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120B1 - 라이닝 점검공 형성 저장 탱크 - Google Patents

라이닝 점검공 형성 저장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120B1
KR101469120B1 KR20140007576A KR20140007576A KR101469120B1 KR 101469120 B1 KR101469120 B1 KR 101469120B1 KR 20140007576 A KR20140007576 A KR 20140007576A KR 20140007576 A KR20140007576 A KR 20140007576A KR 101469120 B1 KR101469120 B1 KR 101469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ing
storage tank
wall
collection bottle
insp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7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김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석 filed Critical 김종석
Priority to KR20140007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65D90/545Discharge en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밀용기의 벽체(11) 내측 표면에 합성수지 라이닝(lining)(12)이 형성되어 각종 액상 화공약품이 적재되는 저장 탱크에 관한 것으로, 저장 탱크의 라이닝(12) 부착면과 외부를 연통하는 점검공(40)을 저장 탱크 벽체(11)를 관통하여 형성하고, 점검공(40) 천공 부위의 라이닝(12) 외측 표면에 기준마크(15)를 표시하거나, 점검공(40)에 결합되는 마개(50)에 표시편(51)을 부착하거나, 또는 점검공(40)과 연결되는 수집병(60)을 설치하여, 기준마크(15) 또는 표시편(51)의 변형 및 변성을 확인하거나 수집병(60)의 수집물을 검사함으로써, 라이닝(12)의 이상 유무를 간편하고 정밀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화공약품이 적재된 상태의 사용중 저장 탱크 라이닝(12)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점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화공약품 탱크 라이닝(12)의 일상적인 상시 점검이 가능하며, 이로써 저장 탱크 라이닝(12)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저장 탱크의 부식 및 화공약품의 누출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화공약품 저장 탱크의 운용 안전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라이닝 점검공 형성 저장 탱크{TANK WITH LINING CHECK HOLE}
본 발명은 기밀용기의 벽체(11) 내측 표면에 합성수지 라이닝(lining)(12)이 형성되어 각종 액상 화공약품이 적재되는 저장 탱크에 관한 것으로, 저장 탱크의 라이닝(12) 부착면과 외부를 연통하는 점검공(40)을 저장 탱크 벽체(11)를 관통하여 형성하고, 점검공(40) 천공 부위의 라이닝(12) 외측 표면에 기준마크(15)를 표시하거나, 점검공(40)에 결합되는 마개(50)에 표시편(51)을 부착하거나, 또는 점검공(40)과 연결되는 수집병(60)을 설치하여, 기준마크(15) 또는 표시편(51)의 변형 및 변성을 확인하거나 수집병(60)의 수집물을 검사함으로써, 라이닝(12)의 이상 유무를 간편하고 정밀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강산 또는 강알칼리 액상 화공약품이 적재되는 저장 탱크는 통상 금속제 또는 고강도 합성수지제 기밀용기로 제작되며, 기밀용기의 내부 표면은 방식(防蝕) 처리되어 적재된 화공약품으로 인한 저장 탱크의 부식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화공약품 저장 탱크를 예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화공약품 저장 탱크는 기밀용기의 구조체인 금속제 벽체(11)와 벽체(11) 내측 표면에 부착된 내식성 합성수지 라이닝(12)으로 구성된다.
화공약품 저장 탱크는 최초 출하시는 물론 사용 기간 중 고도의 기밀성 및 내식성이 요구되는데, 전술한 라이닝(12) 처리 저장 탱크의 경우 벽체(11) 및 라이닝(12)이 각각 압력 및 부식에 저항하게 되므로, 결국 벽체(11)와 라이닝(12)의 기밀성이 화공약품 저장 탱크의 성능을 결정한다 할 수 있다.
통상 금속으로 제작되는 저장 탱크 벽체(11)의 기밀성 즉, 균열여부는 최초 제작시 수압시험 등을 실시함으로써 비교적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일단 결점이 발견되지 않은 저장 탱크 벽체(11)는 심각한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가용 연한내 비교적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탱크 벽체(11) 내측 표면에 적층 형성되는 라이닝(12)은 내식성 합성수지제 필름 또는 시트로 구성되는 바, 그 자체가 가요성 소재이므로 라이닝(12) 자체에 대한 수압시험은 불가능하고 탱크 벽체(11)에 라이닝(12)이 부착된 상태에서 탱크 전체 대한 수압시험만이 가능하며, 따라서 탱크의 사용중 즉, 화공약품이 적재된 상태에서는 라이닝(12)의 이상 유무를 수압시험 등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는 없다.
특히, 화공약품 저장 탱크의 라이닝(12)은 기본적으로 내식성 소재가 적용되기는 하지만, 사용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저장된 화공약품이 라이닝(12)에 침투되어 라이닝(12)이 열화(劣化)될 수 밖에 없는 바, 라이닝(12)의 가용 여부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이 필요한데, 종래의 검사법은 화공약품이 적재된 상태에서는 적용이 불가능하므로, 라이닝(12)의 열화 및 균열에 따른 화공약품의 과다 침투와 그로 인한 벽체(11)의 부식이 발생되어 결국 화공약품이 누출되는 심각한 사고가 빈발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도 1에서와 같이, 탱크의 벽체(11)에 돌출된 니플(nipple)(21)을 형성하고 니플(21)의 중심부에 라이닝(12)의 외측 표면과 탱크 외부를 연통하는 흡입공(20)을 천공하여, 도 2에서와 같이 진공펌프(33) 및 감지부(32)가 연결된 흡입관(31)을 니플(21)에 체결한 후 진공펌프(33)를 가동함으로써, 누출 가스를 감시하는 라이닝(12) 점검 방법이 개발되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서 특허 제1331194호를 들 수 있다.
특허 제1331194호를 통하여, 화공약품이 적재된 상태에서도 저장 탱크의 라이닝(12)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으나, 진공펌프(33) 및 감지부(32) 등의 점검장비를 흡입공(20)에 결속하여 점검을 진행하는 극히 단시간에 걸친 감지만이 가능하므로, 미세하게 누출이 발생될 경우 실질적인 점검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기술에서는 탱크 라이닝(12) 점검에 진공펌프(33) 및 감지부(32) 등의 복잡한 고가 장비가 필요하므로, 간헐적인 점검만이 가능할 뿐 탱크 라이닝(12)의 상시 점검은 근본적으로 불가능 할 뿐 아니라, 점검장비를 조작할 수 있는 숙련된 인력이 필요한 바, 막대한 점검비용 또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기밀용기의 벽체(11) 내측 표면에 합성수지 라이닝(lining)(12)이 형성되어 액상 화공약품이 적재되는 저장 탱크에 있어서, 저장 탱크의 벽체(11)와 라이닝(12)의 부착면과 저장 탱크 외부를 연통하는 점검공(40)이 벽체(11)를 관통하여 천공되고, 점검공(40) 천공 부위의 라이닝(12) 외측 표면에는 기준마크(15)가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점검공 형성 저장 탱크이다.
또한, 기밀용기의 벽체(11) 내측 표면에 합성수지 라이닝(lining)(12)이 형성되어 액상 화공약품이 적재되는 저장 탱크에 있어서, 저장 탱크의 벽체(11)와 라이닝(12)의 부착면과 저장 탱크 외부를 연통하는 점검공(40)이 벽체(11)를 관통하여 천공되고, 점검공(40)에는 마개(50)가 결합되되 마개(50)에는 누출물에 의하여 변성되는 표시편(51)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점검공 형성 저장 탱크이자, 저장 탱크의 벽체(11)와 라이닝(12)의 부착면과 저장 탱크 외부를 연통하는 점검공(40)이 벽체(11)를 관통하여 천공되고, 점검공(40)에는 수집병(60)이 연결되어 누출물이 수집병(60)으로 유입되어 수집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점검공 형성 저장 탱크이며, 상기 수집병(60)에는 누출물이 용해되는 용매(65)가 적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점검공 형성 저장 탱크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화공약품이 적재된 상태의 사용중 저장 탱크 라이닝(12)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점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화공약품 탱크 라이닝(12)의 일상적인 상시 점검이 가능하며, 이로써 저장 탱크 라이닝(12)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저장 탱크의 부식 및 화공약품의 누출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화공약품 저장 탱크의 운용 안전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진공펌프(33) 등의 고가 장비 및 해당 장비를 조작할 수 있는 숙련된 인력 없이도 화공약품 탱크 라이닝(12)의 점검이 가능하므로, 점검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저장 탱크 부분절단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저장 탱크 점검방식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저장탱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저장탱크 부분절단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표시편 부착 마개 발췌 사시도
도 6은 표시편 부착 마개가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대표 단면도
도 7은 수집병이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사시도
도 8은 용매 적재 수집병이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사시도
도 9는 도 8 실시예의 사용상태 대표 단면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화공약품 저장 탱크의 외관을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밀용기의 벽체(11) 내측 표면에 합성수지 라이닝(lining)(12)이 형성되어 액상 화공약품이 적재되는 저장 탱크로서, 저장 탱크의 벽체(11)와 라이닝(12)의 부착면과 저장 탱크 외부를 연통하는 점검공(40)이 벽체(11)를 관통하여 천공된 것이다.
도 3의 타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평상시 벽체(11)에 천공된 점검공(40)에는 마개(50)가 결합되어 점검공(40) 내부의 기밀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점검공(40) 주변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관체(管體)로 구성되고, 관체의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며, 마개(50)는 상기 관체에 결합되는 봉체(棒體)로 구성되어 봉체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나, 점검공(40) 주변부 관체의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덮개 형태의 마개(50)가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공약품 저장 탱크의 내부 라이닝(12) 상태를 점검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탱크 벽체(11)에 천공 형성된 점검공(40)과 연관된 다양한 수단이 구성된다.
우선, 도 4에서와 같이, 점검공(40) 천공 부위의 라이닝(12) 외측 표면에 기준마크(15)를 표시하여, 기준마크(15)의 이동, 변색 또는 변형 여부를 목측(目測)함으로써, 별도의 장비 없이도 라이닝(12)의 이상 유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기준마크(15)는 점검공(40) 천공 부위의 라이닝(12) 외측 표면에 점(點), 도형 또는 문자 등의 형태로 표시되는 것으로서, 라이닝(12)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제 시트에 사전 인쇄하거나, 라이닝(12)의 부착 후 점검공(40)에 스탬프 또는 필기구 등을 투입하여 표기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준마크(15) 표시 실시예를 통한 라이닝(12)의 점검은 점검공(40)에 결합된 마개(50)를 탈거한 후 점검공(40) 내부를 육안 또는 확대경 등으로 관찰하여 기준마크(15)의 상태를 확인하는 간편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기준마크(15)를 통한 라이닝(12)의 상태 확인은 기준마크(15)의 위치, 변색여부 또는 변형 여부를 파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라이닝(12)에 균열이 발생되거나 라이닝(12)이 열화되어 화공약품 내지 화공약품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투과되는 경우, 라이닝(12) 외측 표면과 탱크 벽체(11) 내주면 사이로 화공약품 또는 가스가 유입되어 라이닝(12)이 탱크 벽체(11)로부터 부분적으로 이탈되거나 박리될 수 있으므로, 라이닝(12) 외측 표면에 표시된 기준마크(15) 역시 이동하게 되며, 점검공(40) 내부의 협소한 공간내 표시된 기준마크(15)의 이동은 별도의 검측 장비 없이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라이닝(12)의 이탈 및 박리를 유발하지 않는 정도의 미세한 누출이 발생되어도 누출물 즉, 탱크에 적재된 화공약품 또는 해당 화공약품에서 발생되는 가스와 기준마크(15)를 구성하는 안료가 반응하여 해당 안료가 변색되거나, 기준마크(15)를 구성하는 안료가 누출물에 용해되어 표시된 기준마크(15)가 번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준마크(15)의 변색 또는 변형을 관찰함으로써, 라이닝(12)의 이상 유무를 정밀하게 검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준마크(15) 적용 실시예에 있어서, 점검공(40)에 결합되는 마개(50)를 투명한 소재로 구성하면 마개(50)를 탈거하지 않고도 수시로 기준마크(15)를 관찰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점검공(40)에 결합되는 마개(50)에 표시편(51)이 부착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동 도면의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원반형 표시편(51) 및 링 형태의 표시편(51)이 적용된 마개(50)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점검공(40)에 결합되는 마개(50)에 누출물에 의하여 변성되는 표시편(51)을 설치한 것으로, 동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편(51)은 누출물 즉, 탱크에 적재된 화공약품 또는 해당 화공약품에서 발생되는 가스와 반응하여 변색되거나 부식되는 소재로 제작되며, 부식성 또는 변색성이 강한 구리, 마그네슘 또는 은 등의 금속 및 합금이나 이들 금속의 도금체가 표시편(51)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링 형태의 표시편(51)이 적용된 본 발명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대표 단면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50) 선단부의 직경을 축소하고 해당 부위에 링 형태의 표시편(51)을 결합함으로써, 마개(50)의 선단이 라이닝(12)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표시편(51)의 표면이 노출되어 누출물과의 접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표시편(51) 적용 실시예를 통한 라이닝(12)의 점검은 점검공(40)에 결합된 마개(50)를 주기적으로 탈거하여 표시편(51)의 변색 및 부식 여부를 관찰하는 간편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점검공(40)에 수집병(60)을 연결하여 누출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적재 화공약품 및 화공약품 발생 가스의 누출 여부는 물론 누출량의 정량적인 검측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합성수지 백(bag) 형태의 수집병(60)이 적용되어 가요성 호스(61)로 점검공(40)과 연결되며, 라이닝(12)의 결함 또는 균열로 누출된 누출물이 수집병(60)에 수집되는데, 동 도면의 실시예는 적재된 화공약품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누출을 상정한 것으로, 수집병(60)은 점검공(40) 상측에 거치되며 누출되는 가스가 수집됨에 따라 합성수지 백 형태의 수집병(60)은 점차 팽창하게 된다.
도 7의 실시예에 있어서 누출된 가스에 의하여 수집병(60)이 팽창되면 그 팽창상태를 관찰하여 누출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당 수집병(60)을 회수하여 수집된 가스의 부피와 성분 등을 분석하는 보다 정밀한 검측도 가능하게 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집병(60)과 점검공(40)을 연결하는 가요성 호스(61)의 개폐 상태는 핀치클램프(pinch clamp) 등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집병(60)을 주기적으로 교체하고, 수집병(60)에 수집된 누출물을 분석함으로써 화공약품 저장 탱크 라이닝(12)의 정밀하고 안정적인 점검 및 관리가 가능하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수집병(60)에 누출물이 용해되는 용매(65)를 적재함으로써, 미량의 누출물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수집병(60)에 수집된 누출물을 별도의 실험실 등에서 분석하는 경우 해당 실험실로 수집병(60)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누출물의 불필요한 반응이나 2차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9에서와 같이, 용매(65)가 적재되는 수집병(60)은 점검공(40)과 연결되는 연결배출관(62)을 통하여 설치되고 연결배출관(62)의 말단 즉, 배출구는 용매(65)에 충분히 잠길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누출물이 용해되는 용매(65)로는 물을 비롯하여 기타 누출물 가스가 흡착 내지 용해될 수 있는 화합물 또는 혼합물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용매(65) 적재 수집병(60) 적용 실시예를 통한 라이닝(12)의 점검은 수집병(60)을 주기적으로 회수하여 용매(65)에 용해된 누출물을 분석하거나, 용매(65)에 누출물의 용해에 따라 변색되는 시약을 사전 첨가하여 누출물의 누출시 현장에서 즉각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11 : 벽체
12 : 라이닝
15 : 기준마크
20 : 흡입공
21 : 니플
31 : 흡입관
32 : 감지부
33 : 진공펌프
40 : 점검공
50 : 마개
51 : 표시편
60 : 수집병
61 : 호스
62 : 연결배출관
65 : 용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기밀용기의 벽체(11) 내측 표면에 합성수지 라이닝(lining)(12)이 형성되어 액상 화공약품이 적재되는 저장 탱크로서, 저장 탱크의 벽체(11)와 라이닝(12)의 부착면과 저장 탱크 외부를 연통하는 점검공(40)이 벽체(11)를 관통하여 천공된 저장 탱크에 있어서,
    점검공(40)에는 수집병(60)이 연결되어 누출물이 수집병(60)으로 유입되어 수집되되, 수집병(60)과 점검공(40)은 개폐 가능한 호스(61)로 연결되며, 수집병(60)을 주기적으로 교체하고, 회수된 수집병(60)에 수집된 누출물을 분석함으로써 라이닝(12)의 점검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점검공 형성 저장 탱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수집병(60)에는 누출물이 용해되는 용매(65)가 적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점검공 형성 저장 탱크.
KR20140007576A 2014-01-22 2014-01-22 라이닝 점검공 형성 저장 탱크 KR101469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7576A KR101469120B1 (ko) 2014-01-22 2014-01-22 라이닝 점검공 형성 저장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7576A KR101469120B1 (ko) 2014-01-22 2014-01-22 라이닝 점검공 형성 저장 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120B1 true KR101469120B1 (ko) 2014-12-04

Family

ID=52677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7576A KR101469120B1 (ko) 2014-01-22 2014-01-22 라이닝 점검공 형성 저장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1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5722A (ja) * 1988-08-06 1990-02-15 Hitachi Ltd ライニング設備
JP2001153771A (ja) * 1999-11-29 2001-06-08 Japan Organo Co Ltd ガス漏洩検知・ガス拡散防止機構
JP2005083910A (ja) * 2003-09-09 2005-03-31 Nec Engineering Ltd 漏洩点検治具
KR101331194B1 (ko) * 2013-02-25 2013-11-19 김종석 라이닝 점검용 흡입공이 형성된 저장 탱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5722A (ja) * 1988-08-06 1990-02-15 Hitachi Ltd ライニング設備
JP2001153771A (ja) * 1999-11-29 2001-06-08 Japan Organo Co Ltd ガス漏洩検知・ガス拡散防止機構
JP2005083910A (ja) * 2003-09-09 2005-03-31 Nec Engineering Ltd 漏洩点検治具
KR101331194B1 (ko) * 2013-02-25 2013-11-19 김종석 라이닝 점검용 흡입공이 형성된 저장 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6501B2 (en) Calibratable sensor unit for reaction vessels
WO2013083759A1 (en) A sensor unit utilizing a clamping mechanism
US5659130A (en) Simple device for testing chemical permeation
JP2013044750A (ja) オンラインtocのエクスカーション試料を捕獲して再試験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17136469A (ja) 消火器の漏れ検査装置と検査方法
JP5288937B2 (ja) 気体の漏れの有無を判定する方法
KR101469120B1 (ko) 라이닝 점검공 형성 저장 탱크
CN111925907A (zh) 一种组合式核酸检测装置
US10502703B2 (en) Peracetic acid concentration meter
CN206945315U (zh) 一种大便取检器
JP3156553U (ja) 覚せい剤予試験試薬キット
RU2746944C1 (ru) Шприц для получения целевого объема крови
CN216622182U (zh) 一种样品检测装置
JP2022083347A (ja) 検査機器
JP6443154B2 (ja) 液体サンプリング装置
CN217324082U (zh) 一种核酸采样标本提取装置
CN103728286A (zh) 一种atp荧光速检拭子
CN111849731A (zh) 一种基因扩增管及检测卡盒
KR100773494B1 (ko) 수질분석용 봉지형 반응팩
CN111808731A (zh) 一种核酸扩增管及全封闭核酸检测系统
JP2009115609A (ja) 検査器具
CN202928824U (zh) 生物采样化验器
US20100184124A1 (en) Detection of Bacteria or Somatic Cells in Organic Samples by ATP Based Luminescence
CN209069831U (zh) 保护套、测试管组件以及比色盒
CN212476726U (zh) 一种基因扩增管及检测卡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