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489B1 -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 카메라 - Google Patents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489B1
KR102442489B1 KR1020210179819A KR20210179819A KR102442489B1 KR 102442489 B1 KR102442489 B1 KR 102442489B1 KR 1020210179819 A KR1020210179819 A KR 1020210179819A KR 20210179819 A KR20210179819 A KR 20210179819A KR 102442489 B1 KR102442489 B1 KR 102442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ulley
housing
degrees
traffic condi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용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네에스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네에스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네에스앤씨
Priority to KR1020210179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H04N5/2252
    • H04N5/23299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근거리 촬영을 위한 저조도 다방향 카메라와, 한 쌍의 PTZ 카메라가 하나의 하우징에 설치되되, 한 쌍의 PTZ 카메라가 각각 180도 회전하며 촬영하여 360도 시야 확보를 통해 교통상황의 능동적인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 카메라{Surveillance cameras for monitoring traffic conditions}
본 발명은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근거리 촬영을 위한 저조도 다방향 카메라와, 한 쌍의 PTZ 카메라가 하나의 브라켓에 설치되되, 한 쌍의 PTZ 카메라가 각각 180도 회전하며 촬영하여 360도 시야 확보를 통해 교통상황의 능동적인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범죄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나, 교통사고 또는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에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를 설치하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중앙의 통제장치로 전송하여 모니터링하거나 저장함으로써 범죄, 사고 또는 화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며, 이미 발생한 범죄, 사고 또는 화재에 대해서는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당사자들 사이의 분쟁을 해결하는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CCTV 감시시스템은 CCTV를 이용하여 감시영역 내의 이상여부를 감시하는데, CCTV에 의해 촬영되는 감시 영상은 중앙의 관리실에 설치된 모니터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사용자가 계속 주시하여 도난이나 화재 등과 같은 이상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특히, CCTV는 도로에 설치되어 CCTV로 촬영된 영상을 통해 해당 영역의 정체 상황, 돌발 상황 등의 교통 상황 판단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러한 CCTV를 이용한 교통 상황 감시 시스템이 등록특허 제10-1732575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을 참조하면, 종래의 CCTV를 이용한 교통 상황 감시 시스템은, 도로가의 제1 지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역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제1 영상을 획득하는 제1 CCTV 장비; 상기 도로가의 상기 제1 지역과 떨어진 제2 지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역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제2 영상을 획득하는 제2 CCTV 장비; 상기 제1 지역과 상기 제2 지역 사이를 통과하는 차량 내에 설치되어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제3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제3 영상을 전송하는 차량 단말; 및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2 영상, 상기 제3 영상을 제공 받아 제공 받은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2 영상, 상기 제3 영상을 화면의 해당 노선 상에 표시하는 관제 센터;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CCTV 장비, 상기 제2 CCTV 장비, 상기 차량 단말 및 상기 관제 센터는 메시지를 식별하기 위한 기능을 하는 메시지 타입 필드, 상기 차량내 블랙박스의 영상 촬영을 시작하는 시점에 위치하는 CCTV 장비를 나타내는 시작 CCTV 식별자 필드, 상기 차량내 블랙박스의 영상 촬영을 종료하는 시점에 위치하는 CCTV 장비를 나타내는 종료 CCTV 식별자 필드 및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기 설정된 타입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영상을 요청하며, 상기 제1 CCTV 장비는 상기 관제 센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지역을 통과하는 차량 내 차량 단말에 상기 제1 지역과 상기 제2 지역 사이에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상기 제3 영상의 전송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상기 기 설정된 타입의 메시지 중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된 상기 기 설정된 타입의 메시지 중 가장 빨리 도착한 ACK 메시지를 송신한 차량 내 차량 단말에 상기 제3 영상을 전송하도록 요청하며, 상기 차량 단말은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제3 영상을 상기 제2 CCTV 장비에 전송하고, 상기 제2 CCTV 장비는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제3 영상을 제공 받아 상기 제공 받은 제3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관제 센터에 전송하며, 상기 관제 센터는 상기 제3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을 주기적으로 제공 받거나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특허문헌 1은 CCTV가 설치된 지역에서는 CCTV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고 CCTV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해당 지역을 통과하는 차량 내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여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감시영역마다 설치되는 1대의 CCTV를 통해 감시영역을 촬영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CCTV가 감시하는 영역에서 사각지대를 최소화하여 촬영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257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근거리 촬영을 위한 다방향 카메라와, 한 쌍의 PTZ 카메라가 하나의 하우징에 설치되되, 한 쌍의 PTZ 카메라가 각각 180도 회전하며 촬영하여 360도 시야 확보를 통해 교통상황의 능동적인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 카메라는, 내부에 설치공간(111)이 구비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중앙측에 고정설치되는 제1 카메라(120);와,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180도 회전되는 제2 카메라(130);와,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타측에 상기 제2 카메라(130)와 반대방향으로 180도 회전되는 제3 카메라(140); 및 상기 설치공간(111)에 구비되되, 각각의 상기 제2 카메라(130) 및 상기 제3 카메라(140)에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제2 카메라(130) 및 상기 제3 카메라(140)의 구동력을 제공하고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1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제어부(150)는, 구동기어(151)가 형성되는 모터부(152)와, 상기 제2 카메라(130) 또는 상기 제3 카메라(140)에 연결되는 풀리(153)와, 상기 구동기어(151)와 상기 풀리(153)를 연결하는 연결벨트(15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카메라(130) 및 상기 제3 카메라(140)는, 상기 풀리(153)와 결합되는 연결축(161)을 포함하는 아암부(160)와, 상기 아암부(160)의 선단에 구비되는 촬영부(17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상기 연결축(161)이 통과되어 상기 설치공간(111)에 위치되도록 통과공(112)이 타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풀리(153)의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감지돌기(155)가 일정한 간격으로 원형배치되고, 상기 풀리(155)의 상부측에는 PCB플레이트(180)가 구비되며, 상기 PCB 플레이트(180)의 하부면에는 상기 감지돌기(155)를 감지하여 상기 풀리(153)의 회전량을 측정하도록 한 쌍의 포토인터럽터(18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부(152)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기어(151)에 상기 연결벨트(154)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부(152)의 구동시 상기 연결벨트(154)가 상기 구동기어(15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벨트(154)의 외측면과 맞닿는 가이드롤러(156)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 촬영을 위한 저조도 다방향 카메라와, 한 쌍의 PTZ 카메라가 하나의 하우징에 설치되되, 한 쌍의 PTZ 카메라가 각각 180도 회전하며 촬영하여 360도 시야 확보를 통해 교통상황의 능동적인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 카메라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 카메라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 카메라의 구성 중 제2, 3 카메라 및 구동제어부의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및 후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 카메라의 구성 중 PCB플레이트와 풀리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 카메라의 구성 중 제2, 3 카메라의 회전되는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 카메라(100)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또는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 카메라(100)는 크게, 하우징(110), 제1 카메라(120), 제2 카메라(130), 제3 카메라(140) 및 구동제어부(150)로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 카메라(100)는 그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부, 모터, PCB, 전원인가장치 및 연동되는 구동요소들을 포함한 것으로서, 상기 구동요소들을 구성하고 작동되는 원리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수준의 기술수준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일부도면에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도시되었음을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제2 카메라, 제3 카메라 및 구동제어부는 동일/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진 한 쌍의 구성요소들로서, 해당 부분의 중복적인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먼저, 하우징(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도로에 설치되는 지주대(20)의 커버(10)와 결합되고, 내측에는 후술할 구동제어부(150)가 구비되며, 하부측에는 후술할 제1, 2, 3 카메라(120, 130, 140)가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내부에는 상기 구동제어부(15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공간으로 이루어진 설치공간(1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상기 설치공간(111)과 연통되는 통과공이 타공형성되어 후술할 연결축(161)이 삽입되어 상기 설치공간(111) 내에 위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제1 카메라(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카메라(12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중앙측에 설치되어 도로의 전방, 후방 및 측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로서, 1/1.8인치 저조도 다방향 카메라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2 카메라(1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카메라(13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제어부(150)의 구동 및 제어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180도 회전되어 도로의 전방, 후방 및 일측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로서, 아암부(160)와 촬영부(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아암부(160)는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아암부(160)의 상부에는 후술할 풀리(153)와 결합되는 연결축(161)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통과공에 삽입된다.
상기 촬영부(170)는 상기 아암부(160)의 선단에 구비되는 카메라 본체로서, 1/1.2인치 PTZ 제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촬영부(170)는 상기 아암부(160)에 힌지결합되고, 힌지 결합된 부분 내측에 모터, 기어 등을 더 구비하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3 카메라(1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3 카메라(14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제어부(150)의 구동 및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카메라(130)와 반대방향으로 180도 회전되어 도로의 전방, 후방 및 타측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로서, 그 상세구조는 상기 제2 카메라(13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도 6 또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 카메라(120)에 더해 상기 제2, 3 카메라(130, 140)가 하나의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각각 반대방향으로 0도에서 180도까지 회전하여 촬영함으로써, 360도 촬영을 통해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고, 폭넓은 시야 확보를 통해 교통상황의 능동적인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해 진다.
다음으로, 구동제어부(1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동제어부(150)는 도 2,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설치공간(111)에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제2 카메라(130) 및 상기 제3 카메라(140)에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제2 카메라(130) 및 상기 제3 카메라(140)의 구동력을 제공하고 회전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모터부(152), 풀리(153), 연결벨트(154)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부(152)는 상기 제2 카메라(130) 및 상기 제3 카메라(140)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하부에 샤프트 및 구동기어(151)가 형성된다.
이때,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151)의 회전방향이 정해지고, 보통, 상기 제2 카메라(130) 및 상기 제3 카메라(140)의 회전에 영향을 주는 상기 구동기어(15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모터부(152)의 하부에는 무동력으로 회전되는 가이드롤러(156)가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동기어(151)와 후술할 풀리(153) 사이에 후술할 연결벨트(154)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부(152)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연결벨트(154)의 외측면과 맞닿아 상기 구동기어(15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풀리(153)는 상기 제2 카메라(130) 및 상기 제3 카메라(140)에 각각 형성된 상기 연결축(161)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벨트(154)와 체결되어 상기 모터부(152)의 구동력을 통해 상기 제2 카메라(130) 및 상기 제3 카메라(140)가 각각 회전되도록 해 주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풀리(153)의 외주면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연결벨트(154)와 치합되는 기어탭(157)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풀리(153)의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감지돌기(155)가 일정한 간격으로 원형배치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감지돌기(155)는 후술할 포토인터럽터(181)의 감지대상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연결벨트(154)는 상기 구동기어(151)와 상기 풀리(153)를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모터부(152)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연결축(160)에 전달하여 상기 제2 카메라(130) 및 상기 제3 카메라(140)가 각각 회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풀리(155)의 상부측에는 PCB플레이트(180)가 구비되며, 상기 PCB 플레이트(180)의 하부면에는 한 쌍의 포토인터럽터(181)가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2 카메라(130) 또는 상기 제3 카메라(140)가 외력 등으로 인해 임의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포토인터럽터(181)가 해당 위치의 상기 감지돌기(155)를 인식하여 상기 풀리(153)의 회전량을 측정함으로써, 측정값을 제어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제2 카메라(130) 또는 상기 제3 카메라(140)를 임의로 회전하기 전 원위치로 되돌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 카메라
110: 하우징 111: 설치공간
120: 제1 카메라
130: 제2 카메라
140: 제3 카메라
150: 구동제어부
151: 구동기어 152: 모터부
153: 풀리 154: 연결벨트
155: 감지돌기 156: 가이드롤러
157: 기어탭
160: 아암부
161: 연결축
170: 촬영부
180: PCB플레이트
181: 포토인터럽터

Claims (5)

  1. 내부에 설치공간(111)이 구비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중앙측에 고정설치되는 제1 카메라(120);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180도 회전되는 제2 카메라(130);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타측에 상기 제2 카메라(130)와 반대방향으로 180도 회전되는 제3 카메라(140); 및
    상기 설치공간(111)에 구비되되, 각각의 상기 제2 카메라(130) 및 상기 제3 카메라(140)에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제2 카메라(130) 및 상기 제3 카메라(140)의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2 카메라(130)는 시계방향으로 0도에서 180도, 상기 제3 카메라(140)는 반시계방향으로 0도에서 180도로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150);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제어부(150)는,
    구동기어(151)가 형성되는 모터부(152)와,
    상기 제2 카메라(130) 또는 상기 제3 카메라(140)에 연결되는 풀리(153)와,
    상기 구동기어(151)와 상기 풀리(153)를 연결하는 연결벨트(154)로 구성되며,
    상기 풀리(153)의 상부측에는 PCB플레이트(18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카메라(130) 및 상기 제3 카메라(140)는,
    상기 풀리(153)와 결합되는 연결축(161)을 포함하는 아암부(160)와,
    상기 아암부(160)의 선단에 구비되는 촬영부(17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상기 연결축(161)이 통과되어 상기 설치공간(111)에 위치되도록 통과공이 타공형성되며,
    상기 풀리(153)의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감지돌기(155)가 일정한 간격으로 원형배치되고,
    상기 PCB 플레이트(180)의 하부면에는 상기 감지돌기(155)를 감지하여 상기 풀리(153)의 회전량을 측정하도록 한 쌍의 포토인터럽터(181)가 형성되며,
    상기 모터부(152)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기어(151)에 상기 연결벨트(154)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부(152)의 구동시 상기 연결벨트(154)가 상기 구동기어(15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벨트(154)의 외측면과 맞닿는 가이드롤러(156)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 카메라(10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79819A 2021-12-15 2021-12-15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 카메라 KR102442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819A KR102442489B1 (ko) 2021-12-15 2021-12-15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819A KR102442489B1 (ko) 2021-12-15 2021-12-15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489B1 true KR102442489B1 (ko) 2022-09-14

Family

ID=83279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819A KR102442489B1 (ko) 2021-12-15 2021-12-15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4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8151A (ko) * 2010-12-17 2012-06-27 주식회사 앤비젼 감시 카메라 장치
KR101316851B1 (ko) * 2013-04-15 2013-10-08 주식회사 네스앤텍 카메라가 장착된 소형 짐벌
KR101683108B1 (ko) * 2015-10-02 2016-12-08 주식회사 세모콘 탈조를 감지하고 보정기능을 갖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및 이의 탈조를 감지하고 보정하는 방법
KR101732575B1 (ko) 2016-08-09 2017-05-24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Cctv를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64631B1 (ko) * 2017-04-06 2017-08-03 블랙썬 주식회사 올인원 영상감시 카메라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8151A (ko) * 2010-12-17 2012-06-27 주식회사 앤비젼 감시 카메라 장치
KR101316851B1 (ko) * 2013-04-15 2013-10-08 주식회사 네스앤텍 카메라가 장착된 소형 짐벌
KR101683108B1 (ko) * 2015-10-02 2016-12-08 주식회사 세모콘 탈조를 감지하고 보정기능을 갖는 감시카메라 시스템 및 이의 탈조를 감지하고 보정하는 방법
KR101732575B1 (ko) 2016-08-09 2017-05-24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Cctv를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64631B1 (ko) * 2017-04-06 2017-08-03 블랙썬 주식회사 올인원 영상감시 카메라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306B1 (ko) 산불감시시스템
US200801017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camera viewpoint based on alarm event or condition
US20120056973A1 (en) Housing for conference device and conference device having such housing
KR101498985B1 (ko)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JP435439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633033B1 (ko) 보조 카메라를 구비하는 팬틸트 카메라 장치
KR102442489B1 (ko) 교통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 카메라
KR20070000643A (ko) 감시카메라와 비상벨 장치가 결합된 방범시스템
KR101937143B1 (ko) 비구면 반구 돔으로 화각 가림현상을 최소화시킨 cctv 장치
KR101438731B1 (ko) 방수성능과 충격 흡수성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KR20150137778A (ko) 전방향 감지가 가능한 카메라 시스템
KR100926179B1 (ko) 무인 화상 방범 시스템
KR200369533Y1 (ko) 렌즈조정장치가 구비된 감시카메라
JP3934280B2 (ja) 監視カメラ装置
KR101732575B1 (ko) Cctv를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75874B1 (ko) 영상전송장치
JP4596685B2 (ja) 映像監視機能付きセンサ装置
KR20060044129A (ko) 360°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장치
JP2015186058A (ja) 撮像装置
KR100709561B1 (ko) 돔카메라
KR200286338Y1 (ko) 콤비 돔형 감시 카메라의 구동모터축 지지장치
JP3939023B2 (ja) 画像監視システム
KR101238248B1 (ko) 감시 카메라
KR102240844B1 (ko) 세로 ptz 카메라장치
KR200252099Y1 (ko)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돔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