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133A -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133A
KR20170014133A KR1020150106987A KR20150106987A KR20170014133A KR 20170014133 A KR20170014133 A KR 20170014133A KR 1020150106987 A KR1020150106987 A KR 1020150106987A KR 20150106987 A KR20150106987 A KR 20150106987A KR 20170014133 A KR20170014133 A KR 20170014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information
installation
applic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웅
김민규
김사라
정태환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6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4133A/ko
Publication of KR20170014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39Details of the system layo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가 수행하는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시뮬레이션의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에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설물에 적용되는 VA 기술에 대한 정보 및 시설물의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메라 설치 최적화를 포함하는 옵션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옵션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선택된 옵션에 따라,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른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는 상기 시설물의 공간에 상기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가 수행하는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은, 시설물에 적용하고자 하는 VA 기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시설물의 공간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VA 기술 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시설물의 공간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의 설치 후보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치 후보지 중 제1 위치에 설치할 제1 카메라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VA 기술 정보는 VA 적용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의 사양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카메라가 상기 제1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가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가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ptimized camera installation solution on VA application}
본 발명은 VA 적용 최적화를 위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시설물에 카메라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VA 최적화를 위한 설치 솔루션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설물 이용자에 대한 감시(surveillance)를 위해 시설물에 카메라가 설치된다. 이 경우, 시설물의 관리자는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는 VA(Video Analytics) 기술이 이용된다.
VA 기술 이용을 위한 카메라의 설치는 VA 솔루션 제공 업체들로부터 이뤄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시설물에 카메라 설치 시, VA 솔루션 제공 업체는 VA 기술 이용의 목적을 고려하여 시설물에 설치되는 카메라의 수량 및 위치를 직접 결정한다.
이때, 카메라의 설치 위치는 사람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목적하는 정보를 획득하기에 부적합한 위치에 카메라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는데 부적합한 사양을 가진 카메라가 설치되거나, 불필요하게 많은 카메라가 설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VA 기술은 시설물 이용자에 대한 감시뿐만 아니라, 영상 분석 결과를 마케팅 정보로 이용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VA 기술의 활용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카메라의 설치 대수 및 촬영되는 영상에 대한 정보량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카메라 설치 대수의 증가는 카메라 구매 및 설치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또한, 촬영되는 영상에 대한 정보량의 증가는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저장 공간의 증가 및 저장 공간의 유지 관리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VA를 적용하는데 있어서,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설물에 설치되는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자동으로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시설물에 설치되는 카메라의 종류 및 사양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시설물에 설치되는 카메라의 수량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시설물에 VA 기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목적을 반영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시설물의 공간 정보를 고려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기술적 과제는, VA 목적 달성을 위해, 이용 가능한 복수의 카메라 중 최적의 조합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다양한 설치 옵션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VA 적용을 위한 최적의 카메라 설치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가 수행하는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시뮬레이션의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에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설물에 적용되는 VA 기술에 대한 정보 및 시설물의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메라 설치 최적화를 포함하는 옵션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옵션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선택된 옵션에 따라,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른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는 상기 시설물의 공간에 상기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가 수행하는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은, 시설물에 적용하고자 하는 VA 기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시설물의 공간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VA 기술 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시설물의 공간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의 설치 후보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치 후보지 중 제1 위치에 설치할 제1 카메라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VA 기술 정보는 VA 적용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의 사양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카메라가 상기 제1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가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가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가 수행하는 카메라 설치 수정 솔루션의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시설물의 공간에 설치된 카메라에 대한 설치 오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오류 정보와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목표 촬영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목표 촬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상기 카메라의 설치 위치 및 촬영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수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오류 정보는 상기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VA 적용을 위해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을 자동으로 제공받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솔루션을 통해, 시설물에 설치되는 카메라의 설치 위치, 카메라의 수량 및 카메라 사양이 VA 적용에 최적화된 위치로 자동 결정되므로, 사용자는 카메라 설치에 있어 편의를 제공받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시설물에 VA 기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설물의 공간 정보를 반영한 카메라 설치 시뮬레이션을 제공함으로써, 설치 경험이 없는 구조물에 카메라를 설치하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시설물에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 중 최적의 조합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불필요한 사양의 카메라를 설치하는 비용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을 제공받기 때문에 불필요한 카메라가 추가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VA 적용에 필요한 개수만큼만 카메라가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촬영 영상을 보다 수월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최적의 카메라 설치 솔루션을 제공받기 때문에 촬영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 공간의 유지 및 관리 비용 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을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설치 시뮬레이션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참조되는 시설물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설명하는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참조되는 시설물의 공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참조되는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의 일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치 카메라 변경 입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VA 적용 대상을 설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복수의 VA 적용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수정 솔루션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따른 서비스 서버의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참조되는 제1 카메라의 설치 위치 결정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참조되는 제1 카메라의 설치 위치 결정방법을 시각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참조되는 제1 카메라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제1 카메라를 결정하는 방법을 시각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를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참조되는 제2 카메라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의 설치 위치 결정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참조되는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 촬영 거리를 가지는 카메라 조합의 일 예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참조되는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 촬영 각도를 가지는 카메라 조합의 일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카메라의 가상 설치란,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를 통해 시설물의 공간에 카메라를 가상으로 설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상 설치되는 카메라는 일반 카메라와 마찬가지로 그 종류에 따른 사양을 갖는다.
상기 가상 설치되는 카메라는,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가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시뮬레이션을 수행 시에,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메라가 가상 설치되면, 가상 설치된 카메라는 시설물의 공간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가상 설치되는 카메라의 사양 역시 그래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설치된 카메라는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가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을 연산하는 과정에서 이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카메라가 가상 설치되더라도, 가상 설치된 카메라는 서비스 서버의 연산 과정에서 사용될 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도 있다. 가상 설치되는 카메라의 사양은 상기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연산 과정에 이용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을 제공 서비스 서버(100)와 사용자의 단말(200) 및 카메라 설치자의 단말(3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시스템이라고 칭하고,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을 제공 서비스 서버(100)는 서비스 서버(100)라 칭하기로 한다. 한편, 카메라가 설치되는 시설물(400)은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서 함께 도시되었다.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의 단말(200)에 본 발명의 상기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모든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이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단말(200) 및 카메라 설치자의 단말(300)은 서비스 서버(100)와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유무선의 컴퓨팅 장치이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데스크톱 PC, 태블릿 PC 및 스마트 폰 등, 유무선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의 단말(200)에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란, 시설물(400)에 카메라가 설치되면, 적용된 VA 기술을 이용하여 시설물(400)의 공간을 모니터링하는 주체일 수 있다.
사용자는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사용자의 단말(200)에 제공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시설물(400)에 적용하고자 하는 VA(Viedo Analytics) 기술에 대한 정보 및 시설물(400)의 공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단말(200)은 시설물(400)의 공간 정보를 카메라 설치자의 단말(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카메라 설치자란, 사용자로부터 용역을 받아, 시설물(400)의 공간에 카메라를 설치하는 업체일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카메라 설치 최적화를 위한 옵션을 사용자의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옵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VA 기술에 대한 정보, 시설물의 공간 정보 및 사용자가 선택한 옵션에 따라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른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는 시설물(400)의 공간에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상기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를 카메라 설치자의 단말(300)에 송신할 수 있다. 카메라 설치자는 상기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를 기초로 시설물(400)에 카메라를 설치한다.
도 1에서 사용자의 단말(200)과 카메라 설치자의 단말(300)은 구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사용자가 직접 카메라 설치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카메라 설치자의 단말(30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의 단말(200)에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서버(100)는 시설물(400)에 적용하고자 하는 VA 기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시설물의 공간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수신한다. 이때, VA 기술 정보는 VA 적용 조건을 포함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수신한 정보들을 기초로, 카메라의 설치 후보지를 결정할 수 있다. 설치 후보지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설치 후보지 중 제1 위치에 설치할 제1 카메라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제1 카메라의 사양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카메라가 상기 제1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가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가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의 단말(200)로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를 송신한다.
사용자는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를 송신하면, 사용자의 단말(200)을 통해 카메라 설치자의 단말(300)에 이를 송신하고, 카메라 설치자는 송신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을 이용하여 시설물(400)의 공간에 카메라를 설치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서비스 서버(1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팅 장치로서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메모리(140) 및 제어부(150)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10)은 서비스 서버(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하며, 사용자의 단말(200) 및 카메라 설치자의 단말(300))과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사용자의 단말(200) 또는 카메라 설치자의 단말(300)로부터 VA 기술에 대한 정보, 시설물(400)의 공간 정보 및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서비스 서버(100)가 제공하는 각종 인터페이스, 시뮬레이션 결과 및 카메라 설치 솔루션을 사용자의 단말(200)에 송신할 수도 있다.
입력부(120)는 서비스 서버(100)의 관리자로부터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입력 받는다. 특히, 입력부(120)는 서비스 서버(100)의 관리자로부터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120)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입력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관리자에게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통보한다. 출력부(130)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각종 데이터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은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출력부(130)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40)는, 본 발명의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을 연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VA 기술에 대한 정보, 카메라에 대한 정보 및 시설물(400)의 공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외부 디바이스 또는 서버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등을 임시적으로 또는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4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50)은 서비스 서버(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의 시스템 구현을 위하여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구성 외에 다양한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 포함된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메모리(140) 및 제어부(150)는 별개 구성 요소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상기 각 구성 요소는 서비스 서버(100)의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 필요한 어떠한 단위로도 존재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과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을 바탕으로, 서비스 서버(100)가 수행하는 방법에 따라 세 개로 구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구분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 상호간 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의 각각의 구성 및 단계는 서로 결합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시뮬레이션의 제공 방법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100)는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시뮬레이션의 제공 방법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설치 시뮬레이션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의 단말(200)에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송신할 수 있다(S10).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20).
사용자 입력은 시설물(400)에 적용되는 VA 기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시설물에 적용되는 VA 기술이란, 시설물(400)의 공간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기술을 말한다.
시설물(400)에 적용되는 VA 기술은 사용자가 시설물(400)에 VA 기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VA 기술은 시설물(400)에 출입하는 인원 수를 체크하거나, 시설물(400) 출입자의 안면을 인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VA 기술은 시설물(400)의 공간 내부의 사물을 인식하거나, 침입자의 동작을 인식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VA 기술에 대한 정보는 시설물(400)에 상기 VA 기술의 적용 목적 및 VA 적용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VA 적용 조건은 상기 VA 적용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VA 적용 목적이 이동 중인 사람을 추적하는 것인 경우, VA 적용 조건은 예상 동선을 따라 복수의 카메라가 설치될 것,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의 촬영 영역이 오버랩될 것 등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0)에서, 서비스 서버(100)는 시설물(400)에 설치하기 위한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카메라에 대한 정보는 서비스 서버(100)의 관리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단말(200) 또는 카메라 설치자(300)의 단말을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도 4는 시설물(400)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카메라에 대한 정보는 카메라의 종류, 회전 가능 여부 및 카메라 사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사양에 대한 정보는 화소 수, 화각 및 촬영 가능 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에 대한 정보는 각 카메라가 이용되기에 적합한 VA 기술 또는 설치 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고, 이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A, 카메라B, 카메라C, 카메라D 및 카메라E에 대한 정보가 도 4에서 예로써 도시되었다. 메모리(140)는 카메라 정보를 도 4에 도시된 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시설물(400)에 카메라를 직접 설치하지 않고도, 서비스 서버(100)는 카메라에 대한 각종 정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은 시설물(400)의 공간 정보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공간 정보의 예를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시설물(400)의 공간 정보(500)는, 시설물(400)의 구조(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면적 및 영역 별 조도 정보(520, 521.522)를 포함할 수 있다. 조도 정보는 사용자 또는 카메라 설치자 등에 의해 시설물(400)의 공간에서 직접 시간대별로 측정될 수 있다. 또는 드론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각 영역별 조도 정보가 측정될 수도 있다.
도 5의 공간 정보(500)는 시설물(400)의 출입문(510) 정보, 벽(511, 512, 516, 518) 및 구조물(515)로 구분되는 구조 및 창문(513, 514, 517)의 위치에 영향 받는 조도 정보(520, 521, 522)를 포함한다.
공간 정보(500)를 참조하면, VA 적용 목적이 출입 인원을 체크하는 것이면, 출입문(510)의 근처에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VA 적용 목적이 출입자의 이동 경로 추적인 경우 각 벽(511, 512, 516, 518) 및 구조물(515) 외면 중 일부 위치가 카메라 설치 위치로 선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시설물(400)의 공간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격자형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공간 정보(500)는 공간의 각 영역에 대한 조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문(510) 근처 영역(520)은 다른 영역 보다 밝은 조도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창문(513, 514) 근처 영역(521)의 조도 정보는 영역(520) 보다 밝은 조도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두 개의 창문(513, 514)이 근처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창문(517) 근처 영역(522)의 경우, 하나의 창문(517)이 근처에 위치하므로, 영역(521) 보다 어두운 조도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단계(S20)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10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메라 설치 최적화를 포함하는 옵션을 사용자의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S30).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옵션을 선택하면,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상기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S4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 설치 최적화 옵션을 선택하면, 서비스 서버(100)는 시설물(400)의 공간 정보(500)를 바탕으로, VA 적용 목적 및 VA 적용 기준에 부합하는 최적의 위치로 카메라 설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100)는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최적의 카메라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카메라 설치 최적화 옵션을 선택한 경우의 구체적인 서비스 서버(100) 동작은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에 대한 실시예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단계(S10)에서 수신한 사용자 입력과 선택된 옵션에 따라,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S50). 즉, 서비스 서버(100)는 시뮬레이션에 따라 시설물(400)의 공간에 카메라를 가상으로 설치 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른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생성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200)에 송신할 수 있다(S60). 이때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는 시설물(400)의 공간에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사용자 단말(200)은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제공된 인터페이스 및 수신한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 결과를 화면(600)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화면(600)은 서비스 서버(100)가 카메라 설치 최적화 옵션(621)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를 디스플레이한 것이다.
화면(600)은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610)를 포함한다. 또한, 화면(600)은 시뮬레이션 옵션(620) 및 메뉴 (630)를 포함할 수 있다.
화면(600)은 VA 적용 목적에 따른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VA 적용 목적이 시설물(400)의 공간에서 이동하는 출입자를 추적하는 것인 경우, 예상 이동 경로 정보(6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610)를 수신하여 상기 예상 이동 경로를 따라 가상 설치되는 카메라(641, 643, 644, 645)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화면(600)은 VA 적용 목적이 시설물(400) 내의 방범 대상 감시인 경우, 해당 방범 대상(65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옵션은 카메라 설치 최적화(621) 외에도, 카메라 최소 수량 설치(622), 카메라 최소 비용 설치(623) 및 카메라 재배치 옵션(624)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옵션은 시설물(400)에 적용하고자 하는 VA 기술의 추가(625) 및 VA 기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영역의 설정(626) 옵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옵션이 선택되면, 서비스 서버(100)는 옵션의 내용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사용자로부터 카메라 최소 수량 설치 옵션(622)이 선택되면, 서비스 서버(100)는 최소 수량의 카메라만 가상 설치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VA 기술 상의 VA 적용 기준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상기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이 경우, VA 기술 활용도는 카메라 설치 최적화 옵션(621)을 선택한 경우 보다 낮을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카메라 최소 수량 설치 옵션(622)에 따른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카메라 최소 수량 설치 옵션(622)에 따른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이에 따른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카메라 최소 비용 설치 옵션(623)이 선택되면, 서비스 서버(100)는 최소 비용으로 카메라가 설치되도록 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VA 기술 상의 VA 적용 기준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상기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이 경우, 시설물(400)에 저 사양의 카메라가 가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VA 기술 활용도는 카메라 설치 최적화 옵션(621)을 선택한 경우 보다 낮을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카메라 최소 비용 설치 옵션(623)에 따른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카메라 최소 비용 설치 옵션(623)에 따른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이에 따른 카메라 설치 솔루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카메라 재배치 옵션(624)이 선택되면, 상기 카메라 설치 최적화 옵션(621)에 따라 가상 설치된 카메라가 전면 재배치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최적화 옵션에 따른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610)를 복수 개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 재배치 옵션(624) 선택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최초 디스플레이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610) 외의 나머지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적용하고자 하는 VA 기술의 추가(625)는 도 9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또한, VA 기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영역의 설정 옵션(626)에 대한 설명은 도 8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메뉴 (630)는, VA 선택(631), 건물 정보 보기(632), 시설등급 보기(633), 카메라 선택(634), VA 요구 수준(635), 보안 대상 추가(636), 저장하기(637) 및 전송하기 메뉴(638)를 포함할 수 있다.
VA 선택 메뉴(631)는 시설물(400)에 적용하고자 하는 VA 기술의 종류를 디스플레이하고, 이에 대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의 단말(20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 서버(100)의 메모리(140)는 복수의 VA 기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건물 정보 보기 메뉴(632)는 시설물(400)의 공간 정보(500)를 사용자의 단말(20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건물 정보 보기 메뉴(632)는 사용자의 단말(200)에 특정 영역의 조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시설등급 보기 메뉴(633)는 시설물(400)의 보안 등급을 사용자의 단말(200)에 제공한다. 또한 시설물(400) 내의 방범 대상(65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200)에 제공한다.
카메라 선택 메뉴(634)는 도 7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VA 요구 수준 메뉴(635)는 사용자가 VA 요구 수준을 결정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VA 요구 수준을 낮추도록 입력하면, 사용자는 카메라 최소 수량 설치 옵션(622) 및 카메라 최소 비용 설치 옵션(623)을 선택할 수 있다.
보안 대상 추가 메뉴(636)는 사용자가 보안 대상을 추가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보안 대상을 추가하면, 서비스 서버(100)는 추가된 보안 대상을 반영하여 공간 정보(500)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설물(400)의 공간 정보(500)에 사용자가 설치 예정인 금고를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보안 대상 추가 메뉴가 이용될 수 있다.
저장하기 메뉴(637)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 및 각종 사용자 설정을 저장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전송하기 메뉴(638)는 선택 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카메라 설치자의 단말(300)에 화면(600)의 정보가 송신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 선택 메뉴(634)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서 사용자의 단말(200)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컴퓨팅 장치인 경우가 예로써 도시되었다. 사용자의 단말(200)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메라 선택 메뉴(634)는 사용자의 단말(200)에 가상 설치된 카메라의 사양 및 카메라의 설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입력(700)에 의해 카메라 선택 메뉴(634)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카메라 선택 메뉴(634)의 활성화 창을 디스플레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창은 서비스 서버(100)에 입력된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에 입력된 카메라에 대한 정보가 도 4에서 설명된 카메라에 대한 정보 중, 카메라 A(701) 및 카메라 B(702)에 대한 정보인 경우를 가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카메라 A는 동작 인식에 적합하고, 카메라 B는 사물 인식에 적합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가상 설치된 카메라를 방범 대상(715) 감시에 효과적인 카메라B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카메라 B를 드래그하여 방범 대상(715) 주변의 특정 영역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카메라를 카메라B로 변경하는 입력 및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변경 입력을 반영하여, 단계(S50)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VA 적용 목적이 방범 대상(715)을 감시하는 것인 경우, 상기 시뮬레이션을 통해 서비스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카메라B가 사용자 결정 위치에 가상 설치되도록 하는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610)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 시, 카메라B를 가상 설치하되, 카메라B의 사양 및 설치 위치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100)는 시뮬레이션 수행 시, 카메라 B에 대한 사양 및 카메라 B의 가상 설치 위치를 고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서버(100)는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가상 설치되는 나머지 카메라의 사양 및 설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비스 서버(100)는 카메라 B 및 카메라 B에 대한 사용자 결정 위치를 기준으로 카메라의 가상 설치를 최적화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VA 기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영역의 설정 옵션(626)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서 사용자의 단말(200)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컴퓨팅 장치인 경우가 예로써 도시되었다. 사용자의 단말(200)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영역 설정 옵션(626)은 사용자의 단말(200)에 사용자가 시설물(400)의 공간에 VA 기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특정 영역을 설정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영역 설정 옵션(626)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 후, 사용자의 단말(200)은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610) 상의 특정 영역에 터치 입력(700)이 수신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200)이 터치 입력(700)을 수신하면,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의 단말(200)에 영역 설정 객체(810)를 디스플레이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200)은 영역 설정 객체(810)를 이동하거나, 영역 설정 객체(810)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의해 확대된 영역 설정 객체(820)가 방범 대상(815)를 포함하는 위치로 이동되면,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610)에 이를 반영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50)의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가상 설치되는 카메라는 단계(S20)에서 입력된 VA 기술에 대한 정보에 따라 촬영을 수행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100)는 가상 설치되는 카메라가 영역 설정 객체(820)의 위치에 대한 촬영도 수행하도록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시뮬레이션을 통해 서비스 서버(100)는 입력된 VA 기술에 대한 정보에 따라 촬영을 수행하는 가상 설치 카메라 중, 영역 설정 객체(820)의 주변에 설치되는 카메라의 사양 및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100)는 기존의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영역 설정 객체(820)에 대한 촬영이 가능한 위치로 가상 설치되는 카메라의 사양 및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9는 복수의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의 예시이다. 시설물이 넓은 공간인 경우, 출입자 감시, 금고 관리, 사용자 행동 분석 등 복수의 VA 적용될 수 있다.
복수의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910)는 제1 VA 기술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영역(911)를 제2 VA 기술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영역(912)를 포함한다. 제2 VA 기술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영역(912)에, 제2 VA의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 카메라가 시설물에 가상 설치되었다. 도 9에서 영역(912)에 가상 설치되는 카메라의 예로 카메라(914, 916)이 도시되었다.
단계(S10)에서 서비스 서버(100)는 복수의 VA 기술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단계(S50)에서 서비스 서버(100)는 입력된 복수의 VA 기술 중, 제1 VA 기술에 대응하는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VA 기술 중, 제2 VA 기술에 대응하는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입력된 VA 기술 각각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후, 이에 대한 최적화 과정을 수행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서버(100)는 입력된 VA 기술을 동시에 모두 고려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생성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2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200)은 제1 VA 기술 및 제2 VA 기술에 대한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1 VA 기술에 따른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610)가 사용자의 단말(200)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적용하고자 하는 VA 기술의 추가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VA 기술 추가 옵션(625)을 선택하면, 서비스 서버(100)는 제2 VA 기술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의 단말(200)에 제공한다. 사용자가 제공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VA 기술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서비스 서버(100)는 이에 따른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제1 VA 기술에 대한 영역(911)과 제2 VA 기술에 대한 영역(912)은 카메라(920) 및 카메라(930)을 각각 포함한다.
서비스 서버(100)가 제1 VA 기술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카메라를 가상 설치하는 위치를 제1 VA 위치라고 칭하기로 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100)가 제2 VA 기술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카메라를 가상 설치하는 위치를 제2 VA 위치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1 VA 위치와 제2 VA 위치가 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제1 VA 기술 및 제2 VA 기술에 모두 이용 가능하도록 상기 지 지정된 거리 이내의 위치에 가상으로 설치하는 카메라를 회전식 카메라로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의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 제1 VA 기술에 대한 영역(911) 및 제2 VA 기술에 대한 영역(912) 모두에 이용되도록 카메라(920) 및 카메라(930)가 가상 설치되었다.
한편, 단계(S10)에서 서비스 서버(100가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VA 기술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때, VA 기술에 대한 우선 순위를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제1 VA 기술 및 제2 VA 기술에 대한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에, 가상 설치되는 카메라 중, 중복 사용되는 회전식 카메라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중복 사용되는 회전식 카메라가 존재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입력된 우선순위에 따라 회전식 카메라의 촬영 영역 및 촬영 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결정된 촬영 영역 및 촬영 시간을 기초로, 상기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VA 기술이 우선순위를 가지는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카메라(920, 930)의 촬영 영역 및 촬영 시간이 영역(911)에 가중치를 가지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를 반영하여, 서비스 서버(100)는 제2 VA의 적용 요건을 만족하도록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100)는 우선 순위에 따라, 카메라(920, 930)의 촬영 영역 및 촬영 시간이 결정되면, 이를 보상하도록 영역(912)의 다른 카메라(914, 916)의 설치 위치 및 사양을 결정할 수 있다.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수정 솔루션의 제공 방법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100)는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수정 솔루션의 제공 방법을 수행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카메라 설치 수정 솔루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카메라 설치자가 카메라 설치 솔루션에 따라 카메라를 시설물(400)의 공간에 설치하였으나, 설치 상의 오류로 VA 기술 적용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는 오류가 없었으나, 설치하는 과정에서 카메라가 잘못 설치된 경우이다. 또는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 설치 당시의 카메라 촬영 각도가 변경된 경우이다.
사용자의 단말(200) 또는 카메라 설치자의 단말(300)로부터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시설물(400)의 공간에 설치된 카메라에 대한 설치 오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수신한 오류 정보와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목표 촬영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수신한 오류 정보는 상기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목표 촬영 정보를 VA 적용 목적 및 VA 적용 조건을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VA 기술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서비스 서버(100)는 제어부(150)를 통해, VA 적용 목적 및 VA 적용 조건을 기초로 목표 촬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메모리(140)는 적용하고자 하는 VA 기술 마다 목표 촬영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도 있다. 또는 VA 기술에 대한 정보는 목표 촬영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VA 기술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때, 이에 매칭되는 목표 촬영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치된 카메라의 VA 적용 목적이 시설물(400) 출입자의 안면 인식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VA 적용 조건은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상기 출입자의 안면 인식이 가능하도록 안면의 특정 구성을 포함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목표 촬영 정보는 안면을 구성하는 눈, 코, 입과 같은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와 상기 구성요소 간의 배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오류 정보가 포함하는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정보와 상기 목표 촬영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서비스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목표 촬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설치된 카메라의 설치 위치 및 촬영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생성된 수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수정 솔루션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0에서, VA의 적용 목적이 시설물(400) 출입자의 안면인식인 경우가 예로써 도시되었다.
출입자(1005)가 시설물(400) 출입 시, 설치된 카메라(1010)를 통해 안면인식을 통과한 경우 출입이 허용된다고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1030)은 출입자 영상(101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1030)은 안면인식 비교 객체(10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안면인식 비교 객체(1040)는 출입자 영상(1015) 중에서, 기 지정된 출입자의 안면 정보와 비교할 영역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설치된 카메라(1010)의 촬영 각도에 따른 안면인식 비교 객체(1040)의 위치는 출입자 영상(1015) 중 출입자의 안면 부분에 매칭되지 않는다. 즉, VA 적용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VA 적용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카메라 설치자가 카메라를 최초 설치 시, 설치 과정에서 카메라가 잘못 설치된 경우에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설치된 카메라를 청소하거나 강한 바람에 노출되는 등의 이유로 설치 당시의 카메라 촬영 각도가 변경된 경우에도 이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설치된 카메라(1020)의 촬영 각도에 따른 안면인식 비교 객체(1040)의 위치는 출입자 영상(1015) 중 출입자의 안면 부분에 매칭된다. 즉, VA 적용 조건이 만족되고, 사용자의 VA 적용 목적도 달성된다.
서비스 서버(100)는 설치된 카메라(1020)를 통해 수신되는 촬영 영상을 목표 촬영 정보로 저장할 수도 있다. 즉, 수신되는 촬영 영상이 상기 VA 적용 목적이 달성될 수 있는 영상인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이를 VA 기술에 대한 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카메라의 설치 위치 및 촬영 각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안면인식 VA 목적 달성을 위한 목표 촬영 영상은 카메라(1020)의 촬영 각도로 촬영된 영상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안면인식 비교 객체(1040)은 출입자의 안면을 포함하도록 위치한다.
서비스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카메라(1020)의 촬영 각도로 촬영된 영상과 수신한 오류 정보 상의 영상 정보를 비교하여, 수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수정 정보는 각도 수정 정보를 포함한다.
서비스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상기 생성된 수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전식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각도가 회전되면 VA 적용 조건이 만족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10의 카메라(1010)가 회전식 카메라인 경우를 가정한다. 제어부(150)는 생성된 수정 정보에 따라 카메라(1010)의 촬영 각도를 변경하면, VA 적용 조건이 만족되는 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카메라(1010)의 촬영 각도를 카메라(1020)의 촬영 각도로 변경시키는 경우, 출입자의 안면인식을 위한 VA 적용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촬영 각도 회전으로 VA 적용 조건이 만족되면, 서비스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상기 회전식 카메라(1010)의 촬영 각도가 회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회전식 카메라가 복수인 경우, 복수 개 중 일부 카메라의 촬영 각도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VA 적용 조건을 만족시키는 범위 내에서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회전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카메라(1010)의 관리 서버에 생성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카메라(1010)의 관리 서버는 카메라 설치자의 단말(300) 또는 사용자의 단말(20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는 카메라(1010)의 관리 서버는 카메라 설치자의 단말(300) 또는 사용자의 단말(200)과 연관된 컴퓨팅 장치일 수도 있다.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100)는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을 수행한다. 이하, 상기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1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반복된 내용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100)의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100) 시설물(400)에 적용하고자 하는 VA 기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시설물(400)의 공간 정보(500)를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1110).
서비스 서버(100)는 VA 기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시설물(400)의 공간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의 설치 후보지를 결정할 수 있다(S1120). 공간 정보에 따라 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는 위치가 있고, 카메라 설치가 불가한 위치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설치 후보지는 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 중에서, VA 적용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위치를 의미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설치 후보지 중 제1 위치에 설치할 제1 카메라를 결정할 수 있다(S1130). 여기에서 제1 위치는, 서비스 서버(100)가 VA 기술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판단 시, 카메라 설치의 최적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제1 카메라는 제1 위치에 설치되어, VA 적용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최적 사양을 가진 카메라를 의미한다.
서비스 서버(100)의 제1 위치 결정 방법에 대하여,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제1 카메라의 설치 위치 결정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또한, 도 13은 도 12의 순서도를 시각화한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100) VA 적용 조건에 최적화된 위치를 상기 제1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목표 촬영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S1131).
도 13의 단계(S1301)를 예로 들면, 서비스 서버(100)는 카메라의 설치 후보지를 출입문의 근처인 위치(1311), 위치(1312), 위치(1313)로 결정할 수 있다. 즉, VA 적용 목적이 출입자 감시인 경우이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100)는 VA 적용의 목적에 따라 방범 대상(1320) 주변의 위치는 카메라 설치 후보지로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입력된 시설물(400)의 공간 정보 및 VA 기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출입자 감시를 위한 목표 촬영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설치 후보지(1311, 1312, 1313)에 기 지정된 사양을 가진 카메라를 가상 설치할 수 있다(S1132). 이에 따라 도 13의 단계(S1302)에서, 설치 후보지(1311, 1312, 1313) 각각에 카메라(1321, 1322, 1323)이 가상 설치되었다. 여기에서 기 지정된 사양을 가진 카메라란, 서비스 서버(100)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특정 사양을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서버(100)의 제어부(150)에 의해 자동으로 결정되는 특정 사양을 가지는 카메라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VA 적용 조건 및 시설물의 공간 정보를 고려하여, VA 적용 목적 달성을 위한 최소한의 사양을 가지는 카메라를 상기 기 지정된 카메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가상 설치된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가 상기 목표 촬영 정보에 매칭되는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S1133). 또한, 이에 따라 매칭 정도가 최고인 위치를 제1 카메라를 설치하는 제1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란, 실제 카메라가 설치되어 촬영되지 않았지만, 상기 기 지정된 카메라의 사양에 따라 예상되는 촬영 정보이다.
즉, 서비스 서버(100)는 기 지정된 카메라를 설치 후보지에 설치하는 경우 예상되는 촬영 영역, 감지 가능한 정보 등을 예상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이를 목표 촬영 정보와 비교하여, VA 적용 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판단 결과, 설치 후보지 중, 상기 매칭 정도가 최고인 위치를 상기 제1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S1134). 도 13의 단계(S1303)에서, 설치 후보지(1312)가 제1 위치(1333)로 결정되었다.
서비스 서버(100)는 설치 후보지 중 제1 위치에 설치할 제1 카메라를 결정 시, 상기 VA 기술의 정보를 기초로 제1 카메라를 설치할 높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목표 촬영 정보와 예상 촬영 정보를 비교함에 따라 상기 설치 높이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100)의 제1 카메라 결정 방법에 대하여, 이하, 도 14 및 도 15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제1 카메라의 결정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또한, 도 15는 제1 카메라 결정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100) VA 적용 조건에 최적화된 사양을 가지는 카메라를 상기 제1 카메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100)는 기 지정된 순서대로 서로 다른 사양을 가진 카메라를 상기 제1 위치에 가상 설치할 수 있다(S1136).
도 15에서, VA 적용 목적이 소정의 경로 상에서 특정 소지품(1510) 소지자를 식별하기 위한 것인 경우가 예로써 도시되었다. 도 15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100)는 제1 위치(1501)에 기 지정된 순서대로 서로 다른 사양을 가지는 카메라(1511, 5112, 1513)를 가상 설치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상기 VA 적용 목적에 따라, 특정 소지품에 대한 촬영 정보 및 특정 소지품 소지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목표 촬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기 지정된 순서대로 가상 설치 카메라(1511, 1512, 1513)의 예상 촬영 정보가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목표 촬영 정보에 매칭되는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S1137).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100)는 카메라(1511)의 예상 촬영 정보와 목표 촬영 정보의 매칭 정도를 우선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100)는 카메라(1512) 및 카메라(1513) 순서대로 예상 촬영 정보와 목표 촬영 정보의 매칭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판단 결과, 매칭 정도가 기 지정된 매칭 수준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선정할 수 있다(S1138). 또한, 서비스 서버(100)는 선정된 카메라 중, 상기 매칭 정도가 최고 수준인 카메라를 상기 제1 카메라로 결정할 수 있다(S1139).
기 지정된 매칭 수준은 VA 적용을 위한 최저 수준의 매칭 정도를 의미한다. 서비스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VA 적용 조건을 판단하여, 상기 최저 수준의 매칭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서버(100)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상기 기 지정된 매칭 수준이 결정될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모든 카메라에 대한 판단이 완료되지 않았더라도, 서비스 서버(100)는 단계(S1137) 이후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일부 카메라에 대한 매칭 정도에 대한 판단 중에 VA 적용 조건에 최적화된 카메라가 존재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최적화된 카메라를 제1 카메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카메라(1511)이 제1 카메라로 결정되어 실제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200)을 통해, 감시 화면(1540)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1511)의 사양은 촬영 영역이 좁으므로, 감시 화면(1540)은 소정의 경로 상에서 감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100)는 카메라(1511)를 제1 카메라로 결정하지 않는다.
다시 도 15를 참조하면, 카메라(1512)이 제1 카메라로 결정되어 실제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200)을 통해, 감시 화면(1540)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1512)의 사양은 카메라(1511) 보다는 VA 적용에 적합하다. 다만, 카메라(1512)의 촬영 영역은 여전히 VA 적용 목적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즉, 사용자는 감시 화면(1540)을 통해, 특정 소지품 영상(1520)을 확인할 수 있으나, 특정 소지품의 소지자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100)는 카메라(1512)를 제1 카메라로 결정하지 않는다. 다만, 상술한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시뮬레이션의 제공 방법의 경우, 카메라 최저 설치 옵션이 선택된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카메라(1512)를 제1 카메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카메라(1513)이 제1 카메라로 결정되어 실제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200)을 통해, 감시 화면(1540)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1513)의 사양은 소정의 경로 상에서 특정 소지품 영상(1520)을 획득하할 수 있고, 소지하고 있는 소지자(1530)를 확인하기에 충분하다. 따라서, 카메라 (1513)은 VA 적용 목적을 달성시키고 다른 카메라(1511, 1512)에 비하여 VA 적용 조건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 서비스 서버(100)는 카메라(1513)를 제1 카메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상, 제1 위치 및 제1 위치에 설치할 제1 카메라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100)는 제1 카메라의 사양 정보를 기초로, 제1 카메라가 상기 제1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 제1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가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40).
서비스 서버(100)는 제1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가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S1130)에서, 제1 위치 및 제1 카메라는 예상 촬영 정보가 목표 촬영 정보에 대한 매칭 정도에 의해 결정되었다. 따라서, 제1 위치 및 제1 카메라는 VA 적용에 최적화되도록 결정되었다 그러나, 상기 제1 위치 및 제1 카메라가 최적의 위치와 최적의 사양으로 결정되었더라고 단계(S1140)에서 하나의 카메라로 VA 적용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VA 적용 조건이 복수의 카메라를 필요로 하는 경우이다.
이하, 서비스 서버(100)가 제2 카메라를 가상 설치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위치 및 제1 카메라를 결정하는 방법과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는 상기 제2 카메라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또한, 도 17는 도 16의 순서도를 시각화한 예시도이다.
서비스 서버(100)는 제1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가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설치 후보지 중, 제2 위치에 설치할 제2 카메라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설치 후보지는 도 12의 단계(S1120)에서 결정된 설치 후보지이다.
서비스 서버(100)는 제1 위치를 제외한 설치 후보지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기 지정된 순서대로 서로 다른 사양을 가진 카메라를 가상 설치할 수 있다(S1601). 서비스 서버(100)는 가상 설치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와 상기 제1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를 기 지정된 순서대로 조합할 수 있다(S1602).
서비스 서버(100)는 기 지정된 순서대로 조합된 예상 촬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603).
도 17의, 단계(S1701)에서 제1 카메라(1710)가 제1 위치에 설치된 상황에서 VA 적용 목적이 방범 대상(515)에 대한 감시인 경우를 가정한다. VA 적용 조건은 침입자의 예상 동선을 포함하는 촬영 영상 확보인 경우를 가정한다. 사용자가 방범 대상(515) 주변에 접근하는 침입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서비스 서버(100)는 기 지정된 순서(S1702, S1712, S1722)대로 서로 다른 사양을 가진 카메라(1720, 1730, 1740)을 가상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카메라를 설치할 제2 위치는 방범 대상(515)의 주변으로 결정되었다고 가정한다.
제1 카메라(1710)의 예상 촬영 정보와 카메라(1720)의 예상 촬영 정보를 조합하면, VA 적용 조건을 만족할 수 없다. 카메라(1720)의 촬영 각도는 넓지만, 촬영 거리가 짧기 때문이다.
제1 카메라(1710)의 예상 촬영 정보와 카메라(1730)의 예상 촬영 정보를 조합하면, VA 적용 조건을 만족할 수 없다. 카메라(1730)의 촬영 거리는 카메라(1710)보다는 길지만, 조합된 예상 촬영 정보는 사각 지대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제1 카메라(1710)의 예상 촬영 정보와 카메라(1740)의 예상 촬영 정보를 조합하면, VA 적용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조합된 예상 촬영 정보를 확인하면, 제1 카메라와 카메라(1740)의 촬영 영역이 오버랩 영역(1750)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조합된 예상 촬영 정보가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VA 적용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상 설치 카메라가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 중 최저 사양을 가지는 카메라를 제2 카메라로 결정할 수 있다(S1604). 또한,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를 제2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S1605).
최저 사양을 가지는 카메라를 제2 카메라로 결정하는 이유는, 제2 카메라가 제1 카메라와 결합하여 VA 적용 조건을 만족시키기 때문이다. 즉, 서비스 서버(100)는 제1 카메라의 사양에 종속적으로 제2 카메라의 사양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VA 적용 조건을 만족시키는 최적화된 조합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단계(S1603)에서 VA 적용 조건을 만족시키는 조합에 대한 판단은 다양한 사양을 가진 카메라를 기 지정된 순서대로 조합하는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시키는 조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카메라 설치 위치가 VA 적용에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적용한다. 즉, 도 16의 각 단계를 수행한 결과, VA 적용 조건을 만족시키는 조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는 카메라 사양의 문제가 아니고, 설치 위치의 문제일 수 있다.
도 18에서 단계(S1603)에서 VA 적용 조건을 만족시키는 조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2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 어느 하나의 위치란, 도 16 및 도 17에서 제1 카메라와 기 지정된 순서대로 조합되는 카메라가 가상 설치되는 위치이다. 나머지 위치란, 설치 후보지 중, 제1 위치와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를 제외한 위치이다.
예를 들어 설치 후보지가 5군데이고, 5군데 중 제1 위치를 제외하면, 설치 후보지가 4군데 남는다. 이때,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를 제외하면, 3개의 설치 후보지가 남게 된다.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3개의 위치에 대하여 각각 이하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서비스 서버(100)의 동작은 도 16에서 설명된 각 단계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의 각 단계에서의 서비스 서버(100)의 동작은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행하여 진다. 반면에, 하기 서비스 서버(100)의 동작은 각 단계가 복수의 나머지 위치에서 행하여 진다.
서비스 서버(100)는 설치 후보지 중 제1 위치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 상기 기 지정된 순서대로 서로 다른 사양을 가진 카메라를 가상 설치할 수 있다(S1801).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나머지 위치에 설치되는 가상 설치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와 상기 제1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를 상기 기 지정된 순서대로 조합할 수 있다(S1802).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나머지 위치에 설치되는 가상 설치 카메라를 이용하여 기 지정된 순서대로 조합된 예상 촬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상 설치 카메라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설치 카메라 중 최저 사양을 가진 카메라를 상기 제2 카메라로 결정할 수 있다((S1803).
또한,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나머지 위치를 상기 제2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S1804).
한편, 도 16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하였듯이 VA 적용 조건에 따라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의 촬영영역이 오버랩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6의 단계(S1603)에서, 서비스 서버(100)는 VA 기술 정보를 기초로, 제1 카메라의 촬영 가능 영역과 상기 가상 설치 카메라의 촬영 가능 영역의 오버랩 영역의 요구되는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603)에서 서비스 서버(100)는, 기 지정된 순서대로 조합된 예상 촬영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결정된 오버랩 영역의 크기를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 지정된 순서대로 조합된 예상 촬영 정보는 단계(S1602)에서 가상 설치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와 제1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를 기 순서대로 결합함에 따라 생성된 정보이다.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판단 결과,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 상기 결정된 오버랩 영역의 크기를 만족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9는 촬영 거리에 따라 발생되는 오버랩 영역의 예이다. 도 20는 촬영 각도에 따라 발생되는 오버랩 영역의 일 예이다.
도 19에서 VA 적용 목적이 경로를 걷는 보행인 관찰이라고 가정한다. 카메라(1920, 1930, 1940)의 촬영 가능 각도는 동일하나 촬영 가능 거리는 서로 다르다. 카메라의 촬영 가능 영역은 촬영 가능 거리 및 촬영 가능 각도 범위로 결정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 카메라(1910)와 카메라(1920, 1930, 1940)가 가상 설치되었다. 또한, 도 19에서 제1 카메라(1910)과 카메라(1920, 1930, 1940)의 조합된 예상 촬영 정보를 설명하는 예로써 조합(1901), 조합(1902), 조합(1903)이 도시되었다.
조합(1901)에 따르면, 오버랩 영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보행자 관찰이 불가능 하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100)는 카메라(1920)을 제2 카메라로 결정하지 않는다.
조합(1902)는 카메라(1930)의 촬영 가능 거리가 카메라(1920)보다 길지만, 여전히 보행자 관찰이 불가능한 영역이 존재한다. 조합(1903)은 오버랩 영역(1950)을 발생시킨다. 이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제2 카메라로 카메라(1940)을 결정할 수 있다. 카메라(1940)의 촬영 가능 거리가 VA 적용 조건 및 VA 적용 목적을 만족시키기 때문이다.
서비스 서버(100)는 단계(S1603)에서 조합된 예상 촬영 정보가 VA 적용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판단할 때, 상기 오버랩 영역(1950)의 크기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0에서 VA 적용 목적이 금고(2010)에 접근하고 소정의 경로를 따라 도주하는 침입자 추적이라고 가정한다. 카메라(2030, 2040, 2050)의 촬영 가능 거리는 동일하나 촬영 가능 각도는 서로 다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 카메라(2020)와 카메라(2030, 2040, 2050)가 가상 설치되었다. 또한 도 20에서 제1 카메라(2020)과 카메라(2030, 2040, 2050)의 조합된 예상 촬영 정보를 설명하는 예로써 조합(2001), 조합(2002), 조합(2003)이 도시되었다. 각 조합(2001, 2002, 2003)에서 침입자의 예상 경로(2060)가 도시되었다.
조합(2001)에 따르면, 오버랩 영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침입자가 경로(2060)을 따라 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100)는 카메라(2030)을 제2 카메라로 결정하지 않는다.
다만, 조합(2001)에 따르면, 제1 카메라의 촬영 가능 영역과 카메라(2010)의 촬영 가능 영역은 접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시뮬레이션의 제공 방법 카메라 최저 비용 설치 옵션이 선택된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카메라(2030)을 제2 카메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100)는 서비스 서버(100)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VA 요구 수준에 따라 카메라(2010)를 제2 카메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설정된 VA 요구 수준에 따라, 서비스 서버(100)가 최적화된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경우에도, 카메라(2010)가 제2 카메라로 결정될 수 있다.
조합(2002)는 카메라(2040)의 촬영 가능 각도가 카메라(2030)보다 좁으므로, 침입자가 경로(2060)을 따라 도주 시, 관찰이 불가능한 영역이 존재한다. 조합(2003)은 오버랩 영역(2070)을 발생시킨다. 이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제2 카메라로 카메라(2050)을 결정할 수 있다. 카메라(2050)의 촬영 가능 각도가 VA 적용 조건 및 VA 적용 목적을 만족시키기 때문이다.
서비스 서버(100)는 단계(S1603)에서 조합된 예상 촬영 정보가 VA 적용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판단할 때, 상기 오버랩 영역(2070)의 크기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된 컴퓨터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컴퓨팅 장치로부터 제2 컴퓨팅 장치에 송신되어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컴퓨팅 장치 및 상기 제2 컴퓨팅 장치는, 서버 장치, 데스크탑 PC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와 같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0)

  1. 서비스 서버가 수행하는 카메라 설치 시뮬레이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에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설물에 적용되는 VA 기술에 대한 정보 및 시설물의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메라 설치 최적화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옵션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옵션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선택된 옵션에 따라,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른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는 상기 시설물의 공간에 상기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시뮬레이션의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VA 기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시설물의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시설물에 설치하기 위한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에 대한 정보는 카메라의 종류, 회전 가능 여부 및 카메라 사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의 공간 정보는,
    상기 시설물의 구조, 면적, 영역 별 조도 정보를 포함하는,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가상 설치되는 카메라의 사양 및 카메라의 설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메뉴를 통한 변경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 입력을 반영하여, 상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시뮬레이션의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시설물의 공간에 특정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영역을 설정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 수행 시 가상 설치되는 카메라가 상기 VA 기술에 대한 정보에 따라 촬영을 수행하되,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촬영도 수행하도록 상기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시뮬레이션의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VA 기술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VA 기술 중, 제1 VA 기술에 대응하는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VA 기술 중, 제2 VA 기술에 대응하는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시설물의 공간에 상기 제1 VA 기술 및 상기 제2 VA 기술에 대한 상기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시뮬레이션의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VA 기술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VA 기술 중 우선 순위를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설치된 카메라 중, 상기 제1 VA 기술 및 상기 제2 VA 기술에 중복 사용되는 회전식 카메라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회전식 카메라의 촬영 영역 및 촬영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촬영 영역 및 촬영 시간을 기초로, 상기 카메라 가상 설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시뮬레이션의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은 카메라 최소 수량 설치, 카메라 최소 비용 설치 및 카메라 재배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시뮬레이션의 제공 방법.
  9. 서비스 서버가 수행하는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시설물에 적용하고자 하는 VA 기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시설물의 공간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VA 기술 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시설물의 공간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의 설치 후보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설치 후보지 중 제1 위치에 설치할 제1 카메라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VA 기술 정보는 VA 적용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의 사양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카메라가 상기 제1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가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가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카메라 설치 솔루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후보지 중 제1 위치에 설치할 제1 카메라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설치 후보지 중 상기 VA 적용 조건에 최적화된 위치를 상기 제1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VA 적용 조건에 최적화된 사양을 가진 카메라를 상기 제1 카메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VA 적용 조건에 최적화된 위치를 상기 제1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목표 촬영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설치 후보지에 기 지정된 사양을 가진 카메라를 가상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설치 후보지에 가상 설치된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가 상기 목표 촬영 정보에 매칭되는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설치 후보지 중, 상기 매칭 정도가 최고인 위치를 상기 제1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VA 적용 조건에 최적화된 사양을 가진 카메라를 상기 제1 카메라로 결정하는 단계는,
    기 지정된 순서대로 서로 다른 사양을 가진 카메라를 상기 제1 위치에 가상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 지정된 순서대로 상기 가상 설치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가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목표 촬영 정보에 매칭되는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매칭 정도가 기 지정된 매칭 수준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카메라 중, 상기 매칭 정도가 최고 수준인 카메라를 상기 제1 카메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가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가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설치 후보지 중, 제2 위치에 설치할 제2 카메라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 설치할 제2 카메라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를 제외한 상기 설치 후보지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기 지정된 순서대로 서로 다른 사양을 가진 카메라를 가상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상 설치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와 상기 제1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를 상기 기 지정된 순서대로 조합하는 단계;
    상기 기 지정된 순서대로 조합된 예상 촬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상 설치 카메라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경우,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설치 카메라 중 최저 사양을 가진 카메라를 상기 제2 카메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를 상기 제2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된 예상 촬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상 설치 카메라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설치 후보지 중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 상기 기 지정된 순서대로 서로 다른 사양을 가진 카메라를 가상 설치하는 단계;
    상기 나머지 위치에 설치되는 가상 설치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와 상기 제1 카메라의 예상 촬영 정보를 상기 기 지정된 순서대로 조합하는 단계;
    상기 나머지 위치에 설치되는 가상 설치 카메라를 이용하여 기 지정된 순서대로 조합된 예상 촬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최저 사양을 가진 카메라를 상기 제2 카메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나머지 위치를 상기 제2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지정된 순서대로 조합된 예상 촬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VA 기술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카메라의 촬영 가능 영역과 상기 가상 설치 카메라의 촬영 가능 영역의 오버랩 영역의 요구되는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 지정된 순서대로 조합된 예상 촬영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결정된 오버랩 영역의 크기를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 상기 결정된 오버랩 영역의 크기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 상기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가능 영역은 촬영 가능 거리 및 촬영 가능 각도 범위로 결정되고,
    상기 서로 다른 사양을 가진 가상 설치 카메라는,
    상기 촬영 가능 거리 및 상기 촬영 가능 각도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의 사양을 다르게 가지는,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후보지 중 제1 위치에 설치할 제1 카메라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VA 기술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카메라를 설치할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
  19. 서비스 서버가 수행하는 카메라 설치 수정 솔루션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시설물의 공간에 설치된 카메라에 대한 설치 오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오류 정보와 VA 적용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목표 촬영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목표 촬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상기 카메라의 설치 위치 및 촬영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수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오류 정보는 상기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수정 솔루션의 제공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수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수정 정보가 각도 수정 정보이고 상기 카메라가 회전식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수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전식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각도가 회전되면 VA 적용 조건이 만족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촬영 각도 회전으로 VA 적용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회전식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각도가 회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카메라의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VA 적용을 위한 카메라 설치 수정 솔루션의 제공 방법.
KR1020150106987A 2015-07-29 2015-07-29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70014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987A KR20170014133A (ko) 2015-07-29 2015-07-29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987A KR20170014133A (ko) 2015-07-29 2015-07-29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133A true KR20170014133A (ko) 2017-02-08

Family

ID=58155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987A KR20170014133A (ko) 2015-07-29 2015-07-29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41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31279A (zh) * 2019-11-29 2020-04-17 武汉烽火众智数字技术有限责任公司 基于监控平台的模拟前端设备点位搭建方法和系统
WO2020226221A1 (ko) * 2019-05-03 2020-11-12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계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장치 설치 솔루션 제공 방법
WO2021020645A1 (ko) * 2019-07-26 2021-02-0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복수의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과 통신하는 컴퓨터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6221A1 (ko) * 2019-05-03 2020-11-12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계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장치 설치 솔루션 제공 방법
US20220036420A1 (en) * 2019-05-03 2022-02-03 Hanwha Techwin Co., Ltd. Surveillance plann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ity device installation solution using same
WO2021020645A1 (ko) * 2019-07-26 2021-02-0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복수의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과 통신하는 컴퓨터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N111031279A (zh) * 2019-11-29 2020-04-17 武汉烽火众智数字技术有限责任公司 基于监控平台的模拟前端设备点位搭建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24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overlap detection in surveillance camera network
US107645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mobile device of zone and correlated motion detection
US853722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s
US2014011253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0200631B2 (en) Method for configuring a camera
KR102050424B1 (ko) 주차관리 시스템 및 주차관리 방법
AU2020255407A1 (en) Construction project tracking
EP38557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video streams on a display
US201702779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signating surveillance camera regions of interest
US108965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rveillance using location-tracking imaging devices
JP2016063468A (ja)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及び映像処理システム
KR20170014133A (ko) Va 적용에 최적화된 카메라 설치 솔루션의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8701393A (zh) 用于事件处理的系统及方法
KR101473904B1 (ko)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EP2913996B1 (en)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processing system
CN107230240B (zh) 一种拍摄方法及移动终端
JP6612724B2 (ja) 映像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映像表示方法
JP714641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337790A1 (en) Video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JP6941458B2 (ja) 監視システム
CN107431751A (zh) 采集图像的方法、装置和系统
JP6887352B2 (ja) 監視システム
KR20190114223A (ko)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7085925B2 (ja) 情報登録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登録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702452B1 (ko)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cctv 영상 제공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