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216B1 - 보강재가 구비된 초저온 배관용 보냉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 시공법 - Google Patents

보강재가 구비된 초저온 배관용 보냉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 시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216B1
KR102595216B1 KR1020230019777A KR20230019777A KR102595216B1 KR 102595216 B1 KR102595216 B1 KR 102595216B1 KR 1020230019777 A KR1020230019777 A KR 1020230019777A KR 20230019777 A KR20230019777 A KR 20230019777A KR 102595216 B1 KR102595216 B1 KR 102595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cold insulating
cold insulation
pai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9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우
Original Assignee
최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우 filed Critical 최현우
Priority to KR1020230019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1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in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medium is below that of the ambient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배관에 대한 보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냉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보냉 시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강 구조체는, 배관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된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 및 상기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의 상호 마주하는 각각의 접합면이 접하여 결합되는 영역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냉 스페이서의 양측에 발포 성형된 보냉재의 내부에 매설되어 상기 보냉재를 상기 보냉 스페이서에 대해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보강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강재가 구비된 초저온 배관용 보냉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 시공법{COLD INSULATION STRUCTURE FOR CRYOGENIC PIPING WITH REINFORCEMENT MEMBER AND COLD INSULATION CONSTRUCTION METHOD FOR CRYOGENIC PIP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냉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보냉 시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에 대한 보냉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보냉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보냉 시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NG, LPG, LEG와 같은 초저온의 액화 가스는 예를 들어 선박에서 비축기지의 탱크로 이송되어 저장된 후 공급라인의 배관을 통해 각 소비지역으로 공급된다. 이 때 상기 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액화가스의 온도는 초저온으로 매우 낮은데, 만약 장거리에 걸친 이송 도중에 외부 공기의 온도로 인해 그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배관 내부에서 액화가스의 기화가 일어나 제대로 이송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부 압력의 팽창으로 배관에 손상이 생겨 치명적인 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상기 배관에 보냉재를 감싸서 외부공기와 차단되도록 하는 보냉시공을 시행하고 있는데, 종래의 보냉시공에 따른 보냉재의 구조는 초저온 액화가스가 이송되는 이송용 배관의 외주면에 1차적으로 결합되는 내부보냉층과, 상기 내부보냉층의 외측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중간보냉층 및 외부보냉층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외부보냉층의 외측에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으로 된 재킷층이 설치되고 이 재킷층의 외측에 역시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테이프를 밴딩하여 마무리한다.
이때, 상기 내부보냉층, 중간보냉층 외부보냉층은 모두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Polyisocyanurate; 이하 'PIR'이라함) 폼(foam)을 반(1/2)원형 또는 1/4분할 원형으로 가공 제작하여 실런트(Sealant)를 이용하여 일체화 접착한다.
그러나, 상기한 PIR폼은 수축팽창 등의 변화가 거의 없고, 보냉성 및 물이나 습기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나, 가격이 매우 고가이므로 초저온 배관의 전체구간을 PIR폼을 이용하여 시공하기에는 공사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됨으로써 경제성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 공법에서는, 보냉재 및 거푸집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한 쌍의 스페이서 조립체를 배관에 이격 설치한 후 상기 스페이서 조립체의 사이에 형성된 폼 성형공간에 우레탄 폼을 긴밀하게 주입 및 팽창시키는 방법으로 초저온 배관을 보냉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 또한, 발포원액의 발포 경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배관에 미리 설치한 스페이서 조립체가 밀리면서 발포 경화되는 우레탄 폼(보냉재)과 스페이스 조립체의 사이가 벌어져 보냉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보냉재의 성형작업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현저하게 달라지므로 발포 경화된 보냉재가 제대로 성형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점검작업이 필요하고, 이러한 점검작업시 보냉재의 외부를 감싸게 설치된 골함석을 탈착하는 과정에서 보냉재에 크랙이 발생함은 물론 골함석과 함께 보냉재가 탈착되면서 국부적으로 손상이 발생하여 보냉재의 성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배관에 대한 보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냉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보냉 시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강 구조체는, 배관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된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 및 상기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의 상호 마주하는 각각의 접합면이 접하여 결합되는 영역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냉 스페이서의 양측에 발포 성형된 보냉재의 내부에 매설되어 상기 보냉재를 상기 보냉 스페이서에 대해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보강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재는, 상기 각각의 접합면이 접하여 결합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각각의 접합면이 접하여 결합되는 영역에 압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재는, 외면에 상기 보냉재가 상기 보강재 내부로 유입되게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냉재 주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냉재 주입부는, 상기 접합면에 대응되는 상기 보강재의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재는, 상기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의 상호 마주하는 각각의 접합면이 접하여 결합되는 영역을 감싸도록 구성된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양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디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보냉 스페이서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절곡되게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접합면과 상기 보냉 스페이서의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상기 보냉 스페이서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절곡되게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는, 상기 접합면을 향하는 상기 돌출부의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재는,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보냉 스페이서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보냉 스페이서의 반경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구성된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접합면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냉 구조체는 상기 배관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보강재는 서로 다른 보냉 구조체에 구비된 보강재의 돌출부 사이를 상기 배관의 축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연결 가이드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결 가이드 핀의 단부가 삽입되는 핀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가이드 핀의 단부는 상기 배관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구성되며, 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냉 구조체를 이용한 보냉 시공법은,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를 배관의 외면을 감싼 상태로 상호 일체로 접합하여 설치하되, 배관의 양측에 이격되게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보냉 구조체를 상기 배관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하는 단계와, 보강재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의 상호 마주하는 각각의 접합면이 접하여 결합되는 영역을 감싸는 단계와, 이격된 보냉 구조체 사이에 보냉재가 배치되는 보냉재 성형공간을 조성하기 위하여, 상기 보냉 구조체들의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 및 보강재의 외면을 감싸도록 몰딩부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보냉재 성형공간 내에 주입된 발포원액을 발포 경화시켜 상기 보냉재를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재가 상기 보냉재의 내부에 매설되어 상기 보냉재를 상기 보냉 스페이서에 대해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의 접합면에 대응되는 영역을 감싸는 별도의 보강 구조물인 보강재를 설치하여 보냉재를 보냉 스페이서에 대해 긴밀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강재에 의해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 간의 결합이 보다 강화되고, 배관에 대한 보냉성을 보다 더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의하여, 여러 다른 추가적인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여러 효과들에 대해서는 각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거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효과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냉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보냉 구조체가 배관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보냉 구조체가 배관에 결합된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단면 처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보냉재가 발포 경화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냉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보냉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보냉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냉 구조체(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보냉 구조체(10)가 배관(P)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보냉 구조체(10)가 배관(P)에 결합된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단면 처리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보냉재(400)가 발포 경화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면에 도시된 X축, Y축 방향은 후술되는 보냉 구조체(10)의 반경 방향, Z축 방향은 수평면(XY평면)에 대해 수직된 보냉 구조체(10)의 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냉 구조체(10)는, 보냉 스페이서(100) 및 보강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냉 스페이서(100)는, 배관(P)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보냉 스페이서(100)는, 반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냉 스페이서(100)는, 수축 팽창 등의 변화가 거의 없고, 보냉성 및 물이나 습기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한 PIR폼이나 PUR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냉 스페이서(1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배관(P)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는, 배관(P)의 반경 방향 양측에서 각각 배관(P)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됨으로써 배관(P)의 외면 전체를 감쌀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에는, 배관(P)의 반경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는 접합면(120) 및 각각의 내주면에 발포원액(미도시)이 도포될 수 있다. 이 때, 발포원액은 발포 경화되는 과정에서 접합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발포원액에 의해,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는, 상호 마주하는 각각의 접합면(120)이 접하여 상호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발포원액에 의해,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 각각의 내주면 및 배관(P)의 외면이 일체로 접합될 수 있다.
한편, 보냉 스페이서(100)의 양단(구체적으로, 보냉 스페이서(100)의 축 방향(Z축 방향) 양단)에는, 단턱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냉 스페이서(100)의 양측에 발포 성형된 보냉재(400, 도 4 참조)와 보냉 스페이서(100)가 단차를 이루면서 상호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보냉재(400)는 우레탄 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보강재(200)는,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의 상호 마주하는 각각의 접합면(120)이 접하여 결합되는 영역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재(200)는, 보냉 스페이서(100)의 양측(보냉 스페이서(100)의 축 방향(Z축 방향) 양측)에 발포 성형된 보냉재(400)의 내부에 매설되어 보냉재(400)를 보냉 스페이서(100)에 대해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보강재(20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보냉 스페이서(100)와 보강재(200) 사이에도 발포원액이 도포되어 보냉 스페이서(100)와 보강재(200)가 일체로 접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는 배관(P)의 외면을 감싼 상태로 구성될 수 있고,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를 포함하는 보냉 구조체(10)는 배관(P)의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재(200)는,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의 상호 마주하는 각각의 접합면(120)이 접하여 결합되는 영역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이격된 보냉 구조체(10) 사이에 보냉재(400)가 배치되는 보냉재 성형공간(410)을 조성하기 위하여, 보냉 구조체(10)들의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 및 보강재(200)의 외면을 감싸도록 몰딩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몰딩부(300)는, 내측에 형성된 보냉재 성형공간(410)에서 보냉재(400)가 발포 경화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 가능한 투명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몰딩부(300)의 일측에 형성된 발포원액 주입구멍(미도시)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냉재 성형공간(410) 내로 보냉재(400)를 발포 성형하기 위한 발포원액이 주입될 수 있다.
보냉재 성형공간(410) 내에 발포원액이 빈틈없이 채워진 이후, 발포원액에 의해 보냉재(400)가 발포 경화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의 상호 마주하는 각각의 접합면(120)이 접하여 결합되는 영역을 감싸도록 구성된 보강재(200)가 보냉재(400)의 내부에 매설되어 보냉재(400)를 보냉 스페이서(100)에 대해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의 접합면에 대응되는 영역을 감싸는 별도의 보강 구조물인 보강재(200)를 설치하여 보냉재(400)를 보냉 스페이서(100)에 대해 긴밀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강재(200)에 의해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 간의 결합이 보다 강화되고, 배관(P)에 대한 보냉성을 보다 더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보강재(200)는, 각각의 접합면(120)이 접하여 결합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강재(200)는, 전술한 단턱부(11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강재(200)는, 적어도 일부가 각각의 접합면(120)이 접하여 결합되는 영역에 압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와 같이 보강재(200)는,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의 각각의 접합면(120)이 접하여 결합되는 영역에 압입되어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의 상호 마주하는 각각의 접합면(120)이 접하여 결합되는 영역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의 접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배관(P)에 대한 보냉성을 보다 더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보강재(200)는, 적어도 하나의 보냉재 주입부(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냉재 주입부(H)는, 보강재(200)의 외면에 구비되어, 보냉재(400)가 보강재(200) 내부로 유입되게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보냉재 주입부(H)에는, 발포원액이 발포 경화하면서 성형되는 보냉재(400)의 일부가 채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보냉재(400)의 일부가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의 접합면에 대응되는 영역을 감싸는 별도의 보강 구조물인 보강재(200)의 내부에 채워질 수 있으므로, 보냉 스페이서(100)와 보냉재(400) 간의 결합이 보다 더 긴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냉재 주입부(H)는, 접합면(120)에 대응되는 보강재(200)의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합면(120)을 향하는 보강재(200)의 영역 내부에 보냉재(400)의 일부가 채워질 수 있으므로,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 간의 접합면(120)에 인접한 영역에서 보냉 스페이서(100)와 보냉재(400) 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 간의 접합면(120)에 인접한 보냉 스페이서(100)의 내주면 영역의 배관(P)에 대한 결합이 보다 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보강재(200)는, 바디(210) 및 돌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210)는,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의 상호 마주하는 각각의 접합면(120)이 접하여 결합되는 영역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바디(210)에 보냉재 주입부(H)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20)는, 바디(210)의 양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220)는, 바디(210)의 양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됨으로써, 보냉 스페이서(100)의 양측(보냉 스페이서(100)의 축 방향(Z축 방향) 양측)에 발포 성형된 보냉재(400)의 내부에 매설되어 보냉재(400)를 보냉 스페이서(100)에 대해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보강재(200)의 절곡 구조를 통해 보냉 스페이서(100)와 보냉 스페이서(100)의 양측에 형성된 보냉재(400) 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관(P)에 대한 보냉성을 보다 더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돌출부(220)는, 바디(210)의 양단으로부터 보냉 스페이서(10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절곡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22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바디(210)의 양단으로부터 보냉 스페이서(100)의 반경 방향(Y축 방향) 외측으로 절곡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돌출부(220)는, 바디(210)의 양단으로부터 보냉 스페이서(100)의 반경 방향(X축 방향) 외측으로 절곡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는 배관(P)의 반경 방향(X축 방향)으로 배관(P)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보강재(200)의 돌출부(220)가 배관(P)의 반경 방향(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 외측으로 절곡되게 구성되는 경우, 돌출부(220)가 발포 성형되는 보냉재(400)의 내부에 배관(P)의 반경 방향측으로 매설되어 보냉재(400)의 배관(P)의 반경 방향(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에 대한 고정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냉 스페이서(100)와 보냉재(400) 간의 결합이 보다 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돌출부(220)는, 접합면(120)과 보냉 스페이서(100)의 축 방향(Z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보냉 스페이서(100)의 반경 방향(Y축 방향) 외측으로 절곡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보강재(200)의 돌출부(220)는, 접합면(120)과 보냉 스페이서(100)의 축 방향(Z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보냉 스페이서(100)의 반경 방향(Y축 방향) 외측으로 절곡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220)가 접합면(120)과 보냉 스페이서(100)의 축 방향(Z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보냉 스페이서(100)의 반경 방향(Y축 방향) 외측으로 절곡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 간의 접합면(120)에 인접한 보냉 스페이서(100)의 내주면 영역의 배관(P)에 대한 결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냉 구조체(10)를 이용한 보냉 시공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를 배관(P)의 외면을 감싼 상태로 상호 일체로 접합하여 설치하되, 배관(P)의 양측에 이격되게 설치한다.
다음으로,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를 포함하는 보냉 구조체(10)를 배관(P)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한다.
다음으로, 보강재(200)를 통해,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의 상호 마주하는 각각의 접합면(120)이 접하여 결합되는 영역을 감싼다.
다음으로, 이격된 보냉 구조체(10) 사이에 보냉재(400)가 배치되는 보냉재 성형공간(410)을 조성하기 위하여, 보냉 구조체(10)들의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 및 보강재(200)의 외면을 감싸도록 몰딩부(300)를 설치한다.
다음으로, 보냉재 성형공간(410) 내에 주입된 발포원액을 발포 경화시켜 보냉재(400)를 성형한다.
다음으로, 보강재(200)가 보냉재(400)의 내부에 매설되어 보냉재(400)를 보냉 스페이서(100)에 대해 고정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냉 구조체(12)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B부분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냉 구조체(12)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보냉 구조체(10)와 유사하므로,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앞선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 본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보냉 구조체(12)에서, 보강재(200)의 돌출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22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220a)는, 돌출부(220)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발포원액이 발포 경화하면서 성형되는 보냉재(400)의 내부에 배관(P)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절곡되게 구성된 보강재(200)의 돌출부(220)로부터 돌출된 돌기(220a)가 삽입될 수 있으므로, 보냉 스페이서(100)와 보냉재(400) 간의 결합이 보다 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돌기(220a)는, 접합면(120)을 향하는 돌출부(220)의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합면(120)을 향하는 보강재(200)의 돌출부(220)의 영역으로부터 보냉재(400)에 삽입가능한 돌기(220a)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 간의 접합면(120)에 인접한 영역에서 보냉 스페이서(100)와 보냉재(400) 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 간의 접합면(120)에 인접한 보냉 스페이서(100)의 내주면 영역의 배관(P)에 대한 결합이 보다 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보냉 구조체(14)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8은 후술되는 경사부(230)가 접합면(120)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경사부(230)가 접합면(120)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냉 구조체(14)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보냉 구조체(10)와 유사하므로,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앞선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 본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보냉 구조체(14)에서, 보강재(200)는, 경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230)는, 돌출부(220)로부터 보냉 스페이서(100)의 축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보냉 스페이서(100)의 반경 방향(Y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발포원액이 발포 경화하면서 보냉재(400)가 성형될 때, 보강재(200)의 돌출부(220)로부터 연장된 경사부(230)의 경사면을 통해 돌출부(220)에 가해지는 발포원액의 발포에 따른 보냉재(400)의 팽창에 의한 가압력이 완충될 수 있으므로, 보냉 스페이서(100)와 보냉재(400) 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경사부(230)는 접합면(120)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의 실시예와 달리 경사부(230)는, 접합면(120)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합면(120) 방향으로 경사부(230)가 연장되는 경우,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 간의 접합면(120)에 인접한 영역에서 발포원액이 발포 경화하면서 보냉재(400)가 성형될 때, 돌출부(220)로부터 연장된 경사부(230)의 경사면을 통해 돌출부(220)에 가해지는 발포원액의 발포에 따른 보냉재(400)의 팽창에 의한 가압력이 완충될 수 있으므로, 보냉 스페이서(100)와 보냉재(400) 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100) 간의 접합면(120)에 인접한 보냉 스페이서(100)의 내주면 영역의 배관(P)에 대한 결합이 보다 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보냉 구조체(16)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냉 구조체(16)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보냉 구조체(10)와 유사하므로,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앞선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 본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보냉 구조체(16)에서, 보냉 구조체(16)는, 배관(P)의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냉 구조체(16)에서 보강재(200)는, 연결 가이드 핀(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가이드 핀(240)은, 서로 다른 보냉 구조체(16)에 구비된 보강재(200)의 돌출부(220) 사이를 배관(P)의 축 방향(Z축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이격된 보냉 구조체(16) 사이에 조성된 보냉재 성형공간(410)에서 보냉재(400)가 발포 경화되는 경우, 연결 가이드 핀(240)은, 서로 다른 보냉 구조체(16)를 연결하면서 동시에 보냉재(400)의 내부에 매설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이격된 보냉 구조체(16) 사이의 결합을 보다 강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냉재(400)를 보냉 스페이서(100)에 대해 보다 긴밀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배관(P)에 대한 보냉성을 보다 더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돌출부(220)는, 연결 가이드 핀(240)의 단부(242)가 삽입되는 핀 삽입홀(22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연결 가이드 핀(240)의 단부(242)는, 배관(P)의 반경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구성되며, 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연결 가이드 핀(240)의 단부(242)는, 신축이 용이한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돌출부(220)의 핀 삽입홀(220b)을 통과하여 돌출부(220)의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가이드 핀(240)의 단부(242)는, 핀 삽입홀(220b)을 통해 돌출부(22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배관(P)의 반경 방향(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돌출부(220) 내부에는, 핀 삽입홀(220b)과 연결되고 연결 가이드 핀(240)의 단부(242)를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가이드 핀(240)의 단부(242)가 돌출부(220)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므로, 이격된 보냉 구조체(16) 사이의 결합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P : 배관
10, 12, 14, 16 : 보냉 구조체
100 : 보냉 스페이서
120 : 접합면
200 : 보강재
210 : 바디
220 : 돌출부
220a : 돌기
220b : 핀 삽입홀
230 : 경사부
240 : 연결 가이드 핀
300 : 몰딩부
400 : 보냉재

Claims (10)

  1. 배관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된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 및
    상기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의 상호 마주하는 각각의 접합면이 접하여 결합되는 영역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냉 스페이서의 양측에 발포 성형된 보냉재의 내부에 매설되어 상기 보냉재를 상기 보냉 스페이서에 대해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의 상호 마주하는 각각의 접합면이 접하여 결합되는 영역을 감싸도록 구성된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양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각각의 접합면이 접하여 결합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각각의 접합면이 접하여 결합되는 영역에 압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구조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외면에 상기 보냉재가 상기 보강재 내부로 유입되게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냉재 주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구조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냉재 주입부는,
    상기 접합면에 대응되는 상기 보강재의 영역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구조체.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디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보냉 스페이서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절곡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구조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접합면과 상기 보냉 스페이서의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상기 보냉 스페이서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절곡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구조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접합면을 향하는 상기 돌출부의 영역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구조체.
  10. 제 1항 내지 제 5항 및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냉 구조체를 이용한 보냉 시공법에 있어서,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를 배관의 외면을 감싼 상태로 상호 일체로 접합하여 설치하되, 배관의 양측에 이격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보냉 구조체를 상기 배관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하는 단계;
    보강재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의 상호 마주하는 각각의 접합면이 접하여 결합되는 영역을 감싸는 단계;
    이격된 보냉 구조체 사이에 보냉재가 배치되는 보냉재 성형공간을 조성하기 위하여, 상기 보냉 구조체들의 한 쌍의 보냉 스페이서 및 보강재의 외면을 감싸도록 몰딩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냉재 성형공간 내에 주입된 발포원액을 발포 경화시켜 상기 보냉재를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재가 상기 보냉재의 내부에 매설되어 상기 보냉재를 상기 보냉 스페이서에 대해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시공법.












KR1020230019777A 2023-02-15 2023-02-15 보강재가 구비된 초저온 배관용 보냉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 시공법 KR102595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777A KR102595216B1 (ko) 2023-02-15 2023-02-15 보강재가 구비된 초저온 배관용 보냉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 시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777A KR102595216B1 (ko) 2023-02-15 2023-02-15 보강재가 구비된 초저온 배관용 보냉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 시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216B1 true KR102595216B1 (ko) 2023-10-26

Family

ID=88508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777A KR102595216B1 (ko) 2023-02-15 2023-02-15 보강재가 구비된 초저온 배관용 보냉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 시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21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309B1 (ko) * 2009-08-31 2009-12-22 세일공업(주) 초저온 배관의 보냉용 스페이서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시공법
KR100943690B1 (ko) * 2009-08-06 2010-02-22 세일공업(주) 초저온 배관의 보냉용 스페이서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시공법
KR101489153B1 (ko) * 2014-10-02 2015-02-06 주식회사 일양오피오 설치편리성과 패널간 이음부분에 대한 열손실 방지용 이음부를 겸비한 냉장 및 냉동시설물용 난연성 샌드위치 우레탄패널 및 그 설치방법
KR101673866B1 (ko) * 2016-07-28 2016-11-08 최재훈 보냉성이 우수한 초저온 배관용 보냉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시공법
JP2016194368A (ja) * 2015-03-31 2016-11-17 大阪瓦斯株式会社 断熱構造体
KR101975142B1 (ko) * 2018-01-19 2019-05-03 박인탁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과 이를 갖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KR20190141055A (ko) * 2018-06-12 2019-12-23 한국아존 주식회사 단열성 창호 프레임과 이의 제조방법
KR20200039186A (ko) * 2018-10-05 2020-04-16 주식회사 월드와이즈월 건축물 외벽 마감 시공용 더블앙카 및 그 더블앙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690B1 (ko) * 2009-08-06 2010-02-22 세일공업(주) 초저온 배관의 보냉용 스페이서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시공법
KR100933309B1 (ko) * 2009-08-31 2009-12-22 세일공업(주) 초저온 배관의 보냉용 스페이서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시공법
KR101489153B1 (ko) * 2014-10-02 2015-02-06 주식회사 일양오피오 설치편리성과 패널간 이음부분에 대한 열손실 방지용 이음부를 겸비한 냉장 및 냉동시설물용 난연성 샌드위치 우레탄패널 및 그 설치방법
JP2016194368A (ja) * 2015-03-31 2016-11-17 大阪瓦斯株式会社 断熱構造体
KR101673866B1 (ko) * 2016-07-28 2016-11-08 최재훈 보냉성이 우수한 초저온 배관용 보냉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시공법
KR101975142B1 (ko) * 2018-01-19 2019-05-03 박인탁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과 이를 갖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KR20190141055A (ko) * 2018-06-12 2019-12-23 한국아존 주식회사 단열성 창호 프레임과 이의 제조방법
KR20200039186A (ko) * 2018-10-05 2020-04-16 주식회사 월드와이즈월 건축물 외벽 마감 시공용 더블앙카 및 그 더블앙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1110B1 (en) Reinforcement member for membrane of liquefied natural gas cargo, membrane assembly having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ame
JP5795406B2 (ja) 液化天然ガス輸送用パイプ
JP6109405B2 (ja) 極低温物質運搬船の貨物倉
KR100868704B1 (ko) Lng선의 lng 저장탱크와, 그 제조방법 및 보수방법
KR101019192B1 (ko) 방벽용 보강부재와 이를 갖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그시공방법
KR20170021833A (ko) 밀봉된 절연 탱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48641B1 (ko) 응력 완화 슬롯이 제공된 절연 코너 블록을 포함하는 선박
KR20100090036A (ko) 단열 구조체 및 이를 갖는 극저온 액체저장탱크
JP2011099548A (ja) 陸上用液化ガス貯蔵タンクの二重防壁及びその建設方法
EP3798495B1 (en) Insulation device for low-temperature pipe
KR102595216B1 (ko) 보강재가 구비된 초저온 배관용 보냉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 시공법
JP2006017213A (ja) 低温流体貯蔵タンクの保冷シール構造
KR102595209B1 (ko) 결합력이 우수한 초저온 배관용 보냉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 시공법
KR101673866B1 (ko) 보냉성이 우수한 초저온 배관용 보냉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시공법
CN113423988B (zh) 用于对储存罐进行热绝缘的绝缘块
KR101633219B1 (ko) 직선 굴곡형 멤브레인 시트를 이용한 극저온 물질 운반선의 화물창
JP5916422B2 (ja) 液化ガスタンクの保冷構造、液化ガスタンク及び浮体構造物
KR100943690B1 (ko) 초저온 배관의 보냉용 스페이서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시공법
JP5039453B2 (ja) 貯蔵構造
KR101792700B1 (ko) 방벽 시공 방법
KR101337641B1 (ko) 단열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KR101196221B1 (ko) 액화 가스 수송 선박의 화물창 및 그 조립방법
KR100379639B1 (ko) 저온 물질 이송용 배관의 보냉 단열재 구조
KR20140013317A (ko) Lng 저장탱크의 단열박스
KR20190107464A (ko) 활류배관의 단열구조 및 그 보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