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739B1 - 악세스플로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악세스플로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739B1
KR101474739B1 KR20130098928A KR20130098928A KR101474739B1 KR 101474739 B1 KR101474739 B1 KR 101474739B1 KR 20130098928 A KR20130098928 A KR 20130098928A KR 20130098928 A KR20130098928 A KR 20130098928A KR 101474739 B1 KR101474739 B1 KR 101474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oad
reinforcement
floor panel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8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복
Original Assignee
박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복 filed Critical 박태복
Priority to KR20130098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3/00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악세스플로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악세스플로어 패널은: 바닥판부와, 바닥판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리브부 및 리브부의 지지하중을 보강하는 지지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악세스플로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ACCESS FLOOR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악세스플로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린룸의 생산제품과 제조장비의 대형화에 대응할 수 있는 악세스플로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중 마루 시스템이란, 반도체와 같은 고집적회로제조실, 유전자공학연구실 등 생산 및 연구를 하기 위해 각종 특수장비가 설치되는 클린룸의 바닥에서, 외부의 미세한 먼지 및 분진, 미립자 등을 효과적으로 흡수 제거하면서 각종 특수장비의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시켜 일측 바닥에 집중되는 하중으로 인해 균열되거나 침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높이로 세워진 패널로 구성된 마루시스템을 의미한다.
또한, 이 이중 마루 시스템에서 상부를 지지하는 판상의 부재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 퍼포레이터 패널과 다수의 홀이 형성되지 않은 블라인드 패널로 이루어진다.
퍼포레이트 패널은 다수의 유통공을 포함한다. 유통공은 한류공기의 방지나 특수기계의 발열에 따른 과열방지가 요구되는 위치 또는 실내의 온도와 습도조절 및 먼지, 분지, 미립자 등의 흡수제거를 위한 곳에 형성된 작은 구멍들을 말한다.
퍼포레이트 패널의 하부에는 지지패널이 구비된 플로어로 구성된다. 플로어의 하부에는 각종 배기장치 및 케이블이 배설되어져 있으므로 반도체 클린룸의 바닥판부 플로어는 일정높이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최근에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업계의 제품 동향이 점차 대형화 됨에 따라 생산제품과 제조장비의 대형화를 이룬다. 따라서, 이에 대응하게 위해 고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패널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편, 국내 특허출원 제2010-0023303호(공개일:2010.09.29)에는 "이중마루용 퍼포레이트 바닥패널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하중을 격상시킬 수 있고, 클린룸의 생산제품과 제조장비의 대형화에 대응할 수 있는 악세스플로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보강부의 결속력이 향상되어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은: 바닥판부와, 상기 바닥판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리브부 및 상기 리브부의 지지하중을 보강하는 지지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보강부는 상기 바닥판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하는 하중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중분산부는 상기 지지보강부의 상하면에 구비되는 제1하중분산돌기와 상기 지지보강부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2하중분산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보강부는 상기 리브부 내부에 구비되는 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보강부는 가장자리에 위치된 상기 리브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보강부는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보강부는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브부에 구비되는 각각의 상기 지지보강부는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보강부에는 상기 리브부와 결속을 강화하는 결속강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강화부는 상기 리브부의 금형 사출 시 원료가 수용되도록 상기 지지보강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리브부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보강부는 스틸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제조방법은 (a) 지지보강부를 제작하는 단계와, (b) 하부금형에 상기 지지보강부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와, (c) 상기 하부금형에 상부금형을 결합하는 단계와, (d) 상기 상,하부금형 내에 원료를 주입하는 단계 및 (e) 상기 원료가 냉각되어 악세스플로어 패널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금형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단계는 상기 지지보강부의 상하면과 측면에 하중분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중분산부는 상기 지지보강부의 상하면에 구비되는 제1하중분산돌기와 상기 지지보강부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2하중분산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지지보강부의 상기 제2하중분산돌기가 상기 하부금형의 내측면에 접하여 상기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사출 시 유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지지보강부의 상기 제1하중분산돌기는 상기 하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에 접하여 상기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사출 시 유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단계는 상기 지지보강부의 측면에는 상기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사출 시 원료가 수용되는 결속강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강화부는 상기 지지보강부를 관통하는 관통홀로 이루어지고, 상기 (d)단계에서 주입되는 원료는 상기 결속강화부에 의해 막힘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은 내부에 지지보강부가 인서트 사출되어 지지하중을 격상시킬 수 있어 클린룸의 생산제품과 제조장비의 대형화에 대응할 수 있으며, 지지보강부의 하중분산부에 의해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보강부의 하중분산부가 금형 내면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어 제품의 인서트 사출 시 지지보강부의 유동이 방지되어 정확한 위치에 결속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지보강부에는 관통홀로 이루어진 결속강화부가 구비되어 사출 시 금형 내로 원료의 흐름이 용이하고, 리브부와 지지보강부의 접촉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상호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일부절개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에 인서트 사출되는 지지보강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지지보강부의 제1변형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지지보강부의 제2변형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지지보강부의 제3변형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제조방법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에 인서트 사출되는 지지보강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100)은 바닥판부, 리브부(120) 및 지지보강부(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악세스플로어 패널(100)은 고하중 패널로 사용될 수 있다.
바닥판부(110)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리브부(120)는 바닥판부(110)의 저면에 형성된다.
리브부(120)는 제1리브(122)와 제2리브(124)로 이루어지며, 제1리브(122)는 바닥판부(110)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1리브(122)는 바닥판부(110)의 저면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바닥판부(110)의 상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바닥판부(110) 전체에 분산하여 지지한다.
이러한 제1리브(122)의 각 모서리에는 플로어에 안착되는 평탄도조정부(130)가 구비된다. 평탄도조정부(130)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저면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2리브(124)는 바닥판부(110)의 저면에 형성되어 제1리브(122)와 연결된다. 제2리브(124)는 제1리브(122)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바닥판부(110)의 상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더욱 세밀하게 분산시켜 지지한다.
바닥판부(110)와 리브부(12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금형 사출로 제작되고,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판부(110)와 리브부(120)의 재질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한 것이 아니며 마그네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지지보강부(140)는 리브부(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리브부(120)의 지지하중을 보강한다. 지지보강부(140)는 스틸재질로 이루어지며, 금형 내에 삽입되어 리브부(120)에 인서트 사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보강부(140)가 리브부(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브부(120)의 지지하중을 보강하기 위하여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보강부(140)는 바닥판부(11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하는 하중분산부(150)를 포함한다. 하중분산부(150)는 지지보강부(140)의 상하면에 구비되는 제1하중분산돌기(152)와 지지보강부(140)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2하중분산돌기(1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지지보강부(140)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부(120) 내부에 구비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하중분산돌기(152)는 지지보강부(140)의 상하면에 형성되어 지지보강부(140)의 상하면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자체 강성을 유지하고 상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리브부(120)와 접촉면적을 넓게 형성할 수 있어 리브부(120)와 지지보강부(140)의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다.
제2하중분산돌기(154)는 제1하중분산돌기(152)와 같이 지지보강부(140)의 자체 강성을 유지함으로 물론, 상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측면으로 분산하여 하중을 지지하며, 리브부(120)와 지지보강부(140)의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다.
제1하중분산돌기(152)와 제2하중분산돌기(154)는 다양한 형상의 돌기로 변형될 수도 있다.
지지보강부(140)에는 리브부(120)와 결속을 강화하는 결속강화부(160)를 포함한다. 결속강화부(160)는 리브부(120)의 금형 사출 시 원료가 수용되도록 지지보강부(140)에 형성되는 관통홀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지지보강부의 제1변형예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지지보강부의 제2변형예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지지보강부의 제3변형예이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보강부(14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지지보강부(140)의 단부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지지보강부(140)의 금형에 삽입작업이 용이하고,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지보강부(140)는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금형(10)의 가장자리에 지지보강부(140)의 개구된 부위가 하부를 향하도록 삽입되어 인서트 사출된다. 이때, 제2리브(124)는 바닥판부(110)의 저면에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내부에 지지보강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각각의 지지보강부(14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연결부재(170)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170)는 스틸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연결부재(170)는 금형에서 리브부(120)가 형성되는 공간상에 위치되어 리브부(120)에 인서트 사출된다. 이때, 연결부재(170)는 대향되는 지지보강부(140)를 상호 연결하고, 제2리브(124) 내에 인서트 사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1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100)의 제조방법을 보인 블록도이다. 우선, 지지보강부(140)를 제작한다(S10). 지지보강부(140)는 스틸재질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중분산부(150)와 결속강화부(160)가 형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지지보강부(140)의 상하면에는 돌출 형성되는 제1하중분산돌기(152)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돌출 형성되는 제2하중분산돌기(154)가 형성된다. 이는 지지보강부(140)의 자체 강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바닥판부(110)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강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결속강화부(160)는 지지보강부(140)에 형성되는 관통홀로 이루어져 지지보강부(140)와 리브부(120)의 결속력을 강화한다.
이처럼 제작된 지지보강부(140)는 하부금형(1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S20). 하부금형(10)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주입부(1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리브부(120)를 형성할 수 있는 형틀이 마련된다. 지지보강부(140)는 하부금형(10)의 형틀 사이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지지보강부(140)의 측면에는 제2하중분산돌기(154)가 형성되므로, 제2하중분산돌기(154)는 하부금형(10) 내면에 즉, 형틀에 접하여 지지보강부(140)의 위치를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후, 하부금형(10)의 상부에 상부금형(20)을 결합한다(S30). 상부금형(20)은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이루지며, 하부금형(10)의 형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므로 바닥판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지지보강부(140)의 상하면에는 제1하중분산돌기(152)가 돌출 형성되므로 하면에 형성되는 제1하중분산돌기(152)는 하부금형(10)의 바닥판부에 접하고, 상면에 형성되는 제1하중분산돌기(152)는 상부금형(20)의 내측면에 접하여 하부금형(10) 내에서 지지보강부(14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하부금형(10)과 상부금형(20)이 결합되면, 상,하부금형(10) 내에 원료를 주입한다(S40). 원료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며, 하부금형(10)의 주입부(12)를 통해 내부로 주입된다. 이때, 지지보강부(140)는 하중분산부(150)에 의해 하부금형(10) 내에 견고히 고정되므로 원료주입에 의한 유동이 방지되어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관통홀로 이루어진 결속강화부(160)에 의해 원료의 원활한 주입이 가능하다. 즉, 결속강화부(160)에 의해 원료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상,하부금형(10)에 원료주입이 완료되면, 원료를 냉각하고, 원료가 응고되면, 상,하부금형(10)을 분리하여 금형으로부터 악세스플로어 패널(100)을 분리시킨다.
금형 사출 이후, 악세스플로어 패널(100)에 형성되는 버(Burr)는 제거되어 악세스플로어 패널(100)을 완성한다.
한편, 지지보강부(140)를 제작하는데 있어, 지지보강부(140)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도 7 내지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보강부(140)는 각각의 지지보강부(140)의 단부가 상호 연결되어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각각의 지지보강부(140)가 'ㄷ'자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각각의 지지보강부(140)가 별도의 연결부재(170)인 스틸와이어에 의해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는 지지보강부(140)의 지지강성을 향상시켜 바닥판부(11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더욱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스플로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내부에 지지보강부가 인서트 사출되어 지지하중을 격상시킬 수 있어 클린룸의 생산제품과 제조장비의 대형화에 대응할 수 있으며, 지지보강부의 하중분산부가 금형 내면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어 제품의 인서트 사출 시 지지보강부의 유동이 방지되어 정확한 위치에 결속될 수 있고, 결속강화부에 의해 금형 내로 원료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고, 리브부와 지지보강부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상호 결속력을 강화하므로써, 제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악세스플로어 패널 110 : 바닥판부
120 : 리브부 122 : 제1리브
124 : 제2리브 130 : 평탄도조정부
140 : 지지보강부 150 : 하중분산부
152 : 제1하중분산돌기 154 : 제2하중분산돌기
160 : 결속강화부 170 : 연결부재

Claims (16)

  1. 바닥판부;
    상기 바닥판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리브부; 및
    상기 리브부의 지지하중을 보강하는 지지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보강부는 상기 바닥판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하는 하중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중분산부는 상기 지지보강부의 상하면에 구비되는 제1하중분산돌기와 상기 지지보강부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2하중분산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플로어 패널.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보강부는 상기 리브부 내부에 구비되는 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플로어 패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보강부는 가장자리에 위치된 상기 리브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보강부는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플로어 패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보강부는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플로어 패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에 구비되는 각각의 상기 지지보강부는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플로어 패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보강부에는 상기 리브부와 결속을 강화하는 결속강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플로어 패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강화부는 상기 리브부의 금형 사출 시 원료가 수용되도록 상기 지지보강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플로어 패널.
  10. 제 1항, 제 4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리브부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보강부는 스틸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플로어 패널.
  11. (a) 지지보강부를 제작하는 단계;
    (b) 하부금형에 상기 지지보강부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
    (c) 상기 하부금형에 상부금형을 결합하는 단계;
    (d) 상기 상,하부금형 내에 원료를 주입하는 단계; 및
    (e) 상기 원료가 냉각되어 악세스플로어 패널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금형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단계는 상기 지지보강부의 상하면과 측면에 하중분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중분산부는 상기 지지보강부의 상하면에 구비되는 제1하중분산돌기와 상기 지지보강부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2하중분산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지지보강부의 상기 제2하중분산돌기가 상기 하부금형의 내측면에 접하여 상기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사출 시 유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제조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지지보강부의 상기 제1하중분산돌기는 상기 하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에 접하여 상기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사출 시 유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제조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지지보강부의 측면에는 상기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사출 시 원료가 수용되는 결속강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제조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강화부는 상기 지지보강부를 관통하는 관통홀로 이루어지고;
    상기 (d)단계에서 주입되는 원료는 상기 결속강화부에 의해 막힘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플로어 패널의 제조방법.
KR20130098928A 2013-08-21 2013-08-21 악세스플로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4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928A KR101474739B1 (ko) 2013-08-21 2013-08-21 악세스플로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928A KR101474739B1 (ko) 2013-08-21 2013-08-21 악세스플로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4739B1 true KR101474739B1 (ko) 2014-12-19

Family

ID=52679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8928A KR101474739B1 (ko) 2013-08-21 2013-08-21 악세스플로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7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8731A (ko) * 2020-06-01 2021-12-08 (주)엘엑스하우시스 이중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420Y1 (ko) * 2005-09-12 2005-12-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휨보강재가 삽입된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을 이용한이중바닥구조용 바닥 구성재
KR100961162B1 (ko) 2010-01-21 2010-06-08 주식회사 서경 클린룸 바닥용 다공패널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420Y1 (ko) * 2005-09-12 2005-12-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휨보강재가 삽입된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을 이용한이중바닥구조용 바닥 구성재
KR100961162B1 (ko) 2010-01-21 2010-06-08 주식회사 서경 클린룸 바닥용 다공패널과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8731A (ko) * 2020-06-01 2021-12-08 (주)엘엑스하우시스 이중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608361B1 (ko) * 2020-06-01 2023-11-29 (주)엘엑스하우시스 이중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8028B2 (en) Vehicle panel structure
KR102117314B1 (ko) 인터로킹 모듈형 기판 지지 칼럼
KR100961162B1 (ko) 클린룸 바닥용 다공패널과 그 제조방법
KR101474739B1 (ko) 악세스플로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88050A (ko) 고강도 패널
US7694720B2 (en) Sectional modular heat sink
KR101480874B1 (ko) 고하중 장비 동선용 알루미늄 억세스 플로어 패널
KR101340637B1 (ko) 클린룸용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52312B1 (ko) 이중마루용 다공패널의 제조방법
KR20060022720A (ko) 클린룸의 바닥 지지패널
CN211909485U (zh) 风扇支架和视频处理设备
JP6604763B2 (ja) 基礎パッキン
KR100666706B1 (ko) 항온항습기 설치용 조립식 프레임
CN109435021B (zh) 一种用于预制u型构件的模具组件及其使用方法
KR102086030B1 (ko)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어셈블리
KR20140117228A (ko) 악세스플로어패널
KR200401184Y1 (ko) 단자함
KR101908537B1 (ko) 프로파일 연결용 브라켓
CN102806615A (zh) 一种排气块
KR101910543B1 (ko) 다이아몬드형 성형면의 바닥패널 주조용 금형시스템
KR101352258B1 (ko) 국부 보강된 이중바닥재용 패널
KR101866481B1 (ko) 이중 마루시스템용 바닥패널
KR101684597B1 (ko) 도광판 제조장치
TWI551528B (zh) 塑料支撐結構、製造塑料支撐結構的方法以及顯示面板的托盤結構
EP3466550B1 (en) Scree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