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344B1 - 정보제공 가로등 및 시스템 그리고 이의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제공 가로등 및 시스템 그리고 이의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344B1
KR101962344B1 KR1020170089751A KR20170089751A KR101962344B1 KR 101962344 B1 KR101962344 B1 KR 101962344B1 KR 1020170089751 A KR1020170089751 A KR 1020170089751A KR 20170089751 A KR20170089751 A KR 20170089751A KR 101962344 B1 KR101962344 B1 KR 101962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etlight
smart
unit
commun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8486A (ko
Inventor
박완선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주)다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울 filed Critical (주)다울
Priority to KR1020170089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344B1/ko
Publication of KR20190008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5B37/0254
    • H05B37/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2Advertising message recorded in a memory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가로등 및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마트 가로등의 신호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고, 각 가로등의 고장 진단 및 원격 관제를 수행하는 통합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정보제공 가로등 및 시스템 그리고 이의 운영 방법{STREET LAMP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L INFORM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정보제공 가로등 및 시스템 그리고 이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화거리 조성을 위한 IoT 기반의 정보제공 가로등 및 시스템 그리고 이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로등은 주로 주택가 골목을 지나는 보행자 및 운전자를 위한 야간 조명 및 방범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이들 가로등은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되고 있으나, 그 설치 개수가 매우 많아 고장 점검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대부분, 주민들로부터 가로등 고장 신고를 접수한 지방자치단체의 가로등 관리자가 현장을 방문하여 확인한 후 가로등을 교체하는 등 수리를 하고 있다.
최근에는 가로등의 방범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일 예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22921호 발명에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방법 기능이 강화된 가로등도 이상 발생시 긴급 조치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근래에는 가로등의 전원을 태양광을 이용한 기술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이 경우 태양광 배터리 고장 등으로 인하여 그 불편함이 더욱 커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가로등은 지역마다 거리마다 위치해 있지만, 단순 어둠을 밝히는 역할만을 하고 있고 이를 활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특허 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22921호 (특허 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0764171호 (특허 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40685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IoT 기능을 통해 에너지 절감 및 고장, 전력 누수 등의 자동 감지가 가능하여 특화된 도시 거리 형성이 가능한 정보제공 가로등 및 시스템 그리고 이의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하는 광원부와, 스마트 가로등의 고장 유무를 센싱하는 제 3 고장 센서부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와이파이부와, 광고 및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표시부와, 광고 및 이벤트 정보를 수신 및 제공하는 통신부와, 각부를 고정하는 제 3 고정 몸체부와, 제 3 스마트 가로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3 가로등 제어부와, 영상을 촬영하는 제 3 영상 촬영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가로등; 및 상기 스마트 가로등의 신호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고, 각 가로등의 고장 진단 및 원격 관제를 수행하는 통합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통합 관제 서버는 스마트 가로등 및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 모듈과, 스마트 가로등의 동작 및 정보 제공 여부를 제어하는 가로등 관제 모듈과, 스마트 가로등 이상 발생을 알려주는 알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항 또는 제2항의 스마트 가로등으로 구성된 다수의 그룹으로 분리된 가로등 그룹과, 각 가로등 그룹 내의 스마트 가로등 각각의 제어하고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서브 중계기와, 상기 서브 중계기들의 정보를 수신하고, 통합 관제 서버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메인 중계기 및 메인 중계기와 통신하여 스마트 가로등의 관제와 보안 이슈에 대한 제어 수행하는 통합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을 제공한다.
발광하는 광원부와, 스마트 가로등의 고장 유무를 센싱하는 고장 센서부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와이파이부와, 광고 및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표시부와, 광고 및 이벤트 정보를 수신 및 제공하는 통신부와, 각부를 고정하는 고정 몸체부와, 스마트 가로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가로등 제어부 및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로등.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가로등의 이슈 발생을 인식하는 단계와, 주변의 스마트 보안등에 고장관련 정보 및 이슈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고장 관련 정보 및 이슈 관련 정보를 통합 관제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및 통합 관제 서버는 고장 유무 및 이슈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고장 발생 및 이슈 발생으로 판단한 경우, 결과를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깨끗하고 안전한 도시 거리 조성이 가능하여 도시 특화 거리 생성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 스마트 가로등의 개념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제 서버의 개념도.
도 4는 통합 관제 서버의 가로등 관제 모듈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의 개념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가로등 시스템의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정보제공 가로등 및 시스템 그리고 이의 운영 방법의 구성부들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상이해질 수 있음을 명확히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 스마트 가로등의 개념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제 서버의 개념도이고, 도 4는 통합 관제 서버의 가로등 관제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은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가로등(100)과, 스마트 가로등(300)의 신호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고, 각 가로등의 고장 진단 및 원격 관제를 수행하는 통합 관제 서버(200)를 포함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신이 관리하는 지역 내에 위치한 스마트 가로등(300)의 정보를 제공받아 통합 관제 서버(200)에 제공하는 중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가로등(100)은 발광하는 광원부(110)와, 스마트 가로등(100)의 고장 유무를 센싱하는 고장 센서부(120)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와이파이부(130)와, 광고 및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표시부(140)와, 광고 및 이벤트 정보를 수신 및 제공하는 통신부(150)와, 각부를 고정하는 고정 몸체부(160)와, 스마트 가로등(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가로등 제어부(170)와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1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광원부(110)는 다수의 LED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램프와 같은 다양한 광원으로 광원부(1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광원부(11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광부와 옵션 발광부로 분리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발광부는 가로등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옵션 발광부는 환경 정보가 위험 수준 이상의 상황이 되었을 때 발광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장 센서부(120)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는 전류 감지기 즉, 전류 센서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 가로등(100) 내의 각부에 제공되는 전류 변화를 감지하여 스마트 가로등(100)의 고장 유무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력 누수도 확인할 수도 있다. 물론, 전압 센서, 전력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광원부(110)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이 변화되는 경우, 즉, 평소의 전류량과 다를 경우, 광원부(11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소 광원부(110)의 발광시 전류량이 100암페어라고 할때, 어느날 이 전류량이 기준의 80% 이하, 즉, 79 암페어인 경우에는 광원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다른 각부의 고장 유무도 동일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고장 센서부(120)로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광원부의 고장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광원부(110)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고장 센서부(120)로는 소모전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가로등의 소모전력 이상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와이파이부(130)는 인터넷과 연결하여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가 무선으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주변의 사용자가 자유롭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정보 표시부(140)는 가로등 제어부(170)로부터 제공된 광고 또는 이벤트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가로등 제어부(170)는 와이파이부(130)를 제어하여 접속된 사용자가 사전에 제공된 광고를 시청하는 경우, 와이파이 접속을 허락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보 표시부(140)는 경광 조명 또는 전광판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시각적인 정보를 주변 사용자 및 시민들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주변의 스마트 가로등(100)과 통신을 수행하거나, 통합 관제 서버(200)와 통신을 진행한다.
또한, 중계기가 있는 경우에는 중계기와의 통신을 진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통신부(150)는 전력선 통신 및 무선 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을 이용한다. 이때, 전력선 통신은 외부 전원을 입력 받는 전력선을 통해 주변의 스마트 가로등(1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다양한 형태의 근거리 무선 통신(와이파이, 블루투스, RF, NFC)이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지그비(Zigbee)통신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스마트 가로등(100)을 통해 더욱 편리한 도시 환경의 제공이 가능하고, 주변 식당가 또는 쇼핑몰의 광고 정보를 시민 및 인근 사용자들에게 쉽게 노출 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와이파이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스마트 가로등은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여 태양광을 통해 전기를 생성하고, 이를 배터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통합 관제 서버(200)는 스마트 가로등(100) 및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 모듈(210)과, 스마트 가로등(100)의 동작 및 정보 제공 여부를 제어하는 가로등 관제 모듈(220)과, 스마트 가로등(100) 이상 발생을 알려주는 알람 모듈(230)을 포함한다.
서버 통신 모듈(210)은 유, 무선 통신 방법을 통해 스마트 가로등(100) 및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 가로등(100)의 정보를 제공받고, 서버의 제어 신호 등을 스마트 가로등(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서버 통신 모듈(210)은 비콘 통신 또는 LTE망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이외의 다양한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가로등 관제 모듈(220)은 스마트 가로등(100)의 등화를 제어하는 등화 제어부(221)와, 고장 센서부(120)의 정보를 분석하여 스마트 가로등(100)의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고장 제어부(222)와, 와이파이 정보를 제공하는 이슈 제어부(223)와, 광고 및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제어부(224)를 포함한다.
등화 제어부(221)는 스마트 가로등(100)이 켜지는 시간과 꺼지는 시간을 제어하고, 스마트 가로등(100)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 가로등(100)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해진다.
고장 제어부(222)는 고장 센서부(120)로부터 제공된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스마트 가로등(100)의 고장 유무를 판단한다. 물론, 제공된 신호는 각 스마트 가로등(100)의 고유 정보가 포함되어 가로등을 특정할 수 있다. 만일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는 이를 알림 모듈을 통해 관리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또한, 고장이 발생한 부분 까지도 파악이 가능하다.
이슈 제어부(223)는 제공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관리자에게 알리고, 주변의 스마트 가로등에도 알려 시민들이 미리 대피하게 할 수 있다.
보행자 안전 제어를 위한 기능도 적용 가능하다. 즉, 비콘 통신을 통해 보행자가 접근하는 경우, 건널목의 신호등을 변경하거나, 신호등의 현재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행자(장애인, 노약자)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알람 기능이 가능하다. 그리고, 비콘 통신을 통해 신호등의 점멸 제어가 가능하다.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하기 설명중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을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설명의 기술은 상술한 설명의 기술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은 스마트 가로등(100)의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중계기(300)와 이 중계기의 신호를 분석하여 스마트 가로등(100)을 제어하는 통합 관제 서버(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중계기(300)는 스마트 가로등(100) 및 통합 관제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중계 통신부(310)와, 각 스마트 가로등(100)에 대한 고유 번호를 부여하여 등록 및 인증하는 가로등 인증부(320)와, 중계기(200)의 각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330)를 포함한다.
또한, 중계기(300)는 분전형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스마트 가로등을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중계 통신부(310)는 스마트 가로등(100)과 통신을 위한 스마트 통신부(311)와, 통합 관제 서버(200)와 통신을 위한 서버 통신부(212)를 포함한다.
스마트 통신부(311)는 전력선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지그비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서버 통신부(212)는 장거리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거리 무선 통신으로 로라(RORA) 통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서버 통신부(232)는 통합 관제 서버(200)와의 통신을 위해 이동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도의 통신 비용이 발생하지만 통신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가로등 인증부(320)는 중계기(300)에 접속된 스마트 가로등(100) 각각에 대한 고유 번호를 등록하고, 이 등록된 번호에 따라 스마트 가로등(100)과 통신하고, 제어한다.
전원부(33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마트 가로등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력선에 접속되고, 이 전력선을 통해 전원을 제공받고, 이를 제어하여 스마트 가로등과 통신이 가능하고, 스마트 가로등 각각에 대한 제어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가로등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은 스마트 가로등(100)이 다수의 그룹으로 분리된 가로등 그룹과, 각 가로등 그룹 내의 스마트 가로등(100) 각각을 제어하고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서브 중계기(500)와, 상기 서브 중계기(500)들의 정보를 수신하고, 통합 관제 서버(200)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메인 중계기(400)와, 메인 중계기(400)와 통신하여 스마트 가로등(100)의 관제와 이슈에 대한 제어 수행하는 통합 관제 서버(200)를 포함한다.
가로등 그룹은 인접한 다수의 스마트 가로등(100)을 포함한다. 가로등 그룹은 지역 단위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스마트 가로등(100)의 개수별로 그룹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 가로등 그룹 내의 스마트 가로등(100)은 서브 중계기(500)에 연결되어 제어된다.
가로등 그룹내의 스마트 가로등(100)은 자신의 그룹내의 스마트 가로등(100)과 통신부를 통해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가로등 그룹내의 스마트 가로등(100)과의 통신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매쉬 네트워크의 구축이 가능하다.
서브 중계기(500)는 가로등 그룹내의 스마트 가로등(100)과 통신하여 이를 제어한다. 즉, 메인 중계기(400)를 통해 통합 관제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제어 신호를 제공 받고, 이를 이용하여 자신의 그룹내의 스마트 가로등(100)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의 서브 중계기(500)는 중계기 고유 번호 또는 고유 정보를 갖고 있고, 이를 통해 자신을 인증하거나 알릴 수 있다. 이 고유 번호 또는 고유 정보에 의해 메인 중계기(400)와 통합 관제 서버(200)는 이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다수의 서브 중계기(500)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중계기와 동일 기능을 수행한다. 서브 중계기(500)는 서버 통신부 대신 메인 중계기 통신부를 구비하고, 이 메인 중계기 통신부를 통해 메인 중계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서브 중계기(500)는 메인 중계기(400)와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을 진행하고, 앞서 언급한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어, 지그비 통신) 또는 장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어, 로라 통신)을 통해 메인 중계기(4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통신에 따른 비용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대단위 면적에 대한 본 실시예의 가로등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 수만개의 가로등과 수백개의 서브 중계기(500)가 설치될 것이고, 이 서브 중계기(500)에 대한 통신 비용만으로도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이에, 서브 중계기(500)도 스마트 가로등(100)과 같은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 중계기(500)는 로라(LoRa)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먼 거리에 떨어져 있는 메인 중계기(400) 또는 인접한 서브 중계기(5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대단위 시스템에서 메인 중계기(400)와 서브 중계기(500) 사이의 거리가 수 키로미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로라 망을 통해 서브 중계기(500)들 간의 통신은 물론, 메인 중계기(400)와의 통신이 원활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기 간의 통신과 가로등 간의 통신을 분리하여 통신으로 인한 장애나 오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구조를 갖는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설명한다.
스마트 가로등으로부터 고장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만일 고장이 발생한 경우, 서버는 고장 관련 정보를 관리자에게 통지한다.
스마트 가로등으로부터 환경정보를 제공받아 주변 환경을 분석하여 이를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스마트 가로등 110: 광원부
120: 고장 센서부 130: 와이파이부
140: 정보 표시부 150: 통신부
160: 고정 몸체부 170: 가로등 제어부
180: 영상 촬영부 200: 통합 관제 서버
300: 중계기 400: 메인 중계기
500: 서브 중계기

Claims (5)

  1. 발광하는 광원부와,
    스마트 가로등의 고장 유무를 센싱하는 고장 센서부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와이파이부와, 광고 및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표시부와,
    광고 및 이벤트 정보를 수신 및 제공하는 통신부와,
    각부를 고정하는 고정 몸체부와,
    스마트 가로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가로등 제어부와,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가로등; 및
    상기 스마트 가로등의 신호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고, 각 가로등의 고장 진단 및 원격 관제를 수행하는 통합 관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등 제어부는 와이파이부를 제어하여 접속된 와이파이 사용자가 사전에 제공된 광고를 시청하는 경우, 와이파이 접속을 허락하고, 상기 통신부는 지그비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통합 관제 서버는 스마트 가로등 및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 모듈과, 스마트 가로등의 동작 및 정보 제공 여부를 제어하는 가로등 관제 모듈과, 스마트 가로등 이상 발생을 알려주는 알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 통신 모듈은 유, 무선 통신 방법을 통해 스마트 가로등 및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스마트 가로등의 정보를 제공받고, 서버의 제어 신호 등을 스마트 가로등에 제공할 수도 있고, 비콘 통신 또는 LTE망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가로등 관제 모듈은 스마트 가로등의 등화를 제어하는 등화 제어부와, 고장 센서부의 정보를 분석하여 스마트 가로등의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고장 제어부와, 와이파이 정보를 제공하는 이슈 제어부와, 광고 및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등화 제어부는 스마트 가로등이 켜지는 시간과 꺼지는 시간을 제어하고, 스마트 가로등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어 스마트 가로등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하고, 상기 고장 제어부는 고장 센서부로부터 제공된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스마트 가로등의 고장 유무를 판단하고, 제공된 신호는 각 스마트 가로등의 고유 정보가 포함되어 가로등을 특정할 수 있으며,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는 이를 알림 모듈을 통해 관리자에게 통지하고, 고장이 부분 파악이 가능하고, 상기 이슈 제어부는 제공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관리자에게 알리고, 주변의 스마트 가로등에도 알려 시민들이 미리 대피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로등과,
    스마트 가로등으로 구성된 다수의 그룹으로 분리된 가로등 그룹;
    각 가로등 그룹 내의 스마트 가로등 각각을 제어하고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서브 중계기;
    상기 서브 중계기들의 정보를 수신하고, 통합 관제 서버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메인 중계기; 및
    메인 중계기와 통신하여 스마트 가로등의 관제와 보안 이슈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통합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로등 그룹은 지그비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서브 중계기는 통신 효율을 위해 로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광원부는 발광부와 옵션 발광부로 분리되고, 발광부는 가로등 역할을 하고, 옵션 발광부는 환경 정보가 위험 수준일때 발광하고,
    상기 가로등 제어부가 제공하는 광고 정보는 주변 식당가 또는 쇼핑몰의 광고 정보이고,
    상기 이슈 제어부는 제공된 정보를 파악하여 관리자에게 알리고, 주변의 스마트 가로등에도 알려 시민들이 미리 대피하게 할 수 있고, 비콘 통신을 통해 보행자가 접근하는 경우, 건널목의 신호등을 변경하거나, 신호등의 현재 상태를 알려줄 수 있고, 보행자(장애인, 노약자)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알람 기능을 갖고,
    상기 서브 중계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장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메인 중계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89751A 2017-07-14 2017-07-14 정보제공 가로등 및 시스템 그리고 이의 운영 방법 KR101962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751A KR101962344B1 (ko) 2017-07-14 2017-07-14 정보제공 가로등 및 시스템 그리고 이의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751A KR101962344B1 (ko) 2017-07-14 2017-07-14 정보제공 가로등 및 시스템 그리고 이의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486A KR20190008486A (ko) 2019-01-24
KR101962344B1 true KR101962344B1 (ko) 2019-07-18

Family

ID=6527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751A KR101962344B1 (ko) 2017-07-14 2017-07-14 정보제공 가로등 및 시스템 그리고 이의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3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812B1 (ko) * 2019-07-31 2019-12-30 하나네트웍스 주식회사 무선 점멸기 및 고장 감시기가 내장된 스마트 led 등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698A (ko) 2019-02-01 2020-08-11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IoT 모듈이 구비된 독립형 태양광 가로등 전원용 ESS시스템
KR102377727B1 (ko) * 2020-07-29 2022-03-23 주식회사 비케이테크놀로지 광 방출 장치
KR102620582B1 (ko) * 2021-05-24 2024-01-03 다온 주식회사 직병렬 연결 방식의 자가 장애진단형 실외 led 조명제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134B1 (ko) * 2007-10-01 2008-12-22 주식회사 알에프테크윈 원격제어기능이 구비된 고효율 안정기 및 이를 이용한보안등/가로등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350B1 (ko) 2004-09-08 2006-07-28 주식회사 한국아이디어연구소 방범용 보안등 시스템
KR100764171B1 (ko) 2005-09-29 2007-10-17 제일정보통신주식회사 조명기기용 확장모듈을 이용한 조명기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30066418A (ko) * 2011-12-12 2013-06-20 (주)한국하이텍 높낮이 조절부와 무드 엘이디를 구비한 벤치 가로등
KR101406853B1 (ko) 2013-07-01 2014-06-13 주식회사 신우테크 일체형 태양광 led 보안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134B1 (ko) * 2007-10-01 2008-12-22 주식회사 알에프테크윈 원격제어기능이 구비된 고효율 안정기 및 이를 이용한보안등/가로등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812B1 (ko) * 2019-07-31 2019-12-30 하나네트웍스 주식회사 무선 점멸기 및 고장 감시기가 내장된 스마트 led 등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486A (ko) 2019-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541B1 (ko) 스마트 가로등,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KR101962344B1 (ko) 정보제공 가로등 및 시스템 그리고 이의 운영 방법
KR102060572B1 (ko) IoT 기반 LED 가로등 및 보안등 디밍 제어시스템
KR102135598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가로등 조명제어 시스템
US117887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ggregating edge signals in a mesh network
KR101175996B1 (ko) 가로등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US9445485B2 (en) Detection and correction of faulty photo controls in outdoor luminaires
CN105517294A (zh) 一种物联网智慧路灯系统
CN205320353U (zh) 一种基于城市物联网基站的智慧城市照明管理系统
Shahidehpour et al. Streetlights are getting smarter: Integrating an intelligent communications and control system to the current infrastructure
US20100308736A1 (en) Street lamp system
KR101332117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인텔리전트 led 도로 및 교통안전 표지
CN105191505A (zh) 用于室外照明网络的信息管理和控制的方法和装置
KR102020048B1 (ko) 대기 환경 관리 가로등 및 시스템 그리고 이의 운영 방법
KR20160124504A (ko) 복합 기능형 가로등 시스템
CN101742775A (zh) 照明控制系统
KR20130142612A (ko)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로등 제어 시스템
CN102036448A (zh) Led无线单灯控制调光系统
KR20140047876A (ko)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
KR101532420B1 (ko) Led 교통신호등의 이상 유무 자동감지 시스템
US20200363043A1 (en) Independently operable multi-panel municipal luminaire
KR101731509B1 (ko) 차량 장착 조도 감지센서를 이용한 가로등 관리 시스템
CN110264751A (zh) 一种城市道路智能交通路口设备管控系统
CN205859818U (zh) 一种物联网智慧路灯
JP2015225610A (ja) 情報報知システム及び情報報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