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1650A - mVoIP 서비스 중계장치/그 중계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그 mVoIP 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mVoIP 서비스 중계장치/그 중계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그 mVoIP 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1650A
KR20140031650A KR1020120098220A KR20120098220A KR20140031650A KR 20140031650 A KR20140031650 A KR 20140031650A KR 1020120098220 A KR1020120098220 A KR 1020120098220A KR 20120098220 A KR20120098220 A KR 20120098220A KR 20140031650 A KR20140031650 A KR 20140031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voip
service
terminal
called terminal
subscrib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재
정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098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1650A/ko
Publication of KR20140031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mVoIP 서비스 중계장치 및 그 중계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mVoIP 서비스 중계장치는, 서로 다른 mVoIP(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mVoIP 서버로부터 각각의 가입자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가입자정보저장부; 발신단말기로부터 착신단말기로 mVoIP 통화연결을 요청하는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연결요청수신부; 연결요청수신부를 통해 연결요청신호가 수신되면, 가입자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각각의 가입자정보에 기초하여 발신단말기 및 착신단말기의 각각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를 판단하는 가입서비스판단부; 및 상기 발신단말기 및 상기 착신단말기의 각각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에 따라 적응적으로 상호간에 음성패킷을 전송하는 음성패킷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mVoIP 서비스 중계장치/그 중계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그 mVoIP 서비스방법{Mobile VoIP Service Relay Apparatus, Relay Method, Mobile and Service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mVoIP 서비스 중계장치/중계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그 mVoIP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별로 이용하는 mVoIP 서비스가 서로 다른 경우에도 각각의 사용자들 사이에 mVoIP를 이용한 음성통화를 지원하며, 그 음성통화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mVoIP 서비스 중계장치/중계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그 mVoIP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이다.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는 IP 주소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을 디지털 패킷(데이터 전송의 최소 단위)으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기술이다. 다른 말로 인터넷전화라고 부르며, 'IP 텔레포니' 혹은 '인터넷 텔레포니'라고도 한다. 일부 사람들은 사설 전용망을 사용하면 VoIP, 공중망을 사용하면 인터넷전화, 이 둘을 합하면 IP 텔레포니라고 엄격하게 구분 짓기도 한다.
기존 유선전화의 경우, 회선 교환방식인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이용한다. PSTN은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회선을 독점 사용하는 방법으로(일대일 통신), 아무 말을 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전화를 끊을 때까지는 해당 회선의 사용을 보장받는다. 이 때문에 일정 수준의 통화 품질은 보장되지만, 망 증설비용이 높고 시외전화나 국제전화 시 많은 요금이 부과되며, 음성 이외의 데이터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VoIP는 그물망 형태의 기존 인터넷을 이용한다(다 대 다 통신). 사용자간 회선을 독점 보장해주지 않으므로 트래픽이 많아지면 통화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기존에 인터넷망이 설치되어 있다면 회선 구축 비용이 크게 들지 않고 통화 요금도 매우 저렴하다. 또한, 영상통화, 메시지 등 다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에도 적합하다. 초기 VoIP의 주 고객은 통신 비용을 절감하려는 기업들이었지만, 통화 품질이 점차 발전하고 장비가 보급되면서 일반 가정에서도 VoIP가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VoIP는 유선전화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으며, PSTN 방식의 유선전화는 점차 사라지고 있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 등을 통한 모바일 인터넷이 발전하면서 VoIP는 mVoIP(mobile VoIP)로 진화하였다. mVoIP는 와이파이(Wi-Fi, 무선 랜), 3G 망과 같은 무선 모바일 인터넷을 이용하여 휴대폰으로 인터넷전화를 할 수 있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스카이프(Skype) 등을 꼽을 수 있다. mVoIP의 전송속도는 VoIP보다 느리긴 하지만, 스마트폰이 대중화됨에 따라 mVoIP 서비스의 가입자도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라면 모두 잠재적인 mVoIP 사용자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이와 같은 mVoIP 서비스는 mVoIP 서비스 제공업자 별로 서로 다른 mVoIP 서비스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mVoIP 서비스의 사용자는 동일한 mVoIP 서비스에 가입한 상대방에 한하여 mVoIP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즉, 각각의 mVoIP 서비스는 다른 mVoIP 서비스와 상호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서로 다른 mVoIP 서비스의 가입자들 사이에는 mVoIP 서비스를 실행할 수 없으며, 따라서 서로 다른 mVoIP 서비스의 가입자들 간에도 원활한 mVo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 별로 이용하는 mVoIP 서비스가 서로 다른 경우에도 각각의 사용자들 사이에 mVoIP를 이용한 음성통화를 지원하며, 그 음성통화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mVoIP 서비스 중계장치/중계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그 mVoIP 서비스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oIP 서비스 중계장치는, 서로 다른 mVoIP(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mVoIP 서버로부터 각각의 가입자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가입자정보저장부; 발신단말기로부터 착신단말기로 mVoIP 통화연결을 요청하는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연결요청수신부; 연결요청수신부를 통해 연결요청신호가 수신되면, 가입자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각각의 가입자정보에 기초하여 발신단말기 및 착신단말기의 각각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를 판단하는 가입서비스판단부; 및 발신단말기 및 착신단말기의 각각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에 따라 적응적으로 상호간에 음성패킷을 전송하는 음성패킷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mVoIP 서비스 중계장치는, 가입서비스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발신단말기의 mVoIP 가입서비스와 착신단말기의 mVoIP 가입서비스가 서로 다른 경우, 발신자단말기에 의해 발신되는 음성패킷을 착신자단말기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의 코덱으로 변환하며, 착신자단말기에 의해 발신되는 음성패킷을 발신자단말기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의 코덱으로 변환하는 코덱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성패킷전송부는 코덱변환부에 의해 코덱이 변환된 음성패킷을 착신자단말기 또는 발신자단말기에 전송한다.
전술한 mVoIP 서비스 중계장치는, 가입서비스판단부에 의해 발신단말기 및 착신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가 가입자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가입자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단말기에 설정된 mVoIP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mVoIP 서비스 중계장치는, 가입서비스판단부에 의해 발신단말기 및 착신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가입자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가입자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단말기에 상대방단말기와 동일한 mVoIP 서비스의 가입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mVoIP 서비스 중계장치는, 가입서비스판단부에 의해 착신단말기가 가입자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가입자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발신단말기에 mVoIP 통화연결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mVoIP 서비스 중계장치는, 각각의 mVoIP 서버와 연동하는 서버연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입자정보저장부는 각각의 mVoIP 서버의 가입자정보에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서버연동부를 통하여 변경된 가입자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저장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mVoIP를 이용하여 음성패킷의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착신단말기에 대한 mVoIP 서비스를 선택하는 서비스선택부; 착신단말기의 정보를 mVoIP 서비스 중계장치에 전송하며, 착신단말기에 대한 mVoIP 가입서비스 정보를 문의하는 가입서비스문의부; 가입서비스문의부의 문의에 대응하여 mVoIP 서비스 중계장치로부터 착신단말기에 대한 mVoIP 가입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가입서비스수신부; 및 착신단말기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에 따라 적응적으로 음성패킷을 전송하는 음성패킷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이동통신단말기는, 가입서비스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착신단말기의 mVoIP 가입서비스가 자신의 mVoIP 가입서비스와 서로 다른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패킷을 착신단말기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의 코덱으로 변환하며, 착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패킷을 이동통신단말기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의 코덱으로 변환하는 코덱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이동통신단말기는, 가입서비스수신부를 통해 착신단말기가 mVoIP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것으로 수신되면, 착신단말기에 자신과 동일한 mVoIP 서비스의 가입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oIP 서비스 중계방법은, 서로 다른 m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mVoIP 서버로부터 각각의 가입자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발신단말기로부터 착신단말기로 mVoIP 통화연결을 요청하는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연결요청수신단계를 통해 연결요청신호가 수신되면, 가입자정보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각각의 가입자정보에 기초하여 발신단말기 및 착신단말기의 각각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를 판단하는 단계; 및 발신단말기 및 착신단말기의 각각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에 따라 적응적으로 상호간에 음성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mVoIP 서비스 중계방법은, 가입서비스판단단계에 의해 판단된 발신단말기의 mVoIP 가입서비스와 착신단말기의 mVoIP 가입서비스가 서로 다른 경우, 발신자단말기에 의해 발신되는 음성패킷을 착신자단말기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의 코덱으로 변환하며, 착신자단말기에 의해 발신되는 음성패킷을 발신자단말기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의 코덱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성패킷전송단계는 코덱변환단계에 의해 코덱이 변환된 음성패킷을 착신자단말기 또는 발신자단말기에 전송한다.
전술한 mVoIP 서비스 중계방법은, 가입서비스판단단계에 의해 발신단말기 및 착신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가 가입자정보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가입자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단말기에 설정된 mVoIP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mVoIP 서비스 중계방법은, 가입서비스판단단계에 의해 발신단말기 및 착신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가입자정보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가입자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단말기에 상대방단말기와 동일한 mVoIP 서비스의 가입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mVoIP 서비스 중계방법은, 가입서비스판단단계에 의해 착신단말기가 가입자정보저장단계에 저장된 가입자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발신단말기에 mVoIP 통화연결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mVoIP 서비스 중계방법은, 각각의 mVoIP 서버와 연동하는 단계; 및 각각의 mVoIP 서버의 가입자정보에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변경된 가입자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기 저장된 가입자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mVoIP 서비스방법은, mVoIP를 이용하여 음성패킷의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mVoIP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착신단말기에 대한 mVoIP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 착신단말기의 정보를 mVoIP 서비스 중계장치에 전송하며, 착신단말기에 대한 mVoIP 가입서비스 정보를 문의하는 단계; 가입서비스문의부의 문의에 대응하여 mVoIP 서비스 중계장치로부터 착신단말기에 대한 mVoIP 가입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착신단말기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에 따라 적응적으로 음성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mVoIP 서비스방법은, mVoIP가입서비스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된 착신단말기의 mVoIP 가입서비스가 자신의 mVoIP 가입서비스와 서로 다른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패킷을 착신단말기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의 코덱으로 변환하며, 착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패킷을 이동통신단말기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의 코덱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mVoIP 서비스방법은, mVoIP가입서비스수신단계를 통해 착신단말기가 mVoIP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것으로 수신되면, 착신단말기에 자신과 동일한 mVoIP 서비스의 가입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별로 이용하는 mVoIP 서비스가 서로 다른 경우에도 각각의 사용자들 사이에 mVoIP를 이용한 음성통화를 지원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사용자가 통신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oIP 서비스 중계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oIP 서비스 중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메시지전송부에 의해 전송되는 mVoIP 서비스 가입유도 메시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메시지전송부에 의해 전송되는 mVoIP 통화연결 불가능 통지메시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oIP 서비스 중계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mVoIP 서비스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oIP 서비스 중계장치 및 그 중계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oIP 서비스 중계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oIP 서비스 중계장치(100)는 제1 mVoIP 서버(210), 제2 mVoIP 서버(220), 발신단말기(230) 및 착신단말기(24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mVoIP 서버(210) 및 제2 mVoIP 서버(220)는 각각 m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서버로서, 각각의 mVoIP 서비스 방식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1에는 서로 다른 m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서버가 제1 mVoIP 서버(210) 및 제2 mVoIP 서버(220) 2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서로 다른 m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서버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mVoIP 서비스 중계장치는 셋 이상의 mVoIP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연결될 수도 있다.
발신단말기(230)는 mVoIP 서비스 방식으로 통화연결을 요청하는 단말기를 의미하며, 착신단말기(240)는 발신단말기(230)에 의한 통화연결 요청의 상대 단말기를 의미한다. 이때, 발신단말기(230)가 제1 mVoIP 서비스의 가입자 단말기이며, 착신단말기(240)도 발신단말기(230)와 동일한 제1 mVoIP 서비스의 가입자단말기인 경우, 발신단말기(230) 및 착신단말기(240)는 제1 mVoIP 서버(210)에 의해 직접 제1 mVoIP 서비스 방식으로 mVoIP 통화가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발신단말기(230)가 제2 mVoIP 서비스의 가입자 단말기이며, 착신단말기(240)도 발신단말기(230)와 동일한 제2 mVoIP 서비스의 가입자단말기인 경우, 발신단말기(230) 및 착신단말기(240)는 제2 mVoIP 서버(210)에 의해 직접 제2 mVoIP 서비스 방식으로 mVoIP 통화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mVoIP 서버(210) 및 제2 mVoIP 서버(220)는 발신단말기(230)의 mVoIP 통화요청에 대하여, 발신단말기(230) 또는 착신단말기(240)가 자신이 제공하는 mVoIP 서비스의 가입자가 아닌 경우, 발신단말기(230)로부터의 mVoIP 통화연결 요청신호와 그에 대응하는 발신단말기(230) 및 착신단말기(240)의 정보를 mVoIP 서비스 중계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mVoIP 서비스 중계장치(100)는 각각의 제1 mVoIP 서버(210) 및 제2 mVoIP 서버(220)와 연동하며, 각각의 제1 mVoIP 서버(210) 및 제2 mVoIP 서버(220)에 등록된 가입자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mVoIP 서비스 중계장치(100)는 제1 mVoIP 서버(210) 또는 제2 mVoIP 서버(220)로부터 발신단말기(230) 및 착신단말기(240)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발신단말기(230) 및 착신단말기(240)의 각각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를 판단하며, 판단된 각각의 mVoIP 가입서비스 사이의 코덱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mVoIP 서비스 중계장치(100)는 발신단말기(230) 및 착신단말기(240) 사이에 송수신되는 음성패킷의 코덱을 변환하여 상호간에 전달함으로써 발신단말기(230) 및 착신단말기(240)가 서로 다른 mVoIP 서비스의 가입자인 경우에 mVoIP 통화연결을 중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mVoIP 서비스 중계장치(100)는 제1 mVoIP 서버(210) 또는 제2 mVoIP 서버(220)로부터 발신단말기(230)로부터의 mVoIP 통화연결 요청신호와 그에 대응하는 발신단말기(230) 및 착신단말기(240)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mVoIP 서비스 중계장치(100)는 발신단말기(230)로부터 직접 mVoIP 통화연결 요청신호와 발신단말기(230) 및 착신단말기(240)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oIP 서비스 중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oIP 서비스 중계장치(100)는 가입자정보저장부(110), 연결요청수신부(120), 가입서비스판단부(130), 코덱변환부(140), 음성패킷전송부(150), 어플리케이션제공부(160), 메시지전송부(170) 및 서버연동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입자정보저장부(110)는 서로 다른 m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mVoIP 서버(210, 220)로부터 각각의 가입자에 대한 성명, 닉네임, 단말기 식별번호, 주소 등의 가입자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연결요청수신부(120)는 발신단말기(230)로부터 착신단말기(240)로 mVoIP 통화연결을 요청하는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이와 같은 연결요청신호는 각각의 mVoIP 서버(210, 220)로부터 수신하거나, 발신단말기(230)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 있다.
가입서비스판단부(130)는 연결요청수신부(120)를 통해 연결요청신호가 수신되면, 가입자정보저장부(110)에 저장된 각각의 가입자정보에 기초하여 발신단말기(230) 및 착신단말기(240)의 각각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를 판단한다. 즉, 가입서비스판단부(130)는 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발신단말기(230) 및 착신단말기(240)의 정보를 가입자정보저장부(110)에 저장된 가입자정보와 비교하여 각각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를 판단할 수 있다.
코덱변환부(140)는 가입서비스판단부(130)에 의해 판단된 발신단말기(230)의 mVoIP 가입서비스와 착신단말기(240)의 mVoIP 가입서비스가 서로 다른 경우, 발신단말기(230)에 의해 발신되는 음성패킷을 착신단말기(240)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의 코덱으로 변환한다. 마찬가지로, 코덱변환부(140)는 착신단말기(240)에 의해 발신되는 음성패킷을 발신단말기(230)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의 코덱으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코덱변환부(140)는 각각의 mVoIP 서비스의 코덱들에 대한 상호간의 변환 관계식을 저장할 수 있다.
음성패킷전송부(150)는 발신단말기(230) 및 착신단말기(240)의 각각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에 따라 적응적으로 상호간에 음성패킷을 전송한다. 이때, 음성패킷전송부(150)는 코덱변환부(140)에 의해 코덱이 변환된 음성패킷을 착신단말기(240) 또는 발신단말기(23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음성패킷전송부(150)는 발신단말기(230)에 의해 발신된 후 코덱변환부(140)에 의해 코덱이 변환된 음성패킷은 착신단말기(240)로 전송하며, 착신단말기(240)에 의해 발신된 후 코덱변환부(140)에 의해 코덱이 변환된 음성패킷은 발신단말기(230)로 전송한다.
어플리케이션제공부(160)는 가입서비스판단부(130)에 의해 발신단말기(230) 및 착신단말기(240) 중 적어도 하나가 가입자정보저장부(110)에 저장된 가입자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설정된 mVoIP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해당 단말기(230 및/또는 240)에 제공한다. 즉, 어플리케이션제공부(160)는 발신단말기(230) 및/또는 착신단말기(240)가 어느 하나의 mVoIP 서비스에도 가입하지 않은 경우, 설정된 mVoIP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푸쉬(push) 방식으로 해당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전송부(170)는 가입서비스판단부(130)에 의해 발신단말기(230) 및 착신단말기(240) 중의 어느 하나가 가입자정보저장부(110)에 저장된 가입자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단말기에 상대방단말기와 동일한 mVoIP 서비스의 가입을 유도하는 유도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mVoIP 서비스에 가입한 발신단말기(230)로부터의 mVoIP 통화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단말기(240)가 mVoIP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신단말기(240)에 발신단말기(230)로부터 mVoIP 통화연결 요청이 있었음을 통지하며 발신단말기(230)와 동일한 mVoIP 서비스의 가입을 유도하는 유도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전송부(170)는 가입서비스판단부(130)에 의해 착신단말기(240)가 가입자정보저장부(110)에 저장된 가입자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발신단말기(230)에 mVoIP 통화연결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통지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mVoIP 서비스에 가입한 발신단말기(230)로부터의 mVoIP 통화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단말기(240)가 mVoIP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 메시지전송부(17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신단말기(230)에 착신단말기(240)가 mVoIP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상태임을 알리는 통지메시지를 전송하며, 그에 따라 일반 음성통화로 전환하여 통화 연결할 것인지를 함께 문의할 수도 있다.
서버연동부(180)는 각각의 mVoIP 서버(210, 220)와 연동한다. 이때, 서버연동부(180)는 각각의 mVoIP 서버(210, 220)의 가입자정보에 변경이 발생하였는지를 점검하며, 각각의 mVoIP 서버(210, 220)의 가입자정보에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변경된 가입자정보를 실시간으로 가입자정보저장부(110)에 전송하여 갱신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oIP를 이용하여 음성패킷의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300)는 서비스선택부(310), 가입서비스문의부(320), 가입서비스수신부(330), 코덱변환부(340), 음성패킷전송부(350) 및 메시지전송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선택부(310)는 착신단말기(240)에 대한 mVoIP 서비스를 선택한다. 즉, 서비스선택부(310)는 mVoIP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성패킷을 송수신하고자 하는 착신단말기(240)의 식별번호를 입력하거나, 주소록으로부터 해당 착신단말기(240)에 대응하는 성명, 닉네임, 전화번호 등을 선택하고 mVoIP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가입서비스문의부(320)는 서비스선택부(310)에 의해 착신단말기(240)에 대한 mVoIP 서비스가 선택되면, 해당 착신단말기(240)의 정보를 mVoIP 서비스 중계장치(100)에 전송하며, 해당 착신단말기(240)에 대한 mVoIP 가입서비스 정보를 문의할 수 있다. 이 경우, mVoIP 서비스 중계장치(100)는 가입서비스문의부(320)로부터 수신된 착신단말기(24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mVoIP 가입서비스를 조회하며, 그에 대한 응답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300)에 전송한다.
가입서비스수신부(330)는 가입서비스문의부(320)의 문의에 대응하여 mVoIP 서비스 중계장치(100)로부터 착신단말기(240)에 대한 mVoIP 가입서비스 정보를 수신한다.
코덱변환부(340)는 가입서비스수신부(330)에 의해 수신된 착신단말기(240)의 mVoIP 가입서비스가 이동통신단말기(300)의 mVoIP 가입서비스와 서로 다른 경우, 이동통신단말기(300)의 사용자에 의해 발신되는 음성패킷을 착신단말기(240)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의 코덱으로 변환한다. 마찬가지로, 코덱변환부(340)는 착신단말기(24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패킷을 이동통신단말기(300)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의 코덱으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코덱변환부(340)는 각각의 mVoIP 서비스의 코덱들에 대한 상호간의 변환 관계식을 저장할 수 있다.
음성패킷전송부(350)는 착신단말기(240)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300)와 착신단말기(240) 사이에 적응적으로 음성패킷을 전송한다. 이때, 음성패킷전송부(350)는 코덱변환부(340)에 의해 코덱이 변환된 음성패킷을 착신단말기(240) 또는 발신단말기(23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음성패킷전송부(150)는 발신단말기(230)에 의해 발신된 후 코덱변환부(140)에 의해 코덱이 변환된 음성패킷은 착신단말기(240)로 전송하며, 착신단말기(240)에 의해 발신된 후 코덱변환부(140)에 의해 코덱이 변환된 음성패킷은 발신단말기(230)로 전송한다.
메시지전송부(170)는 가입서비스판단부(130)에 의해 발신단말기(230) 및 착신단말기(240) 중의 어느 하나가 가입자정보저장부(110)에 저장된 가입자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단말기에 상대방단말기와 동일한 mVoIP 서비스의 가입을 유도하는 유도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mVoIP 서비스에 가입한 발신단말기(230)로부터의 mVoIP 통화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단말기(240)가 mVoIP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신단말기(240)에 발신단말기(230)로부터 mVoIP 통화연결 요청이 있었음을 통지하며 발신단말기(230)와 동일한 mVoIP 서비스의 가입을 유도하는 유도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전송부(360)는 가입서비스수신부(330)를 통해 착신단말기(240)가 mVoIP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것으로 수신되는 경우, 발신단말기(3000)에 mVoIP 통화연결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통지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전송부(360)는 발신단말기(230)에 착신단말기(240)가 mVoIP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상태임을 알리는 통지메시지를 전송하며, 그에 따라 일반 음성통화로 전환하여 통화 연결할 것인지를 함께 문의할 수도 있다. 또한, 메시지전송부(360)는 착신단말기(240)에 이동통신단말기(300)와 동일한 mVoIP 서비스의 가입을 유도하는 가입유도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oIP 서비스 중계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가입자정보저장부(110)는 서로 다른 m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mVoIP 서버(210, 220)로부터 각각의 가입자에 대한 성명, 닉네임, 단말기 식별번호, 주소 등의 가입자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102).
서버연동부(18)는 각각의 mVoIP 서버(210, 220)와 연동한다(S104). 이때, 서버연동부(180)는 각각의 mVoIP 서버(210, 220)의 가입자정보에 변경이 발생하였는지를 점검하며(S106), 각각의 mVoIP 서버(210, 220)의 가입자정보에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변경된 가입자정보를 실시간으로 가입자정보저장부(110)에 전송하여 갱신한다(S108).
연결요청수신부(120)는 발신단말기(230)로부터 착신단말기(240)로 mVoIP 통화연결을 요청하는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한다(S110). 이와 같은 연결요청신호는 각각의 mVoIP 서버(210, 220)로부터 수신하거나, 발신단말기(230)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 있다.
가입서비스판단부(130)는 연결요청수신부(120)를 통해 연결요청신호가 수신되면, 가입자정보저장부(110)에 저장된 각각의 가입자정보에 기초하여 발신단말기(230) 및 착신단말기(240)의 각각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를 판단한다(S112). 즉, 가입서비스판단부(130)는 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발신단말기(230) 및 착신단말기(240)의 정보를 가입자정보저장부(110)에 저장된 가입자정보와 비교하여 각각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를 판단할 수 있다.
가입서비스판단부(130)에 의해 발신단말기(230) 및 착신단말기(240) 중 적어도 하나가 가입자정보저장부(110)에 저장된 가입자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14), 어플리케이션제공부(160)는 설정된 mVoIP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해당 단말기(230 및/또는 240)에 제공할 수 있다(S116).
또는, 가입서비스판단부(130)에 의해 발신단말기(230) 및 착신단말기(240) 중의 어느 하나가 가입자정보저장부(110)에 저장된 가입자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14), 메시지전송부(170)는 해당 단말기에 상대방단말기와 동일한 mVoIP 서비스의 가입을 유도하는 유도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S116).
또한, 메시지전송부(170)는 가입서비스판단부(130)에 의해 착신단말기(240)가 가입자정보저장부(110)에 저장된 가입자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발신단말기(230)에 mVoIP 통화연결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통지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18).
가입서비스판단부(130)에 의해 판단된 발신단말기(230)의 mVoIP 가입서비스와 착신단말기(240)의 mVoIP 가입서비스가 서로 다른 경우(S120), 코덱변환부(140)는 발신단말기(230)에 의해 발신되는 음성패킷을 착신단말기(240)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의 코덱으로 변환한다(S122). 마찬가지로, 코덱변환부(140)는 착신단말기(240)에 의해 발신되는 음성패킷을 발신단말기(230)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의 코덱으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코덱변환부(140)는 각각의 mVoIP 서비스의 코덱들에 대한 상호간의 변환 관계식을 저장할 수 있다.
음성패킷전송부(150)는 코덱변환부(140)에 의해 코덱이 변환된 음성패킷을 착신단말기(240) 또는 발신단말기(230)로 전송한다(S124). 즉, 음성패킷전송부(150)는 발신단말기(230)에 의해 발신된 후 코덱변환부(140)에 의해 코덱이 변환된 음성패킷은 착신단말기(240)로 전송하며, 착신단말기(240)에 의해 발신된 후 코덱변환부(140)에 의해 코덱이 변환된 음성패킷은 발신단말기(230)로 전송한다.
착신단말기(240)의 mVoIP 가입서비스와 발신단말기(230)의 mVoIP 가입서비스가 동일한 경우, 음성패킷전송부(150)는 발신단말기(230)와 착신단말기(240) 사이의 코덱을 변환할 필요없이 음성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S126).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mVoIP 서비스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서비스선택부(310)는 착신단말기(240)에 대한 mVoIP 서비스를 선택한다(S202). 즉, 서비스선택부(310)는 mVoIP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성패킷을 송수신하고자 하는 착신단말기(240)의 식별번호를 입력하거나, 주소록으로부터 해당 착신단말기(240)에 대응하는 성명, 닉네임, 전화번호 등을 선택하고 mVoIP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가입서비스문의부(320)는 서비스선택부(310)에 의해 착신단말기(240)에 대한 mVoIP 서비스가 선택되면, 해당 착신단말기(240)의 정보를 mVoIP 서비스 중계장치(100)에 전송하며, 해당 착신단말기(240)에 대한 mVoIP 가입서비스 정보를 문의할 수 있다(S204).
가입서비스수신부(330)는 가입서비스문의부(320)의 문의에 대응하여 mVoIP 서비스 중계장치(100)로부터 착신단말기(240)에 대한 mVoIP 가입서비스 정보를 수신한다(S206).
메시지전송부(360)는 가입서비스수신부(330)를 통해 착신단말기(240)가 mVoIP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것으로 수신되는 경우(S208), 발신단말기(230)에 착신단말기(240)가 mVoIP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상태임을 알리는 통지메시지를 전송하며, 그에 따라 일반 음성통화로 전환하여 통화 연결할 것인지를 함께 문의할 수도 있다. 또한, 메시지전송부(360)는 착신단말기(240)에 이동통신단말기(300)와 동일한 mVoIP 서비스의 가입을 유도하는 가입유도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S210). 또한, 메시지전송부(360)는 발신단말기(3000)에 mVoIP 통화연결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통지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S212).
가입서비스수신부(330)를 통해 수신된 착신단말기(240)의 mVoIP 가입서비스가 발신단말기(230)의 mVoIP 가입서비스와 서로 다른 경우(S214), 코덱변환부(340)는 발신단말기(230)에 의해 발신되는 음성패킷을 착신단말기(240)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의 코덱으로 변환한다(S216). 마찬가지로, 코덱변환부(140)는 착신단말기(240)에 의해 발신되는 음성패킷을 발신단말기(230)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의 코덱으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코덱변환부(340)는 각각의 mVoIP 서비스의 코덱들에 대한 상호간의 변환 관계식을 저장할 수 있다.
음성패킷전송부(350)는 코덱변환부(140)에 의해 코덱이 변환된 음성패킷을 착신단말기(240) 또는 발신단말기(230)로 전송한다(S218). 즉, 음성패킷전송부(350)는 발신단말기(230)에 의해 발신된 후 코덱변환부(340)에 의해 코덱이 변환된 음성패킷은 착신단말기(240)로 전송하며, 착신단말기(240)에 의해 발신된 후 코덱변환부(140)에 의해 코덱이 변환된 음성패킷은 발신단말기(230)로 전송한다.
착신단말기(240)의 mVoIP 가입서비스와 발신단말기(230)의 mVoIP 가입서비스가 동일한 경우, 음성패킷전송부(350)는 발신단말기(230)와 착신단말기(240) 사이의 코덱을 변환할 필요없이 음성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S220).

Claims (18)

  1. 서로 다른 mVoIP(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mVoIP 서버로부터 각각의 가입자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가입자정보저장부;
    발신단말기로부터 착신단말기로 mVoIP 통화연결을 요청하는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연결요청수신부;
    상기 연결요청수신부를 통해 연결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가입자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각각의 가입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단말기 및 상기 착신단말기의 각각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를 판단하는 가입서비스판단부; 및
    상기 발신단말기 및 상기 착신단말기의 각각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에 따라 적응적으로 상호간에 음성패킷을 전송하는 음성패킷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VoIP 서비스 중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서비스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상기 발신단말기의 mVoIP 가입서비스와 상기 착신단말기의 mVoIP 가입서비스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발신단말기에 의해 발신되는 음성패킷을 상기 착신단말기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의 코덱으로 변환하며, 상기 착신단말기에 의해 발신되는 음성패킷을 상기 발신단말기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의 코덱으로 변환하는 코덱변환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성패킷전송부는 상기 코덱변환부에 의해 코덱이 변환된 음성패킷을 상기 착신단말기 또는 상기 발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VoIP 서비스 중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서비스판단부에 의해 상기 발신단말기 및 상기 착신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가입자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가입자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단말기에 설정된 mVoIP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VoIP 서비스 중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서비스판단부에 의해 상기 발신단말기 및 상기 착신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입자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가입자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단말기에 상대방단말기와 동일한 mVoIP 서비스의 가입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VoIP 서비스 중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서비스판단부에 의해 상기 착신단말기가 상기 가입자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가입자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신단말기에 mVoIP 통화연결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VoIP 서비스 중계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mVoIP 서버와 연동하는 서버연동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입자정보저장부는 각각의 상기 mVoIP 서버의 가입자정보에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서버연동부를 통하여 변경된 가입자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VoIP 서비스 중계장치.
  7. mVoIP를 이용하여 음성패킷의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착신단말기에 대한 mVoIP 서비스를 선택하는 서비스선택부;
    상기 착신단말기의 정보를 mVoIP 서비스 중계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착신단말기에 대한 mVoIP 가입서비스 정보를 문의하는 가입서비스문의부;
    상기 가입서비스문의부의 문의에 대응하여 상기 mVoIP 서비스 중계장치로부터 상기 착신단말기에 대한 mVoIP 가입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가입서비스수신부; 및
    상기 착신단말기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에 따라 적응적으로 음성패킷을 전송하는 음성패킷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서비스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착신단말기의 mVoIP 가입서비스가 자신의 mVoIP 가입서비스와 서로 다른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패킷을 상기 착신단말기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의 코덱으로 변환하며, 상기 착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패킷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의 코덱으로 변환하는 코덱변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서비스수신부를 통해 상기 착신단말기가 mVoIP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것으로 수신되면, 상기 착신단말기에 자신과 동일한 mVoIP 서비스의 가입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0. mVoIP 서비스 중계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mVoIP 서비스 중계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m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mVoIP 서버로부터 각각의 가입자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발신단말기로부터 착신단말기로 mVoIP 통화연결을 요청하는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결요청수신단계를 통해 연결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가입자정보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각각의 가입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단말기 및 상기 착신단말기의 각각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단말기 및 상기 착신단말기의 각각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에 따라 적응적으로 상호간에 음성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VoIP 서비스 중계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서비스판단단계에 의해 판단된 상기 발신단말기의 mVoIP 가입서비스와 상기 착신단말기의 mVoIP 가입서비스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발신단말기에 의해 발신되는 음성패킷을 상기 착신단말기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의 코덱으로 변환하며, 상기 착신단말기에 의해 발신되는 음성패킷을 상기 발신단말기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의 코덱으로 변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성패킷전송단계는 상기 코덱변환단계에 의해 코덱이 변환된 음성패킷을 상기 착신단말기 또는 상기 발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VoIP 서비스 중계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서비스판단단계에 의해 상기 발신단말기 및 상기 착신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가입자정보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가입자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단말기에 설정된 mVoIP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VoIP 서비스 중계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서비스판단단계에 의해 상기 발신단말기 및 상기 착신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입자정보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가입자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단말기에 상대방단말기와 동일한 mVoIP 서비스의 가입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VoIP 서비스 중계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서비스판단단계에 의해 상기 착신단말기가 상기 가입자정보저장단계에 저장된 가입자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신단말기에 mVoIP 통화연결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VoIP 서비스 중계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mVoIP 서버와 연동하는 단계; 및
    각각의 상기 mVoIP 서버의 가입자정보에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변경된 가입자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기 저장된 가입자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VoIP 서비스 중계방법.
  16. mVoIP를 이용하여 음성패킷의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mVoIP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착신단말기에 대한 mVoIP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착신단말기의 정보를 mVoIP 서비스 중계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착신단말기에 대한 mVoIP 가입서비스 정보를 문의하는 단계;
    상기 가입서비스문의부의 문의에 대응하여 상기 mVoIP 서비스 중계장치로부터 상기 착신단말기에 대한 mVoIP 가입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단말기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에 따라 적응적으로 음성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mVoIP 서비스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mVoIP가입서비스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된 상기 착신단말기의 mVoIP 가입서비스가 자신의 mVoIP 가입서비스와 서로 다른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패킷을 상기 착신단말기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의 코덱으로 변환하며, 상기 착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패킷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응하는 mVoIP 가입서비스의 코덱으로 변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mVoIP 서비스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mVoIP가입서비스수신단계를 통해 상기 착신단말기가 mVoIP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것으로 수신되면, 상기 착신단말기에 자신과 동일한 mVoIP 서비스의 가입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mVoIP 서비스방법.
KR1020120098220A 2012-09-05 2012-09-05 mVoIP 서비스 중계장치/그 중계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그 mVoIP 서비스방법 KR20140031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220A KR20140031650A (ko) 2012-09-05 2012-09-05 mVoIP 서비스 중계장치/그 중계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그 mVoIP 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220A KR20140031650A (ko) 2012-09-05 2012-09-05 mVoIP 서비스 중계장치/그 중계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그 mVoIP 서비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650A true KR20140031650A (ko) 2014-03-13

Family

ID=50643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220A KR20140031650A (ko) 2012-09-05 2012-09-05 mVoIP 서비스 중계장치/그 중계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그 mVoIP 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165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4721A (ko) * 2015-11-10 2017-05-18 인포뱅크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전환 모듈, 통화 전환 모듈의 통화 전환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그리고 통화 전환 시스템
KR20170054770A (ko) * 2015-11-10 2017-05-18 인포뱅크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통화 연결 모듈, 원격 통화 연결 모듈의 원격 통화 연결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그리고 원격 통화 연결 시스템
KR20170054951A (ko) * 2015-11-10 2017-05-18 인포뱅크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통화 연결 모듈, 원격 통화 연결 모듈의 원격 통화 연결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그리고 원격 통화 연결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4721A (ko) * 2015-11-10 2017-05-18 인포뱅크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전환 모듈, 통화 전환 모듈의 통화 전환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그리고 통화 전환 시스템
KR20170054770A (ko) * 2015-11-10 2017-05-18 인포뱅크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통화 연결 모듈, 원격 통화 연결 모듈의 원격 통화 연결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그리고 원격 통화 연결 시스템
KR20170054951A (ko) * 2015-11-10 2017-05-18 인포뱅크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통화 연결 모듈, 원격 통화 연결 모듈의 원격 통화 연결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그리고 원격 통화 연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7648B2 (ja) Ip基盤の画像/音声通信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呼転換方法
TWI463840B (zh) 行動電話相關之間接通訊系統及方法
CN102265635A (zh) 用于使用双级寻址方案来路由通信的方法和通信节点
CN106992957B (zh) 网络通话转接至移动通信终端的方法及装置
KR101089046B1 (ko) 멀티미디어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2265565A (zh) 用于企业网络接入点确定的方法和系统
KR20140031650A (ko) mVoIP 서비스 중계장치/그 중계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그 mVoIP 서비스방법
JP7065789B2 (ja) 複数のネットワークを通じて通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8526423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personal communications of at least one user
CN112752260B (zh) 用于携号转网发端查询的设备和方法
CN103414715B (zh) 一种VOIP话机充当SIP-Server的方法
KR101773850B1 (ko) 통화중계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통화 중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717825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호 연결 방법
JP2011151434A (ja) 事業者選択サービスを提供する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100865003B1 (ko) Volp 가입자를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041386B1 (ko) 푸쉬서버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에서 인터넷 전화를 연결하도록 하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
KR20110086306A (ko)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437738B1 (ko)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 통화발신 지원서버, 통화발신 지원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지원방법
CN101568087B (zh) 接入设备和在该接入设备上获得通知的方法
KR20110070401A (ko) Enum을 이용한 유선전화의 번호이동성 제공 시스템
KR20070100016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개별통화 수신거부 시스템 및 방법
KR101637666B1 (ko) 개인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무선 전화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84901B1 (ko) 개인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60631B1 (ko) 호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교환 장치
CN103780576A (zh) 呼叫转接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