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790U - 에어 펜더 - Google Patents

에어 펜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790U
KR20140005790U KR2020130003526U KR20130003526U KR20140005790U KR 20140005790 U KR20140005790 U KR 20140005790U KR 2020130003526 U KR2020130003526 U KR 2020130003526U KR 20130003526 U KR20130003526 U KR 20130003526U KR 20140005790 U KR20140005790 U KR 201400057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rubber
flange
air fender
colored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0505Y1 (ko
Inventor
김철영
Original Assignee
용마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마산업(주) filed Critical 용마산업(주)
Priority to KR2020130003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505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7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7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5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Abstract

본 고안은 안벽 또는 선박의 현측에 설치된 에어 펜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선박의 현측에 도장한 색상과 동일한 유색 고무를 더 적층 구성하여 선박의 현측 부위가 훼손되거나 벗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유색 고무의 내부면에 외피층을 구성하여 보강층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제품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에어 펜더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탄성력과 신축성이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외피층(5)과 플랜지(3)가 결합된 구성으로 잦은 접안 압력과 충격이 일어나더라도 찢어지거나 갈라지는 현상이 없으므로 플랜지(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습해 피해와 각종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에어 펜더(1)에 축광 물질로 식별띠(7)를 구성하여 야간에 계류 중인 선박이 안전하게 계류시킬 수 있도록 식별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에어 펜더{Air fender}
본 고안은 계류중인 선박의 현측(舷側)에 도장된 페인트가 훼손되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계선안(繫船岸)에 설치된 에어 펜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선박의 현측에 도장한 동일한 색상의 유색 고무를 더 구성하여 선박이 훼손되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탄력성과 신축성이 우수한 물성을 가진 흑색 고무로 제작된 외피층에 유색 고무를 함몰되게 형성하여 있으므로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에어 펜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에어 펜더는 안벽(岸壁) 또는 선박과 접할 때 선박의 접안 에너지를 흡수하여 선박 및 항만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해 안벽 또는 선박의 현측에 설치된다.
국내·외 조선소에는 신조 선박 또는 선박을 수리할 시 독에서 선박의 현측(舷側)에 페인트로 도장하고, 이 현측에 완전하게 페인트가 착색한 후 독(dock)을 열어 선박을 진수해야 하나 독의 수가 적기 때문에 착색 중간에 진수하여 안벽에 계류하여 각종 내부 작업을 수행하며, 현측의 페인트층이 안벽에 고정 설치된 검은색 고무로 제작된 에어 펜더에 의해 페인트가 벗겨지거나 묻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훼손된 부위에는 다시 도장하여 선주에게 인수함으로 추가적인 보수 비용이 매년 증가하고 있었다.
근자에는 선박의 현측에 도장된 페인트가 훼손되거나 재차 보수 작업을 하지 않도록 탄력성과 신축성을 가진 흑색 고무의 물성보다 떨어지는 유색 고무로 에어 펜더를 제작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이 에어 펜더는 도 1과 같이 흑색 고무에 비해 갈라지는 현상이 조기에 발생되고, 인장 강도, 마모성, 탄력성 등이 현저히 떨어지며, 가격 또한 비싸므로 유지 보수 비용을 증가시키고, 수명이 짧으나 대체 수단이 없기 때문에 보수 비용을 증가하더라도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유색 고무로 제작된 에어 펜더는 양단에 구성된 금속의 플랜지와 유색 고무가 접안 에너지에 의해 조기에 갈라지는 현상인 크랙(100)(Crack)이 발생되며, 유색 고무가 플랜지를 고정하지 못하고 이탈되어 각종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에어 펜더의 보강층 바로 위에 5t의 두께를 가지도록 유색 고무를 접착시켜 제작하므로 접안 압력에 의해 외면 전체가 크랙(100)이 발생되며, 이 크랙(100) 사이로 수분이 흡수되어 보강층이 훼손되므로 에어 펜더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184917 B1 2012.09.20. KR 20-1996-0006596 Y1 1996.08.03.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종래 에어 펜더의 문제점을 해소코자 개발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현재의 유색 고무로 제작되는 에어 펜더의 문제점을 완전히 없애고, 사용 수명을 연장함과 더불어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에어 펜더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장타원 형상의 몸체 양측에 플랜지를 구성하고, 외주면에 카본블랙이 함유된 흑색 고무로 제작된 외피층과 이 외피층의 내부면에 보강층이 적층 구성되며, 상기 외피층의 외주면에 선박의 색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가진 유색 고무를 더 적층 구성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플랜지와 외피층이 결합 구성되고, 플랜지와 유색 고무가 이격거리 만큼 떨어지게 외피층에 적층 구성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에어 펜더는 흑색 고무에 유색 고무를 이중으로 접착 구성하여 안벽에 계류중인 선박의 페인트 부위가 훼손 및 벗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선박의 보수 작업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더불어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에어 펜더의 양측에 결합된 플랜지가 흑색 고무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인장이 많이 받는 플랜지가 견고하게 결합 구성되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각종 안전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유색 고무가 크랙이 진행되더라도 탄력성과 신축성이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흑색 고무로 제작된 외피층이 보강층을 보호하고 있기 때문에 에어 펜더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에어 펜더에 축광 물질로 구성된 식별띠를 구성하여 야간에 안벽이나 선박에 계류할 시 안전하게 선박을 유도할 수 있고, 더불어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유색 고무로 제작된 에어 펜더에 크랙이 진행되는 것을 보인 종래도면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에어 펜더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에어 펜더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에어 펜더의 다른 실시예를 사시도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에어 펜더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에어 펜더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안벽 또는 선박의 현측에 설치되어 접안 에너지에 의해 선박이 파손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장타원 형상으로 몸체(2)를 형성하고, 이 몸체(2)의 양측으로 안벽 또는 선박 등에 고정 설치된 체결수단과 결합되는 플랜지(3)를 구성한다.
상기 몸체(2)는 내부에 공기가 저장되는 내부 공간(2a)을 형성하고, 외주면에 탄성력과 신축성이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카본블랙이 함유된 흑색 고무로 외피층(5)을 구성한다.
상기 외피층(5)의 내부면에 접안 압력으로 외피층(5)이 찢어지거나 충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보강층(4)과 내면 고무(8)를 적층 구성된 일반적인 에어 펜더(1)에 있어서,
본 고안에서는 흑색 고무로 제작된 외피층(5)의 외부면에 선박의 현측 색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가진 유색 고무(6)를 더 적층 구성한다.
상기 유색 고무(6)는 외피층(5)의 외부면 전체를 적층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인장을 많이 받는 플랜지(3)와 외피층(5)이 결합 구성되도록 하고, 플랜지(3)와 유색 고무(6)가 이격거리(W) 만큼 떨어지게 외피층(5)에 적층 구성되면, 본 고안은 완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유색 고무(6)가 외피층(5)에서 접안 압력과 외부 충격에 의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견고히 적층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도록 외피층(5)의 외주면에 홈(5a)을 형성하여 유색 고무(6)가 함몰되도록 구성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완성된다.
도 4는 외피층(5)에 적층된 유색 고무(6) 사이 또는 유색 고무(6)와 플랜지(3) 사이에 선박을 계류할 시 야간에 식별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축광 물질의 식별띠(7)를 구성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완성된다.
상기 식별띠(7)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한 개 또는 여러 개 형성할 수 있으며, 폭을 넓게 하거나 좁게 하여 구성하는 것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양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에어 펜더(1)는 안벽 또는 선박의 현측에 고정 설치된 체인, 로프 등의 체결수단을 몸체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3)와 연결 구성하여 선박을 계류할 시 선박이 훼손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에어 펜더(1)는 흑색 고무로 구성된 외피층(5)과 보강층(4)이 이중으로 적층 구성되어 유색 고무(6)가 크랙(100)이 진행되더라도 보강층(4) 및 내면 고무(8)로 외피층(5)이 수분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 외피층(5)은 사용 중에 찍히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나 물성이 우수하여 갈라지는 현상인 크랙(100)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에어 펜더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력과 신축성이 우수한 외피층(5)과 플랜지(3)가 직접적으로 결합된 구성으로 잦은 충격과 인장이 일어나더라도 찢어지거나 갈라지는 현상이 없으므로 플랜지(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습해 피해와 각종 안전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에어 펜더(1)에 축광 물질의 식별띠(7)를 구성하여 야간에 계류 중인 선박이 안전하게 안벽 또는 선박의 현측에 유도될 수 있도록 식별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관하여 설명하고 있는 바,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정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이상의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관련되는 균등수단에 대해서는 그 보호범위가 미친다고 할 것이다.
1: 에어 펜더 2: 몸체
2a: 내부 공간 3: 플랜지
4: 보강층 5: 외피층
5a: 홈 6: 유색 고무
7: 식별띠 8: 내면 고무

Claims (4)

  1. 장타원 형상의 몸체(2) 양측에 플랜지(3)를 구성하고,
    외주면에 카본블랙이 함유된 흑색 고무로 제작된 외피층(5)을 형성하고,
    상기 외피층(5)의 내부면에 보강층(4)과 내면 고무(8)로 적층 구성된 일반적인 에어 펜더(1)에 있어서,
    상기 외피층(5)의 외주면에 선박의 색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가진 유색 고무(6)를 더 적층 구성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에어 펜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3)와 외피층(5)이 결합 구성되고, 플랜지(3)와 유색 고무(6)가 이격거리(W) 만큼 떨어지게 외피층(5)에 적층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펜더.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피층(5)의 외주면에 홈(5a)을 형성하고,
    상기 홈(5a)에 유색 고무(6)를 함몰되게 적층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펜더.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색 고무(6) 사이 또는 유색 고무(6)와 플랜지(3) 사이에 축광 물질의 식별띠(7)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펜더.
KR2020130003526U 2013-05-06 2013-05-06 에어 펜더 KR200480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526U KR200480505Y1 (ko) 2013-05-06 2013-05-06 에어 펜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526U KR200480505Y1 (ko) 2013-05-06 2013-05-06 에어 펜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790U true KR20140005790U (ko) 2014-11-14
KR200480505Y1 KR200480505Y1 (ko) 2016-06-01

Family

ID=52453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526U KR200480505Y1 (ko) 2013-05-06 2013-05-06 에어 펜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50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858B1 (ko) 2019-07-04 2019-09-11 와이엠아이 주식회사 공기식 네오 방현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25977B1 (ko) 2020-09-14 2022-07-29 와이엠아이 주식회사 수중 펜더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6350A (ja) * 2005-10-17 2007-04-26 Yokohama Rubber Mbe Kk ゴム状弾性製品の被覆構造及びゴム状弾性製品の被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505Y1 (ko)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32262T3 (es) Defensa, estructura marítima, método de fabricación
KR200480505Y1 (ko) 에어 펜더
CN204185800U (zh) 复合材料桥梁防护装置
CN202557758U (zh) 一种充气橡胶护舷
CN203904823U (zh) 桥墩防撞板
KR20120007127U (ko) 폭로 갑판 맨홀용 빗물 유입방지 물막이
JP2014024530A (ja) 箱型自動車保護カバー
CN102363442A (zh) 船舶快速堵漏曲线型履带式速堵板
CN202163595U (zh) 船舶履带式速堵板手持投放器
KR200495427Y1 (ko) 선박의 초크 차수판
CN207257928U (zh) 一种新型护舷安装结构
KR200452470Y1 (ko) 해양 구조물의 모서리 보호장치
CN202163596U (zh) 船舶履带式速堵板
KR100685287B1 (ko) 수중파일 부식 방지를 위한 보수방법
CN106080977A (zh) 一种t形防护浮筒
CN205293020U (zh) 全回转拖船橡胶护舷装置
JP2001112371A (ja) フロート
CN202085590U (zh) 一种浮桶护边
CN209195179U (zh) 一种水上警示围栏结构
CN206428660U (zh) 一种防护板
CN207659772U (zh) 一种新型聚乙烯绳
KR20130000619U (ko) 선박의 도장 손상 방지용 펜더
CN101892652A (zh) 拱型反光式彩色橡胶护舷
FI128806B (fi) Menetelmä ja järjestely satamafenderin suojaamiseksi aluksen kiinnitysköysien takertumiselta
KR20170000730U (ko) 부식방지를 위한 계류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