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975B1 -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975B1
KR101473975B1 KR20130101648A KR20130101648A KR101473975B1 KR 101473975 B1 KR101473975 B1 KR 101473975B1 KR 20130101648 A KR20130101648 A KR 20130101648A KR 20130101648 A KR20130101648 A KR 20130101648A KR 101473975 B1 KR101473975 B1 KR 101473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cation
terminal
cloud server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용
김태겸
조근환
Original Assignee
대영유비텍 주식회사
강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유비텍 주식회사, 강상용 filed Critical 대영유비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1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기에 입력된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은 서버가 이를 기저장된 지도 정보에 반영하여 교통 시설물 설계 정보를 생성하는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도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 및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의 설정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정보가 반영되도록 기저장된 지도 정보를 수정한 수정 지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클라우드 서버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망; 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SIGN OF I.T.S. FACILITIES USING CLOUD SERVER}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기에 입력된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은 서버가 이를 기저장된 지도 정보에 반영하여 교통 시설물 설계 정보를 생성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 시설물 등의 설계 작업시에는, 현장 상황이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신호등, 교통 표지판,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 폐쇄회로 텔레비젼), AVI(Automatic vehicle identification : 차량 자동 인식장비), VDS(Vehicle Detection System : 교통량, 속도, 점유율 등을 측정하는 장비), VMS(Variable Message Sign : 교통 안내 전광판) 등과 같은 교통 시설물의 설계를 위해서는, 현장의 지형지물 정보가 반영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CCTV, AVI와 같은 교통 시설물은, 시야가 가리지 않는 3~4Km의 직선 구간에 설치되어야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위치 등의 설정에 있어서,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가 필수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즉, 건물, 교량, 육교와 같은 현장 구조물 정보뿐만 아니라, 가로수의 시야 가림, 전주의 연결 상황, 전력 맨홀의 위치 등과 같은 기타 구조물이나, 안개지역, 결빙지역, 침수지역, 산사태지역 등과 같은 자연현상에 관한 환경정보나 각종 공사지역, 교통량 과다지역, 사고 다발지역, 도로의 곡률 등과 같은 인위적 변화에 관한 환경정보를 파악하여야 교통 시설물을 효과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교통 시설물의 설치위치 등을 설계할 경우에는, 현장의 지형지물 등이 설치조건에 만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사전 현장조사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설계 방법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종래에는, 교통 시설물 설계를 위하여 현장 조사자가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현장의 교통 시설물 정보를 인쇄된 지도에 표시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지도의 오차 및 현장 조사자의 현장 실측 오차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지도에 표시되는 교통 시설물 정보에도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를 확인 또는 보정하기 위하여 다수회의 현장 방문이 이루어져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한편 최근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IT기기는, 길안내 서비스 및 위치 안내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서비스는, 단순히 특정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지나지 않으므로, 실제 시설물 설계 등에는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교통 시설물을 설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도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 및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의 설정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정보가 반영되도록 기저장된 지도 정보를 수정한 수정 지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클라우드 서버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망; 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교통 시설물이 설치될 위치에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으면, 신호를 입력받은 지점에서 수신한 위치 정보를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로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방법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의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 시스템을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적어도 도로가 표시된 지도 정보, 및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입력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가 반영되도록 상기 지도 정보를 수정한 상기 수정 지도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수정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수정 지도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정 정보 전송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및 그 방법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버에 전달되면, 서버는 이를 반영하여 수정 지도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서버는 상기 수정 지도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수정 지도 정보 상에 교통시설물의 위치를 확인하게 한다. 정확한 교통 시설물의 위치 정보가 최종적으로 확인되면, 상기 서버는 확인된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가 반영된 수정 지도 정보를 기초로 교통 시설물 설계 정보를 생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인쇄된 지도를 사용하여 지형지물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정확한 교통 시설물 정보의 입력 및 이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설계 정보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간단하게 교통 시설물의 위치 등을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보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보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방법의 제1실시예를 보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방법의 제2실시예를 보인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블럭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은, 단말기(100), 클라우드 서버(200) 및 통신망(300)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의 설정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이하에서는 '서버'라 칭함)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가 반영되도록 기저장된 지도 정보를 수정하여 수정 지도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상기 통신망(300)은, 이와 같은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서버(200)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100)는, 정보 저장부(110), 위치 정보 수신부(120), 위치 정보 매칭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 통신부(150), 및 중앙 처리부(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100)로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와 같은 각종 IT기기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정보 저장부(110)에는, 적어도 도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지도 정보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되거나, 기타 다른 외부 장치로부터 전달받아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저장부(110)에는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가 추가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란, 도로 조건, 관련된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 교통 시설물 설치 비용 등과 같이 각 교통 시설물의 종류에 따라 설치 위치의 설정시 고려되어야 할 조건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이란, 상기 서버(200) 등에서 기설정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 또는 설치 지역 등으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정보 저장부(110)에는, 상기 단말기(100)에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수신받은 수정 지도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CCTV의 경우, 전방으로 소정의 거리 이상 시야가 확보되는 직선 구간에 소정의 비용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설치 조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CCTV의 설치 조건은, 후술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에 CCTV의 설치가 가능한 위치 또는 지역으로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해당 위치 또는 지역별로 상기 CCTV의 설치비용이 각각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CCTV의 설치 조건이 기설정된 CCTV의 설치 위치 또는 설치 지역의 형태인 경우에는, 그 위치 또는 영역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에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20)는, 상기 단말기(100)가 위치한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받는다.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20)로는, GPS신호 수신부 또는 D-GPS 측위기 등이 별개 혹은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정보 매칭부(130)는,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20)가 수신받은 현재 위치 정보를 지도 상에서 상기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로 정의한다. 즉, 상기 위치 정보 매칭부(130)는, 현장 조사자(1)가 상기 지도상에서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20)가 수신받은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상에서 표시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상기 지도 정보를 상기 지도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상기 교통 시설물 설치 조건을 상기 지도 상에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상기 교통 시설물 설치 조건을 상기 지도상에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가 가능한 범위를 표시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가 가능한 범위별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비용이 각각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가 표시하는 상기 지도 상에는 상기 위치 정보 매칭부(130)에 의하여 정의된 상기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도 표시될 것이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의 설정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설치될 교통 시설물의 종류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은 후 선택된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50)는 상기 서버(2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부(150)는, 실질적으로 상기 통신망(300)을 통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 처리부(160)는 정보 저장부(110), 위치 정보 수신부(120), 위치 정보 매칭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 및 통신부(150)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처리부(16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의 설정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서버(200)로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중앙 처리부(16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가 상기 교통 시설물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교통 시설물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처리부(160)는,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으면, 신호를 입력받은 그 지점의 위치 정보를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로 상기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중앙 처리부(16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에 표시된 상기 지도상에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가 선택되면, 선택된 위치의 위치 정보를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로 상기 서버(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부(160)는, 상기 서버(200)로 수신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중앙 처리부(160)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상기 수정 지도 정보를 수신받으면, 상기 수정 지도 정보의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하여 상기 서버(200)로 수신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교통 시설물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의 생성 및 처리 등을 위한 각종 구성 요소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상기 단말기(100)로 송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200)는, 통신 모듈(210), 데이터베이스(220) 및 중앙 처리 모듈(23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통신 모듈(210)은, 상기 통신망(300)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100)와의 통신, 실질적으로 상기 통신부(15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20)는, 상기 지도 정보,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 수정 지도 정보 및 설계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지도 정보는, 예를 들면, 이미지 파일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고, 적어도 도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만, 추가적으로 지형지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계 정보는, 예를 들면, 통상적인 설계툴을 사용하여 디자인 가능한 CAD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 처리 모듈(230)은, 상기 통신 모듈(210) 및 데이터베이스(220)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 모듈(230)은, 실질적으로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가 반영되도록 상기 지도 정보에 수정하여 수정 지도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 모듈(230)은, 예를 들면,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받으면, 그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100)로 수신 확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중앙 처리 모듈(230)은, 상기 지도 정보 및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단말기(100)로 송신하거나, 상기 수정 지도 정보를 자동으로 상기 단말기(100)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중앙 처리 모듈(230)은, 기설정된 교통 시설물의 설계 규칙을 적용하여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 또는 설치 지역을 설정하고, 이에 관한 위치 좌표를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로 상기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 처리 모듈(230)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 또는 설치 지역을 설정하기 위하여, 교통 시설물 설계 규칙을 적용하는 소프트웨어가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망(300)은, 실질적으로 상기 단말기(100) 및 서버(200) 사이의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망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망(300)으로는, 2G, 3G, 및 LTE 통신망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보인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100)는, 정보 저장부(110), 위치 정보 수신부(120), 위치 정보 매칭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 통신부(150), 중앙 처리부(160), 및 지형지물 정보 입력부(170)를 포함한다. 그리고 서버(200)는, 통신 모듈(210), 데이터베이스(220), 중앙 처리 모듈(230), 디스플레이 모듈(240) 및 비상신호 입력 모듈(25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위치 정보 매칭부(130)는, 상기 지도 정보에 포함된 도로 정보 이외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지형지물을 포함하는 배경 지도 정보를 상기 지도 정보와 매칭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매칭된 상기 배경 지도 정보를 지도의 배경 지도로 표시한다. 이는, 현장 조사자(1)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에 표시된 상기 지도만으로는 현재의 위치를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에, 상기 배경 지도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현재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지형지물 정보 입력부(170)는, 현장의 지형지물 정보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지형지물 정보란, 현장 구조물, 교통 시설물, 기타 구조물 및 환경정보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예를 들면, 지형지물의 외관 및 용도, 면적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형지물 정보 입력부(170)는, 현장의 지형지물 정보를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등의 방법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형지물 정보 입력부(170)는,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과 별개 또는 함께 현장에 대한 환경정보를 키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40)은, 상기 중앙 처리 모듈(230)에서 진행되는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외부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로는, 모니터와 같은 영상디스플레이, 2D 또는 3D 도면출력 장치, 문서출력 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40)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가 반영되도록 상기 지도 정보를 수정한 상기 수정 지도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비상신호 입력 모듈(250)은,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의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면, 현재 위치 정보 오류 등으로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가 수정 지도 정보에 오반영되는 경우에, 설계자(2)는 상기 비상신호 입력 모듈(250)을 통하여 상기 서버(20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방법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방법의 제1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정보 입력단계(S10), 위치 확인단계(S20), 신호 입력단계(S30), 정보 전송단계(S40), 정보 수정단계(S50), 및 수정 정보 전송단계(6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정보 입력단계(S10)에서는, 단말기(100)가 적어도 도로가 표시된 지도 정보, 및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와 같은 상기 지도 정보 및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상기 단말기(100)에 전송되는 형태, 또는 다른 외부 장치로부터 전달받는 형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전송 또는 전달된 상기 지도 정보 및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는,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위치 확인단계(S20)에서는, 상기 단말기(100)가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 정보와 매칭하여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 실질적으로는, 위치 정보 수신부(120)는 자체의 GPS 및 외부 D-GPS 측위기를 이용하여,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위치 매칭부(130)는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 정보와 매칭하여 현재 위치를 정의하고, 정의된 현재 위치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에 표시된 지도 상에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신호 입력단계(S30)에서는, 상기 단말기(100), 실질적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상기 지도와 현재 위치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현장 조사자(1)가 여러 종류의 교통 시설물 중 설치할 교통 시설물의 종류를 선택하는 신호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입력한다. 이때 추가적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 중에서 선택된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이 기설정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 또는 설치 지역의 형태인 경우에는, 그 위치 또는 지역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처리부(16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가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서 선택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정보저장부(110)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현장 조사자(1)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가 가능한 위치 중 특정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에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한다. 특히,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에 기설정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 또는 설치 지역이 표시된 경우에는, 현장 조사자(1)가, 기설정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 또는 설치 지역으로 이동하여, 그 위치 또는 지역에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가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기설정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 또는 설치 지역에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현장 조사자(1)는, 그 위치 또는 그 지역 내의 어느 한 위치를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로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처리부(16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은 지점에서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20)가 수신한 위치 정보를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로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부(16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에 표시된 지도 상에서 선택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전송단계(S40)에서는,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통신망(300)을 통하여 상기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가 서버(200)로 전송되면,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기(100)로 수신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가 수신받은 수신 확인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가 표시함으로써, 현장 조사자(1)는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가 상기 서버(200)에 입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정단계(S50)에서는, 상기 서버(200)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가 반영되도록 기저장된 상기 지도 정보를 수정하여 수정 지도 정보를 생성한다. 실질적으로는, 상기 중앙 처리 모듈(230)이,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가 반영되도록 상기 지도 정보를 수정하여 수정 지도 정보를 생성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 처리 모듈(230)은, 상기 수정 지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수정 정보 전송단계(S60)에서는, 상기 서버(200)가 상기 수정 지도 정보를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전송된 상기 수정 지도 정보는, 상기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에 수정 지도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장 설계자(1)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가 표시하는 상기 수정 지도에 자신이 설정한 상기 교통 시스템의 종류 및 설치 위치가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 처리부(160)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상기 수정 지도 정보를 수신받으면, 이를 수신하였음을 확인하기 위한 수신 확인 메세지를 상기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정 지도 정보에 설정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가 반영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중앙 처리부(160)가 상기 서버(200)로 별도의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정 지도 정보를 설계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정 지도 정보에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가 정확하게 반영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상기 위치 확인단계(S20), 신호 입력단계(S30), 정보 전송단계(S40), 정보 수정단계(S50), 및 수정 정보 전송단계(S60)를 재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방법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방법의 제2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의 단계 중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방법의 제1실시예의 각 단계와 동일한 기능에 대해서는 도 4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정보 입력단계(S10), 위치 확인단계(S20), 신호 입력단계(S30), 지형지물 정보 입력단계(S35), 정보 전송단계(S40), 정보 수정단계(S50), 수정 정보 전송단계(S60)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는, 상술한 본 발명의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방법의 제1실시예에 비하여 상기 지형지물 정보 입력단계(S35)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형지물 정보 입력단계(S35)에서는, 상기 지형지물 정보 입력부(170)를 통하여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 주변의 지형지물 정보, 환경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형지물 정보 입력부(170)는, 현장 구조물이나 교통시설물 등을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등의 방법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형지물 정보 입력부(170)는,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과 별개 또는 함께, 현장에 대한 환경정보를 키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CCTV 설치 위치 주변에 교통사고 다발 지역이 있는 경우, 그 지역의 지형지물 정보를 사진 형태로 입력하거나, 사고 다발 기간을 키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입력단계(S10), 위치 확인단계(S20), 신호 입력단계(S30), 정보 전송단계(S40), 정보 수정단계(S50) 및 수정 정보 전송단계(S60)는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방법의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지도 자동 설계 방법이 실행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모듈(240)을 통하여 전체 설계시스템에 관한 각종 정보가 표시된다. 따라서 설계자(2)는 교통 시설물의 설계 과정에서의 오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설계자(2)는, 교통 시설물 설계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비상신호 입력 모듈(250)을 통하여 교통 시설물 설계 과정을 중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교통 시설물 설계 과정에서의 오류 확인 및 교통 시설물 설계 과정의 중지는, 정보 수정단계(S50), 수정 정보 전송단계(S60)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의 전후에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현장 조사자 2 : 설계자
100 : 단말기 110 : 정보 저장부
120 : 위치 정보 수신부 130 : 위치 정보 매칭부
14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50 : 통신부
160 : 중앙 처리부 170 : 지형지물 정보 입력부
200 : 서버 210 : 통신 모듈
220 : 데이터베이스 230 : 중앙 처리 모듈
240 : 디스플레이 모듈 250 : 비상 신호 입력 모듈
300 : 통신망

Claims (12)

  1.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도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 및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의 설정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정보가 반영되도록 기저장된 지도 정보를 수정한 수정 지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클라우드 서버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망; 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교통 시설물이 설치될 위치에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으면, 신호를 입력받은 지점에서 수신한 위치 정보를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로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지도 정보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부;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받는 위치 정보 수신부;
    상기 지도 정보를 지도로 표시하고, 상기 지도상에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의 설정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가 입력받은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지도상의 현재 위치로 정의하는 위치 정보 매칭부;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의 설정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신호를 입력받은 지점에서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위치 정보를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중앙처리부; 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에는,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가 더 저장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지도 상에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매칭부는, 상기 지도 정보에 포함된 도로 정보 이외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지형지물을 포함하는 배경 지도 정보를 상기 지도 정보와 매칭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배경 지도 정보를 상기 지도의 배경 지도로 표시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지형지물 정보를 입력받는 지형지물 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지도 정보,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수정 지도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수정 지도 정보를 생성하는 중앙 처리 모듈; 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가 반영되도록 상기 지도 정보를 수정한 상기 수정 지도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가 반영되도록 상기 지도 정보를 수정한 상기 수정 지도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비상신호 입력 모듈; 를 더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위치를 상기 수정 지도 정보 상에서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하고, 상기 수정 지도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모듈은, 상기 수정 지도 정보를 설계 정보로 변환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11.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 시스템을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적어도 도로가 표시된 지도 정보, 및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입력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가 반영되도록 상기 지도 정보를 수정한 상기 수정 지도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수정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수정 지도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정 정보 전송단계; 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송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교통 시설물이 설치될 위치에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으면, 신호를 입력받은 지점에서 수신한 위치 정보를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로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방법.
KR20130101648A 2013-08-27 2013-08-27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73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648A KR101473975B1 (ko) 2013-08-27 2013-08-27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648A KR101473975B1 (ko) 2013-08-27 2013-08-27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3975B1 true KR101473975B1 (ko) 2014-12-24

Family

ID=52679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1648A KR101473975B1 (ko) 2013-08-27 2013-08-27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97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029B1 (ko) * 2015-07-09 2016-03-24 대영유비텍 주식회사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도로 설계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3602A (ko) * 2014-12-17 2016-06-2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과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교차로 운영상태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13887A (ko) * 2019-03-27 2020-10-07 주식회사 더원테크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교통안전 시설물 설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236117B1 (ko) * 2020-08-05 2021-04-05 조창희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KR20220109252A (ko) * 2021-01-28 2022-08-04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 시설물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6998A (ja) * 1995-11-22 1997-06-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災設備設計cad装置
KR100705575B1 (ko) * 2006-08-11 2007-04-10 김은주 지피에스를 이용한 도로대장 구축방법
KR20090018038A (ko) * 2006-05-02 2009-02-19 텔레 아틀라스 노스 아메리카, 인크. 가상 데이터베이스 환경을 제공하고 디지털 맵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057005B1 (ko) * 2011-03-23 2011-08-16 아이리얼 주식회사 알에프아이디 및 유에스엔을 이용한 유에스엔 센서노드, 단말기, 도로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6998A (ja) * 1995-11-22 1997-06-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災設備設計cad装置
KR20090018038A (ko) * 2006-05-02 2009-02-19 텔레 아틀라스 노스 아메리카, 인크. 가상 데이터베이스 환경을 제공하고 디지털 맵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705575B1 (ko) * 2006-08-11 2007-04-10 김은주 지피에스를 이용한 도로대장 구축방법
KR101057005B1 (ko) * 2011-03-23 2011-08-16 아이리얼 주식회사 알에프아이디 및 유에스엔을 이용한 유에스엔 센서노드, 단말기, 도로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602A (ko) * 2014-12-17 2016-06-2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과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교차로 운영상태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63666B1 (ko) 2014-12-17 2016-10-07 한국교통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과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교차로 운영상태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6029B1 (ko) * 2015-07-09 2016-03-24 대영유비텍 주식회사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도로 설계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3887A (ko) * 2019-03-27 2020-10-07 주식회사 더원테크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교통안전 시설물 설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234492B1 (ko) * 2019-03-27 2021-04-05 주식회사 더원테크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교통안전 시설물 설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236117B1 (ko) * 2020-08-05 2021-04-05 조창희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KR20220109252A (ko) * 2021-01-28 2022-08-04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 시설물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06972B1 (ko) 2021-01-28 2023-03-06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 시설물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975B1 (ko)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97038B1 (ko) 디지털 맵의 디지털 모델을 생성 및/또는 업데이트하기 위한 시스템
JP4670770B2 (ja) 道路地図更新システムおよびその道路地図更新システムに用いる車両側装置
US20180224284A1 (en) Distributed autonomous mapping
CN104408968B (zh) 通过rfid车载终端实现停车导航的系统
JP5732340B2 (ja) 地図データ配信サーバ、地図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地図データ配信方法
CN109936816B (zh) 定位方法和通信设备
CN110992681B (zh) 交通路网属性信息生成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200070071A (ko) 위치 업데이트 방법, 위치 및 내비게이션 노선의 표시 방법, 차량과 시스템
US20230057394A1 (en) Cooperative vehicle-infrastructur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1934315B1 (ko) Ict 기반 ar을 이용한 건설 유지 관리 원스톱 시스템
CN104637300B (zh) 公路交通标志牌信息化普查分析与展示系统
CN101907465B (zh) 一种基于本地存取和无线下载相结合的地图的导航方法
KR20130086714A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현장설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6164655A (ja) インフラ設備の管理システムとその方法ならびにその表示システム、それに用いられるサーバ、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52784B1 (ko) 이동식 작업차량을 이용한 실시간 현장 영상 중계 시스템 및 영상 중계 방법
KR101226731B1 (ko) 지피에스 확인을 통한 변경된 지형지물의 수치지도 갱신방법
KR100787747B1 (ko) 차량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전면 도로 맵 영상 업데이트장치 및 그 방법
JP2011113245A (ja) 位置認識装置
CN110969704B (zh) 一种基于ar导视的标记生成跟踪方法及装置
KR101606029B1 (ko)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도로 설계 시스템 및 방법
KR102384443B1 (ko)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626022B1 (ko) 순찰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2215466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11460067B (zh) 导航路线自动更新的方法、装置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818

Effective date: 2014111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