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492B1 -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492B1
KR101714492B1 KR1020160101428A KR20160101428A KR101714492B1 KR 101714492 B1 KR101714492 B1 KR 101714492B1 KR 1020160101428 A KR1020160101428 A KR 1020160101428A KR 20160101428 A KR20160101428 A KR 20160101428A KR 101714492 B1 KR101714492 B1 KR 101714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ctv
image
equipment
user equipme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휘
최석우
김유종
임원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1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8Tracking movement of a target, e.g. by detecting an object predefined as a target, using target direction and or velocity to predict its new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04N5/2251
    • H04N5/23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사용자 기기;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요청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1차 회전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예비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예비 영상 내 사용자가 설정한 촬영 지점을 기반으로 2차 회전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CCTV 장비; 및 상기 CCTV 장비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제공받아 해당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관제 센터를 포함하되, 상기 원격 호출 기능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주변에 위치하는 CCTV 카메라로의 영상 촬영을 요청하는 것이다.

Description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PROVIDING REMOTE CALL FUNCTION OF CCTV CAMERA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범죄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나, 교통사고 또는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에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를 설치하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중앙의 통제장치로 전송하여 모니터링하거나 저장함으로써 범죄, 사고 또는 화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며, 이미 발생한 범죄, 사고 또는 화재에 대해서는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당사자들 사이의 분쟁을 해결하는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CCTV 감시시스템은 CCTV를 이용하여 감시영역 내의 이상여부를 감시하는데, CCTV에 의해 촬영되는 감시 영상은 중앙의 관리실에 설치된 모니터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사용자가 계속 주시하여 도난이나 화재 등과 같은 이상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러나 CCTV는 도로 상의 특정 영역을 감시하도록 고정되어 있어 사각 지대가 발생하기 때문에 그 사각 지대에서 발생하는 돌발 상황을 감지하여 대처가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 상에서 돌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기기를 이용하여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CCTV 카메라를 호출하면 그 호출된 CCTV 카메라가 회전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지점을 중심으로 영상을 촬영하도록 한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사용자 기기;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요청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1차 회전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예비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예비 영상 내 사용자가 설정한 촬영 지점을 기반으로 2차 회전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CCTV 장비; 및 상기 CCTV 장비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제공받아 해당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관제 센터; 를 포함하되, 상기 원격 호출 기능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주변에 위치하는 CCTV 카메라로의 영상 촬영을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CCTV 장비는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자를 확인하여 호출 기능을 요청하였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호출 기능을 요청하였다고 판단되면, 해당 사용자 기기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호출 기능이 요청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통지 메시지를 주변에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CTV 장비는 상기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기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CCTV 카메라를 1차 회전시켜 상기 사용자 기기에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예비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예비 영상 내 사용자가 설정한 촬영 지점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2차 회전 회전시키며, 상기 2차 회전된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 지점을 기반으로 영상을 획득하여 관제 센터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CTV 장비는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CCTV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 기기 간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거리에 따라 상기 CCTV 카메라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여 확대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CTV 장비는 촬영 방향이 고정되고 상기 도로 상의 차량 운행 상태에 대한 제1 영상을 획득하는 제1 CCTV 카메라; 및 상기 촬영 방향이 가변되고 상기 사용자 기기의 요청에 따라 회전하고 특정 영역에 대한 제2 영상을 획득하는 제2 CCTV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CTV 장비는 상기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기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CCTV 카메라를 1차 회전시켜 상기 사용자 기기에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예비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예비 영상 내 사용자가 설정한 촬영 지점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2차 회전 회전시키며, 상기 2차 회전된 제2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 지점을 기반으로 제2 영상을 획득하여 관제 센터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CTV 장비는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CCTV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 기기 간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CCTV 카메라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여 확대된 제2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사용자 기기가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CCTV 장비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요청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1차 회전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예비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예비 영상 내 사용자가 설정한 촬영 지점을 기반으로 2차 회전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관제 센터가 상기 CCTV 장비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제공받아 해당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원격 호출 기능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주변에 위치하는 CCTV 카메라로의 영상 촬영을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자를 확인하여 호출 기능을 요청하였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호출 기능을 요청하였다고 판단되면, 해당 사용자 기기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호출 기능이 요청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통지 메시지를 주변에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기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CCTV 카메라를 1차 회전시켜 상기 사용자 기기에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예비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예비 영상 내 사용자가 설정한 촬영 지점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2차 회전 회전시키며, 상기 2차 회전된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 지점을 기반으로 영상을 획득하여 관제 센터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CCTV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 기기 간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거리에 따라 상기 CCTV 카메라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여 확대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CTV 장비는 촬영 방향이 고정되고 상기 도로 상의 차량 운행 상태에 대한 제1 영상을 획득하는 제1 CCTV 카메라; 및 상기 촬영 방향이 가변되고 상기 사용자 기기의 요청에 따라 회전하고 특정 영역에 대한 제2 영상을 획득하는 제2 CCTV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기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CCTV 카메라를 1차 회전시켜 상기 사용자 기기에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예비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예비 영상 내 사용자가 설정한 촬영 지점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2차 회전 회전시키며, 상기 2차 회전된 제2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 지점을 기반으로 제2 영상을 획득하여 관제 센터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CCTV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 기기 간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CCTV 카메라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여 확대된 제2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도로 상에서 돌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기기를 이용하여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CCTV 카메라를 호출하면 그 호출된 CCTV 카메라가 회전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되, 사용자 기기에 의해 지정된 지점을 중심으로 영상을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돌발 상황이 발생한 영역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호출된 CCTV 카메라가 회전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영역 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지점을 중심으로 영상을 촬영하기 때문에 정확한 영상 촬영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기기의 호출에 따라 돌발 상황이 발생한 영역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하기 때문에 돌발 상황의 빠른 인지 및 대처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기기의 호출에 따라 돌발 상황이 발생한 영역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향후 당사자들 사이의 분쟁 해결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CCTV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호출 기능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의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장비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CTV 장비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및 그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도로 상에서 돌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기기를 이용하여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CCTV 카메라를 호출하면 그 호출된 CCTV 카메라가 회전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지점을 중심으로 영상을 촬영하도록 한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CCTV 카메라가 회전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지점을 도출하여 도출된 지점을 촬영 중심으로 영상을 촬영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사용자 기기(100), CCTV 장비(200), 관제 센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100)는 CCTV 장비와 연동하기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CCTV 장비(200)에 자신이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기기(100)는 CCTV 장비(2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제공 받아 제공 받은 영상 내에서 사용자의 의해 지정된 지점을 촬영 중심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촬영 중심점은 CCTV 장비(200)의 촬영 중심점으로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기기(100)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단말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과 차량에 장착하고 다니는 단말 예컨대, 네비게이션 기기를 포괄하는 개념일 수 있다.
CCTV 장비(200)는 도로 주변에 설치되어 차량 운행 상태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차량 운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관제 센터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장비(200)는 사용자 기기(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CCTV 장비(200)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최초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기기(100)에 제공하여 이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기기(100)에 의해 지정된 지점을 촬영 중심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촬영 중심점을 기반으로 촬영 방향을 보정하도록 회전하여 그 촬영 중심점을 기반으로 영상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관제 센터(300)는 CCTV 장비(100)와 연동하여 CCTV 장비(1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제공받아 제공받은 영상을 이용하여 도로의 차량 운행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호출 기능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 상에서 CCTV 장비가 설치된 영역에서는 그 영역에 설치된 CCTV 장비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일정한 반경의 영역에 위치하는 차량의 운행 상태를 촬영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영역 A에서는 CCTV 장비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CCTV 장비가 촬영하지 않는 영역 B에서 돌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기기를 이용하여 CCTV 장비의 원격 호출 기능을 요청하면, 요청받은 CCTV 장비가 회전하여 촬영 방향을 영역 A에서 영역 B로 변경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CCTV 장비는 사용자 기기가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촬영 방향을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돌발 상황이 발생한 경우 CCTV 장비의 원격 호출 기능을 요청하는 사용자는 돌발 상황 예컨대, 교통 사고의 직접적인 당사자이거나 사고 목격자 등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기기가 위치하는 지점이 정확한 촬영을 위한 촬영 중심이라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CCTV 장비의 1차 회전에 의해 촬영된 영상 내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지점을 촬영 중심으로 설정하여 설정된 촬영 중심을 기반으로 촬영 방향을 보정하도록 2차 회전하여 그 2차 회전된 촬영 방향을 기반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 방향의 보정을 통해 돌발 상황이 발생된 영역에 대한 보다 정확한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정확한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의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는 메시지 타입 필드, 위치 정보 필드, 데이터 필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 타입 필드는 메시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서, 예컨대, 원격 호출 기능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는 '00', 촬영 중심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 메시지는 '01', 요청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기 위한 응답 메시지는 '11'일 수 있다.
위치 정보 필드는 사용자 기기의 위치 정보 즉, GPS 위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데이터 필드에서는 CCTV 장비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장비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CTV 장비(200)는 CCTV 카메라(210), 구동부(220), 제어부(230), 전송부(240), 근거리 통신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CCTV 카메라(210)는 도로 상의 차량 운행 상태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210)는 줌인(zoon in) 기능을 이용하여 도로 상의 특정 영역에 대한 확대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줌인 기능은 카메라의 위치를 고정시킨 채 줌 렌즈의 초점 거리를 변화시켜 촬영물에 접근하여 가는 것처럼 보이도록 촬영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이때, CCTV 카메라(210)는 위치 정보 예컨대, GPS 위치를 기반으로 초점 거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초점 거리 기반 줌인 기능을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정보는 CCTV 카메라(210)의 GPS 위치와 사용자 기기의 GPS 위치로서, 이를 기반으로 CCTV 카메라(210)와 사용자 기기 간의 거리가 산출될 수 있다.
구동부(220)는 사용자 기기의 호출에 따라 CCTV 카메라(210)의 촬영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220)는 2축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두 개의 회전축을 갖고, 각 회전축을 통해 수평 방향으로 360도 회전하거나 수직 방향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다.
제어부(230)는 CCTV 카메라(21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여 그 수집된 영상을 관제 센터에 제공할 수 있고, 관제 센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CCTV 카메라의 호출을 요청 받고 그 요청에 따라 CCTV 카메라(210)를 회전시켜 해당 영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사용자 기기로부터 CCTV 카메라의 호출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CCTV 카메라(210)를 회전시켜 사용자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230)는 요청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기기의 위치 정보와 자신 즉, CCTV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CCTV 카메라(2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특히, 제어부(230)는 사용자 기기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CCTV 카메라(210)를 1차 회전시켜 1차 회전에 의한 촬영 방향에서 예비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예비 영상을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여 사용자 기기에 의해 예비 영상 내 지정된 지점을 촬영 중심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촬영 중심의 최종 위치 정보를 산출한 후 산출된 최종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CCTV 카메라(210)를 2차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요청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기기의 위치 정보와 자신 즉, CCTV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CCTV 카메라(210)의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30)는 사용자 기기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1차 회전된 CCTV 카메라(210)의 초점 거리를 1차 산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촬영 중심을 기반으로 2차 회전된 CCTV 카메라(210)의 초점 거리를 2차 산출하여 조절할 수 있다.
전송부(240)는 관제 센터와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연동하여 CCTV 카메라(21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거나 관제 센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전송부(240)는 1차 회전 후 촬영된 영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촬영 중심을 기반으로 2차 회전된 CCTV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250)는 사용자 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동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근거리 통신부(250)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 메시지를 사용자 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장비는 도로 상의 차량 운행 상태에 대한 제1 영상을 획득하고(S501) 획득한 제1 영상을 관제 센터(300)에 송신할 수 있다(S502).
다음으로, 사용자 기기는 도로 상에서 돌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CCTV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촬영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S503) 생성된 요청 메시지를 CCTV 장비에 송신할 수 있다(S504).
다음으로, CCTV 장비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자를 확인하여 원격 호출 기능을 요청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505).
다음으로, CCTV 장비는 원격 호출 기능을 요청하였다고 판단되면, 해당 사용자 기기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고(S506), 사용자 기기로부터 원격 호출 기능이 요청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통지 메시지를 주변에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S507).
즉,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기기는 이미 다른 사용자 기기에 의해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이 요청되었음을 해당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비활성화시켜 해당 사용자 기기는 더 이상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게 된다.
이때, CCTV 장비는 다수의 사용자 기기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데, 하나의 사용자 기기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다른 요청 메시지는 모두 폐기한다.
다음으로, CCTV 장비는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기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CCTV 카메라를 1차 회전시킬 수 있다(S508).
다음으로, CCTV 장비는 1차 회전시킨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제1 예비 영상을 획득하고(S509) 획득한 제1 예비 영상을 사용자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S510).
다음으로, 사용자 기기는 CCTV 장비로부터 제1 예비 영상을 수신하면 수신된 제1 예비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그 디스플레이된 제1 예비 영상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기준 지점을 입력받아(S511) 입력 받은 기준 지점을 포함하는 제2 예비 영상을 CCTV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S512).
다음으로, CCTV 장비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제2 예비 영상을 수신하면, 수신된 예비 영상에 포함된 지점을 촬영 지점으로 설정하여 이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CCTV 카메라를 2차 회전시킬 수 있다(S513).
이때, CCTV 장비는 사용자 기기의 위치 정보와 예비 영상에 포함된 촬영 지점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 간의 차이가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 2차 회전시키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CCTV 장비는 2차 회전된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돌발 상황이 발생한 영역에 대한 제2 영상을 획득하여(S514) 획득한 제2 영상을 관제 센터에 송신할 수 있다(S515).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CTV 장비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CTV 장비(200)는 제1 CCTV 카메라(211), 제2 CCTV 카메라(212), 구동부(220), 제어부(230), 전송부(240), 근거리 통신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CCTV 카메라가 설치된 경우, 다수의 CCTV 카메라 즉, 제1 CCTV 카메라(211), 제2 CCTV 카메라(212)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고자 한다.
제1 CCTV 카메라(211)는 촬영 방향이 고정되어 도로 상의 넓은 범위의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로, 도로 상의 차량 운행 상태에 대한 제1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CCTV 카메라(212)는 촬영 방향이 고정되지 않고 사용자 기기의 요청에 따라 회전하고 줌인 기능을 이용하여 특정 영역에 대한 영상 즉, 제2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구동부(220)는 사용자 기기의 호출에 따라 제2 CCTV 카메라(210)의 촬영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220)는 2축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두 개의 회전축을 갖고, 각 회전축을 통해 수평 방향으로 360도 회전하거나 수직 방향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다.
제어부(230)는 제1 CCTV 카메라(211)로부터 촬영된 제1 영상을 수집하여 그 수집된 제1 영상을 관제 센터에 제공할 수 있고, 관제 센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제2 CCTV 카메라(212)의 호출을 요청 받고 그 요청에 따라 제2 CCTV 카메라(212)를 회전시켜 해당 영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송부(240)는 관제 센터와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연동하여 제1 CCTV 카메라(211)로부터 촬영된 제1 영상 또는 제2 CCTV 카메라(212)로부터 촬영된 제2 영상을 전송하거나 관제 센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250)는 사용자 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동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근거리 통신부(250)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 메시지를 사용자 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장비는 제1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로 상의 차량 운행 상태에 대한 제1 영상을 획득하고(S701) 획득한 제1 영상을 관제 센터(300)에 송신할 수 있다(S702).
다음으로, 사용자 기기는 도로 상에서 돌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CCTV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촬영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S703) 생성된 요청 메시지를 CCTV 장비에 송신할 수 있다(S704).
다음으로, CCTV 장비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자를 확인하여 원격 호출 기능을 요청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705).
다음으로, CCTV 장비는 원격 호출 기능을 요청하였다고 판단되면, 해당 사용자 기기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고(S706), 사용자 기기로부터 원격 호출 기능이 요청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통지 메시지를 주변에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S707).
다음으로, CCTV 장비는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기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2 CCTV 카메라를 1차 회전시킬 수 있다(S708).
다음으로, CCTV 장비는 1차 회전시킨 제2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제1 예비 영상을 획득하고(S709) 획득한 제1 예비 영상을 사용자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S710).
다음으로, 사용자 기기는 CCTV 장비로부터 제1 예비 영상을 수신하면 수신된 제1 예비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그 디스플레이된 제1 예비 영상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기준 지점을 입력받아(S711) 입력 받은 지점을 포함하는 제2 예비 영상을 CCTV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S712).
다음으로, CCTV 장비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제2 예비 영상을 수신하면, 수신된 예비 영상에 포함된 지점을 촬영 지점으로 설정하여 이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2 CCTV 카메라를 2차 회전시킬 수 있다(S713).
이때, CCTV 장비는 사용자 기기의 위치 정보와 예비 영상에 포함된 촬영 지점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 간의 차이가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 2차 회전시키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CCTV 장비는 2차 회전된 제2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돌발 상황이 발생한 영역에 대한 제2 영상을 획득하여(S714) 획득한 제2 영상을 관제 센터에 송신할 수 있다(S715).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기기
200: CCTV 장비
300: 관제 센터

Claims (14)

  1.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사용자 기기;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요청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1차 회전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예비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예비 영상 내 사용자가 설정한 촬영 지점을 기반으로 2차 회전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CCTV 장비; 및
    상기 CCTV 장비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제공받아 해당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관제 센터;
    를 포함하되, 상기 원격 호출 기능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주변에 위치하는 CCTV 카메라로의 영상 촬영을 요청하는 것이고,
    상기 CCTV 장비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해 촬영된 예비 영상을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CCTV 장비로부터 예비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예비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예비 영상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기준 지점을 입력 받아 상기 입력 받은 기준 지점을 포함하는 예비 영상을 상기 CCTV 장비에 전송하며,
    상기 CCTV 장비가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예비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예비 영상에 포함된 기준 지점을 촬영 지점으로 설정하는,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CTV 장비는,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자를 확인하여 호출 기능을 요청하였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호출 기능을 요청하였다고 판단되면, 해당 사용자 기기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호출 기능이 요청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통지 메시지를 주변에 브로드캐스팅하는,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CCTV 장비는,
    상기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기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CCTV 카메라를 1차 회전시켜 상기 사용자 기기에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예비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예비 영상 내 사용자가 설정한 촬영 지점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2차 회전 회전시키며,
    상기 2차 회전된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 지점을 기반으로 영상을 획득하여 관제 센터에 송신하는,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CCTV 장비는,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CCTV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 기기 간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거리에 따라 상기 CCTV 카메라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여 확대된 영상을 획득하는,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CTV 장비는,
    촬영 방향이 고정되고 도로 상의 차량 운행 상태에 대한 제1 영상을 획득하는 제1 CCTV 카메라; 및
    상기 촬영 방향이 가변되고 상기 사용자 기기의 요청에 따라 회전하고 특정 영역에 대한 제2 영상을 획득하는 제2 CCTV 카메라;
    를 포함하는,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CCTV 장비는,
    상기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기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CCTV 카메라를 1차 회전시켜 상기 사용자 기기에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예비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예비 영상 내 사용자가 설정한 촬영 지점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2차 회전 회전시키며,
    상기 2차 회전된 제2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 지점을 기반으로 제2 영상을 획득하여 관제 센터에 송신하는,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CCTV 장비는,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CCTV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 기기 간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CCTV 카메라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여 확대된 제2 영상을 획득하는,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8. 사용자 기기가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CCTV 장비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요청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1차 회전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예비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예비 영상 내 사용자가 설정한 촬영 지점을 기반으로 2차 회전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관제 센터가 상기 CCTV 장비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제공받아 해당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원격 호출 기능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주변에 위치하는 CCTV 카메라로의 영상 촬영을 요청하는 것이고,
    상기 CCTV 장비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해 촬영된 예비 영상을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CCTV 장비로부터 예비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예비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예비 영상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기준 지점을 입력 받아 상기 입력 받은 기준 지점을 포함하는 예비 영상을 상기 CCTV 장비에 전송하며,
    상기 CCTV 장비가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예비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예비 영상에 포함된 기준 지점을 촬영 지점으로 설정하는,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자를 확인하여 호출 기능을 요청하였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호출 기능을 요청하였다고 판단되면, 해당 사용자 기기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호출 기능이 요청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통지 메시지를 주변에 브로드캐스팅하는,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기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CCTV 카메라를 1차 회전시켜 상기 사용자 기기에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예비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예비 영상 내 사용자가 설정한 촬영 지점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2차 회전 회전시키며,
    상기 2차 회전된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 지점을 기반으로 영상을 획득하여 관제 센터에 송신하는,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CCTV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 기기 간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거리에 따라 상기 CCTV 카메라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여 확대된 영상을 획득하는,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CCTV 장비는,
    촬영 방향이 고정되고 도로 상의 차량 운행 상태에 대한 제1 영상을 획득하는 제1 CCTV 카메라; 및
    상기 촬영 방향이 가변되고 상기 사용자 기기의 요청에 따라 회전하고 특정 영역에 대한 제2 영상을 획득하는 제2 CCTV 카메라;
    를 포함하는,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기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CCTV 카메라를 1차 회전시켜 상기 사용자 기기에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예비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예비 영상 내 사용자가 설정한 촬영 지점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2차 회전 회전시키며,
    상기 2차 회전된 제2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 지점을 기반으로 제2 영상을 획득하여 관제 센터에 송신하는,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CCTV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 기기 간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CCTV 카메라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여 확대된 제2 영상을 획득하는,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0160101428A 2016-08-09 2016-08-09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14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428A KR101714492B1 (ko) 2016-08-09 2016-08-09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428A KR101714492B1 (ko) 2016-08-09 2016-08-09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4492B1 true KR101714492B1 (ko) 2017-03-22

Family

ID=5849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428A KR101714492B1 (ko) 2016-08-09 2016-08-09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4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6992A (ja) * 2008-02-28 2009-09-10 Toshiba Corp 監視カメラシステム及び監視カメラ管理方法
KR20110060342A (ko) * 2009-11-30 2011-06-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cctv 카메라 장치와 안전관제 센터 서버, 그를 포함한 지능형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18790A (ko) * 2011-04-19 2012-10-2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간 협업을 이용한 영상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473904B1 (ko) * 2014-07-29 2014-12-22 하나시스(주)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6992A (ja) * 2008-02-28 2009-09-10 Toshiba Corp 監視カメラシステム及び監視カメラ管理方法
KR20110060342A (ko) * 2009-11-30 2011-06-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cctv 카메라 장치와 안전관제 센터 서버, 그를 포함한 지능형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18790A (ko) * 2011-04-19 2012-10-2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간 협업을 이용한 영상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473904B1 (ko) * 2014-07-29 2014-12-22 하나시스(주) 다기능 cctv 통합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8252B2 (en) Traffic event monitoring
KR101498985B1 (ko)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WO2018116485A1 (ja) 映像収集システム、映像収集サーバ、映像収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361723B1 (en) Monitoring vehicle involved in a collision
KR101233412B1 (ko)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 및 송출시스템
KR101317961B1 (ko)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
KR101474790B1 (ko) 협업용 감시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
KR101510766B1 (ko) 비상호출 및 다기능 센서를 이용한 지능형 모니터링 디브이알(dvr) 시스템
KR20140003668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능동형 cctv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714492B1 (ko) Cctv 카메라의 원격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72391B1 (ko)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음성 분석 모듈을 이용하는 확장형 감시 장비
KR10128149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지능형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
KR100926580B1 (ko) 어린이 방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714491B1 (ko) Cctv 카메라의 호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98839B1 (ko)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피사체 포착 촬영방법
KR101722169B1 (ko) Cctv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체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32575B1 (ko) Cctv를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14223A (ko)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401299B1 (ko)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사용자 중심의 추적촬영 방법
KR101714130B1 (ko) 실시간 사건 사고 동영상 촬영 시스템
CN106162051B (zh) 图像显示系统
KR102333760B1 (ko) 지능형 영상 관제 방법 및 그 서버
JP6749470B2 (ja) 地域安全システム及びサーバ
KR101003180B1 (ko) 원격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의 지능형 감시방법
KR101061868B1 (ko) 듀얼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