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8680A - 장애인용 시트 프레임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시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8680A
KR20140068680A KR1020120136472A KR20120136472A KR20140068680A KR 20140068680 A KR20140068680 A KR 20140068680A KR 1020120136472 A KR1020120136472 A KR 1020120136472A KR 20120136472 A KR20120136472 A KR 20120136472A KR 20140068680 A KR20140068680 A KR 20140068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lit
seat
ho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9283B1 (ko
Inventor
오도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to KR1020120136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283B1/ko
Publication of KR20140068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8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4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pelvis or 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4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handicapped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02/0288Adjustable seat wid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장애인의 경부·견부·골반 그리고 대퇴부의 각 부분을 (장애인이 입은) 장애 형태, 정도 따라 가장 편리한 자세를 지지하여 줄 수 있도록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어떠한 장애인의 경우라도 가장 편리한 자세로 앉아 있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애 상태를 지지해줄 수 있게 되어 안전하게 앉아 있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대퇴부를 지지하는 양측이 각각 그 길이 방향과 폭방향 그리고 좌우 회전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애인의 장애 정도에 알맞게 대퇴부를 지지하는 부분을 조절하여 가장 편리한 자세로 시트를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목적은, 대퇴부를 지지하는 대퇴부 지지대의 양측에 날개부를 구비함으로써, 장애인의 대퇴부의 넓이에 맞게 그 폭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애인이 장애에 따른 자세 뿐만 아니라 대퇴부의 넓고 좁음에 따라서도 편안한 자세로 시트에 오랫동안 편리하게 앉아 있을 수 있게 한 장애인용 시트 프레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장애인용 시트 프레임{SEAT FRAME FOR PHYSICALLY CHALLENGED PERSON}
본 발명은 장애인용 시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애인의 신체 형태에 맞게 경부와 견부, 골반 그리고 대퇴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하여 지지해 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휠체어나 (복지)차량용 카시트 그리고 일반 시트에 상관없이 장애인의 신체 변형에 대응하는 중립자세(Neutral Position)를 취할 수 있게 하여 더 이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애인용 시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또한 시트 프레임에 탈착할 수 있게 하여 여러 체어나 의자류는 물론, 아동을 대상으로 할시 유모차의 시트부나 카시트로도 적용 가능하게끔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병변 장애, 하지마비가 있는 아동 및 성인은 휠체어에 장착된 시트(몰딩, 모듈)를 이용하여 이동하거나 착석자세유지를 시켜준다. 이러한 시트는 휠체어뿐만 아니라 차량 등에 장착되기도 하고, 가정 내에서 변형 진행 방지를 목적으로 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특허문헌1에는 이러한 복지차량 등에 사용되는 시트가 게재되어 있다. 이러한 접철식 시트는, 바닥에 나란히 세워지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 메인프레임의 후방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바닥에 지지되어 메인프레임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메인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브래킷, 한 쌍의 결합브래킷 중 어느 하나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좌판지지브래킷, 한 쌍의 결합브래킷 중 다른 하나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좌판지지브래킷, 및 제1좌판지지브래킷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제2좌판지지브래킷에 지지되는 좌판프레임을 포함하며, 휠체어 수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접을 수 있는 (장애인 복지)차량용 접철식 시트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시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1) 뇌병변 장애, 하지마비가 있는 아동 및 성인의 경우 장애 정도 및 유형에 따라 다양한 장애 형태의 시트를 요구하게 되었다.
(2) 하지만, 이제까지의 시트는 정상인을 기준으로 경증의 장애를 가진 이들이 시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시트가 제작되어 왔다.
(3) 즉, 장애인은 장애 정도에 따라 경부와 견부, 골반뿐만 아니라 양 대퇴부가 서로 비대칭으로 장애를 입거나 어느 한 쪽이 다른 한 쪽보다 더 심한 장애가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대퇴부 부분이 강직으로 인한 구축, 변형 정도나 골반의 탈구, 아탈구 등에 의해 장애 형태는 더욱 더 많아지게 되었다.
(4) 그러나, 기존의 시트는, 휠체어와 같이, 경증의 장애가 있는 장애인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부와 견부, 골반 그리고 대퇴부 등에 대하여 중증의 복합장애를 입은 장애인의 경우 시트를 제대로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5) 이러한 장애인은 진료나 치료 등을 목적으로 장애인용 시트를 이용하더라도 장애에 따른 변형된 자세 때문에 장시간 이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장애 정도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6) 또한 시트의 사용이 하나의 제품을 이용할 때에만 사용할 수 있다면 다른 제품을 이용할 때에는 적절한 지지를 해주기 어렵고, 이의 경우 다른 제품까지 시트가 적용이 된 물건을 구입해야하는 경제적 등의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97774호(2012년 10월 29일)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장애인의 경부·견부·골반 그리고 대퇴부 각 부분을 장애 형태, 정도에 따라 가장 중립적 자세를 지지하여 줄 수 있도록 조절하여 더 이상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일상생활을 가능하게 하여 장애인의 삶의 질, 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대퇴부를 지지하는 양측이 각각 그 길이 방향과 폭 그리고 좌우 회전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골반의 탈구, 아탈구로 인한 하지길이 차이와 측만증으로 인한 골반각 높이차이를 보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목적은, 대퇴부를 지지하는 대퇴부 지지대의 양측에 가드(Guard)를 구비함으로써, 뇌병변 장애인의 강직으로 인한 다리꼬임(X자다리)현상 방지와 O자형 다리의 대퇴 이탈을 방지 할 수 있는 시트 프레임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제 4목적은, 시트를 손쉽게 탈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정적인 상태의 의자류에도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모차나 카시트 등 동적인 상태의 제품까지 포함하여 적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시트 프레임는, 상하로 일부 구간이 서로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부 등받이와 하부 등받이로 구획된 등받이;, 상기 상부 등받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 상하 높이와 좌우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어깨 부분을 지지해 주는 한 쌍의 상부 날개부;, 상기 하부 등받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 좌우 폭을 조절하여 골반 부분을 지지해 주는 한 쌍의 하부 날개부;, 상기 상부 등받이에 상하 높이 및 시트의 전후 방향 그리고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헤드 레스트부;, 서로 접철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상부 등받이와 좌판 사이에 양단이 힌지고정되어 설치되어 등받이의 회전각도를 조절해 주는 각도조절부;, 시트의 좌판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 열의 가이드열; 상기 복수의 가이드열에 체결 및 이완되는 위치에 따라서, 그 길이방향과 폭 방향을 따라서 길이와 폭 조절과 함께 좌우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 대퇴부 지지대; 및 상기 대퇴부 지지대의 앞쪽에 설치되어 발의 형상에 따라 상하 높이 및 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발지지대;를 포함하는 대퇴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가이드열은 3개의 가이드가 나란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퇴부 지지대에는 각각 양측에 대퇴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날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날개부에는 대퇴부 지지대와 맞닿는 부분에 폭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과 대응하는 대퇴부 지지대에는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에는 장공에 끼워진 체결나사가 체결 및 이완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지지대는, 발판; 대퇴부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된 수직바; 및 발판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바에 상하 및 좌우로 움직이도록 끼움설치되고, 체결볼트가 수직바에 밀착되게 체결됨에 따라 이 발판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등받이에는 양측에 서로 나란하게 상하로 한 쌍의 제3슬릿이 형성되고 이 한 쌍의 제3슬릿 사이에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등받이에는 상기 각 제3슬릿에 끼워져서 체결고정되는 조절볼트와 상기 체결구멍에 중첩되도록 제3슬릿과 나란하게 제4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제4슬릿에는 체결볼트가 끼워져서 체결구멍에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날개부에는 상부 등받이와 맞닿는 플랜지부에 폭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날개부가 설치되는 상부 등받이에는 이 슬릿과 수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제1슬릿과 제2슬릿에는 체결볼트가 끼워져서 손으로 돌릴 수 있는 너트부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하부 날개부에는 하부 등받이와 맞닿는 플랜지부에 폭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3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3슬릿과 맞닿는 하부 등받이에는 체결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멍에는 제3슬릿에 끼워진 체결볼트가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애인용 시트 프레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장애인의 경부럭揷管골반 그리고 대퇴부의 각 부분을 (장애인이 입은) 장애 형태와 정도 맞게 그 길이와 폭 그리고 좌우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어떠한 장애를 입은 장애인의 경우라도 장애 형태에 맞게 편리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시트의 형태를 조절할 수 있다.
(2) 체결방식으로 구성요소들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한번 조정된 위치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 방식으로 원하는 형태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쉽고도 신속하게 원하는 장애 형태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3) 특히, 실질적으로 대퇴부를 지지하는 대퇴부 지지대의 양측에 날개부를 구비하여 이 대퇴부 지지대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양측 대퇴부의 폭이 다른 장애인의 경우에도 자신의 장애를 입은 체형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이처럼 장애인의 장애 체형에 맞게 시트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장애인은 편리한 자세로 장시간 운행이나 병원 등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가정 내에서 편안하게 앉아서 정상인과 같이 생활할 수 있게 된다.
(5)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프레임을 휠체어뿐만 아니라 (복지)차량용 시트 그리고 가정용 시트 등 장애인이 이용하는 여러 가지 시트에 적용함으로써, 장애인들도 정상인과 같이 여러 가지 용도에 맞게 편안하게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프레임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프레임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퇴부 지지부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2에서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퇴부 지지부의 전후 길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퇴부 지지부의 좌우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의 상하 높이 조절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날개부와 하부 날개부의 조절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부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장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b)는 (a)에서의 C-C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시트는,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400), 장애인의 헤드 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상하 및 전후 그리고 틸팅각 조절되는 헤드 레스트부(600), 어깨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 날개부(500a), 골반 부분을 지지해 주는 하부 날개부(400b), 상기 등받이(40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700), 그리고 대퇴부의 장애 형태에 따라 편안하게 지지해 주기 위한 대퇴부 지지부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지지하는 신체 부위에 따라 좌우 폭 조절과 상하 높이 조절 그리고 회전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장애 형태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어떠한 장애인의 경우라도 가장 편리하게 앉아서 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대퇴부 지지부는, 도면에서와 같이, 좌판(C)에 설치되는 복수 열의 가이드열(100), 이 가이드열(100)에 체결됨에 따라 장애인의 대퇴부 부분을 지지해 주는 한 쌍의 대퇴부 지지대(200), 그리고 각 대퇴부 지지대(20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발지지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한 쌍의 대퇴부 지지대(200)는 서로 나란하게 길이 조절과 함께 그 사이의 폭 조절 그리고, 각 대퇴부 지지대(20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애인의 다양한 대퇴부 형상에 맞게 그 형태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발지지대(300)는 발판(320)의 상하 높이 및 좌우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대퇴부 지지대(200)와 함께 장애인의 다양한 대퇴부 형상에 맞게 조절폭을 더욱 더 넓힐 수 있게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좌판(C)은 장애인용으로 이용되는 시트, 예를 들어서 휠체어나 차량용 시트, (복지)차량용 카시트 그리고 일반 가정 등에서 사용되는 시트를 구성하는 통상의 좌판을 의미한다.
상기 좌판(C)의 하면에는 통상의 물림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프레임을 휠체어뿐만 아니라 (복지)차량용 시트 그리고 가정용 시트 등 장애인이 이용하는 여러 가지 시트에 물리게 함으로써, 장애인들도 정상인과 같이 여러 가지 용도에 맞게 편안하게 시트를 이용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이드열(100)은 한 쌍이 좌판(C)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기본적으로 이들 가이드열(100)은 좌판(C)의 양측 테두리에 서로 나란하게 설치하여 대퇴부와 같이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이드열(100)은, 도 1·도 2·도 4 및 도 5와 같이, 복수 열로 가이드(110a~110c)를 배치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3개의 가이드(110a~110c)를 나란하게 배치하여 가이드열(100)을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이처럼 복수 열로 구성하는 이유는 후술하게 될 대퇴부 지지대(200)가 이들 가이드(110a~110c) 중에서 어느 하나에 체결됨에 따라 한 쌍의 대퇴부 지지대(200) 사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가이드(110a~110c)에는, 도 1·도 2·도 4 및 도 5와 같이, 각각 제1 가이드 블럭(120)과 제2 가이드 블럭(130)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제1 가이드 블럭(120)과 제2 가이드 블럭(130)에는 각각 체결구멍(121,131)이 형성되며, 이 체결구멍(121,131)에는 각각 회전지지볼트(122)와 각도조절볼트(132)가 체결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가이드(110a~110c)는 이들 회전지지볼트(122)와 각도조절볼트(132)가 위로 돌출될 수 있도록 윗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각 가이드(110a~110c)는 내부의 단면 형상이 역"T"자 형태가 되게 하여 각 가이드 블럭이 빠지지 않으면서도 위로 볼트들이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2 및 도 4에서는 한 쌍의 대퇴부 지지대(200)가 중앙의 가이드(100b)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어느 하나의 대퇴부 지지대(200)를 인접한 다른 가이드(100a,100b)에 체결함에 따라 대퇴부 지지대(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대퇴부 지지대(200)는, 도 2 및 도 와 같이, 장애인의 대퇴부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일종의 플레이트로서, 대퇴부의 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대퇴부 지지대(200)에는 윗면에 회전지지구멍(210)이 형성된다. 회전지지구멍(210)은 하나만 형성할 수도 있고, 도면과 같이 각 제1 가이드 블럭(120)에 형성된 체결구멍(121)과 중첩되는 위치에 각각 하나씩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회전지지구멍(210)에는 상기 회전지지볼트(122)가 끼워져서 체결구멍(121)에 체결됨에 따라 대퇴부 지지대(200)를 고정시켜 주는 역할과 함께 이완시 대퇴부 지지대(200)의 회전중심이 되게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회전지지볼트(122)를 이완시킴에 따라 도 6과 같이 대퇴부 지지대(200)를 가이드열(100)의 길이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이때 각도조절볼트(132)도 함께 이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대퇴부 지지대(200)에는 각도조절구멍(220)이 형성된다. 각도조절구멍(220)은 상기 회전지지구멍(210)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여기에는 상기 각도조절볼트(132)가 끼워져서 체결구멍(131)에 체결되게 된다. 이에, 대퇴부 지지대(200)는 이들 회전지지볼트(122)와 각도조절볼트(132)를 이완시킴에 따라 도 7과 같이 회전지지볼트(122)를 중심으로 원호 형상의 범위 내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대퇴부 지지대(200)에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양측 테두리에 각각 날개부(230)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날개부(230)는 대퇴부의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날개부(230)에는 대퇴부 지지대(200)와 맞닿는 부분에 폭방향으로 장공(2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대퇴부 지지대(200)에는 장공(231)에 끼워진 체결나사(233)가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구멍(232)이 형성된다. 이에 체결나사(233)을 이완시킴에 따라 날개부(230)의 폭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발지지대(300)는, 도 2와 같이, 실질적으로 발을 지지하는 발판(320), 이 발판(320)이 상하 높이 및 좌우조절이 가능하도록 대퇴부 지지대(200)에 장착된 수직바(310), 그리고 상기 발판(320)의 조절된 위치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브라켓(231)을 포함한다.
수직바(310)는 일단이 대퇴부 지지대(200)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그 길이는 하지(下肢)의 길이를 고려하여 설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서, 성인이나 청소년의 평균 하지 길이를 고려하여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바(310)는 대퇴부 지지대(200)에 고정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대퇴부 지지대(200)에 시트의 전후 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장애 형태에 따라 보다 편안한 자세가 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판(320)은 장애인의 발바닥이 닿게 되는 플레이트로서 그 크기는 가능한 한 크게 형성하여 장애 상태에 상관없이 발바닥을 올려놓을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이때, 발판(320)은 한 쌍이 구비되게 되는데 서로 간섭을 받지 않는 한 가장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브라켓은 상기 수직바(310)가 끼워져서 길이 조절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이다. 이러한 고정브라켓에는 수직바(3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구멍이 형성되고, 이 끼움구멍에는 고정브라켓의 외부로부터 수직바(31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체결볼트(322)가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브라켓은 체결볼트(322)를 이완시킨 상태에서 발판(320)의 상하 높이 및 좌우 각도를 회전 조절시킨 다음 다시 체결볼트(322)를 체결함에 따라 위치 조절이 완료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발판(320)과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대퇴부 지지부는, 대퇴부의 길이와 폭 그리고 양측 대퇴부의 휨뿐만 아니라 하지의 휨 정도에 따라 다양한 장해 상태에 가장 편안한 자세로 앉아있을 수 있도록 자세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등받이(400)는, 도 1 및 도8과 같이, 상부 등받이(400a)와 하부 등받이(400b)로 구분된다. 특히, 상기 상부 등받이(400a)에는 양측에 각각 상하로 길게 한 쌍의 제3슬릿(4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등받이(400b)는 좌판(C)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의 회전은 힌지(H)를 중심으로 좌판(C)과 하부 등받이(400b)가 체결 또는 융착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등받이(400b)에는 상기 제3슬릿(410)과 중첩되는 위치에 체결구멍(412)이 형성된다. 이 체결구멍(412)에는 제3슬릿(410)에 끼워진 체결볼트(411)가 이완 및 체결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등받이(400)는, 도 8과 같이, 상기 체결볼트(411)를 이완시킨 다음 상부 등받이(400a)를 상하로 올림에 따라 이 체결볼트(411)에 의하여 제3슬릿(410)이 가이드되면서 상하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높이 조절 후에는 다시 체결볼트(411)를 체결하여 높이 조절된 위치를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등받이(400a)와 하부 등받이(400b)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구성을 더 추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1과 같이, 상기 상부 등받이(400a)에는 체결구멍을 형성하고, 하부 등받이(400b)에는 제4슬릿(450)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체결구멍에는 제4슬릿(450)에 끼워진 체결볼트(452)를 체결하게 된다. 이는, 상술한 체결 방식과 반대로 형성함으로써, 안정적인 등받이(4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제4슬릿(450)은 상술한 제3슬릿(410)과 나란하게 형성함으로써, 간섭없이 상부 등받이(400a)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날개부(500a)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어깨 부분을 지지해 주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전체적인 형상은 "ㄴ"자 형태로 절곡되어 가로 부분이 상기 상부 등받이(400a)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이처럼 밀착되는 부분에는 폭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슬릿(510)이 형성된다.
특히, 이러한 상부 날개부(500a)는 상부 등받이(400a)에 제1슬릿(510)과 수직으로 형성된 제2슬릿(420)에 장착되게 된다. 이때의 장착은 제1슬릿(510)과 제2슬릿(420)이 중첩되게 하고, 체결볼트(421)를 끼워서 너트부(미도시됨)로 체결함에 따라 달성된다. 이때, 상기 너트부는 나비 너트와 같이 손으로도 쉽게 회전시켜서 체결과 이완할 수 있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때의 너트부는 상부 등받이(400a)에 고정식으로 고정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슬릿(420)은 길게 하나를 형성할 수도 있고, 도 1과 같이 2개로 분할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분할된 2개의 제2슬릿(420)은 동축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제2슬릿(420)은 체결볼트(421)가 위로 올라갈 수 있는 높이를 제한하는 스톱퍼 기능도 함께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상부 날개부(500a)는, 도 9와 같이, 체결볼트(421)와 너트부(422)의 체결을 이완시킨 다음, 수직으로 형성된 각 슬릿의 방향을 따라서 상하 또는 좌우의 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다시 체결볼트(421)와 너트부(422)의 체결을 통해 조절이 완성되게 된다.
하부 날개부(400b)는 골반을 지지해 주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술한 상부 날개부(500a)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즉, 하부 날개부(400b)는 일측이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ㄴ"자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하부 등받이(400b)와 맞닿는 플랜지 부분에는 제3슬릿(520)이 길게 형성된다. 이때의 제3슬릿(520)은 시트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날개부(400b)는 제3슬릿(520)에 끼워진 체결볼트(431)가 하부 등받이(400b)에 형성된 체결구멍(43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하부 날개부(400b)는, 도 9와 같이, 상기 체결구멍(430)을 이완시킨 다음 이 체결구멍(430)을 기준으로 제3슬릿(520)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양측의 하부 날개부(400b) 사이의 폭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폭 조절 후에는 다시 체결구멍(430)을 체결함에 따라 하부 날개부(400b)의 조절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헤드 레스트부(6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시트의 뒷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수평바(610), 이 수평바(610)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지지하며, 상기 상부 등받이(400a)에 상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설치되는 수직바(62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헤드 레스트부(600)는 틸팅 헤드 레스트(Tilting Headrest)로 널리 알려져서 임의 각도로 회전시켜서 사용하는 것을 적용함으로써, 장애인의 목 부분의 형상에 맞게 편리한 위치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바(620)에는 상단부에 수평바(6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621)이 구비되며, 이 고정브라켓(621)에는 고정볼트(622)가 구비된다. 고정볼트(622)는 체결시 수직바(620)를 가압하여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바(620)는 상부 등받이(400a)에 고정된 브라켓(440)에 끼워지게 되며, 이 브라켓(440)에는 상술한 고정볼트(622)와 같은 기능을 하는 고정볼트(623)가 구비된다.
각도조절부(700)는, 도 1과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일단이 좌판(C)에 힌지고정된 본체(710), 이 본체(71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작동바(720), 그리고 상기 본체(710)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작동바(720)를 선택적으로 눌러주기 위한 조절손잡이(73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본체(710)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요홈(711)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바(720)에는 이 요홈(711)과 맞물리도록 철부(72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요홈(711)은 철부(721)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철부(721)는 작동바(720)에 가해지는 탄성스프링(722)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항상 요홈(711)과 치합되게 된다.
상기 조절손잡이(730)는 손으로 누르면, 도 10의 (b)에서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되면서 철부(721)가 눌리게 하여 요홈(711)과의 맞물림이 분리되어 작동바(720)가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신축되게 한다. 그리고, 신축 후에는 다시 조절손잡이(730)에 힘을 빼게 되면 작동바(720)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오면서 철부(721)가 요홈(711)와 다시 맞물리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각도조절부(700)는, 도 11과 같이 본체(710)의 일단을 좌판(C)에 힌지고정하고, 작동바(720)의 단부를 상부 등받이(400a)에 힌지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각도조절부(700)는, 도 11과 같이 등받이(400)의 높이 조절시나 등받이(400)의 접힘 각도를 조절시 상기 조절손잡이(730)를 눌러서 철부(721)가 요홈(711)으로부터 맞물림이 해제되게 한 다음 원하는 각도 조절 또는 높이 조절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장애인의 신체 형태에 따라서 헤드 부분과 어깨 부분 그리고 골반과 대퇴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장애 정도에 따라서 가장 편리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프레임은 휠체어나 (복지)차량용 시트뿐만 아니라 가정용의 시트에도 적용함으로써, 장애인이 어디에 있든지 상관없이 편리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가이드열
110a~110c : 가이드
120 : 제1 가이드 블럭
130 : 제2 가이드 블럭
200 : 대퇴부 지지대
210 : 회전지지구멍
220 : 각도조절구멍
230 : 날개부
300 : 발지지대
310 : 수직바
320 : 발판
400 : 등받이
400a : 상부 등받이
400b : 하부 등받이
500a : 상부 날개부
500b : 하부 날개부
600 : 헤드 레스트부
700 : 각도조절부

Claims (8)

  1. 상하로 일부 구간이 서로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부 등받이(400a)와 하부 등받이(400b)로 구획된 등받이(400);
    상기 상부 등받이(400a)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 상하 높이와 좌우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어깨 부분을 지지해 주는 한 쌍의 상부 날개부(500a);
    상기 하부 등받이(400b)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 좌우 폭을 조절하여 골반 부분을 지지해 주는 한 쌍의 하부 날개부(400b);
    상기 상부 등받이(400a)에 상하 높이 및 시트의 전후 방향 그리고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헤드 레스트부(600);
    서로 접철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상부 등받이(400a)와 좌판(C) 사이에 양단이 힌지고정되어 설치되어 등받이(400)의 회전각도를 조절해 주는 각도조절부(700);
    시트의 좌판(C)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 열의 가이드열(100); 상기 복수의 가이드열(100)에 체결 및 이완되는 위치에 따라서, 그 길이방향과 폭 방향을 따라서 길이와 폭 조절과 함께 좌우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 대퇴부 지지대(200); 및 상기 대퇴부 지지대(200)의 앞쪽에 설치되어 발의 형상에 따라 상하 높이 및 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발지지대(300);를 포함하는 대퇴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시트 프레임.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열(100)에는 각각 체결구멍(121,131)이 형성된 제1 가이드 블럭(120)과 제2 가이드 블럭(130)이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대퇴부 지지대(200)에는 상기 체결구멍(121)과 중첩되도록 회전지지구멍(210)과 이 회전지지구멍(210)을 기준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각도조절구멍(220)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지지구멍(210)에는 회전지지볼트(122)가 끼워져서 상기 체결구멍(121)에 선택적으로 체결고정되어 상기 가이드열(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고, 상기 각도조절구멍(220)에는 각도조절볼트(132)가 끼워져서 상기 체결구멍(131)에 선택적으로 체결고정되어 상기 가이드열(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시트 프레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열(100)은 3개의 가이드(110a~110c)가 나란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시트 프레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 지지대(200)에는 각각 양측에 대퇴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날개부(230)가 구비되고,
    상기 날개부(230)에는 대퇴부 지지대(200)와 맞닿는 부분에 폭방향으로 장공(231)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231)과 대응하는 대퇴부 지지대(200)에는 체결구멍(23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232)에는 장공(231)에 끼워진 체결나사(233)가 체결 및 이완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시트 프레임.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지지대(300)는,
    발판(320);
    대퇴부 지지대(200)의 하부에 설치된 수직바(310); 및
    상기 발판(320)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바(310)에 상하 및 좌우로 움직이도록 끼움설치되고, 체결볼트(322)가 수직바(310)에 밀착되게 체결됨에 따라 이 발판(320)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시트 프레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등받이(400a)에는 양측에 서로 나란하게 상하로 한 쌍의 제3슬릿(410)이 형성되고 이 한 쌍의 제3슬릿(410) 사이에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등받이(400b)에는 상기 각 제3슬릿(410)에 끼워져서 체결고정되는 조절볼트(411)와 상기 체결구멍에 중첩되도록 제3슬릿(410)과 나란하게 제4슬릿(450)이 형성되며,
    상기 제4슬릿(450)에는 체결볼트(452)가 끼워져서 체결구멍에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시트 프레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날개부(500a)에는 상부 등받이(400a)와 맞닿는 플랜지부에 폭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슬릿(51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날개부(500a)가 설치되는 상부 등받이(400a)에는 이 슬릿(510)과 수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슬릿(42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슬릿(510)과 제2슬릿(420)에는 체결볼트(421)가 끼워져서 손으로 돌릴 수 있는 너트부(422)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시트 프레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날개부(400b)에는 하부 등받이(400b)와 맞닿는 플랜지부에 폭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3슬릿(520)이 형성되고,
    상기 제3슬릿(520)과 맞닿는 하부 등받이(400b)에는 체결구멍(430)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멍(430)에는 제3슬릿(520)에 끼워진 체결볼트(431)가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시트 프레임.
KR1020120136472A 2012-11-28 2012-11-28 장애인용 시트 프레임 KR101399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472A KR101399283B1 (ko) 2012-11-28 2012-11-28 장애인용 시트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472A KR101399283B1 (ko) 2012-11-28 2012-11-28 장애인용 시트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680A true KR20140068680A (ko) 2014-06-09
KR101399283B1 KR101399283B1 (ko) 2014-07-14

Family

ID=5112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472A KR101399283B1 (ko) 2012-11-28 2012-11-28 장애인용 시트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2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8531A1 (de) * 2017-12-18 2019-06-19 Interco Gesellschaft für die Planung und den Vertrieb von Reha Hilfen mbH Vorrichtung, insbesondere sitzschale, mit mehreren beweglichen verstellelementen
CN110101516A (zh) * 2019-06-12 2019-08-09 南京晓庄学院 轻便可折叠自动化助残车
CN111565969A (zh) * 2017-11-10 2020-08-21 瑞卡罗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座椅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6668A (zh) * 2016-06-18 2016-09-21 金余和 一种儿童安全座椅用可拆卸式脚踏板结构
DE102022101873A1 (de) 2022-01-27 2023-07-27 Thomas Hilfen HILBEG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Autositz für beeinträchtigte Person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3917B2 (ja) * 2001-10-22 2004-08-11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車椅子装置
JP4097035B2 (ja) * 2004-03-30 2008-06-04 三重県 椅子用背板構造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椅子
KR101152803B1 (ko) * 2009-11-02 2012-06-12 유성종 기능성 쿠션시트
KR101197774B1 (ko) * 2010-11-29 2012-11-02 모터웰 주식회사 장애인 복지차량용 접철식 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65969A (zh) * 2017-11-10 2020-08-21 瑞卡罗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座椅装置
EP3498531A1 (de) * 2017-12-18 2019-06-19 Interco Gesellschaft für die Planung und den Vertrieb von Reha Hilfen mbH Vorrichtung, insbesondere sitzschale, mit mehreren beweglichen verstellelementen
CN110101516A (zh) * 2019-06-12 2019-08-09 南京晓庄学院 轻便可折叠自动化助残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9283B1 (ko) 201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8947B1 (en) Seating system
KR101399283B1 (ko) 장애인용 시트 프레임
JP3586300B2 (ja) 立姿勢用シート
KR101482769B1 (ko) 자세보조기능을 가지는 휠체어
KR102402692B1 (ko) 다기능 보행차
JP7475247B2 (ja) 多機能車椅子
US5405187A (en) Wheelchair where the seat is divided longitudinally
US20010040402A1 (en) Adjustable split seat
KR101091283B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101403555B1 (ko)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EP0622998B1 (en) Shower sitting structure
KR102320543B1 (ko)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
CN210078079U (zh) 一种可调节的坐姿椅
JP3137036U (ja) 椅子
KR101399285B1 (ko) 장애인용 시트의 대퇴부 지지장치
EP1983956B1 (en) A chair for a disabled person
KR102472959B1 (ko) 자세교정용 의자
CN213820632U (zh) 座椅
US20140159443A1 (en) Therapeutic Chair
KR101468048B1 (ko) 다용도 목욕의자
KR20110000141U (ko) 다기능 자세조절 의자
CN211409977U (zh) 可调式康复座椅
RU198211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регулируемая опора для детей-инвалидов
GB2323275A (en) Chair
KR200306659Y1 (ko) 좌변기용 보조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