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142B1 -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과 이를 갖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과 이를 갖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142B1
KR101975142B1 KR1020180006976A KR20180006976A KR101975142B1 KR 101975142 B1 KR101975142 B1 KR 101975142B1 KR 1020180006976 A KR1020180006976 A KR 1020180006976A KR 20180006976 A KR20180006976 A KR 20180006976A KR 101975142 B1 KR101975142 B1 KR 101975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support member
pipe
tube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탁
Original Assignee
박인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탁 filed Critical 박인탁
Priority to KR1020180006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 F16L59/18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adapted for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은, 내관과 내관의 외부를 감싸는 외관 및 내관과 외관의 사이에 개재되는 보온재를 포함하는 이중 보온관의 내관이 외부로 드러난 관 연결부를 감싸는 연결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를 감싼 연결 시트를 지지하기 위해 연결 시트의 내면과 접하는 접촉 지지부를 갖는 지지부재와, 내관의 외주면에 접하는 스페이서 접촉부를 구비하고 내관과 지지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스페이서와, 적어도 일부분이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 좌측에 배치되는 보온재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의 일단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앵커와, 적어도 일부분이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 우측에 배치되는 보온재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의 타단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앵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과 이를 갖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SUPPORT UNIT FOR CONNECTING PRE-INSULATED PIPE, DEVICE FOR CONNECTING PRE-INSULATED PIPE HAVING THE SAME AND CONNECTION METHOD FOR PRE-INSULATED PIPE USING IT}
본 발명은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 보온관의 연결에 사용되는 연결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과 이를 갖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서는 다양한 용도의 다양한 유체가 공급되어 사용되며, 이러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하여 배관이 이용된다.
배관의 종류 및 형상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다양하며, 이중 내관, 외관 및 내관과 외관 사이에 보온재가 충전된 관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내관-보온재-외관으로 이루어진 관은 다중배관 또는 이중 보온관 등의 명칭으로 불리운다(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이중 보온관'으로 통일하여 호칭한다). 이러한 이중 보온관은 냉/난방배관, 온천수 이송관, 초저온 냉매 배관, 스팀배관, 소방배관 또는 극저온 액체 이송관 등으로 활용된다.
이중 보온관은 규격화된 길이로 생산되며, 실제 현장에서는 단위 길이의 이중 보온관을 연결하여 배관 작업을 수행한다. 이중 보온관은 그 구조적 특이성으로 인하여 서로 연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중 보온관의 연결을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으로 금속 케이스인 슬리브를 이용하는 연결방법과, 열수축재를 이용하는 연결방법이 있다.
금속 케이스를 이용하는 연결방법은 금속재의 슬리브와 조인트 체결구 등을 이용하여 이중 보온관을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연결방법은 구조적으로 부식에 약할 뿐 아니라 외부의 충격과 진동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열수축재를 이용하는 배관의 연결방법은 내관을 먼저 용접 결합하고, 각 배관에서 외관의 표면을 열수축재로 감싼 후 열수축재와 접착재를 토오치 불꽃에 의하여 외관의 표면에 녹여서 부착시켜 배관을 연결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연결방법 이외에, 전기융착 시트를 이용하는 연결방법이 있다. 전기융착 시트를 이용하는 연결방법은, 먼저 내관을 용접하고, 발열체가 내장된 판상의 전기융착 시트를 외관의 외주면에 감싼 후, 전기융착 시트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기융착 시트를 외관에 융착시킴으로서 이중 보온관들을 연결하는 방법이다.
상술한 열수축재나 전기융착 시트 등의 연결 시트를 이용하는 이중 보온관의 연결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이중 보온관의 연결 부위에는 연결 시트에 의해 둘러싸이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두 외관의 외주면을 연결 시트로 감싸는 과정에서 연결 시트의 양쪽 끝단이 접합되는 접합 부위에 하중을 가하면 연결 시트가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결 시트에 의해 마련되는 연결부 공간에 연결 시트의 이음매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지지 구조물은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가 용이하고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에서 연결 시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과 이를 갖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은, 내관, 상기 내관의 외부를 감싸는 외관 및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의 사이에 개재되는 보온재를 포함하는 이중 보온관의 상기 내관이 외부로 드러난 관 연결부를 감싸는 연결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에 있어서, 상기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를 감싼 상기 연결 시트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 시트의 내면과 접하는 접촉 지지부를 갖는 지지부재;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접하는 스페이서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관과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스페이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 좌측에 배치되는 보온재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앵커;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 우측에 배치되는 보온재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앵커;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앵커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앵커 바디 결합부와, 상기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 좌측에 배치되는 보온재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앵커 바디 결합부의 일단에 외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제1 앵커 바디 팁부를 갖는 제1 앵커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앵커는,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앵커 바디 결합부와, 상기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 우측에 배치되는 보온재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앵커 바디 결합부의 일단에 외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제2 앵커 바디 팁부를 갖는 제2 앵커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앵커는, 상기 제1 앵커 바디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 앵커 바디 팁부가 상기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 좌측에 배치되는 보온재 속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앵커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앵커는, 상기 제2 앵커 바디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2 앵커 바디 팁부가 상기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 우측에 배치되는 보온재 속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앵커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접촉 지지부가 구비되는 지지부재 바디와, 나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 바디의 일단 측에 상기 지지부재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과, 나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 바디의 타단 측에 상기 지지부재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앵커는 상기 제1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나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앵커 바디 결합부의 중간에 마련되는 제1 앵커 관통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앵커는 상기 제2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나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앵커 바디 결합부의 중간에 마련되는 제2 앵커 관통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 바디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지지부재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상기 제1 앵커의 양측부 및 상기 제2 앵커의 양측부에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접촉 지지부가 구비되는 지지부재 바디와, 나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 바디의 중간에 마련되는 지지부재 스페이서 결합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지지부재 스페이서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나사가 결합되는 스페이서 관통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페이서 바디와, 상기 내관에 접촉하는 스페이서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서 바디의 일단에 상기 스페이서 바디보다 큰 폭으로 구비되는 스페이서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접촉부는 상기 내관의 외면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는, 내관, 상기 내관의 외부를 감싸는 외관 및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의 사이에 개재되는 보온재를 포함하는 이중 보온관의 상기 내관이 외부로 드러난 관 연결부를 감싸는 연결 시트; 상기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를 감싼 상기 연결 시트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 시트의 내면과 접하는 접촉 지지부를 갖는 지지부재;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접하는 스페이서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관과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스페이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 좌측에 배치되는 보온재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앵커;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 우측에 배치되는 보온재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앵커; 상기 연결 시트로 둘러싸인 상기 이중 보온관의 내관과 상기 연결 시트 사이의 공간에 충전되는 보온 물질; 및 상기 보온 물질의 주입을 위해 상기 연결 시트에 마련되는 연결 시트 주입구멍을 막는 마개;를 포함한다.
상기 마개는, 상기 연결 시트 주입구멍을 덮도록 상기 연결 시트 주입구멍보다 넓은 넓이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 시트의 외면에 융착되는 융착부재와, 상기 연결 시트 주입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 시트 주입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막도록 상기 융착부재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삽입부재와, 상기 융착부재와 상기 삽입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금속의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시트는 상기 이중 보온관의 외관에 접촉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 시트 관통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는, 상기 연결 시트의 연결 시트 주입구멍에 결합되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연결 시트 주입구멍 속에 삽입되는 플러그 바디와, 상기 연결 시트 주입구멍보다 넓은 넓이로 상기 플러그 바디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 시트의 외면에 접하고 중간에 플러그 관통구멍이 형성된 플러그 헤드와, 상기 연결 시트 주입구멍을 통해 상기 관 연결부의 내관과 상기 연결 시트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 시트의 내면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 바디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러그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 바디가 상기 연결 시트 주입구멍에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 헤드에서 상기 플러그 바디에 걸쳐 연장되는 플러그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바디는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은, 내관, 상기 내관의 외부를 감싸는 외관 및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의 사이에 개재되는 보온재를 포함하는 이중 보온관을 연결하기 위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에 있어서, (a) 연결 시트와, 상기 연결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와, 상기 내관과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스페이서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앵커와,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앵커와, 발포성 보온 물질과, 플러그 관통구멍을 갖는 플러그와, 마개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이중 보온관의 상기 내관이 외부로 드러난 관 연결부의 좌측에 배치되는 보온재 속으로 상기 제1 앵커의 적어도 일부분을 삽입하여 상기 제1 앵커를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관 연결부의 우측에 배치되는 보온재 속으로 상기 제2 앵커의 적어도 일부분을 삽입하여 상기 제2 앵커를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스페이서를 상기 관 연결부의 내관에 접촉시켜 상기 스페이서로 상기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단계; (c) 상기 연결 시트의 양쪽 단부가 맞닿는 이음매 부분이 상기 지지부재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 시트를 상기 외관에 결합하여 상기 연결 시트로 상기 관 연결부를 감싸는 단계; (d) 상기 연결 시트에 마련되는 연결 시트 주입구멍을 통해 상기 연결 시트로 둘러싸인 상기 내관과 상기 연결 시트 사이의 공간에 상기 발포성 보온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 (e) 상기 연결 시트 주입구멍에 상기 플러그를 결합하고, 상기 플러그의 플러그 관통구멍을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면서 상기 발포성 보온 물질을 팽창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연결 시트 주입구멍에서 상기 플러그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거하고, 상기 연결 시트 주입구멍을 상기 마개로 막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마개는, 상기 연결 시트 주입구멍을 덮도록 상기 연결 시트 주입구멍보다 넓은 넓이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 시트의 외면에 융착되는 융착부재와, 상기 연결 시트 주입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 시트 주입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막도록 상기 융착부재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삽입부재와, 상기 융착부재와 상기 삽입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금속의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마개에 고주파를 가하여 상기 보강부재에서 발생하는 열로 상기 융착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용융시켜 상기 융착부재를 상기 연결 시트에 융착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시트는 상기 이중 보온관의 외관에 접촉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 시트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연결 시트와 상기 이중 보온관의 접합부에 열을 가하여 상기 연결 시트 또는 상기 이중 보온관의 외관을 부분적으로 용융시켜 상기 연결 시트의 용융물 또는 상기 외관의 용융물을 상기 연결 시트 관통구멍 속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는 두 개의 이중 보온관을 각각의 끝단이 상호 맞닿도록 새로 연결하는 작업이나, 수리/보수 등의 이유로 외관과 보온재가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내관이 외부로 드러난 이중 보온관을 재연결하는 작업에 사용되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는 이중 보온관의 내관이 외부로 드러난 관 연결부를 감싸는 연결 시트를 지지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의 설치가 용이하여 이중 보온관의 연결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는 이중 보온관을 감싸는 연결 시트를 지지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이 단순한 구조로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므로,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에 상대적으로 많은 보온 물질을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에서 단열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이중 보온관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의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의 마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의 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이중 보온관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100)는 이중 보온관(1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 시트(110)와,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120)과, 보온 물질(160)과, 플러그(170)와, 마개(18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이중 보온관(10)은 내관(12)과, 내관(12)의 외부를 감싸는 외관(11) 및 내관(12)과 외관(11)의 사이에 개재되는 보온재(13)를 포함한다. 이중 보온관(10)을 구성하는 내관(11)으로는 각종 금속관 또는 플라스틱관이 이용될 수 있고, 외관(12)으로는 플라스틱관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보온재(13)로는 폴리우레탄 폼, 실리카, 펄라이트, 유리면, 암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100)는 두 개의 이중 보온관(10)을 각각의 끝단이 상호 맞닿도록 연결하는 작업이나, 수리/보수 등의 이유로 외관(11)과 보온재(13)를 부분적으로 제거한 이중 보온관(10)을 재연결하는 작업에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100)는 이중 보온관(10)의 내관(12)이 외부로 드러난 관 연결부(20)에 결합되어 이중 보온관(10)을 연결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100)가 두 개의 이중 보온관(10)을 각각의 내관(12)이 서로 맞닿도록 새로 연결하는 연결 작업에 이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연결 시트(110)는 이중 보온관(10)의 내관(12)이 외부로 드러난 관 연결부(20)를 감싼다. 연결 시트(110)는 관 연결부(20)의 좌우 양측의 외관(11)에 융착된다. 연결 시트(110)는 외관(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말린 후 양쪽 단부가 서로 접합됨으로써 이중 보온관(10)의 관 연결부(20)를 감쌀 수 있다. 연결 시트(110)로는 잘 알려진 것과 같은 열수축 시트나 전기융착 시트 또는 관상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연결 시트(110)에는 복수 개의 연결 시트 관통구멍(112)이 구비된다. 복수 개의 연결 시트 관통구멍(112)은 연결 시트(110)가 이중 보온관(10)의 관 연결부(20)를 감쌀 때 관 연결부(20)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외관(11)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연결 시트(110)의 양측부에 배치된다. 연결 시트(110)를 이중 보온관(10)의 외관(11)에 융착시키는 과정에서 연결 시트(110) 또는 외관(11)이 부분적으로 용융된다. 이때, 작업자는 연결 시트(110)의 용융물(m) 또는 외관(11)의 용융물(m)이 연결 시트 관통구멍(112) 속으로 유입되는 상태를 보고 연결 시트(110)의 융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120)은 연결 시트(1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1)와, 이중 보온관(10)의 내관(12)에 접하여 지지부재(121)를 지지하는 스페이서(133)와, 이중 보온관(10)의 보온재(13)에 결합되어 지지부재(121)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제1 앵커(140) 및 제2 앵커(15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21)는 지지부재 바디(122)와, 지지부재 바디(12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 리브(125)를 포함한다. 지지부재 바디(122)는 이중 보온관(10)의 관 연결부(20)를 감싼 연결 시트(110)를 지지하기 위해 연결 시트(110)의 내면과 접하는 접촉 지지부(123)를 갖는다. 이때, 접촉 지지부(123)는 이중 보온관(10)의 관 연결부(20)를 감싼 연결 시트(110)의 양쪽 단부가 맞닿는 이음매 부분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지지부재(121)는 관 연결부(20)에 배치되는 내관(12)의 길이 또는 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면에는 지지부재(121)가 이중 보온관(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지지부재(121)는 외관(11)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로 굽은 접촉 지지부(123)를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재 리브(125)는 지지부재 바디(12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지지부재 바디(12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다. 한 쌍의 지지부재 리브(125)는 제1 앵커(140) 및 제2 앵커(150)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들 한 쌍의 지지부재 리브(125)는 지지부재(121)에 결합되는 제1 앵커(140)의 양측부 및 제2 앵커(150)의 양측부에 각각 접촉하여 제1 앵커(140) 및 제2 앵커(150)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제1 앵커(140) 및 제2 앵커(150)가 지지부재(121)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지지부재 바디(122)에는 복수 개의 제1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127)과, 복수 개의 제2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128)이 마련된다. 복수 개의 제1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127)은 지지부재 바디(122)의 일단 측에 지지부재 바디(122)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복수 개의 제2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128)은 지지부재 바디(122)의 타단 측에 지지부재 바디(122)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1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127)에는 제1 앵커(140)를 지지부재(121)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159)가 결합되고, 제2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128)에는 제2 앵커(150)를 지지부재(121)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159)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 바디(122)에는 지지부재 스페이서 결합구멍(131)이 형성된 복수 개의 지지부재 보스(130)가 구비된다. 지지부재 보스(130)는 지지부재 바디(122)로부터 돌출되며 제1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127)과 제2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128)의 사이에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된다. 지지부재 스페이서 결합구멍(131)에는 스페이서(133)를 지지부재(121)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159)가 결합될 수 있다.
스페이서(133)는 지지부재 바디(122)의 중간에 결합되어 지지부재(121)와 내관(12)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지지부재(121)를 지지한다. 스페이서(133)는 지지부재(1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페이서 바디(134)와, 내관(12)에 접촉하도록 스페이서 바디(134)의 일단에 구비되는 스페이서 베이스(135)를 포함한다. 스페이서 바디(134)는 내부가 빈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페이서 바디(134)를 중공형 구조로 하면,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120)을 이중 보온관(10)의 관 연결부(20)에 설치하고 관 연결부(20)에 보온 물질(160)을 주입할 때, 보온 물질(160)이 스페이서 바디(134)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관 연결부(20)에 보다 많은 보온 물질(160)이 주입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관 연결부(20)에서의 단열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스페이서 베이스(135)는 스페이서 바디(134)보다 큰 폭으로 이루어지고, 내관(12)에 접촉하는 스페이서 접촉부(136)를 갖는다. 스페이서 접촉부(136)는 내관(12)의 외주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내관(12)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페이서 바디(134)에는 나사(159)가 결합되는 스페이서 관통구멍(137)이 구비된다. 이러한 스페이서(133)는 나사(159)에 의해 지지부재(121)에 결합된다. 즉, 나사(159)가 지지부재(121)의 지지부재 스페이서 결합구멍(131)에 삽입되어 스페이서(133)의 스페이서 관통구멍(137)에 결합됨으로써 스페이서(133)가 지지부재(121)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스페이서(133)는 지지부재(121)의 지지부재 보스(130) 접하여 지지부재 바디(12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스페이서(133)는 내관(12)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온도에 영향을 덜 받도록 플라스틱 등 열전달계수가 낮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앵커(140)는 이중 보온관(10)의 보온재(1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121)의 일단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앵커(140)는 적어도 일부분이 보온재(13)에 삽입되는 제1 앵커 바디(141)와, 제1 앵커 바디(14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제1 앵커 리브(146)를 포함한다. 제1 앵커 바디(141)는 지지부재(121)의 일단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앵커 바디 결합부(142)와, 제1 앵커 바디 결합부(142)의 일단에 외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제1 앵커 바디 팁부(144)를 포함한다.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120)이 이중 보온관(10)의 관 연결부(20)에 설치될 때, 제1 앵커 바디 팁부(144)는 적어도 일부분이 이중 보온관(10)의 관 연결부(20) 좌측에 배치되는 보온재(13) 속으로 삽입된 상태로 지지부재(121)와 결합됨으로써, 지지부재(121)의 일단을 움직이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제1 앵커 리브(146)는 제1 앵커 바디(14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제1 앵커 바디(141)가 보온재(13) 속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다. 제1 앵커 리브(146)는 제1 앵커 바디(141)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앵커 바디(141)가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120)의 보온재(13)에 삽입될 때 제1 앵커 리브(146)는 제1 앵커 바디(141)의 변형을 막고, 제1 앵커 바디(141)가 원활하게 보온재(13) 속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제1 앵커 리브(146)는 제1 앵커 바디(141)의 양측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앵커 바디(141)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앵커 리브(146)는 제1 앵커 바디 결합부(142)의 양측에 한 쌍이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이들 한 쌍의 제1 앵커 리브(146) 중간에 또 하나가 제1 앵커 바디 결합부(142)에서 제1 앵커 바디 팁부(144)의 끝단까지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앵커 바디(141)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1 앵커 리브(146)는 제1 앵커 바디 결합부(142)의 양측에 한 쌍이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앵커 리브(146)의 개수나 배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앵커(140)는 나사(159)에 의해 지지부재(121)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1 앵커 바디(141)의 제1 앵커 바디 결합부(142)에는 나사(159)가 결합되는 제1 앵커 관통구멍(147)이 구비된다. 나사(159)가 지지부재(121)의 제1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127)에 삽입되어 제1 앵커 바디(141)의 제1 앵커 관통구멍(147)에 결합됨으로써 제1 앵커(140)가 지지부재(121)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앵커(140)는 그 양측부가 한 쌍의 지지부재 리브(125)에 각각 접촉함으로써 지지부재(121) 상에서 뒤틀리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21)에는 복수 개의 제1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127)이 마련되므로, 제1 앵커(140)가 보온재(13)에 삽입되는 깊이 등에 따라 복수 개의 제1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127) 중에서 적절한 제1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127)에 나사(159)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지지부재(121) 상에서 제1 앵커(140)의 결합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2 앵커(150)는 이중 보온관(10)의 보온재(1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121)의 타단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앵커(150)는 적어도 일부분이 보온재(13)에 삽입되는 제2 앵커 바디(151)와, 제2 앵커 바디(15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제2 앵커 리브(156)를 포함한다. 제2 앵커 바디(151)는 지지부재(121)의 타단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앵커 바디 결합부(152)와, 제2 앵커 바디 결합부(152)의 일단에 외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제2 앵커 바디 팁부(154)를 포함한다.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120)이 이중 보온관(10)의 관 연결부(20)에 설치될 때, 제2 앵커 바디 팁부(154)는 적어도 일부분이 이중 보온관(10)의 관 연결부(20) 우측에 배치되는 보온재(13) 속으로 삽입된 상태로 지지부재(121)와 결합됨으로써, 지지부재(121)의 타단을 움직이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제2 앵커 리브(156)는 제2 앵커 바디(15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제2 앵커 바디(151)가 보온재(13) 속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다. 제2 앵커 리브(156)는 제2 앵커 바디(151)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앵커 바디(151)가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120)의 보온재(13)에 삽입될 때 제2 앵커 리브(156)는 제2 앵커 바디(151)의 변형을 막고, 제2 앵커 바디(151)가 원활하게 보온재(13) 속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제2 앵커 리브(156)는 제2 앵커 바디(151)의 양측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앵커 바디(151)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2 앵커 리브(156)는 제2 앵커 바디 결합부(152)의 양측에 한 쌍이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이들 한 쌍의 제2 앵커 리브(156) 중간에 또 하나가 제2 앵커 바디 결합부(152)에서 제2 앵커 바디 팁부(154)의 끝단까지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앵커 바디(151)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앵커 리브(156)는 제2 앵커 바디 결합부(152)의 양측에 한 쌍이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앵커 리브(156)의 개수나 배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2 앵커(150)는 나사(159)에 의해 지지부재(121)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2 앵커 바디(151)의 제2 앵커 바디 결합부(152)에는 나사(159)가 결합되는 제2 앵커 관통구멍(157)이 구비된다. 나사(159)가 지지부재(121)의 제2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128)에 삽입되어 제2 앵커 바디(151)의 제2 앵커 관통구멍(157)에 결합됨으로써 제2 앵커(150)가 지지부재(121)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앵커(150)는 그 양측부가 한 쌍의 지지부재 리브(125)에 각각 접촉함으로써 지지부재(121) 상에서 뒤틀리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21)에는 복수 개의 제2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128)이 마련되므로, 제2 앵커(150)가 보온재(13)에 삽입되는 깊이 등에 따라 복수 개의 제2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128) 중에서 적절한 제2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128)에 나사(159)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지지부재(121) 상에서 제2 앵커(150)의 결합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120)을 구성하는 지지부재(121)와, 스페이서(133), 제1 앵커(140)나 제2 앵커(150)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페이서(133)와 제1 앵커(140) 및 제2 앵커(150)는 도시된 것과 같이 나사(159)를 통해 지지부재(1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 이외에,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지지부재(121)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지지부재(121)에 결합되는 스페이서(133)의 개수는 복수 개가 될 수 있고, 스페이서(133)는 지지부재(12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온 물질(160; 도 8 참조)은 연결 시트(110)로 둘러싸이는 이중 보온관(10)의 관 연결부(20)의 내관(12)과 연결 시트(110) 사이의 공간에 충전되어 이중 보온관(10)의 보온재(13) 역할을 한다. 보온 물질(160)로는 폴리우레탄 폼 등 폼 형태로 이루어져 부피가 팽창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발포성 수지, 또는 다른 다양한 보온성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플러그(170)는 연결 시트(110)의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에 결합된다. 플러그(170)는 연결 시트(110)로 둘러싸이는 관 연결부(20)의 내관(12)과 연결 시트(110) 사이의 공간에 충전되는 보온 물질(160)이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되, 관 연결부(20)의 내관(12)과 연결 시트(110) 사이의 공간에 있는 공기는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플러그(170)는, 연결 시트(110)의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 속에 삽입되는 플러그 바디(171)와,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보다 큰 넓이로 플러그 바디(171)의 일단에 배치되는 플러그 헤드(172)와, 플러그 바디(171)의 타단 측에 플러그 바디(171)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플러그 걸림부(173)와, 플러그 걸림부(173)에서 플러그 바디(171)의 타단으로 가면서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플러그 축소부(174)를 포함한다. 플러그 바디(171)는 속이 빈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러그 바디(171)를 이러한 중공형 구조로 하면, 플러그 헤드(172)를 타격하여 플러그 헤드(172)를 플러그 바디(171)로부터 분리하기 유리하다. 플러그 헤드(172)의 중간에는 플러그 관통구멍(175)이 마련된다. 플러그(170)가 연결 시트(110)의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에 결합될 때, 관 연결부(20)의 내관(12)과 연결 시트(110) 사이의 공간에 있는 공기가 플러그 관통구멍(17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플러그(170)에는 플러그 슬릿(176)이 구비된다. 플러그 슬릿(176)은 플러그 바디(171)가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에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 방향으로 플러그 헤드(172)에서 플러그 바디(171)에 걸쳐 형성된다. 플러그 슬릿(176)으로 인해 플러그 바디(171)는 폭이 좁아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즉, 플러그 바디(171)가 외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외력을 받을 때, 플러그 바디(171)는 그 폭이 축소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면에는 플러그(170)에 두 개의 플러그 슬릿(176)이 구비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플러그 슬릿(176)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플러그(170)는 관 연결부(20)의 내관(12)과 연결 시트(110) 사이의 공간에 보온 물질(160)이 주입된 후, 연결 시트(110)의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에 결합되어 보온 물질(160)이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게 한다. 플러그(170)가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에 결합될 때, 플러그 축소부(174) 및 플러그 걸림부(173)는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을 통과하여 관 연결부(20)의 내관(12)과 연결 시트(110)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이때, 플러그 걸림부(173)가 연결 시트(110)의 내면에 접하고, 플러그 바디(171)는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 속에 위치하며, 플러그 헤드(172)는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의 외측에서 연결 시트(110)의 외면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170)는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플러그 걸림부(173)의 폭은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보다 크나, 플러그 축소부(174)가 먼저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 속으로 진입하면서 플러그 바디(171)의 폭이 축소됨으로써 플러그 걸림부(173)가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을 통과할 수 있다.
플러그(17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에 결합되어 연결 시트(110) 내측 공간에서 보온 물질(160)이 배출되지 못하게 막으면서 공기는 배출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마개(180)는 연결 시트(110)에 결합되어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을 막는 역할을 한다. 마개(180)는, 연결 시트(110)의 외면에 융착되는 융착부재(181)와, 융착부재(18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삽입부재(184)와, 융착부재(181)와 삽입부재(184)의 사이에 배치되는 금속의 보강부재(186)를 포함한다. 융착부재(181)는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보다 넓은 넓이로 이루어지는 융착부재 바디(182)와, 융착부재 바디(182)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융착부재 돌기(183)를 포함한다. 융착부재(181)는 연결 시트(110)에 융착될 수 있도록 연결 시트(110)와 같은 재질 또는 다양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삽입부재(184)는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과 대략 유사한 크기, 또는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다. 삽입부재(184)는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에 삽입됨으로써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의 적어도 일부를 막을 수 있다. 삽입부재(184)의 중앙에는 삽입부재 관통구멍(185)이 구비된다. 삽입부재(184)는 삽입부재 관통구멍(185)에 융착부재 돌기(183)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융착부재(181)와 결합된다. 보강부재(186)는 메시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 보강부재 결합구멍(187)이 구비된다. 보강부재 결합구멍(187)에 융착부재 돌기(183)가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마개(180)는 보강부재 결합구멍(187)에 융착부재 돌기(183)가 삽입되도록 보강부재(186)가 융착부재(181)에 가결합된 상태에서 삽입부재(184)가 융착부재 돌기(183)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손쉽게 조립될 수 있다. 보강부재(186)는 안정적으로 융착부재 바디(182)와 삽입부재(184) 사이에 개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마개(18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연결 시트(110)에 결합되어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을 막을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100)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중 보온관(10)의 내관(12)이 외부로 드러난 관 연결부(20)에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120)을 설치한다. 두 개의 이중 보온관(10)을 새롭게 연결하는 경우, 각 이중 보온관(10)의 내관(12)은 용접이나 융착 등 내관(12)의 재질에 따른 적절한 방법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120)의 설치 시, 먼저,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120)의 제1 앵커(140)의 적어도 일부분을 관 연결부(20)의 좌측에 배치되는 보온재(13)에 삽입하고, 제2 앵커(150)의 적어도 일부분을 관 연결부(20)의 우측에 배치되는 보온재(13)에 삽입한다. 이때, 제1 앵커(140)의 제1 앵커 바디 팁부(144) 끝단을 보온재(13)에 대고 제1 앵커(140)를 가압함으로써, 제1 앵커(140)의 제1 앵커 바디 팁부(144)를 어렵지 않게 보온재(13) 속으로 박아 넣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앵커(150)의 제2 앵커 바디 팁부(154) 끝단을 보온재(13)에 대고 제2 앵커(150)를 가압함으로써, 제2 앵커(150)의 제2 앵커 바디 팁부(154)를 어렵지 않게 보온재(13) 속으로 박아 넣을 수 있다.
이후,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나사(159)를 이용하여 제1 앵커(140)를 스페이서(133)가 결합된 지지부재(121)의 일단 측에 결합하고, 나사(159)를 이용하여 제2 앵커(150)를 지지부재(121)의 타단 측에 결합한다. 이때, 스페이서(133)의 스페이서 접촉부(136)가 내관(12)에 접하면서 스페이서(133)가 지지부재(121)를 내관(12) 측으로 밀리지 않고 지지한다. 이와 함께, 제1 앵커(140) 및 제2 앵커(150)가 지지부재(121)의 양쪽 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지지부재(121)가 관 연결부(20) 중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연결 시트(110)를 두 외관(11)의 둘레에 감아 두 이중 보온관(10)의 관 연결부(20)를 연결 시트(110)로 덮는다. 이때, 연결 시트(110)를 외관(11)을 감싸도록 말되 연결 시트(110)의 두 끝단이 만나는 부분이 지지부재(121)의 접촉 지지부(123) 위에 위치되도록 한다. 연결 시트(110)의 내면을 외관(11)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연결 시트(110)를 외관(11)에 감은 후, 연결 시트(110)와 외관(11)의 접합 부위에 열을 가하여 연결 시트(110) 또는 외관(11)을 부분적으로 용융시킴으로써 연결 시트(110)를 외관(11)에 단단히 접합할 수 있다. 연결 시트(110)를 접합할 때,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120)이 연결 시트(110)의 두 끝단이 만나는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는 역할을 함으로써, 연결 시트(110)의 끝단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연결 시트(110)가 내관(12) 쪽으로 함몰되는 등 연결 시트(110)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 시트(110)가 외관(11)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다.
연결 시트(110)의 접합 과정에서, 작업자는 연결 시트(11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연결 시트 관통구멍(112)으로 연결 시트(110) 또는 외관(11)의 용융물(m)이 유입되는 상태를 통해 연결 시트(110)의 융착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외관(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 시트 관통구멍(112)에 모두 용융물(m)이 유입되는 경우, 연결 시트(110)가 전체적으로 원활하게 외관(11)에 접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복수 개의 연결 시트 관통구멍(112) 중에 용융물(m)이 유입되지 않은 연결 시트 관통구멍(112)이 존재하는 경우, 작업자는 용융물(m)이 유입되지 않은 연결 시트 관통구멍(112) 주위의 접합력이 약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부위에 다시 열을 가하여 연결 시트(110)를 견고하게 외관(11)에 융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온 물질 주입기(30)를 이용하여 연결 시트(11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 시트 관통구멍(112)을 통해 관 연결부(20)의 내관(12)과 연결 시트(110) 사이의 공간에 발포성 보온 물질(160)을 주입한다. 발포성 보온 물질(160)로는 폴리우레탄 폼 등 폼 형태로 이루어져 부피가 팽창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발포성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연결 시트 관통구멍(112)은 연결 시트(110)가 외관(11)에 접합된 후 연결 시트(110)의 적절한 위치에 형성되거나, 연결 시트(110)가 외관(11)에 접합되기 전에 형성될 수 있다.
관 연결부(20)의 내관(12)과 연결 시트(110) 사이의 공간에 적정량의 발포성 보온 물질(160)을 주입한 후,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연결 시트 관통구멍(112)에 플러그(170)를 결합한다. 플러그(170)는 시트 관통구멍(112)에 결합됨으로써, 연결 시트 관통구멍(112)을 통한 발포성 보온 물질(160)의 누출을 막는다. 플러그(170)는 플러그 바디(171)가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 속에 삽입된 상태로 플러그 걸림부(173)가 외관(11)의 내면에 접하고 플러그 헤드(172)가 외관(11)의 외면에 접함으로써,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보온 물질(160)이 팽창하는 과정에서, 관 연결부(20)의 내관(12)과 연결 시트(110) 사이의 공간에 있는 공기는 플러그(170)의 플러그 관통구멍(175)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고 보온 물질(160)은 플러그(170)에 막혀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므로, 보온 물질(160)은 관 연결부(20)의 내관(12)과 연결 시트(110) 사이의 공간에 균일하게 충전될 수 있다.
발포성 보온 물질(160)이 팽창하여 관 연결부(20)의 내관(12)과 연결 시트(110)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충전한 후, 플러그(170)의 적어도 일부분을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에서 제거한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을 마개(180)로 덮어 밀폐한다.
플러그(170)는 플러그 걸림부(173)가 외관(11)의 내면에 걸려 있으므로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에서 쉽게 제거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시트(110)의 외부로 드러난 플러그 헤드(172)를 타격함으로써 플러그 헤드(172)를 포함한 플러그(170)의 일부분을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에서 어렵지 않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플러그 바디(171)의 일부분과, 플러그 걸림부(173) 및 플러그 축소부(174)가 연결 시트(110)에서 제거되지 않더라도 마개(180)가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을 덮을 수 있다. 이때, 마개(180)의 삽입부재(184)가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에 삽입되고, 융착부재(181)가 연결 시트(110)의 외면에 융착되어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을 완전히 밀폐할 수 있다.
마개(180)는 다양한 접합 방법으로 연결 시트(110)에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과 같이, 고주파 융착기(40)를 이용하여 연결 시트(110)에 융착할 수 있다. 즉, 마개(180)가 연결 시트 주입구멍(111)을 덮은 상태에서 고주파 융착기(40)로 마개(180)에 고주파를 가하면, 금속의 보강부재(186)에서 발생하는 열로 융착부재(181) 및 삽입부재(184), 그리고 연결 시트(110)가 부분적으로 용융됨으로써 마개(180)가 연결 시트(110)에 견고하게 융착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100)는 두 개의 이중 보온관(10)을 각각의 끝단이 상호 맞닿도록 새로 연결하는 작업이나, 수리/보수 등의 이유로 외관(11)과 보온재(13)가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내관(12)이 외부로 드러난 이중 보온관(10)을 재연결하는 작업에 사용되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100)는 이중 보온관(10)의 관 연결부(20)를 감싸는 연결 시트(110)를 지지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120)의 설치가 용이하여 이중 보온관의 연결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100)는 이중 보온관(10)을 감싸는 연결 시트(110)를 지지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120)이 단순한 구조로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므로, 이중 보온관(10)의 관 연결부(20)에 상대적으로 많은 보온 물질(160)을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보온관(10)의 관 연결부(20)에서 단열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의 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에 나타낸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220)은 연결 시트(1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21)와, 이중 보온관(10)의 내관(12)에 접하여 지지부재(121)를 지지하는 스페이서(233)와, 이중 보온관(10)의 보온재(13)에 결합되어 지지부재(221)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한 쌍의 앵커(140, 150; 도 2 참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220)은 앞서 설명한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120)과 비교하여 지지부재(221) 및 스페이서(233)의 구조가 다소 변형된 것이다.
지지부재(221)는 지지부재 바디(222)와, 지지부재 바디(22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 리브(225)를 포함한다. 지지부재 바디(222)는 이중 보온관(10)의 관 연결부(20)를 감싼 연결 시트(110)를 지지하기 위해 연결 시트(110)의 내면과 접하는 접촉 지지부(223)를 갖는다. 접촉 지지부(223)는 외관(11)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지지부재 리브(225)는 지지부재 바디(22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지지부재 바디(22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지지부재 바디(222)에 결합되는 앵커(140, 150)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앵커(140, 150)가 지지부재(121)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스페이서(233)는 지지부재 바디(222)의 중간에 결합되어 지지부재(221)와 내관(12)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지지부재(221)를 지지한다. 스페이서(233)는 지지부재(221)에 결합되는 스페이서 바디(234)를 포함한다. 스페이서 바디(234)의 단부에는 내관(12)의 외면에 접촉하는 스페이서 접촉부(236)가 구비된다. 스페이서 접촉부(236)는 내관(12)의 외주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내관(12)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110 : 연결 시트
120, 220 :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
121, 221 : 지지부재 122, 222 : 지지부재 바디
123, 223 : 접촉 지지부 133, 233 : 스페이서
134, 234 : 스페이서 바디 136, 236 : 스페이서 접촉부
140 : 제1 앵커 141 : 제1 앵커 바디
146 : 제1 앵커 리브 150 : 제2 앵커
151 : 제2 앵커 바디 156 : 제2 앵커 리브
160 : 보온 물질 170 : 플러그
171 : 플러그 바디 172 : 플러그 헤드
173 : 플러그 걸림부 175 : 플러그 관통구멍
180 : 마개 181 : 융착부재
184 : 삽입부재 186 : 보강부재

Claims (22)

  1. 내관, 상기 내관의 외부를 감싸는 외관 및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의 사이에 개재되는 보온재를 포함하는 이중 보온관의 상기 내관이 외부로 드러난 관 연결부를 감싸는 연결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에 있어서,
    상기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를 감싼 상기 연결 시트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 시트의 내면과 접하는 접촉 지지부를 갖는 지지부재;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접하는 스페이서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관과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스페이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 좌측에 배치되는 보온재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앵커;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 우측에 배치되는 보온재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앵커;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접촉 지지부가 구비되는 지지부재 바디와, 나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 바디의 일단 측에 상기 지지부재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과, 나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 바디의 타단 측에 상기 지지부재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앵커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앵커 바디 결합부와, 상기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 좌측에 배치되는 보온재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앵커 바디 결합부의 일단에 외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제1 앵커 바디 팁부를 갖는 제1 앵커 바디와, 상기 제1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나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앵커 바디 결합부의 중간에 마련되는 제1 앵커 관통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앵커는,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앵커 바디 결합부와, 상기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 우측에 배치되는 보온재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앵커 바디 결합부의 일단에 외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제2 앵커 바디 팁부를 갖는 제2 앵커 바디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나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앵커 바디 결합부의 중간에 마련되는 제2 앵커 관통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앵커는, 상기 제1 앵커 바디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 앵커 바디 팁부가 상기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 좌측에 배치되는 보온재 속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앵커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앵커는, 상기 제2 앵커 바디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2 앵커 바디 팁부가 상기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 우측에 배치되는 보온재 속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앵커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 바디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지지부재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상기 제1 앵커의 양측부 및 상기 제2 앵커의 양측부에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접촉 지지부가 구비되는 지지부재 바디와, 나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 바디의 중간에 마련되는 지지부재 스페이서 결합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지지부재 스페이서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나사가 결합되는 스페이서 관통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페이서 바디와, 상기 내관에 접촉하는 스페이서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서 바디의 일단에 상기 스페이서 바디보다 큰 폭으로 구비되는 스페이서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접촉부는 상기 내관의 외면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
  8. 내관, 상기 내관의 외부를 감싸는 외관 및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의 사이에 개재되는 보온재를 포함하는 이중 보온관의 상기 내관이 외부로 드러난 관 연결부를 감싸는 연결 시트;
    상기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를 감싼 상기 연결 시트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 시트의 내면과 접하는 접촉 지지부를 갖는 지지부재;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접하는 스페이서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관과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스페이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 좌측에 배치되는 보온재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앵커;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 우측에 배치되는 보온재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앵커;
    상기 연결 시트로 둘러싸인 상기 이중 보온관의 내관과 상기 연결 시트 사이의 공간에 충전되는 보온 물질; 및
    상기 보온 물질의 주입을 위해 상기 연결 시트에 마련되는 연결 시트 주입구멍을 막는 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접촉 지지부가 구비되는 지지부재 바디와, 나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 바디의 일측에 상기 지지부재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과, 나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 바디의 타측에 상기 지지부재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앵커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앵커 바디 결합부와, 상기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 좌측에 배치되는 보온재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앵커 바디 결합부의 일단에 외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제1 앵커 바디 팁부를 갖는 제1 앵커 바디와, 상기 제1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나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앵커 바디 결합부의 중간에 마련되는 제1 앵커 관통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앵커는,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앵커 바디 결합부와, 상기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 우측에 배치되는 보온재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앵커 바디 결합부의 일단에 외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제2 앵커 바디 팁부를 갖는 제2 앵커 바디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앵커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나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앵커 바디 결합부의 중간에 마련되는 제2 앵커 관통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앵커는, 상기 제1 앵커 바디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 앵커 바디 팁부가 상기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 좌측에 배치되는 보온재 속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앵커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앵커는, 상기 제2 앵커 바디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2 앵커 바디 팁부가 상기 이중 보온관의 관 연결부 우측에 배치되는 보온재 속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앵커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 바디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지지부재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상기 제1 앵커의 양측부 및 상기 제2 앵커의 양측부에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접촉 지지부가 구비되는 지지부재 바디와, 나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 바디의 중간에 마련되는 지지부재 스페이서 결합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지지부재 스페이서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나사가 결합되는 스페이서 관통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페이서 바디와, 상기 내관에 접촉하는 스페이서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서 바디의 일단에 상기 스페이서 바디보다 큰 폭으로 구비되는 스페이서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접촉부는 상기 내관의 외면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연결 시트 주입구멍을 덮도록 상기 연결 시트 주입구멍보다 넓은 넓이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 시트의 외면에 융착되는 융착부재와, 상기 연결 시트 주입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 시트 주입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막도록 상기 융착부재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삽입부재와, 상기 융착부재와 상기 삽입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금속의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는 상기 이중 보온관의 외관에 접촉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 시트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의 연결 시트 주입구멍에 결합되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연결 시트 주입구멍 속에 삽입되는 플러그 바디와, 상기 연결 시트 주입구멍보다 넓은 넓이로 상기 플러그 바디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 시트의 외면에 접하고 중간에 플러그 관통구멍이 형성된 플러그 헤드와, 상기 연결 시트 주입구멍을 통해 상기 관 연결부의 내관과 상기 연결 시트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 시트의 내면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 바디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러그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 바디가 상기 연결 시트 주입구멍에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 헤드에서 상기 플러그 바디에 걸쳐 연장되는 플러그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바디는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80006976A 2018-01-19 2018-01-19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과 이를 갖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KR101975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976A KR101975142B1 (ko) 2018-01-19 2018-01-19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과 이를 갖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976A KR101975142B1 (ko) 2018-01-19 2018-01-19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과 이를 갖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142B1 true KR101975142B1 (ko) 2019-05-03

Family

ID=66582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976A KR101975142B1 (ko) 2018-01-19 2018-01-19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과 이를 갖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1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1449A (zh) * 2020-09-08 2020-12-11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隔热装置
CN115163923A (zh) * 2022-06-27 2022-10-11 辽宁江丰保温材料有限公司 一种降低隔热管托热损耗的预制直埋供热保温管
KR102595216B1 (ko) * 2023-02-15 2023-10-26 최현우 보강재가 구비된 초저온 배관용 보냉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 시공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9878A (ja) * 1996-12-09 1998-06-26 Hitachi Metals Ltd 電気融着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84042A (ko) * 1997-05-20 1998-12-05 오대흥 열손실방지형 배관써포트와 열팽창 고정장치 부착형 이중보온관
KR20080035937A (ko) * 2006-10-20 2008-04-24 박인탁 전기융착을 이용한 다중배관 접속구조 및 시공방법
KR20080100697A (ko) * 2007-05-14 2008-11-19 김진만 이중보온관 이음부에 사용하는 플러그
KR20110075645A (ko) * 2009-12-28 2011-07-06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과 이를 갖는 이중 보온관 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9878A (ja) * 1996-12-09 1998-06-26 Hitachi Metals Ltd 電気融着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84042A (ko) * 1997-05-20 1998-12-05 오대흥 열손실방지형 배관써포트와 열팽창 고정장치 부착형 이중보온관
KR20080035937A (ko) * 2006-10-20 2008-04-24 박인탁 전기융착을 이용한 다중배관 접속구조 및 시공방법
KR20080100697A (ko) * 2007-05-14 2008-11-19 김진만 이중보온관 이음부에 사용하는 플러그
KR20110075645A (ko) * 2009-12-28 2011-07-06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과 이를 갖는 이중 보온관 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1449A (zh) * 2020-09-08 2020-12-11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隔热装置
CN112071449B (zh) * 2020-09-08 2023-03-21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隔热装置
CN115163923A (zh) * 2022-06-27 2022-10-11 辽宁江丰保温材料有限公司 一种降低隔热管托热损耗的预制直埋供热保温管
KR102595216B1 (ko) * 2023-02-15 2023-10-26 최현우 보강재가 구비된 초저온 배관용 보냉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 시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142B1 (ko)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과 이를 갖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KR101123245B1 (ko)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과 이를 갖는 이중 보온관 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US4508368A (en) Plastic pipe joint
KR101187761B1 (ko) 파이프 연결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방법
JP6134061B2 (ja) 配管系の設置及び修理の方法及び装置
KR101123247B1 (ko)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JP2018003973A (ja) 凍結防止用配水管、及びフランジ継手
KR101123246B1 (ko) 이중 보온관 연결용 플러그와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KR100829532B1 (ko) 전기융착을 이용한 다중배관 접속구조 및 시공방법
KR100880384B1 (ko) 유체 누설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JP4843340B2 (ja) チューブ材の接合構造、チューブ材の接合方法、および管端部切断方法
RU2267687C1 (ru) Термоусаживающаяся муфта
EP2580511B1 (en) Shrink sleeve for joining insulated pipes
KR101404011B1 (ko) 보온관과 그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배관의 시공방법과 보수방법 및 단열 시공방법, 이중 보온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198682B1 (ko) 가요성을 갖는 현장제작용 이중보온관 엘보우 시공방법 및 그 방법으로 시공된 이중보온관 엘보우
KR102251580B1 (ko)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13859Y1 (ko) 융착 칼라 피이 관
KR20100082132A (ko)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200426191Y1 (ko) 관 이음매 구조
KR100366431B1 (ko) 플라스틱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접합방법
KR200387864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CN219510378U (zh) 曲弹矢量温压电熔管件及曲弹矢量管道系统
KR101900553B1 (ko) 이중보온관 감지 장치
KR19980084042A (ko) 열손실방지형 배관써포트와 열팽창 고정장치 부착형 이중보온관
KR101341053B1 (ko) 관 연결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