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508B1 - 선박용 부이 - Google Patents

선박용 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508B1
KR101473508B1 KR1020100101190A KR20100101190A KR101473508B1 KR 101473508 B1 KR101473508 B1 KR 101473508B1 KR 1020100101190 A KR1020100101190 A KR 1020100101190A KR 20100101190 A KR20100101190 A KR 20100101190A KR 101473508 B1 KR101473508 B1 KR 101473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t
covering
buoy
plat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9789A (ko
Inventor
배종길
전용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1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508B1/ko
Publication of KR20120039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2Handling or lashing of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2Handling or lashing of anchors
    • B63B2021/222Buoyancy elements adapted or used for manipulating anchors, e.g. buoyancy elements built-in, or connected to the anchor, and used for lifting or up-righting the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04Irons, steels or ferrous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0Foamed 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부이에 관한 것으로, 부력부의 새로운 내부 구조 타입과,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 케이싱에 의해 부이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게 되더라도 부이의 파손이나 기능이 쉽게 상실되지 않고, 나아가 파손에 따른 수리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양편에 각각 배치되는 부력부와; 상기 부력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태로 양편 부력부와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내에 형성되어 연결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부력부는 양측 면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외면 둘레를 따라 고정되며 반경 반향으로 배치되는 날개판과, 상기 날개판의 선단과 고정되는 상태로 부력부의 외면 둘레를 감싸는 커버 및 상하면을 각각 덮는 커버판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와 커버판 사이 및 커버판과 플랜지 사이 틈새를 막는 마감재로 이루어지는 케이싱과, 상기 날개판으로 구획되는 격실에 채워지는 부력폼으로 구성되는 선박용 부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선박용 부이{Buoy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부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력부의 새로운 구조 타입과,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 케이싱에 의해 파손이나 부력폼의 기능이 쉽게 상실되지 않도록 하고, 나아가 파손에 따른 수리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선박을 한곳에 멈추어 있게 하기 위해 선박에는 선박과 연결되는 닻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와 함께 닻이 내려진 위치를 해수면에 표시하기 위하여 닻과 연결되는 연결선에 부이가 구비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부이는, 부이의 부력부 전체가 러버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예컨대 설치 및 이동, 정리 시에 부이가 외부 충격을 받게 될 경우 부력부의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부력부가 파손되게 되면 부력부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 전체가 러버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부력부의 일부가 쪼개져나가거나 일부분이 떨어져 나가게 되는 형태로 파손되게 된다.
위와 같이 부력부의 파손이 발생하게 되면, 부력부의 부력이 약해지게 되고, 이와 같이 부력이 약해지게 되면, 부력부를 구비하고 있는 부이가 수면 아래로 잠기게 되어 그 기능이 상실된다.
또한, 상기 부력부의 파손이 발생하게 되면, 떨어져 나간 부분만을 덧대는 방식으로 수리하기가 불가능하여 어쩔 수 없이 부이를 새것으로 구입하게 됨으로써 막대한 교체비용이 소요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부이가 충격을 받게 되더라도 부이의 파손이나 기능이 쉽게 상실되지 않도록 하고, 나아가 파손에 따른 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선박용 부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양편에 각각 배치되는 부력부와; 상기 부력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태로 양편 부력부와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내에 형성되어 연결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부력부는 양측 면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외면 둘레를 따라 고정되며 반경 반향으로 배치되는 날개판과, 상기 날개판의 선단과 고정되는 상태로 부력부의 외면 둘레를 감싸는 커버 및 상하면을 각각 덮는 커버판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와 커버판 사이 및 커버판과 플랜지 사이 틈새를 막는 마감재로 이루어지는 케이싱과, 상기 날개판으로 구획되는 격실에 채워지는 부력폼으로 구성되는 선박용 부이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에서 부력부는 양측 면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외면 둘레를 따라 고정되며 반경 반향으로 배치되는 날개판과; 상기 날개판의 선단과 고정되는 상태로 부력부의 외면 둘레를 감싸는 커버 및 상하면을 각각 덮는 커버판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과 커버판 사이 및 커버판과 플랜지 사이 틈새를 막는 마감재로 이루어지는 케이싱과; 상기 날개판으로 구획되는 격실에 채워지는 부력폼;으로 구성되는 선박용 부이가 제공된다.
삭제
또한, 상기 날개판 사이에 연결대가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며 연결대의 양단부가 서로 이웃하는 날개판과 연결되는 선박용 부이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 면으로부터 뻗어 있으며 관체의 결합공으로 삽입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져 있는 선박용 부이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부력폼은 폴리에틸렌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싱은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부력부의 새로운 구조 타입과,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 케이싱에 의해 파손이나 기능이 쉽게 상실되지 않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나아가 파손에 따른 수리가 용이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부이가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부이가 제작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부이가 사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에서 보듯이 선박(10)에 설치되는 권양기(12)에는 연결선(S)이 권선되어 있고, 이러한 연결선(S)의 일끝에는 닻(14)이 고정 연결되어 있다. 이때,부이(16)는 양측 부력부(18)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20)로 연결선(S)이 통과하는 구조로 구비된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부이가 제작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부이(16)는 양편에 각각 구비되는 부력부(18)와, 상기 부력부(18) 사이에 구비되는 상태로 부력부(18)와 결합되는 연결부재(2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부력부(18)는 중앙에 위치하며 양측 면에 플랜지(22a, 22b)가 형성되어 있는 관체(24)와, 상기 관체(24)의 외면 둘레를 따라 간격을 가지고 고정되며 반경 반향으로 배치되는 날개판(26)과, 서로 이웃하는 날개판(26)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이웃하는 날개판(26)과 대응 연결되는 연결대(28)와, 상기 날개판(26)의 선단과 고정되는 상태로 부력부(18)의 외면 둘레를 감싸는 커버(30) 및 상하면을 각각 덮는 커버판(32)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30)와 커버판(32) 사이 및 커버판(32)과 플랜지(22a, 22b) 사이 틈새를 막는 마감재(34a, 34b)로 이루어지는 케이싱(36)과, 상기 날개판(26) 사이에 채워지게 되는 부력폼(38)(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폼)으로 구성된다.
상기 부력폼(38)은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로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물을 흡수하지 않으면서 부력을 가지고 있다면 그 어떤 재질의 사용도 무방하다.
또한, 위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양편 부력부(18)의 사이에는 연결부재(20)가 배치된다. 이러한 연결부재(20)는 원형으로 형성된 몸체(40)와, 이 몸체(40)의 양측 면으로부터 뻗어 있는 결합부(42)와, 몸체(40)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44a, 44b)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42)는 각각 관체(24)의 결합공(46)으로 삽입되는 상태로 결합 고정되며, 제1 및 제2 가이드부(44a, 44b)와 몸체(40) 내부에는 연결선(S)이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공(50)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부력부(18)의 관체(24)에서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는 플랜지(22a)와 결합부(42)에는 커버(48)가 덧대어지는 구조로 결합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부이(16)를 구성하는 요소 중 부력폼(38)을 제외한 모든 구성요소들은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이(16)를 사용하게 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부력부(18)를 구성하는 요소 중 부력폼(38)을 제외한 모든 구성요소들이 스틸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부이(16)가 충격을 받게 되더라도 파손이나 기능이 쉽게 상실되지 않게 된다. 예컨대, 부력부(18)의 외관을 구성하고 있는 케이싱(36)에 파손이 발생하였더라도 부력부(18)를 구성하는 여러 구성요소들은 용접에 의한 접합으로 연결되어 있어 파손된 부분을 떼어내거나 절단 후 해당 구성요소만을 새로 용접하는 방법으로 수리하게 됨으로써, 수리에 대한 편의와 용이함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부력부(18)의 케이싱(36)의 손상이 발생하여 물이 부력부(18)의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부력폼(38)이 물을 흡수하지 않음으로써, 부력폼(38)의 기능 이 상실되지 않게 됨은 물론, 상기 부력부(18)의 내부가 날개판(26)에 의해 격실로 이루어져 있어 물이 유입되더라도 해당 격실만 채워지게 된다. 그러나 물이 채워지더라도 해당 격실이 부력폼(38)에 의해 채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물이 채워지는 양이 많지 않아 부의로서 기능 상실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10 : 선박 12 : 권양기
14 : 닻 16 : 부이
18 : 부력부 20 : 연결부재
22a, 22b : 플랜지 24 : 관체
26 : 날개판 28 : 연결대
30, 48 : 커버 32 : 커버판
34a, 34b : 마감재 36 : 케이싱
38 : 부력폼 40 : 몸체
42 : 결합부 44a : 제1 가이드부
44b : 제2 가이드부 46 : 결합공

Claims (6)

  1. 삭제
  2. 양편에 각각 배치되는 부력부(18)와;
    상기 부력부(18) 사이에 배치되는 상태로 양편 부력부(18)와 결합되는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20) 내에 형성되어 연결선(S)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통공(50);을 포함하고,
    상기 부력부(18)는 양측 면에 플랜지(22a, 22b)가 형성되어 있는 관체(24)와, 상기 관체(24)의 외면 둘레를 따라 고정되며 반경 반향으로 배치되는 날개판(26)과, 상기 날개판(26)의 선단과 고정되는 상태로 부력부(18)의 외면 둘레를 감싸는 커버(30) 및 상하면을 각각 덮는 커버판(32)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30)와 커버판(32) 사이 및 커버판(32)과 플랜지(22a, 22b) 사이 틈새를 막는 마감재(34a, 34b)로 이루어지는 케이싱(36)과, 상기 날개판(26)으로 구획되는 격실에 채워지는 부력폼(3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부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26) 사이에 연결대(28)가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며 연결대(28)의 양단부가 서로 이웃하는 날개판(26)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부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는 몸체(40)와;
    상기 몸체(40)의 양측 면으로부터 뻗어 있으며 관체(24)의 결합공(46)으로 삽입되는 결합부(42);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부이.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폼(38)은 폴리에틸렌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부이.
  6.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6)은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부이.
KR1020100101190A 2010-10-18 2010-10-18 선박용 부이 KR101473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190A KR101473508B1 (ko) 2010-10-18 2010-10-18 선박용 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190A KR101473508B1 (ko) 2010-10-18 2010-10-18 선박용 부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789A KR20120039789A (ko) 2012-04-26
KR101473508B1 true KR101473508B1 (ko) 2014-12-16

Family

ID=46139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190A KR101473508B1 (ko) 2010-10-18 2010-10-18 선박용 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5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789A (ko)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216B1 (ko) 조립식 해상구조물
KR102030139B1 (ko) 항로 표시용 등부표
KR101674453B1 (ko) 조립식 해상구조물
KR101473508B1 (ko) 선박용 부이
CN204418069U (zh) 蜂窝式柔性防船撞套箱
US4445806A (en) Sheet piling or mooring cell
KR20130112535A (ko)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지지장치 및 부유식 구조물
KR101634683B1 (ko) 부유식 수상 구조물용 폰툰
JP2007009526A (ja) 保護管用スペーサ
KR101657778B1 (ko) 앵커 체인 세척 노즐 마운팅 지그
KR20140022999A (ko) 반잠수식 드릴링 유닛의 애지머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US10953962B2 (en) Float, notably for an offshore wind turbine
JP2017052469A (ja) ライザー支持構造体を備える浮体設備
KR200390423Y1 (ko) 부유형 방현재의 지지구조
JP2020172818A (ja) 鋼管杭の補修方法
KR20140005790U (ko) 에어 펜더
KR20140066861A (ko) 시추선의 연료유 탱크 보호장치
KR20240061182A (ko) 교각충돌 완화장치
WO2016170925A1 (ja) 縦型空気式防舷材用の保護カバーおよび縦型空気式防舷材並びに縦型空気式防舷材の使用方法
KR101742222B1 (ko) 혼합수 처리 케이슨
KR20160029473A (ko) 부유식 구조물
KR101712143B1 (ko)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제조용 보조장치
KR102626582B1 (ko) 수상선 또는 잠수선용 마스트
KR100473776B1 (ko) 강재 파일의 보수 공법 및 그 구조물
JP6524778B2 (ja) 縦型空気式防舷材用の保護カバーおよび縦型空気式防舷材並びに縦型空気式防舷材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