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524B1 -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524B1
KR101471524B1 KR20130101400A KR20130101400A KR101471524B1 KR 101471524 B1 KR101471524 B1 KR 101471524B1 KR 20130101400 A KR20130101400 A KR 20130101400A KR 20130101400 A KR20130101400 A KR 20130101400A KR 101471524 B1 KR101471524 B1 KR 101471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member
locking
striker
base panel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태
박혁구
최문규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주) filed Critical 평화정공(주)
Priority to KR20130101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8Arrangements for protection of pedestri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or movable
    • E05Y2600/30Adjustable or movab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Abstract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는: 후드에 연결된 스트라이커를 락킹하거나 언락킹하는 래치부와, 래치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패널과, 베이스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래치부에 락킹된 스트라이커가 회전경로 내에 위치하는 레버부재와, 베이스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핀의 이동을 구속하며, 레버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가이드핀의 구속을 해제하는 락킹부와, 레버부재를 회전시켜 스트라이커를 들어올리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동력을 레버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한 레버부재의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은, 레버부재가 락킹부에 걸려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APPARATUS FOR ACTIVE HOOD LATCH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자와의 접촉사고시 후드를 상측으로 올려주므로 보행자의 2차 충격을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중 승용 차량에는 전방에 엔진룸이 마련되고, 엔진룸이 후드에 의해 차폐된다.
엔진룸은 엔진 등의 부품이 컴팩트하게 배치되도록 레이 아웃 설계되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여유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후드는 엔진룸을 견실하게 차폐할 수 있도록 상당히 강한 구조로 설계된다.
이로 인해 보행자의 충돌 사고시 보행자가 자동차의 전방범퍼와 1차 충돌한 후, 자동차의 후드 쪽으로 쓰러지면서 보행자의 머리가 후드에 2차 충돌을 하여 보행자의 피해가 증가한다.
최근에는 보행자와 충돌 사고시 후드가 완충작용을 하여 보행자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액티브 후드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518호(2007.11.02 등록, 발명의 명칭: 차량의 액티브 후드 시스템 성능 강화를 위한 후드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행자와의 접촉사고시 후드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보행자의 2차 충격을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는: 후드에 연결된 스트라이커를 락킹하거나 언락킹하는 래치부; 상기 래치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치부에 락킹된 상기 스트라이커가 회전경로 내에 위치하는 레버부재;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핀의 이동을 구속하며,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가이드핀의 구속을 해제하는 락킹부; 상기 레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스트라이커를 들어올리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레버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한 상기 레버부재의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은,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락킹부에 걸려 제한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이 상기 레버부재에 전달되면,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락킹부를 밀어내면서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스트라이커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서 케이블부재에 의한 상기 후드의 팝업시에, 상기 스트라이커는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반경을 벗어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부; 케이블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구속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잠금부; 및 상기 구속부와 상기 잠금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구속부와 상기 잠금부의 사이에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안내홈부를 구비하는 장착패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래치부와 상기 레버부재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패널에 고정되는 케이스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케이스부에 고정되며 일측이 개구되는 구동하우징; 상기 구동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며 외부신호로 폭발하는 폭발부; 상기 구동하우징의 내측에서 직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폭발부의 폭발로 이동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의 이동으로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가압하는 로드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력전달몸체; 상기 동력전달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로드부재와 마주하는 연장부재; 및 상기 동력전달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레버부재의 측면과 마주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가이드핀의 이동경로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레버부재의 이동으로 회전되는 락킹몸체; 상기 락킹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패널에 연결되는 락킹연결축; 및 상기 락킹연결축의 외측에 권선되며, 상기 락킹몸체에서 연장된 락킹돌기를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상기 락킹몸체를 상기 가이드핀의 이동경로상에 배치시키는 락킹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는 보행자와의 접촉사고시 구동부의 폭발을 이용하여 레버부재가 회전하여 스트라이커를 들어 올리므로 후드와 엔진룸 사이에 완충공간을 구비하여 보행자의 2차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드부재의 전개로 후드가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멜트실링이 고온의 가스에 녹아서 피스톤의 외측으로 가스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보행자가 후드에 접촉할 때 후드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충격이 완충됨에 따라 보행자의 2차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자와의 접촉사고 후에 후드를 완전하게 폐쇄할 수 있으므로, 차량 이동시의 소음과 진동, 그리고 안전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물질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에서 제1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에서 제2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가 동작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동작으로 레버부재가 회전하며 스트라이커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의 상측 이동이 완료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부재의 당김에 의해 후드가 팝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부재가 스트라이커에 의한 이동 제한이 해제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가 위치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에서 제1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에서 제2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가 동작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동작으로 레버부재가 회전하며 스트라이커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의 상측 이동이 완료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부재의 당김에 의해 후드가 팝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부재가 스트라이커에 의한 이동 제한이 해제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가 위치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7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1)는, 후드(10)에 연결된 스트라이커(12)를 락킹하거나 언락킹하는 래치부(20)와, 래치부(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패널(60)과, 베이스패널(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래치부(20)에 락킹된 스트라이커(12)가 회전경로 내에 위치하는 레버부재(90)와, 베이스패널(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핀(72)의 이동을 구속하며, 레버부재(90)의 회전에 연동하여 가이드핀(72)의 구속을 해제하는 락킹부(80)와, 레버부재(90)를 회전시켜 스트라이커(12)를 들어올리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110)와, 구동부(110)의 동력을 레버부재(9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100)를 포함하고, 스프링, 구체적으로 제2스프링(148)의 복원력에 의한 레버부재(90)의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은, 레버부재(90)가 락킹부(80)에 걸려 제한된다.
엔진룸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드(10)의 하측으로 스트라이커(12)가 설치된다.
스트라이커(12)는 "ㄷ"자 형상으로 굽어지게 형성되며, 후드(10)와 함께 상하 이동된다.
케이스부(1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래치부(20)는 후드(10)에 연결된 스트라이커(12)를 락킹하거나 언락킹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20)는, 스트라이커(12)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부(30)와, 케이블부재(14)에 연결되며 구속부(30)의 회전을 제어하는 잠금부(40)와, 구속부(30)와 잠금부(4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구속부(30)와 잠금부(40)의 사이에 스트라이커(12)가 삽입되는 안내홈부(52)를 구비하는 장착패널(50)을 포함한다.
스트라이커(12)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부(30)는, 구속몸체(31)와 제1돌기(32)와 인입홈(33)과 제2돌기(34)와 장착돌기(36)와 탄성부재(38)와 장착핀(39)을 포함한다.
구속부(30)의 몸체를 형성하는 구속몸체(3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장착패널(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속몸체(31)의 일측으로 제1돌기(32)와 제2돌기(34)가 돌출되며, 제1돌기(32)와 제2돌기(34)의 사이에는 스트라이커(12)가 삽입되는 인입홈(33)이 구비된다.
장착핀(39)이 구속몸체(31)와 장착패널(50)을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구속몸체(31)는 장착핀(3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속몸체(31)의 하측에는 장착돌기(36)가 구비되며,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탄성부재(38)의 일측은 장착돌기(36)에 걸리며, 탄성부재(38)의 타측은 장착패널(50)에 걸린다.
탄성부재(38)는 수평방향(이하 도 6기준)으로 설치되며, 구속몸체(31)는 탄성부재(38)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며, 이러한 구속몸체(31)는 케이블부재(14)에 의해 당겨지는 잠금부(40)와 이격되거나 접하면서 회전각도가 조절된다.
케이블부재(14)에 연결되며 구속부(30)의 회전을 제어하는 잠금부(40)는 구속부(30)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40)는 잠금몸체(42)와 연결부재(44)와 걸림돌기(46)를 포함한다.
잠금부(40)의 몸체를 형성하는 잠금몸체(42)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장착패널(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잠금몸체(42)에서 연장되는 연결부재(44)에 케이블부재(14)가 연결되며, 제1돌기(32)와 제2돌기(34)가 구비된 구속부(30)를 향하여 걸림돌기(46)가 돌출된다.
걸림돌기(46)는 구속부(30)의 제1돌기(32) 또는 제2돌기(34)에 걸리므로 구속부(30)의 회전을 구속한다.
제4연결축(153)이 잠금몸체(42)를 관통하여 장착패널(50)에 설치되므로 잠금몸체(42)는 제4연결축(15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4연결축(153)의 외측에 코일 스프링 형상의 제4스프링(154)이 설치되며, 제4스프링(154)의 일측은 장착패널(50)에 고정되며 제4스프링(154)의 타측은 잠금몸체(42)에 연결된다.
잠금몸체(42)는 제4스프링(154)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도 6기준)으로 회전되려 하며, 이러한 잠금몸체(42)는 스트라이커(12)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몸체(31)에 접하여 회전이 구속된다.
장착패널(50)의 후방(도 3기준)에는 구속부(30)와 잠금부(4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장착패널(50)의 전방에는 베이스패널(60)이 위치한다.
장착패널(50)의 상측에는 구속부(30)와 잠금부(40)의 사이에 스트라이커(12)가 삽입되는 안내홈부(52)가 구비된다.
장착패널(50)의 종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는 안내홈부(52)를 따라 스트라이커(12)가 낙하되어 래치부(20)에 의해 이동이 구속된다.
장착패널(50)에 잠금부(40)와 구속부(30)가 설치된 상태에서, 커버패널(55)이 잠금부(40)와 구속부(30)를 감싸며 장착패널(50)에 고정된다.
장착패널(50)의 전방에 베이스패널(60)이 설치되며, 베이스패널(60)의 전방에는 레버부재(90)와 동력전달부재(1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베이스패널(60)과 래치부(20)의 장착패널(50)과 커버패널(55)을 관통하여 제2연결축(147)이 설치되므로 래치부(20)는 제2연결축(147)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구동부(110)의 동작으로 스트라이커(12)를 파지한 래치부(20)가 회전하는 경우, 래치부(20)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70)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70)는, 장착패널(50)에 고정되며 케이스부(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핀(72)과, 가이드핀(72)의 이동경로를 따라 케이스부(120)에 구멍을 형성하는 가이드홀부(74)를 포함한다.
가이드핀(72)의 일측은 장착패널(50)에 고정되며, 가이드핀(72)의 타측은 베이스패널(6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베이스패널(60)의 전방에 걸린다.
가이드핀(72)의 이동경로는 제2연결축(147)을 중심으로 원호를 그리게 되므로, 가이드홀부(74)는 원호 형상으로 케이스부(120)에 장공을 형성한다.
래치부(20)가 회전하는 경우, 래치부(20)에 고정된 가이드핀(72)도 가이드홀부(74)를 따라 이동하므로 래치부(20)의 회전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110)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에 가이드핀(72)의 이동을 구속하는 락킹부(80)는 베이스패널(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레버부재(90)의 회전에 연동하여 가이드핀(72)의 구속을 해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부(80)는, 가이드핀(72)의 이동경로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레버부재(90)의 이동으로 회전되는 락킹몸체(82)와, 락킹몸체(82)를 관통하여 베이스패널(60)에 연결되는 락킹연결축(86)과, 락킹연결축(86)의 외측에 권선되며, 락킹몸체(82)에서 연장된 락킹돌기(84)를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락킹몸체(82)를 가이드핀(72)의 이동경로상에 배치시키는 락킹스프링(88)을 포함한다.
락킹몸체(82)는 베이스패널(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락킹돌기(84)는 락킹몸체(82)의 일측으로 돌출된다. 락킹몸체(82)는 제1경사면(82a)과 제2경사면(82c)을 구비하고, 제2경사면(82c)이 레버몸체(92)에 접한 상태로 위치 고정된다. 따라서 락킹부(80)의 회전은 레버부재(90)에 의해 구속된다.
락킹연결축(86)이 락킹몸체(82)를 관통하여 베이스패널(60)에 설치된다. 락킹연결축(86)의 외측에 권선된 락킹스프링(88)의 일측은 락킹돌기(84)에 연결되며, 락킹스프링(88)의 타측은 베이스패널(60)에 연결되므로, 락킹부(80)는 시계 방향을 향하여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받는다.
락킹몸체(82)의 측면은 레버몸체(92)의 일단에 접하여 락킹몸체(82)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락킹몸체(82)의 일단은 가이드핀(72)에 접하여 가이드핀(72)이 가이드홀부(74)를 따라 이동됨을 구속한다.
레버부재(90)는 래치부(20)와 별도로 회전되며, 레버부재(90)의 회전경로 내에 스트라이커(12)가 위치하므로 레버부재(90)의 회전으로 스트라이커(12)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예로, 동력전달부재(100)를 통해 구동부(110)의 동력이 레버부재(90)에 전달되면, 레버부재(90)는 락킹부(80)를 밀어내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트라이커(12)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락킹부(80)와 함께 베이스패널(6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재(90)는 레버몸체(92)와 레버돌기(94)를 포함한다.
제2연결축(147)이 레버부재(90)의 몸체를 형성하는 레버몸체(92)와 베이스패널(60)과 래치부(20)를 차례로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레버부재(90)는 베이스패널(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연결축(147)의 외측에 권선된 제2스프링(148)의 일측은 레버몸체(92)의 외측으로 돌출된 레버돌기(94)에 연결되며, 제2스프링(148)의 타측은 베이스패널(60)에 걸린다. 따라서 레버부재(90)는 제2스프링(148)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도 7 기준)으로 탄성 지지된다.
레버부재(90)는 원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므로, 락킹부(8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지 않는다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원위치로 복원될 것이다. 레버부재(90)에 작용하는 복원력은 락킹부(80)에서의 회전 구속력 보다 작기 때문에 락킹부(80)가 레버부재(90)의 회전을 구속하고 있는 경우에 레버부재(90)는 원위치로 복원되지 않고 도 7에서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동력전달부재(100)에 밀려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레버부재(90)가 제2연결축(147)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레버부재(90)의 상측면이 스트라이커(12)의 하부를 들어 올려 안내홀부의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동력전달부재(100)는 구동부(110)의 직선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레버부재(90)를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재(100)는, 베이스패널(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력전달몸체(102)와, 동력전달몸체(102)에서 연장되어 로드부재(118)와 마주하는 연장부재(104)와, 동력전달몸체(102)에서 연장되어 레버부재(90)의 측면과 마주하는 가압돌기(106)를 포함한다.
제1연결축(140)이 동력전달몸체(102)를 관통하여 베이스패널(60)의 전면에 고정되므로 동력전달부재(100)는 제1연결축(14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1연결축(140)의 외측에 제1스프링(142)이 권선되며, 제1스프링(142)의 일측은 동력전달몸체(102)에 걸리며 제1스프링(142)의 타측은 베이스패널(60)에 걸리므로, 동력전달부재(100)는 반시계 방향(도 7기준)으로 회전하려 하는 탄성력을 받는다.
동력전달몸체(102)의 측방향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연장부재(104)가 형성되며, 가압돌기(106)는 레버부재(90)의 측면에 접하여 설치된다.
도 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10)는 케이스부(120)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외부신호로 동작되어 동력전달부재(100)를 가압하여 레버부재(90)를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구동부(110)는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여 동작되며, 레버부재(90)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스트라이커(12)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므로 스트라이커(12)에 고정된 후드(10)도 상측으로 이동된다.
구동부(110)는 스트라이커(12)가 래치부(20)에 구속되기 위하여 하강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1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측방향을 향하여 로드부재(118)가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10)는 구동하우징(112)과 폭발부(114)와 피스톤(116)과 로드부재(118)와 실링(119)을 포함한다.
구동하우징(112)은 케이스부(120)의 제2패널(124)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구동하우징(112)의 외측을 감싸는 브라켓부재(126)에 의해 제2패널(124)에 고정된다.
구동하우징(112)은 일측이 개구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동하우징(112)의 내측에 폭발부(114)가 위치한다.
폭발부(114)는 외부신호에 의해 폭발이 이루어지며, 폭발부(114)의 폭발로 생성된 가스의 체적이 증가하여 피스톤(116)과 로드부재(118)를 이동시킨다.
도 3과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범퍼에 보행자가 접촉됨을 감지하는 센서부(135)는 제어부(130)로 측정값을 전달하며, 제어부(130)는 구동부(110)의 폭발부(114)로 외부신호를 전달하여 폭발부(114)를 폭발시킨다.
피스톤(116)은 구동하우징(112)의 내측에 직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폭발부(114)의 폭발로 이동한다.
로드부재(118)는 피스톤(116)에 연결되며, 피스톤(116)의 수평 이동으로 로드부재(118)도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동력전달부재(100)를 회전시킨다.
로드부재(118)는 동력전달부재(100)의 연장부재(104)를 가압하여 동력전달부재(100)를 회전시키므로, 동력전달부재(100)에 밀려서 레버부재(90)도 회전하며 래치부(20)에 구속된 스트라이커(12)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실링(SEALING)(119)은 피스톤(116)의 외측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동하우징(112)과 피스톤(116) 사이의 간극을 통해 가스가 구동하우징(112)의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는 구동부(110)가 단수로 구비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구동부(110)를 복수 개 설치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케이스부(120)는 래치부(20)와 레버부재(9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이스패널(60)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120)는 락킹부(80)와 동력전달부재(100)와 레버부재(90)를 감싸며 베이스패널(60)의 전방에 결합되는 제1패널(122)과, 래치부(20)를 감싸며 베이스패널(60)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2패널(124)과, 제2패널(124)에 구동부(110)를 고정시키는 브라켓부재(126)를 포함한다.
제2연결축(147)이 제2스프링(148)과 레버부재(90)와 베이스패널(60)과 장착패널(50)과 커버패널(55)을 차례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제2연결축(147)의 양측에 제1패널(122)과 제2패널(124)이 위치한 상태에서 캡부재(146)가 제1패널(122)과 제2패널(124)을 관통하여 제2연결축(147)에 고정되므로,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1)의 부품이 서로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10)의 하측 이동시 후드(10)와 함께 스트라이커(12)도 하측으로 이동되어 래치부(20)에 잠금상태로 설치된다.
스트라이커(12)가 인입홈(33)에 삽입된 상태에서 구속부(30)가 반시계 방향(도 6기준)으로 회전하려 하면, 구속부(30)의 제1돌기(32)가 잠금부(40)의 걸림돌기(46)에 걸리므로 구속몸체(31)의 회전은 구속된다.
도 8,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범퍼에 보행자가 충격된 경우, 범퍼의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부(135)가 제어부(13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제어부(130)는 구동부(110)의 폭발부(114)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며, 폭발부(114)는 외부신호인 제어신호로 동작되어 구동하우징(112)의 내측에서 폭발된다.
폭발부(114)의 폭발로 발생된 가스로 인해 구동하우징(112) 내측의 압력은 상승하며, 이로 인하여 로드부재(118)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동력전달부재(100)를 회전시킨다.
동력전달부재(100)가 회전하면서 레버부재(90)를 가압하면, 레버부재(90)는 락킹부(80)를 밀어내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스트라이커(12)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스트라이커(12)의 이동으로 스트라이커(12)를 구속하는 래치부(20)도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케이스부(12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스트라이커(12)의 상측에 연결된 후드(10)도 상측으로 이동하므로, 엔진룸과 후드(10)의 사이에 완충공간이 형성되어 보행자의 2차 충격을 저감시킨다.
레버부재(90)가 회전하면서 락킹부(80)를 반시계 방향으로 밀어내는 경우 가이드핀(72)의 구속이 해제된다.
따라서 래치부(20)에 고정된 가이드핀(72)은 래치부(20)가 제2연결축(147)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동작에 연동하여 가이드홀부(74)를 따라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자와의 접촉사고시 구동부(110)의 폭발을 이용하여 래치부(20)를 포함한 장착패널(50)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스트라이커(12)를 들어 올리므로 후드(10)와 엔진룸 사이에 완충공간을 구비하여 보행자의 2차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1)에 의한 보행자와의 접촉사고 후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발부(114)의 폭발로 인해 로드부재(118)가 구동하우징(112)의 외측으로 돌출된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구동하우징(112) 내측의 가스는 외측으로 누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로드부재(118)는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동력전달부재(100)는 로드부재(118)에 의해 지지되어 원위치로 복귀되지 않은 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동력전달부재(100)가 도 9와 같이 배치된 경우에는 후드(10)를 하측으로 가압하더라도 스트라이커(12)를 통해 레버부재(90)에 전달되는 가압력이 동력전달부재(100)에 제공되는 로드부재(118)의 지지력을 넘어설 수 없으므로, 스트라이커(12)는 도 7과 같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없다.
이때 운전자 등은 케이블부재(14)의 당김 조작에 의해 후드(10)를 팝업(POP-UP)시킨다. 후드(10)의 팝업에 의해 스트라이커(12)가 상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레버부재(90)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각은 커지게 된다. 도 11과 같이 후드(10)의 팝업이 완료되면 스트라이커(12)가 레버부재(90)의 회전반경을 벗어나게 배치되므로, 레버부재(90)는 제2스프링(148)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에 이를 때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레버부재(90)가 원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레버부재(90)는 스트라이커(12)의 상하 이동경로 상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다.
이후 운전자 등이 후드(10)를 하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스트라이커(12)는 제공된 외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고, 레버부재(90)와 같은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스트라이커(12)는 점차적으로 하강되어 락킹 위치에 도달된다. 이후 스트라이커(12)는 래치부(20)에 의해 락킹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자와의 접촉사고 이후에 차량을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도 9와 같이 가폐쇄된 상태에 있는 후드(10)를 도 13과 같이 완전폐쇄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차량의 이동은 운전자의 직접 운행이나 운반차에 의한 견인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9와 같은 상태에서는 스트라이커(12)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차량의 이동시에 스트라이커(12)가 상하측으로 이동될 수밖에 없다. 이때 스트라이커(12)와 레버부재(90)간의 충돌이 필연적으로 발생되므로 차량의 이동시에 소음과 진동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더욱이 후드(10)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가 아니므로 후드(10)가 벌어진 틈 사이로 차량 내부로 각종 이물질이 유입될 염려가 있다.
이때 운전자 등이 케이블부재(14)를 조작하여 후드(10)를 팝업시키면, 스트라이커(12)의 상측 이동과 레버부재(90)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스트라이커(12)의 하측 이동경로가 열리게 된다. 이후 후드(10)를 하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스트라이커(12)가 래치부(20)에 락킹되면서 후드(10)가 완전하게 폐쇄되므로, 차량 이동시의 소음과 진동, 그리고 안전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물질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10: 후드 12: 스트라이커 14: 케이블부재
20: 래치부
30: 구속부 31: 구속몸체 32: 제1돌기 33: 인입홈 34: 제2돌기 36: 장착돌기 38: 탄성부재 39: 장착핀
40: 잠금부 42: 잠금몸체 44: 연결부재 46: 걸림돌기
50: 장착패널 52: 안내홈부 55: 커버패널
60: 베이스패널
70: 가이드부 72: 가이드핀 74: 가이드홀부
80: 락킹부 82: 락킹몸체 84: 락킹돌기 86: 락킹연결축 88: 락킹스프링
90: 레버부재 92: 레버몸체 94: 레버돌기
100: 동력전달부재 102: 동력전달몸체 104: 연장부재 106: 가압돌기
110: 구동부 112: 구동하우징 114: 폭발부 116: 피스톤 118: 로드부재 119: 실링
120: 케이스부 122: 제1패널 124: 제2패널 126: 브라켓부재
130: 제어부 135: 센서부

Claims (8)

  1. 후드에 연결된 스트라이커를 락킹하거나 언락킹하는 래치부;
    상기 래치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치부에 락킹된 상기 스트라이커가 회전경로 내에 위치하는 레버부재;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핀의 이동을 구속하며,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가이드핀의 구속을 해제하는 락킹부;
    상기 레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스트라이커를 들어올리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레버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한 상기 레버부재의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은,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락킹부에 걸려 제한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이 상기 레버부재에 전달되면,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락킹부를 밀어내면서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스트라이커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며,
    케이블부재에 의한 상기 후드의 팝업시에, 상기 스트라이커는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반경을 벗어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부;
    케이블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구속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잠금부; 및
    상기 구속부와 상기 잠금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구속부와 상기 잠금부의 사이에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안내홈부를 구비하는 장착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와 상기 레버부재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패널에 고정되는 케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케이스부에 고정되며 일측이 개구되는 구동하우징;
    상기 구동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며 외부신호로 폭발하는 폭발부;
    상기 구동하우징의 내측에서 직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폭발부의 폭발로 이동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의 이동으로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가압하는 로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력전달몸체;
    상기 동력전달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로드부재와 마주하는 연장부재; 및
    상기 동력전달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레버부재의 측면과 마주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8. 후드에 연결된 스트라이커를 락킹하거나 언락킹하는 래치부;
    상기 래치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치부에 락킹된 상기 스트라이커가 회전경로 내에 위치하는 레버부재;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핀의 이동을 구속하며,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가이드핀의 구속을 해제하는 락킹부;
    상기 레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스트라이커를 들어올리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레버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한 상기 레버부재의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은,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락킹부에 걸려 제한되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가이드핀의 이동경로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레버부재의 이동으로 회전되는 락킹몸체;
    상기 락킹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패널에 연결되는 락킹연결축; 및
    상기 락킹연결축의 외측에 권선되며, 상기 락킹몸체에서 연장된 락킹돌기를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상기 락킹몸체를 상기 가이드핀의 이동경로상에 배치시키는 락킹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KR20130101400A 2013-08-26 2013-08-26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KR101471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400A KR101471524B1 (ko) 2013-08-26 2013-08-26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400A KR101471524B1 (ko) 2013-08-26 2013-08-26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524B1 true KR101471524B1 (ko) 2014-12-10

Family

ID=52678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1400A KR101471524B1 (ko) 2013-08-26 2013-08-26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5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8557A (zh) * 2016-03-01 2018-10-23 奥迪股份公司 具有对抬升致动器的能移动的支承的、用于车辆前盖的盖铰链
KR20220137380A (ko) * 2021-04-02 2022-10-12 대동도어 주식회사 차량 후드부의 조립성이 개선된 후드래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304A (ko) * 2010-02-22 2011-08-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KR20130014725A (ko) * 2011-08-01 2013-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
KR20130018059A (ko) * 2011-08-12 2013-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
KR20130049922A (ko) * 2011-11-07 2013-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래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304A (ko) * 2010-02-22 2011-08-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KR20130014725A (ko) * 2011-08-01 2013-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
KR20130018059A (ko) * 2011-08-12 2013-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
KR20130049922A (ko) * 2011-11-07 2013-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래치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8557A (zh) * 2016-03-01 2018-10-23 奥迪股份公司 具有对抬升致动器的能移动的支承的、用于车辆前盖的盖铰链
CN108698557B (zh) * 2016-03-01 2021-02-02 奥迪股份公司 用于车辆前盖的盖铰链
KR20220137380A (ko) * 2021-04-02 2022-10-12 대동도어 주식회사 차량 후드부의 조립성이 개선된 후드래치
KR102528550B1 (ko) * 2021-04-02 2023-05-04 대동도어 주식회사 차량 후드부의 조립성이 개선된 후드래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334B1 (ko)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KR101491298B1 (ko)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래치 장치
KR101526958B1 (ko)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
KR101567637B1 (ko) 차량의 액티브후드 장치
KR101154299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래치 시스템
US7836996B2 (en)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KR100921062B1 (ko) 액티브 후드 시스템의 리프트 장치
US20040134705A1 (en) Safety device for lifting a bonnet of a motor vehicle in the event of a collison
KR101471524B1 (ko)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CN111605625B (zh) 车辆的弹起式发动机罩装置
KR101471523B1 (ko)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JP2004001713A (ja) アクティブフロントボンネット
KR101471525B1 (ko)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KR101542689B1 (ko) 자동차용 후드 래치장치
KR20170007973A (ko) 자동차용 후드래치
JP5765267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2014221628A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KR101464146B1 (ko)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KR101464147B1 (ko)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JP6208641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KR100387882B1 (ko) 자동차의 후드래치 구조
JP6157333B2 (ja) フード上昇機構
KR20080008082A (ko) 차량용 도어의 안전잠금장치
KR101743012B1 (ko) 액티브 후드용 리프트장치
KR100489003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자동차용 후드래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