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588B1 - 프로브 핀 - Google Patents

프로브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588B1
KR101468588B1 KR1020130083160A KR20130083160A KR101468588B1 KR 101468588 B1 KR101468588 B1 KR 101468588B1 KR 1020130083160 A KR1020130083160 A KR 1020130083160A KR 20130083160 A KR20130083160 A KR 20130083160A KR 101468588 B1 KR101468588 B1 KR 101468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plunger
contact
spring
extensio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성엽
Original Assignee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filed Critical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Priority to KR1020130083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5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2Spring-load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브 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핀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프로프 핀으로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플런저; 상기 상부 플런저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플런저; 및 상기 상부 플런저와 하부 플런저에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플런저 및 하부 플런저의 일 부분에는 상기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측부로 돌출되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상부 플런저 및 하부 플런저의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상부 플런저와 상기 하부 플런저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스프링에 내삽되게 배치되며, 상기 상부 플런저와 상기 하부 플런저의 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슬라이딩되게 구성되는 프로브 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로브 핀{PROBE PIN}
본 발명은 프로브 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핀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프로프 핀으로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플런저; 상기 상부 플런저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플런저; 및 상기 상부 플런저와 하부 플런저에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플런저 및 하부 플런저의 일 부분에는 상기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측부로 돌출되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상부 플런저 및 하부 플런저의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상부 플런저와 상기 하부 플런저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스프링에 내삽되게 배치되며, 상기 상부 플런저와 상기 하부 플런저의 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슬라이딩되게 구성되는 프로브 핀에 관한 것이다.
프로브 핀은 단독, 또는 다른 종류의 핀과 함께 소자, 반도체 칩 패키지 등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소켓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프로브 핀은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어 상부와 하부에 연결된 전기 단자와 접촉함으로써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이때, 상기 프로브 핀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부 사이의 접촉에 의해서 전기적 신호의 전달이 이루어지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로브 핀을 통한 전기적 신호의 전달은, 상기 단자부 사이의 접촉에 의해서 달성되므로, 상기 단자부 사이의 접촉이 신뢰성있게 달성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서, 프로브 핀의 기능에 핵심으로 작용한다.
공개특허 10-2012-004433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프로프 핀으로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플런저; 상기 상부 플런저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플런저; 및 상기 상부 플런저와 하부 플런저에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플런저 및 하부 플런저의 일 부분에는 상기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측부로 돌출되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상부 플런저 및 하부 플런저의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상부 플런저와 상기 하부 플런저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스프링에 내삽되게 배치되며, 상기 상부 플런저와 상기 하부 플런저의 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슬라이딩되게 구성되는 프로브 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핀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프로프 핀으로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플런저; 상기 상부 플런저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플런저; 및 상기 상부 플런저와 하부 플런저에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플런저 및 하부 플런저의 일 부분에는 상기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측부로 돌출되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상부 플런저 및 하부 플런저의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상부 플런저와 상기 하부 플런저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스프링에 내삽되게 배치되며, 상기 상부 플런저와 상기 하부 플런저의 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슬라이딩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플런저는,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 전기 단자에 접촉하는 상부 단자부, 및 상기 상부 단자부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에 내삽되는 상부 연장 핀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플런저는, 하부에 배치되어 외부 전기 단자에 접촉하는 하부 단자부, 및 상기 하부 단자부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에 내삽되는 하부 연장 핀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연장 핀과 상기 하부 연장 핀은 서로 적어도 일 부분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슬라이딩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는, 상기 상부 단자부와 상기 상부 연장 핀 사이, 및 상기 하부 단자부와 상기 하부 연장 핀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연장 핀은, 폭 방향으로 내측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갈라져서 분할되어 소정의분할면을 갖는 복수의 상부 브랜치를 갖게 구성되며, 상기 하부 연장 핀은, 폭 방향으로 내측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갈라져서 분할되어 소정의분할면을 갖는 복수의 하부 브랜치를 갖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할된 복수의 상부 브랜치, 및 하부 브랜치는, 서로 교차하여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브랜치의 적어도 일 측면과 상기 하부 브랜치의 적어도 일 측면은 서로 접촉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브랜치의 분할면과 상기 하부 브랜치의 분할면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브랜치 및 하부 브랜치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을 갖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브랜치는 제1 브랜치, 및 제3 브랜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브랜치는 제2 브랜치, 및 제4 브랜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브랜치 및 제3 브랜치는 상부가 부분적으로 벤딩되어, 상하 방향으로 볼 때 서로 대각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브랜치 및 제4 브랜치는 하부가 부분적으로 벤딩되어, 상하 방향으로 볼 때 서로 대각 방향으로 배치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브랜치는 제1 브랜치, 및 제3 브랜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브랜치는 제2 브랜치, 및 제4 브랜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브랜치는, 단면을 볼 때 각각 순차적으로 제1, 제2, 제3, 및 제4 사분면에 배치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브랜치는 제1 브랜치, 및 제3 브랜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브랜치는 제2 브랜치, 및 제4 브랜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브랜치는 상기 제2 브랜치 및 상기 제4 브랜치와 이웃하여 접하고, 상기 제3 브랜치는 상기 제2 브랜치 및 상기 제4 브랜치와 이웃하여 접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핀에 의하면, 상부 플런저, 및 하부 플런저가 수개의 브랜치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상부 브랜치의 적어도 일 측면과 상기 하부 브랜치의 적어도 일 측면은 서로 접촉하게 구성되어 상부 플런저 및 하부 플런저 사이의 접촉이 달성될 수 있으며, 접촉 면적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상부 플런저의 제1 브랜치의 일 측면은 하부 플런저의 제2 브랜치에 접촉하며 일 측면은 하부 플런저의 제4 브랜치에 접촉하고, 상부 플런저의 제3 브랜치의 일 측면은 상기 제2 브랜치에 접촉하며 일 측면은 상기 제4 브랜치에 접촉하여, 하나의 상부 브랜치와 하부 브랜치가 접촉하되, 상기 상부 브랜치를 형성하는 2 개의 브랜치는 하부 브랜치를 형성하는 2 개의 브랜치에 각각 접하게 되어 접촉 신뢰성이 향상되고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통전이 더욱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 플런저 및 하부 플런저가 상하 방향으로 변위할 때, 상기 브랜치가 서로 교차하게 배치되어 서로 접하는 배치를 가짐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변위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며 일정한 축 상에서 변위할 수 있으며, 측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에 따라서, 상기 상부 플런저와 하부 플런저 사이의 지지가 달성되고 전체적인 외주부의 형태가 유지되어 상기 스프링에 대한 내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브랜치의 분할면과 상기 하부 브랜치의 분할면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게 구성되어 상기 상부 브랜치와 하부 브랜치의 분할면이 서로 접촉할 때 더욱 용이한 접촉 및 확대된 접촉 면적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브랜치 및 하부 브랜치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을 갖게 구성되어 브랜치 사이의 임의의 배치에도 불구하고 소정의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핀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핀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핀의 구조를 분해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상부 플런저의 일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상부 플런저의 일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6 은 상부 연장 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하부 연장 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도 1 의 H-H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상부 플런저와 하부 플런저 사이의 접촉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하부", "상부", “측부”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부재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부재를 뒤집을 경우, 다른 부재의 “상부"로 기술된 부재는 다른 부재의 "하부”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상부"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부재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부재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부재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부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방향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핀(1)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핀(1)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핀(1)의 구조를 분해해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는 상부 플런저(100)의 일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는 상부 플런저(100)의 일 부분의 측면도이고, 도 6 은 상부 연장 핀(120)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 은 하부 연장 핀(220)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은 도 1 의 H-H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상부 플런저(100)와 하부 플런저(200) 사이의 접촉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핀(1)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프로프 핀으로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플런저(100); 상기 상부 플런저(100)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플런저(200); 및 상기 상부 플런저(100)와 하부 플런저(200)에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30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플런저(100) 및 하부 플런저(200)의 일 부분에는 상기 스프링(3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측부로 돌출되는 스토퍼(130, 230)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300)은 상기 상부 플런저(100) 및 하부 플런저(200)의 스토퍼(130, 230)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상부 플런저(100)와 상기 하부 플런저(200)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스프링(300)에 내삽되게 배치되며, 상기 상부 플런저(100)와 상기 하부 플런저(200)의 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슬라이딩되게 구성된다.
상부 플런저(100) 및 하부 플런저(200)는 외부 전기 단자와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도록 마련된다. 상부 플런저(100)는 상부에 배치되는 부재를 지칭하며, 하부 플런저(200)는 하부에 배치되는 부재를 지칭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및 배향은 가변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핀(1)을 가로 방향으로 놓으면, 상기 상부 플런저(100)와 하부 플런저(200)는 각각 우측 플런저, 및 좌측 플런저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부 플런저(100)의 상부 단부 부분 및 하부 플런저(200)의 하부 단부 부분은 외부 전기 단자에 접촉하게 구성된다. 예컨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런저(100)의 상부 단부는 크라운(crown) 형태로 구성되어 접촉 면적의 증가 및 그에 따른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 향상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하부 플런저(200)의 하부 단부는 소정의 첨단을 갖는 핀(pin)으로 구성되어 정밀한 접촉을 달성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상부 플런저(100)와 하부 플런저(200) 사이에는 스프링(300)이 배치된다. 여기서, 사이에 배치된다 함은 반드시 상부 플런저(100)의 단부와 하부 플런저(200)의 단부 사이에 스프링(300)이 배치되는 의미에 한하지 아니하며, 상부 플런저(100) 및 하부 플러저의 일 부분이 상기 스프링(300)에 내삽된 구조의 배치 형태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스프링(300)은 상기 상부 플런저(100)와 하부 플런저(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플런저(100)와 하부 플런저(200)에 탄성을 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부 플런저(100) 및 하부 플런저(200)의 일 부분이 스프링(300)에 내삽됨에 따라서 상기 스프링(300)은 상기 상부 플런저(100)의 일 부분 및 하부 플런저(200)의 일 부분을 중심으로 권선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플런저(100) 및 하부 플런저(200)의 일 부분에는 상기 스프링(3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측부로 돌출되는 스토퍼(130, 23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상부 플런저(100)의 일 부분 및 하부 플런저(200)의 일 부분이 상기 스프링(300)에 내삽되되, 상기 스프링(300)의 양 단부에는 각각 측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상부 플런저(100)의 스토퍼(130) 및 하부 플런저(200)의 스토퍼(230)가 배치됨에 따라서 상기 스프링(300)은 상기 상부 플런저(100)의 스토퍼(130)와 하부 플런저(200)의 스토퍼(230)에 대해서 탄성을 가하는 구조가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때 상부 플런저(100)와 상기 하부 플런저(200)의 상기 스프링(300)에 내삽된 부분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슬라이딩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스프링(300)에 내삽된 상기 상부 플런저(100)의 적어도 일 부분 및 하부 플런저(200)의 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은, 측방향으로 볼 때 서로 중첩되어 접촉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부 플런저(100)와 하부 플런저(200), 및 스프링(300)은 각각 통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구리와 같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에 따라서, 외부 단자가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핀(1)에 접촉할 경우 통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플런저(100)는,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 전기 단자에 접촉하는 상부 단자부(110), 및 상기 상부 단자부(110)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300)에 내삽되는 상부 연장 핀(120)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플런저(200)는, 하부에 배치되어 외부 전기 단자에 접촉하는 하부 단자부(210), 및 상기 하부 단자부(210)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300)에 내삽되는 하부 연장 핀(22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연장 핀(120)과 상기 하부 연장 핀(220)은 서로 적어도 일 부분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슬라이딩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플런저(100)와 상기 하부 플런저(200)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00)에 내삽되는 부분은 각각 상부 연장 핀(120), 및 하부 연장 핀(220)으로 지칭되며, 상기 상부 연장 핀(120) 및 하부 연장 핀(220)의 측면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은 상기 상부 연장 핀(120) 및 하부 연장 핀(220)의 외측에 권선된 스프링(300)에 의해서 상부 플런저(100) 및 하부 플런저(200)가 소정의 위치를 유지하며 이루어지며, 따라서 상기 상부 연장 핀(120) 및 하부 연장 핀(220)의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연장 핀(120) 상부에는 상부 단자부(110)가 배치되고, 상기 하부 연장 핀(220) 하부에는 하부 단자부(210)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상부 단자부(110)와 하부 단자부(210)는 각각 외부 전자 기기와 접촉할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130, 230)는, 상기 상부 단자부(110)와 상기 상부 연장 핀(120) 사이, 및 상기 하부 단자부(210)와 상기 하부 연장 핀(220)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단자부(110)는 둥글게 말린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단자부(110)의 상부 단부는 크라운(crown) 형태로 구성되어 접촉 면적의 증가 및 그에 따른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 향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하부 단자부(210)의 하부 단부는 소정의 첨단을 갖는 핀(pin)으로 구성되어 정밀한 접촉을 달성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연장 핀(120)은, 폭 방향으로 내측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갈라져서 분할되어 소정의 분할면을 갖는 복수의 상부 브랜치를 갖게 구성되며, 상기 하부 연장 핀(220)은, 폭 방향으로 내측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갈라져서 분할되어 소정의 분할면을 갖는 복수의 하부 브랜치를 갖게 구성된다.
즉,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연장 핀(120) 및 하부 연장 핀(220)은 갈라져서 수개로 분할된 브랜치를 갖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는, 편의상 상기 상부 연장 핀(120)이 갖는 수개의 브랜치를 상부 브랜치, 상기 하부 연장 핀(220)이 갖는 수개의 브랜치를 하부 브랜치로 지칭하나,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상부 연장 핀(120), 및 하부 연장 핀(220)은 수개로 분할된 브랜치를 가짐에 따라서, 각각의 브랜치의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분할면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예컨대,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연장 핀(120)이 2 개로 분할되어 2 개의 브랜치를 가질 경우, 상기 브랜치의 내측면(P)은 분할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상부 브랜치의 적어도 일 측면과 상기 하부 브랜치의 적어도 일 측면은 서로 접촉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각각의 브랜치 사이의 접촉이 이루어짐으로써 상부 플런저(100) 및 하부 플런저(200) 사이의 접촉이 달성될 수 있으며, 접촉 면적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브랜치의 분할면과 상기 하부 브랜치의 분할면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게 구성된다.
즉, 예컨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브랜치의 분할면이 소정의 각을 가질 경우,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브랜치의 분할면 또한 그에 대응하는 각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소정의 곡면으로 구성된 분할면이 형성될 경우, 상기 상부 브랜치의 분할면의 곡면과 상기 하부 브랜치의 분할면의 곡면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브랜치와 하부 브랜치의 분할면이 서로 접촉할 때 더욱 용이한 접촉 및 확대된 접촉 면적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브랜치 및 하부 브랜치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을 갖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브랜치 및 하부 브랜치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을 가짐에 따라서 브랜치 사이의 임의의 배치에도 불구하고 소정의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할된 복수의 상부 브랜치, 및 하부 브랜치는, 서로 교차하여 배치된다.
즉,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을 통해 볼 때, 상기 복수의 상부 브랜치와 복수의 하부 브랜치는 서로 교대로 교차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이를 바꾸어 설명하면, 상기 상부 브랜치는 제1 브랜치(122), 및 제3 브랜치(124)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브랜치는 제2 브랜치(222), 및 제4 브랜치(224)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브랜치(122) 및 제3 브랜치(124)는 상부가 부분적으로 벤딩되어, 상하 방향으로 볼 때 서로 대각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브랜치(222) 및 제4 브랜치(224)는 하부가 부분적으로 벤딩되어, 상하 방향으로 볼 때 서로 대각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일 예로 상기 상부 연장 핀(120)이 2 개의 상부 브랜치를 가지며 상기 하부 연장 핀(220)이 2 개의 하부 브랜치를 가짐으로써, 상기 상부 브랜치는 제1 브랜치(122), 및 제3 브랜치(124)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브랜치는 제2 브랜치(222), 및 제4 브랜치(224)를 포함할 때,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브랜치(224)는, 단면을 볼 때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순차적으로 제1, 제2, 제3, 및 제4 사분면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일 예로 상기 상부 연장 핀(120)이 2 개의 상부 브랜치를 가지며 상기 하부 연장 핀(220)이 2 개의 하부 브랜치를 가짐으로써, 상기 상부 브랜치는 제1 브랜치(122), 및 제3 브랜치(124)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브랜치는 제2 브랜치(222), 및 제4 브랜치(224)를 포함할 때, 상기 제1 브랜치(122)는 상기 제2 브랜치(222) 및 상기 제4 브랜치(224)와 이웃하여 접하며, 상기 제3 브랜치(124)는 상기 제2 브랜치(222) 및 상기 제4 브랜치(224)와 이웃하여 접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며 상기 상부 브랜치의 측면과 상기 하부 브랜치의 측면이 서로 접촉하며 스프링(300)에 내삽되는 경우, 그 단면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제1 브랜치(122)의 일 측면은 상기 제2 브랜치(222)에 접촉하며, 일 측면은 상기 제4 브랜치(224)에 접촉하게 된다.아울러, 제3 브랜치(124)의 일 측면은 상기 제2 브랜치(222)에 접촉하며, 일 측면은 상기 제4 브랜치(224)에 접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브랜치(222) 및 제4 브랜치(224)의 접촉 형태는 상술한 바와 같게 된다. 이에 따라서, 하나의 상부 브랜치와 하부 브랜치가 접촉하되, 상기 상부 브랜치를 형성하는 2 개의 브랜치는 하부 브랜치를 형성하는 2 개의 브랜치에 각각 접하게 되어 접촉 신뢰성이 향상되고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통전이 더욱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예컨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랜치를 형성하지 아니하고 단순히 1체로 구성된 상부 연장 핀(A)과 하부 연장 핀(B)이 면 접촉 할 경우, 그 접촉 면적은 1 개의 측면에 한정되나,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브랜치를 가지며 각각의 브랜치가 서로 교차하게 배치됨에 따라서 접촉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 플런저(100) 및 하부 플런저(200)가 상하 방향으로 변위할 때, 상기 브랜치가 서로 교차하게 배치되어 서로 접하는 배치를 가짐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변위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며 일정한 축 상에서 변위할 수 있으며, 측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에 따라서, 상기 상부 플런저(100)와 하부 플런저(200) 사이의 지지가 달성되고 전체적인 외주부의 형태가 유지되어 상기 스프링(300)의 내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 프로브 핀 100: 상부 플런저
110: 상부 단자부 120: 상부 연장 핀
122: 제1 브랜치 124: 제3 브랜치
130: 스토퍼 200: 하부 플런저
210: 하부 단자부 220: 하부 연장 핀
222: 제2 브랜치 224: 제4 브랜치
230: 스토퍼 300: 스프링

Claims (11)

  1.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프로프 핀에 있어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플런저;
    상기 상부 플런저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플런저; 및
    상기 상부 플런저와 하부 플런저에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플런저 및 하부 플런저의 일 부분에는 상기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측부로 돌출되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상부 플런저 및 하부 플런저의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상부 플런저와 상기 하부 플런저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스프링에 내삽되게 배치되며,
    상기 상부 플런저와 상기 하부 플런저의 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슬라이딩되게 구성되고,
    상기 상부 플런저는,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 전기 단자에 접촉하는 상부 단자부, 및
    상기 상부 단자부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에 내삽되는 상부 연장 핀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플런저는,
    하부에 배치되어 외부 전기 단자에 접촉하는 하부 단자부, 및
    상기 하부 단자부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에 내삽되는 하부 연장 핀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연장 핀과 상기 하부 연장 핀은 서로 적어도 일 부분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슬라이딩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상부 단자부와 상기 상부 연장 핀 사이, 및
    상기 하부 단자부와 상기 하부 연장 핀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상부 연장 핀은,
    폭 방향으로 내측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갈라져서 분할되어 소정의 분할면을 갖는 복수의 상부 브랜치를 갖게 구성되며,
    상기 하부 연장 핀은,
    폭 방향으로 내측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갈라져서 분할되어 소정의 분할면을 갖는 복수의 하부 브랜치를 갖게 구성되며,
    상기 상부 브랜치의 분할면과 상기 하부 브랜치의 분할면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 브랜치 및 상기 하부 브랜치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상부 브랜치는 제1 브랜치, 및 제3 브랜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브랜치는 제2 브랜치, 및 제4 브랜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브랜치 및 제3 브랜치는 상부가 부분적으로 벤딩되어, 상하 방향으로 볼 때 서로 대각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브랜치 및 제4 브랜치는 하부가 부분적으로 벤딩되어, 상하 방향으로 볼 때 서로 대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브랜치는,
    단면을 볼 때 각각 순차적으로 제1, 제2, 제3, 및 제4 사분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브랜치는 상기 제2 브랜치 및 상기 제4 브랜치와 이웃하여 접하고, 상기 제3 브랜치는 상기 제2 브랜치 및 상기 제4 브랜치와 이웃하여 접하여,
    상기 제1 브랜치의 일 측면은 상기 제2 브랜치에 접하고 다른 일 측면은 상기 제4 브랜치에 접하며,
    상기 제2 브랜치의 일 측면은 상기 제1 브랜치에 접하고 다른 일 측면은 상기 제3 브랜치에 접하며,
    상기 제3 브랜치의 일 측면은 상기 제2 브랜치에 접하고 다른 일 측면은 상기 제4 브랜치에 접하며,
    상기 제4 브랜치의 일 측면은 상기 제1 브랜치에 접하고 다른 일 측면은 상기 제3 브랜치에 접하게 구성되는 프로브 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30083160A 2013-07-15 2013-07-15 프로브 핀 KR101468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160A KR101468588B1 (ko) 2013-07-15 2013-07-15 프로브 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160A KR101468588B1 (ko) 2013-07-15 2013-07-15 프로브 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588B1 true KR101468588B1 (ko) 2014-12-04

Family

ID=52677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160A KR101468588B1 (ko) 2013-07-15 2013-07-15 프로브 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5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785A (ko) * 2004-10-06 2006-04-11 황동원 전자장치용 콘택트
KR20080015512A (ko) * 2005-06-10 2008-02-19 델라웨어 캐피탈 포메이션, 인코포레이티드 컴플라이언트 내부 상호접속부를 가진 전기적 접촉 프로브
JP2011232181A (ja) * 2010-04-28 2011-11-1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プローブピン用コンタクト、プローブピンおよび電子デバイス用接続治具
JP2012181096A (ja) * 2011-03-01 2012-09-20 Micronics Japan Co Ltd 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785A (ko) * 2004-10-06 2006-04-11 황동원 전자장치용 콘택트
KR20080015512A (ko) * 2005-06-10 2008-02-19 델라웨어 캐피탈 포메이션, 인코포레이티드 컴플라이언트 내부 상호접속부를 가진 전기적 접촉 프로브
JP2011232181A (ja) * 2010-04-28 2011-11-1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プローブピン用コンタクト、プローブピンおよび電子デバイス用接続治具
JP2012181096A (ja) * 2011-03-01 2012-09-20 Micronics Japan Co Ltd 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28472B (zh) 用于连接电导线的连接端子
US20180011127A1 (en) Kelvin probe and kelvin inspection unit provided with same
KR102001349B1 (ko) 프로브 핀 및 이것을 사용한 검사 장치
JP5352525B2 (ja) プローブピン用コンタクト、プローブピンおよび電子デバイス用接続治具
CN109690880B (zh) 屏蔽金属板
US20140210504A1 (en) Tes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testing
KR101330995B1 (ko) 굽은 등 형상의 스프링 프로 브 핀
US20180062289A1 (en) Electrical contact assembly of a plug-in connection terminal
ATE492926T1 (de) Anschlussvorrichtung und anschlusssystem für isolierte elektrische leiter
RU2016147393A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клемма
JP2017067662A (ja) コンタクタ
EP3145034A3 (en) Housing arrangement,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a housing arrangement and electrical connection arrangement comprising an electrical connector
KR101841107B1 (ko) 양분형 탐침 장치
JP2015528637A5 (ko)
US9011185B2 (en) Electrical plug-in contact
KR101468588B1 (ko) 프로브 핀
KR101509200B1 (ko) 신호특성이 강화된 프로브핀
JP2015004614A (ja) コンタクトプローブ
KR101489318B1 (ko) 프로브 핀
US10446965B2 (en) Spring contact in a testing apparatus for integrated circuits
JP2016076479A (ja) プラグコネクタ、プラグコネクタユニット、および、コネクタ装置
JP6717687B2 (ja) コンタクトピンおよ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US10147993B2 (en) Connecting device
KR101629402B1 (ko) 전기 커넥터 및 이에 포함된 단자
US9500674B2 (en) Prob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