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575B1 - Cctv를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Cctv를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575B1
KR101732575B1 KR1020160101424A KR20160101424A KR101732575B1 KR 101732575 B1 KR101732575 B1 KR 101732575B1 KR 1020160101424 A KR1020160101424 A KR 1020160101424A KR 20160101424 A KR20160101424 A KR 20160101424A KR 101732575 B1 KR101732575 B1 KR 101732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ctv
area
vehicle
black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휘
최석우
김유종
임원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1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5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25Traffic data processing
    • G08G1/0133Traffic data processing for classifying traffic si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7Supervising of traffic control systems, e.g. by giving an alarm if two crossing streets have green light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CCTV를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은 도로가의 제1 지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역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제1 영상을 획득하는 제1 CCTV 장비; 상기 도로 상의 상기 제1 지역과 떨어진 제2 지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역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제2 영상을 획득하는 제2 CCTV 장비; 상기 제1 지역과 상기 제2 지역 사이를 통과하는 중 차량 내에 설치되어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제3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제3 영상을 전송하는 차량 단말; 및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2 영상, 상기 제3 영상을 제공 받아 제공 받은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2 영상, 상기 제3 영상을 화면의 해당 노선 상에 표시하는 관제 센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CCTV를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MONITORING REAL-TIME TRAFFIC SITUATION USING CCTV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교통 상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를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범죄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나, 교통사고 또는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에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를 설치하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중앙의 통제장치로 전송하여 모니터링하거나 저장함으로써 범죄, 사고 또는 화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며, 이미 발생한 범죄, 사고 또는 화재에 대해서는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당사자들 사이의 분쟁을 해결하는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CCTV 감시시스템은 CCTV를 이용하여 감시영역 내의 이상여부를 감시하는데, CCTV에 의해 촬영되는 감시 영상은 중앙의 관리실에 설치된 모니터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사용자가 계속 주시하여 도난이나 화재 등과 같은 이상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특히, 도로 가에 설치된 CCTV로 촬영된 영상을 통해 해당 영역의 정체 상황, 돌발 상황 등의 교통 상황을 판단할 수 있지만, 도로 전체를 감시하기 위한 CCTV를 설치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CCTV가 설치되지 않은 영역을 감시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50567호, 2010.04.01. 공고.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CCTV가 설치된 지역에서는 CCTV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고 CCTV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해당 지역을 통과하는 차량 내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도록 한 CCTV를 이용하여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은 도로가의 제1 지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역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제1 영상을 획득하는 제1 CCTV 장비; 상기 도로 상의 상기 제1 지역과 떨어진 제2 지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역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제2 영상을 획득하는 제2 CCTV 장비; 상기 제1 지역과 상기 제2 지역 사이를 통과하는 차량 내에 설치되어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제3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제3 영상을 전송하는 차량 단말; 및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2 영상, 상기 제3 영상을 제공 받아 제공 받은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2 영상, 상기 제3 영상을 화면의 해당 노선 상에 표시하는 관제 센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CCTV 장비는 상기 관제 센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지역을 통과하는 차량 내 차량 단말에 상기 제1 지역과 상기 제2 지역 사이에서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상기 제3 영상을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CCTV 장비는 상기 제1 지역을 통과하는 모든 차량 내 차량 단말에 상기 제1 지역과 상기 제2 지역 사이에서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상기 제3 영상의 전송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된 ACK 메시지의 수신 시간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차량 내 차량 단말에 상기 제3 영상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CCTV 장비는 상기 수신된 ACK 메시지 중 가장 빨리 도착한 ACK 메시지를 송신한 차량 내 차량 단말에 상기 제3 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제3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제3 영상을 상기 제2 CCTV 장비에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제3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제3 영상을 상기 관제 센터에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은 도로가에 설치되어, 상기 도로 상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제1 영상을 획득하는 CCTV 장비; 상기 CCTV 장비가 설치된 지역을 통과하는 차량 내에 설치되어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제2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제2 영상을 전송하는 차량 단말; 및 상기 CCTV 장비와 상기 차량 단말의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2 영상을 제공 받아 제공 받은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2 영상을 화면의 해당 노선 상에 표시하는 관제 센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관점에 따른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방법은 도로가의 제1 지역에 설치된 제1 CCTV 장비가 상기 제1 지역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제1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도로 상의 상기 제1 지역과 떨어진 제2 지역에 설치된 제2 CCTV 장비 가 상기 제2 지역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역과 상기 제2 지역 사이를 통과하는 중 차량 내에 설치된 차량 단말이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제3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제3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제 센터가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2 영상, 상기 제3 영상을 제공 받아 제공 받은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2 영상, 상기 제3 영상을 화면의 해당 노선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관제 센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지역을 통과하는 차량 내 차량 단말에 상기 제1 지역과 상기 제2 지역 사이에서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상기 제3 영상을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지역을 통과하는 모든 차량 내 차량 단말에 상기 제1 지역과 상기 제2 지역 사이에서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상기 제3 영상의 전송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된 ACK 메시지의 수신 시간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차량 내 차량 단말에 상기 제3 영상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ACK 메시지 중 가장 빨리 도착한 ACK 메시지를 송신한 차량 내 차량 단말에 상기 제3 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제3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제3 영상을 상기 제2 CCTV 장비에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제3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제3 영상을 상기 관제 센터에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CCTV가 설치된 지역에서는 CCTV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고 CCTV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해당 지역을 통과하는 차량 내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도록 함으로써, 도로 전 구간에 대한 교통 상황을 선택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CTV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돌발 상황을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돌발 상황에 대한 빠른 대처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상황 감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의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의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장비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센터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TV를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도로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CCTV가 설치된 지역에서는 CCTV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고 CCTV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해당 지역을 통과하는 차량 내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도록 한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은 차량 단말(100), CCTV 장비(200), 및 관제 센터(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단말(100)은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블랙박스, 네비게이션 등의 전자 기기와 연동하여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할 각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100)은 주변에 있는 CCTV 장비(200)의 요청에 따라 일정 주행시간 또는 일정 주행거리 동안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여 수집된 영상을 CCTV 장비(200) 또는 관제 센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 단말(100)은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블랙박스(black box)와 연동하여 차량 주변의 영상을 수집하여 전송할 수 있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영상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차량 단말(100)은 관리 센터의 요청에 따라 특정 구간에 대한 영상을 블랙박스로부터 수집하여 그 수집된 영상을 CCTV 장비 또는 관리 센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단말(100)은 차량에 장착된 다수의 전자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 연동할 수 있는 기기로서, 예컨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을 포괄하는 개념일 수 있다.
CCTV 장비(200)는 도로 주변에 설치되어 차량 운행 상태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장비(200)는 설치된 위치의 도로 상의 차량 운행 상태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촬영할 수 없는 영역 즉, CCTV 장비가 설치되지 않은 영역의 영상을 얻기 위해 그 영역을 통과하는 차량의 블랙 박스에 일정 주행 시간 또는 일정 주행 거리 동안 획득된 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
CCTV 장비(200)는 CCTV 장비가 설치되지 않은 영역을 통과하는 차량의 블랙 박스로부터 일정 주행 시간 또는 일정 주행 거리 동안 획득된 영상을 제공 받을 수 있다.
관제 센터(300)는 CCTV 장비(200)와 연동하여 CCTV 장비(2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제공받아 제공받은 영상을 이용하여 도로의 차량 운행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관제 센터(300)는 도로 상에 설치된 CCTV 장비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차량 운행 상태를 보여줄 수 있지만 CCTV 장비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은 그 지역을 통과하는 차량의 블랙박스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관제 센터(300)는 CCTV 장비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 대한 영상을 주기적으로 제공 받거나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지역을 통과하는 차량의 블랙박스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CCTV에 요청하여 이에 대한 응답으로 영상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상황 감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 상에서 CCTV 장비가 설치된 영역에서는 그 영역에 설치된 CCTV 장비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일정한 반경의 영역에 위치하는 차량의 운행 상태를 촬영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영역 A, C에서는 CCTV 장비1,2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반면, CCTV 장비가 설치되지 않은 영역에서는 그 영역을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으로부터 차량 내에 설치된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예컨대, 영역 B에서는 차량 내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CCTV 장비1은 차량 단말과 연동하여 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그 지역을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에 요청하고 그 요청에 따라 해당 차량이 특정 영역에서 촬영된 영상을 CCTV 장비2에서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CCTV 장비는 모든 차량 단말로부터 블랙 박스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제공 받을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 과도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일부 선택된 차량 단말의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만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예컨대, CCTV 장비1은 블랙 박스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의 제공이 가능하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메시지를 차량 단말에 송신하고 그에 대한 ACK 메시지를 차량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다수의 ACK 메시지 중 도착한 순서에 따라 빨리 도착한 순서부터 미리 설정된 개수의 ACK 메시지를 송신한 차량 단말에만 영상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차량 단말은 요청 메시지에 따라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CCTV 장비2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의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는 메시지 타입 필드, 시작 CCTV 식별자 필드, 종료 CCTV 식별자 필드, 데이터 필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 타입 필드는 메시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서, 예컨대, 확인 메시지는 '00', ACK 메시지는 '01', 요청 메시지는 '10', 응답 메시지는 '11'일 수 있다.
시작 CCTV 식별자 필드는 차량의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을 시작하는 시점에 위치하는 CCTV 장비를 나타내고, 종료 CCTV 식별자 필드는 차량의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 종료하는 시점에 위치하는 CCTV 장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CCTV 장비1은 차량 단말과 연동하여 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그 지역을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에 요청하고 그 요청에 따라 해당 차량이 특정 영역에 촬영된 영상을 관제 센터에서 제공할 수 있다.
즉, CCTV 장비가 블랙 박스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요청하지만, 차량 단말은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CCTV가 아닌 관제 센터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CCTV 장비가 설치된 영역뿐 아니라 CCTV가 설치되지 않은 영역에서도 도로 상의 차량의 운행 상태를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정 위치의 도로 상에서 차량 운행 상태만을 확인하는 것이 아닌 전체 도로 상에서의 차량 운행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정체 상황 또는 돌발 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CCTV 장비(210)는 도로 상의 차량 운행 상태에 대한 제1 영상을 획득하고(S401) 획득한 제1 영상을 관제 센터(300)에 송신할 수 있다(S402).
다음으로, 제1 CCTV 장비(210)는 차량 단말에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촬영한 제2 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S403). 즉, 제1 CCTV 장비(210)는 관리자의 요청에 따른 제2 영상의 전송이 가능한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한 결과로 제2 영상의 전송이 가능하면, 도로 상의 특정 지역을 통과하는 차량 내 설치된 블랙 박스를 이용하여 촬영된 제1 영상을 차량 단말(100)에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CCTV 장비(210)는 블랙 박스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의 제공이 가능하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메시지를 차량 단말(100)에 송신하고 그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다수의 ACK 메시지를 차량 단말(100)들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다수의 ACK 메시지 중 도착한 순서에 따라 가장 빨리 도착한 미리 설정된 개수의 ACK 메시지를 송신한 차량 단말에만 영상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단말(100)은 제1 CCTV 장비(210)의 요청에 따라 블랙 박스를 이용하여 촬영한 제1 영상을 획득하고(S404) 그 획득된 제1 영상을 제2 CCTV 장비(220)에 송신할 수 있다(S405). 즉, 차량 단말(100)은 제1 CCTV 장비(210)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블랙 박스를 이용하여 촬영된 제2 영상을 제2 CCTV 장비(220)에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CCTV 장비(220)는 도로 상의 차량 운행 상태에 대한 제3 영상을 획득하고(S406) 획득한 제3 영상을 관제 센터(300)에 송신하면서 차량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촬영된 제2 영상을 관제 센터(300)에 송신할 수 있다(S407).
다음으로, 관제 센터(300)는 제1 CCTV 장비(210)와 제2 CCTV 장비(220)로부터 제공 받은 제1 영상, 제2 영상, 제3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408). 즉, 관제 센터(300)는 제1 CCTV 장비(210)와 제2 CCTV 장비(220)를 이용하여 촬영된 제1 영상, 제3 영상과, CCTV 장비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주행 중인 차량 내에 장착된 블랙 박스를 이용하여 촬영된 제2 영상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장비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장비(200)는 CCTV 카메라(210), 영상 수집부(220), 영상 전송부(230)로 이루어져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CCTV 카메라(210)는 도로 주변에 설치되어 차량 운행 상태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 수집부(220)는 CCTV 카메라(210) 또는 차량 단말로부터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수집부(220)는 CCTV 카메라(21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고, 차량 단말에 영상을 요청하여 이에 대한 응답으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수집부(220)는 블랙 박스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의 제공이 가능하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확인 메시지를 차량 단말에 송신하고 이에 대한 ACK 메시지를 차량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영상 수집부(220)는 수신된 다수의 ACK 메시지 중 도착한 순서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개수의 ACK 메시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ACK 메시지를 송신한 차량 단말에만 영상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요청 메시지를 차량 단말에 송신한다.
이때, 영상 수집부(220)는 이전 지점에 설치된 CCTV 장비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차량 단말로부터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전송부(230)는 영상 수집부(220)에 수집된 영상을 관제 센터에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센터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센터(300)는 관리 서버(310), 데이터베이스(Database, 320)로 이루어져 교통 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
관리 서버(310)는 CCTV 장비 또는 차량 단말로부터 영상 정보를 제공 받아 제공 받은 영상 정보를 함께 표시하여 관리자가 도로의 교통 상황을 감시하도록 할 수 있다.
관리 서버(310)는 관리자의 제어에 따라 CCTV 장비가 설치되지 않은 특정 지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CCTV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지역은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20)는 CCTV 장비 또는 차량 단말로부터 제공 받은 영상을 저장하고, CCTV 장비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 예컨대, 식별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량 단말
200: CCTV 장비
210: CCTV 카메라
220: 영상 수집부
230: 영상 전송부
300: 관제 센터
310: 관리 서버
320: 데이터베이스

Claims (13)

  1. 도로가의 제1 지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역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제1 영상을 획득하는 제1 CCTV 장비;
    상기 도로가의 상기 제1 지역과 떨어진 제2 지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역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제2 영상을 획득하는 제2 CCTV 장비;
    상기 제1 지역과 상기 제2 지역 사이를 통과하는 차량 내에 설치되어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제3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제3 영상을 전송하는 차량 단말; 및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2 영상, 상기 제3 영상을 제공 받아 제공 받은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2 영상, 상기 제3 영상을 화면의 해당 노선 상에 표시하는 관제 센터;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CCTV 장비, 상기 제2 CCTV 장비, 상기 차량 단말 및 상기 관제 센터는 메시지를 식별하기 위한 기능을 하는 메시지 타입 필드, 상기 차량내 블랙박스의 영상 촬영을 시작하는 시점에 위치하는 CCTV 장비를 나타내는 시작 CCTV 식별자 필드, 상기 차량내 블랙박스의 영상 촬영을 종료하는 시점에 위치하는 CCTV 장비를 나타내는 종료 CCTV 식별자 필드 및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기 설정된 타입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영상을 요청하며,
    상기 제1 CCTV 장비는 상기 관제 센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지역을 통과하는 차량 내 차량 단말에 상기 제1 지역과 상기 제2 지역 사이에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상기 제3 영상의 전송이 가능한 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상기 기 설정된 타입의 메시지 중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된 상기 기 설정된 타입의 메시지 중 가장 빨리 도착한 ACK 메시지를 송신한 차량 내 차량 단말에 상기 제3 영상을 전송하도록 요청하며,
    상기 차량 단말은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제3 영상을 상기 제2 CCTV 장비에 전송하고,
    상기 제2 CCTV 장비는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제3 영상을 제공 받아 상기 제공 받은 제3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관제 센터에 전송하며,
    상기 관제 센터는 상기 제3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을 주기적으로 제공 받거나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상황을 감시 하기 위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제3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제3 영상을 상기 관제 센터에 무선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7. 삭제
  8. 도로가의 제1 지역에 설치된 제1 CCTV 장비가 상기 제1 지역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제1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도로 상의 상기 제1 지역과 떨어진 제2 지역에 설치된 제2 CCTV 장비가 상기 제2 지역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역과 상기 제2 지역 사이를 통과하는 중 차량 내에 설치된 차량 단말이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제3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제3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및
    관제 센터가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2 영상, 상기 제3 영상을 제공 받아 제공 받은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2 영상, 상기 제3 영상을 화면의 해당 노선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3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2 영상, 상기 제3 영상을 화면의 해당 노선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메시지를 식별하기 위한 기능을 하는 메시지 타입 필드, 상기 차량내 블랙박스의 영상 촬영을 시작하는 시점에 위치하는 CCTV 장비를 나타내는 시작 CCTV 식별자 필드, 상기 차량내 블랙박스의 영상 촬영을 종료하는 시점에 위치하는 CCTV 장비를 나타내는 종료 CCTV 식별자 필드 및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기 설정된 타입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영상을 요청하며,
    상기 제1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CCTV 장비가 상기 관제 센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지역을 통과하는 차량 내 차량 단말에 상기 제1 지역과 상기 제2 지역 사이에서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상기 제3 영상의 전송이 가능한 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상기 기 설정된 타입의 메시지 중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된 상기 기 설정된 타입의 메시지 중 가장 빨리 도착한 ACK 메시지를 송신한 차량 내 차량 단말에 제3 영상을 전송하도록 요청하며,
    상기 제3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단말이 상기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제3 영상을 상기 제2 CCTV 장비에 전송하고,
    상기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CCTV 장비가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제3 영상을 제공 받아 상기 제공 받은 제3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관제 센터에 전송하며,
    상기 관제 센터는 상기 제3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을 주기적으로 제공 받거나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제3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제3 영상을 상기 관제 센터에 무선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방법.
KR1020160101424A 2016-08-09 2016-08-09 Cctv를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32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424A KR101732575B1 (ko) 2016-08-09 2016-08-09 Cctv를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424A KR101732575B1 (ko) 2016-08-09 2016-08-09 Cctv를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575B1 true KR101732575B1 (ko) 2017-05-24

Family

ID=59051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424A KR101732575B1 (ko) 2016-08-09 2016-08-09 Cctv를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5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491A (ko) 2021-02-17 2022-08-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식별 방법 및 장치
KR102442489B1 (ko) 2021-12-15 2022-09-14 주식회사 모네에스앤씨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 카메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491A (ko) 2021-02-17 2022-08-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식별 방법 및 장치
KR102442489B1 (ko) 2021-12-15 2022-09-14 주식회사 모네에스앤씨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 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50998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US10582162B2 (en) Image information collecting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on moving object
KR101321444B1 (ko) Cctv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71783B1 (ko) 통합경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86583B1 (ko)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KR101016530B1 (ko)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
KR101386591B1 (ko) 감시카메라 통합관리시스템
WO20140001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perative electronic data collection
WO2006062213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498985B1 (ko)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JPWO2017115598A1 (ja) 映像送信装置、映像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470446B (zh) 一种告警方法及系统
KR20160035274A (ko) Cctv와 차량내 블랙박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101732575B1 (ko) Cctv를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3089295A (ja) 監視制御装置、監視方法および監視プログラム
KR20140126852A (ko) 사고 영상 수집 시스템 및 그의 사고 영상 수집 방법
KR101466132B1 (ko) 카메라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22169B1 (ko) Cctv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체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93630B1 (ko) 스마트기기 간의 협업 방법 및 클라우드 서버
KR102093650B1 (ko) 클라우드 기반 보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50956B1 (ko) 자동 관제 시스템
KR101686851B1 (ko) Cctv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CN113660300B (zh) 一种带有自动定位服务的智能报警系统和方法
KR20130057265A (ko) 스마트폰용 블랙박스 영상 제보 시스템 및 방법
JP2019021187A (ja) 映像蓄積配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