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738B1 -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 통화발신 지원서버, 통화발신 지원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지원방법 - Google Patents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 통화발신 지원서버, 통화발신 지원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지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738B1
KR101437738B1 KR1020120132277A KR20120132277A KR101437738B1 KR 101437738 B1 KR101437738 B1 KR 101437738B1 KR 1020120132277 A KR1020120132277 A KR 1020120132277A KR 20120132277 A KR20120132277 A KR 20120132277A KR 101437738 B1 KR101437738 B1 KR 101437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ontent
terminal
access information
c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5747A (ko
Inventor
정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132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738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 통화발신 지원서버, 통화발신 지원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지원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은, 문자메시지, 영상메시지 및 음성메시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메시지를 통화컨텐츠로 변환하고, 변환된 통화컨텐츠에 대한 접근정보를 생성하며, 통화요청신호에 상기 접근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발신단말기; 및 발신단말기로부터 통화요청신호를 착신하며, 응답대기 상태에서 접근정보에 기초하여 통화컨텐츠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고, 조회요청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통화컨텐츠를 출력하는 착신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 통화발신 지원서버, 통화발신 지원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지원방법{Call Sending Support System, Server, Mobile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 통화발신 지원서버, 통화발신 지원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지원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신단말기의 응답대기 상태에서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통화용건에 대한 정보를 미리 착신단말기에 표시함으로써 발신자의 통화요청이 거부되는 일없이 발신단말기와 착신단말기 사이의 통화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 통화발신 지원서버, 통화발신 지원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지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 사이에 통화 호가 설정되는 과정은, 발신 단말기의 통화요청에 의해 발신 교환기가 해당 관할의 홈위치 등록기로 착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며 착신 교환기에 발신 단말기의 통화요청신호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착신 교환기는 착신 단말기에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통화요청이 착신되었음을 알리며, 착신 단말기가 통화요청 착신에 대하여 응답하면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사이의 통화 호를 설정하게 된다.
한편, 이동통신 사업자는 착신 교환기가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통화요청이 착신되었음을 착신 단말기에 알릴 때 발신 단말기에 대한 발신자번호를 착신 단말기에 표시하는 발신자표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착신자는 통화요청신호의 착신과 함께 표시되는 발신자번호를 확인하고 해당 착신신호에 대한 응답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무분별하게 착신되는 통화요청 신호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응답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착신자가 착신신호에 대한 응답여부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발신자번호가 모르는 번호이거나, 알더라도 중요한 지인의 번호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착신신호에 대한 응답을 거부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발신자가 통화를 통해 착신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중요한 용건이 있는 경우에 착신자가 응답거부를 함으로써 착신자와 통화가 연결되지 않아 중요한 용건이 착신자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착신단말기의 응답대기 상태에서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통화용건에 대한 정보를 미리 착신단말기에 표시함으로써 발신자의 통화요청이 거부되는 일없이 발신단말기와 착신단말기 사이의 통화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 통화발신 지원서버, 통화발신 지원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지원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은, 문자메시지, 영상메시지 및 음성메시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메시지를 통화컨텐츠로 변환하고, 변환된 통화컨텐츠에 대한 접근정보를 생성하며, 통화요청신호에 상기 접근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발신단말기; 및 발신단말기로부터 통화요청신호를 착신하며, 응답대기 상태에서 접근정보에 기초하여 통화컨텐츠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고, 조회요청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통화컨텐츠를 출력하는 착신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은, 발신단말기로부터 통화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통화요청신호에 접근정보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검색하는 교환기; 및 교환기에 의해 접근정보가 검색되면, 교환기로부터 접근정보를 전달받아 착신단말기가 접근 가능한 형태로 포맷 변환하는 통화발신지원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교환기는 통화발신지원서버에 의해 포맷 변환된 접근정보를 통화요청신호에 삽입하여 착신단말기에 전송한다.
통화발신지원서버는, 교환기로부터 접근정보가 전달되면 발신단말기에 통화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착신단말기는, 응답대기 상태에서 통화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기 전에 통화가 종료하는 경우, 접근정보를 통화기록에 포함시켜 저장한다.
또한, 착신단말기는, 통화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면 수신된 통화컨텐츠를 통화기록에 포함시켜 저장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통화의 목적 및 내용요약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입력받는 메시지입력부; 메시지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메시지의 포맷을 변환하여 통화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생성부; 메시지에 대응하는 착신단말기에 통화요청신호를 발신하는 경우, 통화컨텐츠에 대한 접근정보를 통화요청신호에 삽입하여 발신하는 통화요청발신부; 및 착신단말기 또는 통화발신지원서버로부터 접근정보에 대응하는 조회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통화컨텐츠를 착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텐츠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컨텐츠전송부는, 컨텐츠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통화컨텐츠를 통화발신지원서버로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메시지입력부는, 문자메시지, 음성메시지, 영상메시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전술한 이동통신단말기는, 통화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착신단말기로 동작하는 경우, 응답대기 상태에서 통화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기 전에 통화가 종료되면 접근정보를 통화기록에 포함시켜 저장한다.
또한, 전술한 이동통신단말기는, 통화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착신단말기로 동작하는 경우, 통화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면 수신된 통화컨텐츠를 통화기록에 포함시켜 저장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발신지원서버는, 교환기로부터 통화컨텐츠에 대한 접근정보를 수신하는 접근정보수신부; 접근정보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접근정보를 착신단말기가 접근 가능한 형태로 포맷 변환하는 포맷변환부; 및 포맷변환부에 의해 포맷 변환된 접근정보를 교환기에 전송하는 접근정보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통화발신지원서버는, 접근정보에 대응하여 착신단말기로부터 통화컨텐츠에 대한 조회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발신단말기에 통화컨텐츠를 요청하며, 발신단말기로부터 통화컨텐츠를 수신하여 착신단말기에 전달하는 컨텐츠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통화발신지원서버는, 교환기로부터 통화컨텐츠에 대한 접근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발신단말기에 통화컨텐츠를 요청하며, 발신단말기로부터 통화컨텐츠를 수신하여 착신단말기로 전달하는 컨텐츠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통화발신지원서버는, 발신단말기로부터 통화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컨텐츠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컨텐츠전송부는 착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조회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컨텐츠저장부에 저장된 통화컨텐츠를 착신단말기에 전송한다.
전술한 통화발신지원서버는, 착신단말기의 사양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정보를 조회하는 단말정보조회부; 및 단말정보조회부에 의해 조회된 단말정보에 대응하여 통화컨텐츠의 포맷을 변환하는 컨텐츠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발신 지원방법은, 통화발신지원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통화발신 지원방법에 있어서, 교환기로부터 통화컨텐츠에 대한 접근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접근정보를 착신단말기가 접근 가능한 형태로 포맷 변환하는 단계; 및 포맷 변환된 접근정보를 상기 교환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통화발신 지원방법은, 접근정보에 대응하여 착신단말기로부터 통화컨텐츠에 대한 조회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조회요청신호에 대응하여 발신단말기에 통화컨텐츠를 요청하며, 발신단말기로부터 통화컨텐츠를 수신하여 착신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통화발신 지원방법은, 교환기로부터 통화컨텐츠에 대한 접근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발신단말기에 통화컨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및 발신단말기로부터 통화컨텐츠를 수신하여 착신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통화발신 지원방법은, 발신단말기로부터 통화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착신단말기로 통화컨텐츠를 전달하는 단계는 착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조회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저장된 통화컨텐츠를 착신단말기에 전송한다.
착신단말기로 통화컨텐츠를 전달하는 단계는, 착신단말기의 사양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정보를 조회하며, 조회된 단말정보에 따라 통화컨텐츠의 포맷을 변환하여 착신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신단말기의 응답대기 상태에서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통화용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중요한 용건이 착신자에 의해 거부될 가능성을 줄이며, 착신자는 발신자의 통화요청에 대하여 통화내용을 미리 인지하고 그에 따라 응답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한 메시지 입력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발신지원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발신 지원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 통화발신 지원서버, 통화발신 지원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지원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기(100, 300), 통화발신지원서버(200), 및 교환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단말기(100, 300)는 통화요청을 발신하는 발신단말기(100)와, 발신단말기(100)에 의해 발신된 통화요청을 착신하는 착신단말기(300)를 구분한다.
발신자가 착신단말기(300)에 통화요청을 발신하는 경우, 발신단말기(100)는 발신자에 의해 발신된 통화요청을 이동통신망(310)을 통해 교환기(320)로 전달하며, 통화요청신호는 착신단말기(300)에 대응하는 이동통신망(330)을 통해 착신단말기(300)에 착신된다. 여기서, 이동통신망(310, 330)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GSM(Global System for Mobile), LTE(Long Term Evolution) 망 등을 포함한다. 이때, 발신단말기(100) 및 착신단말기(300)의 위치등록, 및 착신단말기(300)에 대한 위치검색 과정은 공지의 기술을 따르며,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발신단말기(100)는 착신단말기(300)에 통화요청을 발신하기 전에 발신자로부터 통화의 목적 및 통화내용 요약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메시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발신단말기(100)는 발신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를 통화컨텐츠로 변환한다. 여기서, 발신자에 의해 입력되는 메시지는 문자메시지, 음성메시지, 영상메시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신단말기(100)는 발신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에 대하여 데이터용량, 재생시의 윈도우 크기 등의 포맷을 변환하고, 압축하는 등의 처리를 하여 통화컨텐츠로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신단말기(100)는 발신자에 입력된 메시지의 문자, 음성, 영상 등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통화컨텐츠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신단말기(100)는 변환된 통화컨텐츠에 대한 접근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접근정보를 착신단말기(300)에 통화요청신호를 발신할 때 해당 통화요청신호에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접근정보는 착신단말기(300)가 이동통신망(310, 330) 또는 네트워크(340)를 통해 발신단말기(100)에 접속하거나 통화발신지원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루트(route)정보를 포함하거나 통화발신지원서버(200)가 발신단말기(10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접근정보는 하나의 형태로 통화컨텐츠를 지시하는 주소 또는 URL 일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340)는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또한, 발신단말기(100)는 통화발신지원서버(200)의 요청에 따라 변환된 통화컨텐츠를 네트워크(340)를 통해 통화발신지원서버(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발신단말기(100)는 변환된 통화컨텐츠를 통화발신지원서버(200)에 업로드(Upload) 완료한 후 해당 통화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이 경우, 교환기(320)는 발신단말기(100)로부터 통화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통화요청신호에 접근정보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교환기(320)는 통화요청신호에 접근정보가 삽입되어 있으면, 해당 접근정보를 통화발신지원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통화발신지원서버(200)는 교환기(320)에 의해 접근정보가 검색되면, 교환기(320)로부터 해당 접근정보를 전달받아 착신단말기(300)가 접근 가능한 형태로 포맷 변환한다. 예를 들어, 발신단말기(100)로부터 교환기(320)로 전송되는 접근정보가 발신단말기(100)의 네트워크(340) 상에서의 위치정보(사설 IP 어드레스)로 이루어졌다고 가정하면, 통화발신지원서버(200)는 교환기(320)로부터 전달받은 접근정보에 자신의 공개 IP 어드레스가 부가되도록 변환할 수 있다.
통화발신지원서버(200)에 의해 포맷 변환된 접근정보는 교환기(320)로 전달되며, 교환기(320)는 발신단말기(100)로부터 착신된 통화요청신호에 통화발신지원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접근정보를 추가하여 착신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이 경우와 별개로 통화발신지원서버(200)는 교환기(320)로부터 해당 접근정보를 전달받은 경우 해당 접근정보를 이용하여 발신단말기(100)에 통화컨텐츠를 요청하며, 그에 따라 발신단말기(100)로부터 통화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통화발신지원서버(200)는 착신단말기(300)로부터 통화컨텐츠 조회요청이 있을 때에 발신단말기(100)로부터 통화컨텐츠를 수신하는 경우보다 빨리 통화컨텐츠를 발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발신단말기(100)에 의해 통화요청신호에 삽입되는 접근정보가 착신단말기(300)에 의해 직접 접근 가능한 경우, 교환기(320)가 접근정보를 통화발신지원서버(200)에 전달하는 과정, 통화발신지원서버(200)가 접근정보를 포맷 변환하는 과정, 및 통화발신지원서버(200)가 접근정보를 교환기(320)에 전달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착신단말기(300)는 교환기(320)를 통해 발신단말기(100)에 의해 발신된 통화요청신호를 착신하며, 응답대기 상태에서 통화요청신호에 삽입된 접근정보를 이용하여 통화컨텐츠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고, 발신단말기(100) 또는 통화발신지원서버(200)로부터 조회요청에 대응하는 통화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착신단말기(300)는 발신단말기(100)로부터 착신된 통화요청신호의 응답대기 상태에서 통화요청신호에 삽입된 접근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통화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을 하기 전에 발신단말기(100) 또는 통화발신지원서버(200)에 통화컨텐츠의 조회를 요청하고, 그에 따라 발신단말기(100) 또는 통화발신지원서버(200)로부터 조회요청에 대응하는 통화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착신단말기(300)는 통화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기 전에 착신된 통화요청신호에 응답을 하거나 또는 통화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을 하지 않거나 통화를 거절하여 통화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기 전에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 해당 통화요청신호에 대응하는 통화내역을 통화기록에 기록할 때 접근정보를 통화기록에 포함시켜 저장하며, 그에 따라 착신자가 해당 통화기록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발신단말기(100) 또는 통화발신지원서버(200)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통화컨텐츠를 수신하여 통화내역과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은 착신단말기(300)가 통화컨텐츠를 조회하여 다운로드하는 경우에 별도의 네트워크 이용료가 과금되지 않도록 한다. 만일 응답대기 상태에서 통화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었다면, 착신단말기(300)는 해당 통화요청신호에 대응하는 통화내역을 통화기록에 기록할 때 수신된 통화컨텐츠를 통화기록에 포함시켜 저장할 수 있고, 이 경우 별도로 통화컨텐츠를 조회할 필요가 없다. 또한, 통화발신지원서버(200)는 착신단말기(300)가 통화컨텐츠의 수신을 완료한 경우에 해당 통화컨텐츠를 삭제할 수도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은 발신단말기에 의해 착신단말기로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 착신자가 발신자의 통화요청에 대한 응답을 하기 전에 통화의 목적, 통화요약 등을 먼저 조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중요한 용건이 착신자에 의해 거부될 가능성을 줄이며, 착신자는 발신자의 통화요청에 대하여 통화내용을 미리 인지하고 그에 따라 응답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발신의 지원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메시지입력부(110), 컨텐츠생성부(120), 통화요청발신부(130), 및 컨텐츠전송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입력부(110)는 착신단말기(300)에 통화요청을 발신하기 전에, 통화의 목적 및 통화내용 요약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시지입력부(1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메시지 입력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입력부(11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문자 키(key) 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통해 문자메시지를 입력받거나,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마이크로폰(micro phone)을 통해 음성메시지를 입력받거나, 또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카메라(camera)를 통해 영상메시지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또한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저장된 문자메시지, 영상메시지, 음성메시지 등을 선택하여 입력받을 수 있고, 둘 이상의 조합으로 메시지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컨텐츠생성부(120)는 메시지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메시지의 포맷을 변환하여 통화컨텐츠를 생성한다. 즉, 컨텐츠생성부(120)는 메시지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메시지의 데이터용량, 재생시의 윈도우 크기 등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컨텐츠로 이용하기에 적합하도록 그 포맷을 변환하고, 압축하여 통화컨텐츠를 생성한다. 여기서, 컨텐츠생성부(120)는 포맷변환 및 압축 없이 통화컨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통화요청발신부(130)는 발신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에 대응하는 착신단말기(300)에 통화요청신호를 발신하는 경우, 해당 통화요청신호에 접근정보를 삽입하여 발신한다. 여기서, 접근정보는 착신단말기(300)가 이동통신망(310, 330) 또는 네트워크(340)를 통해 발신단말기(100)에 접속하거나 통화발신지원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루트정보를 포함하거나 통화발신지원서버(200)가 발신단말기(10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컨텐츠전송부(140)는 착신단말기(300)로 발신된 통화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착신단말기(300) 또는 통화발신지원서버(200)로부터 컨텐츠 조회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컨텐츠 조회요청신호에 대응하는 통화컨텐츠를 인출하여 이동통신망(310, 330) 또는 네트워크(340)를 통해 착신단말기(300)에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발신지원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통화발신지원서버(200)는 접근정보수신부(210), 포맷변환부(220), 접근정보전송부(230), 컨텐츠전송부(240), 컨텐츠저장부(250), 단말정보조회부(260) 및 컨텐츠변환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접근정보수신부(210)는 교환기(320)로부터 접근정보를 수신한다.
포맷변환부(220)는 접근정보수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접근정보의 포맷을 착신단말기(300)가 접근할 수 있는 형태로 포맷 변환한다. 이때, 포맷변환부(220)는 접근정보수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접근정보에 통화발신지원서버(200)의 공개 IP 어드레스를 부가할 수 있다.
접근정보전송부(230)는 포맷변환부(220)에 의해 포맷 변환된 접근정보를 교환기(320)에 전송한다.
컨텐츠전송부(240)는 교환기(320)에 전송된 접근정보에 대응하여 착신단말기(300)로부터 통화컨텐츠에 대한 조회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발신단말기(100)로부터 조회요청신호에 대응하는 통화컨텐츠를 수신하여 착신단말기(3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전송부(240)는 접근정보수신부(210)가 교환기(320)로부터 접근정보를 수신하면 발신단말기(100)로부터 접근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컨텐츠저장부(250)는 발신단말기(100)로부터 통화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전송부(240)는 착신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통화컨텐츠의 조회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컨텐츠저장부(250)로부터 통화컨텐츠를 인출하여 착신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이때, 찬신단말기(300)로부터 통화컨텐츠에 대한 조회요청신호가 수신될 때 발신단말기(100)로부터 통화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설정된 시간 후에 통화컨텐츠에 대한 수신을 재요청하도록 착신단말기(300)에 재시도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정보조회부(260)는 착신단말기(300)의 사양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정보를 조회한다. 즉, 단말정보조회부(260)는 착신단말기(300)가 가입한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착신단말기(300)의 단말기의 종류, 디스플레이의 크기, 영상신호 처리속도 등에 대한 단말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컨텐츠변환부(270)는 단말정보조회부(260)에 의해 조회된 단말정보에 대응하여 통화컨텐츠의 포맷을 변환한다. 즉, 컨텐츠변환부(270)는 발신단말기(100)에 의해 업로드된 통화컨텐츠의 포맷이 착신단말기(30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컨텐츠의 포맷과 다른 경우, 발신단말기(100)에 의해 업로드된 통화컨텐츠의 포맷을 착신단말기(300)의 사양에 따라 변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발신 지원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발신단말기(100)는 착신단말기(300)에 통화요청을 발신하기 전에, 통화의 목적 및 통화내용 요약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메시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S102).
발신단말기(100)는 발신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의 포맷을 변환하여 통화컨텐츠를 생성한다(S104). 즉, 발신단말기(100)는 발신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의 데이터용량, 재생시의 윈도우 크기 등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컨텐츠로 이용하기에 적합하도록 그 포맷을 변환하고, 압축하여 통화컨텐츠를 생성한다.
발신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에 대응하여 발신자가 착신단말기(300)에 통화요청신호를 발신하는 경우(S106), 발신단말기(100)는 통화컨텐츠에 대한 루트정보를 포함하는 접근정보를 통화요청신호에 삽입하며(S108), 접근정보가 삽입된 통화요청신호를 교환기(320)에 전송한다(S110). 이때, 발신단말기(100)는 자신의 네트워크(340) 상의 위치정보를 통화컨텐츠에 대한 접근정보로 통화요청신호에 삽입하거나, 통화발신지원서버(200)의 위치정보를 통화컨텐츠에 대한 접근정보로 삽입할 수 있다.
교환기(320)는 발신단말기(100)로부터 착신단말기(300)로 착신되는 통화요청신호에 대하여 접근정보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며(S112), 통화요청신호에 접근정보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통화발신지원서버(200)에 해당 접근정보를 전달한다(S114). 이때, 통화발신지원서버(200)는 교환기(320)로부터 수신한 접근정보를 착신단말기(300)가 접근할 수 있는 형태로 포맷 변환하며(S116), 포맷 변환된 접근정보를 교환기(320)에 전송한다(S118). 여기서, 통화발신지원서버(200)는 접근정보에 대한 포맷 변환을 생략할 수 있으며, 교환기(320)로부터 수신한 접근정보에 대응하여 발신단말기(100)에 통화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 및 저장할 수도 있다.
교환기(320)는 통화발신지원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접근정보를 발신단말기(100)로부터 착신된 통화요청신호에 추가한다(S120). 이를 통해, 발신단말기(100)에 의해 통화요청신호에 삽입된 접근정보는 통화발신지원서버(200)에 의해 포맷 변환된 접근정보로 대체된다.
교환기(320)는 접근정보가 추가된 통화요청신호를 착신단말기(300)에 전송함으로써 발신단말기(100)와의 호 연결을 요청한다(S122). 이를 통해, 착신단말기(300)는 발신단말기(100)로부터의 통화요청신호에 응답하기 전에 접근정보를 확인하며(S124), 그에 따라 발신단말기(100) 또는 통화발신지원서버(200)에 통화컨텐츠의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S126).
통화발신지원서버(200)는 착신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통화컨텐츠 조회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기존에 해당 통화컨텐츠의 수신을 완료한 경우(S128), 해당 통화컨텐츠를 착신단말기(300)로 전송한다(S130).
통화발신지원서버(200)는 착신단말기(300)로부터 통화컨텐츠의 조회요청에 대응하여, 통화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에는 발신단말기(100)에 해당 통화컨텐츠의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S132). 이때, 통화발신지원서버(200)는 설정된 시간 후에 해당 통화컨텐츠에 대한 재시도를 요청하는 재시도 요청메시지를 생성하며(S134), 생성된 재시도 요청메시지를 착신단말기(300)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36).
통화발신지원서버(200)에 의해 발신단말기(100)로 전송된 컨텐츠 조회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발신단말기(100)로부터 통화컨텐츠가 수신되면(S138), 통화발신지원서버(200)는 발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통화컨텐츠를 착신단말기(300)에 전달한다(S140).
이때, 통화발신지원서버(200)는 기 저장된 통화컨텐츠 또는 발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통화컨텐츠를 착신단말기(300)에 전송할 때, 착신단말기(300)의 사용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정보를 조회하며, 조회된 단말정보에 따라 통화컨텐츠의 포맷을 변환하여 착신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발신단말기(100)에 의해 업로드된 통화컨텐츠의 포맷이 착신단말기(30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컨텐츠의 포맷과 다른 경우, 통화발신지원서버(200)는 발신단말기(100)에 의해 업로드된 통화컨텐츠의 포맷을 착신단말기(300)의 사양에 따라 변환한 후, 착신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Claims (20)

  1. 문자메시지, 영상메시지 및 음성메시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메시지를 통화컨텐츠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통화컨텐츠에 대한 접근정보를 생성하며, 통화요청신호에 상기 접근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발신단말기; 및
    상기 발신단말기로부터 통화요청신호를 착신하며, 응답대기 상태에서 상기 접근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컨텐츠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고, 조회요청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상기 통화컨텐츠를 출력하며, 응답대기 상태에서 상기 통화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기 전에 통화가 종료하는 경우에 상기 접근정보를 통화기록에 포함시켜 저장하는 착신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단말기로부터 통화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통화요청신호에 상기 접근정보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검색하는 교환기; 및
    상기 교환기에 의해 상기 접근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교환기로부터 상기 접근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착신단말기가 접근 가능한 형태로 포맷 변환하는 통화발신지원서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교환기는 상기 통화발신지원서버에 의해 포맷 변환된 접근정보를 상기 통화요청신호에 삽입하여 상기 착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발신지원서버는,
    상기 교환기로부터 상기 접근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발신단말기에 상기 통화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단말기는,
    상기 통화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통화컨텐츠를 통화기록에 포함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
  6. 통화의 목적 및 내용요약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입력받는 메시지입력부;
    상기 메시지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메시지의 포맷을 변환하여 통화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생성부;
    상기 메시지에 대응하는 착신단말기에 통화요청신호를 발신하는 경우, 상기 통화컨텐츠에 대한 접근정보를 상기 통화요청신호에 삽입하여 발신하는 통화요청발신부; 및
    상기 착신단말기 또는 통화발신지원서버로부터 상기 접근정보에 대응하는 조회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통화컨텐츠를 상기 착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텐츠전송부;
    를 포함하며,
    상기 통화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착신단말기로 동작하는 경우, 응답대기 상태에서 통화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기 전에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접근정보를 통화기록에 포함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발신 지원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전송부는,
    상기 컨텐츠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통화컨텐츠를 통화발신지원서버로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입력부는,
    문자메시지, 음성메시지, 영상메시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발신 지원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착신단말기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통화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면 수신된 상기 통화컨텐츠를 통화기록에 포함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발신 지원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11. 교환기로부터 통화컨텐츠에 대한 접근정보를 수신하는 접근정보수신부;
    상기 접근정보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접근정보를 착신단말기가 접근 가능한 형태로 포맷 변환하는 포맷변환부; 및
    상기 포맷변환부에 의해 포맷 변환된 접근정보를 상기 교환기에 전송하는 접근정보전송부;
    를 포함하며,
    상기 착신단말기가 응답대기 상태에서 상기 통화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기 전에 통화를 종료하는 경우, 상기 접근정보전송부는 상기 접근정보가 상기 착신단말기의 통화기록에 포함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착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발신지원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정보에 대응하여 착신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컨텐츠에 대한 조회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발신단말기에 상기 통화컨텐츠를 요청하며, 상기 발신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착신단말기에 전달하는 컨텐츠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발신지원서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로부터 통화컨텐츠에 대한 접근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발신단말기에 상기 통화컨텐츠를 요청하며, 상기 발신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착신단말기로 전달하는 컨텐츠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발신지원서버.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컨텐츠저장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전송부는 상기 착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조회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저장부에 저장된 통화컨텐츠를 상기 착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발신지원서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단말기의 사양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정보를 조회하는 단말정보조회부; 및
    상기 단말정보조회부에 의해 조회된 단말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통화컨텐츠의 포맷을 변환하는 컨텐츠변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발신지원서버.
  16. 통화발신지원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통화발신 지원방법에 있어서,
    교환기로부터 통화컨텐츠에 대한 접근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접근정보를 착신단말기가 접근 가능한 형태로 포맷 변환하는 단계; 및
    포맷 변환된 상기 접근정보를 상기 교환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착신단말기가 응답대기 상태에서 상기 통화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기 전에 통화를 종료하는 경우, 상기 접근정보를 상기 교환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접근정보가 상기 착신단말기의 통화기록에 포함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착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발신 지원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착신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컨텐츠에 대한 조회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조회요청신호에 대응하여 발신단말기에 상기 통화컨텐츠를 요청하며, 상기 발신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착신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발신 지원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로부터 통화컨텐츠에 대한 접근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발신단말기에 상기 통화컨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착신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발신 지원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착신단말기로 통화컨텐츠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조회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저장된 상기 통화컨텐츠를 상기 착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발신 지원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단말기로 통화컨텐츠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단말기의 사양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정보를 조회하며, 조회된 상기 단말정보에 따라 상기 통화컨텐츠의 포맷을 변환하여 상기 착신단말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발신 지원방법.
KR1020120132277A 2012-11-21 2012-11-21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 통화발신 지원서버, 통화발신 지원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지원방법 KR101437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277A KR101437738B1 (ko) 2012-11-21 2012-11-21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 통화발신 지원서버, 통화발신 지원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지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277A KR101437738B1 (ko) 2012-11-21 2012-11-21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 통화발신 지원서버, 통화발신 지원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지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747A KR20140065747A (ko) 2014-05-30
KR101437738B1 true KR101437738B1 (ko) 2014-09-11

Family

ID=50892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277A KR101437738B1 (ko) 2012-11-21 2012-11-21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 통화발신 지원서버, 통화발신 지원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지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7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416A (ko) * 2006-06-30 2008-01-0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착신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80024810A (ko) * 2006-09-15 2008-03-19 주식회사 아이컨택트 개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24771A (ko) * 2008-08-26 2010-03-08 주식회사 케이티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10108676A (ko) * 2010-03-29 2011-10-06 주식회사 이루온 멀티미디어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416A (ko) * 2006-06-30 2008-01-0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착신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80024810A (ko) * 2006-09-15 2008-03-19 주식회사 아이컨택트 개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24771A (ko) * 2008-08-26 2010-03-08 주식회사 케이티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10108676A (ko) * 2010-03-29 2011-10-06 주식회사 이루온 멀티미디어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747A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9314B2 (en) Peer-to-peer mobile data transfer method and device
US9084094B2 (en) Method and device for group-transmitting multimedia messages
JP2005192207A (ja) Ip基盤の画像/音声通信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呼転換/呼ピックアップ方法
US10182158B2 (en) Voice gateway-based communication method
JP4837038B2 (ja) プル型デジタル情報配信機能を備えた通信端末及びプル型デジタル情報配信方法
US9537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grating active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terminals
CN106992957B (zh) 网络通话转接至移动通信终端的方法及装置
RU2388187C1 (ru) Система связи и способ связи
KR100729991B1 (ko) W-cdma망에서 동영상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 및장치
JP2019518382A (ja) 複数のネットワークタイプを通じて通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501403B1 (ko) All-IP 기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790896B1 (ko)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37738B1 (ko)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 통화발신 지원서버, 통화발신 지원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지원방법
KR20140031650A (ko) mVoIP 서비스 중계장치/그 중계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그 mVoIP 서비스방법
KR101450967B1 (ko)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 통화발신 지원서버, 통화발신 지원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지원방법
KR102359316B1 (ko) 콜 제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717825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호 연결 방법
KR101244899B1 (ko) 스마트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26165B1 (ko) 음성 사서함에 연결된 착신 불가 호에 대한 발신 정보제공 방법
KR100676228B1 (ko) 착신 불가 호에 대한 발신 정보 제공 방법
KR100907410B1 (ko) 멀티미디어 기반의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레터링 서비스 서버
KR101787656B1 (ko) 발신자 정보의 호 데이터를 제공하는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발신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KR100577918B1 (ko) 자동 연결된 착신 불가 호에 대한 발신 정보 제공 방법
KR101621406B1 (ko) 주소록 기반의 통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622907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