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420B1 - 피스톤-실린더 유닛 - Google Patents

피스톤-실린더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420B1
KR101467420B1 KR1020080060866A KR20080060866A KR101467420B1 KR 101467420 B1 KR101467420 B1 KR 101467420B1 KR 1020080060866 A KR1020080060866 A KR 1020080060866A KR 20080060866 A KR20080060866 A KR 20080060866A KR 101467420 B1 KR101467420 B1 KR 101467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od
piston
fastening member
chamb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4609A (ko
Inventor
슈미츠 크라우스
벡 후버트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114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 B60G13/0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60G15/06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MacPherson strut-type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damper being connected to the stub axle and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6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 F16F9/063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comprising a hollow piston r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6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or for locking, the spring or damper, e.g. at the end of the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20Type of damper
    • B60G2202/24Fluid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8Damper mount on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9Damper mount on wheel suspension or knuck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Abstract

피스톤-실린더 유닛은, 작동 피스톤이 피스톤 로드에 장착되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 및 상기 작동 실린더는 섀시 및 차체에 부착되도록 하는 패스닝 부재를 갖고, 하나 이상의 상기 패스닝 부재가 상기 피스톤 로드 및/또는 상기 작동 실린더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패스닝 부재는 원통형 보어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 또는 상기 작동 실린더에 연결된 저널의 말단부 영역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원통형 보어와 상기 피스톤 로드 및/또는 상기 저널의 단부면 사이에 챔버가 형성되고,
-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은 내부 압력에 따라 작동하는 레벨 조절 기능을 갖고,
- 상기 챔버 내에 위치되는 피스톤 로드의 단부면 또는 상기 챔버 내에 위치되는 저널의 단부면은 제1 유효 압력 작동식 단면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유효 압력 작동식 단면 영역은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 내부의 피스톤 로드의 제2 유효 압력 작동식 단면 영역과 대략 동일하고,
- 상기 제1 및 제2 유효 압력 작동식 단면 영역은 시스템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스톤-실린더 유닛, 댐핑, 패스닝 부재, 챔버, 피스톤 로드, 저널

Description

피스톤-실린더 유닛 {PISTON-CYLINDER UNIT}
본 발명은, 피스톤 로드에 장착된 작동 피스톤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내부에 설치된 작동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 및 상기 작동 실린더는 이들을 섀시 및 차체에 부착되도록 하는 패스닝 부재를 갖고, 하나 이상의 패스닝 부재가 상기 피스톤 로드 및/또는 상기 작동 실린더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패스닝 부재는 원통형 보어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 또는 상기 작동 실린더에 연결된 저널의 말단부 영역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원통형 보어와 상기 피스톤 로드 및/또는 저널의 단부면 사이에 챔버가 형성된, 피스톤-실린더 유닛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DE 198 57 595 C2, DE 34 06 032 C2에는 피스톤-실린더 유닛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 피스톤-실린더 유닛의 피스톤 로드는 베어링에 의해 차체에 부착된다. 이들 베어링은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의 고무 부재를 갖는다. 베어링 아이(bearing eye)가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이들 베어링 아니 사이에 탄성의 고무 부재가 삽입되기도 한다. 이러한 패스닝 장치는, 노면에 의한 높은 진동, 특히 저진폭에 처하는 경우, 안락하지 못한 느낌을 만들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한 이유 중 하나는, 차체 또는 휠 서스펜션에 있는 진동 댐퍼의 고무 패스닝 부품이 경화되고 따라서 진동 및 소음을 객실로 전달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쇼트 스트로크 운동의 높은 진동수 때문에 댐핑 피스톤의 댐핑 밸브 및 체크 밸브의 교대 작동이 점차 악화되어, 마찬가지로 피스톤-실린더 유닛의 바람직하지 않은 경화가 존재한다.
또한, DE 10 2004 061 997 A1에도 작동 실린더를 포함하는 피스톤-실린더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 피스톤 실린더에서는 피스톤 로드에 장착된 작동 피스톤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피스톤 로드 및 작동 실린더는 패스닝 부재를 가져서 섀시 및 차체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패스닝 부재가 피스톤 로드 및/또는 작동 실린더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패스닝 부재가 자동차에 적재되는 임의의 초과 중량을 용이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보다 긴 롱 스트로크에 댐핑 효과를 상당히 저하시키지 않고 차체를 높은 진동수의 쇼트 스트로크의 노면 진동으로부터 격리시켜서, 댐핑이 온화하게 개시되고 댐핑력의 생성에서 급격한 불연속이 방지되도록 하는, 피스톤-실린더 유닛을 설계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되며, 피스톤-실린더 유닛은 내부 압력에 따라 작용하는 레벨 제어 기능을 갖고, 챔버 내부에 위치되는 피스톤 로드의 단부면 또는 챔버 내부에 위치되는 저널의 단부면은, 피스톤-실린더 유닛 내부의 피스톤 로드의 제2 유효 압력 작동식 단면 영역과 대략 동일한 제1 유효 압력 작동식 단면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단면 영역은 시스템 압력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패스닝 부재는, 레벨 제어 부재로서 사용되는 경우, 차체 및 차량에 적재된 임의의 초과 중량을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노면에 의해 유발된 높은 진동수 및 저진폭의 진동 범위에 있는 차량의 안락한 주행 및 소음 격리를 최적화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피스톤-실린더 유닛이 저진폭의 높은 진동으로 흔들리는 경우, 대부분의 힘은 패스닝 부재에 의해 흡수되고, 패스닝 부재와 작동 실린더 또는 컨테이너 튜브 상의 피스톤 로드 또는 패스닝 부재 사이에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이 일어난다. 흔 들림이 더 이상 단거리 스트로크, 일반적으로 높은 진동수 범위가 아닌 경우, 즉 흔들림이 낮은 진동수의 고진폭 유형인 경우, 패스닝 부재는 그 인접하는 부품, 즉 피스톤 로드 또는 작동 실린더에 대하여 단부 포지션에 도달하고, 피스톤의 댐핑 밸브에는 댐핑력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압력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댐핑력 및 차체에 전달되는 소음 모두의 불연속성이 방지되어 주행 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다.
다른 본질적인 특징에 따르면, 피스톤-실린더 유닛 내부의 피스톤 로드의 유효 압력 작동식 단부면 또는 저널의 유효 압력 작동식 단부면 또는 피스톤 로드의 유효 압력 작동식 단면 영역은 모두 동일한 크기이다. 여기서, 압력 평형 피스톤 로드는 패스닝 베어링으로부터 분리되고, 탄성 피스톤 로드 연결부는 어떠한 지지력도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력은 시스템 압력 하에 있는 중공 피스톤 로드 내의 댐핑 매체에 의해서만 발생되고, 댐핑 매체의 압력은 피스톤 로드와 동일한 크기인 저부 영역에 작용한다.
다른 본질적인 특징에 따르면, 피스톤-실린더 유닛 내부의 피스톤 로드의 유효 압력 작동식 단부면 또는 저널의 유효 압력 작동식 단부면과 피스톤 로드의 유효 압력 작동식 단면 영역은, 피스톤 로드의 내측 또는 외측 이동 방향으로 피스톤 로드가 필요로 하는 프리텐션에 따라 크기가 상이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스닝 부재와 피스톤 로드 및/또는 작동 실린더 사이에는 정지부로서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가 구비된다.
다른 본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형 보어와 피스톤 로드 및/또는 저널의 단부면 사이에는 댐핑 목적으로 사용되는 챔버가 형성된다. 여기서, 피스톤-실린더 유닛 내에는 비압축성 매체가 충전되는 챔버가 존재하고, 이 챔버는 유동 연결부에 의해 작동 실린더의 하나 이상의 작동 공간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챔버는 시일(seal)에 의해 대기에 대하여 밀봉된다.
다른 본질적인 특징에 따르면, 하이드로뉴매틱(hydropneumatic) 스프링 스트럿 응용에서, 챔버는 유동 연결부에 의해 고압의 작동 공간에 연결된다.
또한 유동 연결부가 구비되고/또는 개구부가 댐핑력을 생성하기 위한 스로틀(throttle)로서 설계되고/또는 유동 연결부에 댐핑 밸브가 구비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패스닝 부재가 고무-금속부로서 설계된다.
패스닝 부재의 힘을 전달하는 고무-금속부의 스프링 강성은 탄성 부재의 강성보다 크다. 패스닝 부재의 힘을 전달하는 고무-금속부 및 탄성 부재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형성하도록 조립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피스톤-실린더 유닛(1)은 고무-금속부(2)를 구비하여, 차체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 영역에서, 피스톤 로드(3)는 마찬가지로 고무-금속부(2)를 가진 패스닝 부재(4)를 구비한다. 패스닝 부재(4)는 자동차의 액슬에 연결된다.
피스톤-실린더 유닛(1)을 하이드로뉴매틱 레벨 제어 장치로서 설계함으로써, 피스톤 로드(3)는, 하중의 기능을 하는 유닛의 내부 압력에 의해 소정의 레벨에 위치된다.
패스닝 부재(4)를 단면으로 보면, 패스닝 부재(4)는 피스톤 로드(3)에 연결되고, 피스톤 로드(3)는 탄성 부재(6)에 의해 패스닝 부재(4)의 반경방향 돌기와 상호 작용한다.
패스닝 부재(4)는 전체적으로 2개의 탄성 섹션, 즉 힘 전달 탄성 영역, 즉 고무-금속부(2), 및 탄성의 피스톤 로드 연결부(6)로 이루어진다. 2개의 탄성 영역(2, 6)이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레벨 제어 부재의 시스템 압력은 유동 연결부(7)를 통해 챔버(8)에 유도된다. 챔버는 시일(9)에 의해 대기에 대하여 밀봉된다. 압력 평형이 이루어진 피스톤 로드(3)는 패스닝 부재(4)로부터 분리되고, 따라서 탄성의 피스톤 로드 연결부(6)는 어떠한 지지력도 전혀 흡수할 필요가 없다. 지지력은 시스템 압력 하에 있는 중공의 피스톤 로드(3)의 댐핑 매체에 의해서만 제공된다. 댐핑 매체의 압력은, 피스톤 로드와 동일한 크기인 챔버(8)의 저부 영역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레벨 제어 부재는 중공의 피스톤 로드(3) 및 대응하는 펌프 로드(18)에 의해 작동되며, 복수의 적절한 체크 밸브에 의해, 댐핑 매체는 저압 챔버(19)로부터 고압 챔버(20)로 이송된다. 댐핑 피스톤(22)의 댐핑 밸브(21)는 피스톤-실린더 유닛(1)의 실질적인 댐핑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피스톤-실린더 유닛(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패스닝 부재(4)는 도 1과 그 원리가 동일하다. 여기서는 스프링 실린더가 포함되어서, 작동 공간(10)에는 댐핑 매체가 저장소(26)로부터 축압기(23), 차단 밸브(24), 및 펌프(25)를 통해 공급된다. 피스톤 로드(3)의 연결부는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3은 패스닝 부재(4)를 나타내는 것으로, 피스톤 로드(3)의 단부에는, 피스톤 로드(3)에 나사고정될 수 있는 탄성의 피스톤 로드 연결부(6)가 패스닝부(27)의 형태로 구비된다. 압력 평형을 위해, 패스닝부(27)는 피스톤 로드(3)와 동일한 시일(9)의 영역에 직경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탄성의 피스톤 로드 연결부(6)는 내측 슬리브 및 외측 슬리브로 이루어지며, 이들 슬리브 사이에는 적절하게 가황처리된 고무가 구비된다. 또한, 가이드(28) 및 시일(9)이 구비된 상부 하우징(29), 및 가이드(28)가 구비된 하부 하우징(30)이 제공되며, 탄성의 피스톤 연결부(6)의 외측 슬리브는 나사식 조인트에 의해 함께 클램프된다. 고무-금속부 형태의 힘 전달 탄성 영역(2)은 커플링 너트(32)에 의해 상부 하우징(29)에 연결된다.
패스닝 부재(4)가 차체에 부착되는 경우, 힘 전달 탄성 영역(2)은 프리텐션을 받아, 외측 베어링 하우징(33)에 의해 한쪽에 놓이고, 내측 베어링 하우징(34)에 의해 다른 쪽에 놓인다. 패스닝 스크루(35)는 패스닝 부재(4)를 차체에 연결한다. 내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충돌 정지부(36)는 디스크(37) 상에 놓이며 튜브형 섹션(38)에 의해 내측 베어링 하우징(34)에 연결된다. 내측 베어링 하우징(34)은, 한쪽으로는 고무-금속부(2)를 지지하고 다른 쪽에서는 충돌 정지부(36)를 통해 전달된 힘을 흡수한다.
도 4에서는 도 3에 도시한 패스닝 부재(4)를 다양한 부하로 나타내었다.
도 4(b)는 대기 상태의 패스닝 부재(4)를 나타낸다. 압력 평형 챔버(8)에 의해 이루어진 압력 평형은 탄성의 피스톤 로드 연결부(6)에 지지력이 작용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지지력은 고무-금속부(2)의 힘 전달 탄성 영역에 의해서만 전달된다.
도 4(a)는 피스톤 로드 연결부(6)에 의해 대부분이 흡수된 최대 내측 이동 거리(X)를 나타낸다. 일부분은 고무-금속부(2)의 힘 전달 탄성 영역에 의해 흡수된다. 탄성의 피스톤 로드 연결부(6)는 고무-금속부(2)의 힘 전달 탄성 영역만큼 강하지 않다. 탄성의 피스톤 로드 연결부(6)의 스프링 강성이 원하는 방식으로 점차 강해지도록, 상부 하우징(29)의 고무 영역에는 롤-다운(roll-down) 윤곽부(39)가 구비된다.
도 4(c)는 도 4(b)의 대기 포지션으로부터 진행된 최대 외측 이동 거리(Y)를 나타낸다. 안락한 주행을 위해, 이 거리는 최대 내측 이동 거리(X)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노면으로부터의 높은 진동수의 흔들림은, 도 4(a)에 따른 피스톤-실린더 유닛의 압축 단계에서의 긴 거리에 걸쳐 흡수되고 도 4(c)에 따른 신장 단계에서의 짧은 거리에 걸쳐 흡수된다. 탄성의 피스톤 로드 연결부(6)는 댐핑 피스톤의 댐핑력에 대하여 항상 보다 용이하게 이동하며, 이것은 탄성의 피스톤 로드 연결부(6)가, 댐핑 피스톤이 그 작동 실린더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기 전에도 이동을 시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5 및 도 6은 패스닝 부재(4)가 피스톤 로드(3)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5에 따르면, 중공의 피스톤 로드에는 체크 밸브가 설치된다. 패스닝 부재(4)가 설치되면, 이 밸브는 핀(40)에 의해 개방될 수 있어서, 피스톤-실린더 유닛(1)의 작동 공간(10)과 챔버(8) 사이의 개구부(41)를 통해 유동 연결이 이루어진다.
패스닝 부재(4)가 피스톤 로드(3)로부터 다시 분리되면, 핀(4)은 중공의 피스톤 로드(3) 내에 위치된 대응하는 체크 밸브로부터 멀리 이동한다. 따라서, 체크 밸브는 유동 연결을 폐쇄하고 패스닝 부재(4)는 제거될 수 있다.
도 6은 패스닝 부재(4) 및 중공의 피스톤 로드(3)로 이루어진 유닛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에서, 고무-금속부(2)의 탄성 영역은 피스톤 로드(3)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되고, 이 실시예에서 탄성의 피스톤 로드 연결부(6)는 부싱(42)에 의해 피스톤 로드에 홀딩된 원통형의 고무로서 설계된다. 이 실시예에서 탄성의 피스톤 로드 연결부(6)는 부싱(42)을 향하는 반경방향 내측이 가황처리되고 다른 부싱을 향하는 반경방향 외측 또한 가황처리되어 부착된다.
도 7은 도 5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내며, 패스닝 부재(4)가 탄성의 피스톤 로드 연결부(6) 및 고무-금속부(2)를 갖는다. 따라서 패스닝 부재는 2개 이상의 고무-탄성부 및 3개 이상의 대응하는 부싱(4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탄성의 피스톤 로드 연결부(6) 및 고무-금속부(2)는 가황처리에 의해 적절하게 서로 연결된다.
* 주요 구성요소에 대한 참조부호의 설명 *
1 피스톤-실린더 유닛 2 고무-금속부
3 피스톤 로드 4 패스닝 부재
5 디스크 6 탄성 부재
7 유동 연결부 8 챔버
9 시일 10 작동 공간(고압)
11 접촉면 12 저널
13 핀 부착부 14 원통형 보어
15 단부 영역 16 단부면
17 단면 영역 18 펌프 로드
19 저압 챔버 20 고압 챔버
21 댐핑 밸브 22 댐핑 피스톤
23 축압기 24 차단 밸브
25 펌프 26 저장소
27 패스닝부 28 가이드
29 상부 하우징 30 하부 하우징
31 나사식 조인트 32 커플링 너트
33 외측 베어링 하우징 34 내측 베어링 하우징
35 패스닝 스크루 36 충돌 정지부
37 디스크 38 튜브형 섹션
39 롤-다운 윤곽부 40 핀
41 개구부 42 부싱
도 1은 내장형 차량 레벨 제어 기능을 구비한 피스톤-실린더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스프링 실린더로서 설계된 피스톤-실린더 유닛의 단면도로, 피스톤-실린더 유닛에 댐핑 매체가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피스톤 로드 측에 장착되는 패스닝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패스닝 부재의 상이한 부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피스톤-실린더 유닛의 피스톤 로드에 대하여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는 패스닝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4)

  1. 피스톤 로드에 장착된 작동 피스톤이 내부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 및 상기 작동 실린더는 섀시 및 차체에 상기 피스톤 로드 및 상기 작동 실린더가 부착되도록 하는 패스닝 부재를 갖고, 하나 이상의 상기 패스닝 부재가 상기 피스톤 로드와 상기 작동 실린더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패스닝 부재는 원통형 보어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 또는 상기 작동 실린더에 연결된 저널의 말단부 영역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원통형 보어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면 사이에, 또는 상기 원통형 보어와 상기 저널의 단부면 사이에, 또는 상기 원통형 보어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면 사이 및 상기 원통형 보어와 상기 저널의 단부면 사이에 챔버가 형성된, 피스톤-실린더 유닛에 있어서,
    -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1)은 내부 압력에 따라 작동하는 레벨 조절 기능을 갖고,
    - 상기 챔버(8) 내에 위치되는 피스톤 로드(3)의 단부면(16) 또는 상기 챔버(8) 내에 위치되는 저널(12)의 단부면(16)은 제1 유효 압력 작동식 단면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유효 압력 작동식 단면 영역은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1) 내부의 피스톤 로드(3)의 제2 유효 압력 작동식 단면 영역(17)과 동일하고,
    - 상기 제1 유효 압력 작동식 단면 영역(16) 및 제2 유효 압력 작동식 단면 영역(17)은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의 내부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피스톤-실린더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3)의 유효 압력 작동식 단부면(16) 또는 상기 저널(12)의 유효 압력 작동식 단부면(16), 및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1) 내부의 피스톤 로드(3)의 제2 유효 압력 작동식 단면 영역(17)은 모두 동일한 크기인, 피스톤-실린더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3)의 유효 압력 작동식 단부면(16) 또는 상기 저널(12)의 유효 압력 작동식 단부면(16), 및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1) 내부의 피스톤 로드(3)의 제2 유효 압력 작동식 단면 영역(17)은, 상기 피스톤 로드(3)의 내측 이동 방향 또는 외측 이동 방향에서 상기 피스톤 로드(3)가 필요로 하는 프리텐션(pretension)에 따라 상이한 크기를 갖는, 피스톤-실린더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부재(4)와 상기 피스톤 로드(3) 사이에, 또는 상기 패스닝 부재(4)와 상기 작동 실린더 사이에, 또는 상기 패스닝 부재(4)와 상기 피스톤 로드(3) 사이 및 상기 패스닝 부재(4)와 상기 작동 실린더 사이에 정지부로서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6)가 구비된, 피스톤-실린더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보어(14)와 상기 피스톤 로드(3)의 단부면(16) 사이에, 또는 상기 원통형 보어(14)와 상기 저널(12)의 단부면(16) 사이에, 또는 상기 원통형 보어(14)와 상기 피스톤 로드(3)의 단부면(16) 사이 및 상기 원통형 보어(14)와 상기 저널(12)의 단부면(16) 사이에 댐핑을 위한 챔버(8)가 형성된, 피스톤-실린더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8)는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1) 내에 존재하는 비압축성 매체로 충전되는, 피스톤-실린더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8)는 유동 연결부(7)에 의해 상기 작동 실린더의 하나의 작동 챔버에 연결되는, 피스톤-실린더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8)는 시일(seal)(9)에 의해 대기에 대하여 밀봉된, 피스톤-실린더 유닛.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8)는 개구부(41)에 의해 고압의 작동 공간에 연결되는, 피스톤-실린더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연결부(7)와 상기 개구부(41) 중 적어도 하나는 댐핑력을 발생시키는 스로틀(throttle)로서 설계된, 피스톤-실린더 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3)에는 댐핑 부재가 설치된, 피스톤-실린더 유닛.
  1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패스닝 부재(4)는 고무-금속부(2)로서 설계된, 피스톤-실린더 유닛.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부재(4)의 힘 전달 고무-금속부(2)의 스프링 강성은 상기 탄성 부재(6)의 스프링 강성보다 더 큰, 피스톤-실린더 유닛.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부재(4)의 힘 전달 고무-금속부(2) 및 상기 탄성 부재(6)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형성하도록 조립된, 피스톤-실린더 유닛.
KR1020080060866A 2007-06-26 2008-06-26 피스톤-실린더 유닛 KR1014674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29490A DE102007029490B4 (de) 2007-06-26 2007-06-26 Kolben-Zylinder-Aggregat
DE102007029490.7 2007-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609A KR20080114609A (ko) 2008-12-31
KR101467420B1 true KR101467420B1 (ko) 2014-12-01

Family

ID=40075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866A KR101467420B1 (ko) 2007-06-26 2008-06-26 피스톤-실린더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000469A1 (ko)
JP (1) JP5539629B2 (ko)
KR (1) KR101467420B1 (ko)
DE (1) DE10200702949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08083A1 (de) * 2014-04-29 2015-10-2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Dämpfer für ein Fahrzeug
DE102016205156A1 (de) 2016-03-30 2017-10-0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werkmodul, Vorderradaufhängung und Hinterradschwinge für ein Kraftrad
DE102017211614A1 (de) * 2017-07-07 2019-01-10 Zf Friedrichshafen Ag Dämpfventil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US20190105957A1 (en) * 2017-10-06 2019-04-11 ClearMotion, Inc. Top mount assembly for counterbalancing static loa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2702A (ko) * 1973-07-27 1975-03-29
JP2005164015A (ja) * 2003-12-05 2005-06-23 Sumitomo Rubber Ind Ltd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取付け具
DE102004061997A1 (de) * 2004-12-23 2006-07-13 Zf Friedrichshafen Ag Kolben-Zylinder-Aggrega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55478A1 (de) * 1968-05-14 1971-11-25 Langen & Co Abfederungsvorrichtung fuer Fahrzeuge mit automatischem Lastausgleich
DK121108B (da) * 1969-06-12 1971-09-06 K Jorgensen Hydraulisk støddæmper til køretøjer.
US4099602A (en) * 1977-08-31 1978-07-11 P. L. Porter Company Hydraulic positioner with bidirectional detenting action
JPS5686807A (en) * 1979-12-17 1981-07-15 Honda Motor Co Ltd Car body suspension
JPS59208242A (ja) * 1983-05-13 1984-11-26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DE3406032A1 (de) * 1984-02-20 1985-08-22 Boge Gmbh, 5208 Eitorf Hydropneumatische federung mit niveauregelung fuer fahrzeuge
DE19857595C2 (de) 1997-12-18 2003-06-26 Zf Sachs Ag Selbstpumpendes hydropneumatisches Federbein mit innerer Niveauregelung
US6619634B2 (en) * 2001-04-27 2003-09-16 Razor Usa, Llc Self-chargeable pneumatic cylinder
DE10221833B4 (de) * 2002-05-16 2006-03-09 Zf Sachs Ag Selbstpumpendes hydropneumatisches Federbein
US20040026836A1 (en) * 2002-08-07 2004-02-12 Brookes Graham R. Vehicle suspens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2702A (ko) * 1973-07-27 1975-03-29
JP2005164015A (ja) * 2003-12-05 2005-06-23 Sumitomo Rubber Ind Ltd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取付け具
DE102004061997A1 (de) * 2004-12-23 2006-07-13 Zf Friedrichshafen Ag Kolben-Zylinder-Aggreg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00469A1 (en) 2009-01-01
JP5539629B2 (ja) 2014-07-02
KR20080114609A (ko) 2008-12-31
DE102007029490B4 (de) 2013-05-23
DE102007029490A1 (de) 2009-01-02
JP2009008263A (ja)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4792B2 (en) Strut assembly with air spring
US7478708B2 (en) Shock absorber
EP0974014B1 (en) Double-acting shock absorber with volume compensation for the stroke of the rod
US8371562B2 (en) Double path mount for cab suspension with tilting function
JP2001074082A (ja) 懸架減衰装置
CN113840990B (zh) 具有偏置活塞的液压压缩止动件
KR20100040882A (ko) 세미 제 3 튜브 디자인
KR20110122683A (ko) 단축된 중간관을 가지는 삼중관 완충기
JP3704032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US20020104724A1 (en) Frequency dependent damper
KR20070098962A (ko) 휠-가이딩 공기식 스프링-댐퍼 유닛
US9200695B2 (en) Spring and damper system, in particular for an assembly mount in a motor vehicle
KR101467420B1 (ko) 피스톤-실린더 유닛
KR20110028497A (ko) 유공압 서스펜션 유닛
JP6046106B2 (ja) ストロークの初期における減衰が弱められた2つのピストンを備えた緩衝装置
RU208894U1 (ru) Пневмо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амортизатор
RU204114U1 (ru) Пневмо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амортизатор
RU204317U1 (ru) Однотрубный гидропневматический амортизатор
EP1153228B1 (en) Spring and damper unit
RU190335U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упругий элемент
JPH10331899A (ja) 防振ゴム及びこれを使用した防振機構
KR20010045889A (ko) 자동차의 쇽 업소버 장착구조
AU2003208121B2 (en) Shock Absorber
JP2004316726A (ja) 油圧緩衝器のリバウンドスプリング構造
CN113366241A (zh) 弹性体弹簧/阻尼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