FBS 및 10 ng/mL Hyper-IL-6(공유결합으로 연결된 IL-6 및 sIL-6R로 구성된 설계자 사이토카인; Fischer et al. 1997, Nat. Biotechnol. 15: 142-145)이 첨가된 DMEM에서 5 x 105 cells/mL 미만의 밀도로 배양하였다. 10 ng/mL Hyper-IL-6은 100 ng/mL IL-6 및 50 ng/mL sIL-6R로 대체할 수 있다. 세포는 1주일에 2번 계대 배양되었다. 분석시, 세포를 Hyper-IL-6 (또는 IL-6/sIL-6R)이 첨가되지 않은 배지로 2번 세정한 다음, 96 웰 플레이트에 5,000 cells/well로 접종하였다. CR5/18 또는 모화합물 sgp130Fc를 20 ㎍/mL 내지 78 ng/mL (1:4 희석 시리즈; 도 3)의 다양한 농도로 첨가하였다. 이후, 세포를 100 ng/mL IL-6 및 50 ng/mL sIL-6R의 존재 하에 3일간 배양하였다. 대조군으로는 CR5/18 또는 sgp130Fc 무첨가한 비자극 세포와 최대 농도로 첨가한 세포, 그리고 자극제로 IL-6 및 sIL-6R (도 3) 단독 첨가하여 배양한 세포가 포함된다.
(C) 결과
3일 후, 살아있는 BAF3/gp130 세포의 수적 감소에 의해(MTS 기질 변환으로 측정됨), 세포 배양물내 CR5/18 또는 천연형 sgp130Fc의 생활성을 측정하였다. CR5/18은 천연형 sgp130Fc 보다 생활성이 높았으며, 이는 sgp130Fc (IC50 ≒ 800 ng/mL)가 여전히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ca. 400 ng/mL 농도에서의 IC50 값이 었다(도 3). 이러한 결과는, CR5/18을 천연형 화합물의 치료 농도에 거의 절반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SEQUENCE LISTING <110> Conaris research institute AG <120> Improved sgp130Fc dimers <130> C 1087 <140> PCT/EP2007/005812 <141> 2007-06-29 <150> EP06013668 <151> 2006-06-30 <160> 9 <170> PatentIn version 3.2 <210> 1 <211> 4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 Ala Glu Gly Ala 1 <210> 2 <211> 4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 Leu Leu Gly Gly 1 <210> 3 <211> 20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Ala Glu Gly 1 5 10 15 Ala Pro Ser Val 20 <210> 4 <211> 20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Leu Leu Gly 1 5 10 15 Gly Pro Ser Val 20 <210> 5 <211> 20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UTAGEN <222> (14) <223> Xaa is Ala or Phe <220> <221> MUTAGEN <222> (15) <223> Xaa is Asp or Glu <400> 5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Xaa Xaa Gly 1 5 10 15 Ala Pro Ser Val 20 <210> 6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tant 1; hinge region IgG1 <400> 6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Ala Glu Gly 1 5 10 15 Ala Pro Ser Val 20 <210> 7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tant 2; hinge region of IgG1 <400> 7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Ala Asp Gly 1 5 10 15 Ala Pro Ser Val 20 <210> 8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tant 3; hinge region of IgG1 <400> 8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Phe Glu Gly 1 5 10 15 Ala Pro Ser Val 20 <210> 9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tant 4; hinge region of IgG1 <400> 9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Phe Asp Gly 1 5 10 15 Ala Pro Ser Val 20

Claims (18)

  1. 작용성 복합체 IL-6/sIL-6R의 활성을 저해할 수 있는, 2개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 이량체로서,
    상기 단량체 각각은 IgG1 단백질의 Fc 도메인에 융합된 수용성 gp130 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Fc 도메인의 힌지 영역은 아미노산 서열 Asp221-Lys222-Thr223-His224-Thr225-Cys226-Pro227-Pro228-Cys229-Pro230-Ala231-Pro232-Glu233-Ala234-Glu235-Gly236-Ala237-Pro238-Ser239-Val2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폴리펩타이드 이량체(아미노산 잔기번호는 IgG1 분자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이하에서도 같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gp130 분자가 IgG1 단백질의 Fc 도메인의 힌지 영역에 직접 또는 플렉서블 폴리펩타이드 링커를 통해 융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펩타이드 이량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커가 글리신, 세린, 아스파라긴, 트레오닌 및 알라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2 내지 50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링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펩타이드 이량체.
  9. 제1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N-당화 부위가 수용성 gp130 분자와 Fc 도메인 사이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펩타이드 이량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가 단순 공유 결합, 플렉서블 펩타이드 링커 또는 하나 이상의 이황화 결합을 통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펩타이드 이량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량체 중 하나 이상의 단량체가 페길화된(PEGylat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펩타이드 이량체.
  12. 제1항에 따른 폴리펩타이드 이량체의 단량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13. 제12항에 따른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14. 제13항에 따른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
  15. 제14항의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숙주 세포 또는 배양물로부터 단량체 또는 이량체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폴리펩타이드 이량체를 생산하는 방법.
  16. 제1항에 따른 폴리펩타이드 이량체를 포함하는, 골 흡수(bone resorption), 칼슘 고혈증, 악액질, 종양 또는 그외 타입의 암, 자가면역 질환, 염증 또는 아토피 질환 및 감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리학적 조성물.
  17. 삭제
  18. 제1항의 폴리펩티드 이량체를 사용하여 골 흡수, 칼슘 고혈증, 악액질, 종양 또는 그외 타입의 암, 자가면역 질환, 염증 또는 아토피 질환 및 감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097001634A 2006-06-30 2007-06-29 개선된 sgp130Fc 이량체 KR101474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013668A EP1873166B1 (en) 2006-06-30 2006-06-30 Improved sgp 130Fc dimers
EP06013668.6 2006-06-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365A Division KR20140107702A (ko) 2006-06-30 2007-06-29 개선된 sgp130Fc 이량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898A KR20090037898A (ko) 2009-04-16
KR101474817B1 true KR101474817B1 (ko) 2014-12-22

Family

ID=3765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634A KR101474817B1 (ko) 2006-06-30 2007-06-29 개선된 sgp130Fc 이량체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3) US8895012B2 (ko)
EP (1) EP1873166B1 (ko)
JP (1) JP5417171B2 (ko)
KR (1) KR101474817B1 (ko)
CN (1) CN101484472B (ko)
AT (1) ATE480568T1 (ko)
AU (1) AU2007263939B2 (ko)
BR (1) BRPI0713063B8 (ko)
CA (1) CA2656440C (ko)
CY (1) CY1110973T1 (ko)
DE (1) DE602006016765D1 (ko)
DK (1) DK1873166T3 (ko)
EA (1) EA015620B1 (ko)
ES (1) ES2352561T3 (ko)
HR (1) HRP20100663T1 (ko)
PL (1) PL1873166T3 (ko)
PT (1) PT1873166E (ko)
RS (1) RS51544B (ko)
SI (1) SI1873166T1 (ko)
UA (1) UA95636C2 (ko)
WO (1) WO200800051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80568T1 (de) 2006-06-30 2010-09-15 Conaris Res Inst Ag Verbesserte sgp 130fc dimere
CA2690825C (en) 2007-05-11 2019-02-12 Altor Bioscience Corporation Fusion molecules and il-15 variants
EP2050759A1 (en) * 2007-10-19 2009-04-22 CONARIS research institute AG Soluble gp 130 muteins with improved binding activity
KR20140020228A (ko) * 2010-09-21 2014-02-18 알토 바이오사이언스 코포레이션 다량체성 아이엘 15 용해성 융합 분자 및 그의 제조 및 사용 방법
US11053299B2 (en) 2010-09-21 2021-07-06 Immunity Bio, Inc. Superkine
EP3139660B1 (en) * 2013-09-20 2021-01-20 Intel Corporation Ap location query
EP3673915A1 (en) 2014-06-30 2020-07-01 Altor BioScience Corporation Il-15-based molecul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566082B2 (en) 2014-11-17 2023-01-31 Cytiva Bioprocess R&D Ab Mutated immunoglobulin-binding polypeptides
MA41116A (fr) * 2014-12-01 2017-10-10 Ferring Bv Compositions d'inhibiteur de trans-signalisation par l'il-6 sélectif
DK3226888T3 (da) * 2014-12-01 2021-07-12 Ferring Bv Administration af en selektiv inhibitor af il-6-trans-signalering
US10703774B2 (en) 2016-09-30 2020-07-07 Ge Healthcare Bioprocess R&D Ab Separation method
EP3455241B1 (en) 2016-05-11 2022-02-23 Cytiva BioProcess R&D AB Method of cleaning and/or sanitizing a separation matrix
US10730908B2 (en) 2016-05-11 2020-08-04 Ge Healthcare Bioprocess R&D Ab Separation method
US10654887B2 (en) 2016-05-11 2020-05-19 Ge Healthcare Bio-Process R&D Ab Separation matrix
WO2017194592A1 (en) 2016-05-11 2017-11-16 Ge Healthcare Bioprocess R&D Ab Method of storing a separation matrix
CN109071613A (zh) 2016-05-11 2018-12-21 通用电气医疗集团生物工艺研发股份公司 分离基质
US10889615B2 (en) 2016-05-11 2021-01-12 Cytiva Bioprocess R&D Ab Mutated immunoglobulin-binding polypeptides
EP3529263A4 (en) 2016-10-21 2020-07-08 Altor BioScience Corporation MULTIMERIC MOLECULES BASED ON IL-15
CN108593912A (zh) * 2018-04-09 2018-09-28 北京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可溶性cd38浓度的检测方法
CN108318689A (zh) * 2018-04-09 2018-07-24 北京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多发性骨髓瘤的诊断方法
BR112022025166A2 (pt) 2020-06-10 2022-12-27 Ferring Bv Composto farmacêutico para o tratamento de doença cardiovascular aterosclerótica
WO2022139580A1 (en) 2020-12-22 2022-06-30 Ferring B.V. Blood gene expression biomarkers to predict response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s
CN118043639A (zh) * 2021-09-01 2024-05-14 泰利斯制药(创新)有限公司 聚集体分离方法
WO2024011946A1 (en) * 2022-07-12 2024-01-18 I-Mab Biopharma (Hangzhou) Co., Ltd Polypeptide dimers for the treatment of systemic sclerosi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8957A2 (en) * 2000-02-11 2001-08-16 Lexigen Pharmaceuticals Corp. Enhancing the circulating half-life of antibody-based fusion proteins
EP1148065A1 (en) * 2000-04-21 2001-10-24 Stefan Rose-John Fusion proteins comprising two soluble gp130 molecules
WO2003008454A2 (en) * 2001-07-18 2003-01-30 Merck Patent Gmbh Glycoprotein vi fusion protein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1180A (en) 1985-03-28 1988-06-14 Chiron Corporation Expression using fused genes providing for protein product
JPH04218000A (ja) 1990-02-13 1992-08-07 Kirin Amgen Inc 修飾ポリペプチド
WO1994012520A1 (en) 1992-11-20 1994-06-09 Enzon, Inc. Linker for linked fusion polypeptides
US5457035A (en) * 1993-07-23 1995-10-10 Immunex Corporation Cytokine which is a ligand for OX40
US5783672A (en) 1994-05-26 1998-07-21 Immunex Corporation Receptor for oncostatin M
PL199659B1 (pl) * 1998-02-25 2008-10-31 Merck Patent Gmbh Białko fuzyjne przeciwciała hu-KS IL2, cząsteczka DNA kodująca białko fuzyjne przeciwciała hu-KS IL2 i sposób wytwarzania białka fuzyjnego przeciwciała hu-KS IL2
US6472179B2 (en) 1998-09-25 2002-10-29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Receptor based antagonis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DE19941897B4 (de) 1999-09-02 2006-06-14 GSF - Forschungszentrum für Umwelt und Gesundheit GmbH IL-6 Rezeptor-Protein, Beta-Kette (gp130) des IL-6 Rezeptor-Proteins, für diese Proteine kodierende DNA, davon abgeleitete RNA, Peptid mit den Aminosäuren 771-811 dieser Beta-Kette oder Teilen davon und deren Verwendungen
KR20030097876A (ko) 2001-05-21 2003-12-31 넥타르 테라퓨틱스 화학적으로 개질된 인슐린의 폐 투여
AU2002356511A1 (en) * 2001-07-30 2003-04-01 Immunex Corporation T. reesei phytase enyzmes, polynucleides encoding the enzymes, vectors and host cells thereof, and methods of using
CA2526169A1 (en) * 2003-06-12 2004-12-23 Eli Lilly And Company Fusion proteins
EP1491554A1 (en) 2003-06-23 2004-12-29 CONARIS research institute AG PEGylated soluble gp130-dimers useful as a medicament
KR20060124656A (ko) * 2003-12-31 2006-12-05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개선된 약물동태를 가지는 Fc-에리스로포이에틴 융합단백질
PT1630232E (pt) 2004-08-27 2008-10-02 Conaris Res Inst Ag Sequências de nucleótidos optimizadas que codificam sgp130
EP1801121A1 (en) 2005-12-23 2007-06-27 CONARIS research institute AG Soluble gp130 molecule variants useful as a medicament
ATE480568T1 (de) 2006-06-30 2010-09-15 Conaris Res Inst Ag Verbesserte sgp 130fc dime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8957A2 (en) * 2000-02-11 2001-08-16 Lexigen Pharmaceuticals Corp. Enhancing the circulating half-life of antibody-based fusion proteins
EP1148065A1 (en) * 2000-04-21 2001-10-24 Stefan Rose-John Fusion proteins comprising two soluble gp130 molecules
WO2003008454A2 (en) * 2001-07-18 2003-01-30 Merck Patent Gmbh Glycoprotein vi fusion protein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Immunol. 147(8): 2657-2662(1991. 10. 1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73166B1 (en) 2010-09-08
ES2352561T3 (es) 2011-02-21
US20100028367A1 (en) 2010-02-04
US9573989B2 (en) 2017-02-21
UA95636C2 (en) 2011-08-25
CN101484472A (zh) 2009-07-15
HRP20100663T1 (hr) 2011-01-31
WO2008000516A3 (en) 2008-03-27
WO2008000516B1 (en) 2008-05-08
AU2007263939B2 (en) 2011-11-24
JP2009540843A (ja) 2009-11-26
PL1873166T3 (pl) 2011-03-31
WO2008000516A2 (en) 2008-01-03
CY1110973T1 (el) 2015-06-11
AU2007263939A1 (en) 2008-01-03
CN101484472B (zh) 2013-07-24
CA2656440C (en) 2018-10-02
US9034817B2 (en) 2015-05-19
EA200802396A1 (ru) 2009-06-30
EP1873166A1 (en) 2008-01-02
US20140178378A1 (en) 2014-06-26
DK1873166T3 (da) 2010-12-20
BRPI0713063B1 (pt) 2019-10-08
SI1873166T1 (sl) 2011-01-31
US8895012B2 (en) 2014-11-25
PT1873166E (pt) 2010-12-09
RS51544B (en) 2011-06-30
EA015620B1 (ru) 2011-10-31
US20150361157A1 (en) 2015-12-17
KR20090037898A (ko) 2009-04-16
CA2656440A1 (en) 2008-01-03
DE602006016765D1 (de) 2010-10-21
BRPI0713063B8 (pt) 2021-05-25
JP5417171B2 (ja) 2014-02-12
BRPI0713063A2 (pt) 2012-04-17
ATE480568T1 (de)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817B1 (ko) 개선된 sgp130Fc 이량체
JP2753287B2 (ja) インターロイキン―1受容体
KR20180100237A (ko)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를 위한 조절 t 세포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분자
US7629147B2 (en) PEGylated soluble GP130-dimers useful as a medicament
US7851182B2 (en) Soluble GP130 molecule variants useful as a medicament
JP5581214B2 (ja) 改善された結合活性をもつ可溶性gp130変異蛋白質
US20150044237A1 (en) Chimeric molecule involving oligomerized fasl extracellular domain
KR20140107702A (ko) 개선된 sgp130Fc 이량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