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227B1 - 보온재 내외부 세라믹 표면처리에 의한 이중단열 공법 - Google Patents

보온재 내외부 세라믹 표면처리에 의한 이중단열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227B1
KR101473227B1 KR1020130068817A KR20130068817A KR101473227B1 KR 101473227 B1 KR101473227 B1 KR 101473227B1 KR 1020130068817 A KR1020130068817 A KR 1020130068817A KR 20130068817 A KR20130068817 A KR 20130068817A KR 101473227 B1 KR101473227 B1 KR 101473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heat insulating
coating
cer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우
Original Assignee
(주)디포유건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포유건업 filed Critical (주)디포유건업
Priority to KR1020130068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단열이 필요한 시설물(단열피착체)의 표면을 전처리하고 그 위에 내부단열용 수분산성 세라믹 도료를 코팅하여 1∼2mm 두께의 내부단열층을 형성하고 내부단열층 위에 퍼얼라이트 및 질석을 소성 팽창시켜 얻어진 기공성 분말에 세라믹 결합제를 코팅시킨 코팅 기공성 분말로 가압 형성시킨 30∼100mm 두께의 보온재를 밀착시켜 보온층을 형성시키고 그 위에 외부단열용 수분산성 세라믹도료로 1∼2mm 두께로 코팅하여 외부단열층을 형성시킨 보온재 내외부 세라믹 표면 처리에 의한 이중단열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온재 내외부 세라믹 표면처리에 의한 이중단열 공법{An engineering method of double insulation by seramic coating on the inside and outside surface of the heat insulation material}
본 발명은 열이동관 보일러, 보온조, 건조로, 열처리하우징 등과 같이 에너지 손실방지를 위해 단열이 필요한 시설에 대하여 보온재의 내외부를 수분산성 세라믹 도료로 표면 처리하는 이중단열 공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단열이 필요한 피착체에 일정한 두께로 내부 단열용 수분산성 세라믹도료로 코팅처리 한 후 보온재로서 펄라이트, 질석, 세라믹결합제로 된 혼합재질의 가압성형체를 상기 세라믹 도료층에 밀착하여 접착시키므로서 일정 두께의 보온층을 형성시키고 보온재 외면에 외부 단열용 수분산성 세라믹 도료를 필요한 두께로 도막층을 형성하므로서 단열 보온의 상승효과, 공사비의 절감 및 내구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보온재 내외부 세라믹 표면처리 이중단열 공법에 관한 것이다.
열이동관, 축열조, 열처리하우징, 보온조, 건조로, 방열차단벽 등의 열에너지 손실 방지를 위한 시설을 단열하는 종래 방법으로는 스티로폼, 폴리우레탄폼, 기타 합성수지 발포체 등의 단열재를 접착하고 비닐테이프 또는 아연도금 철판으로 마감처리하는 방법과 유리섬유, 펄라이트 또는 질석 보온재를 결합제와 함께 일정 두께로 덮은 후 아연도금철판 등으로 마감 처리하는 방법들이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합성수지발포체를 단열재로 사용할 경우는 열이동관로나 피착체의 온도가 100℃를 상회할 경우에는 단열제인 발포체의 기공이 연화되거나 용융되어 축소되므로서 단열보온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없게 되고 내구성이 떨어지므로서 보수 유지에 많은 경비가 소요되며 특히 유리섬유의 경우는 대부분의 경우에 환경적인 규제로 사용하기 곤란하며 퍼얼라이트, 마이카 등과 같은 보온제는 입자로 되어 있어 결합제와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패드 형태로 하여 권취하는 형태로 사용해야 하므로 피단열 제품의 종류에 따라 제한성이 있고 작업성이 좋지 않다.
좀 더 구체적인 종래 기술의 실시예를 알아보면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246872호)에는 "단열호스"에 관한 기술 내용이 소개되고 있다. 기술의 구성인 즉 압출되는 염화비닐수지관(11)의 외면에 일정한 두께로 감싸도록 피착되는 발포스치렌 발포층(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발포스티렌 발포층(12) 외면을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기 위해 다수의 선으로 권취되게 편직되는 편조층(13)이 결착되어 있으며 편조층(13)의 외면에 일정한 두께로 피착되는 염화비닐수지관(14)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단열호스에 관한 내용이다.
이와 같은 단열호스는 단열 작용을 하는 발포스티렌의 연화점 및 용융점이 극히 낮은 편이어서 기포들이 줄어들고 열에 의한 용융으로 용융체로 되기 쉬우므로 단열 기능이 저감되거나 상실되어 버리기 쉬우므로 본래의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다.
다른 종래 기술로서 국내등록특허공보(등록번호:1173681호)에는 "탈부착식 단열 커버"에 관한 기술 구성이 기재되어 있으며 기술 구성의 내용은 파이프 라인의 외면에 접촉되는 내피(111)와 외부로 나타나는 외피(113) 사이에 단열재(112)가 삽입되어 있고 외피의 표면에는 밴드(120)와 그램프(130)가 마련되어 있는 탈부착식 단열 커버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탈부착식 단열커버는 단열재가 글라스섬유, 세라믹섬유 등으로 이루어지고 외피 또는 내피가 유리섬유로 직조된 질물로 이루어져 있어 공해 물질로 규제 대상이 되어 있고 단위 단열 커버의 이음부 또는 체결부 등으로 공기의 유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밀폐성이 결여 되므로서 단열 보온효과가 떨어진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서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 20-0430293호)에는 "지역 난방 시스템용 냉방 보온관"에 관한 기술 내용이 게재되어 있으며 기술의 구성은 내관과 외관으로 이루어진 이중관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관과 외관 사이에 "단열재로서 우레탄폼이 충진되어 있는 냉방보온관으로 전술한 단열호스 구성과 극히 유사한 구성으로 이상과 같이 합성수지재의 내관과 합성수지재의 외관 사이에 단열재로 합성수지발포체가 삽입된 보온관 또는 단열관은 열에 취약하고 내구성이 부족한 결점이 있고 부분적인 손상이나 파손시는 부분적인 수리 작업이 곤란하고 단위 보온관 또는 단열관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열이동관 보일러, 보온조, 건조로, 열처리하우징 등과 같은 시설물에 있어서 열에너지 손실방지를 위한 이중단열 공법으로 피착체 표면에 내부단열용 수분산성 세라믹도료조성물 코팅층을 형성시키고 코팅층 위에 무기질의 기공성 보온 성형재를 밀착시켜 보온층을 형성하고 외부단열용 수분산성 세라믹도료조성물로 보온성형재의 이음부 및 표면층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마무리하므로서 탁월한 내열성과 단열 보온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동시에 방수성과 내약품성 확보에 의한 내구성의 향상, 도장에 의한 미려한 외관유지는 물론 무기질 재료에 의한 단열, 보온 공법으로 시공처리 하므로서 인체에 무해하고 원적외선 기능, 항균성까지 부여되는 보온재 내외부 세라믹 표면처리에 의한 이중단열 공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에너지 절감을 위해 단열이 필요한 시설물 표면을 전처리 한 다음 그 위에 미세 기공성 세라믹 분말로서 마이카(mica) 및 퍼얼라이트 분말,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흄드실리카, 셀루로스, 소포제, 산화티탄, 무기착색제로 조성된 내부 단열용 세라믹 도료의 분말조성물 100중량부에 40∼45중량%의 10∼20nm 크기의 콜로이드 실리카 수분산액 80∼120중량부를 첨가해서 된 내부 단열용 세라믹도료조성물을 코팅하여 내부단열층을 형성시키고 그 위에 무기질의 기공성 성형보온재를 밀착시켜 보온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견운모, 규사, 산화알루미늄, 질석, 포졸란, CSA 시멘트, 고로슬래그, 실리카흄, 퍼얼라이트, 아크릴수지, 셀루로즈, 산화티탄 및 소포제로 조성된 외부단열용 세라믹도료분말조성물 100중량부에 결합수 60∼70중량부를 첨가해서 된 외부단열용 세라믹도료조성물로 코팅처리하여 외부단열층을 형성시켜서 되는 보온재 내외부 세라믹 표면처리에 의한 이중단열 공법을 제공하므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석면, 유리섬유 등의 무기재료나 합성수지발포체와 같은 유기재료 등 공해성 재료를 사용하는 종래 단열, 보온재나 공법에 비해 본 발명 이중단열공법은 인체에 무해한 무기질의 단열 및 보온재의 사용으로 친환경적이라 할 수 있고 또한 사용되는 무기질의 단열 및 보온재에 원적외선 방사물질 및 항균성 조성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쾌적한 작업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세라믹단열층은 1000℃까지 견딜 수 있고 외부단열층은 250℃에서 300℃까지 단열층으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우수한 내열성을 가지므로서 화재 발생의 염려가 없고 고열에 의한 유해가스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 밖에도 부분적인 시공이 가능하며 단열 적용물의 모양 및 형태에 제한 받지 않아 시공이 용이하며 내열성이 우수한 단열층 및 보온층이여서 고열에 의한 손상이 거의 없고 외부단열층이 우수한 방수성, 기밀성, 내약품성을 확보하고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철거 보수시 종래의 암면, 유리섬유, 스티로폼을 비롯한 합성수지발포체와 같은 공해성 폐기물을 발생치 않는 단열공법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중단열공법으로 시공된 열이동관 사시도
본 발명 보온재 내외부 세라믹 표면처리에 의한 이중단열 공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열이 필요한 시설물 표면을 전처리하고 전처리한 표면에 미세 기공성 세라믹 분말로서 마이카(mica)분말 35∼40중량%와 기공성 퍼얼라이트분말 25∼30중량%, 산화알미늄 10∼15중량%, 산화아연 5∼15중량%, 실리카흄 10∼15중량%, 셀루로즈 0.5∼1중량%, 소포제 0.5∼1중량%, 산화티탄 1∼2중량%, 무기착색제 2∼5중량%로 조성되는 내부 단열용 세라믹분말(고형분)조성물 100중량부에 40∼45중량%의 10∼20nm 크기의 콜로이드 실리카 수분산액(바인더) 80∼120중량부를 첨가해서 된 내부단열용 세라믹도료를 코팅하여 내부 단열층을 형성시키고 그 위에 무기질의 기공성 성형보온재를 밀착시켜 보온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다시 견운모 20∼25중량%, 규사 10∼15중량%, 산화알미늄 5∼10중량%, 질석 15∼20중량%, 포졸란 5∼10중량%, CSA시멘트 5∼8중량%, 고로슬래그 10∼15중량%, 실리카흄 2∼4중량%, 퍼얼라이트 1∼2중량%, 아크릴분말수지 13∼16중량%, 셀루로즈 0.5∼1중량%, 산화티탄 1∼2중량%, 소포제 0.5∼1중량%로 조성되는 외부 단열용 세라믹도료분말(고형분) 조성물 100중량부에 결합수 60∼70중량부를 첨가해서 된 외부 단열용 세라믹도료조성물로 코팅하여 외부 단열층을 형성시켜서 되는 보온재 내외부 세라믹 표면처리에 의한 이중단열 공법이라 할 수 있다.
상기 공법에 있어서 단열이 필요한 시설물이라 함은 열이동관, 보일러, 보온조, 건조로, 열처리하우징 등과 같은 시설물을 말하는 것이고 이와 같은 시설물은 재질이 금속재질, 프라스틱재질, 내열성 무기단열재, 세라믹 재질이 될 수 있으며 전처리는 세척, 녹제거, 유분제거, 브라스팅, 손상된 표면의 제거 등 각각의 재질에 적합한 통상의 전처리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내부단열용 세라믹 도료의 조성물로 사용되는 마이카(mica)는 수화된 알미늄 규산염 광물로 2차원적인 층상구조를 가지는 층상규산염에 속한다. 조암광물 중에서 화성암, 퇴적암, 변성암의 3가지 모두에 흔하게 있다.
용도로는 다양한 산업적 용도를 가지며 특히 단열성이 뛰어나 열 또는 전기 절연재로 사용되며 분말 형태로는 도료, 벽지, 천장지, 인조석 제조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마이카(질석) 분말과 기공성 퍼얼라이트분말은 질석과 진주암을 온도 700∼900℃로 소성하여 팽창시킨 것으로 내열성이 좋고 단열재로서 우수한 기능을 가진다.
산화알미늄은 모아경도 9에 가까운 고경도의 물질로서 내마모성이 극히 우수하다. 그 밖에도 내열성 및 열차단성이 우수하며 내열성 도료에 이용되고 있는 물질이다.
산화아연은 백색안료로서 이용되고 윤활성을 가지므로서 금형의 마모확장방지제로 이용되며 그 밖에도 자외선 차단기능이 있고 접착성과 실링성을 향상시키므로서 단열 도막층의 기능을 강화시킨다.
또 실리카흄은 실리콘이나 페로실리콘 등의 규소합금을 전기 아크로에서 제조시 배출가스에 부유하여 발생한 부산물로 0.1㎛ 구형의 입자로서 단열용 세라믹 조성물에 첨가시 내부 단열층의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되며 수밀성과 내약품성이 증가된다.
셀루로즈는 안료나 본 발명에서와 같은 무기질 세라믹도료조성물인 무기질 분말들의 침강, 뭉침을 방지하여 무기질의 수성페인트에 있어서 보호 콜로이드 작용을 하게 되고 분산성 접착성을 증가시키며 막성형성을 갖게 하는 물질이다.
소포제는 도료 조성물 배합 시 발생되는 기포의 생성을 저지하므로서 단열 피착제에 코팅된 내부 단열층의 조직을 강화시키므로 도막층의 강도를 증진시킨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소포제는 비이온계면활성제, 실리콘, 고급알콜 중에서 선택 사용한다.
그 밖에 백색안료로서 이산화티탄이 사용되고 무기착색제로 금속산화물을 사용한다. 이상에서 열거한 무기물들을 피착체 위에 코팅되는 내부 단열층을 형성하는 세라믹 도료의 고형분 조성물이고 이 고형분 조성물 100중량부에 접착결합제로서 40∼45중량%의 10∼20nm 크기의 콜로이드 실리카 수분산액 80∼120중량부를 첨가해서 된 내부단열용 세라믹 도료조성물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성물로서 형성되는 내부 단열층의 형성은 콜로이드 실리카 수분산액의 접착성과 고화에 의하여 주로 달성되지만 흄드실리카의 수경화 반응과 셀루로스의 접착성 및 막형성 기능 등에 의해서도 달성된다고 할 수 있다.
내부 단열층 위에 형성되는 보온층은 퍼얼라이트 및 질석을 온도 700∼900℃에서 소성 팽창시켜 얻어진 미세 기공성 세라믹 분말 100중량부에 전술한 10∼20nm 크기의 콜로이드 실리카 수분산액으로 된 세라믹 바인더 30∼40중량부를 분사하여 미세 기공성 분말입자 표면에 코팅시켜서 된 분말을 피착제의 형상에 따라 일정 두께로 프레스 성형한 성형체(평판형상, 관상 형상, 기타 피착체의 형상에 따른 형상)를 밀착시켜서 된 보온층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보온층은 상기 콜로이드실리카 수분산액 대신에 소디움 또는 포타시움실리카 20wt%의 수용액을 30∼40중량부를 사용하여 퍼얼라이트 및 질석분말 100중량부에 스프레이 코팅시켜서 된 분말을 단열 피착체의 모양에 따라 성형시킨 성형체를 밀착성형 시켜서 된 보온층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코팅 방법은 퍼얼라이트 및 질석분말을 수직으로 낙하시키는 과정에서 실리케이트 수용액을 미세입자로 분사시켜서 된 분말을 금형으로 성형하여 보온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실리케이트 수용액이 퍼얼라이트 및 질석분말 표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면에 코팅되는 상태에서 보온층을 성형하는 경우 성형압과 실리케이트 수용액의 농도와 사용량이 매우 중요하다. 성형압이 커지거나 실리케이트 수용액을 많이 사용하면 퍼얼라이트 및 질석의 기공이 막히거나 줄어들고 분말 입자간의 간극이 줄어들어 단열성이 떨어지고 성형압이 지나치게 낮아지거나 실리케이트 양이 줄어들면 보온층의 강도가 떨어진다. 실리케이트의 농도가 높아지면 미세입자로 분사하기가 어려워지고 수용액의 농도가 희석되면 결합력이 부족하여 보온층의 강도가 떨어진다. 여기에서 금형의 성형압은 2∼5kg/cm2 범위가 적합하다.
그리고 외부 단열층 조성물로 사용된 견운모(sericite)는 특성이나 성분이 백운모와 일라이트 중간에 있는 광물로서 단열성과 원적외선 방사효율이 우수하며 항균성을 지니는 광물이다.
포졸란은 고 실리카질을 함유하고 있는 화산회, 규산질 백토류, 화산암의 풍화분해물, 규조토의 천연물을 들 수 있고 인공부산물로는 플라이애쉬를 사용하며 이는 그 자체로는 경화하는 성질을 지니지 않으나 물의 존재로 시멘트가 수화할 때 다량으로 생성되는 수산화 석회와 서서히 화합(포졸란 반응)해서 불용성으로 하여 수경성을 지닌 화합물을 생성하는 실리카질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무기물로서 여기서 물의 존재로 수산화석회와 화합해서 경화하여 외부 단열층의 강도를 증진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고로슬래그는 급냉한 급냉수재 즉 급냉으로 잠재수경성을 지닌 슬래그를 사용하며 그 자체로는 수경성이 없으나 이것에 어떤 자극제가 가해지면 수경성을 발휘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자극제에는 Ca(OH)2, 알카리, 황산칼슘 등이라 할 수 있다. 성분으로서는 철광석의 성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SiO2 30∼35wt%, CaO 37∼43wt%, Al2O3 14∼19wt%, MgO 3∼5wt%, 나머지가 Fe2O3, FeO, TiO2, MnO, SO3, S로 소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고로슬래그의 주성분은 시멘트의 성분과 유사하여 잠재수경성을 가지는 성분들로 구성되어 있어 시멘트에 첨가시 원가 절감을 크게 기대할 수 있고 내수성 강도 증진에도 도움이 된다.
CAS 시멘트는 기능상으로는 팽창성 시멘트로 분류되나 팽창제를 사용한 시멘트와는 구분되는 팽창성 시멘트라 할 수 있으며 경화 후 적당히 팽창하므로서 수축 왜곡을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할 수 있고 단열성을 높일 수 있는 시멘트라 할 수 있다.
아크릴 분말수지는 외부단열층의 접착에 의한 결합력 보강과 방수성 및 기밀성을 확보하므로서 단열성의 향상과 충격흡수성을 증진시킨다.
또한 산화티탄은 아나타제형의 산화티탄으로 백색안료로 사용되고 있으나 아나타제형 산화티탄은 포름알데히드, 암모니아 등 유기질의 가스나 물질을 분해하는 기능을 가지므로서 공기정화 기능도 동시에 갖게 된다.
이상에서 내부 단열층이나 외부 단열층의 두께는 1∼2mm 범위로 코팅하며 보온재의 경우는 30mm∼50mm 범위가 기본적인 것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두께 범위라 할 수 있다. 초고온을 차단하는 경우에는 100mm 두께까지의 성형보온재를 사용한다.
내부단열층은 일반적으로 2회에 걸쳐 코팅하고 1차 코팅 후 10∼12시간 경과 후 2차 코팅을 실시하고 그 위에 보온재를 밀착하여 접착시키고 표면층과 이음부에 외부단열층을 코팅하게 된다.
이상의 공법에 의해서 시공한 단열 피착체의 일예를 도 1로 나타내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호 (1)은 열이동금속관, (2)는 내부단열층, (3)은 보온재, (4)는 외부단열층이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보다 명확하게 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아래와 같이 실시예를 들기로 한다.
실시예(1)
기공성 마이카분말 35중량%, 기공성퍼얼라이트분말 30중량%, 산화알미늄 12중량%, 산화아연 6중량%, 실리카흄 12중량%, 셀루로즈 1중량%, 소포제 1중량%, 산화티탄 1중량%, 무기착색제 2중량%로 조성된 내부 단열용 세라믹분말조성물 100중량부에 세라믹 바인더 100중량부를 첨가해서 교반기(1500RPM)로 10분간 교반하여 내부 단열용 세라믹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300mm×300mm×2mm의 철재 판재에 1mm 두께로 코팅한 시험용 시료판을 얻었다. 이 내부 단열층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기능성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한 결과 아래 표1과 같은 시험결과를 얻었다.
Figure 112013501745145-pat00004
실시예(2)
내부단열층 위에 접착 적층되는 보온재를 얻기 위한 실시예로서 소성 팽창시킨 펄라이트 분말과 질석분말을 같은 중량비율로 배합한 미세 진공 세라믹 분말 100중량부에 40중량부의 콜로이드실리카수분산액(세라믹바인더)을 분사하여 기공성 미세분말에 코팅된 상태로 하여 3kg/cm2 프레스 성형으로 500mm×500mm×50mm의 평판형 보온재를 얻었다.
상기 보온재의 밀도와 전도율을 측정한 결과 밀도 473.1kg/m2이고, 전도율 0.16W/mk로 측정되었다.
실시예(3)
견운모 22중량%, 규사 12중량%, 산화알미늄 6중량%, 질석 16중량%, 포졸란(화산회) 6중량%, CSA시멘트 7중량%, 고로슬래그 10중량%, 실리카흄 3중량%, 퍼얼라이트 1중량%, 아크릴분말수지 14중량%, 셀루로즈 1중량%, 산화티탄 1중량%, 소포제 1중량%로 조성되는 외부단열용 세라믹분말(고형분) 100중량부에 결합수 65중량부를 첨가해서 1500RPM 교반기로 10분간 교반하여 외부 단열용 세라믹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300mm×300mm×2mm의 철재 판재에 1.5mm 두께로 코팅한 시험용 시료판을 제작하였다.
상기 외부단열용 세라믹코팅층의 물리적, 화학적 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항목에 따른 시험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아래 표2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Figure 112013501745145-pat00005
이상의 시험결과에서 본 발명 2중단열층의 내부단열층이나 외부단열층의 물성이 품질기준을 상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2중단열층은 무기질로 되어 있어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열에 의한 유해가스가 발생되지 않고 원적외선 방사기능 및 항균기능까지 구비하고 있어 친환경적이라 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방수성, 기밀성, 내약품성 등을 구비하고 있어 내구성을 크게 기대할 수 있는 세라믹 표면처리에 의한 이중단열 공법이라 할 수 있다.
1 : 열이동관 2 : 내부단열층
3 : 보온재 4 : 외부단열층

Claims (7)

  1. 전처리한 피착체 표면에 기공성마이카분말 35-40중량%, 기공성퍼얼라이트 25-30중량%, 산화알미늄 10-15중량%, 산화아연 5-15중량%, 실리카흄 10-15중량%, 셀루로즈 0.5-1중량%, 소포제 0.5-1중량%, 산화티탄 1-2중량%, 무기착색제 2-5중량%로 조성되는 내부단열용 세라믹분말조성물 100중량부에 10~20㎚ 크기의 콜로이드 실리카 40-45중량%의 수분산액 80~120중량부를 첨가해서 된 내부단열용 세라믹도료를 코팅하여 단열층을 형성하는 1단계공정
    내부단열층 위에 기공성성형체를 밀착시켜 보온층을 형성하는 2단계공정
    상기 보온층위에 견운모 20-25중량%, 규사 10-15중량%, 산화알미늄 5-10중량%, 질석 15-20중량%, 포졸란 5-10중량%, CSA시멘트 5-8중량%, 고로슬래그 10-15중량%, 실리카흄 2-4중량%, 퍼얼라이트 1-2중량%, 아크릴분말수지 13-16중량%, 셀루로즈 0.5-1중량%, 산화티탄1-2중량%, 소포제 0.5-1중량%로 조성되는 외부단열용 세라믹도료분말조성물 100중량부에 결합수 60-70 중량부를 첨가해서된 외부단열용 세라믹도료를 코팅하여 1~2㎚ 두게의 외부 단열층을 형성하는 3단계 공정으로 구성되는 보온재내외부 세라믹 표면처리에 의한 이중단열공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보온층인 기공성 성형체는 퍼얼라이트 및 질석을 700-900℃에서 소성 팽창시켜 분쇄한 100중량부의 미세기공성세라믹분말표면에 10~20㎚ 크기의 수분산액 30~40중량부를 코팅해서된 코팅기공성 세라믹분말 입자를 피착체의 형상에 따라 2-5kg/㎠의 압력으로 프레스성형한 기공성 성형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재 내외부 세라믹 표면처리에 의한 이중단열 공법
  5. 삭제
  6.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보온층인 기공성성형체는 퍼얼라이트 및 질석을 700~900℃에서 소성 팽창시켜 분쇄한 100중량부의 미세 기공성 세라믹 분말 표면에 소디움 또는 포타시움 실리케이트 20wt%의 수용액 30~40중량부를 코팅해서 된 코팅 기공성세락믹분말 입자를 피착체의 형상에 따라 2-5kgf/㎠의 압력으로 프레스성형한 기공성 성형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재 내외부 세라믹 표면 처리에 의한 이중단열 공법
  7. 삭제
KR1020130068817A 2013-06-17 2013-06-17 보온재 내외부 세라믹 표면처리에 의한 이중단열 공법 KR101473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817A KR101473227B1 (ko) 2013-06-17 2013-06-17 보온재 내외부 세라믹 표면처리에 의한 이중단열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817A KR101473227B1 (ko) 2013-06-17 2013-06-17 보온재 내외부 세라믹 표면처리에 의한 이중단열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3227B1 true KR101473227B1 (ko) 2014-12-24

Family

ID=52679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817A KR101473227B1 (ko) 2013-06-17 2013-06-17 보온재 내외부 세라믹 표면처리에 의한 이중단열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22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050B1 (ko) * 2016-10-14 2017-11-20 주식회사 성현케미칼 중공단면용 내화충전재
KR20200014962A (ko) * 2018-08-02 2020-02-12 고석순 효율이 향상된 orc 발전시스템
KR20200022573A (ko) * 2018-08-23 2020-03-04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파이프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KR102251580B1 (ko) * 2020-08-14 2021-05-13 최상호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20038935A (ko) * 2020-09-21 2022-03-29 주식회사 씨앤에스시스템즈 반도체 장비의 냉각라인에 사용되는 벨로우즈형 배관
KR20220087755A (ko) * 2020-12-18 2022-06-27 최우준 배관 단열 방법 및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6758A (ja) * 2002-09-30 2004-04-15 Makoto Nishizawa 配管などの断熱カバー
JP2004144147A (ja) * 2002-10-22 2004-05-20 Makoto Nishizawa 配管用断熱カバー及びその製法
KR101142035B1 (ko) * 2012-03-20 2012-05-14 한국휴로드 (주) 구조물 표면을 수분산성 세라믹도료로 표면처리하는 방법
KR101174309B1 (ko) * 2011-11-16 2012-08-16 신이피엔씨 주식회사 나노세라믹 코팅층을 갖는 단열 다층 보온관, 그 단열 다층 보온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6758A (ja) * 2002-09-30 2004-04-15 Makoto Nishizawa 配管などの断熱カバー
JP2004144147A (ja) * 2002-10-22 2004-05-20 Makoto Nishizawa 配管用断熱カバー及びその製法
KR101174309B1 (ko) * 2011-11-16 2012-08-16 신이피엔씨 주식회사 나노세라믹 코팅층을 갖는 단열 다층 보온관, 그 단열 다층 보온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142035B1 (ko) * 2012-03-20 2012-05-14 한국휴로드 (주) 구조물 표면을 수분산성 세라믹도료로 표면처리하는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050B1 (ko) * 2016-10-14 2017-11-20 주식회사 성현케미칼 중공단면용 내화충전재
KR20200014962A (ko) * 2018-08-02 2020-02-12 고석순 효율이 향상된 orc 발전시스템
KR102087018B1 (ko) * 2018-08-02 2020-03-10 고석순 효율이 향상된 orc 발전시스템
KR20200022573A (ko) * 2018-08-23 2020-03-04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파이프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KR102197060B1 (ko) * 2018-08-23 2020-12-30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파이프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KR102251580B1 (ko) * 2020-08-14 2021-05-13 최상호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20038935A (ko) * 2020-09-21 2022-03-29 주식회사 씨앤에스시스템즈 반도체 장비의 냉각라인에 사용되는 벨로우즈형 배관
KR102551336B1 (ko) * 2020-09-21 2023-07-05 주식회사 씨앤에스시스템즈 반도체 장비의 냉각라인에 사용되는 벨로우즈형 배관
KR20220087755A (ko) * 2020-12-18 2022-06-27 최우준 배관 단열 방법 및 구조
KR102517693B1 (ko) * 2020-12-18 2023-04-03 최우준 배관 단열 방법 및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227B1 (ko) 보온재 내외부 세라믹 표면처리에 의한 이중단열 공법
EP2807130B1 (en) Fire protection mortar
KR101561206B1 (ko) 단열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단열재
CN101870574B (zh) 负离子彩色饰面外墙保温材料
CN102060559A (zh) 一种吸声陶瓷及其生产方法
KR101865877B1 (ko) 플라이애시, 바텀애시 및 폐유리분말을 이용한 경량 발포 성형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82442A (ko) 초경량 시멘트 단열재의 제조방법
KR101779565B1 (ko) 레미콘용 친환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CN107586102A (zh) 一种花岗岩废石粉泡沫陶瓷及其制备方法
KR101789052B1 (ko) 맥반석을 함유하는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축자재 및 상기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보수보강 방법
US20130260043A1 (en) Method of coating a geopolymer onto an article
CN107619224A (zh) 一种抗裂保温的再生骨料砂浆及其制备方法
KR100926180B1 (ko) 건축용 보드의 제조방법
KR20100090844A (ko) 도시 쓰레기 소각재인 소각비산재와 바닥재를 혼합한 무기바인더의 제조 방법
CN103979860A (zh) 一种防水轻质隔墙板及其制作方法
CN104482204A (zh) 一种利用废旧原料制备的陶瓷密封圈
CN104446608A (zh) 一种抗菌高强度加气砖及其制备方法
CN102030549B (zh) 一种复合隧道防火板的制造方法
CN104193240B (zh) 一种抗裂耐腐蚀加气砖及其制备方法
KR101110267B1 (ko) 단열성 수성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CN103992082B (zh) 一种耐热隔音加气砖及其制备方法
KR20140052698A (ko) 친환경 수용성 실리콘-아크릴계 바름재 조성물.
KR101145871B1 (ko) 뿜칠용 단열 내화 모르타르
KR101922432B1 (ko) 슬래그 혼합 시멘트계 단열재의 제조방법
KR101858477B1 (ko) 친환경 건축물 내외장용 블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블록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