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1182A - 교각충돌 완화장치 - Google Patents

교각충돌 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1182A
KR20240061182A KR1020220142552A KR20220142552A KR20240061182A KR 20240061182 A KR20240061182 A KR 20240061182A KR 1020220142552 A KR1020220142552 A KR 1020220142552A KR 20220142552 A KR20220142552 A KR 20220142552A KR 20240061182 A KR20240061182 A KR 20240061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relief
low
mitigation device
collision mit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2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종완
박민우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42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1182A/ko
Publication of KR20240061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1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1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for column or post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교각에서 수중에 위치하고, 일측면에 복수 개의 탈착홈이 형성된 몸체부 및 내부에 탄성력을 가지는 강화부재가 매립되고, 복수 개가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는 패킹부와 허니콤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패킹부 사이에 상기 패킹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완화부재를 구비하는 완화부가 상기 탈착홈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Description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Bridge collision mitigation device using low-heat cement}
본 발명은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교각에 선박의 충돌의 발생 시, 교각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고, 부품의 교체가 용이한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 구조물은 바다, 강, 호수 등 수면(水面)과 바닥면 사이(수중)에 설치된 구조물을 총칭한다. 그 중 수중 터널은 지반 속에 설치되는 침매(沈埋) 터널(Immersed Tunnel)과 달리 지반에 고정된 앵커(anchor)와 연결된 계류선의 장력에 의해 수중에 존재하는 터널을 의미한다.
바다 및 강 등에는 교각에 의해 지지되는 교량이 설치되어 교통로로 이용된다. 이때, 교량의 교각은 간격을 두고 설치되므로 바다 및 강 등에 교량이 설치되더라도 교각 사이를 통해 선박의 운항이 자유롭다.
다만, 교각 사이로 선박이 운항할 때 자칫 부주의한 경우 선박이 교각에 충돌할 수 있다. 선박이 교각과 충돌하게 되면 충돌시의 충격으로 인하여 선박 및 교각이 손상되는 물적사고로 이어질 뿐만 아니 라 자칫 선박 탑승자 또는 교량 이용자의 인적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교각 또는 교각을 지지하는 우물통의 둘레에 폐타이어를 결속하여 선박과 교각 충돌시의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선박과 교각의 충돌로 인한 물적사고 및 인적사고를 최소화하고 있다.
그러나, 폐타이어의 결속은 통상 와이어에 의해 이루어지는바, 폐타이어의 결속 상태가 견고하다 할 수 없었고, 와이어는 물기와 접함에 따라 쉽게 부식되는바, 폐타이어의 결속 상태마저도 장시간 유지되지 못하였으므로 폐타이어 결속을 통한 선박 충돌시 충격 완화는 그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64059호에는 우물통 기초의 외주면에 충격흡수 안전시설의 시공이 용이하고, 충격흡수 안전시설이 조립 해체식으로 제작되어 하자 발생 시, 교체가 용이하며, 수질 오염 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64059호는 교각을 이루는 기둥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제작 부피가 크고, 교체 시, 전체를 교체해야함으로써, 교체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일부 파손시, 일부만이 교체가 어려워, 전체 교체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야간에도 일부가 돌출된 완화부의 발광에 의해, 교각의 위치를 선박 운행자가 쉽게 발견할 수 있고, 완화부가 복수 개의 층으로 형성되고, 교각을 지탱하는 몸체부에 일부가 돌출된 상태로 복수 개가 결합됨으로써, 선박의 충돌로 파단 또는 파손된 완화부의 교체가 용이하고, 충격의 흡수가 용이한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각에서 수중에 위치하고, 일측면에 복수 개의 탈착홈이 형성된 몸체부 및 내부에 탄성력을 가지는 강화부재가 매립되고, 복수 개가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는 패킹부와 허니콤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패킹부 사이에 상기 패킹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완화부재를 구비하는 완화부가 상기 탈착홈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내측 방향으로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탈착홈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완화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화부재는, 중심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허니콤 구조를 이루는 육각 단면이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화부재는, 상기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완화부재 및 중심부에 상기 제1 관통홀보다 직경이 작은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홀 내측에 상기 제1 완화부재의 내측면과 이격 설치되는 제2 완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화부의 외측면에 상기 완화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강화부재가 매립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탈착홈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복수 개의 돌출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완화부로 충돌 발생 시, 상기 돌출부재가 파단되어, 상기 완화부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몸체부와 반대되는 방향에 발광가능한 코팅제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부는, 상기 제1 완화부재와 상기 제2 완화부재 사이을 패킹하는 제1 패킹부재 및 상기 제1 패킹부재와 상기 커버부 사이를 패킹하는 제2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제2 패킹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는 설치가 용이하고, 일부의 부품만의 교체가 용이하며, 수리 시 비용과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는 선박과 충돌 시, 충격의 흡수가 용이하여, 선박과 충돌 시, 선박에 전달되는 충격량을 흡수함으로써,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하여 인명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가 설치된 교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분리한 완화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가 설치된 교각을 나타낸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10)는, 수면 위를 이동하면서 교각을 지나는 선박의 바닥면이 교각의 기둥과 충돌하게 되면, 충격을 흡수하고, 교체가 용이할 수 있도록, 몸체부(100), 완화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10)에 적용되는 콘크리트는 저열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00)는 교각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단부가 수면 위로 일부가 돌출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는 수면 밑에 위치하는 바닥면과 접촉되어 교각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00)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는 콘크리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의 외측면에는 완화부(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탈착홈(101)이 형성될 수 있다.
탈착홈(101)은 내측으로 복수 개의 결합홈(10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홈(103)은 후술할 돌출부재(325)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홈(103)은 내부에 돌출부재(325)가 삽입된 상태에서 선박이 완화부(300)와 충돌시 복수 개 중 일부가 파단될 수 있다. 충돌 횟수가 많아지게 되면, 돌출부재(325)의 대부분이 파단됨으로써, 완화부(300)의 탈락이 쉬워질 수 있어, 완화부(300)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의 상부 및 하부에는 한 쌍의 걸림홈(10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홈(105)은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05)은 후술할 걸림부재(311c, 313c)가 커버부(3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탈착홈(101)의 내측면을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걸림홈(105)에 위치하면, 돌출되어 걸림홈(105)에 삽입됨으로써, 몸체부(100)와 탈착홈(101)이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이때, 걸림홈(105)으로 삽입되는 걸림부재(311c, 313c)는 선박의 충돌 시 파단이 일어날 수 있어, 완화부(300)가 탈거 가능함으로써, 선박의 충돌 여부 확인이 가능할 수 있고, 완화부(300)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선박이 몸체부(100)와 충돌 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완화부(300)는 덮개부(310), 커버부(320), 제1 패킹부재(330), 제1 완화부재(340), 제2 패킹부재(350), 제2 완화부재(360) 및 탄성부재(37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310)는 완화부(300)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여 완화부(300)를 밀폐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덮개(311) 및 하부덮개(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덮개(311)는 완화부(300)의 상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부덮개(311)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덮개(311)는 하방으로 복수 개의 제1 삽입부재(311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삽입부재(311a)는 하방으로 4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어, 후술할 커버부(320)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상부덮개(311)와 커버부(32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부덮개(311)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덮개(31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제1 스프링(311b) 및 제1 걸림부재(311c)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스프링(311b)은 상부덮개(311)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제1 삽입부재(311a)가 설치된 방향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스프링(311b)은 도 3에서, 제1 삽입부재(311a)가 형성된 방향보다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프링(311b)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틀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어, 제1 스프링(311b)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프링(311b)의 상단부에는 틀의 상단부에 위하는 제1 걸림부재(311c)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걸림부재(311c)는 삼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100)를 향하면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어, 완화부(300)가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경사에 의해, 상부덮개(311)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걸림부재(311c)는 완화부(300)가 몸체부(100)의 내부로 결합될 때, 제1 걸림부재(311c)의 경사면을 따라, 몸체부(100)의 좌측면에서 눌리면서, 상부덮개(311)의 내부 공간으로 제1 스프링(311b)의 수축하면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부덮개(311)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제1 걸림부재(311c)는 완화부(300)가 탈착홈(101)의 내측에 결합될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몸체부(10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홈(105)에 제1 걸림부재(311c)가 제1 스프링(311b)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돌출되어, 완화부(300)의 결합위치가 결정될 수 있고, 상부덮개(311)와 몸체부(10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걸림부재(311c)는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완화부(300)의 결합될 위치를 설정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덮개(313)는 완화부(300)의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부덮개(313)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덮개(313)는 상방으로 복수 개의 제2 삽입부재(313a)가 돌출 형성될 수 있어, 하부덮개(313)가 후술할 커버부(32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부덮개(313)가 커버부(320)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덮개부(310)는 커버부(320)의 상부 및 하부를 밀폐하여, 커버부(320) 내측에 결합되는 부재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덮개(313)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덮개(313)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제2 스프링(313b) 및 제2 걸림부재(313c)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스프링(313b)은 하부덮개(313)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제2 삽입부재(313a)가 설치된 방향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스프링(313b)은 도 3에서, 제2 삽입부재(313a)가 형성된 방향보다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2 스프링(313b)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틀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어, 제2 스프링(313b)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프링(313b)의 하단부에는 틀의 상단부에 위하는 제2 걸림부재(313c)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걸림부재(313c)는 삼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100)를 향하면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어, 완화부(300)가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경사에 의해, 하부덮개(313)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걸림부재(313c)는 완화부(300)가 몸체부(100)의 내부로 결합될 때, 제2 걸림부재(313c)의 경사면을 따라, 몸체부(100)의 좌측면에서 눌리면서, 하부덮개(313)의 내부 공간으로 제2 스프링(313b)의 수축하면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하부덮개(313)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제2 걸림부재(313c)는 완화부(300)가 탈착홈(101)의 내측에 결합될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몸체부(10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105)에 제2 걸림부재(313c)가 제2 스프링(313b)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돌출되어, 완화부(300)의 결합위치가 결정될 수 있고, 하부덮개(313)와 몸체부(10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걸림부재(313c)는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완화부(300)의 결합될 위치를 설정시킬 수 있다.
커버부(320)는 선박 충돌 시 몸체부(100)와 분리되고, 충격 완화가 가능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커버몸체(321), 제1 강화부재(323) 및 돌출부재(325)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몸체(321)는 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몸체(321)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몸체(321)의 내측에는 릴스프링일 수 있는 제1 강화부재(323)가 매립될 수 있다.
또한, 제1 강화부재(323)는 선박 충돌 시 발생될 수 있는 수직 방향의 힘을 감쇠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강화부재(323)는 탄소섬유로 형성됨으로써, 커버부(3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몸체(321)는 돌출된 면일 수 있는 몸체부(100)와 반대되는 면에 발광제로 코팅될 수 있어, 야간에도 완화부(300)가 설치된 위치가 선박을 운행하는 운전자의 시야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커버몸체(321)의 발광제가 코팅된 면의 반대에 위치하는 외측면에는 복수 개의 돌출부재(325)가 돌출될 수 있다. 즉, 돌출부재(325)는 몸체부(100)를 향하는 면에 복수 개의 돌출부재(32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재(325)는 바닥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결합홈(103)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선박이 완화부(300)에 충돌하면, 돌출부재(325)가 파단 되어, 완화부(300)와 몸체부(100)가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커버몸체(321)의 내측면에는 제1 패킹부재(330)가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패킹부재(330)는 내구성이 강화되고, 충격흡수가 용이하며, 커버몸체(321)와 분리 가능할 수 있도록 제1 패킹몸체(331) 및 제2 강화부재(3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킹몸체(331)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패킹몸체(331)는 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킹몸체(331)는 커버몸체(321)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어, 제1 커버몸체(32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고, 고무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내부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때, 제1 패킹몸체(331)의 내부에는 제2 강화부재(333)가 매립될 수 있다. 제2 강화부재(333)는 탄소섬유로 형성될 수 있고, 릴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패킹몸체(331)의 높이일 수 있는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제1 패킹부재(330)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이때, 제1 패킹부재(330)의 내측면에는 제1 완화부재(340)가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완화부재(340)는 충격량을 완화하면서,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도록, 허니컴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완화부재(34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허니컴 구조를 원형으로 구부려서, 링형 단면을 형성한 형태일 수 있다. 즉, 제1 완화부재(340)는 제1 패킹부재(3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허니컴 구조로 배치됨으로써,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고, 충격의 흡수가 용이할 수 있다.
이때, 제1 완화부재(340)의 내부에는 제2 패킹부재(350)가 제1 완화부재(340)의 내측면에 밀착 결합됨으로써, 완화부(300)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제2 패킹부재(350)는 충격 흡수가 용이하고,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도록 제2 패킹몸체(351) 및 제3 강화부재(3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킹몸체(351)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패킹몸체(351)는 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패킹몸체(351)는 제1 완화부재(340)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어, 허니콤 구조로 형성된 제1 완화부재(340)의 내측 방향으로 개구된 부분을 밀폐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패킹몸체(351)의 내부에는 제3 강화부재(353)가 매립될 수 있다.
제3 강화부재(353)는 탄서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강화부재(353)는 릴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강화부재(353)는 제1 강화부재(323)와 동일한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고, 제1 강화부재(323)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어, 완화부(3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충격 흡수가 용이할 수 있다. 이때, 제2 패킹부재(350)의 내측에는 제2 완화부재(36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완화부재(360)는 상술한 제1 완화부재(340)와 동일한 재질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2 완화부재(360)는 제1 완화부재(340)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홀이 형성될 수 있어, 상술한 커버부(320), 제1 패킹부재(330), 제1 완화부재(340), 제2 패킹부재(350) 및 제2 완화부재(360)가 내부에 형성된 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 구간 탄성을 가질 수 있어, 충격 흡수 시, 변동될 여지가 있는 부재들의 탄성작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2 완화부재(360)에는 내부에 홀이 형성된 탄성부재(37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370)는 스프링일 수 있어, 완화부(300)로 전달되는 수직 방향을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완화부(300)는 선박과 교각이 서로 충돌하면, 완화부(300)의 내부에 복수 개의 층으로 여러 차례 충격 완화가 가능하고, 충격시 파단으로 완화부(300)만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허니컴 구조와 복수 개의 강화부재(323, 333, 353)가 설치됨으로써, 내구성이 강화되어, 선박이 충돌하면, 충격량의 완화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강화부재(323)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제3 강화부재(353)와 상단부 및 하단부와 매립 위치가 동일하고, 제2 강화부재(333)의 매립은 제1 강화부재(323) 및 제3 강화부재(35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어, 충격량의 완화가 용이하면서도,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10)는 선박의 충격이 발생되면, 충격 완화를 극대화 시키고, 탈부착이 용이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교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선박 등의 충격에 의해, 전달되는 충격은 여러 번에 걸쳐 완화될 수 있어, 선박 등에 승차한 인원들로 전달되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10)를 유지할 때, 부식이나, 약한 충격에 의한 파손 등에 의해, 발생되는 부품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어, 유지 관리 비용 및 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
100: 몸체부 101: 탈착홈
103: 결합홈 105: 걸림홈
300: 완화부 310: 덮개부
311: 상부덮개 311a: 제1 삽입부재
313: 하부덮개 313a: 제2 삽입부재
320: 커버부 321: 커버몸체
323: 제1 강화부재 325: 돌출부재
330: 제1 패킹부재
331: 제1 패킹몸체 333: 제2 강화부재
340: 제1 완화부재 350: 제2 패킹부재
351: 제2 패킹몸체 353: 제3 강화부재
360: 제2 완화부재 370: 탄성부재

Claims (8)

  1. 교각에서 수중에 위치하고, 일측면에 복수 개의 탈착홈이 형성된 몸체부; 및
    내부에 탄성력을 가지는 강화부재가 매립되고, 복수 개가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는 패킹부와 허니콤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패킹부 사이에 상기 패킹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완화부재를 구비하는 완화부가 상기 탈착홈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내측 방향으로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탈착홈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완화부가 끼움 결합되는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완화부재는,
    중심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허니콤 구조를 이루는 육각 단면이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완화부재는,
    상기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완화부재 및
    중심부에 상기 제1 관통홀보다 직경이 작은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홀 내측에 상기 제1 완화부재의 내측면과 이격 설치되는 제2 완화부재를 포함하는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완화부의 외측면에 상기 완화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강화부재가 매립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탈착홈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복수 개의 돌출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완화부로 충돌 발생 시, 상기 돌출부재가 파단되어, 상기 완화부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몸체부와 반대되는 방향에 발광가능한 코팅제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는,
    상기 제1 완화부재와 상기 제2 완화부재 사이을 패킹하는 제1 패킹부재 및
    상기 제1 패킹부재와 상기 커버부 사이를 패킹하는 제2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제2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저열시멘트를 활용한 교각충돌 완화장치.
KR1020220142552A 2022-10-31 2022-10-31 교각충돌 완화장치 KR20240061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552A KR20240061182A (ko) 2022-10-31 2022-10-31 교각충돌 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552A KR20240061182A (ko) 2022-10-31 2022-10-31 교각충돌 완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1182A true KR20240061182A (ko) 2024-05-08

Family

ID=91074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2552A KR20240061182A (ko) 2022-10-31 2022-10-31 교각충돌 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11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447692U (zh) 浮动式复合材料桥墩消能防撞组合装置
CN2697148Y (zh) 自动定位导向浮式桥墩防撞装置
KR101005500B1 (ko) 푼툰수납틀이 구비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
CN205576852U (zh) 桥梁防撞漂浮护舷
KR20240061182A (ko) 교각충돌 완화장치
CN212612299U (zh) 桥梁防撞装置及桥梁
CN212670265U (zh) 一种用于桥梁工程中保护桥墩防撞的装置
CN211228374U (zh) 防撞块及防撞结构
CN109468942B (zh) 一种驳船式浮桥柔性连接装置
CN208486215U (zh) 一种城市道路桥梁桥墩防护装置
KR20070048316A (ko) 충격흡수 가드레일
JPH0415778Y2 (ko)
CN111576344A (zh) 桥梁防撞装置及桥梁
CN107630422B (zh) 一种组合式桥梁桥墩防撞结构及其施工方法
CN113914201B (zh) 一种可转动桥墩防撞浮式装置
KR200258889Y1 (ko) 수중 교각구조물 보호용 충격흡수시설
KR101018861B1 (ko) 차량방호용 충격흡수 장치
KR20150003126U (ko) 부유성 오염물질 차단장치
CN218813526U (zh) 基于柔性组合结构的桥梁防撞装置
CN214831826U (zh) 简易型浮桥
KR200264059Y1 (ko) 수중 교각 구조물의 충격흡수 안전시설
CN211171839U (zh) 浮动式桥墩防撞装置
CN218621770U (zh) 一种环抱式桥墩柔性防护装置
CN214737490U (zh) 一种爆破用桥梁墩柱保护结构
CN216919983U (zh) 一种桥梁用防撞加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