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491B1 -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시스템,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시스템,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491B1
KR101469491B1 KR1020130129950A KR20130129950A KR101469491B1 KR 101469491 B1 KR101469491 B1 KR 101469491B1 KR 1020130129950 A KR1020130129950 A KR 1020130129950A KR 20130129950 A KR20130129950 A KR 20130129950A KR 101469491 B1 KR101469491 B1 KR 101469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network
mvoip
telephon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금범
장민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9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시스템,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일반 전화망을 통해 일반 전화 발신자의 단말 장치와 연결하고, 일반 전화 발신자의 단말 장치와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 착신 아이디를 통해 mVoIP 착신자를 검색하여 데이터 통신망을 통한 통화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화 중계를 통해 유무선 통신사에 가입되어 있는 사용자와 통신사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 사이에 통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시스템,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SYSTEM FOR RELAYING CALL BETWEEM GENERAL TELEPHONE NETWORK AND 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METHOD OF RELAYING CALL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일반 전화망과 mVoIP 사이에 통화 중계에 관한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시스템,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 전화망 사용자가 mVoIP 착신자의 아이디를 통해 전화 연결을 요청하여 통신사를 사용하지 않는 mVoIP 착신자와 통화가 가능한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시스템,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는 IP 주소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을 디지털 패킷으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기술이다. 그물망 형태의 기존 인터넷을 활용하는 VoIP의 초기 고객은 통신 비용을 절감하려는 기업들이었지만, 통화 품질이 발전하고 장비가 보급되면서 일반 가정에서도 VoIP가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또한, 최근 들어 스마트폰 등을 통한 모바일 인터넷이 발전하면서 mVoIP로 진화한 인터넷 전화는 와이파이, 3G망과 같은 무선 모바일 인터넷을 이용하여 휴대폰으로 인터넷전화를 할 수 있는 기술이다. mVoIP의 전송 속도는 VoIP보다 느리긴 하지만, 스마트폰이 대중화됨에 따라 mVoIP 가입자도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으며, 스마트폰 사용자라면 모두 잠재적 mVoIP 사용자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이와 같은 mVoIP를 이용한 다양한 통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일반 전화 사용자와 mVoIP 사용자 간의 통화를 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명시된 바 없다. 하지만 일반 전화 사용자와 mVoIP 사용자 간의 원활한 통화 연결이 가능하다면 통화의 편의성이나 통화 비용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2006-0018232호는 기존 전화 시스템의 아날로그 전화와 인터넷 전화의 연결을 지원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공개특허 2006-0018232호는 VoIP 기술을 통해 IP 전화와 아날로그 전화 사이의 통화 연결을 처리하므로 아날로그 전화와 mVoIP 기술 사이의 통화 연결에 대해 개시하지 못하고 있고, 이동통신사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단말과 음성통화를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 전화망 사용자가 mVoIP 착신자의 아이디를 통해 전화 연결을 요청함으로써, 통신사를 사용하지 않는 mVoIP 착신자와 통화가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통화 중계 기술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무선 통신사에 가입되어 있는 사용자와 통신사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가 통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이디 정보를 이용하여 전화를 연결함으로써,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알 수 없는 경우에도 상대방의 아이디만으로 간편하게 통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해외에 있는 착신자와의 통화시 일반 전화망을 사용할 때보다 상대적으로 통신 비용이 저렴한 mVoIP를 이용함으로써 통신에 지출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장치는, 일반 전화망을 통하여 일반 전화 발신자의 단말 장치와 연결되어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전화망 연결부; 상기 일반 전화망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가 연결되기 전에 상기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와 연동하여 수신된 착신 아이디를 이용하여 mVoIP 착신자를 검색하는 아이디 변환부; 및 상기 mVoIP 착신자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음성 패킷을 송/수신하여 상기 mVoIP 착신자와 일반 전화 발신자 사이의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mVoIP 통신부를 포함한다.
이 때, 아이디 변환부는 상기 전화망 연결부와 연결되어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전화망 연결부와 연결되기 전에 상기 아이디 변환부에서 수신한 상기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착신 아이디를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통화 중계 장치는 상기 일반 전화 발신자의 단말 장치가 음성 통신을 수행할 때 송/수신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와 상기 음성 패킷을 상호 변환해 주는 신호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화망 연결부는 상기 일반 전화 발신자의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통화 중계 번호로 전화 연결을 요청할 때 연결되어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일반 전화망은 음성 통신이 수행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통신망은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모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발신 전화번호와 연동하여 mVoIP 착신자에 상응하는 식별자를 통화 중계 장치로 전송하는 아이디 송신부; 및 상기 식별자가 전송된 후 일반 전화망을 통하여 기설정된 통화 중계 번호로 전화 연결을 수행하여, 상기 통화 중계 장치가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식별한 상기 mVoIP 착신자와의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화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 때, 전화 연결부는 상기 아이디 송신부가 상기 식별자를 상기 통화 중계 장치로 전송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기설정된 통화 중계 번호로 상기 mVoIP 착신자와의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 때, 일반 전화망은 음성 통신이 수행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방법은, 일반 전화망을 통하여 일반 전화 발신자의 단말 장치와 연결되어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일반 전화망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가 연결되기 전에 상기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와 연동하여 수신된 착신 아이디를 이용하여 mVoIP 착신자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mVoIP 착신자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음성 패킷을 송/수신하여 상기 mVoIP 착신자와 일반 전화 발신자 사이의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mVoIP 착신자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일반 전화망을 통해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와 상기 단말 장치가 연결되기 전에 수신한 상기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착신 아이디를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통화 중계 방법은 상기 일반 전화 발신자의 단말 장치가 음성 통신을 수행할 때 송/수신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와 상기 음성 패킷을 상호 변환해 줄 수 있다.
이 때,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일반 전화 발신자의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통화 중계 번호로 전화 연결을 요청할 때 연결되어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일반 전화망은 음성 통신이 수행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통신망은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모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방법은, 발신 전화번호와 연동하여 mVoIP 착신자에 상응하는 식별자를 통화 중계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자가 전송된 후 일반 전화망을 통하여 기설정된 통화 중계 번호로 전화 연결을 수행하여, 상기 통화 중계 장치가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식별한 상기 mVoIP 착신자와의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mVoIP 착신자에 상응하는 상기 식별자를 상기 통화 중계 장치로 전송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기설정된 통화 중계 번호로 상기 mVoIP 착신자와의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 때, 일반 전화망은 음성 통신이 수행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시스템은, 전화번호와 연동하여 mVoIP 착신자에 상응하는 식별자를 전송한 후, 일반 전화망을 통하여 기설정된 통화 중계 번호로 전화 연결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 및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전화번호로부터 상기 일반 전화망을 통한 전화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착신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mVoIP 착신자를 검색하고 상기 mVoIP 착신자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한 연결을 설정하여 상기 mVoIP 착신자와 상기 단말 장치 사이의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화 중계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사에 가입되어 있는 사용자와 통신사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가 통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이디 정보를 이용하여 전화를 연결함으로써,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알 수 없는 경우에도 상대방의 아이디만으로 간편하게 통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해외에 있는 착신자와의 통화시 일반 전화망을 사용할 때보다 상대적으로 통신 비용이 저렴한 mVoIP를 이용함으로써 통신에 지출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화 중계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신 단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계 방법(서버 관점)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계 방법(단말 관점)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계 방법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동작 흐름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계 방법 중 음성 아날로그 신호와 음성 패킷의 송수신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발신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통화 중계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발신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통화 중계 인터페이스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계 시스템은 통화 중계 장치(100), 발신 단말 장치(110), 착신 단말 장치(120)를 포함한다.
통화 중계 장치(100)는 일반 전화망을 통하여 발신 단말 장치(110)와 연결되어 음성 통신을 수행하고, 일반 전화망을 통해 발신 단말 장치(110)가 연결되기 전에 발신 단말 장치(110)의 전화번호와 연동하여 수신된 착신 아이디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 장치(120)를 검색하고, 검색한 착신 단말 장치(120)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음성 패킷을 송/수신하여 mVoIP 착신자와 일반 전화 발신자 사이의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때, 착신 단말 장치(120)는 통화 중계 장치(100)와 연결되어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발신 단말 장치(110)의 전화번호와 발신 단말 장치(110)가 통화 중계 장치(100)와 연결되기 전에 수신한 발신 단말 장치(110)의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검색한 착신 아이디로 검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화 중계 장치(100)는 일반 전화 발신자의 발신 단말 장치(110)가 음성 통신을 수행할 때 송/수신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와 착신 단말 장치(120)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때 송/수신하는 음성 패킷을 상호 변환해 줄 수 있다.
이 때, 일반 전화망을 사용하는 일반 전화 발신자와의 음성 통신 연결은 발신 단말 장치(110)가 기설정된 통화 중계 번호로 통화 중계 장치(100)에게 전화 연결을 요청할 때 연결되어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일반 전화망은 음성 통신이 수행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전화망은 LTE 네트워크, 3G 네트워크, 2G 네트워크, CDMA 네트워크, GSM 네트워크, 공중전화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전화망은 음성 통신에 대해 시간 단위의 과금이 수행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통신망은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모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네트워크, Wibro 네트워크, 3G 네트워크, LTE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통신망은 데이터 통신에 대해 송/수신된 데이터량 단위로 과금이 수행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발신 단말 장치(110)는 발신 전화번호와 연동하여 mVoIP 착신자에 상응하는 식별자를 통화 중계 장치(100)로 전송하고, 식별자가 전송된 후 일반 전화 망을 통하여 기설정된 통화 중계 번호로 전화 연결을 수행하여 통화 중계 장치(100)가 식별자를 이용하여 식별한 mVoIP 착신자의 착신 단말 장치(120)와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때, 발신 단말 장치(110)는 mVoIP 착신자에 상응하는 식별자를 통화 중계 장치(100)로 전송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기설정된 통화 중계 번호로 mVoIP 착신자와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 때, 일반 전화망은 음성 통신이 수행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전화망은 음성 통신에 대해 시간 단위의 과금이 수행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전화망은 LTE 네트워크, 3G 네트워크, 2G 네트워크, CDMA 네트워크, GSM 네트워크, 공중전화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을 포함할 수 있다.
착신 단말 장치(120)는 일반 유무선 통신사에 가입되어 있지 않거나, mVoIP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화가 가능한 단말 장치로 mVoIP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착신 아이디가 존재하여 일반 전화망을 사용하는 발신 단말 장치(110)가 착신 아이디를 사용하여 착신 단말 장치(120)로 전화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화 중계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통화 중계 장치는 전화망 연결부(210), 아이디 변환부(220), mVoIP 통신부(230), 신호 변환부(240)를 포함한다.
전화망 연결부(210)는 일반 전화망을 통하여 일반 전화 발신자의 단말 장치와 연결되어 음성 통신을 수행한다.
이 때, 전화망 연결부(210)는 일반 전화 발신자의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통화 중계 번호로 전화 연결을 요청할 때 연결되어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일반 전화망은 음성 통화가 수행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전화망은 LTE 네트워크, 3G 네트워크, 2G 네트워크, CDMA 네트워크, GSM 네트워크, 공중전화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전화망은 음성 통화에 대해 시간 단위의 과금이 수행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아이디 변환부(220)는 일반 전화망을 통해 일반 전화 발신자의 단말 장치가 연결되기 전에 일반 전화 발신자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와 연동하여 수신된 착신 아이디를 이용하여 mVoIP 착신자를 검색한다.
이 때, 아이디 변환부(220)는 전화망 연결부(210)와 연결되어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일반 전화 발신자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와 일반 전화 발신자 단말 장치가 전화망 연결부(210)와 연결되기 전에 아이디 변환부(220)에서 수신한 일반 전화 발신자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착신 아이디를 검색할 수 있다.
mVoIP 통신부(230)는 mVoIP 착신자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음성 패킷을 송/수신하여 mVoIP 착신자와 일반 전화 발신자 사이의 통화 연결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
이 때, 데이터 통신망은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모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네트워크, Wibro 네트워크, 3G 네트워크, LTE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통신망은 데이터 통신에 대해 송/수신된 데이터량 단위로 과금이 수행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 전화망을 사용할 때 보다 상대적으로 통신 비용이 저렴한 mVoIP를 이용함으로써 통신에 지출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신호 변환부(240)는 일반 전화 발신자의 단말 장치와 음성 통신을 수행할 때 송/수신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와 mVoIP 착신자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송/수신하는 음성 패킷을 상호 변환해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사에 가입되어 있는 사용자와 통신사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가 통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mVoIP 착신자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전화를 연결함으로써, 별도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상대방과 간편하게 통화할 수 있다. 나아가, 국내에 있는 발신자와 해외에 위치한 착신자 간의 전화 통화시에도 과다한 통신요금이 부담되지 않을 수 있어 효율적인 통신 비용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신 단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발신 단말 장치는 아이디 송신부(310), 전화 연결부(320)를 포함한다.
아이디 송신부(310)는 발신 전화번호와 연동하여 mVoIP 착신자에 상응하는 식별자를 통화 중계 장치로 전송한다.
전화 연결부(320)는 mVoIP 착신자에 상응하는 식별자가 전송된 후 일반 전화망을 통하여 기설정된 통화 중계 번호로 전화 연결을 수행하여, 통화 중계 장치가 식별자를 이용하여 식별한 mVoIP 착신자와의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때, 전화 연결부(320)는 아이디 송신부(310)가 식별자를 통화 중계 장치로 전송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기설정된 통화 중계 번호로 mVoIP 착신자와의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 때, 일반 전화망은 음성 통화가 수행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전화망은 LTE 네트워크, 3G 네트워크, 2G 네트워크, CDMA 네트워크, GSM 네트워크, 공중전화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전화망은 음성 통화에 대해 시간 단위의 과금이 수행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계 방법(서버 관점)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계 방법은 일반 전화망을 통하여 일반 전화 발신자의 단말 장치와 연결되어 음성 통신을 수행한다(S410).
이 때, 일반 전화 발신자의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통화 중계 번호로 전화 연결을 요청할 때 연결되어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일반 전화망은 음성 통화가 수행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전화망은 LTE 네트워크, 3G 네트워크, 2G 네트워크, CDMA 네트워크, GSM 네트워크, 공중전화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전화망은 음성 통화에 대해 시간 단위의 과금이 수행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계 방법은 상기 일반 전화망을 통해 일반 전화 발신자의 단말 장치가 연결되기 전에 일반 전화 발신자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와 연동하여 수신된 착신아이디를 이용하여 mVoIP 착신자를 검색한다(S420).
이 때, 일반 전화망을 통해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일반 전화 발신자의 단말 장치 전화번호와 일반 전화 발신자 단말 장치가 연결되기 전에 수신한 일반 전화 발신자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착신 아이디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계 방법은 상기 mVoIP 착신자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음성 패킷을 송/수신하여 mVoIP 착신자와 일반 전화 발신자 사이의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430).
이 때, 데이터 통신망은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모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네트워크, Wibro 네트워크, 3G 네트워크, LTE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통신망은 데이터 통신에 대해 송/수신된 데이터량 단위로 과금이 수행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통화 중계 방법은 일반 전화 발신자의 단말 장치가 음성 통신을 수행할 때 송/수신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와 mVoIP 착신자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송/수신하는 음성 패킷을 상호 변환해 주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계 방법(단말 관점)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계 방법은 발신 전화번호와 연동하여 mVoIP 착신자에 상응하는 식별자를 통화 중계 장치로 전송한다(S51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계 방법은 식별자가 전송된 후 일반 전화망을 통하여 기설정된 통화 중계 번호로 전화 연결을 수행하여, 통화 중계 장치가 식별자를 이용하여 식별한 mVoIP 착신자와의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520).
이 때, mVoIP 착신자에 상응하는 식별자를 통화 중계 장치로 전송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기설정된 통화 중계 번호로 mVoIP 착신자와의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 때, 일반 전화망은 음성 통화가 수행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전화망은 LTE 네트워크, 3G 네트워크, 2G 네트워크, CDMA 네트워크, GSM 네트워크, 공중전화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전화망은 음성 통화에 대해 시간 단위의 과금이 수행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계 방법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동작 흐름도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발신 단말 장치(110)가 통화 중계 장치(100)로 발신 전화번호 및 착신 아이디를 전송한다(S610).
발신 단말 장치(110)는 일반 전화망을 통해 통화 중계 장치(100)로 음성 통화를 요청한다(S620).
이 때, 일반 전화망은 음성 통화가 수행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전화망은 LTE 네트워크, 3G 네트워크, 2G 네트워크, CDMA 네트워크, GSM 네트워크, 공중전화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전화망은 음성 통화에 대해 시간 단위의 과금이 수행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발신 단말 장치(110)와 통화 중계 장치(100)는 음성 통화가 연결된다(S630).
통화 중계 장치(100)는 발신 단말 장치(110)로부터 발신 전화번호와 연동되어 수신한 착신 아이디로 mVoIP 착신자를 검색한다(S640).
이 때, 발신 단말 장치(110)의 전화번호와 발신 단말 장치(110)가 연결되기 전에 수신한 발신 단말 장치(110)의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착신 아이디를 검색할 수 있다.
통화 중계 장치(100)는 mVoIP 착신자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 장치(120)에게 mVoIP 통화를 요청한다(S650).
통화 중계 장치(100)와 착신 단말 장치(120)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음성 패킷을 송/수신한다(S660).
이 때, 데이터 통신망은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모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네트워크, Wibro 네트워크, 3G 네트워크, LTE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통신망은 데이터 통신에 대해 송/수신된 데이터량 단위로 과금이 수행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발신 단말 장치(110)와 착신 단말 장치(120) 간에 통화가 연결된다(S670).
이 때, 통화 중계 장치(100)는 발신 단말 장치(110)와는 일반 전화망을 통해 음성 통신을 수행하면서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하고, 착신 단말 장치(120)와는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mVoIP 통신을 하면서 음성 패킷을 송/수신하여 음성 아날로그 신호와 음성 패킷을 상호 변환하여 발신 단말 장치(110)와 착신 단말 장치(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계 방법 중 음성 아날로그 신호와 음성 패킷의 송수신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계 방법 중 음성 아날로그 신호와 음성 패킷의 송수신 과정은 통화 중계 장치(100)가 발신 단말 장치(110)로부터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한다(S710).
통화 중계 장치(100)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음성 패킷으로 변환한다(S720).
통화 중계 장치(100)는 변환한 음성 패킷을 착신 단말 장치(120)로 송신한다(S730).
통화 중계 장치(100)는 착신 단말 장치(120)로부터 음성 패킷을 수신한다(S740).
통화 중계 장치(100)는 음성 패킷을 음성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S750).
통화 중계 장치(100)는 변환한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발신 단말 장치(110)로 송신한다(S760).
도 7에 도시된 단계는 통화가 이루어지는 과정 중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발신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통화 중계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통화 중계 인터페이스 화면은 통화를 하기 위한 상대방을 검색할 수 있는 mVoIP 착신자 목록(810) 및 mVoIP 착신자를 선택하여 통화 연결을 하기 위한 일반 전화로 중계를 통해 전화걸기 버튼(820)이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mVoIP 착신자 목록(810)에서 자신이 전화 통화를 할 mVoIP 착신자를 선택하기 위해 목록의 아이디를 터치할 수 있다.
이 때, mVoIP 착신자 목록(810)은 아이디를 기준으로 가나다 및 abc 순으로 나열될 수 있으며, mVoIP 착신자 목록(810)에 새로운 mVoIP 착신자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일반 전화로 중계를 통해 전화걸기 버튼(820)은 mVoIP 착신자 목록(810)에서 전화 통화를 할 mVoIP 착신자의 아이디를 터치하여 띄운 상세화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일반 전화로 중계를 통해 전화걸기 버튼(820)을 눌러 일반 통신망을 통한 일반 전화 요청을 통화 중계 장치로 중계하여 해당 mVoIP 착신자에게 통화 요청을 할 수 있다.
이 때, 일반 전화로 중계를 통해 전화걸기 버튼(820)이 터치되면, 일반전화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와 착신 아이디를 통화 중계 장치로 전송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기설정된 통화 중계 번호로 mVoIP 착신자와의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발신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통화 중계 인터페이스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발신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통화 중계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연결 상태 화면(910)과 통화 아이콘(920)이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결 상태 화면(910)은 현재 통화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연결 상태 화면(910)은 연결중이거나 통화중인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통화 아이콘(920)은 mVoIP 착신자에게 통화 요청을 할 때 발신 단말 장치의 작업표시줄에 나타난다.
이 때, 발신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통화 중계 인터페이스 화면이 사라지더라도 통화 연결중이거나 통화 중일 경우에는 통화 아이콘(920)이 계속해서 발신 단말 장치의 작업표시줄에 나타날 수 있다. mVoIP 착신자와 통화가 종료되는 시점에 통화 아이콘(920)도 발신 단말 장치의 작업표시줄에서 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시스템,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무선 통신사에 가입되어 있는 사용자가 통신사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와 음성 통화를 할 수 있고,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알 수 없는 경우에도 착신자의 아이디만으로 간편하게 통화 요청을 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 비용의 측면에서도 특히 해외에 있는 착신자와의 통화시 일반 전화망을 사용할 때보다 통신 비용을 상대적으로 저렴한 mVoIP를 이용함으로써 통신에 지출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100: 통화 중계 장치
110: 발신 단말
120: 착신 단말
210: 전화망 연결부
220: 아이디 변환부
230: mVoIP 통신부
240: 신호 변환부
310: 아이디 송신부
320: 전화 연결부

Claims (20)

  1. 삭제
  2. 일반 전화망을 통하여 일반 전화 발신자의 단말 장치와 연결되어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전화망 연결부;
    상기 일반 전화망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가 연결되기 전에 상기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와 연동하여 수신된 착신 아이디를 이용하여 mVoIP 착신자를 검색하는 아이디 변환부; 및
    상기 mVoIP 착신자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음성 패킷을 송/수신하여 상기 mVoIP 착신자와 일반 전화 발신자 사이의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mVoIP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디 변환부는
    상기 전화망 연결부와 연결되어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전화망 연결부와 연결되기 전에 상기 아이디 변환부에서 수신한 상기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착신 아이디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화 중계 장치는
    상기 일반 전화 발신자의 단말 장치와 음성 통신을 수행할 때 송/수신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와 상기 음성 패킷을 상호 변환해 주는 신호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화망 연결부는
    상기 일반 전화 발신자의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통화 중계 번호로 전화 연결을 요청할 때 연결되어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일반 전화망은 음성 통신이 수행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망은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모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장치.
  7. 삭제
  8. 발신 전화번호와 연동하여 mVoIP 착신자에 상응하는 식별자를 통화 중계 장치로 전송하는 아이디 송신부; 및
    상기 식별자가 전송된 후 일반 전화망을 통하여 기설정된 통화 중계 번호로 전화 연결을 수행하여, 상기 통화 중계 장치가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식별한 상기 mVoIP 착신자와의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화 연결부는
    상기 아이디 송신부가 상기 식별자를 상기 통화 중계 장치로 전송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기설정된 통화 중계 번호로 상기 mVoIP 착신자와의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일반 전화망은 음성 통신이 수행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삭제
  11. 일반 전화망을 통하여 일반 전화 발신자의 단말 장치와 연결되어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일반 전화망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가 연결되기 전에 상기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와 연동하여 수신된 착신 아이디를 이용하여 mVoIP 착신자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mVoIP 착신자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음성 패킷을 송/수신하여 상기 mVoIP 착신자와 일반 전화 발신자 사이의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mVoIP 착신자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일반 전화망을 통해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와 상기 단말 장치가 연결되기 전에 수신한 상기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착신 아이디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통화 중계 방법은
    상기 일반 전화 발신자의 단말 장치가 음성 통신을 수행할 때 송/수신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와 상기 음성 패킷을 상호 변환해 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일반 전화 발신자의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통화 중계 번호로 전화 연결을 요청할 때 연결되어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일반 전화망은 음성 통신이 수행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망은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모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방법.
  16. 삭제
  17. 발신 전화번호와 연동하여 mVoIP 착신자에 상응하는 식별자를 통화 중계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자가 전송된 후 일반 전화망을 통하여 기설정된 통화 중계 번호로 전화 연결을 수행하여, 상기 통화 중계 장치가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식별한 상기 mVoIP 착신자와의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mVoIP 착신자에 상응하는 상기 식별자를 상기 통화 중계 장치로 전송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기설정된 통화 중계 번호로 상기 mVoIP 착신자와의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일반 전화망은 음성 통신이 수행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방법.
  19.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20. 전화번호와 연동하여 mVoIP 착신자에 상응하는 식별자를 전송한 후, 일반 전화망을 통하여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기설정된 통화 중계 번호로 전화 연결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전화번호로부터 상기 일반 전화망을 통한 전화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mVoIP 착신자를 검색하고 상기 mVoIP 착신자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한 연결을 설정하여 상기 mVoIP 착신자와 상기 단말 장치 사이의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화 중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일반 전화망을 통한 전화 연결이 이루어질 때의 상기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와 상기 통화 중계 장치에서 상기 식별자와 연동하여 수신한 상기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발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시스템.
KR1020130129950A 2013-10-30 2013-10-30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시스템,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469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950A KR101469491B1 (ko) 2013-10-30 2013-10-30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시스템,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950A KR101469491B1 (ko) 2013-10-30 2013-10-30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시스템,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491B1 true KR101469491B1 (ko) 2014-12-12

Family

ID=52677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950A KR101469491B1 (ko) 2013-10-30 2013-10-30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시스템,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4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850B1 (ko) * 2016-03-25 2017-09-12 주식회사 나선 통화중계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통화 중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40345A (ko) * 2011-06-21 2012-12-31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데이터 양에 따른 과금이 가능한 수신자 부담 인터넷 전화 제공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40345A (ko) * 2011-06-21 2012-12-31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데이터 양에 따른 과금이 가능한 수신자 부담 인터넷 전화 제공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850B1 (ko) * 2016-03-25 2017-09-12 주식회사 나선 통화중계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통화 중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7648B2 (ja) Ip基盤の画像/音声通信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呼転換方法
JP5624985B2 (ja) 通話のシームレススイッチング方法及び移動端末
JP2013522937A (ja) WiFiハンドヘルドデバイス用の回線交換リンクを確立する方法及び装置
CN106992957B (zh) 网络通话转接至移动通信终端的方法及装置
RU2388187C1 (ru) Система связи и способ связи
KR101216037B1 (ko) 착신 단말기의 패킷데이터 송수신 기능 탑재 여부를 데이터베이스로 구비하여 데이터망 또는 전화통신망을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통신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469491B1 (ko)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시스템,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5327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network service
KR101501403B1 (ko) All-IP 기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TWI542186B (zh) 可攜式語音路由裝置、系統與電話語音通訊的方法
US8385962B1 (en) Push-to-talk voice messages
KR101773850B1 (ko) 통화중계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통화 중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4195167A (ja) 電話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5644185B2 (ja) 通信システム
KR101936596B1 (ko) 데이터 망을 이용한 ar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16527740A (ja) ゲートウェイに対する移動デバイスの同期
JP5637553B2 (ja) 小型基地局およびページングメッセージ送信方法
JP4683578B1 (ja) 電話番号処理装置
KR102646692B1 (ko)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JP5339469B2 (ja) 電話番号処理装置
JP2012120059A (ja) 通信制御装置。
JP5582038B2 (ja) 電話番号処理装置
KR102014734B1 (ko)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10002A (ko) 국제 식별 번호 선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5569636B2 (ja) 電話番号処理装置、電話番号処理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