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876B1 - 일반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분리 가능한 휠체어 - Google Patents

일반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분리 가능한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876B1
KR101473876B1 KR20130059210A KR20130059210A KR101473876B1 KR 101473876 B1 KR101473876 B1 KR 101473876B1 KR 20130059210 A KR20130059210 A KR 20130059210A KR 20130059210 A KR20130059210 A KR 20130059210A KR 101473876 B1 KR101473876 B1 KR 101473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wheelchair
frame
upper frame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9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7933A (ko
Inventor
홍성태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드알앤에이
홍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드알앤에이, 홍성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드알앤에이
Priority to KR20130059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876B1/ko
Publication of KR20140137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 A61G5/0875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dismountable, e.g. where the wheelchair can be disassembled for transportation or stor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6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backrest relative to the sea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일반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분리 가능한 휠체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휠체어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좌부와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면의 전방 및 후방에는 횡방향으로 바형태의 제1안착구와 제2안착구가 형성되어있고, 상기 하부프레임측 제1안착구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하부프레임측 제1안착구의 후방과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갈고리 형태의 안착보조구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측 제2안착구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하부프레임측 제2안착구의 후방과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안착결합구가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휠체어는,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상기 착좌부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부가 각도조절되게 하는 각도조절부가 구비되되,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등받이부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드부와 각각이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각각의 일단은 착좌부에 대하여 힌지결합되어 있고, 각각의 타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의 양단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있는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체결수단의 도움으로 상기 등받이부의 각도조절이 완결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반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분리 가능한 휠체어{SEPARABLE WHEELCHAIR FOR THE OLD AND THE INFIRM AND HANDICAPPED AND PUBLIC}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유모차, 휠체어와 같은 보행 대체 수단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시 하부프레임으로부터 상부의 의자 부분을 분리하여 목적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일반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분리 가능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휠체어로 한정하여 설명되어 있지만 유모차와 같은 다른 보행 대체 수단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통상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의 보행 대체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휠체어는 보통 차량 탑승 시에는 휠체어가 접힐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차량의 탑재가 가능하다.
그러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이 탑승하는 차량에는 이들의 몸을 휠체어만큼 의존할 수 있는 보호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차량에 탑승하는 시간 동안에는 이들의 몸에 무리를 줄 수가 있다.
근래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참고 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0-0112382호(2010년 10월 19일 공개, 발명의 명칭 '의자 분리형 휠체어')]에서는 휠체어 본체로부터 의자부분을 분리할 수 있는 휠체어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의자 분리형 휠체어는 의자를 밀어서 휠체어 본체에 끼워넣고 당겨서 빼내는 구조로써, 환자가 탑승해 있는 상황에서 의자가 미끄러져 휠체어 본체에서 빠져 환자가 추락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휠체어 본체와 의자의 등받이 경사가 조절되지 않기 때문에 환자의 몸에 맞지 않으면 환자의 허리에 무리를 줄 수 있는 한계가 있다.
이외에도, 현재까지 개발된 휠체어에는 탑승자의 입장에서 볼 때 안전 및 편의 사양이 부족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0-0112382호 (2010년 10월 19일 공개, 발명의 명칭 '의자 분리형 휠체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휠체어에서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의 형태를 갖춘 상부프레임과 이동수단의 형태를 갖춘 하부프레임을 필요에 따라 상기 하부프레임에서 상기 상부프레임이 탈착 가능한 일반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분리 가능한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예를 들어 탑승자의 안전뿐만 아니라 다양한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일반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분리 가능한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좌부와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면의 전방 및 후방에는 횡방향으로 바형태의 제1안착구와 제2안착구가 형성되어있고, 상기 하부프레임측 제1안착구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하부프레임측 제1안착구의 후방과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갈고리 형태의 안착보조구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측 제2안착구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하부프레임측 제2안착구의 후방과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안착결합구가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분리 가능한 휠체어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안착결합구의 힌지결합 부위에 토션스프링이 구비되되,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다른 일단은 상기 안착결합구에 고정되어 상기 안착결합구의 하단이 전방향으로 강제 변위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안착결합구의 후방에는 상기 안착결합구를 후방으로 강제 후퇴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면부에는 좌우 간격이 조절되게 구성되어 있는 목 지지체, 요추 지지체 또는 골반 지지체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지지체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과 상기 홈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의 도움으로 좌우 간격이 조절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착좌부의 상면의 중앙부 일측에는 환자의 전방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추락방지체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상기 착좌부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부가 각도조절되게 하는 각도조절부가 구비되되,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등받이부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드부와 각각이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각각의 일단은 착좌부에 대하여 힌지결합되어 있고, 각각의 타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의 양단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있는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체결수단의 도움으로 상기 등받이부의 각도조절이 완결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부의 결합부와 하부의 구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의 결합부와 하부의 구동부 사에는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사선형의 지지대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사선 형태의 지지대와 상기 하부의 구동부 사이에는 상기 사선형의 지지대에 대하여 대체로 엇각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실린더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의 신장 또는 수축에 따라 휠체어의 높이가 조절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반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분리 가능한 휠체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평상시에는 휠체어의 상부 프레임이 인위적인 조작 없이는 탈거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상부프레임이 불시에 상기 하부프레임에서 분리되어 환자가 추락할 위험성이 없으며, 예를 들어 차량으로의 이동시에는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의 형태를 갖춘 상부프레임과 이동수단의 형태를 갖춘 하부프레임을 필요에 따라 간단한 조작으로 쉽게 상호 분리할 수 있어, 예컨대 환자의 차량 탑승시 휠체어에서 내리기 위해 무리하게 몸을 움직이지 않아도 되고, 차량의 실내에서도 휠체어에의 탑승 조건과 같은 조건이므로 안전 뿐만 아니라 편의성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에 환자의 몸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각각의 지지체가 환자의 체형에 부합되게 조절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되어 있어 환자의 환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에 각도조절부를 구비하여 상기 휠체어의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게 함으로써, 상기 휠체어에 탑승하는 환자의 체형에 따라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면부에 몸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체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휠체어에 탑승하는 환자가 측면으로 추락할 위험을 방지하여 환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또는 탑승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휠체어의 높이가 조절되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휠체어에서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휠체어의 하부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휠체어의 상부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부프레임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 조절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상부프레임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분리 가능한 휠체어(100)는 하부프레임(200)과 상부프레임(30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하부프레임(200)은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상기 휠체어(10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바형태의 안착구가 복수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면의 전방의 안착구를 제1안착구(210)라 칭하고,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면의 후방의 안착구를 제2안착구(215)라 칭한다. 이하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안착구는 제1안착구(210)와 상기 제2안착구(215)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제1안착구(210)와 제2안착구(215)가 도 3에 도시되어 설명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면에 횡방향으로 바형태의 안착구가 한 개 이상 형성되는 모든 형태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상부프레임(300)은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좌부(305)와 등받이부(307)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하면 즉, 상기 착좌부(305)의 하면에는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제1안착구(210)와 상기 제2안착구(215)에 대응되는 안착보조구(310)와 안착결합구(315)가 마련된다.
상기 안착보조구(310)는 상기 착좌부(305)의 하면의 전방에 위치하되,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기 제1안착구(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상기 안착보조구(310)는 상기 착좌부(305)의 하면으로부터 뻗어나온 돌기가 전방을 향하도록 휘어지는 갈고리 형태로, 상기 제1안착구(210)의 길이방향으로 두 개의 상기 안착보조구(310)가 마련된다.
상기 안착보조구(310)의 휘어짐이 끝나는 상기 안착보조구(310)의 하단과 상기 착좌부(305)의 하면 사이의 폭은 상기 제1안착구(21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안착구(210)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안착보조구(310)의 안쪽으로 상기 제1안착구(210)가 끼움결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안착보조구(310)에 상기 제1안착구(210)가 착탈되는 구조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상기 상부프레임(300)이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면에 안착하면서,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상기 안착보조구(310)와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기 제1안착구(210)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프레임(300)이 상기 하부프레임(200)에서 탈거되면서,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상기 안착보조구(310)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기 제1안착구(210)도 분리되는 것이다.
상기 안착보조구(310)와 상기 제1안착구(210)의 결합시, 갈고리 형태인 상기 안착보조구(310)의 안쪽으로 바형태의 상기 제1안착구(210)가 안착되면, 상기 안착보조구(310)가 상기 제1안착구(210)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상부프레임(300)이 전방으로 힘을 받을 경우, 상기 안착보조구(310)가 상기 제1안착구(210)의 후방을 지지해주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상부프레임(300)이 상부로 힘을 받을 경우, 상기 안착보조구(310)가 상기 제1안착구(210)의 하부를 지지해주어 상기 상부프레임(300)이 위로 뜨지 않도록 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안착보조구(310)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태의 상기 안착결합구(315)는 상기 착좌부(305)의 하면의 후방 즉, 상기 안착보조구(310)의 후방에 위치하되,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기 제2안착구(215)와 맞닿는 위치에 마련된다.
상기 제2안착구(215)의 길이방향으로 두 개의 상기 안착결합구(315)가 마련된다.
상기 안착결합구(315)는 전방으로 휘어지는 갈고리 형태로, 상기 착좌부(305)의 하면과 맞닿는 상기 안착결합구(315)의 하단이 상기 착좌부(305)의 하면과 힌지결합되어 상기 안착결합구(315)가 상기 하부프레임(200)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 구조이다.
상기 안착결합구(315)의 휘어짐이 끝나는 상기 안착결합구(315)의 하단과 상기 착좌부(305)의 하면의 폭은 상기 안착결합구(315)가 상기 제2안착구(215)의 후방과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넓이의 모든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안착결합구(315)의 전방으로는 상기 착좌부(305)의 하면의 하방으로 안착돌기(317)가 돌출형성되는데 상기 안착돌기(317)는 상기 안착결합구(315)가 후방과 하부를 지지하는 상기 제2안착구(215)의 전방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안착보조구(310)와 상기 안착결합구(315)와 상기 안착돌기(317)가 각각 두 개씩 구비되는 형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설명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 한 개 이상 구비되는 모든 형태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결합구(315)의 힌지결합 부위에는 토션스프링(318)이 구비되는데, 상기 토션스프링(318)의 일단은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하면 즉, 상기 착좌부(305)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토션스프링(318)의 다른 일단은 상기 안착결합구(315)에 고정되는 형태로, 상기 안착결합구(315)의 하단을 후방으로 회전시켜 입구를 개방하여 상기 제2안착구(215)를 안착한 후, 상기 토션스프링(318)의 반동에 의해 상기 안착결합구(315)의 하단이 전방향으로 강제 변위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토션스프링(318)의 전방으로 향하는 힘에 의해 상기 안착결합구(315)의 하단이 전방향으로 지속적인 압력을 받기 때문에 상기 안착결합구(315)의 하단을 후방으로 회전시켜 입구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토션스프링(318)에 대항하는 힘이 필요한데, 이를 더욱 수월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안착결합구(315)의 후방에 고정된 손잡이(319)가 포함된다.
즉, 상기 안착결합구(315)의 상기 손잡이(319)를 사용하여 상기 안착결합구(315)를 후방으로 강제 후퇴시킴으로써 상기 안착결합구(315)의 하단이 개방되고, 개방된 상기 안착결합구(315)와 상기 안착돌기(317) 사이로 상기 제2안착구(215)가 안착되면, 상기 안착결합구(315)가 상기 토션스프링(318)에 의해 전방향으로 강제 변위되기 때문에 상기 안착결합구(315)와 상기 안착돌기(317)에 의해 상기 제2안착구(215)의 후방과 하부, 그리고 전방이 지지 되어 상기 상부프레임(300)이 필요에 의한 인위적인 조작 없이는 상기 하부프레임(200)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00)는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전면부에 좌우 간격이 조절되게 구성되어 있는 지지체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체는 두 면을 포함하는 직각의 판 형태로, 일면은 횡방향으로 형성된 홈을 포함하면서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전면부에 밀착되고, 다른 일면은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전면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체는 두 개가 하나의 쌍으로, 두 돌출면이 마주보는 형태이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상기 등받이부(307) 전면의 상단의 지지체를 목 지지체(331)라 칭하고, 상기 등받이부(307) 전면의 하단의 지지체를 허리 지지체(333)라 칭하고, 상기 착좌부(305) 상면의 후방의 지지체를 대퇴부 지지체(335)라 칭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지지체는 상기 목 지지체(331), 상기 허리 지지체(333) 그리고 상기 대퇴부 지지체(335)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프레임(300)에는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의 홈과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홈을 통과하는 나사형태의 체결부재(325)에 의해 조임결합 되어 상기 지지체를 상기 상부프레임(300)에 고정시킨다.
상기 체결부재(325)를 느슨하게 푼 후, 상기 지지체를 상하로 움직여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체결부재(325)를 조임으로써 상기 지지체의 높이를 고정하고, 상기 체결부재(325)를 느슨하게 푼 후, 상기 지지체를 좌우로 움직여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체결부재(325)를 조임으로써 상기 지지체의 폭을 고정하여 환자의 체형에 맞도록 상기 지지체를 조절하고, 환자가 측면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307)가 두 개의 프레임으로 나뉘어, 중앙부에 길이방향의 홈이 형성되고, 체결부재(325)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등받이부(30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상기 등받이부(307)를 둘로 나누었을 때, 상부의 프레임을 제1프레임(345)이라 칭하고, 하부의 프레임을 제2프레임(346)이라 칭한다.
상기 제1프레임(345)과 상기 제2프레임(346)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의 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프레임(345)과 상기 제2프레임(346)의 홈을 통과하는 형태의 체결수단(325)을 느슨하게 푼 후, 상기 제2프레임(346)에 대하여 상기 제1프레임(345)을 상하로 움직여 상기 제1프레임(345)과 상기 제2프레임(346)의 겹침 정도를 조절하고, 체결부재(325)를 조임으로써 상기 등받이부(30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착좌부(305)는 상면의 중앙부 일측에 추락방지체(337)가 돌출 형성되어 환자의 전방으로의 추락을 방지한다.
환자의 가랑이 사이로 돌출 형성된 상기 추락방지체(337)가 환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환자의 하체를 지탱해주는 것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휠체어(100)는 상기 상부프레임(300)에 상기 착좌부(305)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부(307)가 각도조절되게 하는 각도조절부(330)가 구비된다.
상기 각도조절부(330)는 상기 등받이부(307)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양끝단이 상기 등받이부(307)의 양측단에 결합 되어 있는 슬라이드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부(340)는 상기 등받이부(307)의 후면에 슬라이드 레일(343)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343)을 따라 이동하는 체결부재(325)가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드부(340)가 상하로 슬라이드되면 상기 체결부재(325)가 상기 슬라이드 레일(343)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되다가, 원하는 위치에서 체결부재(325)을 조임으로써,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양측단에는 링크부재(344)를 포함하는데, 상기 링크부재(344)는 각각이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고, 각각의 일단은 상기 착좌부(305)에 대하여 힌지결합되어 있고, 각각의 타단은 상기 슬라이드부(340)의 양단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즉, 상기 링크부재(344)가 힌지결합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링크부재(344)의 각도가 변화되고, 상기 링크부재(344)의 각도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344)와 힌지결합되어 있는 상기 슬라이드부(340)의 양단이 상하로 움직여 상기 착좌부(305)에 대한 상기 등받이부(307)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링크부재(344)의 각도를 넓힘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340)가 상승하고, 그로 인해 상기 등받이부(307)와 상기 착좌부(305) 사이의 폭이 좁아지며 상기 착좌부(305)에 대한 상기 등받이부(307)의 경사가 높아지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부(340)의 체결부재(325)를 느슨하게 푼 후, 회전 가능한 상기 링크부재(344)의 도움으로 상기 등받이부(307)를 움직여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슬라이드부(340)의 상기 체결부재(325)를 조여 상기 등받이부(307)를 원하는 각도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휠체어(100)의 등받이부(307)의 각도조절이 완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100)의 상기 하부프레임(20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손잡이(220)가 구비된다. 상기 주손잡이(220)는 양측단이 상기 하부프레임(200)에 힌지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즉, 휠체어(100)의 후방에서 상기 주손잡이(220)를 잡고 상기 휠체어(100)를 이동시킬 수 있고, 환자와 마주보는 상기 휠체어(100)의 전방에서 상기 주손잡이(220)를 잡고 상기 휠체어(100)를 이동시킬 수도 있는 구조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전방 끝단에는 상방으로는 보조손잡이(322)가 마련되고, 하방으로는 발판(320)이 마련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손잡이(322)는 상기 상부프레임(300)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있어, 환자가 휠체어(100)에 탑승시 상기 보조손잡이(322)를 분리하여 걸림 부분을 생략하고, 환자가 상기 휠체어(100)에 탑승 완료시 상기 보조손잡이(322)를 상기 상부프레임(300)에 끼움결합하여 상기 휠체어(100) 운행시 환자가 상기 보조손잡이(322)를 잡고 몸을 지탱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발판(320)은 수평형의 판의 형태로, 양측단에 속이 비어있는 바형태의 발판구(323)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구(323)의 상단에는 각각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전방 끝단의 양측단에는 두 개의 발판조절구(324)가 상기 상부프레임(300)에 힌지결합된 형태로 마련되는데, 상기 발판조절구(324)의 지름은 상기 발판구(323)의 지름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판조절구(324)는 상기 발판구(323)의 속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상기 발판(320)은 상기 발판조절구(324)를 포함한 형태로 위아래 이동이 가능해진다.
상기 발판조절구(324)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조절구(324)의 홈과 상기 발판구(323)의 홈이 일치하는 위치에서 체결부재(325)를 조임으로써 상기 발판(320)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수동식 휠체어(100)가 일 예로 설명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운행되는 전동식의 휠체어(100)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00)의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구조가 도 7에 도시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하단에는 사선형의 지지대(347)와 실린더(35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347)와 상기 실린더(350)의 하단으로 휠을 포함하는 지지판(349)이 마련된다.
상기 지지대(347)의 일단은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면에 힌지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지지판(349)에 힌지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 지지대(347)와 상기 지지판(349)의 사이로 상기 실린더(350)가 마련되는데, 상기 실린더(350)의 일단은 상기 지지대(347)의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지지판(349)에 힌지결합된다.
즉, 상기 실린더(350)가 수축되며 길이가 짧아지면서 상기 실린더(350)의 일단이 결합된 상기 지지대(347)가 따라 내려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대(347)와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면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대(347)가 기울어지는 만큼 힌지결합 부위가 회전을 함으로써, 상기 휠체어(100)의 기울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350)의 신장 또는 수축에 따라 상기 휠체어(100)가 기울어지는 불편함 없이 상기 휠체어(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휠체어(100)는 높이 조절시 상기 지지대(347)의 회전범위가 크기 않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굳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지지대(347)와 상기 실린더(350) 사이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상기 지지대(347)의 회전범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프레임(300)이 분리된 뒤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부피가 축소되도록 지지대(347)를 접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상기 휠체어(100)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휠체어 200: 하부프레임
210: 제1안착구 215: 제2안착구
220: 주손잡이 300: 상부프레임
305: 착좌부 307: 등받이부
310: 안착보조구 315: 안착결합구
317: 안착돌기 318: 토션스프링
319: 손잡이 320: 발판
322: 보조손잡이 323: 발판구
324: 발판조절구 325: 체결부재
330: 각도조절부 331: 목 지지체
333: 허리 지지체 335: 대퇴부 지지체
337: 추락방지체 340: 슬라이드부
343: 슬라이드 레일 344: 링크부재
345: 제1프레임 346: 제2프레임
347: 지지대 349: 지지판
350: 실린더

Claims (8)

  1. 휠체어에 있어서,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좌부와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면의 전방 및 후방에는 횡방향으로 바형태의 제1안착구와 제2안착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프레임측 제1안착구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하부프레임측 제1안착구의 후방과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갈고리 형태의 안착보조구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측 제2안착구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하부프레임측 제2안착구의 후방과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안착결합구가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부의 결합부와 하부의 구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의 결합부와 하부의 구동부 사이에는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사선형의 지지대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사선 형태의 지지대와 상기 하부의 구동부 사이에는 상기 사선형의 지지대에 대하여 대체로 엇각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실린더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의 신장 또는 수축에 따라 휠체어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분리 가능한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결합구의 힌지결합 부위에 토션스프링이 구비되되,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다른 일단은 상기 안착결합구에 고정되어 상기 안착결합구의 하단이 전방향으로 강제 변위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분리 가능한 휠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결합구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안착결합구를 후방으로 강제 후퇴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분리 가능한 휠체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면부에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좌우 간격이 조절되게 구성되어 있는 목 지지체, 허리 지지체 또는 대퇴부 지지체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분리 가능한 휠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과 상기 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의 도움으로 좌우 간격이 조절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분리 가능한 휠체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부는 상면의 중앙부 일측에 환자의 전방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추락방지체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분리 가능한 휠체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는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착좌부에 대하여 각도조절되게 하는 각도조절부가 구비되되,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등받이부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드부와, 각각이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각각의 일단은 착좌부에 대하여 힌지결합되어 있고 각각의 타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의 양단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있는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체결수단의 도움으로 상기 등받이부의 각도조절이 완결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분리 가능한 휠체어.
  8. 삭제
KR20130059210A 2013-05-24 2013-05-24 일반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분리 가능한 휠체어 KR101473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9210A KR101473876B1 (ko) 2013-05-24 2013-05-24 일반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분리 가능한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9210A KR101473876B1 (ko) 2013-05-24 2013-05-24 일반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분리 가능한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933A KR20140137933A (ko) 2014-12-03
KR101473876B1 true KR101473876B1 (ko) 2015-01-27

Family

ID=52457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9210A KR101473876B1 (ko) 2013-05-24 2013-05-24 일반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분리 가능한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8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7571A (ja) * 2003-03-10 2004-09-30 Advanfit Inc 車椅子装置及びそれに使用する椅子本体
JP2007054181A (ja) 2005-08-23 2007-03-08 Pigeon Tahira Kk 車椅子
KR20100112382A (ko) * 2009-04-09 2010-10-19 최동근 의자 분리형 휠체어
KR20120027744A (ko) * 2010-09-13 2012-03-22 강종호 휠체어용 보조지지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7571A (ja) * 2003-03-10 2004-09-30 Advanfit Inc 車椅子装置及びそれに使用する椅子本体
JP2007054181A (ja) 2005-08-23 2007-03-08 Pigeon Tahira Kk 車椅子
KR20100112382A (ko) * 2009-04-09 2010-10-19 최동근 의자 분리형 휠체어
KR20120027744A (ko) * 2010-09-13 2012-03-22 강종호 휠체어용 보조지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933A (ko)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8947B1 (en) Seating system
US7367578B2 (en) Wheelchair provided with legrest and calfrest
US7003820B1 (en) Supportive device for handicapped people
KR101482769B1 (ko) 자세보조기능을 가지는 휠체어
KR102402692B1 (ko) 다기능 보행차
US20010040402A1 (en) Adjustable split seat
KR101403555B1 (ko)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KR101399283B1 (ko) 장애인용 시트 프레임
KR102080545B1 (ko) 이동장치가 장착된 휠체어
KR20160015424A (ko)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
KR101966342B1 (ko) 접이식 보행 보조기구
KR102080772B1 (ko) 시트 시스템
KR101473876B1 (ko) 일반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분리 가능한 휠체어
KR101953467B1 (ko)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KR20110000141U (ko) 다기능 자세조절 의자
JP5067806B2 (ja) リクライニング可能な車椅子
KR101495856B1 (ko) 장애인용 의자
JP6159308B2 (ja) 車椅子用座面板
EP3067031B1 (en) Seat assembly for a passenger conveyance device
KR101399125B1 (ko) 보행보조기
JP2004160055A (ja) 身体障害者用椅子
KR20170048682A (ko) 휠체어용 자세 교정 시트
ES1180185U (es) Silla de ruedas ortopédica
KR200306659Y1 (ko) 좌변기용 보조의자
KR101690424B1 (ko)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