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247B1 -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247B1
KR101123247B1 KR1020090132148A KR20090132148A KR101123247B1 KR 101123247 B1 KR101123247 B1 KR 101123247B1 KR 1020090132148 A KR1020090132148 A KR 1020090132148A KR 20090132148 A KR20090132148 A KR 20090132148A KR 101123247 B1 KR101123247 B1 KR 101123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lug
connection sheet
tub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5647A (ko
Inventor
민철기
손용근
박성렬
김도경
최병호
박인탁
이완근
신동일
장경식
차정욱
Original Assignee
박인탁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탁,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filed Critical 박인탁
Priority to KR1020090132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2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75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 F16L59/18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adapted for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2Electrically insulating joints or couplings
    • F16L25/025Electrically insulating joints or couplings for joints with sleeve or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는, 내관의 외부를 외관이 감싸고 내관과 외관의 사이에 보온재가 충전된 이중 보온관들의 각 외관을 연결하는 연결 시트에 마련되는 관통 구멍을 막기 위한 것으로, 관통 구멍을 덮을 수 있도록 관통 구멍보다 넓은 크기를 갖고 연결 시트에 융착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융착부재와, 고주파를 받아 융착부재를 용융시킬 수 있도록 연결 시트와 융착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전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는 두 이중 보온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시트에 고주파 융착됨으로써 연결 시트에 마련되는 관통 구멍을 신속하고 견고하게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COVERING UNIT USED IN CONNECTING PRE-INSULATED PIPE AND CONNECTION METHOD FOR PRE-INSULATED PIPE USING IT}
본 발명은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 보온관의 연결에 사용되는 연결 시트의 관통 구멍을 막기 위한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서는 다양한 용도의 다양한 유체가 공급되어 사용되며, 이러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하여 배관이 이용된다.
배관의 종류 및 형상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다양하며, 이중 내관, 외관 및 내관과 외관 사이에 보온재가 충전된 관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내관-보온재-외관으로 이루어진 관은 다중배관 또는 이중 보온관 등의 명칭으로 불리운다(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이중 보온관'으로 통일하여 호칭한다). 이러한 이중 보온관은 냉?난방배관, 온천수 이송관, 초저온 냉매 배관, 스팀배관, 또는 소방배관 등으로 활용된다.
이중 보온관은 규격화된 길이로 생산되며, 실제 현장에서는 단위 길이의 이중 보온관을 연결하여 배관작업을 수행한다. 이중 보온관은 그 구조적 특이성으로 인하여 서로 연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현재 이중 보온관의 연결을 위하여 사용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금속 케이스인 슬리브를 이용하는 연결방법과 열수축 시트를 이용하는 연결방법이 있다.
금속 케이스를 이용하는 연결방법은 금속재의 슬리브와 조인트 체결구 등을 이용하여 이중 보온관을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연결방법은 구조적으로 부식에 약할 뿐 아니라 외부의 충격과 진동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열수축 시트를 이용하는 배관의 연결방법은 내관을 먼저 용접 결합하고, 각 배관에서 외관의 표면에 열수축 시트를 결합한 후 열수축 시트와 접착재를 토오치 불꽃에 의하여 외관의 표면에 녹여서 부착시켜 배관을 연결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연결방법 이외에, 전기융착 시트를 이용하는 연결방법이 있다. 전기융착 시트를 이용하는 연결방법은, 먼저 내관을 용접하고, 발열체가 내장된 판상의 전기융착 시트를 외관의 외주면에 감싼 후, 전기융착 시트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기융착 시트를 외관에 융착시킴으로서 이중 보온관들을 연결하는 방법이다.
상술한 열수축 시트나 전기융착 시트 등 연결 시트를 이용하는 배관의 연결방법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두 이중 보온관의 연결 부위에는 연결 시트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 연결부 공간을 그대로 두면 이중 보온관의 연결 부위의 단열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이 연결부 공간을 열전달계수가 낮은 발포 수지로 메우기도 한다.
두 이중 보온관 사이의 연결부 공간에 발포 수지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외관에 융착된 연결 시트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이 관통 구멍을 통해 발포 수지를 주입하게 된다. 이렇게 내관과 연결 시트 사이의 연결부 공간에 발포 수지를 일정량 주입하면, 주입된 발포 수지가 팽창함으로써 연결부 공간을 메우게 된다. 그리고 발포 수지를 주입하기 위해 연결 시트에 형성한 관통 구멍은 적절한 수단으로 메워주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중 보온관의 연결에 사용되는 연결 시트의 관통 구멍을 견고하게 막을 수 있는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는, 내관의 외부를 외관이 감싸고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의 사이에 보온재 가 충전된 이중 보온관들의 각 외관을 연결하는 연결 시트에 마련되는 관통 구멍을 막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관통 구멍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관통 구멍보다 넓은 크기를 갖고, 상기 연결 시트에 융착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융착부재; 및 고주파를 받아 상기 융착부재를 용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 시트와 상기 융착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전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융착부재는 상기 관통 구멍을 덮기 위한 덮개부 및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부의 일면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전도체는 상기 삽입돌기가 통과할 수 있는 삽입 구멍을 갖거나, 상기 융착부재의 용융된 용융물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통과 구멍을 갖는다.
상기 융착부재의 상기 연결 시트와 대면하는 일면에는 상기 전도체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통과 구멍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마련된다.
상기 전도체는 그 둘레에 상기 융착부재의 용융된 용융물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통과 홈을 갖는다.
상기 융착부재의 상기 연결 시트와 대면하는 일면에는 상기 전도체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통과 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융착부재의 상기 연결 시트와 대면하는 일면에는 상기 전도체를 수용하기 위한 설치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융착부재의 상기 연결 시트와 대면하는 일면에는 상기 융착부재가 용융될 때 상기 융착부재의 용융된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마련된다.
상기 융착부재의 상기 연결 시트에 접하지 않는 타면에는 상기 융착부재의 상기 연결 시트에 접하는 일면이 용융될 때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지시홈이 마련되며, 상기 지시홈의 내부에는 상기 융착부재의 상기 연결 시트에 접하는 일면이 용융될 때 자세가 변형될 수 있는 지시돌기가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은, a) 내관, 상기 내관의 외부를 감싸는 외관 및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의 사이에 개재되는 보온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관의 양쪽 끝단의 외주면이 외부로 노출된 복수의 이중 보온관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이중 보온관들을 연결 위치에 정렬하는 단계; c) 상기 이중 보온관들의 상기 각 내관의 끝단을 서로 접합하는 단계; d) 상기 이중 보온관들의 연결 부위를 덮기 위해 상기 각 외관의 외주면에 연결 시트를 결합하는 단계; e) 상기 연결 시트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상기 내관들과 상기 연결 시트 사이에 마련되는 연결부 공간에 발포성 보온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 g) 상기 관통 구멍보다 넓은 크기를 갖고 상기 연결 시트에 융착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융착부재로 상기 관통 구멍을 덮고, 고주파를 받아 상기 융착부재를 용융시킬 수 있는 전도체를 상기 연결 시트와 상기 융착부재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및 h) 상기 전도체에 고주파를 가해 상기 융착부재를 상기 연결 시트에 융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항 상기 g) 단계 이전에 상기 융착부재 및 상기 전도체를 수용할 수 있는 장착홈을 상기 연결 시트의 상기 관통 구멍 주위에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는 두 이중 보온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시트에 고주파 융착됨으로써 연결 시트에 마련되는 관통 구멍을 신속하고 견고하게 막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용 마개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및 서로 연결될 두 이중 보온관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30)는 두 개의 이중 보온관(1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시트(20)에 마련되는 관통 구멍(21)을 막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이중 보온관(10)은 내관(11), 내관(11)을 감싸는 외관(12) 및 내관(11)과 외관(12) 사이에 개재되는 보온재(13)를 포함한다. 내관(11)으로는 각종 금속관 또는 플라스틱관이 이용될 수 있고, 외관(12)으로는 플라스틱관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보온재(13)로는 폴리우레탄 폼, 실리카, 펄라이트, 유리면, 암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연결 시트(20)는 이중 보온관들(10)의 각 내관(11)의 끝단이 접합되는 부분을 감싸기 위한 것으로, 이중 보온관들(10)의 각 외관(12)에 접합된다. 연결 시트(20)는 외관(1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말린 후 양쪽 끝단이 접합됨으로써 두 이중 보온관(10)의 연결 부위를 감싸게 된다. 이러한 연결 시트(20)로는 잘 알려진 것과 같은 열수축 시트나 전기융착 시트 또는 관상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연결 시트(20)가 각 외관(12)의 둘레를 감싸는 것에 의해 내관(11)과 연결 시트(20)의 사이에는 연결부 공간(15)이 마련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30)는 연결 시트(20)에 고주파 융착되는 것으로, 연결 시트(20)에 융착되는 융착부재(31)와 연결 시트(20)와 융착부재(31) 사이에 배치되어 융착부재(31)를 용융시키는 전도체(34)를 포함한다. 융착부재(31)는 관통 구멍(21)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관통 구멍(21)보다 넓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덮개부(32)와 관통 구멍(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덮개부(32)의 일면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삽입돌기(33)를 포함한다. 덮개부(32)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연결 시트(20)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삽입돌기(33)는 관통 구멍(21)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져 관통 구멍(21)을 막는다. 융착부재(31)는 연결 시트(20)에 융착될 수 있도록 연결 시트(20)와 같은 재질 또는 다양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도체(34)는 삽입돌기(33)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에 삽입 구멍(35)이 마련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전도체(34)의 삽입 구멍(35) 둘레에는 복수의 통과 구멍(36)이 마련된다. 고주파 융착기(40)의 작용으로 융착부재(31)가 부분적으로 용융될 때 융착부재(31)의 용융된 용융물이 복수의 통과 구멍(36)을 통과함으로써 융착부재(31)가 더욱 신속하고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다.
마개(30)는 고주파 융착기(40)에 의해 연결 시트(20)에 융착된다. 융착부재(31)와 전도체(34)를 연결 시트(20)에 배치한 후 고주파 융착기(40)를 작동시키면,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과 같이 고주파의 작용으로 전도체(34)가 맞닿는 융착부재(31) 및 연결시트(20)를 용융시킴으로써 융착부재(31)가 연결 시트(20)에 융착된다. 융착부재(31) 및 전도체(34)는 도시된 것 이외에 관통 구멍(21)을 막을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를 이용하여 이중 보온관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관(11), 외관(12) 및 보온재(13)를 포함하는 이중 보온관(10)을 준비하고, 서로 연결할 이중 보온관들(10)을 연결 위치에 정렬한다. 이때, 두 이중 보온관(10)의 각 내관(11) 및 각 외관(12)을 일직선상에 위치시킨다. 이후, 내관(11)의 재질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두 내관(11)을 결합한 다. 예컨대, 내관(11)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두 내관(11)은 맞대기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 시트(20)를 두 외관(12)의 둘레에 감아 두 이중 보온관(10)의 연결 부위를 덮는다. 연결 시트(20)로는 가열에 의해 각 외관(12)에 융착될 수 있는 열수축 시트나 전기융착 시트 등 두 개의 외관(12)을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 시트(20)의 일측에 관통 구멍(21)을 형성하고, 관통 구멍(21)을 통해 연결 시트(20)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부 공간(15)으로 발포성 보온 물질(50)을 주입한다. 발포성 보온 물질(50)로는 폴리우레탄 폼 등 폼 형태로 이루어져 부피가 팽창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발포성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연결부 공간(15)에 일정량의 발포성 보온 물질(50)을 주입하고 나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관통 구멍(21)에 플러그(60)를 결합한다. 여기에서, 플러그(60)는 발포성 보온 물질(50)의 주입 후에 관통 구멍(21)에 결합됨으로써, 발포성 보온 물질(50)이 관통 구멍(21)을 막지 못하게 하고 연결부 공간(15)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플러그(6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헤드부(61), 바디부(62) 및 외경 축소부(63)를 포함한다. 바디부(62)는 일정한 외경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헤드부(61)는 바디부(62)의 일단에 바디부(62)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마련된다. 외경 축소부(63)는 바디부(62)의 타단에서 연장된 것으로, 바디부(62)에서 멀 어질수록 외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플러그(60)가 연결 시트(20)의 관통 구멍(21) 속으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고 관통 구멍(21)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바디부(62)는 그 외경이 관통 구멍(21)의 직경에 상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헤드부(61)는 그 외경이 관통 구멍(21)의 직경보다 큰 크기로 이루어진다.
플러그(60)의 내부에는 복수의 배기 구멍(64)이 형성되고, 플러그(6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배기 홈(65)이 마련된다. 이들 배기 구멍(64)과 배기 홈(65)은 연결 시트(20)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부 공간(15)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배기 구멍(64)은 헤드부(61)에서 외경 축소부(63)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배기 홈(65)은 헤드부(61)에서 외경 축소부(63)의 일부분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관통 구멍(21)에 플러그(60)가 삽입되면, 연결부 공간(15)과 외부 공간은 플러그(60)에 마련된 복수의 배기 구멍(64) 및 복수의 배기 홈(65)을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발포성 보온 물질(50)이 팽창할 때 연결부 공간(15)의 공기가 이들 배기 구멍(64) 및 배기 홈(6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60)는 팽창하는 발포성 보온 물질(50)이 관통 구멍(21)을 막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 공간(15)의 안쪽을 향해 돌출된 플러그(60)의 하단부가 팽창하여 관통 구멍(21) 쪽으로 확산되는 발포성 보온 물질(50)과 접함으로써 발포성 보온 물질(50)이 관통 구멍(21)으로 접근하지 못하게 막는다. 따라서, 발포성 보온 물질(50)이 플러그(60)의 둘레를 완전히 덮을 때까지 연결부 공간(15)의 공기는 배기 구멍(64)이나 배기 홈(6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렇게 연결부 공간(15)의 공기가 발포성 보온 물질(50)이 플러그(60)의 둘레를 완전히 덮을 때까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팽창하는 발포성 보온 물질(50)은 연결부 공간(15)에 균일하게 충전될 수 있다.
플러그(60)의 바디부(62)와 외경 축소부(63)의 사이에는 걸림돌기(66)가 마련된다. 걸림돌기(66)는 연결 시트(20)의 관통 구멍(21)에 삽입된 플러그(60)가 관통 구멍(21)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한다. 연결부 공간(15)의 발포성 보온 물질(50)이 팽창할 때 관통 구멍(21)에 삽입된 플러그(60)를 바깥 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걸림돌기(66)가 관통 구멍(21)의 가장자리에 걸림으로써 플러그(60)는 관통 구멍(21)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걸림돌기(66)는 경사면(67)을 가지고 있어서 관통 구멍(21)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다. 걸림돌기(66)가 바디부(6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길이는 헤드부(61)가 바디부(6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길이보다 작다.
공정에 따라서는 상기 플러그(60)를 결합하는 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즉 관통 구멍(21)을 통해 연결부 공간(15)으로 발포성 보온 물질(50)을 주입하고, 발포성 보온 물질(50)이 플러그의 결합 없이 팽창하여 연결부 공간(15)을 채우도록 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발포성 보온 물질(50)의 확산이 완료되어 연결부 공간(15)이 발포성 보온 물질(50)로 완전히 충전되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관통 구멍(21)을 마개(30)로 덮고 고주파를 가한다. 이 경우 관통 구멍(21)에 플러그(60)가 결합되 어 있다면 이를 먼저 분리한다. 이때 마개(30)의 삽입돌기(33)를 관통 구멍(21)에 삽입하고 융착부재(31)로 관통 구멍(21)을 덮는다. 그리고 전도체(34)는 연결 시트(20)와 융착부재(31) 사이에 위치시킨다.
융착부재(31)와 전도체(34)를 연결 시트(20)에 배치한 후 고주파 융착기(40)를 작동시키면, 전도체(34)가 고주파를 받아 융착부재(31) 및 연결 시트(20)의 외주면을 부분적으로 용융시킨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융착부재(31)가 연결 시트(20)에 융착되고, 전도체(34)는 융착부대(31)와 연결시트(20)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관통 구멍(21)은 마개(30)에 의해 견고하게 막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30)는 연결 시트(20)에 고주파 융착됨으로써 연결 시트(20)에 마련되는 관통 구멍(21)을 신속하고 견고하게 막을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마개를 이용하여 연결 시트의 관통 구멍을 막는 다른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관통 구멍(21)의 둘레에 융착부재(31) 및 전도체(34)를 수용할 수 있는 장착홈(22)을 형성하고, 이 장착홈(22)에 융착부재(31) 및 전도체(34)를 배치한 후 고주파를 가하여 융착부재(31)를 연결시트(20)에 융착하는 것이다. 이 경우, 융착부재(31) 및 전도체(34)가 연결 시트(20)에 완전히 매립될 수 있으므로, 연결 시트(20)의 외주면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마개(70)는 연결 시트(20)에 융착되는 융착부재(71)와 연결 시트(20)와 융착부재(71) 사이에 배치되는 전도체(80)를 포함한다. 융착부재(71)는 관통 구멍(21)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덮개부(72)와 관통 구멍(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덮개부(72)의 일면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삽입돌기(73)를 포함한다.
덮개부(72)의 삽입돌기(73) 둘레에는 전도체(80)가 삽입되는 설치홈(74)이 마련되고, 설치홈(74)의 둘레에는 수용홈(75)이 형성된다. 수용홈(75)은 고주파에 의한 전도체(80)의 작용으로 융착부재(71)가 용융될 때 융착부재(71)의 용융된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융착부재(71)가 연결 시트(20)에 융착될 때 융착부재(71)의 용융된 부분이 수용홈(75)에 수용됨으로써, 융착부재(71) 안쪽의 용융된 부분이 융착부재(71)의 바깥 쪽으로 누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융착부재(71)의 타면에는 복수의 지시홈(76)이 마련된다. 지시홈(76)의 안쪽에는 지시돌기(77)가 구비된다. 융착부재(71) 및 전도체(80)를 연결 시트(20)에 배치한 후 고주파 융착기(40)로 고주파를 가할 때, 융착부재(71)의 안쪽 부분이 용융되므로 작업자는 융착부재(71)가 용융되는지 쉽게 확인할 수 없다. 지시홈(76) 및 지시돌기(77)는 융착부재(71)가 용융되는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융착부재(71)가 용융될 때 지시홈(76)의 형상이나 지시돌기(77)의 각도, 돌출 높이 등의 자세 변화가 발생하므로, 작업자는 이를 통해 융착부재(71)가 용융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설치홈(74)에는 복수의 고정돌기(78)가 구비된다. 복수의 고정돌기(78)는 전도체(80)를 설치홈(74)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전도체(80)가 설치홈(74)에 삽입될 때, 삽입 구멍(81)에 융착부재(71)의 삽입돌기(73)가 삽입되고 복수의 고정돌기(78)가 전도체(80)의 복수의 통과 구멍(82)에 결합됨으로써 전도체(80)는 융착부재(71)에 고정된다.
또한 설치홈(74)이 마련되지 않고, 고정돌기(78)가 융착부재(71)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도체(80)의 통과구멍(82)에 복수의 고정돌기(78)가 직접 결합됨으로써 전도체(80)는 융착부재(71)에 고정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마개(90)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마개(80)와 대부분의 구성이 같고, 다만 전도체(91)의 구조만 다른 것이다. 전도체(91)는 융착부재(71)의 삽입돌기(73)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구멍(92)을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삽입 구멍(92)의 둘레에는 융착부재(71)의 용융물이 유동할 수 있는 복수의 통과 홈(92)이 마련된다. 통과 홈(92)은 전도체(91)의 둘레로부터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도체(91)는 융착부재(71)의 설치홈(74) 또는 융착부재(71)에 결합될 때 복수의 고정돌기(78)가 일부 통과 홈(92)에 삽입됨으로써 융착부재(71)에 결합된다. 전도체(91)를 융착부재(71)에 더욱 단단히 결합하기 위해 통과 홈(93)에 삽입된 고정돌기(78)를 열과 압력을 가해 압착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 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및 연결될 두 이중 보온관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및 연결 시트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두 이중 보온관의 내관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연결 시트에 관통 구멍을 마련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연결 시트의 관통 구멍을 통해 두 이중 보온관의 사이에 마련되는 연결부 공간에 발포성 보온 물질을 주입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연결 시트의 관통 구멍에 플러그를 결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플러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연결 시트의 관통 구멍을 마개로 덮고 마개에 고주파를 가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연결 시트의 관통 구멍을 마개가 막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를 이용하여 연결 시트의 관통 구멍을 막는 다른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및 연결 시트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및 연결 시트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중 보온관 11 : 내관
12 : 외관 13 : 보온재
15 : 연결부 공간 20 : 연결 시트
21 : 관통 구멍 22 : 장착홈
30, 70, 90 : 마개 31, 71 : 융착부재
32, 72 : 덮개부 33, 73 : 삽입돌기
34, 80, 91 : 전도체 35, 81, 92 : 삽입 구멍
36, 82 : 통과 구멍 40 : 고주파 융착기
50 : 발포성 보온 물질 60 : 플러그

Claims (13)

  1. 내관의 외부를 외관이 감싸고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의 사이에 보온재가 충전된 이중 보온관들의 각 외관을 연결하는 연결 시트에 마련되는 관통 구멍을 막기 위한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관통 구멍보다 넓은 크기를 갖고, 상기 연결 시트에 융착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융착부재; 및
    고주파를 받아 상기 융착부재를 용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 시트와 상기 융착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전도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도체는 상기 융착부재의 용융된 용융물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통과 구멍 또는 통과 홈을 가지고, 상기 융착부재의 상기 연결 시트와 대면하는 일면에는 상기 전도체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통과 구멍 또는 통과 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재는 상기 관통 구멍을 덮기 위한 덮개부 및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부의 일면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는 상기 삽입돌기가 통과할 수 있는 삽입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재의 상기 연결 시트와 대면하는 일면에는 상기 전도체를 수용하기 위한 설치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재의 상기 연결 시트와 대면하는 일면에는 상기 융착부재가 용융될 때 상기 융착부재의 용융된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재의 상기 연결 시트에 접하지 않는 타면에는 상기 융착부재의 상기 연결 시트에 접하는 일면이 용융될 때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지시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홈의 내부에는 상기 융착부재의 상기 연결 시트에 접하는 일면이 용융될 때 자세가 변형될 수 있는 지시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12. 삭제
  13. 삭제
KR1020090132148A 2009-12-28 2009-12-28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KR101123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148A KR101123247B1 (ko) 2009-12-28 2009-12-28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148A KR101123247B1 (ko) 2009-12-28 2009-12-28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647A KR20110075647A (ko) 2011-07-06
KR101123247B1 true KR101123247B1 (ko) 2012-03-21

Family

ID=44915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148A KR101123247B1 (ko) 2009-12-28 2009-12-28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2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011B1 (ko) * 2012-08-03 2014-06-10 박인탁 보온관과 그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배관의 시공방법과 보수방법 및 단열 시공방법, 이중 보온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791187B1 (ko) 2017-05-19 2017-11-07 (주)디에이치티엔에스 온도변화에 따른 변위 발생과 발생 응력의 최소화로 직접 매설이 가능한 이중 보온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이중 보온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462B1 (ko) * 2011-08-04 2013-12-0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차단 핏팅용 이중보온관 전기융착시트의 시공방법
KR101561031B1 (ko) * 2015-02-26 2015-10-26 (주)썬패치테크노 관연결부의 누설방지 및 보호장치와 관연결부의 누설방지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3189A (ko) * 2003-11-25 2006-12-01 페트로 테크닉 리미티드 파이프와 벽 사이의 연결체
KR100699517B1 (ko) * 2005-06-14 2007-03-23 김태연 누수 방지를 위한 맨홀 연결용 지수단관의 구조
KR100912857B1 (ko) * 2008-02-26 2009-08-18 김진만 이중보온관 열 수축 포밍홀의 웰딩 플러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3189A (ko) * 2003-11-25 2006-12-01 페트로 테크닉 리미티드 파이프와 벽 사이의 연결체
KR100699517B1 (ko) * 2005-06-14 2007-03-23 김태연 누수 방지를 위한 맨홀 연결용 지수단관의 구조
KR100912857B1 (ko) * 2008-02-26 2009-08-18 김진만 이중보온관 열 수축 포밍홀의 웰딩 플러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011B1 (ko) * 2012-08-03 2014-06-10 박인탁 보온관과 그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배관의 시공방법과 보수방법 및 단열 시공방법, 이중 보온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791187B1 (ko) 2017-05-19 2017-11-07 (주)디에이치티엔에스 온도변화에 따른 변위 발생과 발생 응력의 최소화로 직접 매설이 가능한 이중 보온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이중 보온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647A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245B1 (ko)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과 이를 갖는 이중 보온관 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KR101123247B1 (ko)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KR101187761B1 (ko) 파이프 연결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방법
KR101975142B1 (ko) 이중 보온관 연결용 지지유닛과 이를 갖는 이중 보온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KR101737346B1 (ko)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 그 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연결방법
JP2016525956A (ja) 配管系の設置及び修理の方法及び装置
NO840899L (no) Gjenisolering av roerskjoeter
KR101878233B1 (ko) 열선이 내장된 열수축케이싱, 열수축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123246B1 (ko) 이중 보온관 연결용 플러그와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JP2018003973A (ja) 凍結防止用配水管、及びフランジ継手
KR20060083050A (ko) 열수축성관
KR101635426B1 (ko)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연결방법
KR102404567B1 (ko) 이중 보온관용 열수축 케이싱, 이중 보온관용 열수축 케이싱 제조 방법 및 이중 보온관용 열수축 케이싱 시공 방법
KR100829532B1 (ko) 전기융착을 이용한 다중배관 접속구조 및 시공방법
KR102520246B1 (ko) 이중보온관용 엔드 플러그
KR101404011B1 (ko) 보온관과 그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배관의 시공방법과 보수방법 및 단열 시공방법, 이중 보온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EP2580511B1 (en) Shrink sleeve for joining insulated pipes
RU2267687C1 (ru) Термоусаживающаяся муфта
KR102251580B1 (ko) 이중 보온관 접속용 레듀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98682B1 (ko) 가요성을 갖는 현장제작용 이중보온관 엘보우 시공방법 및 그 방법으로 시공된 이중보온관 엘보우
KR101400290B1 (ko) 관이음용 열수축 슬리이브
KR200387864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20170031876A (ko) 외부자켓을 이용한 이중 보온관 이음부 보수 시공방법
KR200417002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JP2001004221A (ja) 湯沸し器を製造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