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3690B1 - 초저온 배관의 보냉용 스페이서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시공법 - Google Patents

초저온 배관의 보냉용 스페이서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시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690B1
KR100943690B1 KR1020090072450A KR20090072450A KR100943690B1 KR 100943690 B1 KR100943690 B1 KR 100943690B1 KR 1020090072450 A KR1020090072450 A KR 1020090072450A KR 20090072450 A KR20090072450 A KR 20090072450A KR 100943690 B1 KR100943690 B1 KR 100943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n
spacer jig
foam
spacer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세일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일공업(주) filed Critical 세일공업(주)
Priority to KR1020090072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2Arrangements for supporting insulation from the wall or body insulated, e.g. by means of spacers between pipe and heat-insulating materi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insulated bodies
    • F16L59/125Helical spac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9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lay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저온 액화가스용 배관을 감싸 보냉(保冷)을 유지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분리조립 가능한 다수의 분할 스페이서로 구성된 한 쌍의 스페이서 지그를 배관의 양측에 마주하도록 조립한 후, 상기 스페이서 지그의 외측에 골함석 및 함석자켓을 연속으로 감싸 밀봉처리하고, 상기 스페이서 지그의 사이에 우레탄 폼을 주입 및 팽창시켜 상기 골함석이 일체로 감싸여진 보냉재를 배관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보냉의 효과가 매우 우수하면서도 보냉시공에 따른 공사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초저온 배관의 보냉용 스페이서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시공법에 관한 것이다.
초저온, 배관, 보냉, 시공, 스페이서, 지그, 골함석, 자켓

Description

초저온 배관의 보냉용 스페이서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시공법{Spacer jig for cooling and the cooling construction method of cryogenic pip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의 스페이서 지그를 이용하여 LNG, LPG, LEG 등과 같은 초저온 액화가스의 이송경로로 사용하는 배관의 보냉시공에 따른 공사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면서도 우수한 보냉성을 확보하는 초저온 배관의 보냉시공에 관련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LNG, LPG, LEG와 같은 초저온의 액화 가스는 예를 들어 선박에서 비축기지의 탱크로 이송되어 저장된 후 공급라인의 배관을 통해 각 소비지역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액화가스의 온도는 초저온으로 매우 낮은데, 만약 장거리에 걸친 이송 도중에 외부 공기의 온도로 인해 그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배관 내부에서 액화가스의 기화가 일어나 제대로 이송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부 압력의 팽창으로 배관에 손상이 생겨 치명적인 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상기 배관에 보냉재를 감싸서 외부공기와 차단되도록 하는 보냉시공을 시행하고 있는데 종래의 보냉시공에 따른 보냉재의 구조는 초저온 액화가스가 이송되는 이송용 배관의 외주면에 1차적으로 결합되는 내부보냉층과, 상기 내부보냉층의 외측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중간보냉층 및 외부보냉층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외부보냉층의 외측에는 스테인레스 스틸 등으로 된 재킷층이 설치되고 이 재킷층의 외측에 역시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진 테이프를 밴딩하여 마무리한다.
이때 상기 내부보냉층, 중간보냉층 외부보냉층은 모두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Polyisocyanurate; 이하 'PIR'이라 함) 포(foam)을 반(1/2)원형 또는 1/4분할 원형으로 가공 제작하여 실런트(Sealant)를 이용하여 일체화 접착한다.
그러나 상기한 PIR 폼은 수축팽창 등의 변화가 거의 없고, 보냉효과 및 물이나 습기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나, 가격이 매우 고가이므로 초저온 배관의 전체구간을 PIR 폼을 이용하여 시공하기에는 공사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됨으로써 경제성이 저하된다.
아울러 실런트의 접착력이 아무리 우수하더라도 분할 원형으로 가공 제작된 PIR 폼의 접착부위는 시간이 지날수록 틈새 및 크랙이 발생하면서 보냉력이 저하될 우려가 큰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초저온 배관의 보냉시공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분리조립 가능한 한 쌍의 스페이서 지그를 배관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이격 설치하도록 하고, 상기 스페이서 지그의 외측을 밀봉 처리한 후 스페이서 지그의 사이에 우레탄 폼을 주입 및 팽창시키는 신규의 방법으로 보냉재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분리조립 가능한 분할 원형의 형상을 갖는 다수의 분할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상기 분할 스페이서는 상호 체결부재를 매개로 배관의 외측을 감싸게 일체로 조립하여 거푸집의 역할을 하는 스페이서 지그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페이서 지그의 몰드면이 상호 마주하도록 배관의 양측에 한 쌍의 스페이서 지그를 조립 설치하고, 상기 스페이서 지그의 외측에 골함석 및 함석자켓을 연속으로 감싸면서 밀봉 설치하여 스페이서 지그의 사이에 폼 성형공간을 마련하며, 상기 폼 성형공간에는 우레탄 폼을 주입 및 팽창시켜 배관의 외측에 보냉재를 일체로 간편하게 성형하는 한편, 상기 성형된 보냉재로부터 함석자켓 및 스페이서 지그를 해체 탈거하는 보냉시공법을 강구한다.
아울러 상기 보냉재의 1차 구간이 완성된 상태에서는 보냉재와 마주하도록 스페이서 지그를 단독으로 이격 설치한 후 상기 보냉재와 스페이서 지그의 사이에 형성되는 폼 성형공간에 우레탄 폼을 주입 및 팽창시켜 보냉재의 2차 구간을 완성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는 보냉시공법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조립 가능한 한 쌍의 스페이서 지그를 배관에 이격 설치한 후 상기 스페이서 지그의 사이에 형성된 폼 성형공간에 우레탄 폼을 밀실하게 주입 및 팽창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보냉효과가 매우 우수한 보냉재의 시공이 가능하면서도 공사비용은 매우 저렴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보냉재의 1차 구간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보냉재와 스페이서 지그의 사이에 우레탄 폼을 주입 및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우레탄 폼이 팽창하는 과정에서 1차 구간의 보냉재와 상호 일체로 원활하게 접합하면서 틈새 및 크랙발생이 전혀 없어 배관의 전체구간에 시공되는 보냉재는 상호 일체성을 유지함으로써 보냉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지그(J)의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분할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몰드면(11)의 내, 외측 선단에 배관(1)의 외측을 감싸는 내주판(12) 및 외주판(13)이 각각 부착되며, 상기 몰드면(11) 및 내, 외주판(12)(13)의 상, 하단부에는 연결판(14)이 막음 설치된 다수의 분할 스페이서(10)와; 상기 연결판(14) 에 형성된 연결구멍(14a)을 관통상태로 결합하여 다수의 분할 스페이서(10)를 배관(1)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일체화 조립하는 체결부재(2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스페이서 지그(J)를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스페이서 지그(J)를 구성하는 다수의 분할 스페이서(10)는 배관(1)의 외측을 감쌀 수 있도록 등분할 된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본 발명에서는 4분할 원형으로 실시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고 2~4분할 원형으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할 스페이서(10)는 일측의 몰드면(11) 내측에 배관(1)의 외측을 감싸는 내주판(12)이 직교상태로 부착되고, 외측에는 보냉재의 시공시 골함석(30a)이 감김상태로 지지되는 외주판(13)이 직교상태로 부착되며, 상기 몰드면(11) 및 내, 외주판(12)(13)의 상, 하단부에는 각각 연결판(14)이 막음 설치되고, 상기 몰드면(11)의 타측면에는 다수의 보강판(15)이 내, 외주판(12)(13)에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분할 스페이서(10)를 연결하여 조립하면 비로소 완성된 원형의 형상을 이루면서 배관(1)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설치 가능함으로써 우레탄 폼의 주입 및 팽창공정을 통해 보냉재(50)(50a)를 성형할 수 있는 거푸집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분할 스페이서(10)는 도 5와 같이 배관(1)의 외측을 감싼 상태에 서 인접하는 한 쌍의 연결판(14)을 상호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앗세이 형태의 스페이서 지그(J)를 완성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판(14)에 형성된 연결구멍(14a)을 체결부재(20)가 관통하고, 이 체결부재(20)에 너트(21)가 결합됨으로써 우레탄 폼의 팽창압력에도 스페이서 지그(J)는 전혀 유동하지 않고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함에 따라 보냉재의 성형과정에서 밀도저하를 방지하여 우수한 보냉재(50)(50a)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분할 스페이서(10)는 몰드면(11)의 중앙에 원주방향을 따라 분할용 지지테(17)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분할용 지지테(17)는 도 4와 같이 배관(1)의 외측에 한 쌍의 스페이서 지그(J)를 이격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스페이서 지그(J)의 사이에 우레탄 폼을 주입 및 팽창하는 공정을 각각 1, 2차로 구분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골함석(30)을 감김 상태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골함석(30)의 내측에는 1차 폼 성형공간(31)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스페이서 지그(J)를 이용하여 초저온의 배관(1)을 보냉처리하는 시공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1) 그라스울 설치공정( S100 )
본 공정은 상기 스페이서 지그(J)를 본격적으로 배관(1)의 외측에 설치하기 이전단계에 추가로 실시하는 것으로, 보냉재를 성형하기 위한 구간에 알맞은 폭만큼 도 3과 같이 그라스울(40)을 배관(1)의 외측에 감싸도록 설치한다.
상기 그라스울(40)은 초저온 배관(1)에서 발산하는 냉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그라스울(40)의 외측, 즉 1차 폼 성형공간(31)에 주입된 우레탄 폼이 팽창하는 과정에서 배관(1)의 냉기가 전달됨을 차단하여 우레탄 폼이 원활하게 팽창(발포)하면서 미세한 공극마저도 발생하지 않고 밀도가 높은 보냉재(50)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한다.
2) 스페이서 지그 설치공정( S200 )
상기와 같이 그라스울(40)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그라스울(40)의 양측 외부를 감싸도록 스페이서 지그(J)를 설치함으로써 배관(1)의 냉기가 한 쌍의 스페이서 지그(J)의 사이(보냉재가 성형되는 공간)로 전달됨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한다.
즉 다수의 분할 스페이서(10)를 도 4와 같이 상기 배관(1) 및 그라스울(40)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상호 연결함으로써 배관(1)의 외측에는 스페이서 지그(J)가 일체로 조립 설치되며, 이때 상기 스페이서 지그(J)의 몰드면(11)은 상호 마주하도록 대칭으로 이격되게 배치한다.
3) 골함석 1차 설치공정( S300 )
본 공정은 한 쌍의 스페이서 지그(J)의 사이에 보냉재를 한꺼번에 성형함을 탈피하여 시차를 두고 1, 2차로 구분하여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공정이다.
이를 위해 상기 스페이서 지그(J)에 형성된 분할용 지지테(17)에는 도 6과 같이 골함석(30)을 감김 상태로 설치하되 상기 분할용 지지테(17)에 1회 감긴 후 겹쳐지는 부위는 나사(32)로 관통하여 일체로 나사 결합함으로써 견고한 연결상태를 유지하며, 이와 동시에 골함석(30)의 내측에는 우레탄 폼이 1차로 주입될 수 있는 외부와 격리된 1차 폼 성형공간(31)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골함석(30)은 1차 폼 성형공간(31)을 조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상기 1차 폼 성형공간(31)에 보냉재(50)가 성형 완료된 후 골함석(30)의 외측에 형성되는 2차 폼 성형공간(37)에 2차 보냉재(50a)를 성형할 때 배관(1)의 냉기가 전달됨을 더욱 차단함으로써 우레탄 폼의 팽창(발포)을 원활하게 하여 최종적으로 성형되는 2차 보냉재(50a)의 밀도를 높여 우수한 보냉성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골함석(30)은 1, 2차로 구분하여 성형되는 보냉재(50)(50a)의 사이에 매설되어 심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면서 더욱 우수한 강성 및 내구성을 갖도록 한다.
4) 1차 폼 주입 및 팽창공정( S400 )
상기 골함석(30)의 1차 설치공정을 통해 마련된 1차 폼 성형공간(31)에는 보냉재(50)를 성형하기 위한 우레탄 폼을 주입할 수 있도록 별도의 천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골함석(30)에 폼 주입구멍(35)을 천공한다.
그리고 폼 주입기를 이용하여 상기 폼 주입구멍(35)을 통해 우레탄 폼이 빈틈없이 채워지도록 주입 및 완전하게 팽창시킴으로써 1차 폼 성형공간(31)에는 1차적으로 보냉재(50)가 성형될 수 있게 된다.
5) 골함석 함석자켓 설치공정( S500 )
1차 보냉재(50)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골함석(30)의 외측에 2차 보냉재(50a)를 성형할 수 있도록 스페이서 지그(J)에는 골함석(30a) 및 함석자켓(60)을 설치하는 공정을 실시한다.
즉 상기 분할 스페이서(10)의 외주판(13)에는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골함석(30a) 및 함석자켓(60)을 연속적으로 감김 상태로 설치한 후 짐바(70)를 이용하여 함석자켓(60)의 외측을 묶어주면 상기 골함석(30)(30a)의 사이에는 외부와 격리된 2차 폼 성형공간(37)을 형성함으로써 보냉재(50a)의 2차 성형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골함석(30a)은 굴곡된 골이 연속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우레탄 폼이 팽창하면서 보냉재(50a)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보냉재(50a)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일체로 부착됨으로써 보냉재(50a)를 보호함은 물론 외부의 수분이 내부로 투입됨을 방지하는 차수벽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함석자켓(60) 및 짐바(70)는 골함석(30a)이 벌어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감싸주어 우레탄 폼이 촘촘하게 빈틈없이 잘 채워짐은 물론 이에 따라 완성된 보냉재(50a)의 밀도를 획기적으로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6) 2차 폼 주입 및 팽창공정( S600 )
상기 골함석(30a) 및 함석자켓(60)의 설치공정을 통해 마련된 2차 폼 성형공간(37)에는 보냉재(50a)를 2차로 성형하기 위한 우레탄 폼을 주입할 수 있도록 별 도의 천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함석자켓(60) 및 골함석(30a)을 연속하여 관통하도록 폼 주입구멍(35)을 천공한다.
그리고 폼 주입기를 이용하여 상기 폼 주입구멍(35)을 통해 우레탄 폼이 빈틈없이 채워지도록 주입 및 완전하게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2차 폼 성형공간(37)에는 보냉재(50a)가 2차로 구분하여 성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냉재(50)(50a)를 1, 2차로 구분하여 성형함으로써 각각의 보냉재(50)(50a)의 성형시간이 매우 짧고, 성형면적이 작아 전체적으로 우레탄 폼이 골고루 빈틈없이 팽창함으로써 공극발생의 우려가 적고, 밀도가 높아 고품질의 보냉재(50)(50a)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7) 자켓 지그 탈거공정
상기 보냉재(50)(50a)의 1, 2차 성형이 완료되면 짐바(70)를 풀고 함석자켓(60)을 제거한 후 스페이서 지그(J)를 해체하여 외부로 탈거한다.
이와 같이 함석자켓(60) 및 스페이서 지그(J)를 탈거하면 배관(1)의 외측에는 도 12와 같이 1차 성형된 보냉재(50), 1차로 매설된 골함석(30), 2차 성형된 보냉재(50a) 및 수분침투를 방지하는 골함석(30a)이 외측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감싼 상태로 일체화를 이루는 1차 구간의 보냉시공이 완료된다.
나아가 상기 보냉재(50)(50a)의 1차 구간이 완성된 후에는 스페이서 지그(J)를 마주하도록 한 쌍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이 경우 도 13과 같이 1차 구간의 보냉재(50)(50a)가 스페이서 지그(J)의 역할을 대행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더욱 단축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보냉재(50)(50a)의 1차 구간이 완료된 후 상기 보냉재(50)(50a)와 마주하도록 스페이서 지그(J)를 단독으로 이격되게 설치하고, 상기 보냉재(50)(50a)의 선단부 사이에 형성된 분할용 지지홈(55)에는 골함석(30)의 일측을 끼우며, 상기 골함석(30)의 타측은 단독으로 설치한 스페이서 지그(J)의 분할용 지지테(17)에 감김 상태로 1차 설치한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상기한 1차 폼 주입 및 팽창공정(S400), 골함석 및 함석자켓 설치공정(S500), 2차 폼 주입 및 팽창공정(S600), 자켓 및 지그 탈거공정(S700)을 거치면서 보냉재(50)(50a)의 2차 구간을 완성한다.
이때 본 발명은 도 13과 같이 상기 보냉재(50)(50a)와 스페이서 지그(J)의 사이에서 우레탄 폼이 주입 및 팽창함으로써 상기 우레탄 폼은 팽창하는 과정에서 1차 구간의 보냉재(50)(50a)와 상호 일체로 원활하게 접합함에 따라 틈새 및 크랙발생이 전혀 없어 배관(1)의 전체구간에 시공되는 보냉재(50)(50a)는 상호 일체성을 유지하여 보냉의 효과는 가일층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배관(1)의 전체구간을 신속하고 간편하면서도 우수한 보냉성을 확보하도록 보냉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보냉재(50)(50a)를 1, 2차로 구분하 여 시차를 두고 성형하는 방법으로 실시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용 지지테(17)에 골함석(30)을 설치하지 않고 스페이서 지그(J)의 외주판(13)에 직접 골함석(30a) 및 함석자켓(60)을 설치한 후 상기 골함석(30a)의 내측에 형성되는 폼 성형공간(39)에 우레탄 폼을 주입 및 팽창시켜 보냉재(50b)를 한 번에 성형할 수도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상기 보냉재를 1, 2차로 구분하여 성형하거나 단독으로 성형하는 것에 관계없이 신규의 구성인 스페이서 지그(J)를 이용하여 우레탄 폼을 주입 및 팽창시켜 보냉재(50)(50a)(50b)를 성형하는 기술구성과 동일 내지 균등한 것에 해당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 해당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스페이서 지그의 후면상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스페이서 지그의 정면상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그라스울이 배관에 설치되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관 외측에 스페이서 지그가 조립 설치된 상태의 일부절결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배관 외측에 스페이서 지그가 조립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분할용 지지테에 골함석이 감김 설치되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1차 폼 성형공간에 보냉재가 성형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스페이서 지그에 골함석이 감김 설치되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페이서 지그에 골함석이 감김 설치된 후 함석자켓이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2차 폼 성형공간에 보냉재가 성형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함석자켓 및 스페이서 지그의 탈거상태 확대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된 1차 구간 보냉재의 시공상태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된 1차 구간의 보냉재와 이격된 상태로 스페이서 지그가 단독으로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 한 쌍의 스페이서 지그의 사이에 보냉재가 한 번에 시공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보냉시공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J: 스페이서 지그 1: 배관
10: 분할 스페이서 11: 몰드면
14: 연결판 17: 분할용 지지테
20: 체결부재 30, 30a: 골함석
31: 1차 폼 성형공간 37: 2차 폼 성형공간
40: 그라스울 50, 50a: 보냉재
55: 분할용 지지홈 60: 함석자켓

Claims (6)

  1. 분할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몰드면(11)의 내, 외측 선단에 배관(1)의 외측을 감싸는 내주판(12) 및 외주판(13)이 각각 부착되며, 상기 몰드면(11) 및 내, 외주판(12)(13)의 상, 하단부에는 연결판(14)이 막음 설치된 다수의 분할 스페이서(10)와;
    상기 연결판(14)에 형성된 연결구멍(14a)을 관통상태로 결합하여 다수의 분할 스페이서(10)를 배관(1)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일체화 조립하는 체결부재(2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몰드면(11)은 우레탄 폼의 주입 및 팽창공정을 1, 2차로 구분하여 실시하기 위한 골함석(30)이 감김 상태로 지지되는 분할용 지지테(17)가 중앙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온 배관의 보냉용 스페이서 지그.
  2. 삭제
  3. 다수의 분할 스페이서(10)를 배관(1)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상호 간 연결하여 배관(1)에 스페이서 지그(J)를 일체로 조립 설치하되 상기 스페이서 지그(J)는 몰드면(11)이 마주하도록 한 쌍을 이격되게 배치하는 스페이서 지그 설치공정(S200)과;
    상기 스페이서 지그(J)에 형성된 분할용 지지테(17)에 골함석(30)을 감김 상태로 설치한 후 골함석(30)을 나사(32)로 일체화 연결하여 골함석(30)의 내측에 1차 폼 성형공간(31)을 형성하는 골함석 1차 설치공정(S300)과;
    상기 골함석(30)에 천공한 폼 주입구멍(35)을 통해 1차 폼 성형공간(31)으로 우레탄 폼을 주입 및 팽창시켜 보냉재(50)를 1차 성형하는 1차 폼 주입 및 팽창공정(S400)과;
    상기 분할 스페이서(10)의 외주판(13)에 골함석(30a) 및 함석자켓(60)을 연속적으로 감김 상태로 설치한 후 짐바(70)를 이용하여 함석자켓(60)의 외측을 묶어주어 상기 골함석(30)(30a)의 사이에 2차 폼 성형공간(37)을 형성하는 골함석 및 함석자켓 설치공정(S500)과;
    상기 함석자켓(60) 및 골함석(30a)에 천공한 폼 주입구멍(35)을 통해 2차 폼 성형공간(37)으로 우레탄 폼을 주입 및 팽창시켜 보냉재(50a)를 2차 성형하는 2차 폼 주입 및 팽창공정(S600)과;
    상기 보냉재(50)(50a)의 성형이 완료된 후 함석자켓(60) 및 스페이서 지그(J)를 해체하여 외부로 탈거하는 자켓 및 지그 탈거공정(S7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온 배관의 보냉용 스페이서 지그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시공법.
  4. 제 3항에 있어서,
    스페이서 지그 설치공정(S200)의 이전 단계에는 초저온 배관(1)의 냉기를 차단하는 그라스울(40)을 미리 설치하여 우레탄 폼의 팽창과정시 냉기를 차단하여 보냉재(50)의 원활한 성형을 가능하게 하는 그라스울 설치공정(S10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온 배관의 보냉용 스페이서 지그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시공법.
  5. 제 3항에 있어서,
    보냉재(50)(50a)의 1차 구간이 완성된 후에는 상기 보냉재(50)(50a)와 마주하도록 스페이서 지그(J)를 단독으로 이격 설치하고, 상기 보냉재(50)(50a)의 사이에 형성된 분할용 지지홈(55) 및 스페이서 지그(J)의 분할용 지지테(17)에는 골함석(30)의 양측을 각각 끼움 및 감김 상태로 1차 설치한 후 순차적으로 1차 폼 주입 및 팽창공정(S400), 골함석 및 함석자켓 설치공정(S500), 2차 폼 주입 및 팽창공정(S600), 자켓 및 지그 탈거공정(S700)을 거치면서 보냉재(50)(50a)의 2차 구간을 완성하며, 이와 같은 과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배관(1)의 전체구간을 보냉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온 배관의 보냉용 스페이서 지그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시공법.
  6. 다수의 분할 스페이서(10)를 배관(1)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상호 간 연결하여 배관(1)에 스페이서 지그(J)를 일체로 조립 설치하되 상기 스페이서 지그(J)는 몰드면(11)이 마주하도록 한 쌍을 이격되게 배치하는 스페이서 지그 설치공정과;
    상기 분할 스페이서(10)의 외주판(13)에 골함석(30a) 및 함석자켓(60)을 연속적으로 감김 상태로 설치한 후 짐바(70)를 이용하여 함석자켓(60)의 외측을 묶어주어 상기 골함석(30a)의 내측에 폼 성형공간(39)을 형성하는 골함석 및 함석자켓 설치공정과;
    상기 함석자켓(60) 및 골함석(30a)에 천공한 폼 주입구멍(35)을 통해 폼 성형공간(39)으로 우레탄 폼을 주입 및 팽창시켜 보냉재(50b)를 성형하는 폼 주입 및 팽창공정과;
    상기 보냉재(50b)의 성형이 완료된 후 함석자켓(60) 및 스페이서 지그(J)를 해체하여 외부로 탈거하는 자켓 및 지그 탈거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온 배관의 보냉용 스페이서 지그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시공법.
KR1020090072450A 2009-08-06 2009-08-06 초저온 배관의 보냉용 스페이서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시공법 KR100943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450A KR100943690B1 (ko) 2009-08-06 2009-08-06 초저온 배관의 보냉용 스페이서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시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450A KR100943690B1 (ko) 2009-08-06 2009-08-06 초저온 배관의 보냉용 스페이서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시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3690B1 true KR100943690B1 (ko) 2010-02-22

Family

ID=42083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450A KR100943690B1 (ko) 2009-08-06 2009-08-06 초저온 배관의 보냉용 스페이서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시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36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854A (ko) 2018-12-20 2020-06-30 한국가스공사 보냉재 스페이서 몰드 구조
KR102595216B1 (ko) * 2023-02-15 2023-10-26 최현우 보강재가 구비된 초저온 배관용 보냉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 시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315A (ja) 1984-07-06 1986-01-28 Sekisui Plastics Co Ltd 断熱方法
JPS63180796U (ko) * 1987-05-13 1988-11-22
JPH1194188A (ja) 1997-09-19 1999-04-09 Benkan Corp 真空断熱体、真空断熱管及び真空断熱熱輸送配管
KR100235770B1 (ko) * 1990-07-26 2000-03-02 시로오 가나오 조인트가 부착된 파형관에 조인트를 일체로 형성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315A (ja) 1984-07-06 1986-01-28 Sekisui Plastics Co Ltd 断熱方法
JPS63180796U (ko) * 1987-05-13 1988-11-22
KR100235770B1 (ko) * 1990-07-26 2000-03-02 시로오 가나오 조인트가 부착된 파형관에 조인트를 일체로 형성하는 방법
JPH1194188A (ja) 1997-09-19 1999-04-09 Benkan Corp 真空断熱体、真空断熱管及び真空断熱熱輸送配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854A (ko) 2018-12-20 2020-06-30 한국가스공사 보냉재 스페이서 몰드 구조
KR102595216B1 (ko) * 2023-02-15 2023-10-26 최현우 보강재가 구비된 초저온 배관용 보냉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 시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2969B2 (ja) 低温タンクの断熱構造および断熱施工方法
AU2014220530B2 (en) Method for producing a sealed and thermally insulating barrier for a storage tank
US10533707B2 (en) Ground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033169B2 (ja) 陸上用液化ガス貯蔵タンクの二重防壁及びその建設方法
US10252490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inforced pipe insulation
KR100943690B1 (ko) 초저온 배관의 보냉용 스페이서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시공법
KR100933309B1 (ko) 초저온 배관의 보냉용 스페이서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시공법
KR101673866B1 (ko) 보냉성이 우수한 초저온 배관용 보냉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시공법
JP2007270442A (ja) アンカー部材固定方法とアンカー部材連結体
KR20180071457A (ko) 진공 단열 배관, 그 조립체 및 제조 방법
JP2018066395A (ja) 保温構造、及び配管に該保温構造を取りつける方法
KR101865674B1 (ko) 고성능 단열 구조재가 적용된 중대형 lpg 운반선 화물창, 그 중대형 lpg 운반선 화물창 제조방법, 및 그 고성능 단열 구조재
KR102595209B1 (ko) 결합력이 우수한 초저온 배관용 보냉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 시공법
KR101404011B1 (ko) 보온관과 그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배관의 시공방법과 보수방법 및 단열 시공방법, 이중 보온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595216B1 (ko) 보강재가 구비된 초저온 배관용 보냉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배관의 보냉 시공법
KR101540848B1 (ko) 지상 액체저장탱크
KR20120067897A (ko) 조립식 연결부재를 갖는 건축용 단열재
KR100379639B1 (ko) 저온 물질 이송용 배관의 보냉 단열재 구조
KR20150007156A (ko) 지상 액체저장탱크
CN213703901U (zh) 一种混凝土预制构件养护结构及混凝土预制构件成型系统
KR100937682B1 (ko) 축열조의 측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08233B1 (ko) 복합 소재의 셀로 이루어진 액체화물창용 단열 패널 구조체 및 이것의 제작 방법
KR20190024341A (ko) Lng 이송파이프의 단열구조
JP5752533B2 (ja) 液化ガスタンクの保冷構造、液化ガスタンク及び浮体構造物
WO2020149392A1 (ja) 低温流体用タンクの断熱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