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692B1 -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692B1
KR102646692B1 KR1020190107355A KR20190107355A KR102646692B1 KR 102646692 B1 KR102646692 B1 KR 102646692B1 KR 1020190107355 A KR1020190107355 A KR 1020190107355A KR 20190107355 A KR20190107355 A KR 20190107355A KR 102646692 B1 KR102646692 B1 KR 102646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digital assistant
assistant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6494A (ko
Inventor
김남훈
김동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7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692B1/ko
Priority to US16/996,421 priority patent/US11575793B2/en
Publication of KR20210026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통해 디지털 보조 장치와 통화 상대방에 대응되는 단말 간의 통화를 수행하며,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통해 디지털 보조 장치와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여 동작하며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보조 장치로 통화 중인 사용자가 디지털 보조 장치에 대해 사용자 단말로 통화 수단을 변경하기 위한 음성 명령만으로 편리하게 사용자 단말로 통화 수단을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함과 아울러 이와 반대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과 통화 중에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앱을 실행하여 서비스 서버에 디지털 보조 장치로의 통화 전환을 요청한 후 디지털 보조 장치에 서비스 서버에 의한 호 연결이 시도되면 음성 명령을 디지털 보조 장치에 입력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디지털 보조 장치로 통화 수단을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통화 수단으로 편리하게 상대방 단말과 통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다양한 통화 수단을 이용한 사용자의 통화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Service system supporting call change between digital assistant device and termina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본 발명은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통해 디지털 보조 장치와 통화 상대방에 대응되는 단말 간의 통화를 수행하며,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통해 디지털 보조 장치와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 지능) 스피커 등의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이 일반화되고, 디지털 보조 장치가 AI 스피커라는 새로운 가전제품처럼 보급되고 있는 상황에서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대상과 음성 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의 경우,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가 전화 기능을 구비하고, 음성 통화 서비스에 가입하면 실제 전화기로서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 디지털 보조 장치에 전화기 기능을 구성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지속적으로 높은 비용이 발생하고 가입이 번거로운 음성 통화 서비스에 가입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를 제조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경우에도 음성 통화를 위한 기기로 인증받거나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 사업자로 인증받아야 하는 문제가 있다.
다른 방식으로서, 사용자가 보유한 음성 통화 단말기를 활용하는 방식으로서, 디지털 보조 장치와 음성 통화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음성의 입력과 출력만을 인터페이스하는 경우도 알려져 있다.
즉, 스피커와 마이크를 구비한 디지털 보조 장치가 음성 통화 단말기와 블루투스 등의 알려진 음성 통화용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후, 실제 음성 통화 단말기와 통화 상대방 단말기의 통화가 연결되면 음성 통화 단말기의 마이크와 스피커 대신 디지털 보조 장치의 마이크와 스피커가 대신하는 방식으로, 반드시 음성 통화 단말기와 디지털 보조 장치가 근접해야만 하는 제한이 있고, 통화나 종료 등의 작업 주체가 음성통화 단말이 되므로 해당 단말을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해당 음성 통화 내용을 기반으로 디지털 보조 장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가 관리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의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통화 방식은 사용자가 디지털 보조 장치에서 자신이 소유한 사용자 단말로 통화 수단을 변경하고 싶을때 디지털 보조 장치를 통해 연결된 통화를 종료한 후 다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다시 통화를 연결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24815호 [명칭: 앱 사용자 간 안심 통화 연결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비스 서버의 전체적인 제어에 의해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와 통화 상대방인 상대방 단말 간의 호 연결 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을 활용하되, 실제 통화는 사용자 단말을 거치지 않도록 하며,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통해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대방 단말 간의 통화를 지원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통해 디지털 보조 장치와 사용자 단말 사이에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 연결을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사용자의 통화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방법은,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사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서비스 서버 및 통신사 서버에 의해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와 통화 상대방인 상대방 단말 사이의 서비스 서버와 통신사 서버를 경유하는 통화로인 제 1 통화로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사용자의 통화 전환 관련 음성 명령을 인식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통화 수단을 변경하기 위한 통화 전환 요청 메시지 수신시 상기 통신사 서버에 통화 전환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통화 전환 요청 단계와, 상기 통신사 서버에 의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통화 전환 요청 신호를 근거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기 상대방 단말 사이의 상기 제 1 통화로 형성시 아이들(idle) 상태로 형성한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단말 사이의 제 2 통화로를 호 연결 상태로 변경하는 변경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제 1 통화로의 호 연결을 종료하는 종료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 및 통신사 서버에 의해, 상기 제 2 통화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단말 사이에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중개하는 통화 전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로부터 SIP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통화 전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발신 단말이고 상기 상대방 단말이 착신 단말일 때, 상기 통화 전환 요청 단계 이전에,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명령,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 및 호 발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미리 저장된 복수의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별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 중에서 상기 수신된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확인된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 단말로 호 발신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호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특수번호 및 발신자 정보와 관련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확인된 디지털 보조 장치로부터 수신된 음성 명령을 근거로 착신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통화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확인된 착신자 정보를 근거로 상기 착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과의 착신 통화 연결을 상기 통신사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요청된 착신 통화 연결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사 서버를 통해 형성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기 착신 단말 간의 상기 제 1 통화로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발신 단말로 호 발신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확인된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 단말에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발신 단말에서 상기 전용 앱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발신 단말에 호 발신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착신 단말이고 상기 상대방 단말이 발신 단말일 때, 상기 통화 전환 요청 단계 이전에,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호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착신번호 및 착신자 정보와 관련한 디지털 보조 장치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호 처리 요청 신호를 근거로 확인된 착신 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로 상기 통신사 서버를 통해 호 연결을 시도하는 동시에 상기 호 처리 요청 신호를 근거로 확인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에 호 연결을 시도하는 호 연결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호 연결 시도에 대응되어 착신자의 통화 연결 요청에 대한 음성 명령을 인식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 사이의 통화 연결을 상기 통신사 서버에 요청하는 응답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요청된 통화 연결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사 서버를 통해 형성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기 발신 단말 간의 상기 제 1 통화로를 유지하는 통화 연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확인 단계 이전에 상기 통신사 서버에 의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통화 발신 신호에 포함되는 착신 번호를 기초로 미리 저장된 복수의 서로 다른 착신번호별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 중에서 상기 통화 발신 신호에 따른 착신번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발신 단말의 발신 번호와 상기 통화 발신 신호에 따른 착신 번호 및 상기 확인된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호 처리 요청 신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서비스 서버와 상기 통신사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기 상대방 단말 간의 제 1 통화로가 형성될 때, 상기 통신사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상대방 단말 간의 다른 제 2 통화로를 병렬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기 상대방 단말 간의 통화가 종료될 때, 상기 통신사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상대방 단말 간의 제 2 통화로의 연결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녹취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통화로 또는 상기 제 2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녹취하여 녹취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방법은,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사 서버에 의해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통화 상대방인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로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용 앱을 통해 생성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상대방 단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전환 요청 관련 통화 전환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통화 전환 요청 정보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에 대응되어 미리 저장된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에 호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사용자의 통화 연결 관련 음성 명령을 인식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를 근거로 상기 상대방 단말과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 사이의 통화 연결을 상기 통신사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사 서버에 의해, 상기 통화 연결 관련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기 상대방 단말 간에 상기 통화로와 상이한 다른 통화로를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단말 사이의 통화로를 아이들(idle)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휘발성 기록매체에는 상술한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도록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은,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사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서비스 서버 및 통신사 서버에 의해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와 통화 상대방인 상대방 단말 사이의 서비스 서버와 통신사 서버를 경유하는 통화로인 제 1 통화로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통화 전환 관련 음성 명령을 인식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통화 수단을 변경하기 위한 통화 전환 요청 메시지 수신시 상기 통신사 서버에 통화 전환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통화 전환 요청 신호를 근거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기 상대방 단말 사이의 상기 제 1 통화로 형성시 아이들(idle) 상태로 형성한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단말 사이의 제 2 통화로를 호 연결 상태로 변경하는 통신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 2 통화로를 통한 호 연결시 상기 제 1 통화로의 호 연결을 종료하고, 상기 제 2 통화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단말 사이에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통신사 서버와 함께 중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여 동작하며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보조 장치로 통화 중인 사용자가 디지털 보조 장치에 대해 사용자 단말로 통화 수단을 변경하기 위한 음성 명령만으로 편리하게 사용자 단말로 통화 수단을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함과 아울러 이와 반대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과 통화 중에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앱을 실행하여 서비스 서버에 디지털 보조 장치로의 통화 전환을 요청한 후 디지털 보조 장치에 서비스 서버에 의한 호 연결이 시도되면 음성 명령을 디지털 보조 장치에 입력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디지털 보조 장치로 통화 수단을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통화 수단으로 편리하게 상대방 단말과 통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다양한 통화 수단을 이용한 사용자의 통화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서버의 전체적인 제어에 의해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대방 단말 간의 호 연결 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을 활용하되, 실제 통화는 사용자 단말을 거치지 않도록 하며,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통해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대방 단말 간의 통화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의 조작이나 제어가 불필요한 상태에서 디지털 보조 장치를 통해 상대방 단말과 자유롭게 통화를 수행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을 대신하여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대방 단말 사이의 통화를 연결하는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대방 단말에 대응되는 타 사용자와 사용자 사이의 통화 내용이 녹취되어 생성된 통화 내용에 대한 녹취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 또는 디지털 보조 장치가 녹취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라도 서비스 서버를 통해 녹취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통화 내용 녹취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구성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3의 구성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통화 전환 관련 동작 예시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통화 상대방인 타사용자에 대응되는(타사용자가 사용자와 통화하기 위해 이용하는) 상대방 단말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다른 하나에 대한 통화 발신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단말 사이의 호 연결 시도시 사용자 단말을 대신하여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통해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대방 단말 사이의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음과 아울러,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 연결 중에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로 통화 수단을 변경하고자 할때 이러한 통화 수단의 전환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통화 수단의 전환 구성에 대한 설명에 앞서, 통화 전환을 위해 전제되는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대방 단말 사이의 통화 연결 과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사용자가 발신자이며 사용자의 통화 상대방이 착신자이고,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발신 단말이며 상대방 단말이 착신 단말일 때의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10)의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 지원 관련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 지원 관련 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서 수신된 발신자의 음성 명령이 호 연결을 위한 음성 명령인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음성 명령,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 호 발신 요청 신호 등을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한다(S410). 이후, 서비스 서버(200)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 단말(300)을 확인하고, 확인된 발신 단말(300)로 호 발신을 요청한다(S420). 이후, 발신 단말(300)은 미리 설정된 특수번호를 이용해서 통신사 서버(400)에 통화 발신을 요청한다(S430). 이후, 통신사 서버(400)는 해당 발신 단말(300)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확인하고, 착신 단말(500)의 전화번호를 확인하기 위해서 서비스 서버(200)에 호 처리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440). 이후, 서비스 서버(200)는 호 처리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를 확인하고,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로부터 앞서 수신된 음성 명령을 근거로 착신 단말(500)에 대한 착신자 정보를 확인하고, 서비스 서버(200)와 디지털 보조 장치(100) 간의 통화 연결 기능을 수행한다(S450).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호 처리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앞서 확인된 착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500)과의 착신 통화 연결을 통신사 서버(400)에 요청한다(S460). 이후, 통신사 서버(400)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요청되는 착신 단말(500)과의 착신 통화 연결을 근거로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사 서버(4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로(또는 통신로)인 제 1 통화로를 연결하고, 요금 부과를 위해서 독립적이며 병렬적으로 발신 단말(300)과 통신사 서버(4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로인 제 2 통화로를 연결한다(S470).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 종료시에 제 1 및 제 2 통화로를 모두 종료(해제)한다(S480).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 지능) 스피커/마이크, 마이크로컨트롤러(또는 제어부)(미도시), 통신부(미도시), 저장부(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유/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서비스 서버(200), 미리 설정된 발신 단말(300) 등과 통신한다. 여기서, 발신 단말(300)은 사전에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로그인하여, 발신 단말(300)과 관련한 정보(또는 발신자 정보)를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서 수신된 발신자의 음성 명령(또는 음성)이 착신 단말(500)과의 통화를 위한 호 연결을 위한 음성 명령인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해당 음성 명령,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 호 발신 요청 신호 등을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는 모바일 IP, 모바일 MAC,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즉,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발신자(또는 사용자)를 통한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수신된 음성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음성인지 여부(또는 사용자 인증)를 확인하고, 수신된 음성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음성에 해당하는 경우에 해당 수신된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음성 인식 기능은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호 연결을 위한 음성 명령이 포함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해당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관련한 다른 제어 기능 수행을 위한 음성 명령이 포함된 상태인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해당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관련한 다른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판단 결과, 해당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아리야, 볼륨 한 단계 높여줘"라는 음성 명령이 포함된 상태인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스피커 출력을 미리 설정된 1단계만큼 높여 출력한다. 여기서, "아리"는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대한 식별 정보(또는 식별 명칭)일 수 있다.
또한, 판단 결과, 해당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호 연결을 위한 음성 명령이 포함된 상태인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해당 음성 명령,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 호 발신 요청 신호 등을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한다.
일 예로,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발신자를 통한 음성(예를 들어 "NUGU야, 남편에게 전화걸어줘")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호 연결을 위한 음성 명령이 포함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해당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남편이 소유한 착신 단말(500)과의 통화를 위한 호 연결을 위한 음성 명령(예를 들어 "남편에게 전화걸어줘")이 포함된 상태로 판단될 때, 음성 명령,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 호 발신 요청 신호 등을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한다.
또한, 호 발신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특정 착신 단말(500)과의 호 연결이 실패한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호 연결이 실패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수신된 호 연결이 실패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호 연결이 실패한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추가 음성 명령의 입력을 요청하고, 사용자로부터 추가 입력된 음성 명령을 근거로 다시 호 연결을 시도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호 연결을 위한 음성 명령이 포함되어 통화 연결(또는 호 연결)이 필요한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서비스 서버(200)의 제어에 의해 통화 연결(또는 호 연결)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의 제어에 의해 착신 단말(500)과의 통화로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서비스 서버(200) 및 통신사 서버(400)를 경유하여 통신 연결된 착신 단말(500)과 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서비스 서버(200)의 제어에 의해 앞서 형성된 착신 단말(500)과의 통화 연결을 종료한다.
서비스 서버(200)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 발신 단말(300), 통신사 서버(400), 착신 단말(500) 등과 통신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와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관련한 단말(예를 들어 발신 단말(300) 등 포함)의 식별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또는 관리)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발신 단말(300)에 호 발신(또는 통화 연결)을 위한 전용 앱을 제공(또는 설치)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발신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착신자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착신자 정보(또는 수신자 정보)는 이름(또는 닉네임/애칭),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소셜 네트워크 계정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발신 단말(300)과 관련한 특수번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를 통해, 통신사 서버(400)에서 발신 단말(300)로부터 전송된 특수번호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500)의 전화번호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200)는 해당 특수번호와 관련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를 확인하고, 확인된 디지털 보조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음성 명령을 이용해서 착신 단말(500)의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명령,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 호 발신 요청 신호 등을 수신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별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 중에서 앞서 수신된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 단말(300)의 식별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발신 단말(300)의 식별 정보는 MDN(Mobile Directory Number),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확인된 발신 단말(3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 단말(300)로 호 발신을 요청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200)에서 발신 단말(300)로 호 발신을 요청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200)가 발신 단말(300)에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호출한 후, 서비스 서버(200)는 발신 단말(300)에서 해당 전용 앱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해당 발신 단말(300)에 호 발신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일례로, 서비스 서버(20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별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 중에서 앞서 수신된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 단말(300)의 식별 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확인된 발신 단말(3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 단말(300)과 연동하여 해당 발신 단말(300)에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호출하고, 발신 단말(300)에서 전용 앱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해당 발신 단말(300)로 호 발신을 요청한다.
이후, 발신 단말(300)은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호 발신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서비스 서버(200)의 호 발신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발신 단말(300)에서 실행 중인 전용 앱을 통해 해당 발신 단말(300)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특수번호(또는 특번)를 이용해서 통신사 서버(400)에 통화 발신을 요청(또는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즉, 발신 단말(300)은 서비스 서버(200)의 호 발신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발신 단말(300)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특수번호를 이용해서 특수번호, 발신 단말(300)의 식별 정보(또는 발신 단말(300)의 전화번호) 등을 포함하는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통신사 서버(400)에 전송한다. 여기서, 특수번호는 해당 발신 단말(300)을 이용해서 호 연결을 시도하기 위해서 미리 설정된 고유 번호일 수 있다.
일 예로, 발신 단말(300)은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호 발신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발신 단말(300)과 호 연결을 시도하기 위해서 미리 설정된 특수번호(예를 들어 "010-9999-8888"), 발신 단말(300)의 전화번호(예를 들어 "010-1234-5678") 등을 포함하는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통신사 서버(400)에 전송한다(S430).
이후, 통신사 서버(400)는 발신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근거로 특수번호와 발신자 정보를 확인한다.
즉, 통신사 서버(400)는 발신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특수번호, 발신 단말(300)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하는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사 서버(400)는 미리 저장된 발신 단말(3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 중에서 앞서 수신된 발신 단말(3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발신자 정보는 이름(또는 닉네임/애칭),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소셜 네트워크 계정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사 서버(400)는 발신 단말(300)과의 호 연결을 위한 착신 단말(500)의 전화번호를 확인하기 위해서, 특수번호, 확인된 발신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호 처리 요청 신호를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한다.
일 예로, 통신사 서버(400)는 발신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특수번호(예를 들어 "010-9999-8888"), 발신 단말(300)의 전화번호(예를 들어 "010-1234-5678") 등을 포함하는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미리 저장된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 중에서 발신 단말(3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예를 들어 홍길동, 제 1 발신 단말에 대응하는 전화번호(010-1234-5678) 등 포함)를 확인한다.
또한, 통신사 서버(400)는 특수번호(예를 들어 "010-9999-8888"), 확인된 발신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호 처리 요청 신호를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통신사 서버(400)로부터 전송되는 특수번호, 발신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호 처리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수신된 호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특수번호, 발신자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특수번호 및/또는 발신자 정보와 관련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를 확인한다.
즉, 서비스 서버(200)는 해당 호 처리 요청 신호가 앞서 발신 단말(300)에 전송된 호 발신 요청에 응답한 신호임을 확인하고, 해당 발신 단말(300)에 전송된 호 발신 요청과 관련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를 확인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확인된 디지털 보조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음성 명령을 근거로 착신자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착신자 정보는 이름(또는 닉네임/애칭),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소셜 네트워크 계정 정보 등을 포함한다.
즉, 서비스 서버(200)는 해당 발신 단말(300)과 관련하여 미리 등록된 복수의 전화번호(예를 들어 이름/닉네임/애칭, 전화번호 등 포함) 중에서 앞서 수신된 음성 명령에 포함된 이름/닉네임/애칭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인 착신자 정보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해당 발신 단말(300)과 관련하여 미리 등록된 복수의 전화번호 중에서 앞서 수신된 음성 명령에 포함된 이름/닉네임/애칭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또는 착신자 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서비스 서버(200)는 착신자 정보가 확인되지 않은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사 서버(400)에 전송하고, 호 연결이 실패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전송한다.
또한, 확인 결과, 해당 발신 단말(300)과 관련하여 미리 등록된 복수의 전화번호 중에서 앞서 수신된 음성 명령에 포함된 이름/닉네임/애칭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확인되는 경우, 서비스 서버(200)는 해당 서비스 서버(200)를 경유하여 호 연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서비스 서버(200)와 디지털 보조 장치(100) 간의 통화 연결(또는 호 연결)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앞선 통신사 서버(400)의 호 처리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앞서 확인된 착신자 정보를 근거로 해당 착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500)과의 착신 통화 연결(또는 착신 통화 연결 신호)을 통신사 서버(400)에 요청(또는 전송)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된 호 처리 요청 신호에 따라 해당 통신사 서버(400)에 의해 착신 단말(500)과 서비스 서버(200) 간의 통화 연결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서비스 서버(200)는 통신사 서버(400)를 경유하여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로인 제 1 통화로를 형성(또는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이 서비스 서버(200) 및 통신사 서버(400)를 경유하여 통화 연결된 상태에서, 서비스 서버(200)(또는 통신사 서버(400))는 병렬적으로 발신 단말(300)과 착신 단말(500)이 통신사 서버(400)를 경유하여 통화 연결 중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발신 단말(300)과 착신 단말(500) 사이에 제 2 통화로를 형성(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발신 단말(300)은 착신 단말(500)과 관련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착신 단말(500)과 통화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발신 단말(300)에 미리 설정된 특수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착신 단말(500)과 통화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통신사 서버(400)는 착신 단말(500)과 발신 단말(300) 사이에 형성한 제 2 통화로를 더미 음성 트래픽(dummy traffic)이 점유하고 있는 상태인 아이들(idle) 상태로 유지(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300)과 착신 단말(500)이 서로 다른 통신사에 가입된 상태인 경우, 발신 단말(300)과 착신 단말(500) 사이에 복수의 서로 다른 통신사 서버(400)가 각각 구성되며, 복수의 서로 다른 통신사 서버(400)의 상호 연동(또는 상호 통신 연결)에 의해, 발신 단말(300)과 복수의 서로 다른 통신사 서버(400)와 착신 단말(500) 사이의 통화 연결이 유지될 수도 있다.
일 예로, 통신사 서버(400)는 앞서 전송된 호 처리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요청되는 착신 단말(500)과의 착신 통화 연결을 근거로 해당 착신 단말(500)과 서비스 서버(200) 간의 통화 연결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 보조 장치(100), 서비스 서버(200), 통신사 서버(400) 및 착신 단말(500) 간의 제 1 통화로가 형성(또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신사 서버(400)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 서비스 서버(200), 통신사 서버(400) 및 착신 단말(500) 간의 제 1 통화로가 형성된 직후 또는 동시에, 병렬적으로 발신 단말(300)과 착신 단말(500) 간의 제 2 통화로를 형성한다.
이후,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 연결이 종료되는 경우, 통신사 서버(400)는 병렬적으로 연결된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사 서버(4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신로인 제 1 통화로와, 발신 단말(300)과 통신사 서버(4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신로인 제 2 통화로의 연결(또는 통화 연결)을 각각 종료(또는 해제)한다.
즉,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 연결이 종료되는 경우, 통신사 서버(400)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사 서버(4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 연결을 종료하고, 해당 통화 연결 종료 후 발신 단말(300)과 통신사 서버(4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 연결을 종료한다.
또한, 전체 통화 연결 종류 후에, 통신사 서버(400)는 해당 통화 연결과 관련한 통화 요금을 해당 발신 단말(300) 및/또는 착신 단말(500)에 부과한다.
이와 같이, 실제 통화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 간에 수행되지만,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관련한 발신 단말(300)이 해당 착신 단말(500)과 통신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통신사 서버(400)는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에 따른 요금 부과 기능(또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에 따른 통화 요금 결제 기능)을 해당 발신 단말(300)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사용자가 착신자이며 사용자의 통화 상대방인 타사용자가 발신자이고,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착신 단말이며 해당 타사용자의 상대방 단말이 발신 단말일 때의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10)의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 지원 관련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성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 지원 관련 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발신 단말(30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착신 단말(500)의 착신 번호를 포함하는 통화 발신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사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S1).
또한, 통신사 서버(400)는 발신 단말(300)로부터 통화 발신 신호 수신시 통화 발신 신호에 포함되는 착신 단말(500)의 착신 번호를 근거로 해당 착신 번호에 대응되어 디지털 보조 장치(100)를 이용한 통화를 지원하는 부가 서비스에 가입된(등록된) 착신자 정보가 존재하는지 직접 확인하거나 부가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여 확인할 수 있다(S2).
또한, 통신사 서버(400)는 통화 발신 신호에 따른 착신번호에 대응되어 착신자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착신자 정보에 포함된 착신 단말(500)의 착신번호와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 및 발신 단말(300)의 발신 번호 등을 포함하는 호 처리 요청 신호를 생성한 후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S3).
이에 대한 일례로, 통신사 서버(400)는 착신 단말(500)에 대응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를 통한 발신 단말(300)과의 통화 연결에 대한 부가 서비스를 지원하는 부가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거나 해당 부가 서비스 서버가 통신사 서버(400)와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부가 서비스 서버에는 착신 단말(500)의 착신 번호에 대응되어(매칭되어)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서로 다른 착신자와 각각 대응되는 착신번호별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정보가 부가 서비스 서버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통신사 서버(400)는 통화 발신 신호에 따른 착신 번호를 포함하는 부가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문의 정보를 생성하여 부가 서비스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가 서비스 서버는 문의 정보에 포함된 착신 번호를 기초로 미리 저장된 착신번호별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정보를 검색하여 문의 정보에 따른 착신번호에 대응되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정보를 추출한 후 해당 추출된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사 서버(4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신사 서버(400)는 검색 결과 정보를 근거로 검색 결과 정보에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착신 번호가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통화 연결에 대한 부가 서비스에 가입된 것으로 확인하고, 발신 단말(300)의 발신 번호와 통화 발신 신호에 따른 착신 번호 및 검색 결과 정보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호 처리 요청 신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사 서버(400)는 검색 결과 정보를 근거로 착신 번호에 대응되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가 부가 서비스 서버에 의해 검색되지 않은 경우 발신 단말(300)과 착신 단말(500) 사이의 통화 연결을 위한 발신 단말(300)의 통화 발신 신호에 대응되어 착신 호를 착신 단말(5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는 모바일 IP, 모바일 MAC,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통신사 서버(400)로부터 호 처리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부가 서비스 이용인 것으로 판단하고, 호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착신 단말(500)의 착신 번호 및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호 처리 요청 신호에 따라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호 연결을 시도하는 동시에 통신사 서버(400)를 통해 호 처리 요청 신호에 대응되어 확인된 착신 단말(500)로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S4).
일례로, 서비스 서버(200)는 앞선 통신사 서버(400)의 호 처리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앞서 확인된 착신 번호를 근거로 해당 착신 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500)과의 착신 통화 연결(또는 착신 통화 연결 신호)을 통신사 서버(400)에 요청(또는 전송)하며, 통신사 서버(400)는 착신 통화 연결에 대응되어 착신 호를 착신 단말(500)에 전송한다.
한편,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서비스 서버(200)의 호 연결 시도에 따른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착신 호에 따라 착신 알림 음향 및 착신 알림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착신 호 수신시 착신 호의 수신에 대한 알림 음향이나 착신 알림 정보 등을 착신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출력부는 스피커와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착신자(또는 사용자)를 통한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수신된 음성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음성인지 여부(또는 사용자 인증)를 확인하고, 수신된 음성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음성에 해당하는 경우에 해당 수신된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호 연결을 위한 음성 명령이 포함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해당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호 연결을 위한 음성 명령이 포함된 상태인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서비스 서버(200)의 호 연결 시도에 따라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착신 호에 대응되어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한다(S5).
이때, 판단 결과, 해당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관련한 다른 제어 기능 수행을 위한 음성 명령이 포함된 상태인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해당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관련한 다른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일 예로,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착신자를 통한 음성(예를 들어 "아리야, 전화 받어")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호 연결을 위한 음성 명령이 포함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해당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발신 단말(300)과의 통화를 위한 호 연결을 위한 음성 명령(예를 들어, "전화 받어")이 포함된 상태로 판단될 때, 착신 호에 대응되어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후, 서비스 서버(200)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 수신시 해당 응답 신호를 통신사 서버(400)에 전송하거나 해당 응답 신호에 대응되어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발신 단말(300) 사이의 통화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통화 연결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사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S6).
여기서, 통신사 서버(400)에서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요청되는 착신 단말(500)과의 착신 통화 연결을 근거로 해당 착신 단말(500)과의 통화 연결 기능을 수행할 때, 통신사 서버(400)(또는 서비스 서버(200))는 호 처리 요청 신호 생성시 확인된 발신 번호를 근거로 발신 단말(300)과 관련한 발신자 정보(예를 들어 발신 단말(300)의 전화번호 등 포함)를 착신 단말(500)에 제공하여, 착신 단말(500)에서는 통화 연결 전에 발신 번호에 대응되는 발신자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사 서버(400)는 호 처리 요청 신호에 대응되어 착신 단말(500)이 아닌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응답 신호 또는 통화 연결 요청 신호 수신시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발신 단말(300)의 통화 연결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서비스 서버(200)와의 통신을 통해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발신 단말(300) 사이의 통화 연결을 위한 제 1 통화로를 형성할 수 있다(S7).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발신 단말(300)이 서비스 서버(200) 및 통신사 서버(400)를 경유하여 통화 연결된 상태에서, 서비스 서버(200)(또는 통신사 서버(400))는 병렬적으로 발신 단말(300)과 착신 단말(500)이 통신사 서버(400)를 경유하여 통화 연결 중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2 통화로를 형성할 수 있다(S8).
이때, 통신사 서버(400)는 제 2 통화로에 대해서 도 1에서 설명한 제 2 통화로와 마찬가지로 아이들(idle) 상태를 유지(형성)할 수 있다.
이후,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발신 단말(300) 간의 통화 연결이 종료되는 경우(S9), 통신사 서버(400)는 병렬적으로 연결된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사 서버(400)와 발신 단말(300) 간의 제 1 통화로와, 발신 단말(300)과 통신사 서버(4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제 2 통화로의 연결(또는 통화 연결)을 각각 종료(또는 해제)한다(S10).
즉,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발신 단말(300) 간의 통화 연결이 종료되는 경우, 통신사 서버(400)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사 서버(400)와 발신 단말(300) 간의 통화 연결을 종료하고, 해당 통화 연결 종료 후 발신 단말(300)과 통신사 서버(4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 연결을 종료한다.
또한, 전체 통화 연결 종류 후에, 통신사 서버(400)는 해당 통화 연결과 관련한 통화 요금을 해당 발신 단말(300) 및/또는 착신 단말(500)에 부과한다.
이와 같이, 실제 통화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발신 단말(300) 간에 수행되지만,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관련한 발신 단말(300)이 해당 착신 단말(500)과 통신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통신사 서버(400)는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발신 단말(300) 간의 통화에 따른 요금 부과 기능(또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발신 단말(300) 간의 통화에 따른 통화 요금 결제 기능)을 해당 착신 단말(500)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비스 서버의 전체적인 제어에 의해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대방 단말 간의 호 연결 시, 디지털 보조 장치와 별도의 사용자 단말을 활용하되, 실제 통화는 사용자 단말을 거치지 않도록 하며,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통해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대방 단말 간의 통화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의 조작이나 제어가 불필요한 상태에서 디지털 보조 장치를 통해 상대방 단말과 자유롭게 통화를 수행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발신 단말(또는 송신 단말)(300) 및 착신 단말(또는 수신 단말)(50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텔레비전(Television), 3D 텔레비전, 홈 시어터(Home Theater) 시스템,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발신 단말이 될 수도 있고, 착신 단말이 될 수도 있으며, 상대방 단말 역시 발신 단말이 될 수도 있고, 착신 단말이 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발신 단말(300)은 통신부, 저장부, 표시부, 음성 출력부 및 제어부 등으로 구성된다. 발신 단말(3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발신 단말(300)의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발신 단말(3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발신 단말(3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통신부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 서비스 서버(200), 통신사 서버(400), 착신 단말(5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5G 이동통신 서비스,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LoRa(Long Range)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통신부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통해 임의의 단말과 정보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디지털 보조 장치(100), 서비스 서버(200), 통신사 서버(400), 착신 단말(500)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착신 단말(500)과, 통신사 서버(400)와, 서비스 서버(200)는 발신 단말(300)에 포함된 통신부, 저장부, 표시부, 음성 출력부 및 제어부에 대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의 구성에 따라,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대방 단말이 통화 연결 중인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10)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한 디지털 보조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단말로의 통화 수단 전환 요청 관련 신호에 따라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 수단을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로 변경할 수 있는데, 이를 도 5 및 도 6의 구성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상대방 단말 사이에 통신사 서버(400)를 통한 통화 연결시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상대방 단말 상호 간은 서비스 서버(200) 및 통신사 서버(400)를 경유하는 제 1 통화로를 통해 통화 연결되어 상호 통화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상대방 단말이 서비스 서버(200) 및 통신사 서버(400)를 경유하여 통화 연결된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200)(또는 통신사 서버(400))는 병렬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단말이 통신사 서버(400)를 경유하여 통화 연결 중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단말 사이에 통신사 서버(400)를 통해 제 2 통화로를 형성(구성)할 수 있다.
이때, 통신사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단말 사이에 형성한 제 2 통화로를 더미 음성 트래픽(dummy traffic)이 점유하고 있는 상태인 아이들(idle)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사 서버(400)는 제 2 통화로를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단말 사이의 통화를 위해 연결하나 실질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사 서버(400) 사이에 형성된 상태이며, 제 1 통화로와 제 2 통화로를 상호 연동하여 스위칭 가능한 상태로 제 1 통화로와 제 2 통화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를 통해 상대방 단말과 통화하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을 수신하여 해당 음성 명령이 사용자 단말로 통화 수단을 전환하기 위한 통화 전환 요청인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통화 전환 요청에 대한 음성 명령을 인식하고, 해당 통화 전환 요청에 대한 음성 명령을 기초로 통화 전환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해당 통화 전환 요청 메시지를 제 1 통화로와 상이한 채널로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사용자를 통한 음성(예를 들어 "아리야, 휴대폰으로 넘겨줘")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통화 전환 요청에 대한 음성 명령이 포함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해당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사용자 단말로의 통화 전환 요청을 위한 음성 명령(예를 들어, "휴대폰으로 넘겨줘")이 포함된 상태로 판단될 때, 통화 전환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화 전환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로부터 통화 전환 요청 메시지 수신시 해당 통화 전환 요청 메시지를 근거로 통화 전환 요청 신호를 생성한 후 통신사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화 전환 요청 메시지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호 연결 상태인 상대방 단말의 식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대방 단말의 식별 정보는 상대방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화 전환 요청 신호는 통화 전환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동일하게 포함할 수 있다.
통신사 서버(400)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통화 전환 요청 신호 수신시 해당 통화 전환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대방 단말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통신사 서버(400)는 통화 전환 요청 신호를 근거로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제 1 통화로를 형성 중인 상대방 단말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제 1 통화로와 연동하여 상대방 단말과 사용자 단말 사이에 제 1 통화로와 병렬적으로 형성된 제 2 통화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사 서버(400)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서 사용자 단말로 통화 수단을 전환하기 위한 통화 전환 요청 신호를 근거로 아이들(idle) 상태인 제 2 통화로를 호 연결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200)는 통신사 서버(400)와의 통신을 통해 통화 전환 요청 신호를 근거로 제 2 통화로가 호 연결 상태로 변경된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상대방 단말 사이의 제 1 통화로에 대한 호 연결을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통신사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 및 상대방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서비스 서버(200)로 중개하며, 서비스 서버(200)는 통화 전환 요청 신호를 근거로 통신사 서버(4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다시 통신사 서버(40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 및 상대방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가 다시 통신사 서버(400)를 통해 사용자 단말 및 상대방 단말 중 다른 하나로 전송되도록 중개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200)는 통화 전환 요청 신호를 근거로 제 1 통화로로 전송되는 음성 신호를 제 2 통화로로 전송되도록 음성 신호의 전달 경로를 제 1 통화로에서 제 2 통화로로 스위칭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서비스 서버(200) 및 통신사 서버(400)는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100)로부터 통화 수단을 사용자 단말로 전환한 후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단말 사이의 통화를 중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단말 사이에 제 2 통화로를 통해 통화 중일 때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100)로 통화 수단을 변경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는데, 이를 도 7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앱은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100)로 통화 수단을 변경하기 위한 통화 전환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전용 앱은 사용자 단말에 구성된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어 통화 전환 버튼이 포함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여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에 구성된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해당 통화 전환 버튼 선택시 현재 사용자 단말과 통화 연결 상태인 상대방 단말의 식별정보(일례로, 전화번호)와 미리 설정된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통화 전환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화 전환 요청 정보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대방 단말의 식별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정보는 모바일 IP, 모바일 MAC,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 및/또는 상대방 단말의 식별 정보는 MDN(Mobile Directory Number),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통화 전환 요청 정보 수신시 해당 통화 전환 요청 정보에 포함된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100)를 확인(식별)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200)에는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대한 식별정보가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전용 앱은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대방 단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전환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200)는 통화 전환 요청 정보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대한 식별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통화 전환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확인된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100)로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호 연결 요청에 대한 음성 명령을 인식한 경우 해당 음성 명령에 대응되어 응답 신호를 생성한 후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대한 호 연결 시도에 대응되어 디지털 보조 장치(10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해당 응답 신호에 대응되어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상대방 단말 사이에 통화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통화 연결 요청 신호를 생성한 후 해당 통화 연결 요청 신호를 통신사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의 전용 앱으로부터 수신한 통화 전환 요청 정보 및 응답 신호를 근거로 통화 연결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통화 연결 요청 신호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정보, 상대방 단말의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사 서버(400)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 신호 수신시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상대방 단말 사이에 제 1 통화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 서버(200)는 통신사 서버(400)에 의해 형성된 제 1 통화로를 유지하여 통신사 서버(400)와 함께 해당 제 1 통화로를 통해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상대방 단말 사이에 송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중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상대방 단말 사이의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신사 서버(400)는 제 1 통화로 형성과 동시에 상기 제 2 통화로를 상술한 바와 같이 아이들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서비스 서버(200)는 상대방 단말과 호 연결 상태인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100)로 통화 수단을 전환하도록 요청하는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통화 수단을 사용자 단말에서 디지털 보조 장치(100)로 용이하게 전환하여 사용자가 디지털 보조 장치(100)를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과 통화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여 동작하며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로 통화 중인 사용자가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대해 사용자 단말로 통화 수단을 변경하기 위한 음성 명령만으로 편리하게 사용자 단말로 통화 수단을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함과 아울러 이와 반대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과 통화 중에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앱을 실행하여 서비스 서버(200)에 디지털 보조 장치(100)로의 통화 전환을 요청한 후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서비스 서버(200)에 의한 호 연결이 시도되면 음성 명령을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입력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디지털 보조 장치(100)로 통화 수단을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통화 수단으로 편리하게 상대방 단말과 통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다양한 통화 수단을 이용한 사용자의 통화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제 1 통화로를 통한 호 연결에 따른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 연결 중에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여 해당 음성 명령이 통화 내용에 대한 녹취 요청인 경우 녹취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해당 녹취 요청 신호를 제 1 통화로와 별개의 통신망 또는 채널을 통해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서버(200)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로부터 녹취 요청 신호 수신시 해당 녹취 요청 신호를 전송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대응되어 통화 연결된 제 1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녹취할 수 있으며, 해당 음성 신호의 녹취에 따른 녹취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제 2 통화로를 통한 호 연결에 따른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 연결 중에 전용 앱을 실행하여, 상기 전용 앱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녹취 요청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전용 앱을 통해 미리 설정된 서비스 서버(200)로 해당 녹취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녹취 요청 신호 수신시 해당 녹취 요청 신호를 근거로 제 2 통화로를 확인하고, 해당 제 2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녹취할 수 있으며, 해당 음성 신호의 녹취에 따른 녹취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200)는 녹취 요청 신호 수신시 해당 녹취 요청 신호에 대응되어 서비스 서버(200) 및 통신사 서버(400)를 경유하는 제 2 통화로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단말 사이에 호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녹취하여 상술한 녹취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 단말 또는 상대방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200)는 제 1 통화로를 통해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상대방 단말 사이에 영상 통화가 이루어지거나 제 2 통화로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단말 사이에 영상 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 영상 및 음성을 녹취하여 생성한 영상 정보를 해당 녹취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녹취 요청 신호에 포함된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와 녹취 정보를 상호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단말의 전화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녹취 정보의 제공에 대한 요청 정보 수신시 해당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확인된 녹취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200)는 상대방 단말로부터 녹취 정보의 제공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도 해당 녹취 정보를 상대방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 단말 및/또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가 녹취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통화 내용을 녹취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 서비스 서버, 발신 단말, 통신사 서버, 착신 단말 등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디지털 보조 장치, 서비스 서버, 발신 단말, 통신사 서버, 착신 단말 등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 및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 및 설치한 스마트 카드 등의 외장 메모리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여 동작하며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보조 장치로 통화 중에 사용자가 음성으로 디지털 보조 장치에 사용자 단말로 통화 수단을 변경하기 위한 음성 명령만으로 편리하게 사용자 단말로 통화 수단을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함과 아울러 이와 반대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과 통화 중에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앱을 실행하여 서비스 서버에 디지털 보조 장치로의 통화 전환을 요청한 후 디지털 보조 장치에 서비스 서버에 의한 호 연결이 시도되면 음성 명령을 디지털 보조 장치에 입력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디지털 보조 장치로 통화 수단을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통화 수단으로 편리하게 상대방 단말과 통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다양한 통화 수단을 이용한 사용자의 통화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서버의 전체적인 제어에 의해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대방 단말 간의 호 연결 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을 활용하되, 실제 통화는 사용자 단말을 거치지 않도록 하며,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통해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대방 단말 간의 통화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의 조작이나 제어가 불필요한 상태에서 디지털 보조 장치를 통해 상대방 단말과 자유롭게 통화를 수행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을 대신하여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대방 단말 사이의 통화를 연결하는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대방 단말에 대응되는 타 사용자와 사용자 사이의 통화 내용이 녹취되어 생성된 통화 내용에 대한 녹취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 또는 디지털 보조 장치가 녹취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라도 서비스 서버를 통해 녹취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통화 내용 녹취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의 조작이나 제어가 불필요한 상태에서 디지털 보조 장치를 통해 상대방 단말과 자유롭게 통화를 수행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상황에 따라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와 사용자 단말 중 사용자가 원하는 통화 수단으로 편리하게 상대방 단말과 통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다양한 통화 수단을 이용한 사용자의 통화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보조 장치 분야, 통화 분야, 단말 분야, 서버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 서비스 시스템 100: 디지털 보조 장치
200: 서비스 서버 300: 발신 단말
400: 통신사 서버 500: 착신 단말

Claims (12)

  1.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사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서비스 서버 및 통신사 서버에 의해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와 통화 상대방인 상대방 단말 사이의 서비스 서버와 통신사 서버를 경유하는 통화로인 제 1 통화로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사용자의 통화 전환 관련 음성 명령을 인식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통화 수단을 변경하기 위한 통화 전환 요청 메시지 수신시 상기 통신사 서버에 통화 전환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통화 전환 요청 단계;
    상기 통신사 서버에 의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통화 전환 요청 신호를 근거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기 상대방 단말 사이의 상기 제 1 통화로 형성시 아이들(idle) 상태로 형성한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단말 사이의 제 2 통화로를 호 연결 상태로 변경하는 변경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제 1 통화로의 호 연결을 종료하는 종료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 및 통신사 서버에 의해, 상기 제 2 통화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단말 사이에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중개하는 통화 전환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전환 요청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로부터 SIP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통화 전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발신 단말이고 상기 상대방 단말이 착신 단말일 때, 상기 통화 전환 요청 단계 이전에,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명령,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 및 호 발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미리 저장된 복수의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별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 중에서 상기 수신된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확인된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 단말로 호 발신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호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특수번호 및 발신자 정보와 관련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확인된 디지털 보조 장치로부터 수신된 음성 명령을 근거로 착신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통화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확인된 착신자 정보를 근거로 상기 착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과의 착신 통화 연결을 상기 통신사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요청된 착신 통화 연결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사 서버를 통해 형성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기 착신 단말 간의 상기 제 1 통화로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로 호 발신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확인된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 단말에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발신 단말에서 상기 전용 앱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발신 단말에 호 발신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착신 단말이고 상기 상대방 단말이 발신 단말일 때, 상기 통화 전환 요청 단계 이전에,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호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착신번호 및 착신자 정보와 관련한 디지털 보조 장치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호 처리 요청 신호를 근거로 확인된 착신 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로 상기 통신사 서버를 통해 호 연결을 시도하는 동시에 상기 호 처리 요청 신호를 근거로 확인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에 호 연결을 시도하는 호 연결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호 연결 시도에 대응되어 착신자의 통화 연결 요청에 대한 음성 명령을 인식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 사이의 통화 연결을 상기 통신사 서버에 요청하는 응답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요청된 통화 연결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사 서버를 통해 형성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기 발신 단말 간의 상기 제 1 통화로를 유지하는 통화 연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단계 이전에
    상기 통신사 서버에 의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통화 발신 신호에 포함되는 착신 번호를 기초로 미리 저장된 복수의 서로 다른 착신번호별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 중에서 상기 통화 발신 신호에 따른 착신번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발신 단말의 발신 번호와 상기 통화 발신 신호에 따른 착신 번호 및 상기 확인된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호 처리 요청 신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전환 요청 단계 이전에,
    상기 서비스 서버와 상기 통신사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기 상대방 단말 간의 상기 제 1 통화로가 형성될 때, 상기 통신사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상대방 단말 간의 다른 상기 제 2 통화로를 병렬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화로를 병렬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 전환 요청 단계 사이에,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기 상대방 단말 간의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통신사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상대방 단말 간의 상기 제 2 통화로의 연결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전환 요청 단계 이전에,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로부터 수신된 녹취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녹취하여 녹취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화 전환 단계 이후에,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녹취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녹취하여 녹취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방법.
  10.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사 서버에 의해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통화 상대방인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로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용 앱을 통해 생성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상대방 단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전환 요청 관련 통화 전환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통화 전환 요청 정보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에 대응되어 미리 저장된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에 호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사용자의 통화 연결 관련 음성 명령을 인식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를 근거로 상기 상대방 단말과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 사이의 통화 연결을 상기 통신사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사 서버에 의해, 상기 통화 연결 관련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기 상대방 단말 간에 상기 통화로와 상이한 다른 통화로를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단말 사이의 통화로를 아이들(idle)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휘발성 기록매체.
  12.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사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서비스 서버 및 통신사 서버에 의해 사용자의 디지털 보조 장치와 통화 상대방인 상대방 단말 사이의 서비스 서버와 통신사 서버를 경유하는 통화로인 제 1 통화로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통화 전환 관련 음성 명령을 인식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통화 수단을 변경하기 위한 통화 전환 요청 메시지 수신시 상기 통신사 서버에 통화 전환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통화 전환 요청 신호를 근거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기 상대방 단말 사이의 상기 제 1 통화로 형성시 아이들(idle) 상태로 형성한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단말 사이의 제 2 통화로를 호 연결 상태로 변경하는 통신사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 2 통화로를 통한 호 연결시 상기 제 1 통화로의 호 연결을 종료하고, 상기 제 2 통화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단말 사이에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통신사 서버와 함께 중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KR1020190107355A 2019-08-30 2019-08-30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KR102646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355A KR102646692B1 (ko) 2019-08-30 2019-08-30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US16/996,421 US11575793B2 (en) 2019-08-30 2020-08-18 Service system supporting voice call using digital assistant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355A KR102646692B1 (ko) 2019-08-30 2019-08-30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494A KR20210026494A (ko) 2021-03-10
KR102646692B1 true KR102646692B1 (ko) 2024-03-12

Family

ID=75148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355A KR102646692B1 (ko) 2019-08-30 2019-08-30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6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3772A1 (en) 2004-07-01 2006-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voice call for a hybrid mobile station operating in a data mode
US20060073841A1 (en) 2004-10-01 2006-04-06 Murali Narasimha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establishing a voice call connec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649B1 (ko) * 2015-08-19 2017-12-01 주식회사 위링크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화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24815B1 (ko) 2016-10-19 2018-03-15 델피콤주식회사 앱 사용자 간 안심 통화 연결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3772A1 (en) 2004-07-01 2006-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voice call for a hybrid mobile station operating in a data mode
US20060073841A1 (en) 2004-10-01 2006-04-06 Murali Narasimha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establishing a voice call conn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494A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3463B1 (ko) 통신 단말들간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477030B2 (en) LTE cellular mobile network access system and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ethod
US101545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ellular network for call routing
US201300957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with a cell-phone network
CN103369160A (zh) 一种利用智能漫游终端进行通信的实现方法和系统
CN106304030B (zh) 一种基于虚拟身份信息的通讯方法、装置及系统
CN103369161B (zh) 一种利用智能漫游终端进行通信的实现方法和系统
CN111787496B (zh) 一种手机间转接电话的方法及设备
WO2021175254A1 (zh) 通话方法、系统及设备
KR102646692B1 (ko) 디지털 보조 장치와 단말 간 통화 전환을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KR102399457B1 (ko)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KR20150114397A (ko) 사용자 장치 간 통화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
CN109964533B (zh) 用于提供对移动通信服务的访问的系统、用户设备和方法
KR102597423B1 (ko)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CN101384046A (zh) 一种移动终端系统内数据调用方法及系统
KR102150584B1 (ko)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KR102402412B1 (ko)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CN107005554B (zh) 语音业务共享方法、设备及系统
KR102399456B1 (ko)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KR102150578B1 (ko)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KR102150580B1 (ko)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US11575793B2 (en) Service system supporting voice call using digital assistant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CN110493023B (zh) 三方会话建立方法及装置
CN101394675A (zh) 通话实现方法及终端
KR20180092099A (ko) P2P망에서 무선선 AP를 이용한 VoWifi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