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915B1 -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915B1
KR101470915B1 KR1020140104205A KR20140104205A KR101470915B1 KR 101470915 B1 KR101470915 B1 KR 101470915B1 KR 1020140104205 A KR1020140104205 A KR 1020140104205A KR 20140104205 A KR20140104205 A KR 20140104205A KR 101470915 B1 KR101470915 B1 KR 101470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support
air
support arm
piv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숙
권동현
Original Assignee
박경숙
권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숙, 권동현 filed Critical 박경숙
Priority to KR1020140104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 B24C3/083Transfer or fee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물의 운반작업이 간편함과 동시에 안정적이며, 쇼트기의 챔버 내에 무거운 중량의 가공물을 효율적으로 송출입함을 제공하도록, 가공물을 리프팅하여 쇼트기의 챔버 내에 송출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에어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쇼트기 챔버의 전방을 향해 한쪽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는 지지아암과; 상기 지지아암의 한쪽 하단에 위치하되 상기 쇼트기 챔버의 전방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에 결합설치되고 가공물에 접하여 지지하되 상하로 수직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리프팅수단과,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설치되되 와이어를 통해 일단이 상기 리프팅수단에 연결결합하고 전후로 수평왕복운동하여 상기 리프팅수단이 수직왕복운동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에어리프팅부와; 상기 지지아암의 양단에 설치되되, 상기 지지아암의 한쪽 선단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지지아암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아암을 클램핑하여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피벗수단과, 상기 지지아암과 상기 에어리프팅부를 상호 연결토록 설치되고 상기 에어리프팅부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되 상기 에어리프팅부의 회동시 제동력을 가하는 제2피벗수단으로 구성되는 피벗잠금부;를 포함하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 {Air Lift Apparatus for Shot Blast Device}
본 발명은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쇼트기에서 가공처리할 가공물을 들어올려 작업자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가공물의 운반작업이 간편함과 동시에 안정적이며, 쇼트기의 챔버 내에 무거운 중량의 가공물을 효율적으로 송출입하는 것이 가능한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트기는 가공물에 강구와 같은 쇼트(shot)를 고속분사하여 가공물의 표면을 가공처리하는 장치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부품이나 공작기계부품 등과 같은 금속재질의 가공물을 일정기간 동안 방치함에 따라 표면에 발생한 산화처리막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쇼트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쇼트기는 압축공기나 임펠러를 이용하여 분사되는 쇼트가 외부로 유출되어 유실되거나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공물을 가공처리할 수 있는 밀폐된 공간의 챔버(chamber)를 두도록 구성된다. 즉 쇼트기는 챔버 내에 가공물을 송입하여 쇼트를 통해 가공한 후 챔버로부터 가공물을 인출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쇼트기를 사용하여 쇼트작업함에는 작업자가 직접 가공물을 들어 쇼트기의 챔버 내에 송입하거나 인출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특히 가공물의 부피와 중량이 큰 경우에는 작업중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고중량의 가공물을 쇼트작업함에는 가공물을 들어올려 이송하기 위한 별도의 호이스트나 크레인을 작업장 내에 설비하여 안전한 작업을 도모할 수 있게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전기식 호이스트의 경우에는 많은 설비비용과 함께 설비공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경량 물품을 취급하는 특정 생산라인이나 중소기업체들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호이스트를 사용하여 물품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물품을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기 위해서는 전후 및 좌우 이동을 위한 호이스트의 구동조작이 요구되지만, 호이스트의 전후 또는 좌우 이동의 경우 급하게 이동되는 특성상 가공물의 미세한 위치조정이 어려우며, 작업자가 리프팅된 물품을 직접 지지하여 위치를 맞춤에 따라 작업자의 접근으로 사고위험이 크고 작업자의 피로도가 가중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경량의 제품들을 아주 간단하게 들어올릴 수 있으며, 작업자가 물품의 이송과정 중 일정한 위치에 놓아두면 공기압에 의해 안정적인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에어 리프트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은 에어 리프트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57851호(2000.03.06.)에는 하단이 폐쇄되어 바닥면에 고정되는 기둥; 자체의 일단이 상기 기둥 상단에 소정의 고정수단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아암; 상기 아암 타단에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선회부재; 압축공기 공급시 소정 스트로크범위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상기 선회부재에 고정되며, 신장시 일단이 상기 선회부재에 고정되는 와이어를 상기 선회부재에 수용하여 후크를 상승시키며, 수축시 상기 와이어를 상기 선회부재로부터 인출시켜 상기 후크를 하강시키는 실린더; 하단에 상기 후크가 고정되며 상단에 상기 와이어가 고정되는 고정편에 대해 소정의 고정수단으로 회전 및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실린더에 대해 압축공기를 인입 및 배출시키는 공기통로를 개폐시켜 후크를 승하강시키는 스위치; 및 상기 실린더의 압축공기 인입통로에 연통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스위치의 업 레버를 소정압력 이상으로 조작시 상기 실린더에 인입되는 압축공기를 차단시켜 상기 후크의 급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피드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구성됨에 따라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며 설치장소를 폭넓게 선택할 수 있는 포스트형 에어 밸런서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에어 밸런서 즉 에어 리프트의 경우에는 기둥과 선회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아암의 구조가 단순히 회전가능한 구조로만 연결되기 때문에 아암이나 선회부재를 이동완료 후에 가공물의 정지상태가 유지되지 않음으로 가공물의 관성에 의해 움직일 수 있어 정확한 위치로의 상하 리프팅작업이 어려우며 안전사고의 위험을 갖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에어 리프트는 선회부재와 후크 간의 연결이 단순히 와이어로만 지지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가공물이 고정된 상태에서의 회전이동과정과 가공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승강과정 중 가공물이 쉽게 흔들릴 수 있어 작업자가 근접한 위치에서 직접 잡아줘야만 하여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자에게 피로감을 가중시킨다는 문제가 있으며, 나아가 작업영역 내에서의 안전성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등록특허공보 10-25785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쇼트기에서 가공물을 송출입하는 전반적인 작업을 기계화하여 작업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가공물을 이동한 후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잠금 고정하므로 가공물 이동위치에 대한 작업의 정확성을 높이면서 작업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가공물의 수직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작업시 가공물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원거리작업을 도모하고 작업의 안전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는 가공물을 리프팅하여 쇼트기의 챔버 내에 송출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에어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쇼트기 챔버의 전방을 향해 한쪽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는 지지아암과; 상기 지지아암의 한쪽 하단에 위치하되 상기 쇼트기 챔버의 전방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에 결합설치되고 가공물에 접하여 지지하되 상하로 수직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리프팅수단과,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설치되되 와이어를 통해 일단이 상기 리프팅수단에 연결결합하고 전후로 수평왕복운동하여 상기 리프팅수단이 수직왕복운동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에어리프팅부와; 상기 지지아암의 양단에 설치되되, 상기 지지아암의 한쪽 선단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지지아암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아암을 클램핑하여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피벗수단과, 상기 지지아암과 상기 에어리프팅부를 상호 연결토록 설치되고 상기 에어리프팅부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되 상기 에어리프팅부의 회동시 제동력을 가하는 제2피벗수단으로 구성되는 피벗잠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는 상기 피벗잠금부 중 상기 제1피벗수단이 상기 쇼트기의 챔버 상단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쇼트기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쇼트기의 한쪽에 위치하고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포스트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는 상기 포스트부재의 상단에 상기 피벗잠금부 중 상기 제1피벗수단이 고정설치되어 상기 쇼트기와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아암은 전후 및 상하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지지아암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강토록 상기 지지아암의 하부에 형성되는 보강지지편을 구비한다.
상기 에어리프팅부의 본체프레임은 상기 피벗잠금부 중 상기 제2피벗수단에 연결 결합하고 내측에 전후 횡 방향을 향한 상기 구동수단의 직선왕복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한쪽 끝단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리프팅수단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2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프레임에는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가 유입되는 연결로와, 상기 리프팅수단의 승강운동시 상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바를 형성한다.
상기 에어리프팅부의 리프팅수단은 전방으로 길게 연장형성되고 한쪽 선단에 내측으로 오목한 유입홈을 구비하여 가공물을 지지하는 리프팅부재와, 상기 리프팅부재를 지지토록 연결결합하고 상기 가이드바 상에 삽입고정되어 수직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이송부재로 구성한다.
상기 리프팅부재에는 내측에 상기 구동수단의 와이어가 체결되는 연결단과, 외부 양측면에 돌출형성되고 작업자가 수동으로 위치조정할 수 있게 형성되는 파지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단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단에서부터 연장된 와이어를 1차 경유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직선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유동부재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측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유동부재를 경유한 와이어가 2차 경유되되 상기 와이어의 연장방향을 수직방향으로 전환하는 고정풀리와,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유동부재의 후방에 연결결합하고 상기 유동부재가 전후로 왕복이동될 수 있게 상기 본체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신장운동하는 구동실린더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동부재는 상기 구동실린더에 연결결합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면에 면 접촉하는 롤러부재와, 상기 지지블록의 한쪽 선단에 상기 와이어가 경유하도록 설치되는 풀리부재로 구성한다.
상기 피벗잠금부의 제1피벗수단은 하부가 고정설치되는 제1지지축과, 상기 지지아암의 한쪽 단부에 고정결합하고 내측에 상기 제1지지축을 수용하되 상기 제1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되 상기 제1지지축에 고정설치되고 하면에 돌출형성된 요철형태의 지지면을 갖는 상부패드와, 상기 상부패드에 대응하여 위치하되 상기 제1하우징 상에 핀 고정되고 상기 핀을 따라 상하로 유동가능하며 상면에 돌출형성된 요철형태의 접촉면을 갖는 하부패드와, 상기 하부패드에 연결결합하고 상기 제1하우징 내에 유체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하부패드를 승강시켜 제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제동유닛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동유닛은 상기 하부패드에 상단이 연결결합하고 상기 제1하우징 내에 유체공급 여부에 따라 상하로 직선운동하는 피스톤부재와, 상기 피스톤부재의 하측에 대응하여 위치하되 상기 제1하우징 내에 고정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피스톤부재의 사이에 구비되고 유체공급에 따른 압력을 제거시 상기 피스톤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탄성부재로 구성한다.
상기 피벗잠금부의 제2피벗수단은 상기 에어리프팅부의 상부에 연결결합하고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지지축과, 상기 제2지지축을 수용하여 연결결합하고 상기 지지아암의 한쪽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축의 회전에 간섭하여 제동가능하게 구성되는 브레이크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제2지지축 상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2하우징 내측 공간에서 상기 제2지지축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하부에 하단이 돌출된 구조로 연결결합하는 브레이크패드와, 상기 브레이크패드에 대응하여 위치하되 상기 제2하우징 상에 핀 결합하여 상하로 유동가능하고 상기 브레이크패드에 마찰력을 가할 수 있도록 접촉가능하게 형성되는 마찰플레이트와, 상기 마찰플레이트와 상기 제2하우징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마찰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마찰플레이트에 밀어내는 힘을 가하는 제2탄성부재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에 의하면 쇼트기에 송출입하는 가공물을 작업자가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작업이 매우 쉽고 간편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가공물의 이동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는 아암을 회동과 함께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구성하므로 가공물로 인한 움직임이 없도록 제동제어하여 작업자의 위치설정작업이 수월함은 물론 작업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수월한 조정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는 에어리프팅부만을 회동할 때 소정의 제동력이 가해지도록 구성하여 작업자로 인한 미세한 위치설정작업이 용이하고, 가공물의 리프팅작업에 의한 안전사고율을 낮추면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는 가공물을 수직으로 리프팅하는 작업과정에서 직선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하므로 위치이동에 따른 가공물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근접한 작업위치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작업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에어리프팅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에어리프팅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피벗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제1피벗수단을 나타내는 분해단면도.
도 7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피벗수단 중 상부패드 및 하부패드를 나타내는 저면도 및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2피벗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제2피벗수단을 나타내는 분해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설치상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설치상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에어리프팅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피벗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에에 있어서 제2피벗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가공물을 리프팅하여 쇼트기의 챔버 내에 송출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에어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쇼트기 챔버의 전방을 향해 한쪽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는 지지아암과; 상기 지지아암의 한쪽 하단에 위치하되 상기 쇼트기 챔버의 전방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에 결합설치되고 가공물에 접하여 지지하되 상하로 수직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리프팅수단과,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설치되되 와이어를 통해 일단이 상기 리프팅수단에 연결결합하고 전후로 수평왕복운동하여 상기 리프팅수단이 수직왕복운동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에어리프팅부와; 상기 지지아암의 양단에 설치되되, 상기 지지아암의 한쪽 선단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지지아암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아암을 클램핑하여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피벗수단과, 상기 지지아암과 상기 에어리프팅부를 상호 연결토록 설치되고 상기 에어리프팅부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되 상기 에어리프팅부의 회동시 제동력을 가하는 제2피벗수단으로 구성되는 피벗잠금부;를 포함하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는 상기 피벗잠금부 중 상기 제1피벗수단이 상기 쇼트기의 챔버 상단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쇼트기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쇼트기의 한쪽에 위치하고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포스트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는 상기 포스트부재의 상단에 상기 피벗잠금부 중 상기 제1피벗수단이 고정설치되어 상기 쇼트기와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아암은 전후 및 상하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지지아암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강토록 상기 지지아암의 하부에 형성되는 보강지지편을 포함하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리프팅부의 본체프레임은 상기 피벗잠금부 중 상기 제2피벗수단에 연결 결합하고 내측에 전후 횡 방향을 향한 상기 구동수단의 직선왕복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한쪽 끝단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리프팅수단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에는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가 유입되는 연결로와, 상기 리프팅수단의 승강운동시 상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리프팅부의 리프팅수단은 전방으로 길게 연장형성되고 한쪽 선단에 내측으로 오목한 유입홈을 구비하여 가공물을 지지하는 리프팅부재와, 상기 리프팅부재를 지지토록 연결결합하고 상기 가이드바 상에 삽입고정되어 수직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팅부재에는 내측에 상기 구동수단의 와이어가 체결되는 연결단과, 외부 양측면에 돌출형성되고 작업자가 수동으로 위치조정할 수 있게 형성되는 파지부재를 포함하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단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단에서부터 연장된 와이어를 1차 경유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직선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유동부재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측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유동부재를 경유한 와이어가 2차 경유되되 상기 와이어의 연장방향을 수직방향으로 전환하는 고정풀리와,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유동부재의 후방에 연결결합하고 상기 유동부재가 전후로 왕복이동될 수 있게 상기 본체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신장운동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부재는 상기 구동실린더에 연결결합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면에 면 접촉하는 롤러부재와, 상기 지지블록의 한쪽 선단에 상기 와이어가 경유하도록 설치되는 풀리부재를 포함하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벗잠금부의 제1피벗수단은 하부가 고정설치되는 제1지지축과, 상기 지지아암의 한쪽 단부에 고정결합하고 내측에 상기 제1지지축을 수용하되 상기 제1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되 상기 제1지지축에 고정설치되고 하면에 돌출형성된 요철형태의 지지면을 갖는 상부패드와, 상기 상부패드에 대응하여 위치하되 상기 제1하우징 상에 핀 고정되고 상기 핀을 따라 상하로 유동가능하며 상면에 돌출형성된 요철형태의 접촉면을 갖는 하부패드와, 상기 하부패드에 연결결합하고 상기 제1하우징 내에 유체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하부패드를 승강시켜 제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제동유닛을 포함하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동유닛은 상기 하부패드에 상단이 연결결합하고 상기 제1하우징 내에 유체공급 여부에 따라 상하로 직선운동하는 피스톤부재와, 상기 피스톤부재의 하측에 대응하여 위치하되 상기 제1하우징 내에 고정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피스톤부재의 사이에 구비되고 유체공급에 따른 압력을 제거시 상기 피스톤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벗잠금부의 제2피벗수단은 상기 에어리프팅부의 상부에 연결결합하고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지지축과, 상기 제2지지축을 수용하여 연결결합하고 상기 지지아암의 한쪽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축의 회전에 간섭하여 제동가능하게 구성되는 브레이크수단을 포함하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제2지지축 상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2하우징 내측 공간에서 상기 제2지지축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하부에 하단이 돌출된 구조로 연결결합하는 브레이크패드와, 상기 브레이크패드에 대응하여 위치하되 상기 제2하우징 상에 핀 결합하여 상하로 유동가능하고 상기 브레이크패드에 마찰력을 가할 수 있도록 접촉가능하게 형성되는 마찰플레이트와, 상기 마찰플레이트와 상기 제2하우징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마찰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마찰플레이트에 밀어내는 힘을 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공물을 리프팅하여 쇼트기(10)의 챔버(15) 내에 송출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에어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지지아암(100)과, 에어리프팅부(200)와, 제1피벗수단(310) 및 제2피벗수단(320)으로 구성된 피벗잠금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아암(10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강성을 갖는 파이프형상의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쇼트기(10)의 전방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충분히 거리를 둔 높이 상에 상기 에어리프팅부(20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리프팅부(200)의 움직임을 지지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에서 지지아암(100)은 내부가 빈 강관을 사용하여 구성하되 상기 피벗잠금부(300)를 향한 공압 유체공급라인이 상기 지지아암(100)의 내측에 배선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아암(100)은 상기 쇼트기 챔버(15)의 전방을 향하도록 한쪽으로 길게 연장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아암(100)은 상기 에어리프팅부(20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를 이루어 상기 에어리프팅부(200)의 작동영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지지아암(100)은 상측으로 충분히 연장된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상기 에어리프팅부(200)를 보다 안정적으로 구동지지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아암(100)은 전후 및 상하로 연장형성된 구조를 이루되 상기 지지아암(100)의 연장된 길이만큼이나 충족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상기 지지아암(100)의 하부에 보강지지편(110)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보강지지편(110)은 충분한 두께 및 면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보강지지편(110)을 구성하게 되면, 지지아암(100)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응하여 강성을 보강하므로 지지아암(100)이 휘거나 전단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전반적인 장비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에어리프팅부(200)는 상기 지지아암(100)의 한쪽 하단에 위치하여 가공물을 리프팅구동 즉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구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에어리프팅부(20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아암(100)의 일단에 연결결합하는 본체프레임(210)과, 가공물을 승강시키는 리프팅수단(220)과, 상기 리프팅수단(22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2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프레임(210)은 상기 에어리프팅부(200)의 전반적인 기술구성들(예를 들면, 리프팅수단(220), 구동수단(230) 등)이 개개의 설비위치에 장착될 수 있는 지지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본체프레임(210)은 상기 쇼트기 챔버의 전방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것으로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제1프레임(210a)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2프레임(210b)으로 구성한다.
상기 제1프레임(210a)은 상기 피벗잠금부(300) 중 상기 지지아암(100)의 일단에 고정설치된 상기 제2피벗수단(320)의 하부에 연결 결합한다.
상기 제1프레임(210a)은 전후 횡 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어 내측에 상기 구동수단(230)의 직선왕복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제1프레임(210a)에는 상기 구동수단(230)이 장착되되 내측에 상기 구동수단(230)이 직선운동할 수 있는 구동경로를 구비하여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프레임(210b)은 상기 제1프레임(210a)의 한쪽 끝단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제2프레임(210b)은 상기 구동수단(230)에 의한 상기 리프팅수단(220)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2프레임(210b)의 한쪽 면(앞면)은 개방되어 상기 리프팅수단(220)이 장착되고, 상기 제2프레임(210b)의 내측에서 상기 리프팅수단(220)이 상하로 직선이동될 수 있는 구동경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프레임(210b)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210a)의 내측 공간과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로(213)와 함께 상기 리프팅수단(220)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215)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연결로(213)에는 상기 제1프레임(210a)에서부터 연장된 상기 구동수단(230)의 와이어(W)가 유입되어 상기 리프팅수단(22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바(215)는 상기 제2프레임(210b) 상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좌우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한 쌍을 이루고, 상기 리프팅수단(220)의 승강운동시 상하 직선이동토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프팅수단(220)은 상기 본체프레임(210)의 전방에 결합설치되고 가공물에 접하여 지지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리프팅수단(220)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210) 중 상기 제2프레임(210b)을 따라 상하로 수직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리프팅부재(221) 및 이송부재(226)로 구성한다.
상기 리프팅부재(221)는 상기 제2프레임(210b) 상에 전방으로 길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리프팅부재(221)의 한쪽 선단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유입홈(222)을 구비하여 가공물을 지지토록 형성된다.
상기 이송부재(226)는 상기 리프팅부재(221)를 지지토록 한쪽(제2프레임(210b)이 위치한 쪽)에 연결결합하고 상기 가이드바(215) 상에 삽입고정되어 상하 수직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리프팅부재(221)에는 내측에 상기 구동수단(230)의 와이어 끝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되는 연결단(223)을 구비한다. 즉 상기 연결단(223)은 상기 와이어(W)가 상기 제1프레임(210a)의 내측에서부터 연장하여 상기 리프팅부재(221) 상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리프팅부재(221)에는 외부 양쪽 측면에 돌출형성되고,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파지부재(224)를 구비한다. 즉 상기 파지부재(224)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수동으로 위치조정할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리프팅수단(220)을 구성하게 되면, 가공물을 수직으로 리프팅하는 작업과정에서 직선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위치이동에 따른 가공물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근접한 작업위치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작업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수단(230)은 상기 본체프레임(210) 중 상기 제1프레임(210a) 상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W)를 통해 일단이 상기 리프팅수단(220)에 연결결합하여 상기 구동수단(230)에 의해 상기 리프팅수단(220)이 연동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한다.
상기 구동수단(230)은 상기 제1프레임(210a)의 영역에서 전후로 수평왕복운동하여 상기 리프팅수단(220)이 상기 제2프레임(210b)의 영역에서 수직왕복운동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구동수단(23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210)의 내측 한쪽(제2프레임(210b)이 위치한 쪽)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W)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단(231)과, 상기 본체프레임(210)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동부재(233)와, 상기 본체프레임(210)의 내측 일단에 설치되는 고정풀리(235)와, 상기 본체프레임(210) 상에 고정설치되어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실린더(237)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동부재(233)는 상기 본체프레임(210) 중 상기 제1프레임(210a)의 횡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직선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유동부재(233)는 상기 고정단(231)에서부터 연장된 와이어(W)를 걸어 1차 경유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유동부재(233)는 상기 구동실린더(237)에 연결결합되는 지지블록(233a)과, 상기 지지블록(233a)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부재(233b)와, 상기 지지블록(233a)의 한쪽 선단에 상기 고정단(231)에서 연장된 상기 와이어(W)가 경유하도록 설치되는 풀리부재(233c)로 구성한다.
상기 롤러부재(233b)는 상기 본체프레임(210)의 내면에 면 접촉하여 상기 구동실린더(237)의 구동에 따른 이동시 상기 지지블록(233a)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면(도 3)에서는 상기 지지블록(233a)의 하부에만 구비토록 구성하였지만 상기 지지블록(233a)의 상부에도 상호 대칭된 구조를 이루도록 복수 개로 구비하여 상기 지지블록(233a)의 원활한 주행을 도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풀리부재(233c)는 상기 지지블록(233a)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풀리(235)는 상기 제1프레임(210a)의 한쪽 끝단에 설치되되 상기 제2프레임(210b)을 향해 부분적으로 돌출된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고정풀리(235)는 상기 제1프레임(210a)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프레임(210b)의 연결로(213)를 향해 한쪽이 부분적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상기 고정풀리(235)는 상기 유동부재(233)에서 상기 풀리부재(233c)를 경유한 와이어(W)가 2차 경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210a)의 내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와이어(W)의 연장방향이 상기 고정풀리(235)를 거쳐 수직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게 구비한다.
상기 구동실린더(237)는 로드가 상기 유동부재(233)의 후방에 연결결합하고 상기 유동부재(233)가 전후로 왕복이동될 수 있게 상기 본체프레임(210) 중 상기 제1프레임(210a)의 길이방향으로 신장운동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피벗잠금부(3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에어리프팅부(200)를 지지토록 고정하는 상기 지지아암(100)의 양단에 연결결합하여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피벗수단(310) 및 제2피벗수단(3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피벗수단(310)은 상기 지지아암(100)의 한쪽 선단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지지아암(100)이 고정될 별도의 장비(예를 들면, 쇼트기 또는 포스트 등)에 장착될 수 있도록 연결구성한다.
상기 제1피벗수단(310)은 상기 지지아암(100)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아암(100)을 클램핑하여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피벗수단(310)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가 고정설치되는 제1지지축(311)과, 상기 지지아암(100)의 한쪽 단부에 고정결합하는 제1하우징(313)과, 상기 제1하우징(313)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부패드(315) 및 하부패드(317)와, 상기 하부패드(317)의 하부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동유닛(31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하우징(313)은 상기 지지아암(100)을 지지토록 고정설치되어 상기 지지아암(100)을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즉 상기 제1하우징(313)은 내측에 상기 제1지지축(311)을 수용하고, 상기 지지아암(100)을 향해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제1지지축(31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패드(315)는 상기 제1지지축(311) 상에 고정설치된다. 즉 상기 상부패드(315)에는 키홈을 구비하여 상기 제1지지축(311) 간에 키를 사용하여 삽입고정토록 구성한다.
상기 상부패드(315)에는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패드(317)에 대응하여 접촉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상부패드(315)의 하면에 요철형태로 돌출형성된 지지면(316)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패드(317)는 상기 제1하우징(313)의 내측에서 상기 상부패드(315)에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하부패드(317)는 상기 상부패드(315)를 향해 접촉가능하도록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하부패드(317)는 상기 상부패드(315)의 하측에 대응하여 위치하되 상기 제1하우징(313) 상에 핀(P1) 고정되고, 상기 핀(P1)을 따라 상기 하부패드(317)가 상하 직선으로 유동가능하여 상기 상부패드(315)의 지지면(316) 상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하부패드(317)에는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패드(315)의 지지면(316)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패드(317)의 상면에 요철형태로 돌출형성되는 접촉면(318)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상부패드(315)의 지지면(316)과 상기 하부패드(317)의 접촉면(318)은 양자 모두 뾰족한 단면형상을 갖는 기어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면(316)에 상기 접촉면(318)이 상호 접하여 맞물리는 경우 상기 제1하우징(313)의 회동을 제동하여 상기 지지아암(100)이 회동할 수 없는 잠금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제동유닛(319)은 상기 하부패드(317)에 연결결합하되 상기 하부패드(317)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하우징(313) 내에 유체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하부패드(317)를 승강시켜 제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하부패드(317)를 상향이동시켜 상기 상부패드(315)에 접하도록 힘을 가하므로 상기 제1피벗수단(310)을 잠금 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제동유닛(319)을 통해 제어하고, 상기 하부패드(317)를 하향이동시켜 상기 상부패드(315)와 접하지 않도록 힘을 가하므로 상기 제1피벗수단(310)이 회동가능한 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제동유닛(319)을 통해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동유닛(319)은 상기 하부패드(317)에 상단이 연결결합하는 피스톤부재(319a)와, 상기 피스톤부재(319a)의 하측에 대응하여 위치하되 상기 제1하우징(313) 내에 고정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319b)와, 상기 지지플레이트(319b)와 상기 피스톤부재(319a)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재(319c)로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부재(319a)는 상기 하부패드(317)에서부터 상기 제1하우징(313)의 하부공간을 향해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하우징(313)의 하부공간에는 상기 피스톤부재(319a)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1하우징(313) 내의 하부공간으로 유체공급 여부에 따라 상하로 직선운동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319c)는 상기 피스톤부재(319a)를 상측으로 밀어내는 힘을 가해 상기 피스톤부재(319a)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1하우징(313)을 향해 공급된 유체로 인한 압력을 제거할 경우 상기 피스톤부재(319a)를 상측으로 밀어 복귀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에서 제1탄성부재(319c)는 상기 피스톤부재(319a)를 밀어내는 힘이 충분히 가해질 수 있게 복수 개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즉 상기 제동유닛(319)은 상기 제1하우징(313)을 향한 유체공급 여부와 상기 제1탄성부재(319c)로부터 상기 피스톤부재(319a)에 힘이 가해져 상기 제1피벗수단(310)의 잠금 여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동유닛(319)은 상기 제1하우징(313)의 하부공간에 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피스톤부재(319a)의 상측에서 누르는 힘이 가해져 상기 하부패드(317)가 상기 상부패드(315)로부터 떨어지도록 하향이동시키고, 상기 제1하우징(313)의 하부공간에서 유체가 유출되면 상기 피스톤부재(319a)는 상기 제1탄성부재(319c)에 의해 작용하는 밀어내는 힘이 가해져 상기 하부패드(317)가 상기 상부패드(315)를 향해 접하도록 상향이동시킨다.
상기 제2피벗수단(32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아암(100)과 상기 에어리프팅부(200)를 상호 연결토록 설치된다.
상기 제2피벗수단(320)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에어리프팅부(20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되 상기 에어리프팅부(200)의 회동시 제동력을 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에어리프팅부(200)의 상부에 연결결합하고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지지축(321)과, 상기 제2지지축(321)을 수용하여 연결결합하고 상기 지지아암(100)의 한쪽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제2하우징(323)과, 상기 제2하우징(323) 내에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축(321)의 회전에 간섭하여 제동가능하게 구성되는 브레이크수단(3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레이크수단(325)은 상기 제2지지축(321) 상에 고정설치되는 회전플레이트(325a)와, 상기 회전플레이트(325a) 상에 연결결합하는 브레이크패드(325b)와, 상기 브레이크패드(325b)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마찰플레이트(325c)와, 상기 마찰플레이트(325c)를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325d)로 구성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325a)는 상기 제2지지축(321)과 상호 키를 사용하여 연결결합하고, 상기 제2하우징(323)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제2지지축(321)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브레이크패드(325b)는 상기 회전플레이트(325a)의 하부에 하단이 부분적으로 돌출된 구조로 연결결합한다.
상기 마찰플레이트(325c)는 상기 브레이크패드(325b)에 접하여 마찰력을 가할 수 있도록 접촉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마찰플레이트(325c)는 상기 브레이크패드(325b)에 면 접촉하되 상기 제2하우징(323)의 내부공간에서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마찰플레이트(325c)는 상기 제2하우징(323) 상에 핀(P2) 결합하여 상하 수직으로 직선이동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제2탄성부재(325d)는 상기 마찰플레이트(325c)와 상기 제2하우징(323)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마찰플레이트(325c)를 지지하되 상기 마찰플레이트(325c)에 밀어내는 힘을 가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탄성부재(325d)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마찰플레이트(325c)를 밀어내므로 상기 마찰플레이트(325c)가 상기 브레이크패드(325b)에 접하여 소정의 제동력이 가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2피벗수단(320)을 구성하게 되면, 에어리프팅부(200)만을 회동할 때 소정의 제동력이 가해지도록 구성하여 작업자로 인한 미세한 위치설정작업이 용이하고, 가공물의 리프팅작업에 의한 안전사고율을 낮추면서 인명피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에어리프팅부(200)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210)의 하측에 연장하여 구비되고 상기 에어리프팅부(200) 중 상기 리프팅수단(220)의 승강구동 여부에 따른 상기 구동수단(230)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밸브와 함께 상기 제1피벗수단(310)의 제동유닛(319)에 따른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조작밸브를 구비하는 작동레버(240)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피벗잠금부(300) 중 상기 제1피벗수단(310)이 상기 쇼트기(10)의 챔버(15) 상단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쇼트기(10)와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제1피벗수단(310)은 상기 쇼트기(10)에서 가공물이 송출입되는 도어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쇼트기(10)와 일체형으로 구성하게 되면, 설비공간을 최소화하여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설비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쇼트기(10)의 한쪽에 위치하고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포스트부재(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는 상기 포스트부재(50)의 상단에 상기 피벗잠금부(300) 중 상기 제1피벗수단(310)이 고정설치되어 상기 쇼트기(10)와 분리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포스트부재(50)는 쇼트기 주변에 위치를 설정하여 고정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하부에 바퀴 등의 이동수단을 장착하여 설비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의 작동관계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운반할 가공물을 향해 에어리프팅부(200)가 위치하도록 지지아암(100) 및 에어리프팅부(200)를 회전시키면서 위치를 설정한 후 작업을 개시하는데, 상기 지지아암(100)은 피벗잠금부(300) 중 제1피벗수단(310)을 통해 회동하며 상기 에어리프팅부(200)는 상기 제2피벗수단(320)에 의해 회동시켜 리프팅위치를 조정한다.
이어 리프팅수단(220)이 가공물을 걸어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에어리프팅부(200)가 구동하되 상기 리프팅수단(220)을 상하로 승강토록 구동수단(230)이 작동하여 구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리프팅부(200)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실린더(237)의 로드가 전방을 향해 신장운동하여 유동부재(233)를 전진이동시키면 와이어(W)에 의해 연결된 리프팅수단(220)이 가이드바(215)를 따라 수직으로 하향이동하고, 상기 구동실린더(237)의 로드가 후방으로 복원운동하면 상기 유동부재(233)가 후진이동하면서 와이어(W)가 당겨져 리프팅수단(220)을 수직으로 상향이동함에 따라 가공물을 리프팅하게 된다.
이후 가공물을 쇼트기(10) 내에 송입하거나 쇼트기(10)에 있는 가공물을 송출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에어리프팅부(200)의 리프팅수단(220)이 쇼트기(10)를 향하도록 회전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에어리프팅부(200)의 회동은 상기 제2피벗수단(320)의 회동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상기 지지아암(100)의 회동은 상기 제1피벗수단(310)의 회동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피벗수단(310)은 평상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360도 회전가능한 구조를 이루되 가공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리프팅작업 중에는 상기 지지아암(100)이 움직이거나 흔들리지 못하도록 상기 제1피벗수단(310)에서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도 13의 (a)에서처럼 외부에서 제1하우징(313)을 향해 유체를 공급하는 상태에서는 피스톤부재(319a)를 하강시킴에 따라 하부패드(317)가 상부패드(315)로부터 떨어져 제1지지축(311)을 중심으로 제1하우징(313)이 회전가능하므로 상기 지지아암(100)의 자유로운 회동을 도모하고, 상기 제1하우징(313)을 향한 유체공급을 차단할 경우에는 도 13의 (b)에서처럼 상기 피스톤부재(319a)를 지지하던 제1탄성부재(319c)가 복원되면서 상기 피스톤부재(319a)를 밀어올리므로 상기 하부패드(317)가 상기 상부패드(315)에 접하여 제1하우징(313)이 회전될 수 없는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 상기 제2피벗수단(320)은 상기 에어리프팅부(200)가 회동할 수 있게 제2지지축(321)이 회전되는데,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탄성부재(325d)로부터 마찰플레이트(325c)에 밀어내는 힘이 항시 가해지면서 상기 마찰플레이트(325c)가 브레이크패드(325b)에 접촉하므로 상기 제2지지축(321)의 회동을 제동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에 의하면 쇼트기에 송출입하는 가공물을 작업자가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작업이 매우 쉽고 간편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가공물의 이동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아암을 회동과 함께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구성하므로 가공물로 인한 움직임이 없도록 제동제어하여 작업자의 위치설정작업이 수월함은 물론 작업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수월한 조정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쇼트기 15 : 챔버 50 :포스트부재
100 : 지지아암 110 : 보강지지편 200 : 에어리프팅부
210 : 본체프레임 210a : 제1프레임 210b : 제2프레임
213 : 연결로 215 : 가이드바 220 : 리프팅수단
221 : 리프팅부재 222 : 유입홈 223 : 연결단
224 : 파지부재 226 : 이송부재 230 : 구동수단
231 : 고정단 233 : 유동부재 233a : 지지블록
233b : 롤러부재 233c : 풀리부재 235 : 고정풀리
237 : 구동실린더 240 : 작동레버 300 : 피벗잠금부
310 : 제1피벗수단 311 : 제1지지축 313 : 제1하우징
315 : 상부패드 316 : 지지면 317 : 하부패드
318 : 접촉면 319 : 제동유닛 319a : 피스톤부재
319b : 지지플레이트 319c : 제탄성부재 320 : 제2피벗수단
321 : 제2지지축 323 : 제2하우징 325 : 브레이크수단
325a : 회전플레이트 325b : 브레이크패드 325c : 마찰플레이트
325d : 제2탄성부재 W : 와이어 P1,P2 : 핀

Claims (14)

  1. 가공물을 리프팅하여 쇼트기의 챔버 내에 송출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에어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쇼트기 챔버의 전방을 향해 한쪽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는 지지아암과;
    상기 지지아암의 한쪽 하단에 위치하되 상기 쇼트기 챔버의 전방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에 결합설치되고 가공물에 접하여 지지하되 상하로 수직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리프팅수단과,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설치되되 와이어를 통해 일단이 상기 리프팅수단에 연결결합하고 전후로 수평왕복운동하여 상기 리프팅수단이 수직왕복운동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에어리프팅부와;
    상기 지지아암의 양단에 설치되되, 상기 지지아암의 한쪽 선단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지지아암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아암을 클램핑하여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피벗수단과, 상기 지지아암과 상기 에어리프팅부를 상호 연결토록 설치되고 상기 에어리프팅부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되 상기 에어리프팅부의 회동시 제동력을 가하는 제2피벗수단으로 구성되는 피벗잠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리프팅부의 본체프레임은, 상기 피벗잠금부 중 상기 제2피벗수단에 연결 결합하고 내측에 전후 횡 방향을 향한 상기 구동수단의 직선왕복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한쪽 끝단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리프팅수단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프레임에는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가 유입되는 연결로와, 상기 리프팅수단의 승강운동시 상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리프팅부의 리프팅수단은, 전방으로 길게 연장형성되고 한쪽 선단에 내측으로 오목한 유입홈을 구비하여 가공물을 지지하는 리프팅부재와, 상기 리프팅부재를 지지토록 연결결합하고 상기 가이드바 상에 삽입고정되어 수직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이송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는 상기 피벗잠금부 중 상기 제1피벗수단이 상기 쇼트기의 챔버 상단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쇼트기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쇼트기의 한쪽에 위치하고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포스트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는 상기 포스트부재의 상단에 상기 피벗잠금부 중 상기 제1피벗수단이 고정설치되어 상기 쇼트기와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아암은 전후 및 상하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지지아암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강토록 상기 지지아암의 하부에 형성되는 보강지지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재에는 내측에 상기 구동수단의 와이어가 체결되는 연결단과, 외부 양측면에 돌출형성되고 작업자가 수동으로 위치조정할 수 있게 형성되는 파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단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단에서부터 연장된 와이어를 1차 경유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직선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유동부재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측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유동부재를 경유한 와이어가 2차 경유되되 상기 와이어의 연장방향을 수직방향으로 전환하는 고정풀리와,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유동부재의 후방에 연결결합하고 상기 유동부재가 전후로 왕복이동될 수 있게 상기 본체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신장운동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재는 상기 구동실린더에 연결결합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면에 면 접촉하는 롤러부재와, 상기 지지블록의 한쪽 선단에 상기 와이어가 경유하도록 설치되는 풀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잠금부의 제1피벗수단은, 하부가 고정설치되는 제1지지축과, 상기 지지아암의 한쪽 단부에 고정결합하고 내측에 상기 제1지지축을 수용하되 상기 제1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되 상기 제1지지축에 고정설치되고 하면에 돌출형성된 요철형태의 지지면을 갖는 상부패드와, 상기 상부패드에 대응하여 위치하되 상기 제1하우징 상에 핀 고정되고 상기 핀을 따라 상하로 유동가능하며 상면에 돌출형성된 요철형태의 접촉면을 갖는 하부패드와, 상기 하부패드에 연결결합하고 상기 제1하우징 내에 유체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하부패드를 승강시켜 제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제동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동유닛은, 상기 하부패드에 상단이 연결결합하고 상기 제1하우징 내에 유체공급 여부에 따라 상하로 직선운동하는 피스톤부재와, 상기 피스톤부재의 하측에 대응하여 위치하되 상기 제1하우징 내에 고정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피스톤부재의 사이에 구비되고 유체공급에 따른 압력을 제거시 상기 피스톤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잠금부의 제2피벗수단은, 상기 에어리프팅부의 상부에 연결결합하고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지지축과, 상기 제2지지축을 수용하여 연결결합하고 상기 지지아암의 한쪽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축의 회전에 간섭하여 제동가능하게 구성되는 브레이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제2지지축 상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2하우징 내측 공간에서 상기 제2지지축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하부에 하단이 돌출된 구조로 연결결합하는 브레이크패드와, 상기 브레이크패드에 대응하여 위치하되 상기 제2하우징 상에 핀 결합하여 상하로 유동가능하고 상기 브레이크패드에 마찰력을 가할 수 있도록 접촉가능하게 형성되는 마찰플레이트와, 상기 마찰플레이트와 상기 제2하우징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마찰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마찰플레이트에 밀어내는 힘을 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
KR1020140104205A 2014-08-12 2014-08-12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 KR101470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205A KR101470915B1 (ko) 2014-08-12 2014-08-12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205A KR101470915B1 (ko) 2014-08-12 2014-08-12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915B1 true KR101470915B1 (ko) 2014-12-09

Family

ID=52678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205A KR101470915B1 (ko) 2014-08-12 2014-08-12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9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292A (ja) * 1993-07-31 1995-02-10 Shinmei Kogyo Kk エアリフター
KR100528078B1 (ko) * 2005-03-28 2005-11-15 권재규 에어 리프트 피벗장치
KR20130096491A (ko) * 2012-02-22 2013-08-30 최철순 에어 밸런스 아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292A (ja) * 1993-07-31 1995-02-10 Shinmei Kogyo Kk エアリフター
KR100528078B1 (ko) * 2005-03-28 2005-11-15 권재규 에어 리프트 피벗장치
KR20130096491A (ko) * 2012-02-22 2013-08-30 최철순 에어 밸런스 아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43407B (zh) 铸造机器人用可翻转式多指异步抓手
CN105947534B (zh) 带计数功能的砖块运送装置
JP2006021858A (ja) 昇降搬送装置
JP2016044315A (ja) メッキ処理用ハンガー掛け装置
JP2019011668A (ja) 建材用ジャッキ装置
CN110589510A (zh) 翻转机构及具有该翻转机构的提升机
US52056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and tilting drums of flowable material
KR101470915B1 (ko) 쇼트기용 에어 리프트장치
ITBO20070411A1 (it) Apparato per levigare un prodotto, in particolare un semilavorato ceramico.
KR101761260B1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CN207807757U (zh) 铸造机器人用可翻转式多指异步抓手
KR20170122884A (ko) 사다리차의 적재대 슬라이드장치
CN211168956U (zh) 翻转机构及具有该翻转机构的提升机
CN110407077B (zh) 夹取装置及吊装系统
KR102461807B1 (ko) 전동 및 수동 겸용 드럼 피커
KR101626965B1 (ko) 인체공학적 고중량 리프팅 파레트
JPH03211195A (ja) 航空機の車輪付き脚搬送交換装置
CN202785374U (zh) 一种移动调节式倒链架
KR102135248B1 (ko) 화물 적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KR102097162B1 (ko) 조향 가능한 대형 구조물 부착형 리프터
JP7134834B2 (ja) ロッカーパネル搬送装置
CN208906903U (zh) 一种间歇输送装置及电石运输线
JP6854732B2 (ja) 荷物保持用のハンド部
KR101433096B1 (ko) 승하강용 회전암을 이용한 소재이송 갠트리장치 전용 수직 승하강 보상 수평이송장치 구조
JP2013129476A (ja) リフ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