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334B1 -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334B1
KR101467334B1 KR1020080080046A KR20080080046A KR101467334B1 KR 101467334 B1 KR101467334 B1 KR 101467334B1 KR 1020080080046 A KR1020080080046 A KR 1020080080046A KR 20080080046 A KR20080080046 A KR 20080080046A KR 101467334 B1 KR101467334 B1 KR 101467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port
air conditioning
blowe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1238A (ko
Inventor
강성호
서용은
윤서준
정환명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0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334B1/ko
Publication of KR20100021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64Ventilators and damper door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오염된 실내공기의 흡입효율을 높임으로써 오염된 실내공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흡입구를 통해 차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케이스의 내부통로로 송풍하는 블로어와, 내부통로의 공기를 차실내로 토출하는 토출구 및, 퍼지모드시에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기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퍼지모드시에 토출구가 주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로 변경될 수 있도록 공조케이스의 내부유로를 변경하는 유로변경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FOR REAR SEAT IN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염된 실내공기의 흡입효율을 높임으로써 오염된 실내공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의 실내 공간이 점차 넓어짐에 따라 차실내의 후석부분을 독립적으로 냉방하는 후석용 공조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후석용 공조시스템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를 구비한다. 공조케이스(10)는, 리어 커버링 쉘프(Rear Covering Shelf)(20)의 내측에 설치되며, 흡입구(30)와 블로어(40) 및 증발기(50)와 토출구(60)를 갖추고 있다.
흡입구(30)는 차실내와 연통되며, 실내의 공기를 도입한다. 블로어(40)는 흡입구(30)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한 다음, 흡입된 내기를 내부통로(12)로 송풍한다.
증발기(30)는 "냉방모드"시에 내부통로(12)의 공기를 냉각시킨다. 토출 구(60)는 냉각된 공기를 차실내로 토출한다. 따라서, 차실내의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시킨다.
통상적으로, 흡입구(30)는 후면유리(22)의 하측부분에 설치되고, 토출구(60)는 양쪽의 루프사이드(24)에 다수개 설치된다. 그리고 블로어(40)의 상류측에는 공기여과를 위한 필터(42)가 설치된다.
한편, 후석용 공조시스템은, 증발기(50)가 없고 필터(42)만 있는 사양, 즉 필터 온리형(Filter Only Type)인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차실내의 공기를 여과하여 공기의 청정도만 높인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후석용 공조시스템은, 차실내의 공기가 오염되었을 경우, 예를 들면, 담배연기에 의해 오염되었을 경우,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기장치를 갖추고 있다.
배기장치는, 실내의 공기 오염을 감지하는 스모크 센서(Smoke Sensor)(70)와, 스모크 센서(70)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퍼지모드"(Purge Mode)로 전환되는 컨트롤러(72)와, 컨트롤러(72)의 "퍼지모드" 신호에 따라 작동되면서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어(40)와, 블로어(40)에 흡입된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시키는 배기구(74) 및, "퍼지모드"시 배기구(74)를 개방하는 배기도어(76)를 포함한다.
여기서, 배기장치는, "퍼지모드"시에, 흡입구(30)의 공기를 블로어(40)의 상류측으로 직접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수단(80)을 더 구비한다.
바이패스수단(80)은, 흡입구(30)와 블로어(40)의 상류측을 직접 연결하는 바이패스유로(82)와, 바이패스유로(82)를 개폐하는 개폐도어(84)를 구비한다. 특히, 개폐도어(84)는 "퍼지모드"시에 바이패스유로(82)는 개방하고, 필터(42)측으로의 내부통로(12a)는 차단한다. 따라서, 흡입구(30)로 도입된 오염된 공기가 필터(42)를 거치지 않고 블로어(40)로 직접 흡입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필터(42)의 오염을 최소화시킨다.
이러한 구성의 배기장치는, 차량의 실내공기가 오염되면 이를 배출시키는 구조이므로, 실내공기의 청정도를 높여준다. 따라서, 차량의 실내환경을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후석용 공조시스템은, 실내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30)가 차실내의 후측부분에 설치되므로, "퍼지모드"시에 오염된 실내공기의 흡입효율이 매우 낮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오염된 실내공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차량의 후석에서 담배를 피우면, 발생된 담배연기는 차실내의 전석부분으로 빠르게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후면유리(22)부분에 설치되는 흡입구(30)로는 전석부분으로 이동하는 담배연기를 효율좋게 흡입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오염된 실내공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오염된 실내공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없으므로, 실내공기의 청정도가 낮고, 그 결과, 차량의 실내환경이 쾌적하게 유지될 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석부분으로 이동하는 오염된 공기도 효율좋게 흡입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오염된 공기의 흡입효율을 최대한 증대시킬 수 있는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염된 공기의 흡입효율을 최대한 증대시킴으로써, 오염된 실내공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염된 실내공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실내공기의 청정도를 높여줄 수 있고, 차량의 실내환경을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은, 흡입구를 통해 차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케이스의 내부통로로 송풍하는 블로어와, 내부통로의 공기를 차실내로 토출하는 토출구 및, 퍼지모드시에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기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퍼지모드시에 상기 토출구가 주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로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유로를 변경하는 유로변경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로변경수단은, 상기 토출구와 상기 블로어의 상류측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유로와; 퍼지모드시에 상기 블로어의 흡입력이 상기 토출구에 작용하여 주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연통유로를 개방하는 유로전환도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에 의하면, "퍼지모드"시에 다수의 토출구들을 흡입구로 변경시키는 구조이므로, 오염된 실내공기의 흡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염된 실내공기의 흡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므로, 오염된 실내공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내공기의 청정도를 높여줄 수 있고, 차량의 실내환경을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실내의 양쪽부분에 설치되는 다수의 토출구를 흡입구로 이용하는 구조이므로, 후석부분으로부터 전석부분으로 이동하는 오염된 공기를 효율좋게 흡입할 수 있다. 따라서, 후석부분에서 발생되는 공기오염이 전석부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1과 도 3을 참조하여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후석용 공조시스템은, 공조케이스(10)를 구비한다. 공조케이스(10)는, 흡입구(30)와 블로어(40) 및 증발기(50)와 토출구(60)를 갖추고 있다.
흡입구(30)는 차실내의 공기를 도입한다. 블로어(40)는 흡입구(30)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한 다음, 흡입된 내기를 내부통로(12)로 송풍한다.
증발기(30)는 "냉방모드"시에 내부통로(12)의 공기를 냉각시킨다. 토출구(60)는 냉각된 공기를 차실내로 토출한다.
일반적으로, 흡입구(30)는 후면유리(22)의 하측부분에 설치되고, 토출구(60)는 양쪽의 루프사이드(24)에 다수개 설치된다. 그리고 블로어(40)의 상류측에는 공기여과를 위한 필터(42)가 설치된다.
그리고, 후석용 공조시스템은, 차실내의 공기가 오염되었을 경우,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기장치를 갖추고 있다.
배기장치는, 실내의 공기 오염을 감지하는 스모크 센서(70)와, 스모크 센서(70)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퍼지모드"로 전환되는 컨트롤러(72)와, 컨트롤러(72)의 "퍼지모드" 신호에 따라 작동되면서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어(40)와, 블로어(40)에 흡입된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시키는 배기구(74) 및, "퍼지모드"시 배기구(74)를 개방하는 배기도어(76)를 포함한다.
한편, 배기장치는, "퍼지모드"시에, 흡입구(30)의 공기를 블로어(40)의 상류측으로 직접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수단(80)을 더 구비한다.
바이패스수단(80)은, 흡입구(30)와 블로어(40)의 상류측을 직접 연결하는 바이패스유로(82)와, 바이패스유로(82)를 개폐하는 개폐도어(84)를 구비한다. 특히, 개폐도어(84)는 "퍼지모드"시에 바이패스유로(82)는 개방하고, 필터(42)측으로의 내부통로(12a)는 차단한다. 따라서, 흡입구(30)로 도입된 오염된 공기가 필터(42)를 거치지 않고 블로어(40)로 직접 흡입될 수 있게 한다.
한편, 후석용 공조시스템은, 증발기(50)가 없고 필터(42)만 있는 사양, 즉 필터 온리형(Filter Only Type)인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차실내의 공기를 여과하여 공기의 청정도만 높인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의 특징부를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후석용 공조시스템은, 토출구(60)와 블로어(40)의 상류측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유로(90)를 구비한다.
연통유로(90)는, 흡입구(30)측의 내부통로(12)와 토출구(60)측의 내부통로(12)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블로어(40)의 상류측과 토출구(60)를 서로 연통시킨다.
여기서, 연통유로(90)는, 토출구(60)들이 분기되기 전의 내부통로(12)부분을, 흡입구(30)측과 연통시켜야 한다. 이는, 연통유로(90)에 블로어(40)의 흡입력이 작용하였을 경우, 이와 연결되는 각각의 토출구(60)들에게 동일한 흡입력이 형성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다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후석용 공조시스템은, 연통유로(90)에 설치되는 유로전환도어(100)를 구비한다.
유로전환도어(100)는, 원위치(X)와 작동위치(Y)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 되며, 원위치(X)에서 연통유로(90)를 차단하고, 작동위치(Y)에서 연통유로(90)를 개방한다. 특히, 작동위치(Y)에서는 연통유로(90)를 개방함과 동시에 증발기(50)측의 내부통로(12b)를 차단하기도 한다.
이러한 유로전환도어(100)는, "냉방모드"시에는 원위치(X)로 회전된 상태이다. 따라서, 연통유로(90)를 차단한다.
반면에, "퍼지모드"시에는 컨트롤러(72)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위치(Y)로 전환된다. 따라서, 연통유로(90)를 개방하여 블로어(40)의 상류측과 토출구(60)를 서로 연통시킨다. 그 결과, 블로어(40)의 흡입력이 토출구(60)에도 작용하면서 토출구(60) 주변의 실내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유로전환도어(100)는, "퍼지모드"시에 블로어(40)의 흡입력이 토출구(60)에도 작용할 수 있도록 내부유로를 변경하며, 그 결과, 상기 토출구(60)들이 흡입구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토출구(60)들의 주변에 분포된 오염된 공기들이 상기 토출구(60)에 흡입되면서 제거될 수 있게 한다. 특히, 후석부분으로부터 전석부분으로 이동하는 오염된 공기가 토출구(60)에 흡입되면서 빠르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예를 "냉방모드"와 "난방모드"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냉방모드" 상태일 경우를 살펴본다. 블로어(40)가 작동함에 따라 흡입구(30)로 실내공기가 도입되고, 도입된 실내공기는 필터(42)를 통과하면서 여과된다.
그리고 여과된 공기는 내부통로(12)의 증발기(5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냉각된 공기는 토출구(60)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면서 차실내를 냉방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퍼지모드" 상태일 경우를 살펴본다. 차실내의 공기가 오염되면, 스모크 센서(70)가 이를 감지한다. 그리고 스모크 센서(70)의 감지신호에 따라 컨트롤러(72)는 "퍼지모드"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컨트롤러(72)로부터 "퍼지모드"신호가 출력되면, 개폐도어(84)와 배기도어(76)가 동시에 작동되면서 바이패스유로(82)와 배기구(74)를 각각 개방한다.
그러면, 흡입구(30) 주변의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바이패스유로(82)로 바이패스되면서 블로어(40)를 통과하며, 블로어(40)를 통과한 공기는 배기구(74)를 통해 차량의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컨트롤러(72)로부터 "퍼지모드" 신호가 출력되면, 유로전환도어(100)도 작동되면서 연통유로(90)를 개방함과 동시에 증발기(42)측의 내부통로(12b)를 차단한다.
그러면, 블로어(40)의 흡입력이 다수의 토출구(60)들에도 작용한다. 따라서, 다수의 토출구(60)들은 흡입구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주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한다.
그리고 다수의 토출구(60)로 흡입된 공기는 연통유로(90)를 통해 바이패스유로(82)로 도입되고, 바이패스유로(82)로 도입된 공기는 블로어(40)와 배기구(74)를 통해서 차량의 실외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퍼지모드"시에 다수의 토출구(60)들을 흡입구로 변경시키는 구조이므로, 오염된 실내공기의 흡입효율을 극대화시킨다.
또한, 오염된 실내공기의 흡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므로, 오염된 실내공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내공기의 청정도를 높여줄 수 있고, 차량의 실내환경을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차실내의 양쪽부분에 설치되는 다수의 토출구(60)를 흡입구로 이용하는 구조이므로, 후석부분으로부터 전석부분으로 이동하는 오염된 공기를 효율좋게 흡입할 수 있다. 따라서, 후석부분에서 발생되는 공기오염이 전석부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차량의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차량 후석용 공조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냉방모드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퍼지모드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공조케이스 12: 내부통로
12a: 필터측의 내부통로 12b: 증발기측의 내부통로
30: 흡입구 40: 블로어(Blower)
42: 필터(Filter) 50: 증발기
60: 토출구 70: 스모크 센서(Smoke Sensor)
72: 컨트롤러(Controller) 74: 배기구
76: 배기도어 80: 바이패스수단
82: 바이패스유로 84: 개폐도어
90: 연통유로 100: 유로전환도어

Claims (4)

  1. 흡입구(30)를 통해 차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2)로 송풍하는 블로어(40)와, 내부통로(12)의 공기를 차실내로 토출하는 토출구(60) 및, 퍼지모드시에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기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퍼지모드시에 상기 토출구(60)가 주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로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유로를 변경하는 유로변경수단을 포함하고,
    퍼지모스시에 기존의 흡입구(30)와, 상기 유로 변경수단에 의해 공기 흡입구로 변경된 토출구(60)가 동시에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며,
    상기 유로변경수단은,
    상기 토출구(60)와 상기 블로어(40)의 상류측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유로(90)와;
    퍼지모드시에 상기 블로어(40)의 흡입력이 상기 토출구(60)에 작용하여 주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연통유로(90)를 개방하는 유로전환도어(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도어(100)는,
    퍼지모드시에 상기 토출구(60)와 연결되는 증발기측의 내부통로(12b)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60)는,
    차실내의 양쪽 루프사이드(24)에 다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
KR1020080080046A 2008-08-14 2008-08-14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 KR101467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046A KR101467334B1 (ko) 2008-08-14 2008-08-14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046A KR101467334B1 (ko) 2008-08-14 2008-08-14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238A KR20100021238A (ko) 2010-02-24
KR101467334B1 true KR101467334B1 (ko) 2014-12-01

Family

ID=42091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046A KR101467334B1 (ko) 2008-08-14 2008-08-14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3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5322A (ja) * 1993-04-23 1994-11-01 Nippondenso Co Ltd 座席用空調装置
KR19990041556A (ko) * 1997-11-22 1999-06-15 정몽규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환기 및 건조장치
KR200312666Y1 (ko) * 1997-08-22 2003-07-16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리어쿨링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5322A (ja) * 1993-04-23 1994-11-01 Nippondenso Co Ltd 座席用空調装置
KR200312666Y1 (ko) * 1997-08-22 2003-07-16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리어쿨링유닛
KR19990041556A (ko) * 1997-11-22 1999-06-15 정몽규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환기 및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238A (ko)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357B1 (ko) 차량의 능동형 공기 정화 장치
KR20190072257A (ko) 진공 청소 기능을 갖는 차량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05221229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101467334B1 (ko) 차량의 후석용 공조시스템
KR100745078B1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2019104312A (ja) 空調装置
KR10156632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535938Y2 (ja) 換気兼用車内冷房装置
JP2998332B2 (ja) 天井設置型車両用クーリングユニット
KR200312666Y1 (ko) 차량리어쿨링유닛
JP2825335B2 (ja) 換気兼用車内冷房装置
JP2001260646A (ja) 車両用空気清浄装置
JPH08175161A (ja) 車両用空調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方法
JP4503446B2 (ja) 車両用換気装置
KR100376009B1 (ko) 차량의 공기조절장치
JP4613722B2 (ja) 車両用換気システム
JPH0939562A (ja) 車載空調装置
KR100759425B1 (ko)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
JPH0825949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515910Y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818126B2 (ja) 空気清浄器
KR20220060925A (ko) 차량 공조 방법
KR20220060924A (ko) 차량 공조 장치 및 그 공조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JPH0745369Y2 (ja) 車両用換気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車両用空気処理装置
JP2006193089A (ja) 車両用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