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961B1 -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961B1
KR101317961B1 KR1020130026969A KR20130026969A KR101317961B1 KR 101317961 B1 KR101317961 B1 KR 101317961B1 KR 1020130026969 A KR1020130026969 A KR 1020130026969A KR 20130026969 A KR20130026969 A KR 20130026969A KR 101317961 B1 KR101317961 B1 KR 101317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ctv
disaster
smart device
emergency signal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욱
Original Assignee
최승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욱 filed Critical 최승욱
Priority to KR1020130026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Arrangements allowing camera rotation to change view, e.g. pivoting camera, pan-tilt and zoom [PTZ]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벤트 발생 시 사용자 또는 이벤트 발생 감지 모듈로부터 비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비상 신호 입력 모듈;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설치된 복수 개의 CCTV 카메라; 및 상기 복수 개의 CCTV 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하는 카메라 작동 제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작동 제어 모듈은, 상기 비상 신호 입력 모듈을 통해 비상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비상 신호가 입력된 지점 및 해당 지점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방향의 좌표로, 상기 비상 신호가 입력된 지점 및 상기 좌표와 매칭 되는 상기 복수의 CCTV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변경시키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미리 특정 지점으로부터 이동(도주 또는 재난의 진행) 가능한 방향의 좌표들을 설정해놓고, 비상 신호가 입력되면, 비상 신호 입력 지점 및 해당 지점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방향의 좌표 부근이 촬영되도록, CCTV 카메라 촬영 방향을 변경시키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이벤트 발생 시 일정 반경 내에 있는 모든 카메라들이 이벤트 발생 및 진행 방향으로 회전하여 순차적으로 다가올 도주하는 범죄자 또는 재난의 진행 과정이 연속적으로 촬영 및 녹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기기를 비상 신호 입력 모듈로 하고, 스마트기기로부터 비상 신호 및 비상 신호가 입력된 위치를 전송받은 중앙 관리 서버가 복수 개의 CCTV 카메라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된 CCTV 카메라 시스템 및 스마트기기를 활용할 수 있고, 지역별 재난 및 방범 관리가 용이하다.

Description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DISASTER AND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DEVICE AND CCTV}
본 발명은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강력 범죄를 포함하여 각종 사건, 사고가 급증함으로 인해 예지치 않은 범죄 상황에 노출될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도심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범죄뿐만 아니라, 농가, 축산, 어업 양식장 등에서도 도난 사건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치안 및 보안을 위하여 다양한 시스템이 제시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감시 카메라 즉,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을 활용한 방법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감시 카메라는, 우범 지역 또는 보안 지역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벤트 발생 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영 및 녹화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후 범죄자를 색출에도 도움을 준다.
종래의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시스템은, 단순히 현장의 영상 녹화 장치에 연결된 카메라가 감시하는 지역을 단순 촬영 또는 녹화하는 기능만을 제공하였는바, 감시 카메라의 촬영 방향이 정형화된 점을 악용하여 의도적으로 감시 카메라를 피해 범죄를 저지르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감시 카메라가 모든 지역에 구비되어 모든 지역을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는 없으므로, 때에 따라서는 실제 재난 등이 발생한 지역이 촬영되지 않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환경에서 감시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원격으로 감시 카메라를 제어하는 방법은, 피해자 등이 GPS 등을 통해 자신이 위치한 지역을 안전관제 센터 등에 전송하여 피해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도주하는 범죄자나 재난의 진행 방향 및 상태를 포착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미리 특정 지점으로부터 이동(도주 또는 재난의 진행) 가능한 방향의 좌표들을 설정해놓고, 비상 신호가 입력되면, 비상 신호 입력 지점 및 해당 지점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방향의 좌표 부근이 촬영되도록, CCTV 카메라 촬영 방향을 변경시키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이벤트 발생 시 일정 반경 내에 있는 모든 카메라들이 이벤트 발생 및 진행 방향으로 회전하여 순차적으로 다가올 도주하는 범죄자 또는 재난의 진행 과정이 연속적으로 촬영 및 녹화될 수 있는,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를 비상 신호 입력 모듈로 하고, 스마트기기로부터 비상 신호 및 비상 신호가 입력된 위치를 전송받은 중앙 관리 서버가 복수 개의 CCTV 카메라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된 CCTV 카메라 시스템 및 스마트기기를 활용할 수 있고, 지역별 재난 및 방범 관리가 용이한,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은,
이벤트 발생 시 사용자 또는 이벤트 발생 감지 모듈로부터 비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비상 신호 입력 모듈;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설치된 복수 개의 CCTV 카메라; 및
상기 복수 개의 CCTV 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하는 카메라 작동 제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작동 제어 모듈은,
상기 비상 신호 입력 모듈을 통해 비상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비상 신호가 입력된 지점 및 해당 지점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방향의 좌표로, 상기 비상 신호가 입력된 지점 및 상기 좌표와 매칭 되는 상기 복수의 CCTV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변경시키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을 관리하는 중앙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관리 서버에 상기 카메라 작동 제어 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비상 신호 입력 모듈은 스마트기기이고,
상기 스마트기기를 통해 비상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중앙 관리 서버에 비상 신호 및 상기 비상 신호가 입력된 위치가 자동으로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 작동 제어 모듈은,
상기 CCTV 카메라가 설치된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복수의 지점들로부터 이동 가능한 방향의 좌표들이 각각의 지점별로 저장된 이동 방향 좌표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 작동 제어 모듈은,
상기 비상 신호가 입력된 지점 및 상기 해당 지점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방향의 좌표와 매칭 되는 CCTV 카메라들이, 상기 해당 지점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관리 서버는,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상기 비상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위치의 좌표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것일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 작동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위치의 좌표로,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위치의 좌표에 매칭 되는 CCTV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변경시키는 것일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 작동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좌표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 떨어진 CCTV 카메라의 작동 제어를 종료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CTV 카메라는,
비닐하우스, 축사, 양식장 및 저장고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방법은,
(1) 이벤트 발생 시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부터 비상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2)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설치된 복수 개의 CCTV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상기 비상 신호가 입력된 지점 및 해당 지점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방향의 좌표로 변경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복수 개의 CCTV 카메라에서 촬영된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미리 특정 지점으로부터 이동(도주 또는 재난의 진행) 가능한 방향의 좌표들을 설정해놓고, 비상 신호가 입력되면, 비상 신호 입력 지점 및 해당 지점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방향의 좌표 부근이 촬영되도록, CCTV 카메라 촬영 방향을 변경시키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이벤트 발생 시 일정 반경 내에 있는 모든 카메라들이 이벤트 발생 및 진행 방향으로 회전하여 순차적으로 다가올 도주하는 범죄자 또는 재난의 진행 과정이 연속적으로 촬영 및 녹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기기를 비상 신호 입력 모듈로 하고, 스마트기기로부터 비상 신호 및 비상 신호가 입력된 위치를 전송받은 중앙 관리 서버가 복수 개의 CCTV 카메라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된 CCTV 카메라 시스템 및 스마트기기를 활용할 수 있고, 지역별 재난 및 방범 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을 도식화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을 도식화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은, 비상 신호 입력 모듈(100), 복수 개의 CCTV 카메라(200a, 200b, 200c) 및 카메라 작동 제어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비상 신호 입력 모듈(100)은, 이벤트 발생 시 사용자로부터 비상 신호를 입력받아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특정 지역에 설치된 비상 버튼일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구비하는 스마트기기일 수도 있으며 해당 스마트기기에는 재난 및 방범 관리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스마트기기란,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당 부분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제품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대표적으로 애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을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 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아이패드나 태블릿 PC 등과 같이 재난 및 방범 관리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라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서 스마트기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사용자가 평상시 구비하고 다니면서 그 역할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인바, 휴대성이 좋고 일반인이 필수적으로 휴대하는 스마트폰이 가장 바람직하다.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재난 및 방범 관리 소프트웨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이 수행되도록 프로그래밍이 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에 흔히 사용되는 스마트기기에 간단하게 소프트웨어만을 설치하여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카메라 작동 모듈(300)과 통신할 수 있다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바, 별도의 비상 버튼 등이 설치되지 않아도 되어 매우 경제적이고 활용도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버튼 입력 등을 통해 비상 신호가 입력되는 것 이외에도, 화재 센서 또는 인체 감지 센서 등에 의해 자동 감지된 신호를 비상 신호로 인식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즉, 비상 신호 입력 모듈(100)은 이벤트 발생 감지 모듈(미도시, 예: 센서)을 포함할 수 있고, 별도로 또는 일체형으로 구비된 이벤트 발생 감지 모듈이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비상 신호 입력으로 받아들여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을 작동시키도록 구현할 수 있다.
CCTV 카메라(200a, 200b, 200c)는, 미리 설정된 감시지역을 촬영하는 것으로서, 회전형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은, 미리 도주 경로(또는 재난 진행 방향)를 예측하여 미리 CCTV 카메라 방향을 변경하고 다가올 범죄 차량 등을 촬영하고자하는 것이므로, 일정 범위 내(예: 10m 내지 1㎞)에서만 이동 가능 방향의 좌표 설정이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일 시스템 내에서는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설치된 복수 개의 CCTV 카메라(200a, 200b, 200c)만이 구성 요소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에서 CCTV 카메라(200a, 200b, 200c)는, 비닐하우스, 축사, 양식장 및 저장고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하우스 등의 도난을 방지하고, 즉각적 상황 판단이 가능하며, 도난 사건 발생 시 범인의 검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도심의 우범 지역에 설치되어 강력 범죄에 대해 예방 및 대응할 수도 있다.
카메라 작동 제어 모듈(300)은, CCTV 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설치된 복수 개의 CCTV 카메라(200a, 200b, 200c)의 촬영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상 신호 입력 모듈(100)을 통해 비상 신호가 입력되면, 비상 신호가 입력된 지점 및 해당 지점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방향의 좌표로 비상 신호 입력 지점 및 좌표와 매칭 되는 복수의 CCTV 카메라(200a, 200b, 200c)의 촬영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은, 중앙 관리 서버(31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중앙 관리 서버(310)에 카메라 작동 제어 모듈(300)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CCTV 카메라(200a, 200b, 200c)가 설치된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복수의 지점들로부터 이동 가능한 방향의 좌표들이 각각의 지점별로 저장된 이동 방향 좌표 저장 모듈(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미리 특정 지점으로부터 이동(도주 또는 재난의 진행) 가능한 방향의 좌표들을 설정해놓고, 비상 신호가 입력되면, 비상 신호 입력 지점 및 해당 지점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방향의 좌표 부근이 촬영되도록, CCTV 카메라 촬영 방향을 변경시키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이벤트 발생 시 일정 반경 내에 있는 모든 카메라들이 이벤트 발생 및 진행 방향으로 회전하여 순차적으로 다가올 도주하는 범죄자 또는 재난의 진행 과정이 연속적으로 촬영 및 녹화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신호 입력 모듈(100)은, 스마트기기(310)일 수 있는데, 스마트기기(310)를 통해 비상 신호가 입력되면, 스마트기기로부터 중앙 관리 서버(310)로 비상 신호 및 비상 신호가 입력된 위치가 자동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에서 카메라 작동 제어 모듈(300)은, 비상 신호가 입력된 지점과 매칭 되는 CCTV 카메라 및 해당 지점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방향의 좌표와 매칭 되는 CCTV 카메라(200a, 200b, 200c)들이, 해당 지점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작동의 제어란, OFF된 CCTV 카메라를 ON 시키는 것일 수도 있고, 다른 방향을 촬영하고 있거나 미리 정해진 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CCTV 카메라를 특정 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것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이벤트 발생 지역(10)에 가해자(20) 및 피해자(30)를 1차적으로 촬영하고, 가해자(20)가 이동하는 방향의 CCTV 카메라가 작동하여 가해자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촬영 및 녹화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에서 중앙 관리 서버(310)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위치의 좌표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을 수 있고, 카메라 작동 제어 모듈(300)을 통해, 사용자가 이동하는 위치의 좌표에 매칭 되는 CCTV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사용자가 이동하는 위치의 좌표로 변경시켜 사용자를 따라가며 촬영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사용자로부터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칩 또는 GPS(Gla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내장된 스마트기기로부터 사용자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도주자뿐만 아니라, 위급한 도움이 필요한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 파악 및 상태 파악도 가능해진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카메라 작동 제어 모듈(300)이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곳(사용자가 위치하는 좌표)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 떨어진 CCTV 카메라의 작동 제어는 종료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로부터는 현재 정확한 위치를 전송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사용자를 촬영할 수 없는 위치의 CCTV 카메라는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스마트기기(110), CCTV 카메라(200a, 200b, 200c), 중앙 관리 서버(310), 및 미리 정해진 서버(400, 예: 경찰서, 병원, 소방서에 구비된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방법은, 이벤트 발생 시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부터 비상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S100),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설치된 복수 개의 CCTV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비상 신호가 입력된 지점 및 해당 지점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방향의 좌표로 변경시키는 단계(S200), 및 단계 S200의 복수 개의 CCTV 카메라에서 촬영된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기기(110), CCTV 카메라(200a, 200b, 200c) 및 중앙 관리 서버(310), 단계 S100 및 단계 S200에 대해서는 앞서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S300에서는, 단계 S200의 복수 개의 CCTV 카메라에서 촬영된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서버에 전송할 수 있는데, 중앙 관리 서버(310)가 경찰서, 병원이나, 소방서에 설치된 서버(400)와 통신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중앙 관리자뿐만 아니라 경찰 등도 신속하게 위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이벤트 발생 지역 20: 가해자
30: 피해자 100: 비상 신호 입력 모듈
110: 스마트기기 200a, 200b, 200c: CCTV 카메라
300: 카메라 작동 제어 모듈 310: 중앙 관리 서버
320: 이동 방향 좌표 저장 모듈
400: 경찰서, 병원, 소방서에 설치된 서버

Claims (9)

  1.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으로서,
    이벤트 발생 시 사용자 또는 이벤트 발생 감지 모듈로부터 비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비상 신호 입력 모듈;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설치된 복수 개의 CCTV 카메라; 및
    상기 복수 개의 CCTV 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하는 카메라 작동 제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작동 제어 모듈은,
    상기 비상 신호 입력 모듈을 통해 비상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비상 신호가 입력된 지점 및 해당 지점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방향의 좌표로, 상기 비상 신호가 입력된 지점 및 상기 좌표와 매칭 되는 상기 복수의 CCTV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변경시키며,
    상기 카메라 작동 제어 모듈은,
    상기 CCTV 카메라가 설치된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복수의 지점들로부터 이동 가능한 방향의 좌표들이 각각의 지점별로 저장된 이동 방향 좌표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을 관리하는 중앙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관리 서버에 상기 카메라 작동 제어 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비상 신호 입력 모듈은 스마트기기이고,
    상기 스마트기기를 통해 비상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상기 중앙 관리 서버로 상기 비상 신호 및 상기 비상 신호가 입력된 위치가 자동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작동 제어 모듈은,
    상기 비상 신호가 입력된 지점 및 상기 해당 지점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방향의 좌표와 매칭 되는 CCTV 카메라들이, 상기 해당 지점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서버는,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상기 비상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위치의 좌표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작동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위치의 좌표로,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위치의 좌표에 매칭 되는 CCTV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작동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좌표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 떨어진 CCTV 카메라의 작동 제어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CTV 카메라는,
    비닐하우스, 축사, 양식장 및 저장고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
  9. 재난 및 방범 관리 방법으로서, 중앙 관리 서버가,
    (1) 이벤트 발생 시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부터 비상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2)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설치된 복수 개의 CCTV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상기 비상 신호가 입력된 지점 및 해당 지점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방향의 좌표로 변경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복수 개의 CCTV 카메라에서 촬영된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해당 지점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방향의 좌표는,
    상기 CCTV 카메라가 설치된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복수의 지점들로부터 이동 가능한 방향의 좌표들로서,
    상기 복수 개의 CCTV 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하는 모듈에 각각의 지점별로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방법.
KR1020130026969A 2013-03-13 2013-03-13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 KR101317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969A KR101317961B1 (ko) 2013-03-13 2013-03-13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969A KR101317961B1 (ko) 2013-03-13 2013-03-13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7961B1 true KR101317961B1 (ko) 2013-10-16

Family

ID=49638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969A KR101317961B1 (ko) 2013-03-13 2013-03-13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96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558A (ko) 2015-02-09 2016-08-18 주식회사 제이비티 모바일 이동형 cctv 스트리밍을 이용한 3차원 지도기반 실시간 현장상황 관리방법
KR20160098776A (ko) 2015-02-11 2016-08-19 이정훈 Cctv 쉐어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영상 제공방법
KR20160099932A (ko) 2015-02-13 2016-08-23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삼차원 지도 기반 폐쇄회로 텔레비전 영상 매핑 시스템
KR20160099931A (ko) 2015-02-13 2016-08-23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 위험 및 관심 지역에 대한 재난 예방 및 관리방법
WO2017150781A1 (ko) * 2016-02-29 2017-09-0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기기 간의 협업 방법 및 클라우드 서버
KR20200103180A (ko) 2019-02-13 2020-09-0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ar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재해 분류 및 분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KR102219405B1 (ko) * 2020-04-14 2021-02-25 주식회사 엠지브이보안시스템 Cctv연동 재난정보제공 및 대피유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5180A (ja) * 2007-08-24 2009-03-1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20100008640A (ko) * 2008-07-16 2010-01-26 주식회사 네오텔레콤 씨씨티비와 연동된 근거리 무선통신 리모컨을 이용한 위험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근거리 무선통신 리모컨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기기
KR20100061104A (ko) * 2008-11-28 2010-06-07 이계림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37784A (ko) * 2009-06-23 2010-12-31 주식회사 유닉스 긴급구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5180A (ja) * 2007-08-24 2009-03-1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20100008640A (ko) * 2008-07-16 2010-01-26 주식회사 네오텔레콤 씨씨티비와 연동된 근거리 무선통신 리모컨을 이용한 위험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근거리 무선통신 리모컨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기기
KR20100061104A (ko) * 2008-11-28 2010-06-07 이계림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37784A (ko) * 2009-06-23 2010-12-31 주식회사 유닉스 긴급구조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558A (ko) 2015-02-09 2016-08-18 주식회사 제이비티 모바일 이동형 cctv 스트리밍을 이용한 3차원 지도기반 실시간 현장상황 관리방법
KR20160098776A (ko) 2015-02-11 2016-08-19 이정훈 Cctv 쉐어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영상 제공방법
KR20160099932A (ko) 2015-02-13 2016-08-23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삼차원 지도 기반 폐쇄회로 텔레비전 영상 매핑 시스템
KR20160099931A (ko) 2015-02-13 2016-08-23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 위험 및 관심 지역에 대한 재난 예방 및 관리방법
WO2017150781A1 (ko) * 2016-02-29 2017-09-0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기기 간의 협업 방법 및 클라우드 서버
KR101793630B1 (ko) * 2016-02-29 2017-11-2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기기 간의 협업 방법 및 클라우드 서버
US9848404B2 (en) 2016-02-29 2017-12-19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Method for cooperating between smart devices and cloud server thereof
KR20200103180A (ko) 2019-02-13 2020-09-0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ar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재해 분류 및 분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KR102219405B1 (ko) * 2020-04-14 2021-02-25 주식회사 엠지브이보안시스템 Cctv연동 재난정보제공 및 대피유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961B1 (ko) 스마트기기와 cctv를 활용한 재난 및 방범 관리 시스템
EP3229214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unauthorized intruders using drones integrated with a security system
US9589447B2 (en) Personal safet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110102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ioritization of data file backups
JP2020102238A (ja) 事象監視システム、事象監視方法及び事象監視プログラム
CN106375712A (zh) 使用微移动无人机及ip摄像机的家庭、办公室安全监视系统
KR101381924B1 (ko) 카메라 감시 장치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467352B1 (ko) 위치기반 통합관제시스템
KR101498985B1 (ko)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KR101894399B1 (ko) 개인 정보 보호 기능을 포함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397686A1 (en) Platforms,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ty Video Security Services that provide Elective and Resource Efficient Privacy Protection
RU2268497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видеонаблюдения и распознавания объектов и ситуаций
US11417214B2 (en) Vehicle to vehicle security
JP2014194686A (ja) 防犯システム
KR101211366B1 (ko)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영상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510766B1 (ko) 비상호출 및 다기능 센서를 이용한 지능형 모니터링 디브이알(dvr) 시스템
KR101664556B1 (ko) 사회 안전망 시스템 및 방법
KR101594053B1 (ko) 융복합 솔루션을 통한 보안 시스템
US118003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security of road users without an own motor vehicle
KR101398839B1 (ko)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피사체 포착 촬영방법
KR101401299B1 (ko)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사용자 중심의 추적촬영 방법
JP2008219452A (ja) カメラ監視装置
KR20090092901A (ko) 무인 방범시스템
Nishanthini et al. Smart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alert with image capturing using android smart phones
KR100880428B1 (ko) 유비쿼터스 치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