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117B1 -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117B1
KR102236117B1 KR1020200097752A KR20200097752A KR102236117B1 KR 102236117 B1 KR102236117 B1 KR 102236117B1 KR 1020200097752 A KR1020200097752 A KR 1020200097752A KR 20200097752 A KR20200097752 A KR 20200097752A KR 102236117 B1 KR102236117 B1 KR 102236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oor
server
spark discharge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희
Original Assignee
조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창희 filed Critical 조창희
Priority to KR1020200097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5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heat trea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61Knobs or handles with protective cover, buffer or shock absor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4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with inner rigid member and outer cover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3/00Operation or control of locks by mechanical transmissions, e.g. from a distance
    • E05B53/003Operation or control of locks by mechanical transmissions, e.g. from a distance flexible
    • E05B53/005Bowd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06F11/327Alarm or error message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2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기에 입력된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은 서버가 이를 기저장된 지도 정보에 반영하여 교통 시설물 설계 정보를 생성하는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도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 및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의 설정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정보가 반영되도록 기저장된 지도 정보를 수정한 수정 지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클라우드 서버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망; 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DESIGN OF I.T.S. FACILITIES USING CLOUD SERVER}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기에 입력된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은 서버가 이를 기저장된 지도 정보에 반영하여 교통 시설물 설계 정보를 생성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 시설물 등의 설계 작업시에는, 현장 상황이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신호등, 교통 표지판,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 폐쇄회로 텔레비젼), AVI(Automatic vehicle identification : 차량 자동 인식장비), VDS(Vehicle Detection System : 교통량, 속도, 점유율 등을 측정하는 장비), VMS(Variable Message Sign : 교통 안내 전광판) 등과 같은 교통 시설물의 설계를 위해서는, 현장의 지형지물 정보가 반영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CCTV, AVI와 같은 교통 시설물은, 시야가 가리지 않는 3~4Km의 직선 구간에 설치되어야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위치 등의 설정에 있어서,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가 필수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즉, 건물, 교량, 육교와 같은 현장 구조물 정보뿐만 아니라, 가로수의 시야 가림, 전주의 연결 상황, 전력 맨홀의 위치 등과 같은 기타 구조물이나, 안개지역, 결빙지역, 침수지역, 산사태지역 등과 같은 자연현상에 관한 환경정보나 각종 공사지역, 교통량 과다지역, 사고 다발지역, 도로의 곡률 등과 같은 인위적 변화에 관한 환경정보를 파악하여야 교통 시설물을 효과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교통 시설물의 설치위치 등을 설계할 경우에는, 현장의 지형지물 등이 설치조건에 만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사전 현장조사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설계 방법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종래에는, 교통 시설물 설계를 위하여 현장 조사자가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현장의 교통 시설물 정보를 인쇄된 지도에 표시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지도의 오차 및 현장 조사자의 현장 실측 오차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지도에 표시되는 교통 시설물 정보에도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를 확인 또는 보정하기 위하여 다수회의 현장 방문이 이루어져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한편 최근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IT기기는, 길안내 서비스 및 위치 안내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서비스는, 단순히 특정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지나지 않으므로, 실제 시설물 설계 등에는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교통 시설물을 설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도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 및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의 설정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정보가 반영되도록 기저장된 지도 정보를 수정한 수정 지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와; 상기 단말기와 상기 클라우드 서버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망과; 상기 서버의 출입문에 설치하되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여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메인 도어와; 상기 메인 도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메인도어의 형상에 상응하여 사각패널 형상으로 제작되며 메인도어에 수평하게 설치하여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는 보조도어와; 상기 메인도어와 보조도어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타측은 강제 끼움결합 또는 열림상태가 되도록하는 문틀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메인도어(1100)는, 항온 항습조의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하되 인체의 키높이에 설치되며 도어의 모서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도어핸들(1110)과; 상기 도어 핸들의 상하좌우를 감싸는 형태이며 세로방향보다 가로방향이 더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도어핸들 커버(1120)와; 상기 도어핸들 커버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부재로서 도어핸들 커버를 보호하는 커버 마감부재(1130)와; 상기 도어핸들 커버의 일측에 설치되며 로터리 형태의 손잡이와 결합용 축으로 이루어지되 도어핸들 커버를 결합용 축이 삽입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메인도어와 보조도어 사이를 록킹상태 또는 언록킹 상태가 되도록 결정하는 쇄정용 레버(1140)와; 상기 쇄정용 레버의 일측에 연결되며 쇄정용 레버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 상응하여 회전하면서 쇄정용 레버의 동력을 외부로 전달시키는 동력전달용 와이어(1150)와; 상기 동력전달용 와이어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동시에 도어핸들 커버에 수직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며, 쇄정용 레버를 움직여서 동력전달용 와이어가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상하로 승하강 되면서 보조도어와 연결되거나 연결을 해제하는 쇄정용 볼트(116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보조도어(1200)는, 매인도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설치하되 메인도어의 도어핸들 및 도어핸들 커버가 위치하는 지점에 설치하며 각각의 내측에 C자형 채널이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도어핸들 및 도어핸들 커버를 결합시키거나 해제시켜 메인도어와 보조도어가 결합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용 레일(1210)과; 상기 가이드용 레일에 삽입되거나 해제되어 보조도어만을 별도로 사용할시에는 가이드용 레일을 따라 유동되어 가이드용 레일 사이의 공간부를 폐쇄하고, 메인도어와 보조도어가 동시에 개폐될 때에는 가이드용 레일 사이의 공간부를 오픈시켜 도어핸들의 동작시 자연스럽게 공간부의 오픈상태가 지속되도록 유도하는 슬라이딩 패널(1220)과; 상기 슬라이딩 패널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부재로서 슬라이딩 패널을 보호하는 패널 마감부재(1230)과; 상기 슬라이딩 패널의 상하부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패널이 가이드용 레일을 따라 자연스럽게 전후진하도록 보조하며 가이드용 레일을 C자형 채널을 좌우로 왕복하는 슬라이딩 돌기구(12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서버의 몸체 표면에 설치되어 서버의 훼손을 감지하기 위한 서버 훼손 감지수단(1)과; 상기 서버 훼손감지 수단(1)의 양쪽 접점을 연결하는 폐쇄형 라인으로 설치하며, 서버가 훼손될시에 폐쇄형 라인이 끊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서버 몸체의 훼손을 확인하여 경보신호를 외부에 출력하여 고장 수리를 유도하는 도체(2)와; 상기 서버 훼손 감지수단으로부터 서버의 훼손이 감지하게 되면 소정의 전원을 인가받아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수단(3)과; 상기 도체의 균열을 감지함에따라 소정의 전원전압을 인가받아 스위칭되고 상기 경보발생수단으로 소정의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상기 전류구동제어부(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전류구동제어부(4)는, 상기 서버 훼손 감지수단이 단락됨에 따라 소정의 전원전압을 공급받아 스위칭되고 전류통로를 형성하는 제 1 전자접촉수단(5) 및; 상기 제 1 스위치수단이 도통함에 따라 소정의 전류를 인가받아 스위칭되고 상기 경보발생수단으로 전류통로를 형성하는 제 2 전자접촉수단(6)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서버의 일단에는 오염공기 버너부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오염공기 버너부는,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과;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에 장착되어 불꽃방전을 자동으로 재점화 시키기 위한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과;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에 연결되어 불꽃방전 재점화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 수단(2222)은, 상기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의 테두리면에 설치되어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이 회전하면 동시에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2222a)와; 상기 피니언 기어(2222a)의 회전에 의해서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이며 피니언 기어(2222a)와 접촉면에 랙기어(2222e)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내측에 결합되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가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끝단과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시작단에 각각 접속되며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스위칭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인장 스프링(2222d)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는, 12볼트 리듐전지, 차량용 축전지 또는 일반용 전지를 다수개 직렬 연결하여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직류 전원부(2101)와; 상기 직류 전원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이 회전될때 스위칭되어 온이 되는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2102)와;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승압 회로부(2103)와; 상기 발진 승압 회로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2108)와; 상기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고압을 발생시키는 고압 승압 회로부(2107)와; 상기 고압 승압 회로부에 의해서 공급되는 고압의 전원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고압 방전 간격제(2113a, 2113b)와; 상기 고압 방전 간격제에 의해서 제공된 전원을 이용하여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점화시켜 불꽃이 타오르도록 유도하는 방전 전극(2114)과; 상기 방전 전극과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 및 방전 전극 점화용 스위칭부에 연결되며, 공간부에 불꽃이 발생되면 열전자에 의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되어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차단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 바람이나 습기에 의해서 불꽃방전 불꽃이 꺼지면 열전자의 소멸로 인하여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이에 따라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온 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하는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21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및 그 방법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버에 전달되면, 서버는 이를 반영하여 수정 지도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서버는 상기 수정 지도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수정 지도 정보 상에 교통시설물의 위치를 확인하게 한다. 정확한 교통 시설물의 위치 정보가 최종적으로 확인되면, 상기 서버는 확인된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가 반영된 수정 지도 정보를 기초로 교통 시설물 설계 정보를 생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인쇄된 지도를 사용하여 지형지물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정확한 교통 시설물 정보의 입력 및 이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설계 정보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간단하게 교통 시설물의 위치 등을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보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보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방법의 제1실시예를 보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방법의 제2실시예를 보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서버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서버 보조도어를 폐쇄하고 메인도어를 개방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서버 메인도어 및 쇄정용 레버 작동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서버 보조도어와 슬라이딩 패널 작동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서버 메인도어를 90도 개방시 메인도어와 보조도어의 열림 관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서버 메인도어를 180도 개방시 메인도어와 보조도어의 열림 관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서버 메인도어를 개방하고 보조도어를 폐쇄한 상태에서 슬라이등 도어로 보조도어의 공간부를 메꾸는 동작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서버 훼손 감시를 위한 회로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유해공기 제거를 위한 불꽃방전 구성 블록도.
도 15는 본 발명의 불꽃방전 회로의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 제 1 동작도.
도 16은 본 발명의 불꽃방전 회로의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 제 2 동작도.
도 17은 본 발명의 불꽃방전 회로의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 제 3 동작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보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보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방법의 제1실시예를 보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방법의 제2실시예를 보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서버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서버 보조도어를 폐쇄하고 메인도어를 개방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서버 메인도어 및 쇄정용 레버 작동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서버 보조도어와 슬라이딩 패널 작동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서버 메인도어를 90도 개방시 메인도어와 보조도어의 열림 관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서버 메인도어를 180도 개방시 메인도어와 보조도어의 열림 관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서버 메인도어를 개방하고 보조도어를 폐쇄한 상태에서 슬라이등 도어로 보조도어의 공간부를 메꾸는 동작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서버 훼손 감시를 위한 회로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유해공기 제거를 위한 불꽃방전 구성 블록도.
도 15는 본 발명의 불꽃방전 회로의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 제 1 동작도.
도 16은 본 발명의 불꽃방전 회로의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 제 2 동작도.
도 17은 본 발명의 불꽃방전 회로의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 제 3 동작도로서,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은, 단말기(100), 클라우드 서버(200) 및 통신망(300)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의 설정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이하에서는 '서버'라 칭함)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가 반영되도록 기저장된 지도 정보를 수정하여 수정 지도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상기 통신망(300)은, 이와 같은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서버(200)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100)는, 정보 저장부(110), 위치 정보 수신부(120), 위치 정보 매칭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 통신부(150), 및 중앙 처리부(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100)로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와 같은 각종 IT기기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정보 저장부(110)에는, 적어도 도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지도 정보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되거나, 기타 다른 외부 장치로부터 전달받아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저장부(110)에는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가 추가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란, 도로 조건, 관련된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 교통 시설물 설치 비용 등과 같이 각 교통 시설물의 종류에 따라 설치 위치의 설정시 고려되어야 할 조건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이란, 상기 서버(200) 등에서 기설정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 또는 설치 지역 등으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정보 저장부(110)에는, 상기 단말기(100)에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수신받은 수정 지도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CCTV의 경우, 전방으로 소정의 거리 이상 시야가 확보되는 직선 구간에 소정의 비용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설치 조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CCTV의 설치 조건은, 후술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에 CCTV의 설치가 가능한 위치 또는 지역으로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해당 위치 또는 지역별로 상기 CCTV의 설치비용이 각각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CCTV의 설치 조건이 기설정된 CCTV의 설치 위치 또는 설치 지역의 형태인 경우에는, 그 위치 또는 영역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에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20)는, 상기 단말기(100)가 위치한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받는다.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20)로는, GPS신호 수신부 또는 D-GPS 측위기 등이 별개 혹은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정보 매칭부(130)는,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20)가 수신받은 현재 위치 정보를 지도 상에서 상기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로 정의한다. 즉, 상기 위치 정보 매칭부(130)는, 현장 조사자(1)가 상기 지도상에서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20)가 수신받은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상에서 표시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상기 지도 정보를 상기 지도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상기 교통 시설물 설치 조건을 상기 지도 상에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상기 교통 시설물 설치 조건을 상기 지도상에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가 가능한 범위를 표시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가 가능한 범위별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비용이 각각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가 표시하는 상기 지도 상에는 상기 위치 정보 매칭부(130)에 의하여 정의된 상기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도 표시될 것이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의 설정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설치될 교통 시설물의 종류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은 후 선택된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50)는 상기 서버(2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부(150)는, 실질적으로 상기 통신망(300)을 통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 처리부(160)는 정보 저장부(110), 위치 정보 수신부(120), 위치 정보 매칭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 및 통신부(150)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처리부(16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의 설정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서버(200)로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중앙 처리부(16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가 상기 교통 시설물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교통 시설물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처리부(160)는,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으면, 신호를 입력받은 그 지점의 위치 정보를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로 상기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중앙 처리부(16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에 표시된 상기 지도상에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가 선택되면, 선택된 위치의 위치 정보를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로 상기 서버(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부(160)는, 상기 서버(200)로 수신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중앙 처리부(160)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상기 수정 지도 정보를 수신받으면, 상기 수정 지도 정보의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하여 상기 서버(200)로 수신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교통 시설물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의 생성 및 처리 등을 위한 각종 구성 요소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상기 단말기(100)로 송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200)는, 통신 모듈(210), 데이터베이스(220) 및 중앙 처리 모듈(23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통신 모듈(210)은, 상기 통신망(300)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100)와의 통신, 실질적으로 상기 통신부(15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20)는, 상기 지도 정보,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 수정 지도 정보 및 설계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지도 정보는, 예를 들면, 이미지 파일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고, 적어도 도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만, 추가적으로 지형지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계 정보는, 예를 들면, 통상적인 설계툴을 사용하여 디자인 가능한 CAD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 처리 모듈(230)은, 상기 통신 모듈(210) 및 데이터베이스(220)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 모듈(230)은, 실질적으로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가 반영되도록 상기 지도 정보에 수정하여 수정 지도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 모듈(230)은, 예를 들면,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받으면, 그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100)로 수신 확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중앙 처리 모듈(230)은, 상기 지도 정보 및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단말기(100)로 송신하거나, 상기 수정 지도 정보를 자동으로 상기 단말기(100)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중앙 처리 모듈(230)은, 기설정된 교통 시설물의 설계 규칙을 적용하여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 또는 설치 지역을 설정하고, 이에 관한 위치 좌표를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로 상기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 처리 모듈(230)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 또는 설치 지역을 설정하기 위하여, 교통 시설물 설계 규칙을 적용하는 소프트웨어가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망(300)은, 실질적으로 상기 단말기(100) 및 서버(200) 사이의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망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망(300)으로는, 2G, 3G, 및 LTE 통신망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보인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100)는, 정보 저장부(110), 위치 정보 수신부(120), 위치 정보 매칭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 통신부(150), 중앙 처리부(160), 및 지형지물 정보 입력부(170)를 포함한다. 그리고 서버(200)는, 통신 모듈(210), 데이터베이스(220), 중앙 처리 모듈(230), 디스플레이 모듈(240) 및 비상신호 입력 모듈(25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위치 정보 매칭부(130)는, 상기 지도 정보에 포함된 도로 정보 이외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지형지물을 포함하는 배경 지도 정보를 상기 지도 정보와 매칭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매칭된 상기 배경 지도 정보를 지도의 배경 지도로 표시한다. 이는, 현장 조사자(1)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에 표시된 상기 지도만으로는 현재의 위치를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에, 상기 배경 지도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현재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지형지물 정보 입력부(170)는, 현장의 지형지물 정보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지형지물 정보란, 현장 구조물, 교통 시설물, 기타 구조물 및 환경정보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예를 들면, 지형지물의 외관 및 용도, 면적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형지물 정보 입력부(170)는, 현장의 지형지물 정보를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등의 방법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형지물 정보 입력부(170)는,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과 별개 또는 함께 현장에 대한 환경정보를 키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40)은, 상기 중앙 처리 모듈(230)에서 진행되는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외부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로는, 모니터와 같은 영상디스플레이, 2D 또는 3D 도면출력 장치, 문서출력 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40)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가 반영되도록 상기 지도 정보를 수정한 상기 수정 지도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비상신호 입력 모듈(250)은,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의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면, 현재 위치 정보 오류 등으로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가 수정 지도 정보에 오반영되는 경우에, 설계자(2)는 상기 비상신호 입력 모듈(250)을 통하여 상기 서버(20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방법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방법의 제1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정보 입력단계(S10), 위치 확인단계(S20), 신호 입력단계(S30), 정보 전송단계(S40), 정보 수정단계(S50), 및 수정 정보 전송단계(6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정보 입력단계(S10)에서는, 단말기(100)가 적어도 도로가 표시된 지도 정보, 및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와 같은 상기 지도 정보 및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상기 단말기(100)에 전송되는 형태, 또는 다른 외부 장치로부터 전달받는 형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전송 또는 전달된 상기 지도 정보 및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는,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위치 확인단계(S20)에서는, 상기 단말기(100)가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 정보와 매칭하여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 실질적으로는, 위치 정보 수신부(120)는 자체의 GPS 및 외부 D-GPS 측위기를 이용하여,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위치 매칭부(130)는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 정보와 매칭하여 현재 위치를 정의하고, 정의된 현재 위치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에 표시된 지도 상에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신호 입력단계(S30)에서는, 상기 단말기(100), 실질적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상기 지도와 현재 위치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현장 조사자(1)가 여러 종류의 교통 시설물 중 설치할 교통 시설물의 종류를 선택하는 신호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입력한다. 이때 추가적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 중에서 선택된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이 기설정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 또는 설치 지역의 형태인 경우에는, 그 위치 또는 지역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처리부(16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가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서 선택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정보저장부(110)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현장 조사자(1)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가 가능한 위치 중 특정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에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한다. 특히,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에 기설정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 또는 설치 지역이 표시된 경우에는, 현장 조사자(1)가, 기설정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 또는 설치 지역으로 이동하여, 그 위치 또는 지역에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가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기설정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 또는 설치 지역에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현장 조사자(1)는, 그 위치 또는 그 지역 내의 어느 한 위치를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로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처리부(16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은 지점에서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20)가 수신한 위치 정보를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로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부(16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에 표시된 지도 상에서 선택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전송단계(S40)에서는,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통신망(300)을 통하여 상기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가 서버(200)로 전송되면,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기(100)로 수신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가 수신받은 수신 확인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가 표시함으로써, 현장 조사자(1)는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가 상기 서버(200)에 입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정단계(S50)에서는, 상기 서버(200)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가 반영되도록 기저장된 상기 지도 정보를 수정하여 수정 지도 정보를 생성한다. 실질적으로는, 상기 중앙 처리 모듈(230)이,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가 반영되도록 상기 지도 정보를 수정하여 수정 지도 정보를 생성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 처리 모듈(230)은, 상기 수정 지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수정 정보 전송단계(S60)에서는, 상기 서버(200)가 상기 수정 지도 정보를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전송된 상기 수정 지도 정보는, 상기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에 수정 지도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장 설계자(1)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가 표시하는 상기 수정 지도에 자신이 설정한 상기 교통 시스템의 종류 및 설치 위치가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 처리부(160)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상기 수정 지도 정보를 수신받으면, 이를 수신하였음을 확인하기 위한 수신 확인 메세지를 상기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정 지도 정보에 설정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가 반영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중앙 처리부(160)가 상기 서버(200)로 별도의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정 지도 정보를 설계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정 지도 정보에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가 정확하게 반영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상기 위치 확인단계(S20), 신호 입력단계(S30), 정보 전송단계(S40), 정보 수정단계(S50), 및 수정 정보 전송단계(S60)를 재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방법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방법의 제2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의 단계 중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방법의 제1실시예의 각 단계와 동일한 기능에 대해서는 도 4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정보 입력단계(S10), 위치 확인단계(S20), 신호 입력단계(S30), 지형지물 정보 입력단계(S35), 정보 전송단계(S40), 정보 수정단계(S50), 수정 정보 전송단계(S60)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는, 상술한 본 발명의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방법의 제1실시예에 비하여 상기 지형지물 정보 입력단계(S35)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형지물 정보 입력단계(S35)에서는, 상기 지형지물 정보 입력부(170)를 통하여 상기 교통 시설물의 설치 위치 주변의 지형지물 정보, 환경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형지물 정보 입력부(170)는, 현장 구조물이나 교통시설물 등을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등의 방법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형지물 정보 입력부(170)는,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과 별개 또는 함께, 현장에 대한 환경정보를 키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CCTV 설치 위치 주변에 교통사고 다발 지역이 있는 경우, 그 지역의 지형지물 정보를 사진 형태로 입력하거나, 사고 다발 기간을 키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입력단계(S10), 위치 확인단계(S20), 신호 입력단계(S30), 정보 전송단계(S40), 정보 수정단계(S50) 및 수정 정보 전송단계(S60)는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방법의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지도 자동 설계 방법이 실행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모듈(240)을 통하여 전체 설계시스템에 관한 각종 정보가 표시된다. 따라서 설계자(2)는 교통 시설물의 설계 과정에서의 오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설계자(2)는, 교통 시설물 설계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비상신호 입력 모듈(250)을 통하여 교통 시설물 설계 과정을 중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교통 시설물 설계 과정에서의 오류 확인 및 교통 시설물 설계 과정의 중지는, 정보 수정단계(S50), 수정 정보 전송단계(S60)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의 전후에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서버는 항온 항습을 위해서 출입문의 구조를 이중화할 필요가 있는바, 본 발명은 이중도어를 설치하여 항온 항습 기능을 유지한다. 그리고, 한번의 동작에 의해서 이중도어를 모두 개방할 수도 있고, 분리하여 한개의 도어만을 개방할 수도 있다.
즉, 사각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여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메인 도어(1100)와, 상기 메인 도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메인도어의 형상에 상응하여 사각패널 형상으로 제작되며 메인도어에 수평하게 설치하여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는 보조도어(1200)와, 상기 메인도어와 보조도어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타측은 강제 끼움결합 또는 열림상태가 되도록하는 문틀(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도어(1100)는 도어핸들(1110)과, 도어핸들 커버(1120)와, 커버 마감부재(1130)와, 쇄정용 레버(1140)와, 동력전달용 와이어(1150)와, 쇄정용 볼트(11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핸들(1110)은 도어의 오른쪽 또는 왼쪽 가장자리에 설치하되 인체의 키높이에 설치되며 도어의 모서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핸들 커버(1120)는 도어 핸들의 상하좌우를 감싸는 형태이며 세로방향보다 가로방향이 더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 마감부재(1130)는 도어핸들 커버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부재로서 도어핸들 커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쇄정용 레버(1140)는 도어핸들 커버의 일측에 설치되며 로터리 형태의 손잡이와 결합용 축으로 이루어지되 도어핸들 커버를 결합용 축이 삽입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메인도어와 보조도어 사이를 록킹상태 또는 언록킹 상태가 되도록 결정한다.
상기 동력전달용 와이어(1150)는 쇄정용 레버의 일측에 연결되며 쇄정용 레버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 상응하여 회전하면서 쇄정용 레버의 동력을 외부로 전달시킨다.
상기 쇄정용 볼트(1160)는 동력전달용 와이어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동시에 도어핸들 커버에 수직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며, 쇄정용 레버를 움직여서 동력전달용 와이어가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상하로 승하강 되면서 보조도어와 연결되거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보조도어(1200)는 가이드용 레일(1210)과, 슬라이딩 패널(1220)과, 패널 마감부재(1230)와, 슬라이딩 돌기구(1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용 레일(1210)은 보조도어의 일측의 상부와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설치하되 메인도어의 도어핸들 및 도어핸들 커버가 위치하는 지점에 설치하며 각각의 내측에 C자형 채널이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도어핸들 및 도어핸들 커버를 결합시키거나 해제시켜 메인도어와 보조도어가 결합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슬라이딩 패널(1220)은 가이드용 레일에 삽입되거나 해제되어 보조도어만을 별도로 사용할시에는 가이드용 레일을 따라 유동되어 가이드용 레일 사이의 공간부를 폐쇄하고, 메인도어와 보조도어가 동시에 개폐될 때에는 가이드용 레일 사이의 공간부를 오픈시켜 도어핸들의 동작시 자연스럽게 공간부의 오픈상태가 지속되도록 한다.
상기 패널 마감부재(1230)는 슬라이딩 패널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부재로서 슬라이딩 패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라이딩 돌기구(1240)는 슬라이딩 패널의 상하부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패널이 가이드용 레일을 따라 자연스럽게 전후진하도록 보조하며 가이드용 레일을 C자형 채널을 좌우로 왕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인도어(1100)와 보조도어(1200)가 동시에 움직이는 경우를 살펴보면, 먼저, 메인도어(1100)와 보조도어(1200)는 상호 연결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바, 메인도어(1100)의 도어핸들 커버(1110)에 장착된 쇄정용 볼트(1160)가 보조도어(1200)의 가이드용 레일(1210)에 삽입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메인도어(1100)에 장착된 도어핸들 커버(1120)와 보조도어(1200)에 장착된 가이드용 레일(1210)이 상호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메인도어(1100)가 열릴때 보조도어(1200)가 메인도어(1100)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열리게 되고, 메인도어(1100)가 닫힐때 보조도어(1200)가 메인도어(1100)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메인도어(1100)의 도어핸들 커버(1120)는 가이드 레일(1210)을 따라 슬라이딩 유동하게 되는바, 구체적으로는 도어핸들 커버(1120)의 상하단에 설치된 쇄정용 볼트(1160)가 가이드 레일(1210)을 따라 우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메인도어(1100)의 닫히는 동작을 살펴보면 메인도어(1100)를 닫게 되면 경첩이 작동하여 문틀(1300)을 중심으로 메인도어(1100)가 일정각도 닫히게되고, 보조도어(1200)가 동시에 경첩을 중심으로 유동하여 메인도어(1100)의 닫힘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닫히게 된다.
이때, 메인도어(1100)의 도어핸들 커버(1120)는 가이드 레일(1210)을 따라 슬라이딩 유동하게 되는바, 구체적으로는 도어핸들 커버(1120)의 상하단에 설치된 쇄정용 볼트(1160)가 가이드 레일(1210)을 따라 좌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도어(1100)와 보조도어(1200)는 연결상태를 지속시키게 되므로 메인도어(1100)의 도어핸들(1110)을 열고 닫는 행위만으로 보조도어(1200)가 열리거나 닫히게 되어 동작이 보다 편리하다.
즉, 메인도어(1100)의 도어핸들(1110)을 열면 자동으로 보조도어(1200)가 열리고, 메인도어(1100)의 도어핸들(1110)을 닫으면 자동으로 보조도어(1200)가 닫히게 되어 보다 편리하게 보조도어(1200)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온도보존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보조도어(1200)를 이용하는 경우 메인도어(1100)의 도어핸들(1110)만을 조작하면 되므로 사용상 편리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메인도어(1100)와 보조도어(1200)를 별도로 움직이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인도어(1100)와 보조도어(1200)를 분리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메인도어(1100)의 도어핸들(1110)에 장착된 쇄정용 레버(113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쇄정용 레버(1140)에 연결된 동력전달용 와이어(1150)가 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동력전달용 와이어(1150)에 연결된 쇄정용 볼트(1160)가 작동하게 되어 보조도어(1200)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210)로부터 메인도어(1100)가 분리된다.
즉, 쇄정용 레버(1140)를 작동시키면 쇄정용 볼트(1160)가 도어핸들 커버(1120)의 중심축으로 위치이동되면서 가이드 레일(1210)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이때 메인도어(1100)를 움직이게 되면 메인도어(1100)와 보조도어(1200)가 완전히 분리되게 된다.
이후, 상기 보조도어(1200)의 가이드 레일(1210) 중앙은 공간부(1211)가 형성된 상태이므로 폐쇄하기 위해 슬라이딩 패널(1220)을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때 슬라이딩 패널(1220)의 상하에 설치된 슬라이딩 돌기구(1240)가 가이드 레일(1210)을 따라 이동하므로 보다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패널(1220)의 움직임이 마무리되면 보조도어(1200)의 가이드 레일(1210)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부(1211)를 완전하게 메꾸게 되며, 이에 따라 보조도어(1200)를 투명창으로 사용할 경우 보조도어(1200) 전체가 완전하게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서버의 훼손을 감지하는 도체(2)를 서버 몸체에 부착시키며, 서버 몸체에 균열이 발생하여 훼손될 경우 램프 또는 스피커로 경보를 출력토록 구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도체에 전류를 공급(VCC, GND)하고, 상기 도체(2)가 설치된 부분이 훼손으로 인하여 균열이 조금 더 심화되면, 도체(2)가 단락하게 되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고, 이를 감지수단(1)에서 파악하여 경보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도면을 살펴보면, 서버 훼손 감지수단(1)과, 알람출력수단(3), 및 전류구동제어부(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서버 훼손 감지수단(1)은 전원전압(VCC)과 접지전압(GND) 사이의 전류통로에 연결되고 갈라짐이 발생하면 도체(2)가 단락되어 전류흐름을 차단하고 상기 전원전압(VCC)을 풀다운되는 것을 방지하여 훼손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알람출력수단(3)은 상기 서버 훼손 감지수단(1)이 서버의 균열에 따른 훼손을 감지하게 되면 소정의 전원전압(VCC)을 인가받아 경보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전류구동제어부(4)는 상기 서버 훼손 감지수단(1)이 단락됨에 따라 소정의 전원전압을 인가받아 스위칭되고 상기 알람출력수단(3)으로 전원전압(VCC)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류구동제어부(4)는 상기 서버 훼손 감지수단(1)이 단락됨에 따라 소정의 전원전압(VCC)을 공급받아 스위칭되고 전류통로를 형성하는 제 1 전자접촉수단(5)과, 상기 제 1 전자접촉수단(5)이 도통함에 따라 소정의 전류를 인가받아 스위칭되고 상기 알람출력수단(3)으로 전류통로를 형성하는 제 2 전자접촉수단(6)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1 전자접촉수단(5)은 트랜지스터소자이고, 제 2 전자접촉수단(6)은 릴레이소자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회로구성에 따라 다른 전자접촉소자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전반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원전압(VCC)과 접지전압(GND) 사이에 설치된 서버 훼손 감지수단(1)이 서버의 균열에 따른 훼손으로 인하여 감지수단인 도체(2)가 단락되면, 제 1 노드(Nd1)의 전위는 전원전압(VCC)의 전위로 상승되고 상승된 전위로 인하여 제 1 전자접촉수단(21)의 입력단에는 고전압이 형성되어 전자접촉수단이 턴-온된다.
상기 제 1 전자접촉수단(5)이 턴-온됨에 따라 형성된 전류통로로 인하여 제 2 전자접촉수단(6)의 입력단의 전류통로도 도통되고, 상기 제 2 전자접촉수단(6)의 입력단에 인가되는 전류로 인해 강한 자계가 형성되고 상기 자계로 인해 출력단의 전저접촉수단이 스위칭된다.
상기 제 2 전자접촉수단(6)의 출력단의 도통으로 인하여 알람출력수단(3)은 소정의 전원전압(VCC)을 공급받아 경보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작업자는 서버 균열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서버 훼손 감지수단(1)이 설치된 부위의 균열이 더 이상 심화되지 않을 때는 도체(2)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전원전압(VCC)은 감지수단인 도체(2)를 통하여 접지전압(GND)으로 모두 풀다운되므로 제 1 및 제 2 전자접촉수단(5, 6)은 턴-오프되고, 경보신호(3)는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서버 주변에 오염공기가 존재하면 서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바, 오염공기를 태워 없애서 서버 주변이 오염원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한다.
즉, 서버 일측에 오염공기 버너부를 부가 설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오염공기를 제거하되, 불꽃방전에 의해서 불꽃 점화시킴으로서 유해물질을 태워 없애도록 장치를 구성한다.
오염공기 버너부(2000)의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에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을 더 장착하여 구성하고,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에는 불꽃방전 재점화를 위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가 접점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끝단은 전기 출력단에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작동시킬때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이 동시에 작동되며, 이에 따라 초기 불꽃방전을 점화시키고, 이후 불꽃방전이 외부의 바람이나 습기의 요인에 의해서 꺼지게 되면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에 연동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가 작동하여 불꽃방전을 재점화시켜 불꽃방전이 꺼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회전시키게 되면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를 온 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출력단에 연결된 방전 전극이 점화되면서 전기를 점화시키게 된다. 방전 전극에 의해서 점화되면 방전 전극에 제공되는 전원이 오프되어 더이상 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이때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이 스위칭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는 계속 작동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 바람이나 습기의 요인에 의해서 불꽃방전의 불꽃이 꺼지게 되면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다시 방전 전극을 점화시켜 불꽃방전을 점화시키게 되어 불꽃방전에 의한 불꽃이 계속적으로 유지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2201은 전원 공급부이고, 2210은 전원 공급 조절부이며, 2220은 전원공급 라인이다. 이때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회전시키게 되면 불꽃방전을 위한 전기가 공급되어 불꽃방전 불꽃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에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이 결합되어 있어서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가동시키면 동시에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이 작동되면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를 스위칭 시키는 것이 주요한 특징이다.
즉, 본 발명은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작동시키게 되면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이 작동되면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를 기계적으로 터치하여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은, 피니언 기어(2222a)와,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와,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와, 인장 스프링(2222d)으로 구성한다.
상기 피니언 기어(2222a)는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의 테두리면에 설치되어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이 회전하면 동시에 회전한다.
상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는 피니언 기어(2222a)의 회전에 의해서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이며 피니언 기어(2222a)와 접촉면에 랙기어(2222e)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는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내측에 결합되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가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인장 스프링(2222d)은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끝단과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시작단에 각각 접속되며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스위칭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불꽃방전을 점화시키기 위해서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회전시키게 되면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의 테두리면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2222a)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2222a)가 회전하게 되면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랙기어(2222e)가 움직이면서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가 오른쪽으로 움직인다.
그러면,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내측에 결합되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가 움직여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를 스위칭 시킨다.
이후,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을 계속 회전시켜 불꽃방전 불꽃을 크게 하기 위해 전기 공급량을 증가시키게 되면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가 계속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때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는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에 터치된 상태이므로 인장 스프링이 늘어나서 더이상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가 움직이지 않토록 한다.
즉,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계속적으로 회전시켜 피니언 기어가 계속 회전되더라도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는 움직이지 않고 단지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스위칭 상태만을 계속 유지시키는 것이다.
아울러,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반대로 회전시켜 불꽃방전 불꽃을 줄이도록 동작시키면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가 좌측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때 인장 스프링(2222d)이 작동하게 되므로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는 움직이지 않고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스위칭 상태를 계속 유지시키게 된다.
이후,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완전히 돌리게 되면 그때서야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를 따라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가 움직여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스위칭을 오프시키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는 직류 전원부(2101)와,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2102)와, 발진 승압회로부(2103)와,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2108)와, 고압 승압회로부(2107)와, 고압 방전 간격제(2113a, 2113b)와, 방전 전극(2114)과, 방전 전극 오프용 스위칭부(2118)로 이루어진다.
상기 직류 전원부(2101)는 12볼트 리듐전지, 차량용 축전지 또는 일반용 전지를 다수개 직렬 연결하여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2102)는 직류 전원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이 회전될때 스위칭되어 온이 된다.
상기 발진 승압 회로부(2103)는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한다.
상기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2108)는 발진 승압 회로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된다.
상기 고압 승압 회로부(2107)는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고압을 발생시킨다.
상기 고압 방전 간격제(2113a, 2113b)는 고압 승압 회로부에 의해서 공급되는 고압의 전원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방전 전극(2114)은 고압 방전 간격제에 의해서 제공된 전원을 이용하여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점화시켜 불꽃이 발생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2118)는 방전 전극과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 및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에 연결되며, 불꽃방전에 따른 불꽃이 발생되면 열전자에 의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되어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차단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 바람이나 습기에 의해서 불꽃방전 불꽃이 꺼지면 열전자의 소멸로 인하여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이에 따라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온 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2102)가 온 되면 직류 전원(2101)이 연결되어 발진 승압 회로부(2103)에 전원이 인가되고, 발진 승압 회로부(2103)의 2차측에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
2차측에 유기된 전원은 정류다이오드(2106)를 통해 반파의 직류 전원이 되고, 이 반파 직류전원은 콘덴서(2121)의 충방전 작용으로 인하여 보다 안정된 직류 전원이 된다.
이 직류 전원은 고압 승압 회로부(2107)의 1차 코일을 거쳐 사이리스터(방전 전극 스위칭부, 2108)의 애노드단에 인가되고, 한편 이 직류 전원은 저항을 통해 콘덴서(2110)에 충전작용을 하게 된다. 상승된 전압은 다이악(2111)을 통과하면서 방전 전극 스위칭부(2108)를 트리거하여 에노드단과 케소드단이 스위칭되어 고압 ㅅ트랜승압 회로부(2107)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하고, 이에 따라 고압 승압 회로부(2107)의 2차 코일에 고압 전압이 유기되며, 이 유기된 고압 전압은 방전 간격제(2113a, 2113b) 사이에 2차 방전을 일으키고 방전 전극(2114) 사이에 불꽃 방전을 일으킨다.
이 불꽃 방전은 방전 전극(2114)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공간부에 점화작용을 하게 된다. 이렇게 공간부에 점화가 되면 불꽃에 의해 방전 전극 양단에 열전자에 의해서 유기 전압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유기 전압은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2118)의 베이스단을 활성화시키면서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2118)의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에 폐회로를 유도하여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
즉, 저항(2119)과 콘덴서(2110) 사이의 전압이 다이오드(2120)를 통해 방전 전극 오프용 스위칭부(2118)의 에미터 단자 및 콜렉터 단자 사이로 흘러 바이패스되며 이 바이패스에 의한 저항(2109)과 콘덴서(2110)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고, 이렇게 저항(2109)과 콘덴서(2110)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면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108)로 향하는 트리거 신호를 멈추게 되어 에노드단과 케스단이 오프되면서 고압 승압 회로부(2107)의 1차 코일 및 2차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방전 전극 사이의 불꽃 방전을 멈추게 된다.
만약 외부 바람등의 영향으로 불꽃방전 작용이 멈추게 되면 방전 전극(2114)의 양단에는 열전자에 의해서 흐르전 전류의 흐름이 없어지게 되고, 이렇게 됨으로서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2118)의 에미터단과 베이스단 사이에 흐르는 바이어스 전압이 사라져서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2118)가 오프된다.
상기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2118)가 오프되면서 다이오드(2120)를 통한 저항(2109)과 콘덴서(2110) 사이의 바이패스 전압이 없어지고 이 전압은 콘덴서(2110)에 충전된다.
이 충전된 전압이 다이악(2111)의 브레이크 오버 현상을 이르키게 되고 다이악에서 트리거 신호를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2108)에 보냄으로서 다시 불꽃방전을 시작하게 된다.
1 : 현장 조사자 2 : 설계자
100 : 단말기 110 : 정보 저장부
120 : 위치 정보 수신부 130 : 위치 정보 매칭부
14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50 : 통신부
160 : 중앙 처리부 170 : 지형지물 정보 입력부
200 : 서버 210 : 통신 모듈
220 : 데이터베이스 230 : 중앙 처리 모듈
240 : 디스플레이 모듈 250 : 비상 신호 입력 모듈
300 : 통신망

Claims (6)

  1.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도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 및 교통 시설물의 설치 조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의 설정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교통 시설물의 종류 및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정보가 반영되도록 기저장된 지도 정보를 수정한 수정 지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와;
    상기 단말기와 상기 클라우드 서버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망과;
    상기 서버의 출입문에 설치하되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여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메인 도어(1100)와;
    상기 메인 도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메인도어의 형상에 상응하여 사각패널 형상으로 제작되며 메인도어에 수평하게 설치하여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는 보조도어(1200)와;
    상기 메인도어와 보조도어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타측은 강제 끼움결합 또는 열림상태가 되도록하는 문틀(1300)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메인도어(1100)는,
    항온 항습조의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하되 인체의 키높이에 설치되며 도어의 모서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도어핸들(1110)과;
    상기 도어 핸들의 상하좌우를 감싸는 형태이며 세로방향보다 가로방향이 더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도어핸들 커버(1120)와;
    상기 도어핸들 커버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부재로서 도어핸들 커버를 보호하는 커버 마감부재(1130)와;
    상기 도어핸들 커버의 일측에 설치되며 로터리 형태의 손잡이와 결합용 축으로 이루어지되 도어핸들 커버를 결합용 축이 삽입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메인도어와 보조도어 사이를 록킹상태 또는 언록킹 상태가 되도록 결정하는 쇄정용 레버(1140)와;
    상기 쇄정용 레버의 일측에 연결되며 쇄정용 레버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 상응하여 회전하면서 쇄정용 레버의 동력을 외부로 전달시키는 동력전달용 와이어(1150)와;
    상기 동력전달용 와이어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동시에 도어핸들 커버에 수직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며, 쇄정용 레버를 움직여서 동력전달용 와이어가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상하로 승하강 되면서 보조도어와 연결되거나 연결을 해제하는 쇄정용 볼트(116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보조도어(1200)는,
    매인도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설치하되 메인도어의 도어핸들 및 도어핸들 커버가 위치하는 지점에 설치하며 각각의 내측에 C자형 채널이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도어핸들 및 도어핸들 커버를 결합시키거나 해제시켜 메인도어와 보조도어가 결합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용 레일(1210)과;
    상기 가이드용 레일에 삽입되거나 해제되어 보조도어만을 별도로 사용할시에는 가이드용 레일을 따라 유동되어 가이드용 레일 사이의 공간부를 폐쇄하고, 메인도어와 보조도어가 동시에 개폐될 때에는 가이드용 레일 사이의 공간부를 오픈시켜 도어핸들의 동작시 자연스럽게 공간부의 오픈상태가 지속되도록 유도하는 슬라이딩 패널(1220)과;
    상기 슬라이딩 패널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부재로서 슬라이딩 패널을 보호하는 패널 마감부재(1230)과;
    상기 슬라이딩 패널의 상하부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패널이 가이드용 레일을 따라 자연스럽게 전후진하도록 보조하며 가이드용 레일을 C자형 채널을 좌우로 왕복하는 슬라이딩 돌기구(124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서버의 몸체 표면에 설치되어 서버의 훼손을 감지하기 위한 서버 훼손 감지수단(1)과;
    상기 서버 훼손감지 수단(1)의 양쪽 접점을 연결하는 폐쇄형 라인으로 설치하며, 서버가 훼손될시에 폐쇄형 라인이 끊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서버 몸체의 훼손을 확인하여 경보신호를 외부에 출력하여 고장 수리를 유도하는 도체(2)와;
    상기 서버 훼손 감지수단으로부터 서버의 훼손이 감지하게 되면 소정의 전원을 인가받아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수단(3)과;
    상기 도체의 균열을 감지함에따라 소정의 전원전압을 인가받아 스위칭되고 상기 경보발생수단으로 소정의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전류구동제어부(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전류구동제어부(4)는,
    상기 서버 훼손 감지수단이 단락됨에 따라 소정의 전원전압을 공급받아 스위칭되고 전류통로를 형성하는 제 1 전자접촉수단(5) 및;
    상기 제 1 전자접촉수단이 도통함에 따라 소정의 전류를 인가받아 스위칭되고 상기 경보발생수단으로 전류통로를 형성하는 제 2 전자접촉수단(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일단에는 오염공기 버너부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오염공기 버너부는,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과;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에 장착되어 불꽃방전을 자동으로 재점화 시키기 위한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과;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에 연결되어 불꽃방전 재점화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은,
    상기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의 테두리면에 설치되어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이 회전하면 동시에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2222a)와;
    상기 피니언 기어(2222a)의 회전에 의해서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이며 피니언 기어(2222a)와 접촉면에 랙기어(2222e)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내측에 결합되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가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끝단과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시작단에 각각 접속되며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스위칭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인장 스프링(2222d)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는,
    12볼트 리듐전지, 차량용 축전지 또는 일반용 전지를 다수개 직렬 연결하여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직류 전원부(2101)와;
    상기 직류 전원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이 회전될때 스위칭되어 온이 되는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2102)와;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승압 회로부(2103)와;
    상기 발진 승압 회로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2108)와;
    상기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고압을 발생시키는 고압 승압 회로부(2107)와;
    상기 고압 승압 회로부에 의해서 공급되는 고압의 전원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고압 방전 간격제(2113a, 2113b)와;
    상기 고압 방전 간격제에 의해서 제공된 전원을 이용하여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점화시켜 불꽃이 타오르도록 유도하는 방전 전극(2114)과;
    상기 방전 전극과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 및 방전 전극 점화용 스위칭부에 연결되며, 공간부에 불꽃이 발생되면 열전자에 의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되어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차단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 바람이나 습기에 의해서 불꽃방전 불꽃이 꺼지면 열전자의 소멸로 인하여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이에 따라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온 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하는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21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KR1020200097752A 2020-08-05 2020-08-05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KR102236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752A KR102236117B1 (ko) 2020-08-05 2020-08-05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752A KR102236117B1 (ko) 2020-08-05 2020-08-05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117B1 true KR102236117B1 (ko) 2021-04-05

Family

ID=75461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752A KR102236117B1 (ko) 2020-08-05 2020-08-05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1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154B1 (ko) * 2022-05-11 2023-08-07 조창희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도로 경관 디자인 설계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9497A (ja) * 1997-10-07 2001-10-23 リテ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リーラジカルを使用して燃料の燃焼からの排気ガス中の汚染物質を低減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473975B1 (ko) * 2013-08-27 2014-12-24 대영유비텍 주식회사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88836Y1 (ko) * 2017-04-11 2019-03-27 이헌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9497A (ja) * 1997-10-07 2001-10-23 リテ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リーラジカルを使用して燃料の燃焼からの排気ガス中の汚染物質を低減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473975B1 (ko) * 2013-08-27 2014-12-24 대영유비텍 주식회사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88836Y1 (ko) * 2017-04-11 2019-03-27 이헌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154B1 (ko) * 2022-05-11 2023-08-07 조창희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도로 경관 디자인 설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153B1 (ko)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도로 설계 시스템
KR101162749B1 (ko) 교통신호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36117B1 (ko)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KR101947673B1 (ko) 앱을 이용한 가로등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22541B1 (ko) 스마트 가로등,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WO2019174098A1 (zh) 基于路灯和灯杆实现智慧城市物联网建设的系统和方法
CN110148272B (zh) 一种消防通道的监控方法、监控装置及消防通道系统
CN105722293A (zh) 一种智能路灯杆
KR101621668B1 (ko) 발광형 교통표지판 관리 시스템
KR101015952B1 (ko) 교통 상황 관제 시스템
KR102236119B1 (ko) 도로 설계 도면의 관리서버
CN105627237A (zh) 无线监控太阳能路灯及其监控方法
CN205487203U (zh) 一种公路隧道智能疏散照明指示系统
KR101962344B1 (ko) 정보제공 가로등 및 시스템 그리고 이의 운영 방법
KR102020048B1 (ko) 대기 환경 관리 가로등 및 시스템 그리고 이의 운영 방법
CN110706442B (zh) 一种电容感应式探测系统
KR102101619B1 (ko) 모션 디텍팅 기술을 이용하여 가로등의 전원제어가 가능한 영상감시시스템
KR101473975B1 (ko)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교통 시설물 위치 설계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19360B1 (ko) 영상감시장치(cctv) 및 그 제어방법
KR102193910B1 (ko) 다기능 도로환경 인지 시스템
KR102163106B1 (ko) 맨홀 및 물놀이 장소의 누전 경보 시스템
KR102168662B1 (ko) 보행자 가이드 모듈, 이의 운영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안내 시스템
CN206819158U (zh) 基于多频融合通信技术的电缆隧道综合监测机器人装置
JP2014020989A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案内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208190306U (zh) 垃圾桶以及垃圾桶的充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