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730B1 - 컨테이너 상.하역장치 및 이를 활용한 운송방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상.하역장치 및 이를 활용한 운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730B1
KR101472730B1 KR1020140097487A KR20140097487A KR101472730B1 KR 101472730 B1 KR101472730 B1 KR 101472730B1 KR 1020140097487 A KR1020140097487 A KR 1020140097487A KR 20140097487 A KR20140097487 A KR 20140097487A KR 101472730 B1 KR101472730 B1 KR 101472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gon
lift
ferries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1233A (ko
Inventor
서승일
유재균
문대섭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97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730B1/ko
Publication of KR20140111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73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리선 내부에 구비된 하역장에 컨테이너 상.하역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상.하역장치를 통하여 화차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화차에서 신속하게 하역한 후 화차는 페리선에서 인출하고 컨테이너만을 페리선에 하역하여 컨테이너만을 수송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상. 하역장치 및 이를 활용한 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에 따른 본 발명은, 페리선의 하역장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좌우측으로 대응되게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다수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51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이드(530), 상기 가이드(530)에 구비되어 전후, 상하이동되는 리프트(550), 상기 리프트(550)를 전후, 상하이동시키는 모터(560, 570); 및 감지센서(110) 및 표시등(130)으로 구성된 안내장치(100)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상. 하역장치(500)에 있어서,
상기 안내장치(100)의 감지센서(110)는 화차가 페리선의 하역장에 진입하면 정한 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되 화차가 정한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면 계속 진행하라는 신호를 표시등(130)에 송신하고, 화차가 정한 위치에 도달하면 진행중지의 신호를 표시등(130)에 송신하며, 화차가 정한 위치에 정착하면 신호를 상. 하역장치(500)에 송신하고,
감지센서(110)가 컨테이너의 삽입공의 위치를 감지하면 상. 하역장치의 모터(560, 570)가 작동됨에 따라 리프트(550)의 4개의 포크(551)가 상기 삽입공에 동시에 삽입되어 리프트(550)를 상승시키고,
감지센서(110)가 화차로부터 컨테이너가 인출된 것을 감지하면 화차를 페리선의 하역장에서 인출하라는 신호를 표시등(130)에 보내며,
화차가 인출된 것을 감지센서(110)가 감지하면 상. 하역장치의 모터(570)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리프트(550)가 하강되면서, 감지센서(110)가 감지한 페리선 바닥의 체결구 위치에 상기 컨테이너가 안착되어 고정장치에 자동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상.하역장치 및 이를 활용한 운송방법{Efficient train-ferry transportation system using simultaneous lifting devices}
본 발명은 컨테이너 상. 하역장치 및 이를 활용한 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페리선 내부에 구비된 하역장에 컨테이너 상.하역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상.하역장치를 통하여 화차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화차에서 신속하게 하역한 후 화차는 페리선에서 인출하고 컨테이너만을 페리선에 하역하여 컨테이너만을 수송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상. 하역장치 및 이를 활용한 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가 간의 교역 또는 지역 간의 화물의 운송으로 인해 해상물동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운송 또는 교역에 의해 컨테이너를 이용한 물류수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방식은 육상수송과 해상수송으로 대별되고 있다.
해상수송의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차에 화물이 실린 컨테이너를 적재한 후 화차를 운송선인 페리선에 상역한 후 화차를 화물창고에 고정하여 운송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철도를 통한 수송은 비용이 저렴하고 안정적인 수송이 가능하지만 공로와의 연결지역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운송을 할 경우 국가간 화차의 이동시 화차의 소유권 및 공화차의 관리상 문제가 있어 열차-페리 활용이 지체되고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철도를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수송하기 위해서는 하역장에 컨테이너를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직배송(DTD(Door to door)) 및 실시간 배송(JIT(Just in time))이 곤란하거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페리선 내부에 구비된 하역장에 컨테이너 상.하역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상.하역장치를 통하여 화차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화차에서 신속하게 하역한 후 화차는 페리선에서 인출하고 컨테이너만을 페리선에 하역하여 컨테이너만을 수송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상. 하역장치 및 이를 활용한 운송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 예에 의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 컨테이너 상. 하역장치는, 페리선의 하역장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좌우측으로 대응되게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다수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51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이드(530), 상기 가이드(530)에 구비되어 전후, 상하이동되는 리프트(550), 상기 리프트(550)를 구동시키는 모터(560, 570); 및 감지센서(110) 및 표시등(130)으로 구성된 안내장치(100)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상. 하역장치(500)에 있어서,
상기 안내장치(100)의 감지센서(110)는 화차가 페리선의 하역장에 진입하면 정한 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되 화차가 정한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면 계속 진행하라는 신호를 표시등(130)에 송신하고, 화차가 정한 위치에 도달하면 진행중지의 신호를 표시등(130)에 송신하며, 화차가 정한 위치에 정착하면 신호를 상. 하역장치(500)에 송신하고,
감지센서(110)가 컨테이너의 삽입공의 위치를 감지하면 상. 하역장치의 모터(560, 570)가 작동됨에 따라 리프트(550)의 4개의 포크(551)가 상기 삽입공에 동시에 삽입되어 리프트(550)를 상승시키고,
감지센서(110)가 화차로부터 컨테이너가 인출된 것을 감지하면 화차를 페리선의 하역장에서 인출하라는 신호를 표시등(130)에 보내며,
화차가 인출된 것을 감지센서(110)가 감지하면 상. 하역장치의 모터(570)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리프트(550)가 하강되면서, 감지센서(110)가 감지한 페리선 바닥의 체결구 위치에 상기 컨테이너가 안착되어 고정장치에 자동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 컨테이너 상. 하역장치를 활용한 운송방법은,
화차가 페리선의 하역장에 진입하면 감지센서가 정한 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여, 화차가 정한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면 계속 진행하라는 신호를 표시등(130)에 송신하고, 화차가 정한 위치에 도달하면 진행중지의 신호를 표시등(130)에 송신하는 단계(S100);
안내장치(100)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 상.하역장치(500)는 모터(560)가 작동됨에 따라 리프트(550)가 베이스 플레이트(510)를 따라 컨테이너 측으로 이동하되, 리프트에 구비된 포크(551)가 컨테이너의 하부에 구비된 삽입공에 삽입되는 단계(S300);
리프트(550)가 컨테이너로 이동하면 모터(570)가 작동되면서 리프트(550)가 가이드(530)를 따라 수직상승하고, 이에 따라 컨테이너도 같이 상승하여 화차에서 컨테이너가 인출되는 단계(S500);
화차에서 컨테이너가 인출되면 화차를 페리선의 하역장에서 인출하는 단계(700);
화차가 페리선에서 인출되면 리프트(550)를 하강시키는 단계(S900);
리프트(550)가 하강함에 따라 컨테이너도 하강되어 자동으로 체결되는 고정장치에 의해 페리선에 고정되는 단계(S1100);
컨테이너를 페리선의 고정장치에 고정한 후 목적지까지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단계(S1130); 목적지까지 수송한 후 하역과정을 역순으로 하여 화차에 컨테이너를 안착시켜 최종 목적지까지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단계(S1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 컨테이너 상. 하역장치 및 이를 활용한 운송방법은 페리선 내부에 구비된 하역장에 컨테이너 상.하역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상.하역장치를 통하여 화차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화차에서 신속하게 하역한 후 화차는 페리선에서 인출하고 컨테이너만을 페리선에 하역하여 컨테이너만을 수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고 빠르게 운송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물품이 적재된 컨테이너만을 하역하여 수송함으로써 국가간 화차의 이동시 화차의 소유권 및 공화차의 관리상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물품이 적재된 컨테이너만을 수송함으로써 페리선을 무게감소 또는 그에 따른 더 많은 물품을 운송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운송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상. 하역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상. 하역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상. 하역장치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 예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페리선의 하역장에 진입된 화차가 정한 위치에 정차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장치(100)와; 페리선의 하역장에 구비되어 화차를 통하여 페리선의 하역장에 진입된 컨테이너를 화차에서 상.하역하는 상.하역장치(500)로 구성된다.
안내장치(100)는 페리선의 하역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진입된 화차가 하역장의 정한 위치에 정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진입된 화차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10)와 감지센서(110)의 신호를 화차의 운전자에게 송신하는 표시등(130)으로 이루어진다.
즉, 페리선의 하역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화차가 진입하면 상.하역장치(500)에 구비된 감지센서(110)가 화차를 감지하되 정한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면 계속 진행하라는 신호를 표시등(130)에 송신하게 된다.(표시등의 표시는 색상 예/파란 계통의 색상 또는 진입이라는 문자 등으로 표시할 수 있음)
그리고 화차가 정한 위치에 도달하며 진행중지의 신호를 표시등에 송신하게 된다.(표시등의 표시는 색상 예/빨강 계통의 색상 또는 진입중지라는 문자 등으로 표시할 수 있음)
그리고 화차가 정한 위치에 정착하면 신호를 상.하역장치(500)에 보내 상.하역장치(500)가 컨테이너를 화차에서 인출하여 페리선에 하역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110)는 센싱을 통해 컨테이너의 삽입공의 위치를 찾아내고 포크를 넣어 컨테이너를 들고 다시 바닥에 있는 체결구의 위치를 센싱하여 그 위에 컨테이너를 내려놓으면 고정장치(미도시)에 자동체결된다.
즉, 센서는 화차의 위치를 검지할 뿐 아니라 이동하면서 컨테이너의 삽입공의 위치를 레이저로 쏘아서 센싱하고 삽입공 위치에 정확히 포크를 넣어서 켄테이너를 상하역하는 것이다.
또한 바닥의 고정장치 위치도 센싱하여 정확한 위치에 컨테이너를 놓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상.하역장치(500)는 페리선의 하역장에 구비되어 화차를 통하여 페리선의 하역장에 진입된 컨테이너를 화차에서 하역하는 것으로, 컨테이너의 양측에 대응되며 컨테이너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510)와; 베이스 프레이트에 구비되는 가이드(530)와; 가이드(530)를 따라 상하이동되면서 컨테이너를 화차에서 상.하역하는 리프트(550)와, 리프트(550)를 전후, 상하이동시키는 모터(560, 57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하역장치(500)는 선로에 따라 가이드(530) 양측에 구비되어 좌우에 설치되는 선로에서 동시에 컨테이너를 하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화차가 페리선의 하역장에 진입하면 감지센서가 정한 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여, 화차가 정한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면 계속 진행하라는 신호를 표시등(130)에 송신하고, 화차가 정한 위치에 도달하며 진행중지의 신호를 표시등(130)에 송신한다.
안내장치(100)에서 보내오는 신호를 받은 상.하역장치(500)는 모터(560)가 작동됨에 따라 리프트(550)가 베이스 플레이트(510)를 따라 컨테이너 측으로 이동하되, 리프트에 구비된 포크(551)가 컨테이너의 하부에 구비된 삽입공에 삽입된다.
리프트(550)가 컨테이너로 이동하면 모터(570)가 작동되면서 리프트(550)가 가이드(530)를 따라 상승하고, 이에 따라 컨테이너도 같이 상승하여 화차에서 컨테이너가 인출된다.
상기 과정에서, 다수 구비되는 리프트(550)는 동시에 작동되어 컨테이너가 슬라딩되어 리프트(550)에서 이탈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화차에서 컨테이너가 인출되면 화차는 페리선의 하역장에서 인출된다.
화차가 페리선에서 인출되면 리프트(550)를 하강시킨다.
리프트(550)가 하강함에 따라 컨테이너도 하강되어 별도로 구비된 고정장치(미도시)에 의해 페리선에 고정된다.
이때 감지센서(110)가 하역과정에서 고정장치를 감지하여 컨테이너가 안정되게 고정장치에 안착할 수 있도록 한다.
컨테이너를 페리선에 고정한 후 목적지까지 컨테이너를 수송한다.
목적지까지 수송한 후 하역과정을 역순으로 하여 화차에 컨테이너를 안착시켜 최종 목적지까지 컨테이너를 수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안내장치
500 : 상.하역장치

Claims (2)

  1. 페리선의 하역장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좌우측으로 대응되게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다수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51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이드(530), 상기 가이드(530)에 구비되어 전후, 상하이동되는 리프트(550), 상기 리프트(550)를 구동시키는 모터(560, 570); 및 감지센서(110) 및 표시등(130)으로 구성된 안내장치(100)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상. 하역장치(500)에 있어서,
    상기 안내장치(100)의 감지센서(110)는 화차가 페리선의 하역장에 진입하면 정한 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되 화차가 정한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면 계속 진행하라는 신호를 표시등(130)에 송신하고, 화차가 정한 위치에 도달하면 진행중지의 신호를 표시등(130)에 송신하며, 화차가 정한 위치에 정착하면 신호를 상. 하역장치(500)에 송신하고,
    감지센서(110)가 컨테이너의 삽입공의 위치를 감지하면 상. 하역장치의 모터(560, 570)가 작동됨에 따라 리프트(550)의 4개의 포크(551)가 상기 삽입공에 동시에 삽입되어 리프트(550)를 상승시키고,
    감지센서(110)가 화차로부터 컨테이너가 인출된 것을 감지하면 화차를 페리선의 하역장에서 인출하라는 신호를 표시등(130)에 보내며,
    화차가 인출된 것을 감지센서(110)가 감지하면 상. 하역장치의 모터(570)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리프트(550)가 하강되면서, 감지센서(110)가 감지한 페리선 바닥의 체결구 위치에 상기 컨테이너가 안착되어 고정장치에 자동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상. 하역장치.
  2. 화차가 페리선의 하역장에 진입하면 감지센서가 정한 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여, 화차가 정한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면 계속 진행하라는 신호를 표시등(130)에 송신하고, 화차가 정한 위치에 도달하면 진행중지의 신호를 표시등(130)에 송신하는 단계(S100);
    안내장치(100)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 상.하역장치(500)는 모터(560)가 작동됨에 따라 리프트(550)가 베이스 플레이트(510)를 따라 컨테이너 측으로 이동하되, 리프트에 구비된 포크(551)가 컨테이너의 하부에 구비된 삽입공에 삽입되는 단계(S300);
    리프트(550)가 컨테이너로 이동하면 모터(570)가 작동되면서 리프트(550)가 가이드(530)를 따라 수직상승하고, 이에 따라 컨테이너도 같이 상승하여 화차에서 컨테이너가 인출되는 단계(S500);
    화차에서 컨테이너가 인출되면 화차를 페리선의 하역장에서 인출하는 단계(700);
    화차가 페리선에서 인출되면 리프트(550)를 하강시키는 단계(S900);
    리프트(550)가 하강함에 따라 컨테이너도 하강되어 자동으로 체결되는 고정장치에 의해 페리선에 고정되는 단계(S1100);
    컨테이너를 페리선의 고정장치에 고정한 후 목적지까지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단계(S1130); 목적지까지 수송한 후 하역과정을 역순으로 하여 화차에 컨테이너를 안착시켜 최종 목적지까지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단계(S1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상. 하역장치를 활용한 운송방법.
KR1020140097487A 2014-07-30 2014-07-30 컨테이너 상.하역장치 및 이를 활용한 운송방법 KR101472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487A KR101472730B1 (ko) 2014-07-30 2014-07-30 컨테이너 상.하역장치 및 이를 활용한 운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487A KR101472730B1 (ko) 2014-07-30 2014-07-30 컨테이너 상.하역장치 및 이를 활용한 운송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329A Division KR20140048476A (ko) 2012-10-15 2012-10-15 컨테이너 상.하역장치 및 이를 활용한 운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233A KR20140111233A (ko) 2014-09-18
KR101472730B1 true KR101472730B1 (ko) 2014-12-17

Family

ID=51756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487A KR101472730B1 (ko) 2014-07-30 2014-07-30 컨테이너 상.하역장치 및 이를 활용한 운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7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7037A (zh) * 2019-08-28 2019-11-08 常州瑞阳液压成套设备有限公司 船台小车运动控制系统及其工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5576A (ja) 2002-11-08 2004-06-03 Hisao Oishi リフ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5576A (ja) 2002-11-08 2004-06-03 Hisao Oishi リフ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233A (ko) 201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4078B2 (ja) 貨物を取り扱うシステム
AU2012252262B2 (en) System for determination of a container's position in a vehicle and/or in its trailer to be loaded with containers
US7343995B2 (en) Air cargo transport system
EP2782863B1 (en) System for indicating and measuring the position of a container in a vehicle and/or trailer loaded with containers
US9218636B1 (en) Light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N110091886A (zh) 一种基于agv叉车的高铁物流站台货物装卸系统
JP6492324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
KR101884232B1 (ko)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KR101472730B1 (ko) 컨테이너 상.하역장치 및 이를 활용한 운송방법
WO2019205873A1 (zh) 集装箱检查系统、港口设施及集装箱检查方法
JP2002068481A (ja) コンテナの段積貯蔵装置
KR101431671B1 (ko) 카페리선의 화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N210083221U (zh) 一种基于agv叉车的高铁物流站台货物装卸系统
JP2006069729A (ja) 車両積み降ろし荷物検品システム
KR20140048476A (ko) 컨테이너 상.하역장치 및 이를 활용한 운송방법
WO2014097669A1 (ja) コンテナ受け渡し方法、および、コンテナターミナル
CN105366317B (zh) 一种物流自动上料系统
CN112703167B (zh) 集装箱起重机装置及集装箱起重机装置的控制方法
KR20150048143A (ko) 선적 및 하역 플랜트 내에서 컨테이너, 특히 iso 컨테이너의 비접촉 검사를 위한 시스템
KR102026077B1 (ko) 스마트 무인화물이동수단
CN108569501B (zh) 收发货系统及收发货系统的控制方法
JP2020040747A (ja) 搬送台車
JPH06100117A (ja) 流動棚の入出庫制御装置
KR100743561B1 (ko)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RU83063U1 (ru) Комплекс по погрузке-выгрузке груз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