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876A -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7876A
KR20140047876A KR1020120114145A KR20120114145A KR20140047876A KR 20140047876 A KR20140047876 A KR 20140047876A KR 1020120114145 A KR1020120114145 A KR 1020120114145A KR 20120114145 A KR20120114145 A KR 20120114145A KR 20140047876 A KR20140047876 A KR 20140047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lighting
information
area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문
Original Assignee
정승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문 filed Critical 정승문
Priority to KR1020120114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7876A/ko
Publication of KR20140047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8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도시나 시, 도, 군 등 소정 지역 내에 널리 분포하는 버스정류장 등을 기점으로 각 기점에 무선공유기를 설치하고 해당 지역 내에 존재하는 가로등, 보안등, 옥외등 등의 각종 조명장치들이 각 기점의 무선공유기를 통해 무선 인터넷 연결되어 관제 서버의 관제를 받도록 하여 각 지역 내의 각종 조명장치들이 상기 관제 서버에 의한 통합적인 제어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조명 제어가 가능하며 효율적인 조명 제어를 구현하여 불필요한 전력 손실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LIGHT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지역 내에 설치된 가로등, 보안등, 경관등, 기타 옥외등 등의 소정의 조명장치들에 대한 원격 제어에 관한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도시를 비롯한 시, 도, 군 단위의 각 지역에는 주민들과 차량들의 편의를 위해 가로등이 설치되거나 보안등이 설치되기도 하며, 공원 등의 공공장소에는 경관등이나 보행등 등의 옥외등이 설치된 곳이 많다.
이러한 각종 조명장치들은 주민들의 편의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교통 안전과 치안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기는 하지만, 지역 내에 설치된 이와 같은 조명장치들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적절하게 조명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불필요한 조명이 발생하는 등 전체적으로 커다란 전력 손실을 야기하거나 과잉 조명으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여러 조명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상기 각 조명장치들이 서버와 통신 가능하도록 통신망이 구축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에 대해 종래에는 각 조명장치를 연결하여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전력선(PLC)을 이용하여 각 조명장치와 서버가 통신하며 조명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였었다.
그러나, 전력선은 전력을 전달할 목적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노이즈와 다양한 감쇄 특성으로 말미암아 조명장치에 대한 정확한 제어가 어렵고 전력선 부하의 변화에 따라 신호의 변화가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대도시나 시, 도, 군 등 소정 지역 내에 널리 분포하는 버스정류장 등을 기점으로 각 기점에 무선공유기를 설치하고 해당 지역 내에 존재하는 가로등, 보안등, 옥외등 등의 각종 조명장치들이 각 기점의 무선공유기를 통해 무선 인터넷 연결되어 관제 서버의 관제를 받도록 하여 각 지역 내의 각종 조명장치들이 상기 관제 서버에 의한 통합적인 제어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조명 제어가 가능하며 효율적인 조명 제어를 구현하여 불필요한 전력 손실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방법은, 소정의 지역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조명장치들에 대한 조명 제어 방법에 있어서, 지역 내 다수의 기점 각각에 설치되는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무선 인터넷 연결을 위한 신호가 송출되는 단계; 상기 각 기점에 설치된 무선접속장치의 미리 설정된 통신 범위 내에서 각각의 조명장치들에 대해 조명을 제어하는 제어단말이 각각 무선 인터넷 연결되어 원격 제어를 위한 관제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단계; 상기 관제 서버에서 생성된 소정의 조명 제어 정보가 상기 각 제어단말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조명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제어단말이 해당 조명장치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 제어 정보가 상기 각 제어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를 통해, 상기 지역 내 조명장치들에 대한 일괄 조명 제어, 상기 지역을 복수개의 세부 지역으로 구분하고 각 세부 지역 내 조명장치들에 대한 세부 지역별 조명 제어, 상기 지역 내 조명장치들을 종류별로 구분하고 각 종류별 조명장치들에 대한 종류별 조명 제어 및 상기 지역 내 조명장치들 각각에 대한 개별 조명 제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조명 제어 정보가 생성되어 각 제어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 제어 정보가 상기 각 제어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는, 상기 관제 서버가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집한 정보에 따른 조명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각 제어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 제어 정보가 상기 각 제어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는, 상기 각 기점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 설치되는 감시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의 분석 정보에 따른 조명 제어 정보가 생성되어 각 제어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제어단말로부터 상기 관제 서버로 상기 각 제어단말에 의해 제어되는 조명장치의 조명 상태 또는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정보로부터 어느 조명장치에서 오작동 또는 고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해당 조명장치에 대한 점검 또는 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프로세스가 진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방법은, 소정의 지역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조명장치들에 대한 조명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역을 복수개의 세부 지역으로 구분하고, 각 세부 지역별로 존재하는 다수의 기점 각각에 설치되는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상기 무선접속장치의 통신 범위 내의 조명장치들의 제어단말이 각각 무선 인터넷 연결되어 각 세부 지역별 서브 관제 서버에 각각 네트워크 연결되는 단계; 상기 각 서브 관제 서버는 중앙 관제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중앙 관제 서버에서 생성된 소정의 조명 제어 정보가 상기 각 서브 관제 서버를 통해 각 제어단말로 전송되거나, 상기 각 서브 관제 서버에서 각각 생성된 소정의 조명 제어 정보가 각 제어단말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조명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제어단말이 해당 조명장치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방법은,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다수의 버스정류장에 대해, 각 버스정류장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가로등 조명장치들에 대한 원격 제어가 가능한 조명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버스정류장에 설치된 무선접속장치의 미리 설정된 통신 범위 내에서 상기 가로등 조명장치들에 대해 조명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단말이 무선 인터넷 연결되어 원격 제어를 위한 관제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단계; 상기 가로등 주변의 교통량에 관한 정보가 상기 관제 서버로 수집되는 단계; 상기 관제 서버에서 상기 수집된 교통량에 관한 정보에 따른 상기 가로등 조명장치에 대한 조명 제어 정보가 생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단말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조명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단말이 상기 가로등 조명장치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은, 소정의 지역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조명장치들에 대한 원격 제어가 가능한 조명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지역 내 다수의 기점 각각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조명장치들 각각에 대해 조명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단말; 상기 각 기점에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통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각 제어단말에 대한 무선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접속장치; 및 상기 각 기점의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무선 인터넷 연결된 각각의 제어단말을 통해 각 제어단말이 제어하는 조명장치의 조명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각 제어단말로 소정의 조명 제어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전송된 조명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제어단말이 제어하는 조명장치에 대한 조명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단말은, 하나의 조명장치에 대한 조명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거나, 복수개의 조명장치에 대한 일괄적 제어 또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지역 내의 버스정류장을 상기 기점으로 하여 상기 각 버스정류장에 상기 무선접속장치가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특정 지역 내에 존재하는 조명장치들에 대한 조명을 제어하는 제어단말들은 상기 각 버스정류장에 설치된 무선접속장치의 미리 설정된 통신 범위에 따라 결정되는 제어 영역별로 구분되어 해당 제어 영역의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무선 인터넷 연결이 이루어져 상기 관제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특정 지역 내 일정 범위별 상황을 분석하여 상기 조명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일정 범위별로 해당 범위에 대한 영상을 취득하여 해당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감시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조명장치의 ON/OFF 시간에 관한 미리 설정된 정보, 상기 조명장치에 대한 시간대별 조도에 관한 미리 설정된 정보, 기상 정보에 따른 상기 조명장치에 대한 ON/OFF 또는 조도 제어에 관한 정보, 긴급상황에 따른 상기 조명장치에 대한 ON/OFF 또는 조도 제어에 관한 정보 및 감시 카메라를 통해 분석된 교통량 또는 유동 인구 정보에 따른 상기 조명장치에 대한 ON/OFF 또는 조도 제어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상기 조명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각 제어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지역 내 조명장치들에 대한 일괄 조명 제어, 상기 지역을 복수개의 세부 지역으로 구분하고 각 세부 지역 내 조명장치들에 대한 세부 지역별 조명 제어, 상기 지역 내 조명장치들을 종류별로 구분하고 각 종류별 조명장치들에 대한 종류별 조명 제어 및 상기 지역 내 조명장치들 각각에 대한 개별 조명 제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조명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각 제어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은, 소정의 지역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조명장치들에 대한 원격 제어가 가능한 조명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역을 복수개의 세부 지역으로 구분하고, 각 세부 지역별로 존재하는 다수의 기점 각각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조명장치들 각각에 대해 조명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단말; 상기 각 기점에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통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각 제어단말에 대한 무선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접속장치; 상기 각 세부 지역별로 해당 세부 지역의 조명장치들의 제어단말들과 상기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무선 인터넷 연결되는 서브 관제 서버; 및 상기 각 서브 관제 서버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각 서브 관제 서버가 각각 해당 세부 지역의 조명장치들에 대한 조명을 제어하는 것을 관제하는 중앙 관제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은 대도시나 시, 도, 군 등 소정 지역 내에 널리 분포하는 버스정류장 등을 기점으로 각 기점에 무선공유기를 설치하고 해당 지역 내에 존재하는 가로등, 보안등, 옥외등 등의 각종 조명장치들이 각 기점의 무선공유기를 통해 무선 인터넷 연결되어 관제 서버의 관제를 받도록 하여 각 지역 내의 각종 조명장치들이 상기 관제 서버에 의한 통합적인 제어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조명 제어가 가능하며 효율적인 조명 제어를 구현하여 불필요한 전력 손실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버스정류장 주변의 조명장치들에 대한 일 예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하나의 제어 영역 내 조명장치들의 제어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성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 및 또 다른 일 실시예의 구성에 관하여 각각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이 서울 지역에 적용된 경우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방법에 관한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을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소정 지역 내에 존재하는 가로등, 보안등, 기타 각종 옥외등 등의 조명장치를 관제 서버가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서, 특히 기존에 전력선을 이용한 통신의 한계를 극복하여 무선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관제 서버가 각종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지역 내에서 도로를 따라 고르게 분포하는 버스정류장에 무선접속장치를 설치하여 버스정류장 주변 소정 반경 범위 내에 존재하는 조명장치들에 대해 무선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버스정류장을 이용하는 고객들이 Wi-Fi 통신과 같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그 주변의 조명장치들의 조명 제어까지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버스정류장 주변의 조명장치들에 대한 일 예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버스정류장(BS)에 설치되어 버스 이용객들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버스 쉘터(10)에 설치되거나 또는 그와 분리되어 설치되는 무선접속장치(100)가 미리 설정된 통신 범위 내의 통신 기기들에 대해 무선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도록 신호를 송출하면, 그 주변의 가로등(210), 보행등(220), 보안등(230) 등의 각종 조명장치들이 무선접속장치(100)를 통해 무선 인터넷 연결됨으로써 관제 서버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일 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 2에서 블록도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정류장(BS)에 설치된 무선접속장치(100)를 통해 그 주변의 각종 조명장치들(가로등(210), 보행등(220), 보안등(230), 경관등(240) 등)이 무선 인터넷 연결되어 관제 서버(500)와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버스정류장(BS)에 설치된 무선접속장치(100)는 신호가 유효하게 작용하는 통신 가능 범위가 있고 상기 무선접속장치(100)의 통신 가능 범위의 영역을 제어 영역(CR)이라 하기로 한다.
버스정류장(BS)을 중심으로 제어 영역(CR) 내에 존재하는 각종 조명장치들(210, 220, 230, 240)은 각각 제어단말(211, 221, 231, 241)과 연결되며 각각의 제어단말(211, 221, 231, 241)이 버스정류장(BS)의 무선접속장치(100)를 통해 무선 인터넷 연결되어 관제 서버(500)와 통신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각 제어단말(211, 221, 231, 241)은 상기 무선접속장치(100)에서 송출하는 신호를 받아서 무선 인터넷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통신 모듈 내지는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무선접속장치(100)가 Wi-Fi 무선랜 연결을 위한 AP(Access Point) 기기로서 구현될 경우 각 제어단말은 상기 AP 기기를 통해 무선랜 연결을 할 수 있는 무선랜카드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각 제어단말(211, 221, 231, 241)은 관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조명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그에 따라 해당 조명장치의 ON/OFF 또는 조도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어단말은 각각의 조명등마다 연결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조명등에 동시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는 가로등(210)의 경우 복수개의 가로등(210)이 전력선 또는 소정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가로등 제어용 제어단말(211)이 연결되어 설치된 경우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다.
보행등(220)과 경관등(240)도 각각 복수개의 조명등이 하나의 제어단말(221 또는 241)에 연결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보안등(230)은 각각 하나씩 제어단말(231)과 연결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물론 도 2에서 나타내고 있는 구성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각각의 조명등이 각각 하나씩 제어단말과 연결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조명등이 동시에 하나의 제어단말에 연결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하나의 조명등이 하나의 제어단말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경우에는 그 제어단말기 해당 조명등에 대해 ON/OFF 또는 조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명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조명등이 하나의 제어단말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경우에도, 그 제어단말은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조명등 모두에 대해 일괄적으로 ON/OFF 또는 조도의 조절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 제어단말이 복수개의 조명등 중 일부만 ON/OFF 또는 조도 제어를 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관제 서버로부터 가로등(210)의 조도를 50%로 제어할 것에 관한 정보를 가로등 제어용 제어단말(211)이 수신한 경우, 상기 가로등 제어용 제어단말(211)은 그와 연결된 복수개의 가로등(210)에 대해 각각 동일한 조도를 나타내도록 제어함으로써 전체 조도를 50%로 하거나, 하나의 가로등은 조도를 100%로 하고 그 다음 가로등은 OFF 하고 다시 그 다음 가로등은 조도를 100%로 하는 등 복수개의 가로등에 대해 교대로 ON/OFF를 조절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조도 50%가 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라 버스정류장(BS)을 중심으로 한 제어 영역(CR) 내에 감시카메라(250)를 설치하고 그 감시카메라(250)에 감시카메라 제어용 제어단말(251)을 연결하여 무선 인터넷을 통해 관제 서버(500)와 통신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감시카메라(250)를 통해 얻은 영상을 분석하여 교통량이나 보행자의 유동 현황 등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각 조명장치들을 적절하게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시카메라 제어용 제어단말(251)이 영상 분석 수단을 구비하여 감시카메라(250)를 통해 얻은 영상을 분석하여 그 분석 정보를 관제 서버(500)로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감시카메라 제어용 제어단말(251)이 감시카메라(250)가 획득한 영상을 단순히 관제 서버(500)로 전송하도록 하고 그 영상의 분석은 관제 서버(500)가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감시카메라(250)를 제어 영역(CR) 내에 설치하고 그와 연결된 제어단말(251)을 통해 관제 서버(500)와 통신하여 관제 서버(500)의 제어를 받는 것으로 구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제어 영역(CR) 내에 감시카메라(250)를 설치하지 않고 기존에 지역 내 곳곳에 설치된 감시카메라로부터 정보를 얻는 외부 서버(감시카메라 서버)와 연동하여 그로부터 관제 서버(500)가 소정의 정보를 전달받아 각 조명장치의 조명 제어에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한 지역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각종 조명장치들을 각각의 버스정류장의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무선 통신으로 관제 서버에 의해 제어하도록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어 영역(CR)이 아니라 한 지역 내 다수의 제어 영역(CR)이 형성되는데, 이에 대해 도 3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3은 전체 지역(D)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버스정류장 각각을 기점으로 하여 형성된 다수의 제어 영역(CR)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각각의 제어 영역(CR)은 도 2에 도시된 제어 영역(CR)과 동일하다.
각각의 제어 영역(CR) 별로 그 영역 범위 내에 존재하는 조명장치들은 각각 해당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각각 무선 인터넷 연결되어 관제 서버(500)와 네트워크 연결된다.
상기 관제 서버(500)는 지역(D) 내에 존재하는 모든 무선 인터넷 연결된 조명장치들에 대해 일괄 조명 제어를 하거나, 그룹별로 조명 제어를 하거나, 개별적으로 조명 제어를 할 수 있으며, 조명 제어를 할 때 상기 관제 서버(500)는 조명 ON/OFF 또는 조도 등에 관한 조명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각 제어 영역(CR) 내 제어단말에 전송하고 각각의 제어 단말은 해당 조명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지역(D) 조명장치들에 대한 통합적인 조명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제 서버는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600)로부터 수집한 정보에 따른 조명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각 제어 영역(CR) 내의 각 제어 단말들에 전송하여 상기 외부 서버(600)로부터 얻은 정보에 따른 조명의 제어도 가능하게 한다.
예컨대 지역 내 곳곳에 설치된 감시카메라와 연결된 감시카메라 서버를 상기 외부 서버(600)로 하여 그로부터 특정 구역의 감시 결과에 따라 해당 구역에 대한 가로등이나 보안등 등의 조명장치를 ON 또는 OFF 하거나 조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조명 제어 정보를 해당 조명장치들의 제어 단말들로 전송하여 적절한 조명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수의 제어 영역(CR)이 존재하는 한 지역(D) 내에서의 각 조명장치들에 대한 조명 제어는, 해당 지역(D)을 복수개의 세부 지역으로 구분하여 각 세부 지역별로 조명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명 제어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러한 구성에 관하여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지역을 다수의 세부 지역(SD1, SD2, SD3 등)으로 구분하고 각 세부 지역(SD1, SD2, SD3 등) 내에 존재하는 버스정류장들에 각각 무선접속장치를 설치하여 각각 제어 영역(CR)을 형성하여 각 제어 영역(CR) 내에 존재하는 조명장치들을 무선 통신으로 관제 서버(500)가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관제 서버(500)는 특정 세부 지역에 대한 일괄 조명 제어를 할 수도 있고 각 조명장치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데, 각각의 세부 지역(SD1, SD2, SD3 등)이 상당히 큰 경우에 모든 세부 지역들을 하나의 관제 서버가 모두 관제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는 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세부 지역별로 서브 관제 서버(511, 512, 513 등)를 마련하여 각각의 세부 지역별 조명 제어는 각각의 서브 관제 서버(511, 512, 513 등)가 자율적으로 수행하되 각 서브 관제 서버(511, 512, 513 등)는 중앙 관제 서버(5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중앙 관제 서버(510)는 지역 전체의 조명 제어에 관한 정보나 세부 지역별 조명 제어에 관한 정보 등을 서브 관제 서버(511, 512, 513 등)로 전송하고 조명장치들에 대한 제어는 각각 서브 관제 서버(511, 512, 513 등)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관제 서버(510)는 외부 서버(600)와 연동하여 상기 외부 서버(60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에 따라 필요한 조명 제어를 위해 서브 관제 서버(511, 512, 513 등)로 전송하여 해당 서브 관제 서버에 의해 조명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일 예로서 서울 지역 내의 각종 조명장치들에 대한 조명의 제어에 관하여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6은 서울 지역을 구 단위로 구분하여 나타내고 각 구에 분포된 버스정류장을 중심으로 한 제어 영역(CR)들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6에 나타낸 버스정류장은 실제 위치와 다를 수 있다.
여기서 도 6 및 도 7에 각각 도시된 각각의 제어 영역(CR)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감시카메라의 경우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되지 않을 수 있으며, 조명장치의 경우에도 모든 종류의 조명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고 일부 종류의 조명장치함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서울 지역 내 각각의 버스정류장을 중심으로 한 제어 영역(CR)은 그 영역 내의 조명장치들의 제어 단말이 무선 인터넷 연결되어 각각 관제 서버(500)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있다.
상기 관제 서버(5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연결되어 있는 서울 지역 내 모든 통신 가능한 조명장치의 제어 단말과 각각 일대일 통신하며 조명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 단위로 각 구에 존재하는 조명장치들을 그룹별로 제어할 수도 있고 서울 지역 전체 통신 가능한 조명장치들에 대한 일괄 제어도 가능하다.
또한 관제 서버(500)에 연결된 각종 조명장치들에 대해 조명장치의 종류별로 조명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서울 지역 내 무선 연결된 조명장치들 중 가로등에 대해서만 별도의 조명 제어를 하거나, 보안등에 대해서만 별도의 조명 제어를 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세부 지역별로 조명장치의 종류별 조명 제어가 가능하다. 예컨대 서울 지역의 강남구 지역의 가로등에 대해서만 전체 조도를 50%로 유지하도록 하는 조명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서울 지역의 강남구의 전력 소모가 허용한계를 넘은 경우 긴급 조치로서 강남구의 각 제어 영역에 존재하는 조명장치들에 대한 조명의 조도를 일괄적으로 10% 낮게 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예컨대 서울 지역의 상암동(마포구)에서 국가간 A매치 축구 경기를 야간에 하는 경우 해당 지역 주변의 조명장치들에 대한 조도를 10% 높게 하도록 하는 제어를 할 수도 있다.
또한 예컨대 강남구의 일부 지역의 감시카메라 분석 결과 유동 인구가 특별히 많은 것으로 분석된 지역의 경우 해당 지역의 조명장치에 대한 조도를 10% 높이도록 하는 제어를 할 수도 있고, 일부 도로의 가로등이 100% 조도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그 주변 감시카메라 분석 결과 교통량이 전혀 없는 경우 조도를 50%로 낮추도록 하는 조명 제어를 할 수도 있다.
상기 관제 서버(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지역의 이미 정해진 행정구역 단위로 그룹별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지만, 임의로 세부 지역을 구분하고 그 임의로 구분된 각 세부 지역별 조명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예에서는 관제 서버가 서울 지역 전체의 조명장치의 조명을 관제하도록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었는데, 이와 같이 하나의 관제 서버가 너무 많은 수의 조명장치를 관제하는 것이 상당히 비효율적일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세부 지역별로 서브 관제 서버를 두고 각 서브 관제 서버는 해당 세부 지역을 관제하고 각각의 서브 관제 서버를 관제하는 중앙 관제 서버(510)를 별도로 구비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면 더욱 효율적인 버스정류장 조명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구마다 또는 둘 이상의 구마다 서브 관제 서버를 두고 이들 모든 서브 관제 서버는 중앙 관제 서버가 관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강남구 지역의 전력 소모가 허용한계를 넘어서는 것으로 파악된 경우, 중앙 관제 서버가 강남구 지역을 관할하는 서브 관제 서버에 각 조명장치의 조명의 조도를 소정 비율로 감소시키도록 하는 조명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강남구 지역 관할 서브 관제 서버는 강남구 지역 내의 조명장치들의 각 제어단말로 조도를 소정 비율 감소시키도록 하는 조명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관제 서버가 각 조명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한데, 중앙 관제 서버는 해당 조명장치가 존재하는 구를 관할하는 서브 관제 서버로 해당 조명장치의 조명의 제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해당 서브 관제 서버는 해당 조명장치의 조명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중앙 관제 서버에 의하지 않고 각 서브 관제 서버가 해당 세부 지역의 조명장치들에 대한 조명의 제어를 독립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방법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 8 내지 도 10에 각각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각 기점, 즉 각 버스정류장에 설치되는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무선 인터넷 연결을 위한 신호가 송출된다(S10).
각 기점에 설치된 무선접속장치의 미리 설정된 통신 범위 내의 조명장치들에 대해 조명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제어단말이 각각 무선 인터넷 연결되어 관제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된다(S20). 여기서 각 기점의 무선접속장치를 중심으로 상기 무선접속장치의 통신 가능 범위를 제어 영역이라고 하고 각 제어 영역 내에는 해당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무선 인터넷 연결되는 각종 조명장치들이 존재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관제 서버는 각 제어 영역의 조명장치들의 제어 단말들로부터 각 조명장치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체크한다(S30). 이때 특정 조명장치에서 이상이 감지된 경우 해당 조명장치에 대해 오작동 또는 고장 여부를 판단하여 조명장치에 대한 점검 또는 수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관이나 전문가에게 유무선 통신을 통해 통보를 하는 등의 방법으로 해당 조명장치에 대한 점검 또는 수리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관제 서버는 각 제어 영역 내 조명장치들에 대한 일괄 조명 제어, 각 세부 지역별 조명장치들에 대한 세부 지역별 조명 제어, 지역 내 조명장치들을 종류별로 구분하고 각 종류별 조명장치들에 대한 종류별 조명 제어 및 상기 지역 내 조명장치들 각각에 대한 개별 조명 제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조명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각 제어단말로 전송하도록 한다(S50).
관제 서버는 외부 서버(예컨대 감시카메라에 대한 관리 서버나 기상 정보 서버, 교통 정보 서버 등)로부터 교통량에 관한 정보, 유동 인구에 관한 정보, 기상에 관한 정보, 긴급 상황에 관한 정보 등을 수집하는 경우(S60), 그 수집된 정보에 따라 적절한 조명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조명 제어가 필요한 조명장치의 제어 단말로 전송하도록 한다(S70).
한편, 도 8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에서 S40 단계 및 S50 단계, 즉 각 조명장치에 대한 조명 제어 정보를 제어 단말로 전송하는 것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실시예가 있는데, 도 9 및 도 10에서는 이와 관련한 각 실시예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9에서는 관제 서버가 해당 지역 내 각 제어 영역 내의 조명장치들에 대한 조명 제어 유형에 따라 구분된 프로세스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 서버는 특정 지역 전체의 모든 제어 영역 내의 조명장치들의 조명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경우(S41), 특정 지역을 복수개의 세부 지역으로 구분하고 각 세부 지역별로 존재하는 각 제어 영역 내 조명장치들의 조명을 제어하는 경우(S42), 조명장치의 종류별로 각 종류별 조명 제어를 하는 경우(S43), 그리고 특정 조명장치의 조명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경우(S44)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경우에 해당 제어의 유형별로 적절한 조명 제어 정보를 각각 생성하여 해당 조명장치의 제어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고, 각 제어 단말은 해당 조명 제어 정보에 따라 각 조명장치를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조명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S41a, S42a, S43a, S44a).
한편, 도 10에서는 특정 지역 내 복수개의 세부 지역 각각의 서브 관제 서버가 해당 세부 지역 내 조명장치들의 조명을 관제하고, 중앙 관제 서버는 각 서브 관제 서버를 관제하도록 하는 시스템에서의 조명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서브 관제 서버는 하나의 세부 지역을 관할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세부 지역을 통합하여 관제할 수도 있다.
각 서브 관제 서버는 해당 세부 지역 내 제어 영역들의 조명장치 각각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S31), 이를 중앙 관제 서버로 보낸다(S32). 중앙 관제 서버는 각 서브 관제 서버로부터 전송된 각 세부 지역별 제어 영역들 내의 조명장치들의 조명 상태를 체크하고 관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중앙 관제 서버에 의한 조명 제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서브 관제 서버에 의해 각 세부 지역별로 버스정류장의 조명 제어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가능하다.
중앙 관제 서버에 의한 조명 제어가 이루어지는 경우(S45)는, 지역 전체의 모든 제어 영역 내 조명장치들의 조명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경우, 각 세부 지역별로 조명장치들의 조명을 제어하는 경우, 조명장치의 종류별로 조명 제어를 하는 경우, 그리고 특정 조명장치의 조명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중앙 관제 서버는 이들 각각의 경우에 대한 소정의 조명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특정 서브 관제 서버로 전송하거나 일부 또는 모든 서브 관제 서버로 상기 조명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S45a), 이를 전송받은 서브 관제 서버는 해당 세부 지역별 각 조명장치의 제어 단말로 조명 제어 정보를 전송하여 조명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45b).
한편, 서브 관제 서버에 의한 조명 제어가 이루어지는 경우(S46)는, 해당 세부 지역 내 각 제어 영역들의 조명장치들에 대한 일괄 제어가 이루어지는 경우나, 해당 세부 지역 내 조명장치들을 종류별로 개별 또는 그룹 제어를 하는 경우나, 특정 조명장치의 조명에 대한 개별 제어를 하는 경우 등을 포함할 있다.
서브 관제 서버는 해당 세부 지역 내 조명장치의 제어에 관한 소정의 조명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각 조명장치의 제어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각 제어 단말이 조명장치의 조명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S46a).
10: 버스 쉘터, BS: 버스정류장
100: 무선접속장치, CR: 제어 영역
210: 가로등, 211: 가로등 제어용 제어 단말
220: 보행등, 221: 보행등 제어용 제어 단말
230: 보안등, 231: 보안등 제어용 제어 단말
240: 경관등, 241: 경관등 제어용 제어 단말
500: 관제 서버, 510: 중앙 관제 서버
511, 512, 513: 서브 관제 서버

Claims (14)

  1. 소정의 지역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조명장치들에 대한 조명 제어 방법에 있어서,
    지역 내 다수의 기점 각각에 설치되는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무선 인터넷 연결을 위한 신호가 송출되는 단계;
    상기 각 기점에 설치된 무선접속장치의 미리 설정된 통신 범위 내에서 각각의 조명장치들에 대해 조명을 제어하는 제어단말이 각각 무선 인터넷 연결되어 원격 제어를 위한 관제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단계;
    상기 관제 서버에서 생성된 소정의 조명 제어 정보가 상기 각 제어단말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조명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제어단말이 해당 조명장치들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 정보가 상기 각 제어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를 통해, 상기 지역 내 조명장치들에 대한 일괄 조명 제어, 상기 지역을 복수개의 세부 지역으로 구분하고 각 세부 지역 내 조명장치들에 대한 세부 지역별 조명 제어, 상기 지역 내 조명장치들을 종류별로 구분하고 각 종류별 조명장치들에 대한 종류별 조명 제어 및 상기 지역 내 조명장치들 각각에 대한 개별 조명 제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조명 제어 정보가 생성되어 각 제어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 정보가 상기 각 제어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는,
    상기 관제 서버가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집한 정보에 따른 조명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각 제어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 정보가 상기 각 제어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는,
    상기 각 기점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 설치되는 감시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의 분석 정보에 따른 조명 제어 정보가 생성되어 각 제어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어단말로부터 상기 관제 서버로 상기 각 제어단말에 의해 제어되는 조명장치의 조명 상태 또는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정보로부터 어느 조명장치에서 오작동 또는 고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해당 조명장치에 대한 점검 또는 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프로세스가 진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방법.
  6. 소정의 지역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조명장치들에 대한 조명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역을 복수개의 세부 지역으로 구분하고, 각 세부 지역별로 존재하는 다수의 기점 각각에 설치되는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상기 무선접속장치의 통신 범위 내의 조명장치들의 제어단말이 각각 무선 인터넷 연결되어 각 세부 지역별 서브 관제 서버에 각각 네트워크 연결되는 단계;
    상기 각 서브 관제 서버는 중앙 관제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중앙 관제 서버에서 생성된 소정의 조명 제어 정보가 상기 각 서브 관제 서버를 통해 각 제어단말로 전송되거나, 상기 각 서브 관제 서버에서 각각 생성된 소정의 조명 제어 정보가 각 제어단말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조명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제어단말이 해당 조명장치들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방법.
  7.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다수의 버스정류장에 대해, 각 버스정류장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가로등 조명장치들에 대한 원격 제어가 가능한 조명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버스정류장에 설치된 무선접속장치의 미리 설정된 통신 범위 내에서 상기 가로등 조명장치들에 대해 조명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단말이 무선 인터넷 연결되어 원격 제어를 위한 관제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단계;
    상기 가로등 주변의 교통량에 관한 정보가 상기 관제 서버로 수집되는 단계;
    상기 관제 서버에서 상기 수집된 교통량에 관한 정보에 따른 상기 가로등 조명장치에 대한 조명 제어 정보가 생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단말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조명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단말이 상기 가로등 조명장치들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방법.
  8. 소정의 지역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조명장치들에 대한 원격 제어가 가능한 조명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지역 내 다수의 기점 각각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조명장치들 각각에 대해 조명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단말;
    상기 각 기점에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통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각 제어단말에 대한 무선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접속장치; 및
    상기 각 기점의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무선 인터넷 연결된 각각의 제어단말을 통해 각 제어단말이 제어하는 조명장치의 조명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각 제어단말로 소정의 조명 제어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전송된 조명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제어단말이 제어하는 조명장치에 대한 조명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관제 서버;
    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은,
    하나의 조명장치에 대한 조명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거나, 복수개의 조명장치에 대한 일괄적 제어 또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지역 내의 버스정류장을 상기 기점으로 하여 상기 각 버스정류장에 상기 무선접속장치가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특정 지역 내에 존재하는 조명장치들에 대한 조명을 제어하는 제어단말들은 상기 각 버스정류장에 설치된 무선접속장치의 미리 설정된 통신 범위에 따라 결정되는 제어 영역별로 구분되어 해당 제어 영역의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무선 인터넷 연결이 이루어져 상기 관제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특정 지역 내 일정 범위별 상황을 분석하여 상기 조명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일정 범위별로 해당 범위에 대한 영상을 취득하여 해당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감시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조명장치의 ON/OFF 시간에 관한 미리 설정된 정보, 상기 조명장치에 대한 시간대별 조도에 관한 미리 설정된 정보, 기상 정보에 따른 상기 조명장치에 대한 ON/OFF 또는 조도 제어에 관한 정보, 긴급상황에 따른 상기 조명장치에 대한 ON/OFF 또는 조도 제어에 관한 정보 및 감시 카메라를 통해 분석된 교통량 또는 유동 인구 정보에 따른 상기 조명장치에 대한 ON/OFF 또는 조도 제어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상기 조명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각 제어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지역 내 조명장치들에 대한 일괄 조명 제어, 상기 지역을 복수개의 세부 지역으로 구분하고 각 세부 지역 내 조명장치들에 대한 세부 지역별 조명 제어, 상기 지역 내 조명장치들을 종류별로 구분하고 각 종류별 조명장치들에 대한 종류별 조명 제어 및 상기 지역 내 조명장치들 각각에 대한 개별 조명 제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조명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각 제어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14. 소정의 지역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조명장치들에 대한 원격 제어가 가능한 조명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역을 복수개의 세부 지역으로 구분하고, 각 세부 지역별로 존재하는 다수의 기점 각각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조명장치들 각각에 대해 조명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단말;
    상기 각 기점에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통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각 제어단말에 대한 무선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접속장치;
    상기 각 세부 지역별로 해당 세부 지역의 조명장치들의 제어단말들과 상기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무선 인터넷 연결되는 서브 관제 서버; 및
    상기 각 서브 관제 서버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각 서브 관제 서버가 각각 해당 세부 지역의 조명장치들에 대한 조명을 제어하는 것을 관제하는 중앙 관제 서버;
    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0120114145A 2012-10-15 2012-10-15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 KR201400478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145A KR20140047876A (ko) 2012-10-15 2012-10-15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145A KR20140047876A (ko) 2012-10-15 2012-10-15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876A true KR20140047876A (ko) 2014-04-23

Family

ID=50654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145A KR20140047876A (ko) 2012-10-15 2012-10-15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787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278A (ko) * 2014-07-29 2016-02-11 (주)케이에프 설비 고장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
KR20160086104A (ko) * 2015-01-09 2016-07-19 주식회사 아이티원 조명 장치의 시간 동기화 방법 및 시간 동기화 장치
KR20180047906A (ko) * 2016-11-01 2018-05-10 주식회사 에스원 영상 분석 기반 조명 고장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0635A (ko) 2017-11-03 2019-05-13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수단이 마련된 조명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KR102219364B1 (ko) 2019-09-19 2021-02-25 주식회사 싸인텔레콤 영상감지장치 기반의 버스정류장 조명제어 시스템
CN114501753A (zh) * 2021-12-09 2022-05-13 深圳市伟标辉建设有限公司 一种城市道路照明监控系统
KR20230076185A (ko) * 2021-11-24 2023-05-3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인공지능 재실 감지 기반의 지능형 조명 제어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278A (ko) * 2014-07-29 2016-02-11 (주)케이에프 설비 고장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
KR20160086104A (ko) * 2015-01-09 2016-07-19 주식회사 아이티원 조명 장치의 시간 동기화 방법 및 시간 동기화 장치
KR20180047906A (ko) * 2016-11-01 2018-05-10 주식회사 에스원 영상 분석 기반 조명 고장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0635A (ko) 2017-11-03 2019-05-13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수단이 마련된 조명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KR102219364B1 (ko) 2019-09-19 2021-02-25 주식회사 싸인텔레콤 영상감지장치 기반의 버스정류장 조명제어 시스템
KR20230076185A (ko) * 2021-11-24 2023-05-3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인공지능 재실 감지 기반의 지능형 조명 제어 방법
CN114501753A (zh) * 2021-12-09 2022-05-13 深圳市伟标辉建设有限公司 一种城市道路照明监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202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ntrol of outdoor lighting networks
US10605473B2 (en) Intelligent LED bulb and ve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20140047876A (ko)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
US2020014613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ntrol of outdoor lighting networks
KR101863838B1 (ko) 지능형 도로조명 및 디밍관리 시스템
US1120415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ggregating edge signals in a mesh network
KR102135598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가로등 조명제어 시스템
KR20190063554A (ko) IoT 기반 LED 가로등 및 보안등 디밍 제어시스템
KR101822541B1 (ko) 스마트 가로등,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KR101829040B1 (ko) 모듈형 시설장치에 부착된 모듈형 기기들을 원격으로 진단 제어하는 지능형 시스템
CN102769973B (zh) 一种光控自治路灯系统的控制方法
WO201414749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ntrol of outdoor lighting networks
KR101962344B1 (ko) 정보제공 가로등 및 시스템 그리고 이의 운영 방법
KR20130120326A (ko) 지능형 가로등 시스템
KR102020048B1 (ko) 대기 환경 관리 가로등 및 시스템 그리고 이의 운영 방법
Beccali et al. A multifunctional public lighting infrastructure, design and experimental test
KR102101619B1 (ko) 모션 디텍팅 기술을 이용하여 가로등의 전원제어가 가능한 영상감시시스템
KR102125064B1 (ko) 원격 조명 제어 가능한 가로등 시스템
KR102361372B1 (ko) IoT 통합모듈 분전반을 통한 스마트시티 전지역 통합 네트워크 관제 시스템
CN207235185U (zh) 一种智能照明系统
Ullman et al. New development in control system ČEPS, as electrical substation outdoor lighting
RU2747458C1 (ru) Способ освещения территории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ориентированного объекта модульными светильниками и автономная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информ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240055388A (ko) NB-IoT를 이용한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KR20220131744A (ko) 스마트 가로등 기반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007048A (ko) Led 조명제어 통합 운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