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580B1 -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580B1
KR102251580B1 KR1020200102237A KR20200102237A KR102251580B1 KR 102251580 B1 KR102251580 B1 KR 102251580B1 KR 1020200102237 A KR1020200102237 A KR 1020200102237A KR 20200102237 A KR20200102237 A KR 20200102237A KR 102251580 B1 KR102251580 B1 KR 102251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ucer
pipe
diameter
heating element
diamet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호
Original Assignee
최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호 filed Critical 최상호
Priority to KR1020200102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 F16L13/0254Welded joints the pipes having an internal or external coating
    • F16L13/0272Welded joints the pipes having an internal or external coating having an external co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4Arrangements using dry fillers, e.g. using slag wool which is added to the object to be insulated by pouring, spreading, spraying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외경이 상이한 이중 보온관 접속부위에 원통형 레듀사를 전기 융착으로 접합시켜 기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는
이경관으로 형성되어 접속되는 금속재 내관을 감싸도록 외측으로 형성되는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에 적용되고,
임의의 제1직경을 갖는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에 열확관으로 연장형성되어 임의의 제2직경을 갖는 대경부를 포함하고,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는 중앙절개부가 형성되는 PE재의 관상체 형태의 레듀사;
상기 소경부의 입구측 내측면에 압착되는 원형띠 형태의 제1발열체와, 상기 대경부의 입구측 내측면에 압착되는 원형띠 형태의 제2발열체와, 상기 제1,2발열체를 통전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상기 레듀사의 중앙 절개부 내측면에 압착되는 연결부와, 전원 인가용 단자를 포함하는 발열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a reducer of pre-insulated pipe connection and connection method}
본 명세서는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경이 상이한 이중 보온관 접속부위에 원통형 레듀사를 전기 융착으로 접합시켜 기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이중 보온관은 규격화된 길이로 생산되어지며, 실제 현장에서는 단위길이의 이중 보온관을 연결하여 배관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중 보온관은 그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서로 연결(접속)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현재 이중 보온관의 접속을 위하여 사용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열수축재를 이용한 열수축 방식과, 전기융착슬리브를 이용한 전기융착 방식이 사용된다.
전술한 열수축재를 이용한 열수축 방식은 내관을 접속하고, 각 배관에서 외관의 표면에 열수축재를 감싼 후 열수축재와 접착재를 토오치에 의해 외관의 표면에 열수축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배관의 접속방법은 이중관 특유의 구조로 인하여, 외관과 내관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부에 의하여 완전한 부착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속성을 향상시키도록 외관의 표면과 열수축재 사이에 마스터 테이프 같은 접착시트를 삽입한 후에 토오치로 가열하여 열수축 시키는데, 이러한 접착시트의 재질이 외관 및 열수축재와 상이하여 접속부위가 서로 벌어져 유체가 누설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수축재를 토오치로 녹여 붙이는 과정에서 열수축 압착의 균일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중 보온관의 레듀사 연결부분을 유지 보수시 외관 만을 제거하고 다시 시공할 경우에, 제한된 공간에서 작업으로 인해 많은 작업시간이 요구되고 정밀한 시공은 어렵게 된다.
또한, 분기 이음관의 보온을 위한 레듀사의 외관 형성시 현장에서 제작, PE용접 등이 요구되므로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고, 작업자의 숙련정도에 따라 차이가 발생되어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38758호에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이 등록공고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외경이 상이한 이중 보온관 접속부위에 원통형 레듀사를 전기 융착으로 접합시킴에 따라 외부로부터 이물질(유체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중 보온관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과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원통형태의 레듀사를 외관의 외측면에 쉽게 압착시킬 수 있어 이중 보온관들을 서로 기밀상태로 연결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과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협소한 시공현장에서 종래 방식의 PE용접 및 PE레듀사 시트의 제작과정을 없애 작업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한,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과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경관으로 형성되어 접속되는 금속재 내관을 감싸도록 외측으로 형성되는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에 적용되고,
임의의 제1직경을 갖는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에 열확관으로 연장형성되어 임의의 제2직경을 갖는 대경부를 포함하고,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는 중앙절개부가 형성되는 PE재의 관상체 형태의 레듀사;
상기 소경부의 입구측 내측면에 압착되는 원형띠 형태의 제1발열체와, 상기 대경부의 입구측 내측면에 압착되는 원형띠 형태의 제2발열체와, 상기 제1,2발열체를 통전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상기 레듀사의 중앙 절개부 내측면에 압착되는 연결부와, 전원 인가용 단자를 포함하는 발열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를 제공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경관으로 형성되어 접속되는 금속재 내관을 감싸도록 외측으로 형성되는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제1직경을 갖는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에 열확관으로 연장시켜 임의의 제2직경을 갖는 대경부를 갖는 PE관을 레듀사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레듀사 중앙부를 길이방향으로 절개시키는 단계;
상기 소경부의 내경과 대응하는 원형띠 형태의 제1발열체와, 상기 대경부의 내경과 대응하는 원형띠 형태의 제2발열체와, 상기 제1,2발열체를 통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와, 전원 인가용 단자를 갖도록 발열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열체를 상기 레듀사의 내측면 소정위치에 압착시켜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전원 인가용 단자에 전원을 인가시켜 상기 이중 보온관을 감싸는 상기 레듀사의 소경부, 대경부 및 중앙절개부를 융착시켜 고정하는 단계;
상기 레듀사 일측에 보온재 투입공을 천공하여 상기 내관의 접속부 외측으로 상기 이중 보온관의 접속부에 보온재를 발포시켜 충진하는 단계;
상기 보온재 투입공에 플러그를 결합시켜 폐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외경이 상이한 이중 보온관 접속부위에 원통형 레듀사를 전기 융착으로 접합시키고 발포용 보온재를 충진시킴에 따라, 레듀사 및 분기이음관 등의 보온을 유지하고, 이중 보온관 보온부위를 통해 외부로부터 물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중 보온관의 접속부위 기밀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신뢰성을 갖게 된다.
또한, 원통형태의 레듀사를 외관의 외측면에 쉽게 압착시킬 수 있어 이중 보온관들을 서로 기밀상태로 연결하는 작업시간 단축으로 인해 인건비용을 절감하고 작업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협소한 시공현장에서 종래 방식의 PE용접 및 PE레듀사 시트의 제작과정을 없애 작업공정 단순화로 인해 시공부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a,b)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 및 발열체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듀사에 발열체를 고정시킨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레듀사를 이용하여 이중 보온관을 감싸 고정시킨 도면,
도 4(a,b)는 도 1에 도시된 레듀사를 이중 보온관에 융착시킬 경우 레듀사의 중앙절개부를 밀착지지하는 안쪽 지지대 및 바깥쪽 고정대의 개략도,
도 5(a,b,c)는 도 1에 도시된 레듀사를 이용하여 이중 보온관을 접속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레듀사를 이용하여 이중 보온관을 접속시키는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b)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는
이경관으로 형성되어 서로 맞닿아 접속되며, 보온이 요구되는 유체(지역난방에서 사용되는 임의온도의 온수를 말함)가 이송되는 내관(금속관)을 감싸도록 외측으로 형성되는 이중 보온관(내관을 따라 이송되는 유체의 보온을 위해 사용) 접속용 레듀사에 적용되고,
임의의 제1직경을 갖는 소경부(10)와, 소경부(10)에 열확관으로 연장형성되어 임의의 제2직경을 갖는 대경부(11)를 포함하고,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는 중앙절개부(13)가 형성되는 PE재의 관상체 형태의 레듀사(12);
소경부(10)의 입구측 내측면에 압착되는 원형띠 형태의 제1발열체(14)와, 대경부(11)의 입구측 내측면에 압착되는 원형띠 형태의 제2발열체(15)와, 제1,2발열체(14,15)를 통전가능하게 연결시키고 레듀사(12)의 중앙절개부(13) 내측면에 압착되는 연결부(16)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인가용 단자(17)를 포함하는 발열체(1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발열체(18)는 통상적으로 금속재, 즉 구리재, 구리합금재, 또는 스테인레스스틸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a,b)에서와 같이, 전술한 레듀사(12)를 임의거리 이격되는 이경관의 이중 보온관(19)에 발열체(18)에 의해 융착고정시킬 경우, 소경부(10) 및 대경부(11)로 이루어진 레듀사(12)의 길이방향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레듀사(12)의 중앙절개부(13) 안쪽면을 밀착지지하는 안쪽 지지대(20);
레듀사(12)를 임의거리 이격되는 이중 보온관(19)에 발열체(18)에 의해 융착고정시킬 경우, 소경부(10) 및 대경부(11)로 이루어진 레듀사(12)의 길이방향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레듀사(12)의 중앙절개부(13) 바깥쪽면을 밀착지지하는 바깥쪽 고정대(21);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전술한 이중 보온관(19), 레듀사(12), 안쪽 지지대(20)는 동일한 PE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a,b)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이경관으로 형성되어 서로 맞닿아 접속되며, 보온이 요구되는 유체(지역난방에서 사용되는 임의온도의 온수를 말함)가 이송되는 내관(금속관)을 감싸도록 외측으로 형성되는 이중 보온관(내관을 따라 이송되는 유체의 보온을 위해 사용) 접속용 레듀사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제1직경을 갖는 소경부(10)와, 소경부(10)에 열확관으로 연장시켜 임의의 제2직경을 갖는 대경부(11)를 갖도록 PE관을 레듀사(12)형태로 형성하되, PE재의 관상체 형태의 레듀사(12) 중앙부를 길이방향으로 절개시키는 단계(S10);
소경부(10)의 내경과 대응하는 원형띠 형태의 제1발열체(14)와, 대경부(11)의 내경과 대응하는 원형띠 형태의 제2발열체(15)와, 제1,2발열체(14,15)를 통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16)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인가용 단자(17)를 갖도록 발열체(18)를 형성하는 단계(S20);
발열체(18)를 레듀사(12)의 내측면 소정위치에 압착시켜 고정하는 단계(S30);
전원 인가용 단자(17)에 전원을 인가시켜 이경관의 이중 보온관(19)(PE관)을 감싸는 레듀사(12)의 소경부(10), 대경부(11) 및 중앙절개부(13)를 융착시켜 고정하는 단계(S40);
레듀사(12) 일측에 보온재 투입공(23)을 천공하여 내관(22)의 접속부 외측으로 이중 보온관(19)의 접속부에 보온재(24)를 발포시켜 충진하는 단계(S50);
보온재 투입공(23)에 플러그(미 도시됨)를 결합시켜 폐쇄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전술한 레듀사(12) 내부에 보온재(24)를 발포시킬 경우 내관(22) 표면의 온도 영향을 받지않도록 함에 따라, 보온재 투입공(23)을 통해 발포되는 보온재(24)가 균일한 밀도를 유지하여 경화될 수 있도록 레듀사(12), 이중 보온관(19), 분기이음관(25), 내관(22) 외측면에 단열 페인트 도포, 또는 단열재를 형성하는 단계(S4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레듀사(12)는 이중 보온관(19)에 대해 90각도를 유지하는 엘보우형태의 PE관의 분기이음관(25)이 이음연결되는 경우(도 5(a,b,c) 참조), 또는 이중 보온관(19)에 대해 PE관의 분기이음관(25)이 45각도를 유지하여 이음연결되는 경우(도 6 참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a), 도 2, 도 7의 S10에서와 같이, 임의의 제1직경을 갖는 소경부(10)와, 소경부(10)에 열확관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시켜 임의의 제2직경을 갖는 대경부(11)를 포함하는 PE재질의 레듀사(12)(reducer) 형태로 형성하되, 레듀사(12)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는 중앙절개부(13)를 형성한다.
전술한 레듀사(12)의 소경부(10)와 대경부(11)는 이경관으로 형성되어 맞대어 접속되는 금속재의 내관(22)을 감싸는 이경관으로 이루어진 이중 보온관(19) 외측면을 감싸도록 이중 보온관(19)의 소경부 및 대경부(도면부호 미 표기)의 외경보다 큰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1(b), 도 2, 도 7의 S20에서와 같이, 전술한 소경부(10)의 내경과 대응하는 원형띠 형태의 제1발열체(14)와, 대경부(11)의 내경과 대응하는 원형띠 형태의 제2발열체(15)와, 제1,2발열체(14,15)를 통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16)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인가용 단자(17)를 포함하는 발열체(18)를 형성한다.
도 2 및 도 7의 S30에서와 같이, 전술한 제1,2발열체(14,15) 및 연결부(16)를 포함하는 발열체(18)를 레듀사(12)의 소경부(10) 및 대경부(11)의 내측면 소정위치에 압착시켜 고정한다.
이때, 발열체(18)를 타커 침, 고정핀 등을 이용하여 레듀사(12) 임의위치에 고정시키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7의 S40에서와 같이, 전술한 전원 인가용 단자(17)를 통해 발열체(18)에 전원을 인가시켜 이경관으로 이루어진 이중 보온관(19)(PE관)을 감싸는 레듀사(12)의 소경부(10), 대경부(11) 및 중앙절개부(13)를 융착시켜 고정한다.
즉, 발열체(18) 주변의 레듀사(12)의 소경부(10), 대경부(11) 및 중앙절개부(13)를 용융시키게 되고, 전원 인가용 단자(17)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경우 레듀사(12)의 융착부위가 냉각되면서 레듀사(12)와 동일재로 형성된 이중 보온관(19)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이중 보온관(19)의 접속부위를 기밀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레듀사(12)를 임의거리 이격되는 이경관의 이중 보온관(19)에 발열체(18)에 의해 융착고정시킬 경우, 레듀사(12)의 중앙절개부(13) 안쪽면을 밀착지지하는 안쪽 지지대(20)와, 중앙절개부(13) 바깥쪽면을 밀착지지하는 바깥쪽 고정대(21)에 의해 이중 보온관(19)에 레듀사(12)의 밀착력을 증대시킴에 따라 접속부위의 기밀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전기융착기(미 도시됨)를 사용하여 전원 인가용 단자(17)을 통해 발열체(18)에 전원을 인가시킴에 따라 용융되는 PE재의 레듀사(12)를 이중 보온관(19) 외측면에 전기 융착고정시키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의 S50에서와 같이, 전술한 레듀사(12) 일측에 보온재 투입공(23)을 천공하여 내관(22)의 접속부 외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이중 보온관(19)의 접속부에 보온재(24)를 발포시켜 충진한다.
이때, 전술한 보온재 투입공(23)을 통해 보온재(24)를 레듀사(12) 내부에 발포시키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c), 도 7의 S45에서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보온재 투입공(23)을 통해 레듀사(12) 내부에 보온재(24)를 발포시킬 경우, 발포되는 보온재(24)가 균일한 밀도를 유지하여 경화될 수 있도록 레듀사(12), 이중 보온관(19), 분기이음관(25), 내관(22) 외측면에 단열 페인트를 도포, 또는 단열재를 형성할 수 있다.
S60에서와 같이, 전술한 레듀사(12)의 보온재 투입공(23)에 플러그(미 도시됨)를 결합(플로깅)시켜 폐쇄시킴에 따라, 이경관으로 이루어지고 접합된 내관(22)을 감싸는 이경관으로 이루어진 이중 보온관(19)의 접속부를 레듀사(12)를 전기융착시켜 접합시키는 작업이 종료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소경부
11; 대경부
12; 레듀사
13; 중앙절개부
14; 제1발열체
15; 제2발열체
16; 연결부
17; 전원 인가용 단자
18; 발열체
19; 이중 보온관
20; 안쪽 지지대
21; 바깥쪽 고정대
22; 내관
23; 보온재 투입공
24; 보온재
25; 분기이음관

Claims (5)

  1. 이경관으로 형성되어 접속되는 금속재 내관을 감싸도록 외측으로 형성되는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에 적용되고,
    임의의 제1직경을 갖는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에 열확관으로 연장형성되어 임의의 제2직경을 갖는 대경부를 포함하고,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는 중앙절개부가 형성되는 PE재의 관상체 형태의 레듀사;
    상기 소경부의 입구측 내측면에 압착되는 원형띠 형태의 제1발열체와, 상기 대경부의 입구측 내측면에 압착되는 원형띠 형태의 제2발열체와, 상기 제1,2발열체를 통전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상기 레듀사의 중앙 절개부 내측면에 압착되는 연결부와, 전원 인가용 단자를 포함하는 발열체;
    상기 레듀사를 임의거리 이격되는 상기 이중 보온관에 상기 발열체에 의해 융착고정시킬 경우, 상기 소경부 및 대경부로 이루어진 상기 레듀사의 길이방향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듀사의 중앙절개부 안쪽면을 밀착지지하는 안쪽 지지대;
    상기 레듀사를 임의거리 이격되는 상기 이중 보온관에 상기 발열체에 의해 융착고정시킬 경우, 상기 소경부 및 대경부로 이루어진 상기 레듀사의 길이방향의단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듀사의 중앙절개부 바깥쪽면을 밀착지지하는 바깥쪽 고정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
  2. 삭제
  3. 이경관으로 형성되어 접속되는 금속재 내관을 감싸도록 외측으로 형성되는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제1직경을 갖는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에 열확관으로 연장시켜 임의의 제2직경을 갖는 대경부를 갖는 PE재의 레듀사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레듀사 중앙부를 길이방향으로 절개시키는 단계;
    상기 소경부의 내경과 대응하는 원형띠 형태의 제1발열체와, 상기 대경부의 내경과 대응하는 원형띠 형태의 제2발열체와, 상기 제1,2발열체를 통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와, 전원 인가용 단자를 갖도록 발열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열체를 상기 레듀사의 내측면 소정위치에 압착시켜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전원 인가용 단자에 전원을 인가시켜 상기 이중 보온관을 감싸는 상기 레듀사의 소경부, 대경부 및 중앙절개부를 융착시켜 고정하는 단계;
    보온재 투입공을 통해 발포되는 보온재가 균일한 밀도를 유지하여 경화될 수 있도록 상기 레듀사, 이중 보온관, 분기이음관, 내관 외측면에 단열 페인트 도포, 또는 단열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레듀사 일측에 보온재 투입공을 천공하여 상기 내관의 접속부 외측으로 상기 이중 보온관의 접속부에 보온재를 발포시켜 충진하는 단계;
    상기 보온재 투입공에 플러그를 결합시켜 폐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레듀사는 상기 이중 보온관에 대해 90각도를 유지하는 엘보우형태의 PE관의 분기이음관이 이음연결되는 경우, 또는 상기 이중 보온관에 대해 PE관의 분기이음관이 45각도를 유지하여 이음연결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를 이용한 시공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200102237A 2020-08-14 2020-08-14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251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237A KR102251580B1 (ko) 2020-08-14 2020-08-14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237A KR102251580B1 (ko) 2020-08-14 2020-08-14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580B1 true KR102251580B1 (ko) 2021-05-13

Family

ID=75913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237A KR102251580B1 (ko) 2020-08-14 2020-08-14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5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5645A (ko) * 2009-12-28 2011-07-06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과 이를 갖는 이중 보온관 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KR101382415B1 (ko) * 2013-02-28 2014-04-10 주식회사 목산인터트레이드 관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1473227B1 (ko) * 2013-06-17 2014-12-24 (주)디포유건업 보온재 내외부 세라믹 표면처리에 의한 이중단열 공법
JP7033062B2 (ja) * 2015-10-23 2022-03-09 アポジェニックス アーゲー 一本鎖cd137受容体アゴニストタンパク質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5645A (ko) * 2009-12-28 2011-07-06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과 이를 갖는 이중 보온관 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KR101382415B1 (ko) * 2013-02-28 2014-04-10 주식회사 목산인터트레이드 관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1473227B1 (ko) * 2013-06-17 2014-12-24 (주)디포유건업 보온재 내외부 세라믹 표면처리에 의한 이중단열 공법
JP7033062B2 (ja) * 2015-10-23 2022-03-09 アポジェニックス アーゲー 一本鎖cd137受容体アゴニストタンパク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8368A (en) Plastic pipe joint
JP2687994B2 (ja) フィッティング及びフィッティングを用いる管継ぎ目
KR101187761B1 (ko) 파이프 연결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방법
KR101123245B1 (ko)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과 이를 갖는 이중 보온관 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KR20090130562A (ko) 합성수지관용 전기융착이음관
KR101737346B1 (ko)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 그 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연결방법
KR102251580B1 (ko)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39205B1 (ko) 열배관망의 이중보온관 이음부 연결 시공방법
KR101975142B1 (ko)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과 이를 갖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NO840899L (no) Gjenisolering av roerskjoeter
KR101123247B1 (ko)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KR101655315B1 (ko) 이중보온관용 열수축관 우레탄 폼 발포 홈 마개, 그 홈 마개의 제조방법, 및 그 발포 홈 마개의 설치방법
KR101382415B1 (ko) 관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0829532B1 (ko) 전기융착을 이용한 다중배관 접속구조 및 시공방법
EP2580511B1 (en) Shrink sleeve for joining insulated pipes
RU2267687C1 (ru) Термоусаживающаяся муфта
KR101123246B1 (ko) 이중 보온관 연결용 플러그와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KR20200049077A (ko) 파이프의 전기융착이음관
KR101198682B1 (ko) 가요성을 갖는 현장제작용 이중보온관 엘보우 시공방법 및 그 방법으로 시공된 이중보온관 엘보우
KR200387864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CN218378268U (zh) 一种管道接头补口装置及管道系统
CN218378269U (zh) 克拉管管道连接结构
KR101044931B1 (ko) 수밀용 열수추관 연결방법
CN220540570U (zh) 一种耐高温hdpe管
KR200402687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