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904B1 -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904B1
KR101473904B1 KR1020140096604A KR20140096604A KR101473904B1 KR 101473904 B1 KR101473904 B1 KR 101473904B1 KR 1020140096604 A KR1020140096604 A KR 1020140096604A KR 20140096604 A KR20140096604 A KR 20140096604A KR 101473904 B1 KR101473904 B1 KR 101473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ctv
user terminal
imag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상훈
Original Assignee
하나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시스(주) filed Critical 하나시스(주)
Priority to KR1020140096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에 설치된 CCTV 또는 웹카메라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DP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CCTV 또는 웹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CCTV 영상 제어방법에 있어서, 단말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단말기 OS에 해당하는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를 설치 유도하는 소프트웨어설치단계; 상기 소프트웨어설치단계가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인적정보, 위치정보를 관리서버의 사용자정보DB에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용자정보저장단계; 상기 관리서버로 지상에 설치된 다수개의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위치정보와 설치정보를 송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CCTV 또는 웹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관리서버에 구비된 영상정보DB에 저장하는 영상정보저장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관리서버 접속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정보DB에 수신된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영상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요청신호수신단계; 상기 관리서버로 사용자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요청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인적정보, 위치정보를 관리서버에 저장하고,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영상요청신호가 오작동으로 인한 영상요청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영상제공대기단계; 상기 영상요청신호수신단계;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요청신호에 따라 관리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모바일의 인적정보,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영상요청신호에 해당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영상을 영상정보DB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전송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지상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CCTV 또는 웹카메라를 제어하며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편리하고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둘째,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요청신호를 관리서버가 수신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입력정보에 따라 정상적인 사용자의 확인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며 사용자가 요청한 영상을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지상에 설치된 다수개의 CCTV 또는 웹카메라가 손쉽게 범죄에 이용당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셋째, 사용자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정보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고 효율적인 CCTV 또는 웹카메라의 관리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에 따른 안정적인 CCTV 또는 웹카메라의 관리를 이룰 수 있다.
넷째, 지상에 설치된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설치정보와 영상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이를 편리하게 인식하며 관리할 수 있어 전체적인 CCTV 또는 웹카메라의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A MULTI-FUNCTIONAL INTEGRAL CCTV CONTROL METHOD AND A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단말기가 입력한 영상정보신호에 기초하여 다수개의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위치와 설치정보를 원활하게 판별하여 안정적인 CCTV 또는 웹카메라의 관리를 이룰 수 있는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수개의 CCTV 또는 웹카메라를 원격적으로 조정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설치된 CCTV 또는 웹카메라를 편리하게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예컨대, 지상에 설치된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설치상태와 영상제공상태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로 편리하게 제어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등이 제안되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으로 종래에는 문헌(1), 문헌(2)에서와 같이, 설치된 CCTV를 원격적으로 제어하며 특정한 업무 처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제안된 다양한 시스템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제안된 발명등은 다수개의 CCTV를 제어하는 목적은 이룰 수 있으나, 지상에 설치된 CCTV를 원활하게 제어하고, 그 설치상태를 사용자가 원활하게 판단하여 지속적인 CCTV의 관리를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단말기를 통하여 CCTV를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효율적인 모니터링을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360244(2014.02.03) (2)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404163(2014.06.29)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상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CCTV 또는 웹카메라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CCTV의 영상제어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CCTV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관리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 및 인력낭비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단말기와 연결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제어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정적인 CCTV 통합관리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CCTV 또는 웹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CCTV 영상 제어방법에 있어서, 단말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단말기 OS에 해당하는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를 설치 유도하는 소프트웨어설치단계; 상기 소프트웨어설치단계가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인적정보, 위치정보를 관리서버의 사용자정보DB에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용자정보저장단계; 상기 관리서버로 지상에 설치된 다수개의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위치정보와 설치정보를 송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CCTV 또는 웹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관리서버에 구비된 영상정보DB에 저장하는 영상정보저장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관리서버 접속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정보DB에 수신된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영상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요청신호수신단계; 상기 관리서버로 사용자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요청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인적정보, 위치정보를 관리서버에 저장하고,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영상요청신호가 오작동으로 인한 영상요청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영상제공대기단계; 상기 영상요청신호수신단계;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요청신호에 따라 관리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모바일의 인적정보,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영상요청신호에 해당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영상을 영상정보DB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전송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영상요청신호수신단계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로 수신되는 영상요청신호를 1~20초 이내에 취소할 수 있는 영상요청취소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제공대기단계는 상기 관리서버로 사용자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단말기의 인적정보, 위치정보를 관리서버의 사용자정보DB에 기저장된 사용자 단말기의 인적정보, 위치정보와 비교,분석하는 사용자정보대조단계; 상기 사용자정보대조단계;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인적정보, 위치정보가 동일한 사용자로 판명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의 영상정보DB에 영상송신 신호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영상정보대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요청신호는 관리서버로 수신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위치정보, 설치정보, 실시간 영상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요청신호는 상기 관리서버의 영상정보DB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에는 상기 영상정보DB에 저장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실시간영상정보, 저장된영상정보, 위치정보, 설치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는 상기 영상정보DB에 저장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실시간영상정보, 저장된 영상정보, 위치정보, 설치정보가 디스플레이되되, 상기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의 신호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에 2면, 4면, 8면,16면 중 선택된 어느하나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에는 상기 영상정보DB에 저장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실시간영상정보, 저장된 영상정보, 위치정보, 설치정보가 디스플레이되되, 상기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의 신호에 따라 지상에 설치된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에는 상기 영상정보DB에 저장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실시간영상정보, 저장된 영상정보, 위치정보, 설치정보가 디스플레이되되, 상기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의 신호에 따라 지상에 설치된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줌, 회전, 초점제어상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단말기 정보입력, 위치입력 키패드 및, 상기 관리서버와 연결된 CCTV 또는 웹카메라의 고유번호에 따른 식별을 이루도록 숫자를 입력하는 번호입력, 지역입력, 상화좌우조절입력 키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CTV 또는 웹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에 있어서, 상기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는 청구항 1 내지 9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하여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CTV 또는 웹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관리서버로 신호의 전송과, 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사용자단말기로 전송받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있어서, 사용자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위치와 설치정보를 제어하고, 사용자단말기에 CCTV 또는 웹카메라 아이콘을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상에서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상대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구비된 메트릭스 스위치를 통하여 사용자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선택, 해재, 이동과, 디스플이되는 화면의 상,하,좌,우 회전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줌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다수개의 CCTV 또는 웹카메라와, 상기 CCTV 또는 웹카메라와 네트워크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에 신호를 전달하여 관리서버에 저장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촬영정보를 전송받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인적정보,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정보DB와, 상기 관리서버로 다수개의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촬영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이를 저장하고, 설치된 다수개의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위치정보와 설치정보를 저장하는 영상정보DB를 포함하는 다기능 CCTV 통합 제어시스템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정보DB로부터 사용자의 정보 송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입력부와, 상기 관리서버로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영상정보DB로부터 요청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위치와, 상기 영상정보DB로부터 전달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실시간영상정보, 저장된영상정보, 위치정보, 설치정보의 순서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설치위치, 촬영방향, 줌, 회전, 초점제어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표시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설치위치에 따른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번호입력부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표시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움직임과, 줌, 회전, 초점제어를 조절하는 영상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지상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CCTV 또는 웹카메라를 제어하며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편리하고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둘째,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요청신호를 관리서버가 수신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입력정보에 따라 정상적인 사용자의 확인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며 사용자가 요청한 영상을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지상에 설치된 다수개의 CCTV 또는 웹카메라가 손쉽게 범죄에 이용당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셋째, 사용자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정보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고 효율적인 CCTV 또는 웹카메라의 관리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에 따른 안정적인 CCTV 또는 웹카메라의 관리를 이룰 수 있다.
넷째, 지상에 설치된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설치정보와 영상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이를 편리하게 인식하며 관리할 수 있어 전체적인 CCTV 또는 웹카메라의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의 공정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종래의 CCTV제어 프로그램의 개요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제어 프로그램의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모듈의 블록도.
도 8 은 도 7에 따라 평면도, CCTV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모듈의 블록도.
도 9는 도 7에 따라 CCTV 위치를 사용자 단말기이 평면도 상에서 이동시키는 모듈의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시스템의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시스템의 사용자단말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시스템의 사용자단말기를 도시한 또 다른 개략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이하의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원 발명인은 지상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CCTV 또는 웹카메라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제어하며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지상에 설치된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위치, 촬영영상 등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또한,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며, 첨부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가한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닌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이하의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네트워크(11)를 통하여 연결된 사용자단말기(10), 관리서버(100), 지상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CCTV 또는 웹카메라(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연결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시한 도 1에서와 같이, 지상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CCTV 또는 웹카메라(20)는 네트워크(11)를 통하여 상호 연결 구성되고, 상기 관리서버(100)는 상기 네트워크(11)를 통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단말기(10)와 연결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네트워크(11)는 다수개의 단말기 및 서버들과 같이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네트워크(11)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등이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10)는 상기 관리서버(100)와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술한 네트워크(11)를 통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의 CCTV 또는 웹카메라(20)로 관리서버(100)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관리서버(100)와 사용자단말기(10)는 상기에서 설명한 네트워크(11)를 통하여 연결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10)는 본 발명에서 OS가 구비된 달말기로 표현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웹 브라우저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 랩통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는 상술한 컴퓨터 이외에도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핼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상기 사용자단말기(10)는 설치되는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사용자단말기(10)로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사용자가 육안으로 이를 원활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데스크톱 형태의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관리서버(100)는 상술한 다수개의 CCTV 또는 웹카메라(20)와 사용자단말기(10)가 네트워크(11)를 통하여 연결 구성되는 경우, 상기 CCTV 또는 웹카메라(20)와 사용자단말기(10)의 정보를 연결된 네트워크(11)를 통하여 전송받거나 저장된 정보를 네트워크(11)를 통하여 전송하도록 연결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인적정보,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의 사용자정보DB에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사용자단말기(10)의 요청신호에 따라 사용자정보DB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적정보, 위치정보를 판별하여 사용자의 정확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달말기(10)의 사용자 정보 확인 후에는 사용자 단말기의 관리서버(100) 접속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서버(100)의 영상정보DB에 해당하는 CCTV 또는 웹카메라(10)의 영상정보, 위치정보, 설치정보를 사용자단말기(10)로 전송요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CCTV 또는 웹카메라(2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관리서버(1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로 제공하는 CCTV 영상 제어방법에 있어서, 단말기(10)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단말기(10) OS에 해당하는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를 설치 유도하는 소프트웨어설치단계(100S); 상기 소프트웨어설치단계(100S)가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기(10)의 인적정보, 위치정보를 관리서버(100)의 사용자정보DB(122)에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용자정보저장단계(200S); 상기 관리서버(100)로 지상에 설치된 다수개의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위치정보와 설치정보를 송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CCTV 또는 웹카메라(2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관리서버(100)에 구비된 영상정보DB(111)에 저장하는 영상정보저장단계(300S);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의 관리서버(100) 접속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정보DB(111)에 수신된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영상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요청신호수신단계(400S); 상기 관리서버(100)로 사용자 단말기(10)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요청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의 인적정보, 위치정보를 관리서버(100)에 저장하고,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10)의 영상요청신호가 오작동으로 인한 영상요청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영상제공대기단계(500S); 상기 영상요청신호수신단계(500S);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요청신호에 따라 관리서버(100)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10)의 인적정보,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0)의 영상요청신호에 해당하는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영상을 영상정보DB(111)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하는 영상전송단계(600S);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소프트웨어설치단계(100S)는 본 발명에 따라 CCTV 또는 웹카메라(20)를 사용자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하며 관리하고자 할 때, 사용자 단말기(10)로 상기 관리서버(100)에 저장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영상정보, 설치정보, 위치정보 등을 원활한게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를 설치 유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계는 구비된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를 OS가 구비된 사용자단말기에 설치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를 자세히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지상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CCTV 또는 웹카메라(10)의 설치된 상태와 위치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2면, 4면, 8면,16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하여 상기 관리서버(100)로 설치된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실시간영상정보, 저장된 영상정보, 위치정보, 설치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에 지역에 따라 설치된 상태가 CCTV 또는 웹카메라(20)를 지칭하는 아이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는 사용자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20) 아이콘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사용자단말기(10)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단말기(10) 정보입력, 위치입력 키패드 및, 상기 관리서버(100)와 연결된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고유번호에 따른 식별을 이루도록 숫자를 입력하는 번호입력, 지역입력, 상화좌우조절입력 키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즉, 네트워크(11)를 통하여 연결 구성된 다수개의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정보가 상기 관리서버(100)로 전송되어 저장되고, 사용자 단말기(10)의 정보가 상기 관리서버(110)로 전송되어 저장되는 경우, 상술한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를 사용자가 제어하는 경우, 관리서버(100)에 저장되는 정보를 원활하게 수신하며, 설치된 다수개의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관리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되는 경우, 전체 카메라의 수 만큼의 카메라 아이콘을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대신 각 평면도에 수용되는 카메라의 숫자 중 가장 큰 값 만큼의 카메라 아이콘만을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고, 제어 조건에 따라 평면도와 카메라의 번호, 위치를 바꾸어야 하는 경우에는, 각 카메라 아이콘에 그 평면도에 해당되는 카메라 번호와 위치정보를 매번 새로 지정하는 방법을 사용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사용자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되는 평면도가 바뀔 때마다, 동일한 카메라 아이콘에 카메라의 번호 정보와 위치 정보만을 새로 지정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는, 각 평면도에 어떤 번호의 카메라를 몇 개 할당할 것인지를 지정하는 것은 특정한 방법으로 편집된 텍스트 파일을 프로그램 시작 시 읽어와서 해석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에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위치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MAPCAMERA01=005/014.....(1)
MAPCAMERA01=040....... (2)의 텍스트 파일에 다라 (1)의 경우, 1번 평면도에 5~14번의 카메라가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며, (2)의 경우, 1번 평면도에 40번 카메라가 위치할 수 있도록 명령하여 사용자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되는 분활된 화면(평면도)에 설치된 CCTV 또는 웹카메라(20)를 임의로 배치하며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위치와 숫자에 구애 받지 않고,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사용자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활하게 조절하며 카메라의 증설, 이설시 관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정보저장단계(200S)는 상기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기(10)의 인적정보, 위치정보를 관리서버(100)의 사용자DB(122)에 저장하는 것이며, 상기 영상정보저장단계(300S) 및 영상요청신호수신단계(400S)는 상기 관리서버(100)에 설치된 다수개의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위치정보와 설치정보를 송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CCTV 또는 웹카메라(2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관리서버(100)에 구비된 영상정보DB(110)에 저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11)를 통하여 연결 구성된 CCTV 또는 웹카메라(20)와 관리서버(100)가 사용자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정보의 수집과 저장을 이루도록 진행되는 것이다.
상기 영상제공대기단계(500S)는 상기 관리서버(100)로 사용자 단말기(10)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단말기(10)의 인적정보, 위치정보를 관리서버(100)에 저장하고,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10)이 영상요청신호가 정상적인 요청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네트워크(11)를 통하여 연결된 사용자단말기(10) 또는 관리서버(100)로 외부침입에 의한 영상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관리서버(100)에 수집된 사용자 단말기(10)의 정보에 따라서만, 사용자 단말기(10)로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군대, 교도소, 은행 등과 같이 보안이 집중적으로 필요한 장소에서도 안전하게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영상정보가 노출되는 일 없이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영상제공대기단계(500S)는 상기 관리서버로 사용자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단말기의 인적정보, 위치정보를 관리서버의 사용자정보DB에 기저장된 사용자 단말기의 인적정보, 위치정보와 비교,분석하는 사용자정보대조단계(510S); 상기 사용자정보대조단계;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인적정보, 위치정보가 동일한 사용자로 판명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의 영상정보DB에 영상송신 신호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영상정보대기단계(520S);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영상제공대기단계(500S)를 거친 후에 사용자 단말기(10)의 정보가 관리서버(10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영상요청신호수신단계(300S)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요청신호에 따라 관리서버(100)에 저장된 사용자 모바일의 인적정보,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0)의 영상요청신호에 해당하는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영상정보, 위치정보, 설치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하는 영상전송단계(600S)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상술한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10)로 설치된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의 인터페이스를 조절하여 설치된 CCTV 또는 웹카메라(20)를 조절하며 안정적인 관리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영상요청신호수신단계(300S)는 상기 단말기(10)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100)로 수신되는 영상요청신호를 1~20초 이내에 취소할 수 있는 영상요청취소단계(310S)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0)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영상요청신호가 관리서버(100)로 전송되는 경우, 사용자가 영상요청신호를 편리하게 취소하며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영상요청신호는 관리서버(100)로 수신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위치정보, 설치정보, 실시간 영상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100)의 영상정보DB(110)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도 2는 상술한 관리서버(100)의 사용자정보DB(120) 영상정보DB(110)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용자정보DB(120)의 정보저장부(121)와 정보관리부(122)를 통하여 사용자단말기(10)와 설치된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정보를 저장하며 관리하고, 상기 영상정보DB(120)의 정보수신부(111)와, 정보전송부(112)를 통하여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영상정보를 저장하며 관리하도록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11)를 통하여 연결 구성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20)와 사용자 단말기(10)의 정보를 상호 수신하며 저장하고, 전송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상기 관리서버(100)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하여, 위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에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이후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전송되는 영상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에는 상기 영상정보DB(110)에 저장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실시간영상정보, 저장된영상정보, 위치정보, 설치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영상정보DB에 저장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실시간영상정보, 저장된 영상정보, 위치정보, 설치정보가 디스플레이되되, 상기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의 신호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에 2면, 4면, 8면,16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영상정보DB에 저장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실시간영상정보, 저장된 영상정보, 위치정보, 설치정보가 디스플레이되되, 상기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의 신호에 따라 지면에 설치된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게 되며,상기 영상정보DB(110)에 저장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실시간영상정보, 저장된 영상정보, 위치정보, 설치정보가 디스플레이되되, 상기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의 신호에 따라 설치된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줌, 회전, 초점제어상태가 디스플레이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를 이루기 위하여 상기 상기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단말기 정보입력, 위치입력 키패드 및, 상기 관리서버와 연결된 CCTV 또는 웹카메라의 고유번호에 따른 식별을 이루도록 숫자를 입력하는 번호입력, 지역입력, 상화좌우조절입력 키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라 신호가 송수신되는 일 과정을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의 송수신 과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단말기(10)는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의 인적정보, 위치정보와, 사용자 단말기(10)의 영상요청신호를 작성하여 상기 관리서버(100)로 전송(710S,720)하고, 상기 관리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저장(740S)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단말기(10)는 관리서버(100)와의 접속상태를 파악하여(730S)하여 상술한 정보작성과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10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단말기(10)를 통하여 사용자가 요청신호를 상기 관리서버(100)로 전송(750S)하게 되면, 상기 관리서버(100)가 이를 수신하여 해당되는 정보가 관리서버(100)에 저장되어있는지를 판별(760S)하고,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정보와 관리서버(100)에 기저장된 정보를 분석(770S)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과정에서 관리서버(100)가 설치된 CCTV 또는 웹카메라(20)로 사용자 단말기(10)의 요청신호에 따라 정보요청신호를 전송(790S)하여 상기 CCTV 또는 웹카메라(20)가 이러한 정보요청신호를 수신(800S)하고 해당정보에 따라 정보를 송신(810S)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100)가 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요청신호에 따른 정보를 송신(830S)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10)가 수신(840S)하여 사용자 단말기(10) 디스플레이 하게 되는 것이다(850S)
이와 같은, 도 4의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에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2를 통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가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단계(710S~850S)의 순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상술한 단계(710S~850S)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되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하여, 도 4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 것이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종래에는 도시된 도 5에서와 같이, 다수의 카메라를 수용하는 평면도와 카메라 아이콘을 프로그램에서 모두 수용하여야 하는 것을 조건으로 1번 평면도를 PC 모니터 화면 상에 표출한 다음(110) 그 평면도가 수용하는 카메라 아이콘의 위치를 일일이 찾아서 화면에 표출(111)하여야 함으로 프로그램 제작상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고 카메라의 증설, 이설 시 프로그램의 수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인은 도시한 도 6에서와 같이, 정해진 형식에 따른 데이터 파일을 작성하고(210), 프로그램 시작 시 분석을 하여(211), 각 평면도가 수용하는 카메라의 숫자와 카메라의 고유번호, 좌표 등을 미리 메모리에 저장한 다음, 평면도가 바뀌면 카메라 아이콘에 카메라 고유 번호와 좌표를 대응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평면도와 카메라의 숫자가 아무리 많아 지더라도 상기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아이콘은 평면도중에 수용되는 제일 많은 카메라의 숫자를 넘기지 않게 된다.
또한, 카메라 각 평면에 할당되는 카메라 고유번호도 텍스트로된 데이터 파일을 수정, 추가 및 삭제 함으로서 사용자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되는 카메라의 증설, 이설 시 소프트웨어의 수정이 수월해 지는 것이다.
또한, 하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CTV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의 구체적 구성도이다.
도 7에서와 같이, 다수의 카메라를 수용하는 평면도와 카메라의 위치를 PC 모니터 상에 나타낸 다음 CCTV 화면을 선택하고 CCTV 카메라를 원격 제어하기 위해서는 카메라 고유 번호를 시스템에 입력하여야 하는데, PC 모니터 화면상의 Ten-Key를 이용하는 방법(312)과 스크롤 바를 이용하는 방법(313)이 있고, 직접 화면상에서 카메라 아이콘을 클릭 하는 방법(313)이 있다. Ten-Key를 이용하여 카메라 번호를 직접 입력하면 PC 모니터상에 그 카메라를 수용하는 평면도가 자동으로 표시된다. 이 기능은 프로그램 시작 시, 각 카메라에 부여된 고유 번호 (예:001~999)별로 그 카메라가 어느 평면에 수용되는지를 미리 분석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 변수는 CamMap(CameraNo)로 저장 되는데 CameraNo는 Ten-Key에서 입력된 카메라 번호이고 CamMap(CameraNo)의 값은 그 카메라가 수용되는 평면도의 번호이다. 이 평면도의 번호가 계산되면 해당 평면도 파일이 PC 모니터에 표시된다(320).
다음으로 그 평면도에 포함되는 모든 카메라의 아이콘을 표시하게 되는데, 카메라 아이콘의 지수(index)는 1에서부터 n까지 연속하는 번호이다. 이 카메라 아이콘에는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카메라의 고유 번호가 지정되어 있는데, 위에서 계산된 평면도의 번호를 p라고 표시한다면, 이 고유 번호는 MapCamera(p,i) /(i=1~n) 으로 표현되며 이 역시 프로그램 시작 시 텍스트 파일을 분석하여 메모리에 저장시켜 놓은 값이다(330).
이때, 1부터 n까지의 이 카메라 고유 번호를 사용하여 해당 카메라의 좌표를 불러 오는데(340), 이 좌표는 카메라 아이콘을 마우스끌어놓기(Drag and Drop)로 이동시켜 저장한 값이다. 이 좌표에 의해 화면상에서 카메라의 위치가 정해져서 카메라 아이콘이 정해진 위치에 표시되며(350), 이 때 또한 카메라의 고유번호를 나타내는 레이블도 카메라 고유 번호를 나타내면서 함께 표시된다.
또한, PC 모니터 화면에 표시된 여러 개의 카메라 아이콘 중에서 현재 선택된 1개는 적색으로 깜박이며, 이 때 비디오 메트릭스 스위처를 제어하는 RS-232C 제어데이터를 출력하고(360), 이 상태에서 카메라 원격 제어기능 스위치를 클릭하면 카메라의 상하좌우 회전과 렌즈의 줌,초점제어및 카메라 전원의 제어(370)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하기는 프로그램 시작 시 수행하는 카메라 고유번호 정보를 해석하는 모듈 (senifcheck)에 대한 설명이다.
도 6 내지 9에서와 같이, 텍스트 파일(spolice.sys)에는 각 평면도에 포함되는 카메라 번호의 정보가 들어 있는데, 이 번호 정보는 두 숫자 사이의 모든 번호를 포함하는 표현과 한 숫자만 표현하는 정보로 되어있다.
이러한 두 숫자 사이의 모든 번호를 포함하는 표현은 "MAPCAMERA01=010/117"과 같이 표현되며, 이 의미는 01번 평면도(310)에는 10~17번 사이의 카메라가 포함되어 있다는 의미이다(330).
예로, 한 숫자의 번호만 표현할 때는 "MAPCAMERA01=010/117"와 같이 표현하며(340), 표현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번호는 연속적일 필요가 없으며, 1에서 999까지의 어떤 번호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모듈에서는 상기 텍스트 파일을 한 줄 씩 읽어서 해석을 하는데, 첫째로, 그 평면도의 각 카메라 아이콘에 대응하는 카메라 고유 번호를 계산하여 배열의 형태로 저장한다. 이 것은 MapCamera(p,i)라는 메모리에 저장되며(350), 도 5에서와 같이, 평면도 상에서 카메라의 위치를 배치하고 카메라 고유번호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한다.
또한, 이 모듈은 각 카메라 고유 번호가 어떤 평면도에 수용되는지를 계산하여 저장한다, 이것은 CamMap(i)라는 메모리에 저장되며, 도2에서 설명한 것처럼 시스템에 카메라 고유 번호가 입력 되었을 때 해당되는 평면도의 번호를 도출하기 위해 사용한다(360).
또한, 이 모듈은 각 평면도에 수용되는 카메라의 숫자를 계산하며, 이것 역시 평면도 상에 CCTV 똔느 웹카메라를 배치할 때 사용(370)되는 것이다.
이하, 도시된 도 8은 상술한 설명에서 얻어진 변수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의 화면상에 평면도와 CCTV 또는 웹카메라(20)를 표시하는 모듈에 대한 설명이다.
사용자 단말기의 모니터 상에 평면도를 표시하게 되는 경우는 Ten-Key로 카메라 번호를 입력한 경우(411), 스크롤 바로 카메라 번호를 선택한 경우(412), 평면도 이름이 써진 단추를 클릭했을 경우이다.
이 경우 이 모듈은 CamMap(i)를 사용하여 평면도 번호를 도출하여(420) PC 모니터 상에 해당 평면도를 표시한다.
이러한 기능은 프로그램 시작 시, 각 카메라에 부여된 고유 번호 (예:001~999)별로 그 카메라가 어느 평면에 수용되는지를 미리 분석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 변수는 CamMap(CameraNo)로 저장 되는데 CameraNo는 Ten-Key에서 입력된 카메라 번호이고 CamMap(CameraNo)의 값은 그 카메라가 수용되는 평면도의 번호이다. 이 평면도의 번호가 계산되면 해당 평면도 파일이 PC 모니터에 표시되는 것이다(420).
또한, 바로 직전 표시되었던 평면도 상의 모든 카메라 아이콘을 지운 다음(430), 카메라 아이콘별로 대응하는 카메라 고유 번호를 계산하여(440) 해당 평면도 상의 카메라 위치 정보를 메모리에서 읽어온다(450). 카메라 아이콘의 지수(index)는 1에서부터 n까지 연속하는 번호이다. 이 카메라 아이콘에는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카메라의 고유 번호가 지정되어 있는데, 위에서 계산된 평면도의 번호를 p라고 표시한다면, 이 고유 번호는 MapCamera(p,i) /(i=1~n) 으로 표현되며 이 역시 프로그램 시작 시 텍스트 파일을 분석하여 메모리에 저장시켜 놓은 값이다(330).
이 카메라 고유 번호를 사용하여 해당 카메라의 좌표를 불러 오는데(440), 이 좌표는 카메라 아이콘을 마우스끌어놓기(Drag and Drop)로 이동시켜 저장한 값이다. 부가적인 기능으로 카메라 아이콘의 모양에 대한 정보를 읽어온 다음 PC 화면에 표시하고, 카메라 번호 표시를 나타내는 레이블도 화면에 표시한다(460). 현재 사용중인 카메라의 아이콘 색깔을 적색으로 표현한다(470). 메트릭스 스위처에 카메라 화면 선택 데이터를 송신하고, 카메라 상하좌우 회전등의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480).
또한, 도 5는 상기 카메라 고유 번호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모듈 (mainpicture_DragDrop)에 대한 설명이다. 본 예시에서 이 모듈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PC 키보드에서 senif 를 입력한 다음 MOVE 단추를 클릭한다.
카메라 배치에 관한 기본정보를 텍스트 파일(spolice.sys)에 편집하고 프로그램을 처음 실행하면 각 평면도 별로 카메라의 번호가 할당이 되지만 카메라의 위치는 특정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카메라의 위치 혹은 좌표를 특정하기 위하여 마우스끌어놓기(510)를 사용한다. 해당 카메라를 마우스로 끌어 원하는 위치에 옮겨 놓으면 그 카메라의 고유 번호를 MapCamera(p,i)를 사용하여 도출한다음(520) 이 카메라 고유 번호를 가지고 현재 옮겨진 새로운 위치의 좌표를 저장한다(530). 카메라 번호를 표시하는 레이블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위치 이동 후 좌표를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다수개의 CCTV 또는 웹카메라(20)와, 상기 CCTV 또는 웹카메라(20)와 네트워크(11)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는 관리서버(100)와, 상기 관리서버(100)에 신호를 전달하여 관리서버(100)에 저장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촬영정보를 전송받는 사용자단말기(10)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100)는 사용자단말기(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인적정보,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정보DB(120)와, 상기 관리서버(100)로 다수개의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촬영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이를 저장하고, 설치된 다수개의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위치정보와 설치정보를 저장하는 영상정보DB(110)를 포함하여 다기능 CCTV 통합 제어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단말기(10)는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사용자정보DB(120)로부터 사용자의 정보 송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입력부(11)와, 상기 관리서버(100)로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영상정보DB(110)로부터 요청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12)와, 상기 수신부(12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에 표시되는 화면위치와, 상기 영상정보DB(110)로부터 전달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실시간영상정보, 저장된영상정보, 위치정보, 설치정보의 순서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부(13)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에 표시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설치위치, 촬영방향, 줌, 회전, 초점제어를 조절하는 조절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절부(14)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표시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설치위치에 따른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번호입력부(14a)와, 상기 사용자단말기(10)에 표시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20)의 움직임과, 줌, 회전, 초점제어를 조절하는 영상조절부(1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다기능 CCTV 통합 제어시스템은 상술한 통합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통하여 제어되거나 작동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사용자 단말기 11: 네트워크
20: CCTV, 웹카메라 100: 관리서버
110: 영상정보DB 111: 정보수신부
112: 정보전송부 120: 사용자정보DB
121: 정보저장부 122: 정보관리부
100S: 소프트웨어설치단계 200S: 사용자정보저장단계
300S: 영상정보저장단계 400S: 영상요청신호수신단계
500S: 영상제공대기단계 600S: 영상전송단계

Claims (12)

  1. CCTV 또는 웹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CCTV 영상 제어방법에 있어서,
    단말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단말기 OS에 해당하는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를 설치 유도하는 소프트웨어설치단계;
    상기 소프트웨어설치단계가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인적정보, 위치정보를 관리서버의 사용자정보DB에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용자정보저장단계;
    상기 관리서버로 지상에 설치된 다수개의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위치정보와 설치정보를 송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CCTV 또는 웹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관리서버에 구비된 영상정보DB에 저장하는 영상정보저장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관리서버 접속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정보DB에 수신된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영상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요청신호수신단계;
    상기 관리서버로 사용자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요청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인적정보, 위치정보를 관리서버에 저장하고,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영상요청신호가 오작동으로 인한 영상요청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영상제공대기단계;
    상기 영상요청신호수신단계;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요청신호에 따라 관리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모바일의 인적정보,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영상요청신호에 해당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영상을 영상정보DB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전송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단말기에는 상기 영상정보DB에 저장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실시간영상정보, 저장된 영상정보, 위치정보, 설치정보가 디스플레이되되, 상기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의 신호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에 2면, 4면, 8면,16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에는 상기 영상정보DB에 저장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실시간영상정보, 저장된 영상정보, 위치정보, 설치정보가 디스플레이되되, 상기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의 신호에 따라 지상에 설치된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는 상기 영상정보DB에 저장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실시간영상정보, 저장된 영상정보, 위치정보, 설치정보가 디스플레이되되, 상기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어의 신호에 따라 지상에 설치된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줌, 회전, 초점제어상태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요청신호수신단계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로 수신되는 영상요청신호를 1~20초 이내에 취소할 수 있는 영상요청취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공대기단계는
    상기 관리서버로 사용자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단말기의 인적정보, 위치정보를 관리서버의 사용자정보DB에 기저장된 사용자 단말기의 인적정보, 위치정보와 비교,분석하는 사용자정보대조단계;
    상기 사용자정보대조단계;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인적정보, 위치정보가 동일한 사용자로 판명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의 영상정보DB에 영상송신 신호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영상정보대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요청신호는 관리서버로 수신되는 CCTV 또는 웹카메라의 위치정보, 설치정보, 실시간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요청신호는 상기 관리서버의 영상정보DB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CTV영상제어소프트웨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단말기 정보입력, 위치입력 키패드 및,
    상기 관리서버와 연결된 CCTV 또는 웹카메라의 고유번호에 따른 식별을 이루도록 숫자를 입력하는 번호입력, 지역입력, 상화좌우조절입력 키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40096604A 2014-07-29 2014-07-29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KR101473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604A KR101473904B1 (ko) 2014-07-29 2014-07-29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604A KR101473904B1 (ko) 2014-07-29 2014-07-29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3904B1 true KR101473904B1 (ko) 2014-12-22

Family

ID=5267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604A KR101473904B1 (ko) 2014-07-29 2014-07-29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9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967B1 (ko) * 2016-04-05 2016-06-30 삼성지투비 주식회사 3차원 영상 변환 기반의 앱 호환형 악천후 지역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14492B1 (ko) * 2016-08-09 2017-03-22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80766A (ko) * 2017-01-05 2018-07-13 김재동 청소용역서비스 관리시스템
KR102187768B1 (ko) 2020-09-11 2020-12-08 주식회사 세영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855B1 (ko) * 2007-08-29 2012-01-05 청화 텔레콤 코., 엘티디. 주거 보안 감시 및 통지 관리 시스템
KR20130003886A (ko) * 2011-07-01 2013-01-09 주식회사 인터파크에이치엠 보안 서비스 서버 및 스마트 보안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855B1 (ko) * 2007-08-29 2012-01-05 청화 텔레콤 코., 엘티디. 주거 보안 감시 및 통지 관리 시스템
KR20130003886A (ko) * 2011-07-01 2013-01-09 주식회사 인터파크에이치엠 보안 서비스 서버 및 스마트 보안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967B1 (ko) * 2016-04-05 2016-06-30 삼성지투비 주식회사 3차원 영상 변환 기반의 앱 호환형 악천후 지역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14492B1 (ko) * 2016-08-09 2017-03-22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80766A (ko) * 2017-01-05 2018-07-13 김재동 청소용역서비스 관리시스템
KR101904766B1 (ko) * 2017-01-05 2018-10-11 주식회사 제이디산업 청소용역서비스 관리시스템
KR102187768B1 (ko) 2020-09-11 2020-12-08 주식회사 세영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7404B2 (ja) カメラ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3667032B2 (ja) カメラ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US6697105B1 (en) Camera control system and method
US7956891B2 (en) Camera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camera control system
US103244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rocess plant with location aware mobile control devices
US853722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s
KR101473904B1 (ko)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JPH09289606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カメラ制御装置
JPH11308515A (ja) カメラ操作装置およびカメラサーバ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およびそれらの動作処理を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H10210342A (ja) カメラ制御システムおよび映像受信装置および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CN112584043B (zh) 辅助对焦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18093401A (ja) 映像監視装置、映像監視方法および映像監視システム
KR101950335B1 (ko)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WO2022007549A1 (zh) 一种调焦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80288314A1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video display apparatus
KR20170014133A (ko)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7431751A (zh) 采集图像的方法、装置和系统
JP4192698B2 (ja) 監視,操作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7191663B2 (ja) 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90920A (ko) Cctv 영상을 생성하고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
JP4733942B2 (ja) カメラシステム
WO2012153657A1 (ja) Cctvシステムの操作器
KR20160046449A (ko) 데이터 다운로드 제어 방법
JP201519840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1045467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