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671B1 - 소음저감형 유로 제어 밸브 - Google Patents

소음저감형 유로 제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671B1
KR101469671B1 KR1020130112533A KR20130112533A KR101469671B1 KR 101469671 B1 KR101469671 B1 KR 101469671B1 KR 1020130112533 A KR1020130112533 A KR 1020130112533A KR 20130112533 A KR20130112533 A KR 20130112533A KR 101469671 B1 KR101469671 B1 KR 101469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moving
needle
moving memb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춘기
나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30112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04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having valves, e.g. having a plurality of valves in series
    • F02M61/10Other injectors with elongated valve bodies, i.e. of needle-valv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6Valves
    • F02M59/466Electrically operated valves, e.g. using electromagnetic or piezoelectric ope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12Valves
    • F02M63/0014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 F02M63/0015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electrical, e.g. using solenoid
    • F02M63/0017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electrical, e.g. using solenoid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12Valves
    • F02M63/0031Valve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valves, e.g. special valve member details, valve seat details, valve housing details
    • F02M63/0033Lift valves, i.e. having a valve member that moves perpendicularly to the plane of the valv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저감형 유로 제어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좌우로 왕복운동하는 니들이 이동하면서 충격성 소음을 유발시키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는 소음저감형 유로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음저감형 유로 제어 밸브는, 일단에 흡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하여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를 개폐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일단방향으로 탄성지지하여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리턴스프링과; 전원인가시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리턴스프링이 배치된 타단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전자석부와; 상기 전자석부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리턴스프링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력을 완충시키는 댐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댐퍼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타단과 상기 전자석부가 접촉하기 이전에 상기 이동부재와 접하여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음저감형 유로 제어 밸브 { VALVE FOR CONTROLLING THE PATH OF FLUID }
본 발명은 소음저감형 유로 제어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좌우로 왕복운동하는 니들이 이동하면서 충격성 소음을 유발시키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는 소음저감형 유로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솔린 엔진에서 연비 및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GDI:gasoline directinjection)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공기/연료 혼합기(air/fuel mixture)의 흡입/압축/점화/폭발/배기 과정에 의해 동력을 발생하는 통상의 가솔린 엔진의 연소 과정에 비하여,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에서는 공기만을 흡입하여 압축한 후 연료를 분사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디젤 기관의 압축 착화 방식과 유사하다.
따라서,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에서는 통상적인 가솔린 엔진의 압축비(compression ratio)의 한계를 넘는 높은 압축비를 구현할 수 있고, 따라서, 연비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에서 고압의 연료압력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며, 이를 위하여 고성능의 고압연료펌프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고압연료펌프에는 공급되는 연료 등의 유량을 적절히 제어하기 위하여 다양한 제어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밸브는 보통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져, 전자기력에 의해 내부의 니들이 이동하면서 밸브를 개폐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니들의 이동시 상기 니들이 밸브바디부와 접하여 충격성 소음을 유발시키는 경우가 종종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0765호(2009년 06월 15일)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1897호(2011년10월12일)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전자기력에 의해 이동하는 니들의 이동시 니들이 밸브의 바디부와 접하여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는 소음저감형 유로 제어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소음저감형 유로 제어 밸브는, 일단에 흡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하여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를 개폐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일단방향으로 탄성지지하여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리턴스프링과; 전원인가시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리턴스프링이 배치된 타단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전자석부와; 상기 전자석부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리턴스프링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력을 완충시키는 댐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댐퍼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타단과 상기 전자석부가 접촉하기 이전에 상기 이동부재와 접하여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퍼부재는, 상기 바디부에 고정 결합된 댐퍼고정부와; 상기 이동부재가 타단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댐퍼고정부가 배치된 타단방향으로 이동하는 댐퍼이동부와; 상기 댐퍼고정부와 상기 댐퍼이동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댐퍼이동부를 상기 댐퍼고정부의 반대방향인 일단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댐퍼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니들과; 상기 니들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전자석부의 코어와 대면하여 상기 전자석부의 작동시 상기 니들을 상기 전자석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아마츄어와; 상기 니들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니들의 일단이 관통하는 상기 바디부의 걸림턱에 걸려 상기 니들이 일단방향으로 일정거리 이상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걸림돌기와; 상기 니들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니들의 이동시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를 개폐하는 밸브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댐퍼이동부는 상기 이동부재가 타단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걸림돌기에 의해 상기 댐퍼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댐퍼고정부가 배치된 타단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댐퍼이동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아마츄어와 상기 코어 사이의 간격보다 작도록 한다.
상기 댐퍼고정부는 중공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바디부에 고정결합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니들이 이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며, 상기 댐퍼이동부는 중공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바디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니들이 이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며, 상기 댐퍼스프링은 상기 이동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배치된다.
또는, 상기 댐퍼이동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상기 댐퍼고정부는 중공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바디부에 고정결합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니들이 이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며, 상기 댐퍼이동부는 중공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바디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주면이 상기 니들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댐퍼스프링은 상기 이동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배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소음저감형 유로 제어 밸브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전자기력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부재의 이동시 댐퍼부재에 의해 이동부재가 바디부와 접하여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제어 밸브의 단면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제어 밸브의 이동부재가 우측방향으로 일부 이동한 상태의 단면구조도,
도 3은 도 2에서 상기 이동부재가 우측방향으로 더 이동한 상태의 단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제어 밸브의 단면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제어 밸브의 이동부재가 우측방향으로 일부 이동한 상태의 단면구조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제어 밸브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제어 밸브의 이동부재가 우측방향으로 일부 이동한 상태의 단면구조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상기 이동부재가 우측방향으로 더 이동한 상태의 단면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음저감형 유로 제어 밸브는, 바디부(10)와, 이동부재(20)와, 리턴스프링(30)과, 전자석부(40)와, 댐퍼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부(10)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흡입구(11)와 배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1)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12)는 상기 바디부(10)의 일단의 끝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구는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연료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통로이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바디부 내부로 유입된 연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통로이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0)의 내부에는 상기 댐퍼부재(50)보다 상기 흡입구(11) 및 배출구(1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걸림턱(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13)에는 상기 이동부재(20)의 니들(21)이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20)는 상기 바디부(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함으로써, 상기 흡입구(11)와 배출구(12)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이동부재(20)는 니들(21)과, 아마츄어(22)와, 걸림돌기(23)와, 밸브플레이트(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니들(21)은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전자석부(4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상기 니들(21)은 일단이 상기 걸림턱(13)을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아마츄어(22)는 상기 니들(21)의 타단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전자석부(40)의 코어(42)와 대면하여 상기 전자석부(40)의 작동시 상기 니들(21)을 상기 전자석부(40)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기 아마츄어(22)는 자성체 또는 영구자석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아마츄어(22)는 상기 니들(21)의 타단에 고정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아마츄어(22)와 상기 니들(21)은 함께 좌우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걸림돌기(23)는 상기 니들(21)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3)과 상기 댐퍼이동부(52)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걸림돌기(23)는 상기 니들(21)의 일단이 관통하는 상기 걸림턱(13)에 걸려, 상기 니들(21)이 일단방향으로 일정거리 이상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23)는 상기 니들(21)이 타단방향이 이동할 때, 상기 댐퍼부재(5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밸브플레이트(24)는 상기 흡입구(11)와 배출구(12) 사이에서 상기 니들(21)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니들(21)의 이동시 상기 흡입구(11)와 배출구(12)를 개폐한다.
이러한 상기 밸브플레이트(24)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리턴스프링(30)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흡입구(11)와 배출구(12)가 상호 연통되게 개방하고, 상기 전자석부(40)의 작동시 상기 흡입구(11)와 배출구(12)의 연통을 폐쇄시킨다.
상기 리턴스프링(30)은 상기 이동부부재의 타단에 접하여 상기 이동부재(20)를 일단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이로 인해 상기 흡입구(11)와 배출구(12)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턴스프링(30)은 일단이 상기 아마츄어(22)에 접하여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전자석부(40)를 이루는 코어(42)의 타단에 접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리턴스프링(30)은 상기 아마츄어(22)와 고정 결합된 상기 니들(21)이 일단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지지하여, 자유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플레이트(24)가 상기 흡입구(11)와 배출구(12)를 상호 연통시키도록 한다.
상기 전자석부(40)는 상기 바디부(10)의 타단에 결합되고, 외부 전원인가시 상기 이동부재(20)를 상기 리턴스프링(30)이 배치된 타단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전자석부(40)는,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상기 리턴스프링(30)에 삽입 배치되는 코어(42)와, 상기 코어(42)의 둘레를 감싸고 있는 코일(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코일(41)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코어(42)는 전자석이 되어, 대면하고 있는 상기 아마츄어(22)를 잡아당기게 된다.
물론, 상기 전자석부(40)는 상기 코일(41)만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41)의 안쪽에 상기 아마츄어(22)가 배치되도록 하여,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원리에 의해 상기 아마츄어(22)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댐퍼부재(50)는 상기 전자석부(40)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20)가 상기 리턴스프링(30)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동부재(20)의 이동력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전자석부(40)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20)가 상기 리턴스프링(30)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동부재(20)의 타단과 상기 전자석부(4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아마츄어(22)의 타단과 상기 코어(42)의 일단이 상호 접촉하기 이전에 상기 댐퍼부재(50)는 상기 이동부재(20)와 접하여 상기 이동부재(20)를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댐퍼부재(50)는, 댐퍼고정부(51)와, 댐퍼이동부(52)와, 댐퍼스프링(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댐퍼고정부(51)는 상기 바디부(10)의 내부에서 상기 바디부(10)에 고정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퍼고정부(51)는 중공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바디부(10)에 고정결합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니들(21)이 이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된다.
상기 댐퍼이동부(52)는 상기 이동부재(20)가 타단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동부재(20)에 의해 상기 댐퍼고정부(51)가 배치된 타단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퍼이동부(52)는 중공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바디부(1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니들(21)이 이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된다.
상기 댐퍼스프링(53)은 상기 댐퍼고정부(51)와 상기 댐퍼이동부(5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댐퍼이동부(52)를 상기 댐퍼고정부(51)의 반대방향인 일단 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퍼스프링(53)은 코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2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고정부(51)와 댐퍼이동부(52)에는 각각 상기 댐퍼스프링(53)의 양단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상기 댐퍼부재(50)는, 상기 이동부재(20)가 타단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걸림돌기(23)에 의해 상기 댐퍼이동부(52)가 상기 댐퍼스프링(53)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댐퍼고정부(51)가 배치된 타단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댐퍼스프링(53)이 압축되면서 상기 이동부재(20)의 이동력을 완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3)와 상기 댐퍼이동부(52) 사이의 간격은, 상기 아마츄어(22)와 상기 코어(42) 사이의 간격보다 작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이동부재(20)가 타단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동부재(20)의 타단이 상기 전자석부(40)와 접촉하기 이전에, 상기 걸림돌기(23)가 상기 댐퍼이동부(52)와 먼저 접하면서 상기 댐퍼스프링(53)을 압축시키기 때문에, 상기 댐퍼스프링(53)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20)의 이동력이 완충되어, 상기 이동부재(20)의 타단 즉 상기 아마츄어(22)와 상기 코어(42)가 상호 강하게 부딪혀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이동부(52) 및 댐퍼고정부(51)에는 상기 바디부(10) 내부에 존재하는 연료가 유동하기 위한 관통공(54)이 일단과 타단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댐퍼이동부(52)의 이동시 상기 바디부(10) 내부에 존재하는 연료는 상기 관통공(54)을 통해 상기 댐퍼이동부(52)의 일단과 타단 방향으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어, 상기 이동부재(20)에 의해 상기 댐퍼이동부(52)가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유상태에서, 상기 리턴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20)는 좌측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플레이트(24)는 상기 흡입구(11)와 배출구(12)가 상호 연통되게 개방한다.
즉 본 발명의 유로 제어밸브는 노말 오픈 타입(Normal Open Type)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3)는 상기 리턴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턱(13)에 접하여 상기 니들(21)이 일방향으로 일정거리 이상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흡입구(11)와 배출구(12)의 연통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코일(41)에 전원을 인가한다.
상기 코일(41)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코일(41)의 내부에는 전자기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아마츄어(22)는 상기 전자석부(40) 방향으로 잡아당겨지는 힘을 받게 된다.
상기 아마츄어(22)가 상기 전자석부(40)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니들(21)도 함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리턴스프링(30)은 점점 압축되게 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23)는 상기 아마츄어(22)가 상기 전자석부(40)의 코어(42)와 접촉하기 이전에 먼저 상기 댐퍼이동부(52)에 접촉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니들(21)이 우측방향으로 더 이동함에 따라 상기 댐퍼이동부(52)는 상기 걸림돌기(23)에 의해 상기 댐퍼스프링(53)을 압축시키면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이동부재(20)의 이동력이 감쇄되어 상기 아마츄어(22)가 상기 코어(42)에 강하게 부딪혀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2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밸브플레이트(24)는 상기 바디부(10)에 접하여 상기 흡입구(11)와 배출구(12)의 연통을 폐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41)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되면, 압축된 상기 리턴스프링(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20)는 다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11)와 배출구(12)가 상호 연통되게 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제어 밸브의 단면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제어 밸브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제어 밸브의 이동부재(20)가 우측방향으로 일부 이동한 상태의 단면구조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유로 제어 밸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유로 제어 밸브와 비교하여, 상기 걸림돌기(23)가 없이, 상기 댐퍼이동부(52)가 상기 이동부재(20) 즉 상기 니들(21)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전자석부(4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이동부재(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니들(21)의 이동에 의해 상기 니들(21)에 고정결합된 상기 댐퍼이동부(52)는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댐퍼이동부(52)가 상기 댐퍼고정부(51)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댐퍼스프링(53)이 압축되면서 상기 댐퍼이동부(52)의 이동력을 완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20)의 이동력이 감쇄되어 상기 아마츄어(22)가 상기 코어(42)에 강하게 부딪혀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소음저감형 유로 제어 밸브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바디부, 11 : 흡입구, 12 : 배출구, 13 : 걸림턱,
20 : 이동부재, 21 : 니들, 22 : 아마츄어, 23 : 걸림돌기, 24 : 밸브플레이트,
30 : 리턴스프링,
40 : 전자석부, 41 : 코일, 42 : 코어,
50 : 댐퍼부재, 51 : 댐퍼고정부, 52 : 댐퍼이동부, 53 : 댐퍼스프링, 54 : 관통공.

Claims (7)

  1. 일단에 흡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하여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를 개폐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일단방향으로 탄성지지하여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리턴스프링과;
    전원인가시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리턴스프링이 배치된 타단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전자석부와;
    상기 전자석부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리턴스프링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동부재의 타단과 상기 전자석부가 접촉하기 이전에 상기 이동부재와 접하여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력을 완충시키는 댐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댐퍼부재는,
    상기 바디부에 고정 결합된 댐퍼고정부와;
    상기 이동부재가 타단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댐퍼고정부가 배치된 타단방향으로 이동하는 댐퍼이동부와;
    상기 댐퍼고정부와 상기 댐퍼이동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댐퍼이동부를 상기 댐퍼고정부의 반대방향인 일단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댐퍼스프링으로 이루지며,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는 상기 댐퍼부재보다 상기 흡입구 및 배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고 일단이 상기 걸림턱을 관통하는 니들과;
    상기 니들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전자석부의 코어와 대면하여 상기 전자석부의 작동시 상기 니들을 상기 전자석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아마츄어와;
    상기 니들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과 상기 댐퍼이동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니들이 일단방향으로 일정거리 이상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걸림돌기와;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 사이에서 상기 니들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니들의 이동시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를 개폐하는 밸브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자유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리턴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기 걸림턱에 접하여 상기 니들이 일방향으로 일정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저지하고 상기 밸브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가 연통되는 개방상태를 유지시키며,
    상기 전자석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가 타단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댐퍼이동부는 상기 걸림돌기에 의해 상기 댐퍼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댐퍼고정부가 배치된 타단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밸브플레이트는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의 연통을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형 유로 제어 밸브.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댐퍼이동부 및 댐퍼고정부에는 상기 바디부 내부에 존재하는 연료가 유동하기 위한 관통공이 일단과 타단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상기 댐퍼이동부의 이동시 상기 바디부 내부에 존재하는 연료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댐퍼이동부의 일단과 타단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형 유로 제어 밸브.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댐퍼고정부는 중공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바디부에 고정결합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니들이 이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며,
    상기 댐퍼이동부는 중공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바디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니들이 이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며,
    상기 댐퍼스프링은 상기 이동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형 유로 제어 밸브.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댐퍼이동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형 유로 제어 밸브.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댐퍼고정부는 중공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바디부에 고정결합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니들이 이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며,
    상기 댐퍼이동부는 중공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바디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주면이 상기 니들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댐퍼스프링은 상기 이동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형 유로 제어 밸브.
KR1020130112533A 2013-09-23 2013-09-23 소음저감형 유로 제어 밸브 KR101469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533A KR101469671B1 (ko) 2013-09-23 2013-09-23 소음저감형 유로 제어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533A KR101469671B1 (ko) 2013-09-23 2013-09-23 소음저감형 유로 제어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671B1 true KR101469671B1 (ko) 2014-12-05

Family

ID=5267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533A KR101469671B1 (ko) 2013-09-23 2013-09-23 소음저감형 유로 제어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6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796B1 (ko) 2015-12-29 2018-02-22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용 고압 연료펌프
US11940058B2 (en) 2022-02-18 2024-03-26 Hyundai Motor Company Solenoid valv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2133A (ja) * 1997-10-27 1999-05-18 Nissan Motor Co Ltd 燃料噴射弁
JP2008546952A (ja) * 2005-06-30 2008-12-25 ローベルト ボッシュ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磁気弁内のアーマチュアストロークを緩衝する装置
KR101072629B1 (ko) * 2010-10-15 2011-10-1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소음 저감형 전자식 개폐기
KR20130065352A (ko) * 2011-12-09 2013-06-19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직분사 연료 인젝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2133A (ja) * 1997-10-27 1999-05-18 Nissan Motor Co Ltd 燃料噴射弁
JP2008546952A (ja) * 2005-06-30 2008-12-25 ローベルト ボッシュ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磁気弁内のアーマチュアストロークを緩衝する装置
KR101072629B1 (ko) * 2010-10-15 2011-10-1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소음 저감형 전자식 개폐기
KR20130065352A (ko) * 2011-12-09 2013-06-19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직분사 연료 인젝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796B1 (ko) 2015-12-29 2018-02-22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용 고압 연료펌프
US11940058B2 (en) 2022-02-18 2024-03-26 Hyundai Motor Company Solenoid val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0726B2 (en) Fuel injection valve
JP4637931B2 (ja) 燃料噴射弁
KR101964793B1 (ko) 분사 밸브 및 분사 밸브용 밸브 조립체
KR101469671B1 (ko) 소음저감형 유로 제어 밸브
KR101556627B1 (ko) 이중 완충구조를 가지는 내연기관용 고압 펌프
CN111271200B (zh) 燃料泵及其入口阀组件
JP2006097659A (ja) 燃料噴射弁
JP5482267B2 (ja) 燃料噴射弁
JP6613973B2 (ja) 燃料噴射装置
US10443595B2 (en) Automotive fuel pump
JP2013167194A (ja) 燃料噴射弁
JP6542405B2 (ja) 電磁切換弁および高圧燃料ポンプ
JP6557608B2 (ja) 燃料噴射装置の制御装置
KR20130010933A (ko) 가솔린 직접분사 엔진의 고압 연료펌프의 소음저감 구조
KR102007016B1 (ko) 밸브 조립체 및 분사 밸브
JP6233481B2 (ja) 燃料噴射弁
JP2015063901A (ja) 電磁式燃料噴射弁
JP2014141902A (ja) 燃料噴射弁
KR101556637B1 (ko) 댐핑 구조를 가지는 내연기관용 고압 펌프
JP2009191687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装置
JP4239942B2 (ja) 燃料噴射弁
JPH09273457A (ja) 高圧燃料噴射装置に用いるインジェクタ
KR101412481B1 (ko) 내연기관용 고압 펌프
KR102114020B1 (ko) 인젝터
KR102042912B1 (ko) 연료 분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및 고압 연료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