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403B1 - All-IP 기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All-IP 기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403B1
KR101501403B1 KR20140007301A KR20140007301A KR101501403B1 KR 101501403 B1 KR101501403 B1 KR 101501403B1 KR 20140007301 A KR20140007301 A KR 20140007301A KR 20140007301 A KR20140007301 A KR 20140007301A KR 101501403 B1 KR101501403 B1 KR 101501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hat
identifier
terminal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7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태
전영서
이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20140007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방법은, 채팅 서버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사용자에 대한 음성/영상 호의 식별자(이하, 제1 식별자라 칭함)와 이에 대응하는 채팅 호의 식별자(이하, 제2 식별자라 칭함)를 서로 매칭하여 저장하기 위한 단계; (b) 단말 A로부터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를 받은 단말 B로부터 상기 단말 A의 제1 식별자(또는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메시지의 수신 시,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제1 식별자(또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식별자(또는 제1 식별자)를 탐색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탐색된 제2 식별자(또는 제1 식별자)를 상기 단말 B로 제공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All-IP 기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Server, Termina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switching between Voice/Video Call and Chatting Call based on All-IP}
본 발명은 All-IP 기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2012년 하반기 국내 이동통신 서비스 시장에 VoLTE 통화가 처음 출시된 후 VoLTE만의 차별적 강점을 알리기 위한 부가서비스와 각종 마케팅이 한창이었다. 특히 기존 1X와 WCDMA에서 지원하던 듀얼 넘버나 착신 전환 등 각종 통화 편의 서비스 역시 동일하게 VoLTE에서 적용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2G, 3G 음성 통화와 근본적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고품질 음성(HD Voice)이라는 통화 음질의 차이 외에 다른 특장점을 제공할 필요가 있었기에 통신사들은 LG전자, 삼성전자 등의 제조사와 함께 통화 중 음성 통화와 영상 통화 간의 호 전환 및 통화 연결 전 영상 통화를 음성 통화로 전환하여 수신하는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였다.
이처럼 해당 서비스는 All-IP 이기에 통화 호들간에 실시간으로 전환하여 통화 참여자들로 하여금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이들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바탕이 된 통신시스템에서 통화 중 호 전환을 위한 많은 서비스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호 전환 서비스는 음성 호와 영상 호 간의 전환을 위한 다양한 기술만이 제안되었을 뿐 아직까지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기술은 제안되지 않은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4698호 (2009.06.01.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서버는, 사용자에 대한 음성/영상 호의 식별자(이하, 제1 식별자라 칭함)와 이에 대응하는 채팅 호의 식별자(이하, 제2 식별자라 칭함)를 서로 매칭하여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단말 A로부터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를 받은 단말 B로부터 상기 단말 A의 제1 식별자(또는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메시지의 수신 시,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제1 식별자(또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식별자(또는 제1 식별자)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부; 및 상기 탐색부를 통해 탐색된 제2 식별자(또는 제1 식별자)를 상기 단말 B로 제공하기 위한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말 B로부터 상기 단말 A로 보내는 채팅(또는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 및 상기 단말 A로부터 상기 단말 B로 보내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수락 메시지 또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시지를 중계하기 위한 제1 중계부; 및 상기 단말 A에서 채팅 전환 수락 시 상기 단말 A와 상기 단말 B간의 채팅 호를 중계하기 위한 제2 중계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서버는, 사용자에 대한 음성/영상 호의 식별자(이하, 제1 식별자라 칭함)와 이에 대응하는 채팅 호의 식별자(이하, 제2 식별자라 칭함)를 서로 매칭하여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단말 A로부터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를 받은 단말 B로부터 상기 단말 A의 제1 식별자(또는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메시지의 수신 시,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제1 식별자(또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식별자(또는 제1 식별자)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부를 포함하고, 상기 탐색부를 통해 탐색된 상기 제1 또는 제2 식별자를 기초로 단말 A와 단말 B 간에 통화로 또는 채팅로가 형성되도록 중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A에서 채팅(또는 통화) 전환 거절 시, 상기 단말 A로부터의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의 음성(또는 텍스트) 신호를 STT(Speech To Text) 또는 TTS(Text To Speech) 변환하여 상기 단말 B로 보내거나, 또는 상기 단말 B로부터의 채팅 호(또는 음성/영상 호)의 텍스트(또는 음성) 신호를 TTS(Text To Speech) 또는 STT(Speech To Text) 변환하여 상기 단말 A로 보내기 위한 음성 인식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단말은, 상대방 단말로부터 발신된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의 수신 시,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통신 전환 선택부;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버튼의 선택 시, 상기 수신된 음성/영상 호의 식별자(이하, 제1 식별자라 칭함) 또는 상기 수신된 채팅 호의 식별자(이하, 제2 식별자라 칭함)를 포함하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메시지를 채팅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전환 시도부; 상기 전송된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채팅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식별자 또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식별자 또는 제1 식별자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식별자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자 또는 제1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상대방 단말에게 채팅(또는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채팅(또는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채팅(또는 통화) 전환 수락 메시지 또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연결 요청부; 및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수락 메시지 또는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시지의 수신 시 상기 상대방 단말과 채팅(또는 통화)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고, 착신 단말에게로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를 발신한 후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채팅(또는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시, 채팅(또는 통화) 전환 수락 또는 거절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수신된 채팅(또는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수락 메뉴의 선택 시 상기 착신 단말에게 채팅(또는 통화) 전환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착신 단말과 채팅(또는 통화)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뉴의 선택 시 상기 착신 단말에게 채팅(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착신 단말을 대상으로 음성/영상 통신(또는 채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신 전환 수락/거절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단말은, 상대방 단말로부터 발신된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의 수신 시,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통신 전환 선택부;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버튼의 선택 시, 상기 수신된 음성/영상 호의 식별자(이하, 제1 식별자라 칭함) 또는 상기 수신된 채팅 호의 식별자(이하, 제2 식별자라 칭함)를 포함하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메시지를 채팅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전환 시도부; 및 상기 채팅 서버의 중계에 의해 형성된 채팅로(또는 통화로)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과 채팅(또는 통화)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방법은, 채팅 서버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사용자에 대한 음성/영상 호의 식별자(이하, 제1 식별자라 칭함)와 이에 대응하는 채팅 호의 식별자(이하, 제2 식별자라 칭함)를 서로 매칭하여 저장하기 위한 단계; (b) 단말 A로부터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를 받은 단말 B로부터 상기 단말 A의 제1 식별자(또는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메시지의 수신 시,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제1 식별자(또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식별자(또는 제1 식별자)를 탐색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탐색된 제2 식별자(또는 제1 식별자)를 상기 단말 B로 제공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d) 상기 단말 B로부터 상기 단말 A로 보내는 채팅(또는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 및 상기 단말 A로부터 상기 단말 B로 보내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수락 메시지 또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시지를 중계하기 위한 단계; (e) 상기 채팅 전환 수락 메시지의 중계 후, 상기 단말 A와 상기 단말 B간의 채팅 호를 중계하기 위한 단계; 및 (f)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시지의 중계 후, 상기 단말 A로부터의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의 음성(또는 텍스트) 신호를 STT(Speech To Text) 또는 TTS(Text To Speech) 변환하여 상기 단말 B로 보내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 B로부터의 채팅 호(또는 음성/영상 호)의 텍스트(또는 음성) 신호를 TTS(Text To Speech) 또는 STT(Speech To Text) 변환하여 상기 단말 A로 보내기 위한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방법은, 채팅 서버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사용자에 대한 음성/영상 호의 식별자(이하, 제1 식별자라 칭함)와 이에 대응하는 채팅 호의 식별자(이하, 제2 식별자라 칭함)를 서로 매칭하여 저장하기 위한 단계; (b) 단말 A로부터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를 받은 단말 B로부터 상기 단말 A의 제1 식별자(또는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메시지의 수신 시,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제1 식별자(또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식별자(또는 제1 식별자)를 탐색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단계 (b)를 통해 탐색된 상기 제1 또는 제2 식별자를 기초로 단말 A와 단말 B 간에 통화로 또는 채팅로가 형성되도록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방법은, 착신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상대방 단말로부터 발신된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의 수신 시,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버튼의 선택 시, 상기 수신된 음성/영상 호의 식별자(이하, 제1 식별자라 칭함) 또는 상기 수신된 채팅 호의 식별자(이하, 제2 식별자라 칭함)를 포함하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메시지를 채팅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단계; (c) 상기 전송된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채팅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식별자 또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식별자 또는 제1 식별자를 수신하기 위한 단계; (d)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자 또는 제1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상대방 단말에게 채팅(또는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채팅(또는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채팅(또는 통화) 전환 수락 메시지 또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단계; 및 (e)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수락 메시지 또는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시지의 수신 시 상기 상대방 단말과 채팅(또는 통화)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방법은, 발신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f) 착신 단말에게로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를 발신한 후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채팅(또는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시, 채팅(또는 통화) 전환 수락 또는 거절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단계; 및 (g) 상기 수신된 채팅(또는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수락 메뉴의 선택 시 상기 착신 단말에게 채팅(또는 통화) 전환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착신 단말과 채팅(또는 통화)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뉴의 선택 시 상기 착신 단말에게 채팅(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착신 단말을 대상으로 음성/영상 통신(또는 채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방법은, 착신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상대방 단말로부터 발신된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의 수신 시,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버튼의 선택 시, 상기 수신된 음성/영상 호의 식별자(이하, 제1 식별자라 칭함) 또는 상기 수신된 채팅 호의 식별자(이하, 제2 식별자라 칭함)를 포함하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메시지를 채팅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채팅 서버의 중계에 의해 형성된 채팅로(또는 통화로)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과 채팅(또는 통화)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는 기능으로서, 통화연결 전 단계와 통화 중 단계에서 상대와 커뮤니케이션하고 있는 방법을 실시간 전환할 수 있는 플랫폼 및 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발신자 입장에서는 상대의 상황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본인 위주의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게 되나 이에 대응하는 수신자 입장에서는 자기 상황에 맞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통화 연결 전이나 통화 중에도 변경하고자 하는 고객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
따라서, 채팅을 위한 채팅 ID와 음성/영상 통화를 위한 전화번호(CTN)를 서로 매칭하여 가지고 있으므로 기존의 통화연결 전 및 통화 중에 음성통화와 영상통화 간의 호전환 서비스에 더하여 문자와 달리 통화의 성격처럼 실시간성 커뮤니케이션이 보장되어야 하는 채팅까지 실시간 전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진정한 All-IP 기반의 VoLTE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수신자 입장에서 각 커뮤니케이션 상황을 충분히 고려해서 선택적 수신(즉,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선택적 전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객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방이 통신 방식의 실시간 전환을 시도하고 상대방이 해당 통신 방식의 전환을 거절할 경우에도 STT(Speech To Text) 또는 TTS(Text To Speech) 방식을 이용하여 양방이 각기 원하는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단말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10), 채팅 서버(20), 단말 A(30A), 단말 B(30B), 및 음성 인식 서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10)은 단말 A(20A), 단말 B(20B), 및 서버(30) 간을 유선, 무선 및/또는 인터넷 등으로 연결하여 음성 통화, 영상 통화, 채팅-메시징 서비스(SNS, SMS, MMS 등)와 같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단독 또는 복합의 어떤 망이어도 좋다.
채팅 서버(20)는, 기본적으로 기존의 채팅 서버의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특히 사용자에 대한 채팅 호의 식별자(예컨대, 채팅 ID 등)와 음성/영상 호의 식별자(예컨대, CTN 등)를 서로 매칭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단말(30A,30B)로부터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 요청 시, 요청된 통신 호의 식별자를 단말(30A,30B)에게 제공하거나, 요청된 통신 방식으로 단말(30A,30B)간에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 중계를 하기 위한 것이다.
단말 A(30A)와 단말 B(30B) 중 하나는 발신 사용자의 단말을 나타내고 다른 하나는 상대방 수신 사용자의 단말을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어 음성 통신, 영상 통신, 데이터 통신, 및 인터넷 통신 등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PDA,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 A(30A)와 단말 B(30B)를 각각 음성/영상 호 또는 채팅 호에 대한 발신 단말과 수신 단말로 정의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음성 인식 서버(40)는 일측 단말(30A)과 타측 단말(30B)간의 각 통신 방식이 일치되지 않는 특정 상황에서 단말 A(30A)로부터의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의 음성(또는 텍스트) 신호를 STT(Speech To Text) 또는 TTS(Text To Speech) 변환하여 상대방 단말 B(30B)로 보내거나, 단말 B(30B)로부터의 채팅 호(또는 음성/영상 호)의 텍스트(또는 음성) 신호를 TTS(Text To Speech) 또는 STT(Speech To Text) 변환하여 상대방 단말 A(30A)로 보내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서버의 구성도로, 도 1의 채팅 서버(20)의 세부 구성도이고,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21), 탐색부(23), 제공부(25), 제1 중계부(27), 및 제2 중계부(29)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1)는 동일 사용자에 대한 음성/영상 호의 식별자(이하, 제1 식별자라 칭함)와 이에 대응하는 채팅 호의 식별자(이하, 제2 식별자라 칭함)를 서로 매칭하여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제1 식별자는 전화 번호(Cellular Telephone Number: CTN)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식별자는 채팅 ID를 포함할 수 있다.
탐색부(23)는 단말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전환을 원하는 통신 방식의 식별자를 저장부(21)에서 탐색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단말 A(30A)로부터의 음성/영상 호를 착신한 단말 B(30B)로부터 단말 A(30A)의 CTN을 포함하는 채팅 전환 시도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저장부(21)에서 단말 A(30A)의 CTN에 대응하는 단말 A(30A)의 채팅 ID를 탐색하고, 다른 예로 단말 A(30A)로부터의 채팅 호를 받은 단말 B(30B)로부터 단말 A(30A)의 채팅 ID를 포함하는 통화 전환 시도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저장부(21)에서 단말 A(30A)의 채팅 ID에 대응하는 단말 A(30A)의 CTN을 탐색할 수 있다.
제공부(25)는 탐색부(23)를 통해 탐색된 제1 식별자로서의 CTN 또는 제2 식별자로서의 채팅 ID를 통신 방식의 전환을 원하는 사용자의 단말 B(30B)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중계부(27)는 단말 A(30A)와 단말 B(30B) 간의 통신(채팅 또는 통화)을 위한 세션의 연결을 중계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단말 B(30B)로부터 단말 A(30A)로 보내는 채팅/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 및 이에 대응하여 단말 A(30A)로부터 단말 B(30B)로 보내는 채팅/통화 전환 수락 또는 채팅/통화 전환 거절 메시지를 중계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중계부(29)는 제1 중계부(27)를 통해 단말 A(30A)와 단말 B(30B) 간에 연결이 된 후 단말 A(30A)와 단말 B(30B) 간의 채팅을 중계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예로, 단말 A,B(30A,30B) 간에 상대방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All-IP 기반의 직접 통신으로 채팅 또는 통화를 위한 세션 연결을 수행할 경우에는 제1 중계부(27) 및 제2 중계부(29)의 구성은 생략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채팅 서버(20) 또는 음성 인식 서버(40)는 단말 A(30A), 단말 B(30B), 또는 통신망(10)로부터의 통지 또는 인식을 통해 채팅/통화 전환 거절 메시지의 발생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 채팅 서버(20)는 음성 인식 서버(40)를 포함하여 하나의 단일 장치로 구성하거나, 또는 각기 별도의 장치로 구성하되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상호 연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채팅 서버(20)는 탐색부(23)를 통해 탐색된 제1 식별자로서의 CTN 또는 제2 식별자로서의 채팅 ID를 기초로 단말 A(30A)와 단말 B(30B) 간에 통화로 또는 채팅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중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공부(25)의 구성은 생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단말의 구성도로, 도 1의 단말 A,B(30A,30B)의 상세 구성도이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전환 선택부(31), 통신 전환 시도부(32), 통신 식별자 수신부(33), 통신 연결 요청부(34), 통신부(35), 표시부(36), 및 통신 전환 수락/거절 선택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전환 선택부(31), 통신 전환 시도부(32), 통신 식별자 수신부(33), 통신 연결 요청부(34), 및 통신부(35)는 수신 단말(30B)로서의 기능 시 필요한 구성이고, 표시부(36) 및 통신 전환 수락/거절 선택부(37)는 발신 단말(30A)로서의 기능 시 필요한 구성이다.
통신 전환 선택부(31)는 상대방 단말(30A)로부터 발신된 음성/영상 호 또는 채팅 호의 수신 시 수신된 호와 다른 통신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채팅 또는 통화 전환 시도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상대방 단말(30A)로부터 발신된 음성/영상 호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호와 다른 채팅 통신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채팅 전환 시도 버튼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해당 채팅 전환 시도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며, 다른 예로 상대방 단말(30A)로부터 발신된 채팅 호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호와 다른 음성/영상 통신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통화 전환 시도 버튼을 표시한 후 사용자로부터 해당 통화 전환 시도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통신 전환 시도부(32)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버튼의 선택 시 수신된 음성/영상 호의 식별자(이하, 제1 식별자라 칭함) 또는 수신된 채팅 호의 식별자(이하, 제2 식별자라 칭함)를 포함하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메시지를 채팅 서버(20)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사용자가 현재 수신된 음성/영상 호를 채팅 호로 전환하기 위하여 채팅 전환 시도 버튼을 선택하면 그 수신된 음성/영상 호의 식별자로서의 제1 식별자(예컨대, CTN)를 포함하는 채팅 전환 시도 메시지를 채팅 서버(20)로 전송하고, 다른 예로 사용자가 현재 수신된 채팅 호를 음성/영상 호로 전환하기 위하여 통화 전환 시도 버튼을 선택하면 그 수신된 채팅 호의 식별자로서의 제2 식별자(예컨대, 채팅 ID)를 포함하는 통화 전환 시도 메시지를 채팅 서버(20)로 전송한다.
통신 식별자 수신부(33)는 통신 전환 시도부(32)를 통해 전송된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채팅 서버(20)로부터 제1 식별자 또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식별자 또는 제1 식별자를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사용자가 현재 수신된 음성/영상 호를 채팅 호로 전환하기 위하여 채팅 전환 시도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는 그 선택된 채팅을 위한 상대방의 제2 식별자(예컨대, 채팅 ID)를 채팅 서버(20)로부터 수신하고, 다른 예로 사용자가 현재 수신된 채팅 호를 음성/영상 호로 전환하기 위하여 통화 전환 시도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는 그 선택된 음성/영상 통화를 위한 상대방의 제1 식별자(예컨대, CTN)를 채팅 서버(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연결 요청부(34)는 통신 식별자 수신부(33)를 통해 수신된 제2 식별자 또는 제1 식별자를 기초로 상대방 단말(30A)에게 채팅 또는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 전송된 채팅 또는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대방 단말(30A)로부터 채팅 또는 통화 전환 수락 메시지, 또는 채팅 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통신 식별자 수신부(33)를 통해 제2 식별자로서의 상대방 단말(30A)의 채팅 ID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채팅 ID를 가진 상대방 단말(30A)에게 채팅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채팅 연결을 요청한 후 상대방 단말(30A)로부터의 응답으로 채팅 전환 수락 메시지 또는 채팅 전환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고, 다른 예로 통신 식별자 수신부(33)를 통해 제1 식별자로서의 상대방 단말(30A)의 CTN이 수신되면 그 수신된 CTN을 가진 상대방 단말(30A)에게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통화 연결을 요청한 후 상대방 단말(30A)로부터의 응답으로 통화 전환 수락 메시지 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5)는 상대방 단말(30A)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부(34)를 통해 채팅/통화 전환 수락 메시지 또는 채팅/통화 전환 거절 메시지의 수신되어 채팅로 또는 통화로가 형성되면 해당 상대방 단말과 채팅 또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부(36)는 착신 단말(30B)에게로 음성/영상 호 또는 채팅 호를 발신한 후 착신 단말(30B)로부터 해당 발신 호의 전환을 위한 채팅 또는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발신 호에 대한 전환 수락 또는 거절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통신 전환 수락/거절 선택부(37)는, 현재 수신된 채팅 또는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가 채팅 또는 통화 전환 수락 메뉴의 선택 시 착신 단말(30B)에게 채팅 또는 통화 전환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 후 착신 단말(30B)과 전환된 통신 방식으로서의 채팅 또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채팅 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뉴의 선택 시 착신 단말(30B)에게 채팅 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시지를 전송한 후 착신 단말(30B)을 대상으로 음성/영상 통신 또는 채팅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예로, 전술한 바와 같이 채팅 서버(20)가 탐색부(23)를 통해 탐색된 제1 식별자로서의 CTN 또는 제2 식별자로서의 채팅 ID를 기초로 단말 A(30A)와 단말 B(30B) 간에 통화로 또는 채팅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경우에는, 통화 식별자 수신부(33)를 통해 해당 식별자를 수신하지 않아도 되고, 통신부(35)가 채팅 서버(20)의 중계에 의해 형성된 통화로 또는 채팅로를 통해 상대방 단말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도 1의 시스템에 적용되므로 해당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단말 A(30A)로부터 단말 B(30B)로 음성/영상 호를 발신한 후 단말 B(30B)의 사용자가 수신된 음성/영상 호를 채팅 호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한다.
먼저, 채팅 서버(20)는 적어도 단말 A(30A)와 단말 B(30B)를 포함하는 다수의 단말에 대한 채팅 ID와 CTN이 서로 매칭하여 저장된 매칭 테이블을 구축한다(S401).
단말 A(30A)로부터 발신된 음성/영상 호가 단말 B(30B)에 수신되면(S403), 단말 B(30B)는 현재 수신된 통신 방식을 전환하기 위한 기능 버튼 즉, 채팅 전환 버튼을 표시한 후 사용자로부터 해당하는 채팅 전환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403).
단계 S403에서 채팅 전환 버튼이 선택되면 단말 B(30B)는 단말 A(30A)의 CTN을 포함하는 채팅 전환 시도 메시지를 채팅 서버(20)로 전송하고(S404), 채팅 서버(20)는 단계 S401에서 구축된 매칭 테이블에서 단말 A(30A)의 CTN에 대응하는 채팅 ID를 탐색한 후(S405), 그 탐색된 단말 A(30A)의 채팅 ID를 단말 B(30B)로 제공한다(S406).
단말 B(30B)는 단계 S406에서 받은 단말 A(30A)의 채팅 ID를 기초로 직접 또는 채팅 서버(20)의 중계를 통하여 단말 A(30A)에게 통화 호를 채팅 호로 전환하기 위한 채팅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S407,S408), 단말 A(30A)는 채팅 전환 수락/거절 메뉴를 표시하여 사용자 A에게 사용자 B로부터 채팅 전환 요청이 있음을 알린다(S409).
단말 A(30A)는 단계 S409에서 채팅 전환 수락 메뉴가 선택되면(S410), 채팅 전환 수락 메시지를 직접 또는 채팅 서버(20)의 중계를 통하여 단말 B(30B)로 전송하여 세션을 형성하고(S411,S412), 이후 단말 A(30A)와 단말 B(30B)는 서로 채팅을 수행한다(S413).
한편, 단말 A(30A)는 단계 S409에서 채팅 전환 거절 메뉴가 선택되면(S420), 채팅 전환 거절 메시지를 직접 또는 채팅 서버(20)의 중계를 통하여 단말 B(30B)로 전송하고(S421,S422),채팅 서버(20)는 전술한 채팅 전환 거절 정보가 포함된 채팅 전환 관련 정보를 음성 인식 서버(40)로 전송하여, 음성 인식 서버(40)가 전술한 채팅 전환 거절 사실을 인지하도록 한다(S423).
전술한 단계 S423에 이어 단말 A(30A)로부터 단말 B(30B)로 사용자 A의 음성이 전송되면(S424), 해당 음성 데이터는 음성 인식 서버(40)에서 STT((Speech To Text) 변환 방식을 통해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되어(S425) 직접 또는 채팅 서버(20)의 중계를 통하여 단말 B(30B)로 전송되고(S426,S427), 이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 B(30B)로부터 단말 A(30A)로 사용자 B의 채팅 문자가 직접 또는 채팅 서버(20)의 중계를 통하여 전송되면(S428,S429), 해당 문자 데이터는 음성 인식 서버(40)에서 TTS(Text To Speech) 변환 방식을 통해 음성 데이터로 변환된 후(S430) 단말 B(30B)로 전송된다(S431).
단말 A(30A)와 단말 B(30B)는 서로간의 통신을 끊기 전에는 전술한 단계 S423 내지 S431의 과정을 반복하여 상호 통신을 수행한다.
전술한 단계 S423 내지 S431의 다른 예로, 단말 A(30A)로부터의 음성이 STT 변환되어 단말 B(30B)에서 문자로 표시되고 이에 대해 단말 B(30B)가 문자로 응대하면 단말 A(30A)에게 문자가 그대로 전달되도록 하거나, 또는 단말 A(30A)로부터의 문자가 TTS 변환되어 단말 B(30B)에게 음성으로 전달되고 이에 대해 단말 B(30B)가 음성으로 응대하면 단말 A(30A)에게 음성이 그대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통신망
20: 채팅 서버
21: 저장부
23: 탐색부
25: 제공부
27: 제1 중계부
29: 제2 중계부
30A, 30B: 사용자 단말
31: 통신 전환 선택부
32: 통신 전환 시도부
33: 통신 식별자 수신부
34: 통신 연결 요청부
35: 통신부
36: 표시부
37: 통신 전환 수락/거절 선택부

Claims (25)

  1. 사용자에 대한 음성/영상 호의 식별자(이하, 제1 식별자라 칭함)와 이에 대응하는 채팅 호의 식별자(이하, 제2 식별자라 칭함)를 서로 매칭하여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단말 A로부터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를 받은 단말 B로부터 상기 단말 A의 제1 식별자(또는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메시지의 수신 시,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제1 식별자(또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식별자(또는 제1 식별자)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부; 및
    상기 탐색부를 통해 탐색된 제2 식별자(또는 제1 식별자)를 상기 단말 B로 제공하기 위한 제공부를 포함하는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서버.
  2. 사용자에 대한 음성/영상 호의 식별자(이하, 제1 식별자라 칭함)와 이에 대응하는 채팅 호의 식별자(이하, 제2 식별자라 칭함)를 서로 매칭하여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단말 A로부터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를 받은 단말 B로부터 상기 단말 A의 제1 식별자(또는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메시지의 수신 시,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제1 식별자(또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식별자(또는 제1 식별자)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부를 포함하고,
    상기 탐색부를 통해 탐색된 상기 제1 또는 제2 식별자를 기초로 단말 A와 단말 B 간에 통화로 또는 채팅로가 형성되도록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B로부터 상기 단말 A로 보내는 채팅(또는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 및 상기 단말 A로부터 상기 단말 B로 보내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수락 메시지 또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시지를 중계하기 위한 제1 중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서버.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A에서 채팅 전환 수락 시, 상기 단말 A와 상기 단말 B간의 채팅 호를 중계하기 위한 제2 중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서버.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A에서 채팅(또는 통화) 전환 거절 시, 상기 단말 A로부터의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의 음성(또는 텍스트) 신호를 STT(Speech To Text) 또는 TTS(Text To Speech) 변환하여 상기 단말 B로 보내거나, 또는 상기 단말 B로부터의 채팅 호(또는 음성/영상 호)의 텍스트(또는 음성) 신호를 TTS(Text To Speech) 또는 STT(Speech To Text) 변환하여 상기 단말 A로 보내기 위한 음성 인식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서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는 전화 번호(Cellular Telephone Number: CT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서버.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자는 채팅 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서버.
  8. 상대방 단말로부터 발신된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의 수신 시,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통신 전환 선택부;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버튼의 선택 시, 상기 수신된 음성/영상 호의 식별자(이하, 제1 식별자라 칭함) 또는 상기 수신된 채팅 호의 식별자(이하, 제2 식별자라 칭함)를 포함하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메시지를 채팅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전환 시도부;
    상기 전송된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채팅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식별자 또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식별자 또는 제1 식별자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식별자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자 또는 제1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상대방 단말에게 채팅(또는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채팅(또는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채팅(또는 통화) 전환 수락 메시지 또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연결 요청부; 및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수락 메시지 또는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시지의 수신 시 상기 상대방 단말과 채팅(또는 통화)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단말.
  9. 상대방 단말로부터 발신된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의 수신 시,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통신 전환 선택부;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버튼의 선택 시, 상기 수신된 음성/영상 호의 식별자(이하, 제1 식별자라 칭함) 또는 상기 수신된 채팅 호의 식별자(이하, 제2 식별자라 칭함)를 포함하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메시지를 채팅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전환 시도부; 및
    상기 채팅 서버의 중계에 의해 형성된 채팅로(또는 통화로)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과 채팅(또는 통화)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단말.
  10. 제8항에 있어서,
    착신 단말에게로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를 발신한 후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채팅(또는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시, 채팅(또는 통화) 전환 수락 또는 거절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수신된 채팅(또는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수락 메뉴의 선택 시 상기 착신 단말에게 채팅(또는 통화) 전환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착신 단말과 채팅(또는 통화)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뉴의 선택 시 상기 착신 단말에게 채팅(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착신 단말을 대상으로 음성/영상 통신(또는 채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신 전환 수락/거절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단말.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는 전화 번호(Cellular Telephone Number: CT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단말.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자는 채팅 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단말.
  13. 채팅 서버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사용자에 대한 음성/영상 호의 식별자(이하, 제1 식별자라 칭함)와 이에 대응하는 채팅 호의 식별자(이하, 제2 식별자라 칭함)를 서로 매칭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기 위한 단계;
    (b) 단말 A로부터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를 받은 단말 B로부터 상기 단말 A의 제1 식별자(또는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메시지의 수신 시,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제1 식별자(또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식별자(또는 제1 식별자)를 탐색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탐색된 제2 식별자(또는 제1 식별자)를 상기 단말 B로 제공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방법.
  14. 채팅 서버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사용자에 대한 음성/영상 호의 식별자(이하, 제1 식별자라 칭함)와 이에 대응하는 채팅 호의 식별자(이하, 제2 식별자라 칭함)를 서로 매칭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기 위한 단계;
    (b) 단말 A로부터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를 받은 단말 B로부터 상기 단말 A의 제1 식별자(또는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메시지의 수신 시,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제1 식별자(또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식별자(또는 제1 식별자)를 탐색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단계 (b)를 통해 탐색된 상기 제1 또는 제2 식별자를 기초로 단말 A와 단말 B 간에 통화로 또는 채팅로가 형성되도록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d) 상기 단말 B로부터 상기 단말 A로 보내는 채팅(또는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 및 상기 단말 A로부터 상기 단말 B로 보내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수락 메시지 또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시지를 중계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e) 상기 채팅 전환 수락 메시지의 중계 후, 상기 단말 A와 상기 단말 B간의 채팅 호를 중계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f)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시지의 중계 후, 상기 단말 A로부터의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의 음성(또는 텍스트) 신호를 STT(Speech To Text) 또는 TTS(Text To Speech) 변환하여 상기 단말 B로 보내거나, 또는 상기 단말 B로부터의 채팅 호(또는 음성/영상 호)의 텍스트(또는 음성) 신호를 TTS(Text To Speech) 또는 STT(Speech To Text) 변환하여 상기 단말 A로 보내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는 전화 번호(Cellular Telephone Number: CT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자는 채팅 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방법.
  20.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상대방 단말로부터 발신된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의 수신 시,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버튼의 선택 시, 상기 수신된 음성/영상 호의 식별자(이하, 제1 식별자라 칭함) 또는 상기 수신된 채팅 호의 식별자(이하, 제2 식별자라 칭함)를 포함하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메시지를 채팅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단계;
    (c) 상기 전송된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채팅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식별자 또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식별자 또는 제1 식별자를 수신하기 위한 단계;
    (d)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자 또는 제1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상대방 단말에게 채팅(또는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채팅(또는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채팅(또는 통화) 전환 수락 메시지 또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단계; 및
    (e)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수락 메시지 또는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시지의 수신 시 상기 상대방 단말과 채팅(또는 통화)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f) 착신 단말에게로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를 발신한 후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채팅(또는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시, 채팅(또는 통화) 전환 수락 또는 거절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단계; 및
    (g) 상기 수신된 채팅(또는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수락 메뉴의 선택 시 상기 착신 단말에게 채팅(또는 통화) 전환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착신 단말과 채팅(또는 통화)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뉴의 선택 시 상기 착신 단말에게 채팅(또는 통화) 전환 거절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착신 단말을 대상으로 음성/영상 통신(또는 채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는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방법.
  22. 착신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상대방 단말로부터 발신된 음성/영상 호(또는 채팅 호)의 수신 시,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버튼의 선택 시, 상기 수신된 음성/영상 호의 식별자(이하, 제1 식별자라 칭함) 또는 상기 수신된 채팅 호의 식별자(이하, 제2 식별자라 칭함)를 포함하는 채팅(또는 통화) 전환 시도 메시지를 채팅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채팅 서버의 중계에 의해 형성된 채팅로(또는 통화로)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과 채팅(또는 통화)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방법.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는 전화 번호(Cellular Telephone Number: CT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방법.
  24.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자는 채팅 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방법.
  25. 제 13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All-IP 기반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40007301A 2014-01-21 2014-01-21 All-IP 기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501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7301A KR101501403B1 (ko) 2014-01-21 2014-01-21 All-IP 기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7301A KR101501403B1 (ko) 2014-01-21 2014-01-21 All-IP 기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403B1 true KR101501403B1 (ko) 2015-03-10

Family

ID=53027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7301A KR101501403B1 (ko) 2014-01-21 2014-01-21 All-IP 기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4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655B1 (ko) * 2016-06-27 2018-03-09 한국과학기술원 메신저 가입자의 착신 콜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N112104913A (zh) * 2020-09-11 2020-12-1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连麦切换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427748B1 (ko) * 2021-10-07 2022-08-01 주식회사 브로드씨엔에스 인공지능을 이용한 고객 응대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4698A (ko) * 2007-11-27 2009-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단말의 호전환방법 및 장치
KR20090078593A (ko) * 2008-01-15 2009-07-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ip와 3g-324m간의 영상 채팅 서비스 방법과이를 위한 변환기
KR20110002827A (ko) * 2010-12-23 2011-01-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20130020330A (ko) * 2011-08-19 2013-02-27 (주)티아이스퀘어 모바일 통신 단말의 채팅 서비스 모드 전환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4698A (ko) * 2007-11-27 2009-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단말의 호전환방법 및 장치
KR20090078593A (ko) * 2008-01-15 2009-07-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ip와 3g-324m간의 영상 채팅 서비스 방법과이를 위한 변환기
KR20110002827A (ko) * 2010-12-23 2011-01-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20130020330A (ko) * 2011-08-19 2013-02-27 (주)티아이스퀘어 모바일 통신 단말의 채팅 서비스 모드 전환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655B1 (ko) * 2016-06-27 2018-03-09 한국과학기술원 메신저 가입자의 착신 콜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N112104913A (zh) * 2020-09-11 2020-12-1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连麦切换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2104913B (zh) * 2020-09-11 2023-09-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连麦切换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427748B1 (ko) * 2021-10-07 2022-08-01 주식회사 브로드씨엔에스 인공지능을 이용한 고객 응대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0854B2 (ja) 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9084094B2 (en) Method and device for group-transmitting multimedia messages
CN101645933A (zh) 用于呼叫geosoc的系统和方法
CN104539790A (zh) 一种平板电脑共享手机通讯功能的方法及系统
KR101501403B1 (ko) All-IP 기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CN104518950A (zh) 实现语音对讲的方法和系统以及语音对讲服务器
KR101874087B1 (ko) 무선 태그를 이용한 통화 기능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070014922A (ko) W-cdma망에서 동영상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 및장치
KR101028487B1 (ko) 인터넷 전화연결방법
KR101098188B1 (ko) 가입자별 정보 관리 및 제공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127482A (ko) 통화의도 송수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시스템
KR101773850B1 (ko) 통화중계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통화 중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469491B1 (ko)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시스템, 일반 전화망과 mVoIP 간의 통화 중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03134233A (ja) 留守番電話システムとそのサービス方法、およびその処理プログラム
JP2014023052A (ja) ボイスメールサーバ装置、ボイスメール方法、ボイスメールプログラム
KR101828320B1 (ko)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KR101838154B1 (ko)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US9197754B2 (en) Preconfigured sender communication
KR101041386B1 (ko) 푸쉬서버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에서 인터넷 전화를 연결하도록 하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
KR100626502B1 (ko) 무선통신번호가 할당된 커뮤니티와 통신채널이 연결된회원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473403B1 (ko) 자동응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악메시지 서비스 방법
KR100986511B1 (ko) 단문메시지가 가능한 일반전화에 푸쉬형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37738B1 (ko)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 통화발신 지원서버, 통화발신 지원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지원방법
KR20040075511A (ko) 단축다이얼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450967B1 (ko)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 통화발신 지원서버, 통화발신 지원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지원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