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550B1 - 차량 후드부의 조립성이 개선된 후드래치 - Google Patents

차량 후드부의 조립성이 개선된 후드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550B1
KR102528550B1 KR1020210043404A KR20210043404A KR102528550B1 KR 102528550 B1 KR102528550 B1 KR 102528550B1 KR 1020210043404 A KR1020210043404 A KR 1020210043404A KR 20210043404 A KR20210043404 A KR 20210043404A KR 102528550 B1 KR102528550 B1 KR 102528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striker
coupled
pop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7380A (ko
Inventor
조준현
Original Assignee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도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3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550B1/ko
Publication of KR20220137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45Silencing devices; Noise 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후드에 결합되어 걸쇠형태로 형성되는 스트라이커; 후드래치 구성품이 결합되는 판으로서 중심에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U'홈이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결합되어 일측이 회전되는 래치; 상기 래치의 일측에 결합되며 절곡된 플레이트의 형태로 서로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세개의 단부로 형성되는 팝업레버; 상기 래치의 유동이 조절되도록 동작되는 폴; 상기 팝업레버의 일측에 결합되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내지 상기 플레이트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체결되는 래치핀; 및 상기 베이스의 후측에 결합되고 후크형태로 형성된 단부가 형성되는 세이프티후크; 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레버는 상기 스트라이커의 하측을 접촉 및 가압하는 스트라이커가압단부; 상기 스트라이커를 가압하기위한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단부; 가압동작 후 복원되기 위한 탄성력이 전달되도록 래치스프링이 결합되는 스프링걸림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라이커가압단부는 상기 팝업레버가 상기 베이스와 래치핀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팝업레버결합홀이 형성된 면과 평행하게 연장된 단부로 형성되어 상기 팝업레버결합홀에 결합되는 래치핀을 축으로 회동시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스프링걸림단부는 상기 팝업레버결홉홀(401)이 형성된 면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단부로 형성되고 소정깊이로 파인형태의 홈형태의 래치스프링의 일측이 결합되는 부분이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래치스프링으로부터 탄성력이 전달되어 스트라이커가 래치에서 이탈될 경우 상기 팝업레버가 본원위치로 복원되고 상기 동력전달단부는 상기 스프링걸림단부의 일측에 연장된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스트라이커가압단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면이 형성되고 상기 래치는 일측에 래치작동홀이 형성되어 래치핀에 의해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고 래치의 끝단에 형성된 경사지게 형성된 면으로 상기 스트라이커가 진입되는 진입면이 형성되고 상기 진입면은 원호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스트라이커가 진입되어 안착되는 홈으로 형성되는 중심홈과 연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중심홈은 외측부분이 외측으로 굽어지게 형성되어 내측부분 보다 넓게 형성되는 후드래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후드부의 조립성이 개선된 후드래치{hood latch of vehicle hood for improved assembly}
본 발명은 차량 후드부의 조립성이 개선된 후드래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룸 상부는 후드(Hood)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후드는 뒤쪽이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앞쪽이 차체에 설치된 후드래치 어셈블리에 의해 결속된다. 후드래치 어셈블리는 후드 하면에 장착된 스트라이커를 걸어서 결속할 수 있고, 후드를 열고자 할 때 스트라이커의 결속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많은 자동차 구매 고객들은 다양해진 자동차 시장 속에서 보다 정교한 자동차를 중요한 차별화 요소로 두고 있다. 이에 따라, 정교한 자동차 성능에 대한 기대가 날로 커지고 있는데 크게 대두되고 있는 성능으로 NVH(Noise, Vibration, Harshness)가 있다. NVH 성능은 승차자가 승차감을 느끼는데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최근 정교함과 세련미에 대한 기대를 충족하기위해 NVH 엔지니어들은 승차감에 대한 과제들을 해결하기위해 노력 중에 있다. 일 예로, 등록특허10-0775043호는 소음 저감용 후드래치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스트라이커와 래치의 결속간 발생되는 주행 중 소음과 조립성에 대한 해결과제를 가지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775043호(2007.11.02.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래의 후드래치를 대체하여 주행 중 발생되는 래틀소음을 저감하고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는 후드래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후드에 결합되어 'U'자 걸쇠형태로 형성되는 스트라이커; 후드래치 구성품이 결합되는 판으로서 중심에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U'홈이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결합되며 'ㄷ'형태의 판으로 형성되는 래치; 상기 래치의 일측에 결합되며 절곡된 플레이트의 형태로 서로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세개의 단부가 형성되며 적어도 한개의 단부는 상기 스트라이커의 하부를 올리도록 회전작동되는 팝업레버; 상기 팝업레버의 일측에 결합되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U'형태의 홈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내지 상기 플레이트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체결되는 래치핀; 및 상기 베이스의 후측에 결합되고 후크형태로 형성된 단부가 형성되는 세이프티후크; 를 포함하는 차량의 후드 조립성이 개선된 후드래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후드래치는 주행 중에 발생되는 래틀노이즈 저감 및 조립성이 개선되어 운전자 및 동승자의 감성평가측면을 극대화하고 후드의 조립에서 발생되는 판넬 뒤틀림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래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후드래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후드래치의 베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후드래치의 래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팝업레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후드래치의 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후드래치의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세이프티후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세이프티후크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 (b) 및 (c)는 본 발명의 후드래치의 작동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래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후드래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후드래치는 차량의 후드에 결합되어 'U'자 걸쇠형태로 형성되는 스트라이커(100); 후드래치 구성품이 결합되는 판으로서 중심에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삽입되는 'U'홈(210)이 형성되는 베이스(200); 상기 베이스(200)의 일측에 결합되며 'ㄷ'형태의 판으로 형성되는 래치(300); 상기 래치(3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절곡된 플레이트의 형태로 서로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세개의 단부가 형성되며 적어도 한개의 단부는 상기 스트라이커(100)의 하부를 올리도록 회전작동되는 팝업레버(400); 상기 래치(300)의 유동이 조절되도록 동작되는 폴(500); 상기 팝업레버(4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스트라이커(100)가 삽입되는 'U'형태의 홈이 형성되는 플레이트(600); 상기 베이스 내지 상기 플레이트(600)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체결되는 래치핀(P1); 상기 래치(300)를 래치스프링(S1); 및 상기 베이스(200)의 후측에 결합되고 후크형태로 형성된 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트라이커(100)의 걸림동작이 형성되는 세이프티후크(700); 를 포함하는 래틀소음이 저감된 후드래치가 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후드래치의 베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 본 실시예의 후드래치(300)는 베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00)는 좌측, 우측 및 하측이 절곡되어 형성된 형성된 판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00)는 중심에 형성된 'U’홈(210)을 중심으로 양측에 제1 작동홀(220) 및 제2 작동홀(230)이 대칭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00)에 형성된 'U’홈(210)의 하측에는 제3 작동홀(24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작동홀(220)은 래치(300) 내지 팝업레버(400)의 회전동작 시 회전축이 되는 래치핀(P1)이 삽입되는 홀이 될 수 있다.
또한, 제2 작동홀(230)은 래치(300)의 작동을 제한하는 폴(500)의 회전축이되는 폴핀(P2)이 삽입되는 홀이 될 수 있다.
또한, 제3 작동홀(240)은 세이프티후크(700)가 회전동작되는 회전축이 되는 세이프티후크핀(P3)이 삽입되는 홀이 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200)의 우측(도면상 표기)에 절곡되어 연장된 부분에는 동력발생기안착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동력발생기안착부(250)는 액츄에이터와 같은 동력발생기가 안착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동력발생기안착부(250)는 베이스(200)가 동력발생기가 안착되는 저면을 형성하도록 절곡된 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00)의 동력발생기안착부(250)의 좌측부분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00)의 개방된 부분은 동력발생기(M)의 끝단이 삽입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동력발생기(M)는 팝업레버(400)의 일측에 접촉되어 팝업레버(400)의 회전동작에 필요에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후드래치의 래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후드래치는 래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300)는 본 발명의 스트라이커(100)와 체결되어 자동차의 후드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래치(300)는 외형이'ㄷ'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래치(300)는 래치작동홀(301)에 결합되는 래치핀(P1)에 의해 베이스(200)와 결합될 수 있다. 래치(300)는 스트라이커(100)의 삽입동작 전에는 상부방향이 개방될 수 있도록 'U'자세가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스트라이커(100)의 삽입 시에는 회전되어 스트라이커(100)가 상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래치(300)는 스트라이커(100)의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진입면(302)이 형성될 수 있다. 진입면(302)은 래치(300)의 끝단에 형성된 경사지게 형성된 면이 될 수 있다. 또한, 진입면(302)에 의해 형성되는 래치(300)의 중심홈(303)의 일측은 진입면(302)이 원호형태를 형성하여 연접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중심홈(303)은 스트라이커(100)가 인입되어 안착되는 홈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홈(303)의 외측부분(303a)은 외측으로 굽어지게 형성되어 내측부분(303b)에 비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심홈(303)의 외측부분(303a)에서 내측으로 굽어지는 곡률의 반경(R1)은 스트라이커(100)가 구름이동하기 용이한 크기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곡률의 반경(R1)은 13mm~17mm가 될 수 있으며, 작동 환경에 따라 적절히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래치(300)는 스트라이커(100)의 진입에 부하가 적게 발생될 수 있다. 종래에는 이와같은 진입에 어려움이 있어 스트라이커(100)의 위치가 뒤틀려 후드의 매칭 불균형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래틀소음이 저감된 후드래치의 경우 래치(300)에 삽입되는 스트라이커(100)의 진입이 용이하게 형성되어 후드의 매칭 불균형이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래치(300)에는 팝업레버결합홀(304)이 형성될 수 있다. 팝업레버결합홀(304)은 래치작동홀(301)에 소정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팝업레버결합홀(301)은 팝업레버(400)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기위한 홀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팝업레버(400)의 소정부분과 팝업레버홀(304)은 상호보완되는 결합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팝업레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후드래치는 팝업레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팝업레버(400)는 제1 작동홀(220)에 결합되는 팝업레버결합홀(401)이 형성되어 회전동작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팝업레버(400)는 일측에 래치결합돌기(402)가 형성될 수 있다. 래치결합돌기(402)는 팔업레버(400)의 후측에 접촉되는 래치(300)에 형성된 팝업레버결합홀(304)과 결합되는 돌기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팝업레버(400)의 회전동작은 래치(300)와 연동될 수 있다.
또한, 팝업레버(400)는 팝업레버결합홀(401)에서 서로 수직하도록 형성되는 세개의 단부가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팝업레버(400)에서 연장된 세개의 단부는 스트라이커가압단부(410), 스프링걸림단부(420) 및 동력전달단부(430)가 될 수 있다. 스트라이커가압단부(410)는 스트라이커(100)의 하측을 접촉 및 가압하는 단부가 될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단부(430)는 스트라이커(100)를 가압하기위한 동력을 전달받는 단부가 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걸림단부(420)는 가압동작 후 복원되기 위한 탄성력이 전달되도록 래치스프링(S1)이 결합되는 단부가 될 수 있다.
팝업레버(400)는 스트라이커가압단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라이커가압단부(410)는 팝업레버결합홀(401)이 형성된 면과 평행하게 연장된 단부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팝업레버결합홀(401)에 결합되는 래치핀(P1)을 축으로 회동 시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스트라이커가압단부(410)는 래치(300)에 삽입된 스트라이커(100)의 하측을 가압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팝업레버(400)는 스프링걸림단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걸림단부(420)는 팝업레버결합홀(401)이 형성된 면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단부가 될 수 있다. 스프링걸림단부(420)는 래치스프링(S1)의 일측이 결합되는 부분이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걸림단부(420)에 래치스프링(S1)이 결합되는 부분은 소정 깊이로 파인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걸림단부(420)는 결합되는 인장스프링으로부터 탄성력이 전달되어 스트라이커(100)가 래치(300)에서 이탈될 경우 팝업레버(400)가 본래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팝업레버(400)는 동력전달단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단부(430)는 스프링걸림단부(420)의 일측에 연장된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단부(430)는 스트라이커가압단부(410)와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면(4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압면(431)은 동력발생기(M)의 작동으로 가압되어 팝업레버(400)의 작동에 필요한 힘을 전달받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후드래치의 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후드래치는 폴(500)을 포함할 수 있다.
폴(500)은 래치(300)의 유동이 조절되도록 동작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폴(500)은 래치(300)의 끝단이 접촉되는 래치접촉경사로(510)가 형성되어 래치(300)의 유동을 조절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폴(500)은 폴핀(P2)이 일측면에 삽입되어 베이스(200)에 형성된 제2 작동홀(2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폴(500)은 폴핀(P2)을 회동축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폴(50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하측 끝단에 폴스프링결합단부(520)가 형성될 수 있다. 폴스프링결합단부(520)는 절곡되어 굽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에 폴스프링(S2)이 결합되는 폴스프링홀(521)이 형성될 수 있다. 폴스프링홀(521)에 결합되는 폴스프링(S2)은 인장스프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폴스프링(S2)은 일측이 폴(500)에 결합되고 타측은 베이스(200)에 결합된 형태가 될 수 있다. 폴스프링(S2)은 폴(500)의 반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래치(300) 및 팝업레버(40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밀리는 폴(500)의 위치가 복원될 수 있다.
또한, 폴(500)에 측면에 형성되는 래치접촉경사로(510)는 상측 끝단에 상측래치경사벽(511)과 하측 끝단에 하측래치경사벽(512)이 형성될 수 있다 . 상측래치경사벽(511)은 래치(300)의 시계방향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벽이 될 수 있다. 이때, 래치의 시계방향 회전은 자동차 후드의 열림이 형성되는 동작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측래치경사벽(511)의 래치접촉경사로(510)방향은 수직에 가까운 경사를 형성하여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이나 부하에 쉽게 열리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상측래치경사벽(511) 래치접촉경사로(510) 반대측 방향은 완만한 경사를 형성하여 후드의 닫힘동작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측래치경사벽(512)은 닫힘상태의 래치(300)가 외력에 의해 큰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측래치경사벽(512)은 스트라이커(100)가 삽입되는 베이스(200)의'U’홈(210)의 저면과 함께 래치(300)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는 높이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래치접촉경사로(510)에는 래치정지홈(513)이 형성될 수 있다. 래치정지홈(513)은 상측래치경사벽(511)과 하측래치경사벽(512)에 연장되어 'v'형태로 형성된 홈이 될 수 있다. 래치정지홈(513)은 후드의 닫힘상태에서 래치의 끝단이 위치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후드래치의 플레이트(6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후드래치(300)는 외측을 커버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600)는 팝업레버(4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스트라이커(100)가 삽입되는 'U'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레이트(600)는 좌측에 폴핀결합홀(601) 및 우측에 래치핀결합홀(602)이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600)는 폴핀결합홀(601) 및 래치핀결합홀(602)에 결합되는 폴핀(P2) 및 래치핀(P1)에 의해 팝업레버(400)의 외측에 위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세이프티후크(7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후드래치(300)는 후방에 결합되는 세이프티후크(70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이프티후크(700)는 스트라이커(100)와 걸림동작되는 A파트(710)와 후드래치(300)의 측면을 지지하는 B파트(720)로 형성될 수 있다.
A파트(710)는 래치(300)를 이탈한 스트라이커(100)를 재차 걸려 이탈이 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A파트(710)는 스트라이커(100)와 래치(300)의 체결 부분에서 상측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에 'ㄱ'형태의 걸림부(711)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711)는 스트라이커(100)와 걸림동작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끝단이 내측으로 굽어진 형태의 'ㄱ'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A파트(710)는 하측에 베이스결합홀(712)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결합홀(712)은 B파트(720)에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A파트(710) 및 B파트(72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도 2에 도시된 세이프티후크핀(P3)에 의해 베이스(20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세이프티후크(700)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B파트(720)는 A파트(710)의 접촉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굽어져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부(721)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721)는 차량의 일측에 결합되어 B파트(7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한편, B파트(720)와 A파트(710)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세이프티후크핀(P3)에는 세이프티후크스프링(S3)이 결합될 수 있다. 세이프티후크스프링(S3)은 토션스프링형태로 형성되어 일측 끝단은 A파트(710)와 결합되고 타측 끝단은 B파트(7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A파트(710)는 세이프티후크스프링(S3)에 의해 스트라이커(100)의 입출에 따라 왕복형성되는 회전작동되는 탄성력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의 (a), (b) 및 (c)는 본 발명의 후드래치(300)의 작동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를 참고하면, 후드의 닫힘동작 시 스트라이커(100)는 세이프티후크(700)을 지나 래치(300)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래치(300)에 접촉된 스트라이커(100)는 도 11의 (b)와 같이 래치의 일측을 따라 베이스(200)의'U’홈(210)에 삽입되며, 래치(300)는 중심홈(303)이 수평한각도가 형성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따라, 스트라이커(100)는 래치(30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래치(300)의 중심홈(303)은 스트라이커(100)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트라이커(100)의 크기보다 소정 크게 형성되어 유격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래치(300)와 스트라이커(100)사이의 유격으로 인해 차량 운행 중 떨림이 발생되어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팝업레버(400)는 동력발생기(M)에 의해 회전 작동되어 스트라이커(100)의 하부를 강하게 올리도록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라이커(100)와 래치(300)의 결합간 발생되는 떨림현상은 해소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후드래치는 주행 중에 발생되는 래틀노이즈를 저감하여 운전자 및 동승자의 감성평가측면을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본 실시예들의 후드래치는 스트라이커(100)와 결합간 발생되는 래틀노이즈를 방지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스트라이커 200 : 베이스
210 : 'U'홈 300 : 래치
301 : 래치작동홀 302 : 진입면
303 : 중심홈 400 : 팝업레버
410 : 스트라이커가압단부 420 : 스프링걸림단부
430 : 동력전달단부 500 : 폴
600 : 플레이트 700 : 세이프티후크
P1 : 리채핀

Claims (4)

  1. 차량의 후드에 결합되어 걸쇠형태로 형성되는 스트라이커(100);
    후드래치 구성품이 결합되는 판으로서 중심에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삽입되는 'U'홈(210)이 형성되는 베이스(200);
    상기 베이스(2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일측이 회전되는 래치(300);
    상기 래치(3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절곡된 플레이트의 형태로 서로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세개의 단부로 형성되는 팝업레버(400);
    상기 래치(300)의 유동이 조절되도록 동작되는 폴(500);
    상기 팝업레버(4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스트라이커(100)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플레이트(600);
    상기 베이스(200) 내지 상기 플레이트(600)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체결되는 래치핀(P1); 및
    상기 베이스(200)의 후측에 결합되고 후크형태로 형성된 단부가 형성되는 세이프티후크(700); 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레버(400)는
    상기 스트라이커(100)의 하측을 접촉 및 가압하는 스트라이커가압단부(410);
    상기 스트라이커(100)를 가압하기위한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단부(430);
    가압동작 후 복원되기 위한 탄성력이 전달되도록 래치스프링(S1)이 결합되는 스프링걸림단부(420); 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라이커가압단부(410)는
    상기 팝업레버(400)가 상기 베이스와 래치핀(P1)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팝업레버결합홀(401)이 형성된 면과 평행하게 연장된 단부로 형성되어 상기 팝업레버결합홀(401)에 결합되는 래치핀(P1)을 축으로 회동시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스프링걸림단부(420)는
    상기 팝업레버결합홀(401)이 형성된 면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단부로 형성되고 소정깊이로 파인형태의 홈형태의 래치스프링(S1)의 일측이 결합되는 부분이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래치스프링(S1)으로부터 탄성력이 전달되어 스트라이커(100)가 래치에서 이탈될 경우 상기 팝업레버가 본원위치로 복원되고
    상기 동력전달단부(430)는
    상기 스프링걸림단부(420)의 일측에 연장된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스트라이커가압단부(410)와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면이 형성되고
    상기 래치(300)는
    일측에 래치작동홀(301)이 형성되어 래치핀(P1)에 의해 상기 베이스(200)와 결합되고
    래치(300)의 끝단에 형성된 경사지게 형성된 면으로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진입되는 진입면(302)이 형성되고
    상기 진입면(302)은
    원호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스트라이커가 진입되어 안착되는 홈으로 형성되는 중심홈(303)과 연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중심홈(303)은 외측부분(303a)이 외측으로 굽어지게 형성되어 내측부분(303b) 보다 넓게 형성되는 후드래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500)은
    상기 래치(300)의 끝단이 접촉되는 래치접촉경사로(510); 가 형성되고
    상기 래치접촉경사로(510)는
    상측 끝단에 래치(300)의 시계방향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상측래치경사벽(511); 과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삽입되는 베이스(200)의'U’홈(210)의 저면과 함께 래치(300)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하측 끝단에 형성되는 하측래치경사벽(512); 을 포함하는 래틀소음이 저감된 후드래치.
KR1020210043404A 2021-04-02 2021-04-02 차량 후드부의 조립성이 개선된 후드래치 KR102528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404A KR102528550B1 (ko) 2021-04-02 2021-04-02 차량 후드부의 조립성이 개선된 후드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404A KR102528550B1 (ko) 2021-04-02 2021-04-02 차량 후드부의 조립성이 개선된 후드래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380A KR20220137380A (ko) 2022-10-12
KR102528550B1 true KR102528550B1 (ko) 2023-05-04

Family

ID=83597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404A KR102528550B1 (ko) 2021-04-02 2021-04-02 차량 후드부의 조립성이 개선된 후드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5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524B1 (ko) * 2013-08-26 2014-12-10 평화정공(주)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043B1 (ko) 2004-05-25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음 저감용 후드래치 구조
KR101774525B1 (ko) * 2015-07-13 2017-09-04 평화정공 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래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524B1 (ko) * 2013-08-26 2014-12-10 평화정공(주)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380A (ko)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8303B2 (en) Double pivot concealed hinge
CN101636296B (zh) 锁定装置
US7357436B2 (en) Latch mechanism for automotive seat assembly
JP5532543B2 (ja) 車両用シートのロック装置
US8833812B2 (en) Door lock release mechanism for automobile door
US20080136199A1 (en) Door opening prevention device for vehicle door outer handle
US20060087126A1 (en) Latch assembly
US20090224559A1 (en) Door latch assembly with damping member of automobile
JP2013018401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20180100335A1 (en) Locking Apparatus for Sliding Door
US20140041154A1 (en) Check link apparatus
JP4835254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2014159196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CN102936982A (zh) 外壳弹簧锁组件
US7025395B2 (en) Latch assembly and striker
KR102528550B1 (ko) 차량 후드부의 조립성이 개선된 후드래치
KR20010056668A (ko) 자동차의 후드 언록장치
JP2010188793A (ja) 自動車のドア構造
KR200327954Y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
US6357828B1 (en) Seat reclining apparatus with vibration sound insulation
KR100444662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핀결합 연계형 래치 구조
JP2525827Y2 (ja)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100737237B1 (ko)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US7437802B2 (en) Door hinge with checker
JP2008081973A (ja) リッドの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