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499B1 - 핫팩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핫팩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499B1
KR101467499B1 KR1020130018625A KR20130018625A KR101467499B1 KR 101467499 B1 KR101467499 B1 KR 101467499B1 KR 1020130018625 A KR1020130018625 A KR 1020130018625A KR 20130018625 A KR20130018625 A KR 20130018625A KR 101467499 B1 KR101467499 B1 KR 101467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heating layer
layer
coating layer
hot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5079A (ko
Inventor
이대윤
이민우
Original Assignee
한국다이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다이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다이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8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499B1/ko
Publication of KR20140105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8Warming pads, pans or mats; Hot-water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241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hot packs, hot compresses, cooling pads, e.g. heaters or refrig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2Bag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부직포, 펄프 및, 천 등의 모재의 외측면에 발열 재료를 도포하여, 핫팩의 응용 분야를 확대하는 핫팩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핫팩은, 모재; 발열 반응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고, 상기 모재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되는 발열층; 및 상기 발열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코팅층;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핫팩 및 그의 제조 방법{Hot pack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본 명세서는 핫팩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부직포, 펄프 및, 천 등의 모재의 외측면에 발열 재료를 도포하여, 핫팩의 응용 분야를 확대하는 핫팩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핫팩은, 추운 날씨에 간편하게 보온용으로 사용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상기 핫팩은, 휴대의 용이함으로 인해 봉지 형태의 핫팩, 전기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는 형태의 핫팩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핫팩은, 그 형태가 사각형 등으로 고정되어, 실제 사용상에서 그 응용 범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핫팩은, 약 70℃ 전후의 고온의 발열 온도를 제공하는 발열체를 포함하여, 상기 발열체에서 발열되는 고온의 열에 의해 상기 핫팩이 임의의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직접 닿을 경우, 상기 사용자가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가 공기 중에 노출됨에 따라, 상기 발열체의 지속 시간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 출원 번호 제10-2005-0129765호
본 명세서의 목적은, 부직포, 펄프 및, 천 등의 모재의 외측면에 발열 재료를 도포하는 핫팩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른 목적은, 핫팩에 포함된 발열 재료에서 발생하는 발열 온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장시간 유지하는 핫팩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핫팩은, 모재; 발열 반응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고, 상기 모재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되는 발열층; 및 상기 발열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모재는, 순면, 레이온, 대나무, 펄프, 부직포, 실크, 폴리에스테르, 겔 및, 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발열층은, 금속 분말 및 산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발열층은, 스트라이프 패턴, 물결 패턴, 벌집 패턴, 매트릭스 패턴 및, 메시 패턴 중 어느 하나의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코팅층은, 부직포 또는 통기성 필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발열층의 적어도 일면을 감싸도록 상기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핫팩은,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모재; 발열 반응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고, 상기 하나 이상의 관통홀에 형성되는 발열층; 및 상기 발열층이 형성된 상기 모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관통홀은,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발열층이 형성된 상기 모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코팅층; 및 상기 발열층이 형성된 상기 모재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핫팩의 제조 방법은, 모재의 적어도 일면에 발열층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도포된 발열층을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발열층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모재의 적어도 일면에 발열층을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모재의 일면에 상기 발열층을 도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모재의 적어도 일면에 발열층을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모재의 일면에 상기 발열층에 포함된 제1 발열층을 도포하고, 상기 모재의 타면에 상기 발열층에 포함된 제2 발열층을 도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발열층의 적어도 일면을 감싸도록 상기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핫팩의 제조 방법은, 모재의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관통홀에 발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열층을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발열층이 형성된 상기 모재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발열층이 형성된 상기 모재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발열층이 형성된 상기 모재의 일면과 타면에 상기 코팅층에 포함된 제1 코팅층과 제2 코팅층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핫팩 및 그의 제조 방법은, 부직포, 펄프 및, 천 등의 모재의 외측면에 발열 재료를 도포함으로써, 핫팩의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재료의 다양성을 추구하고 핫팩의 적용/응용 분야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핫팩 및 그의 제조 방법은,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닿는 부분(또는, 모재의 일면)에는 발열 재료를 소량 도포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닿지 않는 부분(또는, 상기 모재의 타면)에는 발열 재료를 적당량 도포함으로써, 고온의 발열체에 의한 화상을 방지하고 발열 재료의 지속 시간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핫팩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핫팩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핫팩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핫팩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핫팩의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핫팩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핫팩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핫팩의 평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핫팩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핫팩(1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핫팩(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핫팩(10)은, 모재(100), 발열층(200) 및, 코팅층(300)으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핫팩(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핫팩(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핫팩(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모재(100)는, 순면, 레이온(rayon), 대나무, 펄프, 부직포, 실크, 폴리에스테르, 겔 및, 젤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재(100)는, 플렉서블(flexible) 형태의 임의의 재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재(100)는, 상기 모재(100)의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1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등일 수 있다.
상기 발열층(또는, 발열 재료)(200)은, 상기 모재(100)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또는, 코팅/형성)한다. 이때, 상기 발열층(200)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발열층(예를 들어, 제1 발열층(210) 및, 제2 발열층(220) 등 포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발열층(200)은, 상기 모재(100)의 일면에 도포하거나 또는, 상기 모재(100)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도포한다.
또한, 상기 발열층(200)은, 상기 모재(10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홀(110)에 채운다(또는,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발열층(200)은, 스트라이프 패턴(stripe pattern), 물결 패턴(또는, 웨이브 패턴), 벌집 패턴, 매트릭스 패턴 및, 메시 패턴(mesh pattern) 등으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발열층(200)의 두께는, 발열 시간 등을 고려하여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층(200)은, 철분, 알루미늄, 칼슘 및, 칼륨 등을 포함하는 금속 분말(미도시)과, 전해질, 물(또는, 수분), 질석, 규조토 및, 활성탄 등을 포함하는 산화제(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 분말로는, 상기 철분이 주로 사용되며, 상기 산화제로는, 상기 금속 분말의 산화/환원 반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전자의 이동 통로가 되는 상기 전해질과, 물(또는, 수분)을 머금어 열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상기 활성탄 등이 주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전해질은,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및, 염화칼륨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분말은, 충격에 의해 발열되는 다양한 성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발열층(200)은, 전체 구성 대비, 철분(또는, 알루미늄) 30 내지 80 중량%, 수분 10 내지 40 중량%, 전해질 1 내지 10 중량% 및, 규조토 1 내지 30 중량%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발열체(200)는, 분말 형태 또는 액상 형태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발열체(200)가 분말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용매 등을 통해 상기 모재(100)에 도포 가능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200)는, 상기 모재(100)에 도포된 이후, 자연 건조 또는 열 건조 방식을 통해 건조한다. 이때, 상기 자연 건조 과정은,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건조 시간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건조 과정은, 80℃ ~ 200℃의 온도 범위에서 10분 ~ 6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200)는, 상기 발열체(200)를 구성하는 상기 금속 분말과 상기 산화제가 서로 혼합되어 상기 금속 분말이 산화 반응을 일으켜 발열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발열체(200)를 감싸며 형성된 상기 코팅층(300)의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공기 속의 산소에 의해 상기 산화 반응이 지속적으로 일어난다. 여기서, 상기 발열체(200)를 구성하는 상기 금속 분말과 상기 산화제의 조성 비율 및, 상기 발열체(200)의 두께 등에 따라, 상기 발열체(200)에 의한 발열 온도는 약 60∼80℃ 이고, 발열 시간은 약 1~10 시간 정도 유지된다.
상기 코팅층(300)은, 상기 발열층(200)의 상부에 형성한다.
즉, 상기 코팅층(300)은, 상기 발열층(200)의 적어도 일면을 감싸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코팅층(300)은, 상기 발열층(200)에 포함된 복수의 발열층(예를 들어, 상기 제1 발열층(210) 및, 상기 제2 발열층(220) 등 포함)의 상부에 코팅층(200)을 각각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코팅층(예를 들어, 제1 코팅층(310) 및, 제2 코팅층(320) 등 포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300)은, 상기 발열층(200)이 상기 모재(100)에 포함된 상기 관통홀(110)에 형성된 경우, 상기 발열층(200)과 상기 모재(1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한다.
또한, 상기 코팅층(300)은, 부직포 및, 통기성 필름 등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는, 습식 부직포(wet-laid non-woven fabric) 또는, 건식 부직포(dry-laid non-woven fabric)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성 필름은, 베이스 수지에 무기물, 분산제 등을 혼합하여 용융한 후, 연신시켜 생산한다. 상기 연신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 수지와 상기 무기물 사이에 미세한 기공이 형성되어 통기성을 가지며, 수분은 통과시키지 않는 특성이 있으며, 상기 발열층(200)의 발열 반응의 속도를 조절하여 발열 시간을 늘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물은, 이산화티탄(TiO2), 이산화규소(SiO2), 탄산칼슘, 황산바륨, 제올라이트 및, 클레이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300)은, 상기 부직포와 상기 통기성 필름이 함께 사용되는 경우, 상기 부직포 일면 내부에 상기 발열층(200)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부직포 타면에 상기 통기성 필름을 임의의 점착제/접착제를 사용하여 합지(또는, 점착/접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300)은, 공기는 통과시키면서 내부에 수용된 상기 발열층(200)이 유출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코팅층(300)의 구조에 의해, 상기 발열층(200)에 유입되는 공기(또는, 산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300)은, 스트라이프 패턴, 물결 패턴(또는, 웨이브 패턴), 벌집 패턴, 매트릭스 패턴 및, 메시 패턴 등으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코팅층(300)의 두께는,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재(100)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발열층(200) 및, 상기 코팅층(300)이 형성된 상기 핫팩(10)은, 상기 모재(100) 및/또는 상기 코팅층(300)의 적어도 일면에 점착제(미도시)를 형성하고, 상기 점착제의 타면에는 이형지(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또는, 접착제/점착부/접착부/커버시트)는, 임의의 점착체, 실리콘 점착체, 임의의 접착제 및, 실리콘 접착제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점착제의 일면은, 상기 모재(100) 및/또는 상기 코팅층(300)의 적어도 일면과 서로 마주하여 형성(또는, 배치)한다. 또한, 상기 점착제의 타면에는, 상기 이형지가 형성된다.
상기 이형지(release paper)는, 상기 점착제를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서, 상기 핫팩(10)이 사용될 때 즉, 상기 임의의 사용자의 신체 부위 일부에 상기 핫팩(10)이 부착될 때, 제거된다.
또한, 상기 핫팩(10)은, 사용 전에 공기와의 접촉을 방지(또는, 차단)하기 위해서(또는, 사용 전에 상기 핫팩(10)의 산화에 따른 발열 기능 수행을 방지하기 위해서), 진공 포장 등의 방법을 통해 비닐팩(미도시), 포장 용기(미도시) 등에 의한 포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핫팩(10)이 사용될 때 포장 상태를 해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부직포, 펄프 및, 천 등의 모재의 외측면에 발열 재료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닿는 부분(또는, 모재의 일면)에는 발열 재료를 소량 도포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닿지 않는 부분(또는, 상기 모재의 타면)에는 발열 재료를 적당량 도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따른 핫팩의 제조 방법을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핫팩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모재(100)의 적어도 일면에, 발열층(200)을 도포(또는, 코팅/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모재(100)는, 순면, 레이온, 대나무, 펄프, 부직포, 실크, 폴리에스테르, 겔 및, 젤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열층(200)은, 금속 분말(예를 들어, 철분, 알루미늄, 칼슘 및, 칼륨 등 포함)과 산화제(전해질, 물/수분, 질석, 규조토 및, 활성탄 등 포함) 등을 포함하며, 분말 형태 또는 액상 형태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발열층(200)은, 스트라이프 패턴, 물결 패턴(또는, 웨이브 패턴), 벌집 패턴, 매트릭스 패턴 및, 메시 패턴 등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발열층(200)의 두께는, 발열 시간 등을 고려하여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재(100)의 상부에,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상기 발열층(200)을 도포한다.
다른 일 예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재(100)의 상부 및 하부에, 물결 패턴으로 제1 발열층(210) 및 제2 발열층(220)을 각각 도포한다. 여기서, 상기 모재(100)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제1 발열층(210) 및 상기 제2 발열층(220)이 각각 도포될 때, 상기 제1 발열층(210) 및 상기 제2 발열층(220)의 두께는, 서로 같거나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임의의 사용자의 신체에 먼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발열층(210)의 두께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가까운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발열층(220)의 두께보다 같거나 더 두껍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재(100)의 상부 및 하부의 일부 영역에 상기 제1 발열층(210)과 상기 제2 발열층(220)을 각각 도포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모재(100)의 상부면 전체에 상기 제1 발열층(210)을 형성하고 상기 모재(100)의 하부면 전체에 상기 제2 발열층(220)을 형성할 수도 있다(S310).
이후, 상기 발열층(200)이 도포된 상기 모재(100)는, 자연 건조 또는 열 건조 방식을 통해 건조한다. 이때, 상기 자연 건조 과정은,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건조 시간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건조 과정은, 80℃ ~ 200℃의 온도 범위에서 10분 ~ 6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모재(100)의 상부에 상기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도포된 상기 발열층(200)은, 상온에서 약 3시간 동안 자연 건조한다.
다른 일 예로, 상기 모재(100)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물결 패턴으로 도포된 상기 제1 발열층(210) 및 상기 제2 발열층(220)은, 약 100℃의 온도에서 약 15분 동안 열 건조한다(S320).
이후, 상기 발열층(200)이 도포된 상기 모재(100)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층(30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코팅층(300)은, 부직포 및, 통기성 필름 등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코팅층(300)은, 공기는 통과시키면서 내부에 수용된 상기 발열층(200)이 유출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코팅층(300)의 구조에 의해, 상기 발열층(200)에 유입되는 공기(또는, 산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발열층(200)이 도포된 상기 모재(100)에서, 상기 발열층(200)의 적어도 일면을 감싸도록 상기 코팅층(300)을 형성한다.
일 예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열층(200)이 도포된 상기 모재(100)에서, 상기 발열층(200)을 감싸도록 상기 코팅층(300)을 형성한다.
다른 일 예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발열층(210) 및 상기 제2 발열층(220)을 각각 감싸도록 제1 코팅층(310) 및 제2 코팅층(320)을 각각 형성한다(S330).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핫팩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모재(100)의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11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재(100)는, 순면, 레이온, 대나무, 펄프, 부직포, 실크, 폴리에스테르, 겔 및, 젤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재(100)의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원형, 타원형, 삼각형 및, 사각형 등의 하나 이상의 관통홀(110)을 형성한다(S910).
이후, 상기 모재(10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홀(110)에, 발열층(200)을 채운다(또는,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발열층(200)은, 금속 분말(예를 들어, 철분, 알루미늄, 칼슘 및, 칼륨 등 포함)과 산화제(전해질, 물/수분, 질석, 규조토 및, 활성탄 등 포함) 등을 포함하며, 분말 형태 또는 액상 형태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발열층(200)은, 스트라이프 패턴, 물결 패턴(또는, 웨이브 패턴), 벌집 패턴, 매트릭스 패턴 및, 메시 패턴 등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발열층(200)의 두께는, 발열 시간 등을 고려하여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재(10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홀(100)에,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상기 발열층(200)을 채운다.
또한, 상기 발열층(200)이 채워진 상기 모재(100)는, 자연 건조 또는 열 건조 방식을 통해 건조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자연 건조 과정은,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건조 시간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건조 과정은, 80℃ ~ 200℃의 온도 범위에서 10분 ~ 6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S920).
이후, 상기 발열층(200)이 형성된 상기 모재(100)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층(30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코팅층(300)은, 부직포 및, 통기성 필름 등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코팅층(300)은, 공기는 통과시키면서 내부에 수용된 상기 발열층(200)이 유출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코팅층(300)의 구조에 의해, 상기 발열층(200)에 유입되는 공기(또는, 산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발열층(200)이 형성된 상기 모재(100)의 일면과 타면에, 상기 코팅층(300)에 포함된 제1 코팅층(310)과 제2 코팅층(320)을 각각 형성한다.
일 예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열층(200)이 형성된 상기 모재(100)의 일면에 상기 제1 코팅층(310)을 형성하고, 상기 발열층(200)이 형성된 상기 모재(100)의 타면에 상기 제2 코팅층(320)을 형성한다(S930).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직포, 펄프 및, 천 등의 모재의 외측면에 발열 재료를 도포하여, 핫팩의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재료의 다양성을 추구하고 핫팩의 적용/응용 분야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닿는 부분(또는, 모재의 일면)에는 발열 재료를 소량 도포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닿지 않는 부분(또는, 상기 모재의 타면)에는 발열 재료를 적당량 도포하여, 고온의 발열체에 의한 화상을 방지하고 발열 재료의 지속 시간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핫팩 100: 모재
200: 발열층 300: 코팅층
110: 관통홀 210: 제1 발열층
220: 제2 발열층 310: 제1 코팅층
320: 제2 코팅층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모재;
    발열 반응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고, 상기 하나 이상의 관통홀에 형성되는 발열층; 및
    상기 발열층이 형성된 상기 모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팩.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관통홀은,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팩.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발열층이 형성된 상기 모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코팅층; 및
    상기 발열층이 형성된 상기 모재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팩.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모재의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관통홀에 발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열층을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발열층이 형성된 상기 모재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팩의 제조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관통홀은,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팩의 제조 방법.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이 형성된 상기 모재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발열층이 형성된 상기 모재의 일면과 타면에 상기 코팅층에 포함된 제1 코팅층과 제2 코팅층을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팩의 제조 방법.
KR1020130018625A 2013-02-21 2013-02-21 핫팩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67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625A KR101467499B1 (ko) 2013-02-21 2013-02-21 핫팩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625A KR101467499B1 (ko) 2013-02-21 2013-02-21 핫팩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079A KR20140105079A (ko) 2014-09-01
KR101467499B1 true KR101467499B1 (ko) 2014-12-02

Family

ID=5175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625A KR101467499B1 (ko) 2013-02-21 2013-02-21 핫팩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4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905A (ko) 2015-04-27 2016-11-07 (주)보정스틸 핫 팩 주원료 생산방법
KR20200057496A (ko) 2018-11-16 2020-05-26 김영근 셀 기능성 팩
KR102303842B1 (ko) 2020-04-02 2021-09-16 임영빈 친환경 핫팩
KR102303843B1 (ko) 2020-04-02 2021-09-16 임영빈 발열성능이 우수한 핫팩
KR102303844B1 (ko) 2020-04-02 2021-09-16 임영빈 발열 조절이 가능한 핫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7940U (ko) * 1976-11-11 1978-06-07
JPH08112303A (ja) * 1994-10-14 1996-05-07 Japan Pionics Co Ltd シート状発熱体の製造方法
JP2009247603A (ja) * 2008-04-07 2009-10-29 Toyo Aluminum Ekco Products Kk 発熱構造体
JP2011020420A (ja) * 2009-07-21 2011-02-03 Setsuko Aino 角度定規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7940U (ko) * 1976-11-11 1978-06-07
JPH08112303A (ja) * 1994-10-14 1996-05-07 Japan Pionics Co Ltd シート状発熱体の製造方法
JP2009247603A (ja) * 2008-04-07 2009-10-29 Toyo Aluminum Ekco Products Kk 発熱構造体
JP2011020420A (ja) * 2009-07-21 2011-02-03 Setsuko Aino 角度定規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905A (ko) 2015-04-27 2016-11-07 (주)보정스틸 핫 팩 주원료 생산방법
KR20200057496A (ko) 2018-11-16 2020-05-26 김영근 셀 기능성 팩
KR102303842B1 (ko) 2020-04-02 2021-09-16 임영빈 친환경 핫팩
KR102303843B1 (ko) 2020-04-02 2021-09-16 임영빈 발열성능이 우수한 핫팩
KR102303844B1 (ko) 2020-04-02 2021-09-16 임영빈 발열 조절이 가능한 핫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079A (ko) 201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499B1 (ko) 핫팩 및 그의 제조 방법
KR970006454A (ko)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열체 및 이 발열체의 제조방법
KR102072373B1 (ko) 발열구 및 그 제조 방법
EP1911424A1 (en) Heating body
JPWO2006006664A1 (ja) 可撓性発熱体
JP7181025B2 (ja) 温熱具
KR20140065032A (ko)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핫팩
KR20160090010A (ko) 마스크 팩
US20120061261A1 (en) Regeneratable dehumidifying bag having doubly-protected humidity indicator
JPH08126656A (ja) 使い捨てカイロ
TWI553179B (zh) 質輕防風抗寒蓄熱保暖透氣布
JP5396289B2 (ja) 吸湿発熱保温シート
JP2018027299A (ja) マットレス本体及びその製造工程
JP2020012265A (ja) コンクリート養生用シート
JP3185616U (ja) 繊維積層体
JP2006055238A (ja) 貼付式発熱体
JP3221613U (ja) 冷感シート
CN214074254U (zh) 一种脑出血理疗用自发热艾灸贴
KR20200069984A (ko) 열접착이 가능한 투습방수성 멤브레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JP2015084949A (ja) 発熱ゲルシート
CN214435423U (zh) 一种具有缓释功能的三伏贴
KR102645350B1 (ko) 핫팩 제조 방법
CN214646511U (zh) 一种错位孔防漏粉手握暖贴专用透气包装材料
CN209336222U (zh) 用于包裹自发热包的复合无纺布
JP6008587B2 (ja) 温熱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