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596B1 - 용기와 공급관과의 접속구조, 용기 및 공급관 - Google Patents

용기와 공급관과의 접속구조, 용기 및 공급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596B1
KR101467596B1 KR1020097019881A KR20097019881A KR101467596B1 KR 101467596 B1 KR101467596 B1 KR 101467596B1 KR 1020097019881 A KR1020097019881 A KR 1020097019881A KR 20097019881 A KR20097019881 A KR 20097019881A KR 101467596 B1 KR101467596 B1 KR 101467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tube
supply pipe
throat
nozzl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4550A (ko
Inventor
리사 니시하라
Original Assignee
리사 니시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사 니시하라 filed Critical 리사 니시하라
Publication of KR20100014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사체용 체액누출 방지제를 수용하는 용기는, 내부에 체액누출 방지제가 충전되는 수용부와, 수용부에 형성된 노즐부(13)와, 노즐부(13)에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한다. 체액누출 방지제를 사체의 인후부로 주입하는 공급관은, 인후부로 삽입되는 삽입관부(15)를 구비한다. 삽입관부(15)의 삽입방향 선단측에는 주입공이 형성된다. 삽입관부(15)의 베이스측에는 용기의 노즐부(13)에 접속되는 접속부(20)가 설치된다. 접속부(20)에는 노즐부(13)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다.
체액누출 방지제, 용기, 공급관, 결합부, 주입공

Description

용기와 공급관과의 접속구조, 용기 및 공급관{CONTAINER AND SUPPLY PIPE CONNECTING STRUCTURE, CONTAINER, AND SUPPLY PIPE}
본 발명은 사체의 인후부로 체액누출 방지제를 주입할 때 이용되는 용기와 공급관과의 접속구조, 용기 및 공급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체는 매장 또는 화장할 때까지 그 부패를 억제하는 동시에, 악취의 발생, 변색, 변형 등을 일으키지 않도록 보존해 둘 필요가 있다. 사체의 보존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사체를 드라이아이스로 냉각 또는 냉동하는 방법이나, 사체에 방부제를 도포하는 방법이 있다. 또 그 외에도 방부제를 스며들인 것이나, 방부제를 담지시킨 것을 사체의 상측이나 주위에 놓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사체에서는, 체액이 인후부로부터 비공이나 구강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가 있다. 이 체액의 누출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비공이나 구강으로부터 액화 냉각가스를 사체로 공급하여, 체내의 잔류물 등을 직장으로부터 배출해 두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 평성 10-45501호 공보) 참조). 또 체액누출 방지제를 인후부에 공급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일본 특허공개 2002-275001호 공보) 참조). 이 특허문헌 2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장치는, 체액누출 방지제가 수용된 용기와, 인후부로 삽입되는 공급 관을 구비한다. 공급관의 베이스부에는 용기에 접속되는 접속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공급관의 접속부에 용기를 접속한 후 공급관을 인후부로 삽입하여, 용기 내의 체액누출 방지제를 공급관을 통해 인후부로 주입함으로써, 체액의 누출방지가 이루어진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발명에 의하면, 액화 냉각가스를 비공이나 구강으로 분사하도록 하나, 비공이나 구강의 안쪽은 근육이 이완되어 막혀져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액화 냉각가스가 사체 내로 들어가기 어렵다. 특히 액화 냉각가스를 구강으로 분사한 경우, 구강의 안쪽은 혀로 막혀져 있으므로, 주입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발명으로는 체액의 누출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발명은, 공급관을 사체의 인후부까지 삽입하고, 이 공급관으로 체액누출 방지제를 주입하도록 하므로, 체액누출 방지제를 인후부까지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허문헌 1의 발명보다 우수하다. 그런데 용기와 공급관은 별개인 점에서, 체액누출 방지제를 주입하기 전에 이들의 접속작업을 할 필요가 있다. 이 접속작업이 확실하게 행해지지 않으면, 용기와 접속관의 접속부분으로부터 체액누출 방지제가 누출되거나, 주입작업 도중에 공급관이 용기로부터 분리되어, 체액누출 방지제가 비산되는 등의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체액누출 방지제를 수용하는 용기와 공급관을 확실하게 접속하여, 체액누출 방지제가 접속부분으로부터 누출되는 것 및 공급관이 용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 발명에서는, 사체용의 체액누출 방지제를 수용하는 용기와, 이 체액누출 방지제를 사체의 인후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과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내부에 상기 체액누출 방지제가 충전되는 수용부와, 이 수용부에 형성된 노즐부와, 이 노즐부에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급관은, 사체의 인후부로 삽입되는 삽입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관부의 삽입방향 선단측에는 주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관부의 베이스측에는 상기 용기의 상기 노즐부에 접속되는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에는 상기 노즐부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다.
제 2 발명에서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공급관의 삽입관부와 접속부는 일체 성형되는 구성으로 한다.
제 3 발명에서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공급관의 삽입관부와 접속부는 수지재료를 이용하여 별개로 성형되며, 서로 용착되어 일체화되는 구성으로 한다.
제 4 발명에서는, 제 1에서 제 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용기의 노즐부 외주면은, 이 노즐부의 선단을 향해 지름이 축소되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되며, 공급관의 접속부는 상기 노즐부의 테이퍼면을 피복하는 통형을 이루고, 상기 접속부의 내주면은 상기 테이퍼면을 따르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다.
제 5 발명에서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노즐부의 결합부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되며, 접속부의 결합부는 이 접속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다.
제 6 발명에서는, 제 4 또는 제 5 발명에 있어서 노즐부의 결합부와 접속부 결합부 중 한쪽이 볼록부이며, 다른 쪽이 이 볼록부에 결합되는 오목부인 구성으로 한다.
제 7 발명에서는, 제 4 또는 제 5 발명에 있어서 노즐부와 접속부 중 한쪽의 주벽(周壁)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다른 쪽 주벽부에는 이 관통공으로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이들 관통공 및 돌출부가 결합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한다.
제 8 발명에서는, 제 6 발명에 있어서 오목부가 홈부로 이루어지며, 볼록부가 이 홈부로 삽입되는 돌출부로 이루이지는 구성으로 한다.
제 9 발명에서는, 제 4 또는 제 5 발명에 있어서 노즐부와 접속부 중 한쪽의 주벽부에는 그 축방향 중간부에서 둘레방향으로 이어지는 제 1 홈부와, 이 제 1 홈부에 연속되어 이 주벽부의 축방향으로 이어지는 제 2 홈부가 형성되며, 다른 쪽 주벽부에는 상기 제 1 홈부 및 상기 제 2 홈부로 삽입되는 핀부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다.
제 10 발명에서는, 제 4 또는 제 5 발명에 있어서 노즐부와, 접속부 중 한쪽의 주벽부에는 그 축방향 중간부에서 둘레방향으로 이어지는 제 1 오목부와, 이 제 1 오목부에 연속되며 이 주벽부의 축방향으로 이어지는 제 2 오목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 주벽부에는 상기 제 1 오목부 및 상기 제 2 오목부로 삽입되는 핀부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다.
제 11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10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용기의 노즐부 선단 개구를 막는 캡이, 이 노즐부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한다.
제 12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11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용기의 수용부는 실린지의 통형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지의 통형 부분에는 체액누출 방지제를 밀어내는 피스톤이 삽입되는 구성으로 한다.
제 13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12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공급관의 삽입관부 선단측은 만곡되는 구성으로 한다.
제 14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1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공급관의 삽입관부 선단측에는, 선단을 향해 가늘어지도록 형성된 선단부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다.
제 15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1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공급관의 삽입관부 두께는 접속부의 두께보다 얇게 설정되는 구성으로 한다.
제 16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15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공급관에는, 삽입관부의 인후부로의 삽입량을 표시하는 마크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다.
제 17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15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공급관에는, 인후부로 삽입된 삽입관부의 주입공이 소정 위치에 달했을 때에 사체의 일부에 닿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다.
제 18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15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공급관에는, 삽입관부를 비공에서 인후부로 삽입할 때의 삽입량을 표시하는 마크 및/또는 삽입량을 소정량으로 하는 스토퍼와, 삽입관부를 구강에서 인후부로 삽입할 때의 삽입량을 표시하는 마크 및/또는 삽입량을 소정량으로 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한다.
제 19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15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공급관에는, 삽입관부의 인후부로의 삽입량을 표시하는 눈금부재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다.
제 20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15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비공에서 인후부로 삽입되는 제 1 삽입관부와, 구강에서 인후부로 삽입되는 제 2 삽입관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제 21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20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공급관의 주입공은, 삽입관부 선단측의 주벽부에 복수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다.
제 22 발명에서는, 체액누출 방지제를 사체의 인후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이 접속되는 용기로서, 상기 체액누출 방지제가 충전되는 수용부와, 이 수용부에 형성된 노즐부와, 이 노즐부에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며, 이 노즐부가 상기 공급관에 형성된 접속부에 접속되고, 상기 노즐부의 결합부는, 상기 접속부가 갖는 결합부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한다.
제 23 발명에서는, 사체용 체액누출 방지제를 수용하는 용기에 접속되는 공급관으로서, 사체의 인후부로 삽입되는 삽입관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관부의 삽입방향 선단측에는 주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관부의 베이스측에는, 상기 용기에 형성된 노즐부에 접속되는 접속부가 배치되며, 상기 접속부에는, 상기 노즐부가 갖는 결합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다.
또 인후부란, 이른바 목이라 불리는 부분으로, 인후 및 후두와, 이들의 근방 부위를 포함한 부분이다.
또한 공급관의 삽입관부 주입공으로부터 체액누출 방지제를 인후부로 주입할 때, 삽입관부의 선단부가 인후부에 달해도 되며, 인후부보다 안쪽에 달해도 된다. 삽입관부의 선단부가 인후부 안쪽에 달한 경우에는, 주입공을 삽입관부의 선단부보다 베이스 쪽으로 개구시켜 두고, 이 주입공이 인후부에 위치하도록 하면 된다.
또 공급관의 삽입관부를 인후부의 직전까지 삽입하고, 그 삽입관부의 주입공으로부터 토출된 체액누출 방지제를 인후부로 흘러 들어가게 해도 된다.
또한 체액누출 방지제로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은 것, 예를 들어 점성을 갖는 유체 중에, 체액을 흡수하는 고흡수성 폴리머 분말을 분산시킨 체액누출 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 크림상의 베이스제나 무스상 베이스제에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분말을 분산시킨 체액누출 방지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체액누출 방지제로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분말을 변형 가능한 주머니로 싸도록 한 것이라도 된다. 이 경우, 주머니로 싼 상태의 고흡수성 폴리머를 용기로부터 공급관을 통해 밀어 넣도록 하면 된다.
[발명의 효과]
제 1 발명에 의하면, 공급관의 접속부에 형성된 결합부를, 용기의 노즐부 결합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용기와 공급관을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의 결합부와 공급관의 결합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용기와 공급관의 접속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로써 체액누출 방지제의 사체로의 주입작업 중에 체액누출 방지제가 접속부분으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공급관이 용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발명에 의하면, 공급관의 삽입관부와 접속부를 일체 성형함으로써, 양자를 별개로 성형한 경우에 이용되는 접착제가 필요 없다. 이로써 접착제가 삽입관부와 접속부 사이로부터 삽입관부의 내부통로로 누출되는 일이 일어나지 않으며, 접착제에 의한 내부통로의 막힘을 회피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의하면, 공급관의 삽입관부와 접속부를 접착제에 의하지 않고 일체 성형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접착제를 이용함에 따른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삽입관부와 접속부의 경도나 재질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공급관의 설계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제 4 발명에 의하면, 용기와 공급관을 접속한 상태에서, 노즐부의 테이퍼면에 공급관의 접속부 내주면이 결합되며, 노즐부의 테이퍼면과 접속부 내주면을 밀착시킬 수 있다. 이로써 액 밀봉성을 높일 수 있다.
제 5 발명에 의하면, 노즐부의 테이퍼면에 공급관의 접속부 내주면이 결합된 상태에서 양 결합부가 결합되므로, 공급관을 용기로부터 한층 더 분리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제 6에서 제 8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으로 양 결합부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 9 발명에 의하면, 노즐부를 접속부로 삽입할 때, 핀부를 제 2 홈부로 삽입해 가, 핀부가 제 2 홈부의 베이스에 달했을 때, 노즐부를 접속부에 대하여 그 축선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핀부가 제 1 홈부로 삽입되어간다. 이로써 핀부와 제 1 홈부가 결합되어 접속부가 노즐부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진다. 또 상기의 회전동작에 의해, 노즐부의 테이퍼면과 접속부 내주면을 보다 강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이로써 노즐부와 접속부 사이의 액 밀봉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용기로부터 공급관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 상기 동작과 반대 동작을 하면 되므로,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노즐부를 접속부에 접속할 때, 접속부를 노즐부에 대하여 회전시키도록 하면 된다.
제 10 발명에 의하면, 제 9 발명과 마찬가지로, 핀부와 제 1 오목부가 결합되며, 접속부가 노즐부에서 빠지기 어려워짐과 더불어, 노즐부와 접속부 사이의 액 밀봉성을 높일 수 있고, 또 용기로부터 공급관을 분리할 때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제 11 발명에 의하면, 노즐부의 선단 개구를 막는 캡이 노즐부의 결합부에 결합되므로, 사용 전에, 용기 내의 체액누출 방지제가 불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2 발명에 의하면, 사용 전에, 체액누출 방지제를 실린지 내에서 확실하게 유지해 둘 수 있는 한편, 체액누출 방지제를 주입할 때에는 피스톤을 실린지로 밀어 넣는다는 간단한 조작으로 인후부로 확실하게 주입할 수 있다.
제 13 발명에 의하면, 공급관의 삽입관부 선단측을 만곡시키므로, 삽입관부를, 예를 들어 사체의 비공이나 구강으로부터 인후부로 삽입할 때, 사체의 인후부까지, 만곡된 형상을 따르도록 매끄럽게 삽입해갈 수 있다. 이로써 삽입관부의 삽입작업을 가벼운 힘으로, 또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제 14 발명에 의하면, 공급관의 삽입관부 선단측에 선세부(先細部)를 형성하므로, 공급관의 삽입관부를 예를 들어 비공이나 구강으로부터 인후부로 삽입해갈 때, 삽입관부의 선단부가 비공이나 구강의 내벽에 걸리기 어려워진다. 이로써 삽입관부를 인후부까지 매끄럽게 삽입할 수 있다.
제 15 발명에 의하면, 공급관의 접속부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여 용기 노즐부와의 접속을 확실하게 해 두면서 삽입관부를 유연하게 할 수 있다. 삽입관부를 유연하게 함으로써, 삽입관부의 삽입 시에, 이 삽입관부가 사체의 인후부까지, 만곡된 형상을 따르도록 쉽게 변형되며, 삽입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제 16 발명에 의하면, 공급관의 삽입관부를 인후부로 삽입할 때, 삽입작업을 멈추는 타이밍을 쉽게 판단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에게 숙련된 기술을 요구하는 일없이, 삽입관부를 인후부까지 확실하게 삽입할 수 있다.
제 17 발명에 의하면, 공급관에 스토퍼를 형성하므로, 작업자는 삽입관부를 인후부로 삽입할 때, 스토퍼가 사체에 접촉하거나, 접촉하기 직전에 삽입작업을 멈춤으로써, 삽입관부를 소정 위치까지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에게 높은 기술을 요구하는 일없이, 삽입관부를 인후부까지 확실하게 삽입하여 체액누출 방지제를 주입할 수 있다.
제 18 발명에 의하면, 단일의 공급관을 비공에서 인후부로 삽입하는 경우와, 구강에서 인후부로 삽입하는 경우의 양쪽에서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9 발명에 의하면, 눈금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와 사용하지 않는 경우로 공급관을 공통화할 수 있다.
제 20 발명에 의하면, 비공용 및 구강용으로 각각 적합한 공급관을 준비하므로, 필요에 따라 어느 쪽에서도 체액누출 방지제를 주입할 수 있다.
제 21 발명에 의하면, 삽입관부의 일부 주입공이 인후부 내 점막 등으로 막힌 경우에, 체액누출 방지제를 다른 주입공으로부터 인후부로 확실하게 주입할 수 있다.
제 22, 23 발명에 의하면, 용기의 결합부와 공급관 결합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용기와 공급관의 접속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로써 체액누출 방지제가 접속부분에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공급관이 용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체액누출 방지제를 인후부로 주입하여 유치시킴으로써, 체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공급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공급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용기와 공급관과의 접속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W 내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와 공급관과의 접속구조가 적용된 사체처치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도 6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공급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관한 접속부 및 노즐부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도 11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 3에 관하며, 노즐부에 캡을 장착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 4에 관한 도 13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 5에 관한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 6에 관한 공급관의 베이스측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 7에 관한 도 16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 7에 관한 노즐부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 7에 관한 용기와 공급관과의 접속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 8에 관한 공급관의 선단측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 9에 관한 도 20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 10에 관한 도 20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도 7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도 9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관한 도 9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도 9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도 24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 사체처치장치 2 : 체액누출 방지제
3 : 용기 4, 31 : 공급관
10 : 실린지 11 : 피스톤
12 : 수용부 13 : 노즐부
13a : 개구부 14 : 돌출부(결합부)
15 : 삽입관부 16∼18 : 제 1∼제 3 주입공
20, 34 : 접속부 22 : 스토퍼(마크)
23 : 홈부(결합부) 25 : 캡
30, 35 : 관통공(결합부) 36 : 스토퍼
40 : 제 1 홈부 41 : 제 2 홈부
42 : 핀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 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와 공급관과의 접속구조(Y)가 적용된 사체처치장치(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사체처치장치(1)는 사체용의 체액누출 방지제(2)를 수용하는 용기(3)와, 체액누출 방지제(2)를 사체의 인후부(B)로 공급하는 공급관(4)을 구비한다. 용기(3)는 실린지(10)와 피스톤(11)으로 구성된다. 실린지(1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체액누출 방지제(2)가 충전되는 통모양의 수용부(12)와, 수용부(12)에 형성된 노즐부(13)를 갖는다.
또 공급관(4)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공(A)에서 인후부(B)로 삽입되는 삽입관부(15)를 구비한다. 삽입관부(15)의 단면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삽입관부(15)의 삽입방향 선단측(도 1 및 도 2의 왼쪽)에는 제 1, 제 2 및 제 3 주입공(16, 17, 18)이 형성된다. 삽입관부(15)의 베이스부(도 1 및 도 2의 오른쪽)에는 통모양의 중간부(19)가 형성된다. 이 중간부(19)의 베이스부에는 용기(3)의 노즐부(13)에 접속되는 접속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관부(15), 중간부(19) 및 접속부(20)는 염화비닐 등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일체성형 되어있다.
삽입관부(15)는 가늘고 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삽입관부(15)는, 비공(A)에서 인후부(B)까지의 내부형상에 대응하여 변형 가능한 유연성과, 비공(A)으로 삽입했을 때에 삽입관부(15)의 내부통로(R)가 뭉개지지 않는 단단함을 갖는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관부(15)의 삽입방향 선단면에는 상기 제 1 주입공(16)이 개구된다. 또 삽입관부(15)의 선단면보다 베이스측으로 떨어진 주벽(周壁)부에는 2개의 상기 제 2 주입공(17, 17)이 서로 둘레방향으로 180° 떨어져 개구된다. 또한 삽입관부(15)의 제 2 주입공(17, 17)보다 베이스측으로 떨어진 주벽부에는 2개의 상기 제 3 주입공(18, 18)이 서로 180° 떨어져 개구된다. 제 2 주입공(17, 17)의 개구 위치와 제 3 주입공(18, 18)의 개구 위치는 삽입관부(15)의 둘레방향으로 90° 어긋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주입공(16)은 원형이며, 제 2 및 제 3 주입공(17, 18)은 거의 타원형이다.
상기 제 2 및 제 3 주입공(17, 18)의 긴 지름의 치수는 4㎜로 설정되며, 또 짧은 지름의 치수는 3㎜로 설정된다. 제 2 주입공(17)의 중심은 삽입관부(15)의 선단면에서 베이스측을 향해 10㎜ 떨어져 있다. 제 3 주입공(18)의 중심은 삽입관부(15)의 선단면에서 베이스측을 향해 22㎜ 떨어져 있다.
제 1∼제 3 주입공(16∼18)은 삽입관부(15) 내의 체액누출 방지제(2)를 인후부(B)로 주입할 수 있는 것이면 되며, 상기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제 1∼제 3 주입공(16∼18)의 형상, 수, 개구 위치는, 삽입관부(15)의 바깥지름, 안지름, 삽입관부(15)가 갖는 탄성이나 내부통로(R)를 흐르는 체액누출 방지제(2)의 종류, 유동성 등 조건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및 제 3 주입공(17, 18)의 개구면적은 서로 다르게 해도 된다. 또 제 2 및 제 3 주입공(17, 18)은 원형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 1∼제 3 주입공(16∼18) 중 어느 1개 또는 2개를 생략해도 된다. 또 도시하지 않으나, 삽입관부(15)의 제 3 주입공(18)보다 베이스측에 다른 주입공을 개구시켜도 된다.
또한 제 2 주입공(17)의 중심과, 삽입관부(15) 선단면과의 간격은 6㎜ 이상 15㎜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 제 2 주입공(17)의 중심과 제 3 주입공(18)의 중심은, 삽입관부(15)의 축선방향으로 4㎜ 이상 10㎜ 이하 범위의 간격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2 및 제 3 주입공(17, 18)의 크기나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삽입관부(15) 내 체액누출 방지제(2)를 인후부(B)로 확실하게 주입할 수 있다.
삽입관부(15)의 선단측 바깥지름은 5.0㎜로 설정되며, 안지름은 3.5㎜로 설정된다. 삽입관부(15)의 바깥지름 및 안지름은 선단부에서 베이스부를 향해 약간 확대된다. 이는 삽입관부(15) 성형 시의 이형성을 고려함에 의한 것이다.
삽입관부(15)의 바깥지름은 2.5㎜ 이상 8.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 삽입관부(15)의 안지름은 바깥지름보다 0.6㎜ 이상 2.4㎜ 이하의 범위에서 작아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관부(15)의 바깥지름 상한을 8.0㎜ 이하로 하는 이유는, 8.0㎜보다 크면 비공(A)으로 삽입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또 삽입관부(15)의 바깥지름 하한을 2.5㎜ 이하로 하는 이유는, 2.5㎜보다 작으면 내부통로(R)가 좁아져 체액누출 방지제(2)가 유동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즉, 삽입관부(15)의 바깥지름 및 안지름을 상기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비공(A)으로부터의 삽입 작업성 및 체액누출 방지제(2)의 주입 작업성을 양호하게 하기가 가능해진다.
또 중간부(19)의 안지름은 삽입관부(15)의 베이스부 안지름과 동등하게 설정된다. 중간부(19)의 내주면과 삽입관부(15) 내주면은 매끄럽게 이어진다. 또한 중간부(19)의 바깥지름은 삽입관부(15)의 바깥지름보다 크게 설정되며, 접속부(20) 측을 향해 서서히 커진다. 중간부(19)의 외주면은 접속부(20)의 외주면과 매끄럽게 이어진다. 중간부(19)의 두께는 삽입관부(15)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또한 접속부(20)는 상기 용기(3)의 노즐부(13)를 피복하는 통모양으로 형성된다. 접속부(20)의 선단부(중간부(19)와 연속되는 쪽)는 중간부(19)의 베이스부에 일체성형 된다. 접속부(20)의 안지름은 중간부(19)의 안지름보다 크게 설정되며, 구체적으로는 노즐부(13)의 바깥지름에 대응한다. 이에 따라 중간부(19)의 내주면과 접속부(20) 내주면의 사이에는 단차부(21)가 형성되게 되며, 접속부(20)의 두께는 중간부(19)의 두께보다 얇아진다. 또 접속부(20)의 두께는 삽입관부(15)의 두께보다 두꺼워진다. 이 단차부(21)의 깊이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부(13)의 두께와 거의 마찬가지로 설정되며, 노즐부(13)를 접속부(20)에 삽입한 상태에서 노즐부(13)의 내주면과 중간부(19) 내주면이 연속되도록 되어 있다.
접속부(20)의 내주면은 그 베이스를 향해 지름이 확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노즐부(13)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결합면(20a)으로 구성된다. 결합면(20a)의 축방향 중간부에는, 둘레방향으로 이어지는 홈부(결합부)(23)가 형성된다. 이 홈부(23)는 결합면(20a)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되는 고리형을 이룬다.
접속부(20)의 베이스부 내주면에는 모따기가 실시된 모따기부(20c)가 형성된다. 이 모따기부(20c)에 의해 접속부(20)의 베이스부 안지름이 확대된다. 이로써, 실린지(10)의 노즐부(13)를 접속부(20)로 쉽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삽입관부(15)에는, 중간부(19)와의 경계부분 근방에서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둘레방향으로 이어지는 스토퍼(22)가 일체로 성형된다. 스토퍼(22)는 삽 입관부(15)의 제 1∼제 3 주입공(16∼18)이 인후부(B)에 달했을 때에 코끝(A1)에 닿도록 위치가 정해진다. 여기서 스토퍼(22)의 형성 위치는, 삽입관부(15)의 선단부가 인후부(B) 근방에 위치했을 때에 코끝(A1)에 닿도록 설정해도 된다. 또 스토퍼(22)의 형상은 상기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삽입관부(15)의 둘레방향으로 단속(斷續)되는 형상으로 해도 되고, 또 삽입관부(15)의 둘레방향 일부에서 돌출되는 돌기형상이라도 된다. 또한 스토퍼(22)는 삽입관부(15) 베이스측의 다른 부위나, 중간부(19), 접속부(20)에 형성해도 된다.
또 스토퍼(22) 대신 삽입관부(15)의 인후부(B)로의 삽입량을 표시하는 마크(눈금)를 형성해도 된다. 이 마크를 형성할 위치는, 상기 스토퍼(22)와 마찬가지로 설정하면 된다. 상기 스토퍼(22)를 마크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복수의 마크를 삽입관부(15)의 축선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해도 된다. 마크는 돌기부나 오목부 등으로 구성해도 되며, 문자나 라인 등으로 구성해도 된다.
상기 실린지(10)는 수지재의 일체성형품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부(13)는 직선형상으로 이어지며, 그 축선은 실린지(10)의 축선에서 어긋난다. 노즐부(13)의 선단에는 체액누출 방지제(2)가 토출되는 개구부(13a)가 형성된다. 노즐부(13)의 외주면은 선단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축소되는 테이퍼면(13b)으로 구성되며, 이 테이퍼면(13b)의 형상은 상기 공급관(4)의 접속부(20) 결합면(20a)을 따르도록 이어지며, 이 결합면(20a)에 결합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노즐부(13)를 공급관(4)의 접속부(20)에 삽입하면, 결합면(20a)과 테이퍼면(13b)이 전체 둘레에 걸쳐 밀착된 상태로 되고, 이로써 충분한 액 밀봉성이 확보 되도록 된다.
노즐부(13)의 축선방향 중간부의 외주면에는 2개의 돌출부(결합부)(14, 14)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14, 14)는, 노즐부(13)를 공급관(4)의 접속부(20)에 완전히 삽입한 상태에서 홈부(23)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또 홈부(23)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각 돌출부(14)의 삽입방향 선단측에는, 베이스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14a)가 형성된다. 한편, 돌출부(14)의 베이스측에는 에지부(14b)가 형성된다.
여기서 노즐부(13)의 돌출부(14) 수는 2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1개 또는 3개 이상이라도 된다. 또 돌출부(14)를 노즐부(13)의 둘레방향으로 연속되는 고리형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노즐부(13)에는 개구부(13a)를 막는 수지제 캡(25)이 장착되도록 되어있다. 이로써, 사용 전에 수용부(12) 내 체액누출 방지제(2)가 노즐부(13)로부터 누출되는 일은 없다.
상기 피스톤(11)은, 수용부(12) 내부의 체액누출 방지제(2)를 노즐부(13)의 개구부(13a)로부터 밀어내기 위한 것이다. 피스톤(11)은, 수용부(12)의 노즐부(13)와 반대쪽 단부로부터 삽입되는 압출부(11a)와, 압출부(11a)를 조작하기 위한 압출봉(11b)을 갖는다. 압출부(11a)와 압출봉(11b)은 실린지(10)와 마찬가지의 수지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 후 실린지(10)와 피스톤(11)을 함께 폐기처분 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체처치장치(1)의 용기(3)와 공급관(4)을 접속 하는 요령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체액누출 방지제(2)가 충전된 실린지(10)의 노즐부(13)에는 캡(25)이 장착된다. 또 피스톤(11)의 압출부(11a)는 실린지(10) 내부로 삽입되며, 이로써 실린지(10)가 막힌다.
우선 상기 캡(25)을 노즐부(13)로부터 분리시킨다. 그 후 용기(3)와 공급관(4)을 접속한다. 즉, 실린지(10)의 노즐부(13)를 공급관(4)의 접속부(20)로 삽입한다. 노즐부(13)를 접속부(20)로 깊이 삽입해 가면, 노즐부(13)의 테이퍼면(13b)이 접속부(20)의 결합면(20)에 밀어 붙여진다. 이때, 노즐부(13) 및 접속부(20)가 수지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약간 탄성 변형하면서 테이퍼면(13b)과 결합면(20a)이 밀착된 상태로 된다. 노즐부(13)가 접속부(20)로 완전히 삽입되기 직전의 타이밍으로, 노즐부(13)의 돌출부(14)가 접속부(20)의 홈부(23)에 끼워지기 시작한다. 이때, 돌출부(14)의 삽입방향 선단측에 경사부(14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출부(14)가 홈부(23)에 쉽게 끼워진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14)가 홈부(23)에 완전히 끼워진 상태, 즉 노즐부(13)가 접속부(2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부(14)가 홈부(23)에 결합된다. 이로써 노즐부(13)가 접속부(20)에서 불의로 빠지는 일이 방지되며, 노즐부(13)의 테이퍼면(13b)과 접속부(20) 결합면(20a)과의 밀착상태가 유지되어, 높은 액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노즐부(13)가 접속부(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노즐부(13)에 대하여, 접속부(20)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 경우, 돌출부(14)의 에지부(14b)가 홈부(23)의 내면에 들어가게 된다. 이로써, 노즐부(13)의 빠짐이 저지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공급관(4)의 접속부(20) 두께가 삽입관부(15) 두께보다 두 꺼우므로, 접속부(20)의 강성(rigidity)이 삽입관부(15)에 비해 높게 된다. 이로써, 접속부(20)에 외력이 작용해도, 이 접속부(20)와 노즐부(13)의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은, 체액누출 방지제(2)를 인후부(B)로 주입하는 요령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7의 C는 혀, D는 기관, E는 식도, F는 경추, G는 구강을 각각 나타낸다.
우선 삽입관부(15)를 그 선단측부터 비공(A)으로 삽입해 간다. 이때 삽입관부(15)는 중간부(19)나 접속부(20)보다 두께가 얇고 유연하므로, 비공(A)의 내부형상을 따라 변형되기 쉬우므로, 삽입력이 작아도 된다.
삽입관부(15)가 비공(A) 안쪽으로 깊이 삽입되어 가고 삽입관부(15)의 제 1∼제 3 주입공(16∼18)이 인후부(B)에 달하면, 스토퍼(22)가 코끝(A1)에 닿는다. 즉, 스토퍼(22)는 삽입관부(15)의 선단측이 인후부(B)에 도달했음을 표시하는 눈금으로서 기능한다. 스토퍼(22)가 코끝(A1)에 닿으면, 삽입관부(15)를 그 이상 삽입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스토퍼(22)가 코끝(A1)에서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삽입관부(15)의 삽입을 중지한 경우, 삽입관부(2)의 선단측이 인후부(B)에 달하지 않은 것이 된다. 이 인후부(B)에 달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삽입관부(15)를 비공(A)으로 더 밀어 넣는다.
삽입관부(15)를 비공(A)으로 밀어 넣을 때의 삽입저항이 클 때는, 일단 빠지는 방향으로 움직인 후 다시 삽입하거나, 다른 쪽 비공(A)으로 삽입한다. 이와 같 이 함으로써, 삽입관부(15)를 인후부(B)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체처치의 초심자라도 삽입관부(15)를 인후부(B)까지 간단히 삽입할 수 있다.
그 후, 피스톤(11)의 압출봉(11b)을 실린지(10)에 넣으면, 압출부(11a)가 실린지(10)의 내면을 습동하여 노즐부(13) 쪽으로 진행한다. 이로써 실린지(10) 내 체액누출 방지제(2)가 노즐부(13)를 통해 개구부(13a)에서 공급관(4)의 중간부(19)를 지나, 삽입관부(15) 내로 보내진다. 삽입관(15) 내로 보내진 체액누출 방지제(2)는 내부통로(R)를 유통하며, 제 1∼제 3 주입공(16∼18)으로부터 인후부(B)로 주입된다. 이 체액누출 방지제(2)의 주입 시에는, 압출부(11a)에 의한 압력이 노즐부(13) 내부에서 공급관(4) 내부에 걸쳐 작용하는데, 상기와 같이 테이퍼면(13b)과 결합면(20a)이 밀착되는 점과, 돌출부(14)가 홈부(23)에 결합되는 점에 의해, 노즐부(13)가 접속부(20)로부터 불의로 빠지는 것이 방지됨과 더불어, 체액누출 방지제(2)가 노즐부(13)와 접속부(20) 사이에서 누출되는 것도 방지된다.
또 체액누출 방지제(2)를 인후부(B)로 주입할 때, 예를 들어 삽입관부(15)의 제 2 주입공(17) 일부 또는 전부가 비공(A)의 내벽이나 인후부(B)의 내벽으로 막히는 상황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체액누출 방지제(2)는 제 3 주입공(18)으로부터 토출되고, 삽입관부(15)의 외주면과 비공(A) 내벽 사이를 통해 인후부(B)로 유도됨과 더불어, 제 1 주입공(16)으로부터 인후부(B)로 주입된다.
또한 체액누출 방지제(2)를 인후부(B)로 주입하는 요령으로는, 상기와 같이 용기(3)와 공급관(4)을 접속한 후, 공급관(4)의 삽입관부(15)를 비공(A)으로 삽입하는 방법 이외에, 공급관의 삽입관부(15)를 비공(A)으로 삽입한 후에 용기(3)와 공급관(4)을 접속하는 방법도 있다.
후자의 방법에서는, 우선 삽입관부(15)를 비공(A)으로부터 인후부(B)로 삽입한다. 그리고 실린지(10)의 노즐부(13)를 공급관(4)의 접속부(20)에 삽입하여, 돌출부(14)를 홈부(23)에 결합시킨다. 이로써 용기(3)와 공급관(4)이 접속된다. 그리고 피스톤(11)을 조작함으로써, 체액누출 방지제(2)가 공급관(4)을 통해 인후부(B)로 주입된다.
따라서 이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3)와 공급관(4)과의 접속구조(Y)에 의하면, 용기(3)의 노즐부(13) 외주면에 돌출부(14)를 형성하고, 공급관(4)의 접속부(20) 내주면에 홈부(23)를 형성하여, 노즐부(13)를 접속부(20)에 삽입한 상태에서 돌출부(14)를 홈부(23)에 끼우도록 하므로, 용기(3)와 공급관(4)의 접속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로써, 체액누출 방지제(2)를 사체로 주입하는 작업 중에 체액누출 방지제(2)가 접속부분에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공급관(4)이 용기(3)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공급관(4)의 삽입관부(15)와 접속부(20)를 일체 성형함으로써, 양자를 별개로 성형한 경우에 이용되는 접착제가 필요 없게 된다. 이로써, 접착제가 삽입관부(15)와 접속부(20) 사이에서 삽입관부(15)의 내부통로(R)로 비어져 나오는 일은 없으며, 접착제로 인한 내부통로(R)의 폐색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노즐부(13)의 테이퍼면(13b)에 공급관(4)의 접속부(20) 결합면(20a)이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부(14)가 홈부(23)에 결합되므로, 돌출부(14)가 홈부(23)로부터 이탈되기 어렵다. 이로써 용기(3)와 공급관(4)을 한층 더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 실린지(10) 내를 습동하는 피스톤(11)으로 체액누출 방지제(2)를 실린지(10)로부터 밀어내도록 하므로, 사용 전에는 체액누출 방지제(2)를 실린지(11) 내에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한편, 주입작업 시에는 피스톤(11)을 실린지(10)로 밀어 넣는다는 간단한 조작으로 체액누출 방지제(2)를 인후부(B)로 주입할 수 있다.
그리고 체액누출 방지제(2)를 인후부(B)로 주입한 후 사체처치장치(1)를 폐기할 때는, 용기(3)와 공급관(4)을 접속시킨 상태라도 되며, 분리시킨 상태로 해도 된다. 용기(3)와 공급관(4)을 분리할 경우에는 실린지(10)의 노즐부(13)를 공급관(4)의 접속부(20)로부터 강하게 당기면 된다.
또 도시하지 않으나, 공급관(4)의 접속부(20) 내주면에 결합부로서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노즐부(13) 외주면에 결합부로서의 홈부를 형성하여, 이들을 결합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와 같이, 공급관(4)의 접속부(20) 주벽부에 노즐부(13)의 돌출부(14)가 결합되는 관통공(결합부)(30)을 형성해도 된다. 이 변형예에서는 관통공(30)에 노즐부(13)의 돌출부(14)를 결합함으로써 관통공(30)과 돌출부(14)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 도시하지 않으나, 노즐부(13)의 주벽부에 관통공(결합부)을 형성하여, 접속부(20)의 내주면에 관통공에 결합되는 돌출부(결합부)를 형성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와 공급관과의 접속구조에 이용되는 공급관(31)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급관(31)의 삽입관부(32) 삽입방향 선단측 소정범위는 그 선단부가 베이스부보다 지름방향 한쪽에 위치하도록 만곡된다. 또 삽입관부(32)의 선단면에는 제 1 주입공(16)이 개구되지 않으며, 삽입관부(32)의 삽입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된 만곡면부(32a)에 의해 막힌다. 삽입관부(32)의 선단측 주벽부에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및 제 3 주입공(17, 17, 18, 18)과 마찬가지로, 합계 4개의 주입공(36, 36, 37, 37)이 형성된다.
또 삽입관부(32)의 베이스측 바깥지름은 베이스를 향해 서서히 커진다. 또한 삽입관부(32)의 베이스측 두께는 선단측에 비해 두껍게 된다. 이 삽입관부(32)의 베이스부에 이어지는 중간부(33)와, 이 중간부(33)에 이어지는 접속부(34)는 거의 같은 두께로 형성된다. 따라서 중간부(33)의 외주면과 접속부(34) 외주면은 매끄럽게 이어지며, 또 중간부(33)의 내주면과 접속부(34) 내주면도 매끄럽게 이어진다.
접속부(34)의 외주면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결합면(34a)으로 구성된다. 접속부(34)의 주벽부에는 2개의 관통공(결합부)(35, 35)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각 관통공(35)은 접속부(34)의 둘레방향으로 이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관통공(35)은 공급관(31)을 사출성형 금형(도시 생략)으로 성형할 때, 관통공(35)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한 전단금형(trimming die)으로 성형된다. 이로써, 성형 후의 가공에 의해 관통공(35)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저원가로 관통 공(35)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이 공급관(31)의 외주면에는, 제 1 실시형태의 스토퍼(22)와 마찬가지로 삽입관부(32)로의 지나친 삽입을 방지하는 스토퍼(38)가 형성된다. 이 스토퍼(38)의 둘레방향 일부는 직선상으로 절단되며, 그 절단부분으로 직선부(38a)가 구성된다. 이 직선부(38a)의 둘레방향 위치는 삽입관부(32) 선단측의 만곡방향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직선부(38a)의 둘레방향 위치와, 삽입관부(32)의 만곡방향을 대응시킴으로써, 작업자는 삽입관부(32)를 인후부(B)로 삽입한 상태에서 삽입관부(32)의 만곡방향을 비공(A)의 바깥쪽에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 제 2 실시형태의 접속구조에 이용되는 용기는 제 1 실시형태의 용기(3)와 동일하므로, 이하, 제 1 실시형태의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용기(3)와 공급관(31)을 접속할 때, 공급관(31)의 접속부(34)에 관통공(35, 35)을 형성하므로, 각 관통공(35)에 용기(3)의 노즐부(13) 돌출부(14)가 끼워져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작업자가 접속부(34)의 바깥쪽에서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접속부(34)의 관통공(35)에 노즐부(13)의 돌출부(14)를 결합시킴으로써, 용기(3)와 공급관(31)과의 접속을 확실하게 할 수 있으며, 체액누출 방지제(2)가 접속부분에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공급관(31)이 용기(3)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의 공급관(31)을 인후부(B)로 삽입할 때는, 삽입관부(32)가 만곡되어 있어 비공(A)에서 인후부(B)까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므로, 삽입관부(32)를 인후부(B)까지 매끄럽게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삽입관부(32)의 만곡정도를 지나치게 크게 하면, 비공(A)으로의 삽입작업이 어려워지므로, 예를 들어 삽입관부(32)의 선단부 중심이 베이스부의 중심에 대하여, 삽입관부(32) 선단의 지름의 절반에서 3배 정도 범위에서, 지름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되도록 삽입관부(32)를 만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스토퍼(38)의 일부를 절단하여 직선부(38a)를 형성하고, 이 직선부(38a)의 위치를 삽입관부(32)의 만곡방향에 대응시키므로, 스토퍼(38)가 코끝(A1)에 접근했을 때, 코끝(A1)과 윗입술 사이의 피부(코의 아래부분)에 닿기 어려워져, 삽입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변형예 1과 같이, 공급관(31)의 접속부(34) 주벽부에, 결합부로서의 제 1 홈부(40) 및 제 2 홈부(41)를 형성하며, 용기(3)의 노즐부(13) 주벽부에는, 상기 제 1 홈부(40) 및 제 2 홈부(41)로 삽입되는 핀부(결합부)(42)를 형성해도 된다. 제 1 홈부(40)는 접속부(34)의 축선방향 중간부에서 둘레방향으로 이어진다. 제 2 홈부(41)는 제 1 홈부(40)의 일단부에 연속되며, 접속부(34) 주벽부의 축방향으로 이어지고 접속부(34)의 베이스부에 달한다.
이 변형예 1에서, 용기(3)와 공급관(31)을 접속할 때에는, 우선 노즐부(13)를 접속부(34)로 삽입해 가고, 핀부(42)를 제 2 홈부(41)로 삽입한다. 핀부(42)가 제 2 홈부(41)의 선단측에 달하면, 접속부(34)를 노즐부(13)에 대하여 회전시켜 핀부(42)를 제 1 홈부(40) 내에 위치 결정하고, 그 후,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 이, 핀부(42)를 제 1 홈부(40)의 제 2 홈부(41)와는 반대쪽 단부에 위치결정 한다. 이로써, 핀부(42)와 제 1 홈부(40)가 결합된 상태로 되어, 노즐부(13)의 빠짐이 저지된다. 또 접속부(34)를 노즐부(13)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노즐부(13)의 테이퍼면부(13b)와 접속부(34) 결합면(34a)을 강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용기(3)와 공급관(31)을 접속할 때, 노즐부(13)를 접속부(34)에 대하여 회전시켜도 된다.
상기 변형예 1의 제 1 홈부(40)는, 도 12에 나타내는 변형예 2와 같이, 제 2 홈부(41)와 반대쪽으로 감에 따라 접속부(34)의 베이스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이로써, 핀부(42)가 제 1 홈부(40)로 들어간 상태에서 접속부(34)와 노즐부(13)의 상대회전이 억제되어, 핀부(42)가 제 1 및 제 2 홈부(40, 41)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진다. 또 제 1 홈부(40)는, 제 2 홈부(41)와 반대쪽으로 감에 따라 접속부(34)의 선단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으나,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를 노즐부(13)에 형성하며, 핀부를 접속부(34)의 내주면에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변형예 1, 2에 있어서, 제 1 홈부(40) 및 제 2 홈부(41) 대신, 이들과 마찬가지로 이어지는 형상의 제 1 오목부 및 제 2 오목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 도 13에 나타내는 변형예 3과 같이, 캡(25)에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결합부(25a)를 형성하여, 이 결합부(25a)를 노즐부(13)의 돌출부(14)에 끼우도록 해도 된다. 캡(25)은 바닥이 있는 통모양을 이루며, 결합부(25a)는 캡(25)의 내주면에서 둘레방향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결합부(25a)는 오목부에 한정되는 것이 아 니며, 예를 들어 관통공이라도 된다.
또한 캡(25)의 개방측 단부에는 플랜지부(25b)가 형성된다. 캡(25)을 노즐부(13)로부터 분리시킬 때, 플랜지부(25b)에 손가락을 걸음으로써 분리하기 쉽게 구성된다. 플랜지부(25b)의 형상으로는, 캡(25)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둘레방향으로 연속되어 이어지는 형상이라도 되며, 둘레방향의 일부에만 돌출되는 형상이라도 된다. 또 도시하지 않으나, 캡(25)에는 손가락을 걸 수 있는 고리형으로 형성한 것을 설치해도 된다.
또 도 14에 나타내는 변형예 4와 같이, 캡(25)을 고무로 형성해도 된다. 이 캡(25)은 개방측이 노즐부(13)의 바깥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캡(25)을 노즐부(13)에 장착한 상태에서, 캡(25)이 노즐부(13)의 돌출부(14)에 걸려 빠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변형예 5와 같이, 공급관(31)의 접속부(34) 결합부를 암나사부(50)로 구성해도 된다. 이 암나사부(50)는 접속부(34)의 결합면(34a)에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이 변형예 5에서 노즐부(13)의 결합부는 도시하지 않으나, 암나사부(50)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결합부)로 구성된다. 수나사부를 암나사부(50)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양자가 결합된 상태로 된다.
또, 도 16에 나타내는 변형예 6과 같이, 공급관(31)의 중간부(33) 바깥지름을 삽입관부(32)의 바깥지름보다 크게 하여 공급관(31)의 외주면에 단차부(51)를 형성해도 된다. 이 단차부(51)는, 삽입관부(32)의 제 1∼제 3 주입공(16∼18)이 인후부(B)에 달하거나 또는 인후부(B) 근방에 달했을 때에 코끝(A1)에 닿는 스토퍼 를 구성한다.
또한 이 변형예 6에서는, 공급관(31)의 접속부(34)에, 축방향으로 이어지는 4개의 슬릿(55, 55, …)이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접속부(34)의 결합면(34a)에는 결합부로서의 홈부(52)가 형성된다. 접속부(34)에 슬릿(55, 55, …)을 형성함으로써, 노즐부(13)를 접속부(34)로 삽입했을 때에 접속부(34)가 변형되며, 이로써 노즐부(13)의 돌출부(14)가 접속부(34)의 홈부(52)에 끼워지기 쉬워진다.
또 도 17∼도 19에 나타내는 변형예 7과 같이, 공급관(31)의 접속부(34) 결합부를 갈고리부(56)로 구성하여, 노즐부(13)의 결합부를, 갈고리부(56)가 끼워지는 오목부(57)로 해도 된다. 이 변형예 7의 공급관(31)에는, 변형예 6과 마찬가지로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단차부(51)가 형성된다. 그리고 접속부(34)에는 변형예 6과 마찬가지로 슬릿(55, 55, …)이 형성된다. 갈고리부(56)는, 4개가 접속부(34)의 둘레방향으로 떨어져 설치되어 있고, 접속부(34)의 베이스부에서 이 접속부(34)의 안쪽을 향해 돌출된다. 한편 오목부(57)는 노즐부(13)의 둘레방향으로 연속된다.
또한 도 20에 나타내는 변형예 8과 같이, 공급관(31)의 삽입관부(32) 선단측에, 선단을 향해 가늘게 형성된 선세부(60)를 형성해도 된다. 선세부(60)의 선단면에는 가는 구멍으로 된 제 1 주입공(16)이 개구된다. 또 제 3 주입공(18)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 변형예 8에서는 제 2 및 제 3 주입공(17, 18)이 비공(A)의 내벽 등으로 막힌 경우에 체액누출 방지제(2)를 제 1 주입공(16)에서 인후부(B)로 주입하기가 가능하다. 또한 선세부(60)에 제 1 주입공(16)을 개구시킴으로써, 선세부(60)의 강성이 저하되어 선세부(60)를 절곡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삽입관부(32)를 인후부(B)로 삽입할 때, 선세부(60)를 변형시켜 비공(A) 안쪽으로 매끄럽게 삽입할 수 있다.
또 도 21에 나타내는 변형예 9와 같이, 공급관(31)의 삽입관부(32) 선단면에 제 1 주입공을 형성하는 일없이, 만곡면부(63)로 막도록 해도 된다. 이 만곡면부(63)에는 돌출부(64)가 형성되며, 이 돌출부(64)는 삽입관부(32)의 축선에서 지름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된다. 또한 제 2 주입공(17, 17)은 도 21에 나타내는 삽입관부(32)의 상하 양쪽에 각각 형성된다. 이들 제 2 주입공(17, 17)에 의해 삽입관부(32)의 선단측이 절곡되기 쉬워지며, 만곡면부(63)가 도 21의 상하방향(삽입관부(32)의 지름방향)으로 용이하게 변위되도록 된다. 또 삽입관부(32)를 삽입할 때, 돌출부(64)가 비공(A) 내벽에 닿았을 경우에 삽입관부(32)의 선단측이 인후부(B) 방향으로 쉽게 절곡되므로, 삽입관부(32)를 매끄럽게 삽입할 수 있다.
또 도 22에 나타내는 변형예 10과 같이, 공급관(31)의 삽입관부(32) 선단부에 덮개부재(66)를 끼워 넣어도 된다. 이 덮개부재(66)의 바깥면은 삽입관부(32)의 삽입방향으로 만곡되는 만곡면(66a)으로 구성된다. 또한 덮개부재(66)의 만곡면(66a)은 상기 변형예 9의 삽입관부(32) 선단면 형상과 마찬가지로 해도 된다.
또한 제 1∼제 3 주입공(16∼18)은, 삽입관부(32)에 십자형의 절단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체액누출 방지제(2)의 주입시에 그 토출압력에 의해 절단부분이 벌려져 개구되며, 체액누출 방지제(2)가 토출된다. 주입 후에는 절단부분이 폐쇄되므로, 삽입관부(32)를 비공(A)으로부터 끌어냈을 때에 삽입관부(32) 내의 체액누출 방지제(2)가 누출되기 어려워진다. 이 절단형상은 직선이라도 되며, 곡선이라도 된다.
또 제 1∼제 3 주입공(16∼18)의 형상은 원형이나 타원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직선형의 슬릿형상, 활모양으로 만곡된 슬릿형상, 다각형 등이라도 된다.
또한 제 2 및 제 3 주입공(17, 18)은 각각 삽입관부(32)의 둘레방향으로 120도 간격을 두고 3개 개구시켜도 되며, 90도 간격으로 4개 개구시켜도 된다.
또 제 1∼제 3 주입공(16∼18) 중 어느 하나를 노치(notch)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삽입관부(32)에는, 도시하지 않으나 제 3 주입공(18)에서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개구되는 주입공을, 제 2 주입공과는 별도로 형성해도 된다.
또 도시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제 1∼제 3 주입공(16∼18)의 바깥쪽에 박막재료로 된 일방향 밸브를 설치해 두고, 사용 후에 삽입관부(32) 내에 남은 체액누출 방지제(2)가 주입공(16∼18)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박막재료의 일부를 삽입관부(32)의 외주면에 접합해두고, 삽입관부(32) 내 체액누출 방지제(2)를 주입할 때에는, 그때의 토출압력에 의해 박막재료가 일부를 남기고 외주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주입 시에 체액누출 방지제(2)의 토출압력에 의해 제 1∼제 3 주입공(16∼18)이 개방되어 체액누출 방지제(2)가 인후부(B)로 주입된다. 그리고 주입 후는 피스톤(16)을 조금 당겨, 수용 부(12) 내에 음압을 작용시킴으로써, 삽입관부(32) 내 체액누출 방지제(2)를 실린지(10) 내로 흡인시키도록 한다. 이로써 박막재료가 삽입관부(32) 외주면에 밀착되게 되어 제 1∼제 3 주입공(16∼18)이 막힌다. 이 박막재료로 막힌 주입공은 제 1∼제 3 주입공(16∼18) 중 임의의 1개라도 되며, 2개라도 된다.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 1∼10은 제 1 실시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용기(3)의 노즐부(13) 돌출부(14)나, 돌출부(14)보다 선단측을 착색시켜, 다른 부분과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구별하고, 또 공급관(31)의 접속부(34)를 투광성 재료로 구성해도 된다. 이로써 노즐부(13)의 돌출부(14)가 접속부(34)의 바깥쪽에서 비춰 보이게 되며, 돌출부(14)가 관통공(35)에 결합됐는지 여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23 및 도 24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와 공급관의 접속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공급관(4)을 비공(A)으로 넣어 인후부(B)까지 삽입하도록 했으나, 본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관(131)을 입으로부터 구강(G)으로 넣어 인후부(B)까지 삽입하도록 한 점에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다르다. 그리고 이 제 3 실시형태의 공급관(4)을 비공(A)으로 넣어 인후부(B)까지 삽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급관(131)은 비공(A)에서 넣는 경우와 구강(G)에서 넣는 경우가 겸용되는 겸용 공급관이 된다.
이 제 3 실시형태의 공급관(131)은 구조상, 삽입관부(132)에 눈금(136)이 형 성되는 점에서 제 2 실시형태의 공급관(31)과는 다르며, 길이나 굵기는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눈금(136)은 스토퍼(38)에서 삽입관부(132)의 선단측으로 거리를 두고 위치가 정해진다. 눈금(136)은 삽입관부(132)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이어지는 소정 폭의 띠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삽입관부(132)의 색과는 다른 색으로 착색된 것이다. 이 눈금(136)은 단색으로 형성해도 되며, 다색으로 형성해도 되고, 무늬나 문자 등으로 형성해도 된다.
눈금(136)은, 구강(G)에서 인후부(B)까지 넣을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즉, 일반적으로 입에서부터 구강(G)을 통해 인후부(B)까지 달하는 거리는, 코끝(A1)에서부터 비공(A)을 통해 인후부(B)까지 달하는 거리보다 짧다. 이때문에 삽입관부(132)를 입으로부터 인후부(B)까지 삽입할 때, 예를 들어 비공(A)으로부터 삽입하는 것을 상정하여 위치 설정된 스토퍼(38)가 입술이나 앞니에 닿을 때까지 삽입해 버리면, 주입구(36, 37)가 인후부(B)의 적절한 위치보다 안쪽으로 들어가게 되어, 체액누출 방지제(2)가 목표으로 하는 인후부(B)의 부위에 주입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즉,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관부(132)의 삽입작업 시, 스토퍼(38)가 입술이나 앞니에 닿기 전에, 눈금(136)이 입술이나 앞니에 접근했을 때에 삽입을 중지함으로써, 삽입관부(132)가 지나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체액누출 방지제(2)를 인후부(B)의 목표 부위로 확실하게 주입할 수 있다.
이 공급관(131)을 비공(A)으로부터 인후부(B)로 삽입하는 경우에는 스토퍼(38)가 비공(A)의 코끝(A1)에 닿을 때까지 삽입하면 된다. 이로써 체액누출 방 지제(2)를 인후부(B)의 목표 부위로 확실하게 주입할 수 있다. 이 스토퍼(38)는 삽입관부(132)의 인후부(B)로의 삽입량을 나타내는 눈금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눈금(136)으로서는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삽입관부(132)의 외주면에 형성한 단차라도 되며, 삽입관부(132)의 외주면을 일부만 거칠게 표면처리한 부위라도 되고, 바깥지름 부분의 일부를 스토퍼가 되도록 절단한 것이라도 된다. 또 도시하지 않으나, 삽입관부(132)와 다른 부재로 구성한 별개의 스토퍼를 삽입관부(132)에 형성하고, 이 별개의 스토퍼를 삽입관부(132)의 외주면 위를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삽입관부(132)를 비공(A)에서 인후부(B)로 삽입하는 경우와, 삽입관부(132)를 구강(G)에서 인후부(B)로 삽입하는 경우, 별개 스토퍼의 위치를 변경하여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어느 쪽 경우에도 별개의 스토퍼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 별개 스토퍼는 삽입관부(132)의 인후부(B)로의 삽입량을 나타내는 눈금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또 도시하지 않으나, 삽입관부(132)의 스토퍼(38)보다 선단측에, 다른 부재로 된 고리형 스토퍼를 배치해두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삽입관부(132)를 비공(A)에서 인후부(B)로 삽입하는 경우와, 삽입관부(132)를 구강(G)에서 인후부(B)로 삽입하는 경우, 고리형 스토퍼를 대응하는 부위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어느 쪽 경우에도 고리형 스토퍼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5는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 1을 나타낸다.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 1 에서는 양끝이 개방된 커버통(235)을 삽입관부(132)에 씌우도록 한다. 커버통(235)은 상기와 같은 스토퍼나 눈금, 또는 그 양쪽으로서 기능하며, 공급관(131)에 대하여 탈착 자유롭게 구성된다. 커버통(235)의 축방향 일단부에는 플랜지부(236)가 형성된다. 또 커버통(235)의 안지름은 삽입관부(132)의 베이스측 바깥지름보다 작게 설정된다.
이 변형예 1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급관(131)의 삽입관부(132)를 구강(G)으로 넣기 전에 커버통(235)을 삽입관부(132)에 씌우고 세팅한다. 이때, 커버통(235)의 플랜지부(236) 쪽과 반대쪽이 스토퍼(38)에 닿도록 커버통(235)의 방향을 정해둔다. 그리고 커버통(235)의 플랜지부(236) 쪽과 반대쪽이 스토퍼(38)에 닿을 때까지 커버통(235)을 이동시키면, 커버통(235)의 안지름이 삽입관부(132)의 베이스측 바깥지름보다 작게 설정됨으로써, 커버통(235)의 내주면이 삽입관부(132)의 외주면에 압접(壓接)한다. 이로써 커버통(235)이 삽입관부(132)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커버통(235)의 내주면에 볼록부를 형성하여, 이 볼록부를 삽입관부(132) 외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커버통(235)의 빠짐을 억제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커버통(235)을 삽입관부(132)에 세팅한 후 삽입관부(132)를 구강(G)으로 넣어, 커버통(235)의 플랜지부(236)가 입술이나 앞니에 닿을 때까지 삽입한다. 이로써, 주입구(36, 37)를 인후부(B)의 적절한 위치에 정할 수 있다. 커버통(235)의 세팅 위치는 스토퍼(38)에 닿기 직전으로 해도 된다.
또, 도 26은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 2를 나타낸다. 제 3 실시형태의 변형 예 2에서는 바닥이 있는 커버통(335)을 삽입관부(32)에 씌우도록 하고 있다. 커버통(335)의 선단부는 만곡면으로 구성된다. 커버통(335)의 선단측에는 삽입관부(132)의 주입구(36, 37)에 일치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커버통(335)의 베이스측에는 지름확대부(336)가 형성된다. 이 지름확대부(336)는 상기 스토퍼나 눈금, 또는 그 양쪽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또 커버통(335)의 안지름은 삽입관부(132)의 베이스측 바깥지름보다 작게 설정된다. 또한 이 커버통(335)은 전체적으로 만곡되어 있고, 그 만곡 정도는 삽입관부(132)의 만곡 정도(도 26에 가상선으로 나타냄)보다 크게 설정된다.
이 변형예 2의 것을 사용할 때에는, 공급관(131)의 삽입관부(132)를 구강(G)으로 넣기 전에 커버통(335)을 삽입관부(132)에 씌우고 세팅한다. 이때, 커버통(335)의 선단측 개구부를 삽입관부(132)의 주입구(36, 37)에 맞춘다. 또 삽입관부(132)의 선단부를 커버통(335)의 선단부 내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커버통(335)의 위치를 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커버통(335)을 삽입관부(132)에 세팅한 후, 삽입관부(132)를 커버통(335)과 함께 구강(G)으로 넣어, 커버통(235)의 지름확대부(336)가 입술이나 앞니에 닿을 때까지 삽입한다. 이로써 삽입관부(132)의 주입구(36, 37)를 인후부(B)의 적절한 위치에 정할 수 있다.
변형예 2에서는 커버통(335)을 삽입관부(132)에 씌우므로, 인후부(B)로 삽입하는 부분의 바깥지름은 커지지만, 구강(G)은 비공(A)보다 크게 벌려지므로, 인후부(B)로의 삽입에 있어서 문제되지 않는다. 또 커버통(335)을 씌움으로써, 삽입관 부(132)가 보강되어, 구부러지기 어려워진다. 이로써 삽입관부(132)를 구강(G)으로 넣을 때에 삽입관부(132)가 불필요하게 구부러지기 어려워져, 매끄롭게 삽입할 수 있다. 또 지름이 커짐으로써, 작업자는 구강(G)에서 인후부(B)로 삽입하기 위한 것임을 외관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통(235, 335) 이외에도, 예를 들어 삽입관부(132)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부재로 스토퍼나 눈금을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은 부재로는, 예를 들어 자바라형의 관 부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삽입관부(132)에 테이프를 감아, 이를 스토퍼나 눈금으로 해도 된다. 또한 단면 "C"자형의 수지제 탄성 링부재를 삽입관부(132)의 바깥쪽에 끼워, 이를 스토퍼나 눈금으로 해도 된다. 이 탄성 링부재를 삽입관부(132)에 장착할 경우, 탄성 링부재(32)를 지름방향으로 확대시키면 되므로, 삽입관부(132)로의 장착작업은 쉽다.
[제 4 실시형태]
도 2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공급관(431)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공급관(431)은 구강(G)에서 인후부(B)로 삽입하는 경우에만 이용되는 것으로, 그 길이는 상기 제 1∼제 3 실시형태의 것보다 짧게 설정된다. 또 제 4 실시형태에서 공급관(431)의 바깥지름(D2)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바깥지름(D1)(도 9에 나타냄)보다 크게 설정된다.
공급관(431)의 선단면에는 주입구(436)가 형성된다. 또 공급관(431)의 선단측 주벽부에는 2개의 주입구(437)(도 27에는 1개만 나타냄)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공급관(431)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기능하는 스토 퍼(43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438)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공급관(431)은 구강(G)의 만곡된 형상을 따르도록 만곡된다. 또한 공급관(431)은 구강(G)으로 삽입해도 거의 변형되지 않도록 높은 강성을 갖는다.
이 제 4 실시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급관(431)을 구강(G)에서 인후부(B)로 삽입해 가면, 공급관(431)의 스토퍼(438)가 입술이나 앞니에 닿음으로써, 주입구(436, 437)가 인후부(B) 내에서 최적의 위치가 된다. 또 이 공급관(431)을 삽입할 때, 사체가 사후경직되기 전이면, 입을 크게 벌리도록 해도 된다. 공급관(431)을 인후부(B)로 삽입한 상태에서는 공급관(431)이 상기와 같이 높은 강성을 가지며, 더욱이 구강(G)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만곡되어 있으므로, 공급관(431)이 변형되어 그 안지름이 좁아지는 일은 없으며, 체액누출 방지제(2)를 인후부(B)로 매끄럽게 주입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관(431)은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공급관(431)이 사체의 구강(G)의 만곡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되게 된다.
또 접속부(34)에는 제 1 실시형태의 홈부(결합부)(23)와 마찬가지의 홈부(결합부)(435)가 형성된다. 홈부(43) 대신에 제 2 실시형태와 같은 관통공을 형성해도 된다.
이 제 4 실시형태에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의 비공(A)에서 인후부(B)까지 삽입하도록 구성된 비공용 공급관(4, 31)과, 제 3 및 제 4 실시형태의 구강(G)으로부터 인후부(B)까지 삽입하도록 구성된 구강용 공급관(131, 431)을 세트로 해 두어도 된다.
또한 제 1∼제 4 실시형태에서, 체액누출 방지제(2)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부제, 부식방지제, 살균제, 멸균제, 방향제, 소독제 등을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첨가해도 된다. 또 체액누출 방지제(2)에는, 예를 들어 안정화 이산화염소, 폴르말린, 알코올류, 페놀류, 나무에서 채취한 기름 등을 첨가해도 된다.
상기 제 1∼제 4 실시형태에서는 용기(3)의 수용부(12)를 실린지(10)로 구성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연성을 갖는 튜브와 같은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체액누출 방지제(2)를 수용부로부터 짜내도록 하면 된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공급관(4)이나 제 2 실시형태의 공급관(31)을 구강(G)(도 7에 나타냄)으로부터 인후부(B)로 삽입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 1∼4 실시형태의 공급관(4, 31, 131, 431)의 접속부(20, 34)와 삽입관부(15, 32, 132)를 수지로 별개로 성형해 두고, 이들을 용착시켜 일체화하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접속부(20, 34)를 구성하는 수지와, 삽입관부(15, 32, 132)를 구성하는 수지를 달리 할 수 있으므로, 공급관(4, 31)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공급관(4, 31, 131, 431)을 구성하는 재료는, 상기한 유연성을 갖는 수지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경질 수지재나 금속재료, 섬유재 등이라도 된다.
또한 공급관(4, 31, 131, 431)의 삽입관부(15, 32, 132) 단면형상은 원형 이외에 타원형이라도 된다.
또 상기 공급관(4, 31)을 유아에 사용할 경우, 공급관(4, 31)의 선단에서 약 5㎝ 정도 부위에 눈금 또는 스토퍼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동용으로는, 삽입관부(15)의 선단에서 약 8㎝ 정도 부위에 눈금 또는 스토퍼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공급관(4, 31)을, 비공(A)으로부터 인후부(B)로 삽입하는 경우와, 구강(G)으로부터 인후부(B)로 삽입하는 경우의 양쪽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눈금이나 스토퍼를 2군데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아동용 눈금을 공급관(4, 31)의 축방향으로 넓게 형성하여, 그 눈금의 선단측(공급관(4, 31)의 선단측)을 구강(G)으로부터 삽입하는 경우에 눈금으로서 이용하며, 후단측(공급관(4, 31)의 베이스측)을 비공(A)으로부터 삽입하는 경우에 눈금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유아용 공급관과, 아동용 공급관과, 성인용 공급관을 세트로 해 두고,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 가능하게 해도 된다. 유아용 공급관과, 아동용 공급관과, 성인용 공급관에 식별 마크를 붙여도 되며, 이들 공급관의 색을 서로 다르게 해도 된다. 또 유아용과 아동용과 성인용에서 용기(3)의 크기를 바꾸어도 된다. 또한 유아용과 아동용과 성인용에서 체액누출 방지제(2)의 성분이나 주입량을 바꾸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용기와 공급관과의 접속구조, 용기 및 공급관은, 예를 들어 사체의 인후부로 체액누출 방지제를 주입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3)

  1. 체액누출 방지제를 사체의 인후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이 접속되는 용기로서,
    상기 체액누출 방지제가 충전되는 수용부와, 이 수용부에 형성된 노즐부와, 이 노즐부에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며, 이 노즐부가 상기 공급관에 형성된 접속부에 접속되고,
    상기 노즐부의 결합부는, 상기 접속부가 갖는 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사체용 체액누출 방지제를 수용하는 용기에 접속되는 공급관으로서,
    사체의 인후부로 삽입되는 삽입관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관부의 삽입방향 선단측에는 주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관부의 베이스측에는, 상기 용기에 형성된 노즐부에 접속되는 접속부가 설치되며,
    상기 접속부에는, 상기 노즐부가 갖는 결합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097019881A 2007-04-09 2008-04-09 용기와 공급관과의 접속구조, 용기 및 공급관 KR1014675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57851 WO2008129618A1 (ja) 2007-04-09 2007-04-09 容器と供給管との接続構造、容器及び供給管
WOPCT/JP2007/057851 2007-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550A KR20100014550A (ko) 2010-02-10
KR101467596B1 true KR101467596B1 (ko) 2014-12-04

Family

ID=39863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881A KR101467596B1 (ko) 2007-04-09 2008-04-09 용기와 공급관과의 접속구조, 용기 및 공급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07380A1 (ko)
EP (1) EP2132986A1 (ko)
KR (1) KR101467596B1 (ko)
CN (1) CN101652060A (ko)
AU (1) AU2008238738A1 (ko)
WO (2) WO20081296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1944B2 (ja) * 2006-01-04 2011-06-29 株式会社アゼックス 遺体処置用組成物および処置法
WO2011126801A2 (en) * 2010-03-28 2011-10-13 Christian Connally A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leakage of fluids from a body during an embalming procedure
JP5976448B2 (ja) * 2012-08-09 2016-08-23 株式会社ヒュー・メックス 遺体の処置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8001A (ja) * 2000-04-03 2001-10-16 Tsukasa:Kk 体液漏出防止装置
JP2002275001A (ja) * 2001-03-19 2002-09-25 Nishihara Risa ゼリー状体液漏出防止材及びそれを使用した体液漏出防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0080A (en) * 1982-06-09 1984-02-0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assembly with snap-fit components
JPH1045501A (ja) 1996-08-06 1998-02-17 Colpo Co Ltd 遺体の清浄保存方法
TW333451B (en) * 1996-05-21 1998-06-11 Kulpa Kk Method and apparatus for embalming a dead body
JP3035448U (ja) * 1996-09-04 1997-03-18 株式会社ジーシー 歯周ポケット用薬剤注入器
US6536437B1 (en) * 1999-10-29 2003-03-25 Branislav M. Dragisic Cuffed nasal airway and anesthetic wand system
US20060200955A1 (en) * 2003-04-21 2006-09-14 Risa Nishihara Remains fluid leakage prevention device
US7841054B2 (en) * 2004-10-18 2010-11-30 Risa Nishihara Body cavity sealing memb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corpse treatment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8001A (ja) * 2000-04-03 2001-10-16 Tsukasa:Kk 体液漏出防止装置
JP2002275001A (ja) * 2001-03-19 2002-09-25 Nishihara Risa ゼリー状体液漏出防止材及びそれを使用した体液漏出防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26412A1 (ja) 2008-10-23
KR20100014550A (ko) 2010-02-10
WO2008129618A1 (ja) 2008-10-30
US20100107380A1 (en) 2010-05-06
EP2132986A1 (en) 2009-12-16
AU2008238738A1 (en) 2008-10-23
CN101652060A (zh) 201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4817B2 (en) Oral administration coupler for back-of-mouth delivery
CA2670556C (en) Discriminating oral tip adaptor
MXPA04012801A (es) Dispositivo de inyeccion desechable disenado para que se rellene previamente.
KR101467596B1 (ko) 용기와 공급관과의 접속구조, 용기 및 공급관
JPWO2018003923A1 (ja) コネクタ用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きコネクタ
EP2301599B1 (en) Portable ejection and injection device
FI103949B (fi) Eläinlääketieteellinen lääkeaineseoksen syöttöväline
JP2004329771A (ja) 医療用逆止弁
JP3554259B2 (ja) 遺体用流体注入管
JP5368972B2 (ja) 容器及び供給管
CA3001871C (en) Storage and dispenser device
JP2008143834A (ja) 遺体の処置装置
EP1909867B1 (en) Sanitary instrument for the irrigation of anatomic canals, especially the rectal canal
JP7389308B2 (ja) 薬剤注入器具
JP7275425B2 (ja) 薬剤注入器具
US20210354152A1 (en) Discharger, static piston and method of discharging
CN110612166A (zh) 排放器和用于排放的方法
JP6721257B1 (ja) 遺体の体液漏出防止剤注入用の挿入管
CN219440001U (zh) 一种防药液回流滴瓶及上药装置
JP7256346B2 (ja) 薬剤注入器具
JP5976448B2 (ja) 遺体の処置装置
JP2022109714A (ja) キャップ
KR840000121Y1 (ko) 관장액 주입용기
JP2022041685A (ja) キャップ
EP3403947A1 (en) Container, discharger and method of assembling a dischar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