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768B1 -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768B1
KR102187768B1 KR1020200117089A KR20200117089A KR102187768B1 KR 102187768 B1 KR102187768 B1 KR 102187768B1 KR 1020200117089 A KR1020200117089 A KR 1020200117089A KR 20200117089 A KR20200117089 A KR 20200117089A KR 102187768 B1 KR102187768 B1 KR 102187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ctv
monitoring
unit
control
contro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영
Priority to KR1020200117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7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30Parts of fuselage relatively movable to reduce overall dimensions of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using steam or spr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30Aircraft characterised by electric power plants
    • B64D27/35Arrangements for on-board electric energy production, distribution, recovery or storage
    • B64D27/353Arrangements for on-board electric energy production, distribution, recovery or storage using solar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1/00Power install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 B64F1/2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for storing aircraft, e.g. in hang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4In-flight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80/0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025/325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specially adapted for helico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50On board measures aiming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시스템은 건물이나 전신주에 설치된 도킹부에 도킹되어 설치주변을 촬영하고, 비행하여 설치주변의 사각지대를 촬영하는 CCTV; 상기 CCTV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해당 CCTV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고, 도킹된 상태의 상기 CCTV가 비행하도록 제어하거나, 비행중인 상기 CCTV가 상기 도킹부에 도킹하도록 제어하는 모니터링&제어 단말기; 및 상기 모니터링&제어 단말기와 상기 CCTV가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공유하고, 원격지에서 상기 CCTV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모니터링 하면서 도킹과 비행을 제어하는 원격 모니터링&제어 단말기;를 포함하여 상기 CCTV가 설치된 장소의 주변을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비행하여 촬영할 수 있어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INTEGRATE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MULTI-FUNCTIONAL CCTV}
본 발명은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건물주변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촬영하거나, 도로의 전신주 등에 설치되어 도로의 상황을 촬영하는 CCTV를 비행 가능하도록 제어하여 방범을 위한 감시가 더욱 철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 주변에는 주변상황을 모니터링하여 범죄를 예방하거나 교통상황을 파악하는 등 다양한 목적에 의해 CCTV들이 많이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이런 CCTV들은 주로 한곳에 고정 설치되어 방향만 전환하여 촬영하기 때문에,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는 사각지대가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사각지대가 발생하다 보니 이런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해 이곳 저곳에 상당수의 CCTV들을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CCTV설치는 설치에 따른 비용이 많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설치 이후에도 유지관리와 보수를 위한 비용이 상당히 많이 발생하고, 모니터링을 위한 제어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 CCTV는 고장이 발생하여 수리나 부품을 교체해야 할 경우 주로 높은 건물이나 빌딩 또는 전신주의 높은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장시간 비나 햇빛에 노출되어 쉽게 부식되거나 변색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3904호(2014. 12. 11)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CCTV에 블레이드를 형성시켜 비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율적으로 설치된 장소의 주변을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비행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CCTV 본체 상단에 태양광 모듈로 지붕을 형성시켜 맑은 날에는 자체적으로 전원을 수급할 수 있도록 하고, CCTV가 비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지붕과 CCTV 본체 사이에 블레이드를 은폐시킬 수 있도록 한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시스템은 건물이나 전신주에 설치된 도킹부에 도킹되어 설치주변을 촬영하고, 비행하여 설치주변의 사각지대를 촬영하는 CCTV; 상기 CCTV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해당 CCTV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고, 도킹된 상태의 상기 CCTV가 비행하도록 제어하거나, 비행중인 상기 CCTV가 상기 도킹부에 도킹하도록 제어하는 모니터링&제어 단말기; 및 상기 모니터링&제어 단말기와 상기 CCTV가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공유하고, 원격지에서 상기 CCTV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면서 도킹과 비행을 제어하는 원격 모니터링&제어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시스템의 CCTV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촬영부; 교차하여 기립되게 형성되는 가로방향 격판과 세로방향 격판 상에 위치하여 분할되는 복수의 공간(S)을 형성시키는 지붕; 상기 몸체부 하부로 꼬깔구조의 상기 도킹부에 도킹될 수 있도록 해당 도킹부와 대응되는 하광상협 구조의 착륙다리; 하부에 형성되거나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방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블레이드; 및 신축가능하여 상기 지붕과 상기 몸체부 사이의 분할된 공간(S)으로 일단에 형성된 상기 상기 블레이드를 수용하 인출하는 블레이드 지지축;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시스템의 CCTV 몸체부는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제어 단말기에 전달하고, 원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원격 모니터링&제어 단말기에 전달하는 통신부; 태양광 모듈로 이루어진 상기 지붕에서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전류를 충전하여 상기 CCTV가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관리하고, 상기 CCTV가 자율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비행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배터리부와 상기 메모리부를 감시하면서 해당 배터리부의 방전과 메모리부의 저장공간 부족이 예상되는 경우 비행중인 CCTV를 도킹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은 CCTV에 블레이드를 형성시켜 비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율적으로 설치된 장소의 주변을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비행하여 촬영할 수 있어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은 CCTV가 비행가능하여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높은 위치에서 유지보수가 가능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수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은 태양광 모듈의 지붕이 형성되어 전원을 자체적으로 수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나 햇빛으로부터 보호하여 부식이나 변색을 최대한 늦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시스템의 CCTV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시스템의 CCTV의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시스템의 CCTV가 비행하여 도킹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 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CCTV(100), 모니터링&제어 단말기(200) 및 원격 모니터링&제어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CCTV(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딩이나 전신주 등에 설치되어 주변의 교통상황을 촬영하거나, 또는 빌딩 주변이나 골목 등을 촬영하여 수상한 사람이 있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범용 등으로 사용된다.
특히, 상기 CCTV(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행이 가능한 드론형 CCTV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CCTV(1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 촬영부(120), 지붕(130), 착륙다리(140), 블레이드(150), 블레이드 지지축(160)를 포함하다.
상기 몸체부(11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구조를 가지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제어부(111), 통신부(112), 배터리부(113) 및 메모리부(1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촬영부(120)는 사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상기 몸체부(110)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실제 영상을 촬영한다.
한편, 상기 지붕(130)은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면에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지붕(130)은 하방으로 교차하여 기립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몸체부(110) 상단에서 교차하여 기립되게 형성된 가로방향 격판(131)과 세로방향 격판(132)상에 형성된다.
상기 지붕(130)이 기립되어 형성된 상기 가로방향 격판(131)과 세로발향 격판(132)상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지붕(130)과 상기 몸체부(110) 사이에 4개의 분할된 공간(S)이 형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공간(S)에는 상기 블레이드(150)와 브레이드 지지축(160)이 수용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상기 지붕(130)은 상기 블레이드(150)와 브레이드 지지축(160)을 비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해 주고, 햇빛에 의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해 주며, 비나 햇빛에 의해 다른 기타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또한, 상기 지붕(130)은 태양광 패널로 이루어져 빛을 받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원을 필요로 하는 구성에 공급하거나, 상기 배터리(190)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착륙다리(140)는 일반적으로 지면에 착륙하는 드론이 가진 삼발이형 또는 에이치형(H) 구조가 아닌, 비행하는 CCTV(100)가 위치해야하는 건물이나 가로등에 형성되는 꼬깔구조의 도킹부에 용이하게 도킹할 수 있도록 도킹부와 대응되는 하광상협의 꼬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착륙다리(140) 상부 내측으로는 전원 및 데이터 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도킹부에 상기 CCTV(100)가 도킹하는 경우, 상기 CCTV(100)는 전원 및 데이터 단자를 통해 상기 배터리(190)에 전원을 충전한다.
또한, 상기 CCTV(100)는 상기 촬영부(120)를 통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114)에 저장하는데, 상기 도킹부에 착륙한 경우 상기 전원 및 데이터 단자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114)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링&제어 단말기(200)에 전달하여 상기 메모리부(114)의 저장공간을 여유있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행하던 CCTV(100)는 배터리(190)에 전원충전이 필요하거나, 상기 메모리부(114)에 영상 데이터를 백업해야 할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킹부에 도킹된다.
상기 도킹부는 상기 CCTV(100)의 도킹시 상기 착륙다리(140)에 형성된 전원 및 데이터 단자와 접촉될 수 있는 전원공급&데이터백업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도킹부에 형성된 전원공급&데이터백업 단자는 전자석으로 상기 CCTV(100)가 도킹을 시도하면 단자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자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착륙다리(140)에 형성된 전원 및 데이터 단자를 인력(引力, attractive force)으로 당겨 상기 CCTV(100)의 도킹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CCTV(100)는 상기 도킹부에 도킹된 후, 상기 블레이드(150)를 접어 상기 지붕(130)과 상기 몸체부(110) 사이에 형성되는 4개의 분할된 공간(S)에 수용되도록 한다.
상기 블레이드(150)는 하부에 형성되거나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방으로 추진력을 발생시켜 상기 CCTV(100)가 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블레이드 지지축(16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상기 블레이드(150)가 형성되어 상기 지붕(130)과 상기 몸체부(110) 사이의 분할된 4개의 공간(S)에 각각 수용되어 있다.
특히, 상기 블레이드 지지축(160)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변되어 길이조절 되거나, 접혔다 펴지는 조인트 방식으로 길이 조절되어 신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 지지축(160)의 신축으로 인해 상기 블레이드(150)는 상기 공간(S)에 수용되고, 상기 CCTV(100)가 순찰을 위해 비행해야 하는 경우 상기 공간(S)에서 인출되어 구동된다.
상기 통신부(112)는 유선통신뿐만 아니라 NFC,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과 와이파이, 인터넷과 같은 원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촬영부(120)가 촬영한 영상을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CCTV(100)가 설치된 건물 내의 상기 모니터링&제어 단말기(200)에 전달하고, 원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원격 모니터링&제어 단말기(300)에 제공한다.
상기 배터리부(113)는 상기 몸체부(110)에 구비되어 태양광 모듈로 이루어진 상기 지붕(130)에서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전류를 충전하여 CCTV(100)가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부(113)는 흐린 날씨로 인해 상기 지붕(130)으로부터 전류의 충전이 어려운 경우 상기 도킹부에 도킹된 상태에서 상기 착류다리(140)에 구비된 전원 및 데이터 단자를 통해 충전된 후, 상기 CCTV(100)가 구동하는데 필용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메모리부(114)는 상기 촬영부(120)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관리하고, 상기 CCTV(100)가 자율 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비행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관리 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CCTV(1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데, 먼저 상기 배터리부(113)를 감시하면서 배터리에 남은 전원이 얼마남지 않은 경우 비행중인 CCTV(100)가 도킹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촬영부(120)에서 촬영되어 상기 메모리부(114)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의 용량이 더 이상 저장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기 전에 미리 비행중인 CCTV(100)를 도킹시켜 메모리부(114)의 저장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촬영부(120)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원거리의 원격 모니터링&제어 단말기(300)에 전송하고자 할 때, 통신상태가 양호하지 못해 원거리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통신부(112)가 상기 모니터링&제어 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원거리 통신이 가능한 곳으로 상기 CCTV(100)를 비행시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상기 도킹부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모니터링&제어 단말기(200)는 상기 CCTV(100)가 설치된 건물이나 빌딩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CCTV(100)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관리자가 주변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모니터링&제어 단말기(200)는 상기 CCTV(100)가 도킹된 상태에서 건물이나 빌딩의 특정 사각지대를 촬영할 수 없을 때, 해당 사각지대로 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CCTV(100)는 프로그래밍에 의해 상기 사각지대를 비행할 수도 있고, 그동안 비행한 구역의 좌표를 저장관리하면서 그동안 비행하지 않은 구역에 대해 자율적으로 비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원격 모니터링&제어 단말기(300)는 상기 CCTV(100)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해당하는 건물주 또는 건물의 안전을 책임지는 경비원들이 소지하는 단말기로, 원격지에서 상기 CCTV(100)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도킹된 상태에서는 모니터링 할 수 없는 특정구역을 모니터링하고 싶을 때, 해당 특정구역으로 상기 CCTV(100)의 비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시스템에 의한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제어 단말기(200) 또는 원격 모니터링&제어 단말기(300)는 복수의 상기 CCTV(100) 촬영부(130)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모니터링 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0).
상기 모니터링&제어 단말기(200)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00).
상기 이벤트는 상기 CCTV(100)가 설치된 주변에 교통사고가 발생되어 신고가 접수된 경우, 범죄가 발생되어 신고가 접수된 경우, 또는 비행하지 못하는 다른 CCTV로부터 교통사고 또는 범죄가 발생된 상황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이벤트는 상술한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기설정된 비행시간이 도래한 경우에 해당될 수도 있다.
상기 S200 단계에서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모니터링&제어 단말기(200)는 상기 CCTV(100)를 비행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S300).
상기 모니터링&제어 단말기(200)는 상기 이벤트와 무관하게 상기 S300 단계에서 도킹부에 도킹된 상태로 촬영하지 못하는 구역에 대해 다른 구역의 도킹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CCTV(100)를 비행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모니터링&제어 단말기(200)는 상기 S200단계에서 이벤트를 감지하는 못하는 경우 상기 S100단계를 계속 수행한다.
상기 모니터링&제어 단말기(200)는 상기 CCTV(100)의 배터리부(113)와 메모리부(114)의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00).
상기 모니터링&제어 단말기(200)는 상기 S400단계에서 배터리부(113)의 배터리 충전 또는 데이터백업 신호를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00).
상기 모니터링&제어 단말기(200)는 비행과정에서 전원의 사용으로 배터리부(113) 방전이 예상되거나, 또는 촬영부(120)의 촬영에 따른 영상 데이터의 저장으로 메모리부(114)의 저장공간 부족이 예상되는 경우 상기 CCTV(100)로부터 배터리 충전 또는 데이터백업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모니터링&제어 단말기(200)는 상기 S500 단계에서 배터리 충전 또는 데이터백업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CCTV(100)를 제어하여 복수의 도킹부 중, 가장 가까운 도킹부로 도킹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S600).
상기 모니터링&제어 단말기(200)는 상기 S500 단계에서 배터리 충전 또는 데이터백업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계획된 또는 프로그램된 비행을 계속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상기 모니터링&제어 단말기(200)는 도킹된 CCTV(100)로부터 데이터를 백업하고, 동시에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00).
상기 CCTV(100)가 상기 모니터링&제어 단말기(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S100 내지 S700 단계의 각 단계가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상기 CCTV(100)는 자율적으로 상기 S100 내지 S700의 각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CCTV
110 : 몸체부
111 : 제어부
112 : 통신부
113 : 배터리부
114 : 메모리부
120 : 촬영부
130 : 지붕
140 : 착륙다리
150 : 블레이드
160 : 블레이드 지지축(160)
200 : 모니터링&제어 단말기
300 : 원격 모니터링&제어 단말기

Claims (4)

  1. 건물이나 전신주에 설치된 도킹부에 도킹되어 설치주변을 촬영하고, 비행하여 설치주변의 사각지대를 촬영하는 CCTV;
    상기 CCTV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해당 CCTV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고, 도킹된 상태의 상기 CCTV가 비행하도록 제어하거나, 비행중인 상기 CCTV가 상기 도킹부에 도킹하도록 제어하는 모니터링&제어 단말기; 및
    상기 모니터링&제어 단말기와 상기 CCTV가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공유하고, 원격지에서 상기 CCTV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모니터링 하면서 도킹과 비행을 제어하는 원격 모니터링&제어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CCTV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촬영부;
    태양광 모듈로 이루어지고, 교차하여 기립되게 형성되는 가로방향 격판과 세로방향 격판 상에 위치하여 분할되는 복수의 공간(S)을 형성시키는 지붕;
    상기 몸체부 하부로 꼬깔 구조의 상기 도킹부에 도킹될 수 있도록 해당 도킹부와 대응되는 하광상협 구조의 착륙다리;
    하부에 형성되거나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방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블레이드; 및
    신축가능하여 상기 지붕과 상기 몸체부 사이의 분할된 공간(S)으로 일단에 형성된 상기 블레이드를 수용하고 인출하는 블레이드 지지축;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제어 단말기에 전달하고, 원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원격 모니터링&제어 단말기에 전달하는 통신부;
    상기 지붕에서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전류를 충전하여 상기 CCTV가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관리하고, 상기 CCTV가 자율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비행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배터리부와 상기 메모리부를 감시하면서 해당 배터리부의 방전과 메모리부의 저장공간 부족이 예상되는 경우 비행중인 CCTV를 도킹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원거리의 상기 원격 모니터링&제어 단말기에 전송하고자 할 때, 통신상태가 양호하지 못해 원거리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통신부가 상기 모니터링&제어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원거리 통신이 가능한 곳으로 상기 CCTV를 비행시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상기 도킹부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시스템.
KR1020200117089A 2020-09-11 2020-09-11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KR102187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089A KR102187768B1 (ko) 2020-09-11 2020-09-11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089A KR102187768B1 (ko) 2020-09-11 2020-09-11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768B1 true KR102187768B1 (ko) 2020-12-08

Family

ID=73778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089A KR102187768B1 (ko) 2020-09-11 2020-09-11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7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812B1 (ko) 2022-07-25 2022-09-20 (주)세영통신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985B1 (ko) * 2006-05-04 2007-10-31 강명수 이동설치형 관제장치
KR101473904B1 (ko) 2014-07-29 2014-12-22 하나시스(주)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KR101708037B1 (ko) * 2015-11-16 2017-02-27 주식회사 앤다스 드론 연결형 cctv 장치 및 이에 의한 영상 촬영 방법
KR20200084963A (ko) * 2019-01-03 2020-07-14 주식회사 보노아이씨티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음성 인식 모듈 및 드론을 이용한 확장형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985B1 (ko) * 2006-05-04 2007-10-31 강명수 이동설치형 관제장치
KR101473904B1 (ko) 2014-07-29 2014-12-22 하나시스(주)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KR101708037B1 (ko) * 2015-11-16 2017-02-27 주식회사 앤다스 드론 연결형 cctv 장치 및 이에 의한 영상 촬영 방법
KR20200084963A (ko) * 2019-01-03 2020-07-14 주식회사 보노아이씨티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음성 인식 모듈 및 드론을 이용한 확장형 감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812B1 (ko) 2022-07-25 2022-09-20 (주)세영통신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300B1 (ko) 드론 격납이 가능한 승강 폴 시스템
US10479528B1 (en) Network of distributed drone system and parking pads
KR101842031B1 (ko) 감시 시스템
JP7202583B2 (ja) スマート太陽光発電システム
US7852211B2 (en) Mobile surveillance and security system, surveillance and security system having a mobile surveillance and security unit,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KR20160034013A (ko)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87768B1 (ko) 다기능 cctv 통합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KR20210134148A (ko) 드론 격납 시스템
US11951856B2 (en) Roof structure
CN111344224A (zh) 电力输送
US20200358988A1 (en) Autonomous surveillance duo
RU122511U1 (ru) Автономный пост видеотепловизионного наблюдения "видеолокатор дозор"
KR20170107337A (ko)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원격지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
US20240076891A1 (en) Drone system with distributed basing
KR102246896B1 (ko) 도로터널의 유지 관리용 소화전함
JP7200324B1 (ja) 緊急発進ドローン装置
CN105978619A (zh) 无人值守陆基ads-b接收站及监控系统
KR100902016B1 (ko) 옥외용 감시 카메라 시스템
CN214776554U (zh) 视频监控与处置系统
CN113691774A (zh) 一种可移动监控设备、平台、系统和方法
CN112422785A (zh) 一种无人分布式机动部署的视频监控与处置方法及其系统
CN105388910A (zh) 用于监视大型厂房的飞行器无线监视系统及监视方法
RU175373U1 (ru) Опорная рама-основание автономного поста технического наблюдения для контроля обстановки на охраняемой территории
CN205647822U (zh) 一种放牧用电子望远镜系统
RU2759977C1 (ru) Мобильный быстроустанавливаемый автономный пост технического наблюдения для контроля обстановки на охраняемой территории на базе аэромодуля на привяз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