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321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321B1
KR101566321B1 KR1020090053061A KR20090053061A KR101566321B1 KR 101566321 B1 KR101566321 B1 KR 101566321B1 KR 1020090053061 A KR1020090053061 A KR 1020090053061A KR 20090053061 A KR20090053061 A KR 20090053061A KR 101566321 B1 KR101566321 B1 KR 101566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ower
case
air conditioning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4437A (ko
Inventor
한규익
김영근
서정훈
윤길상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3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321B1/ko
Publication of KR20100134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42Modula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85Means for monitoring, testing or servicing the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8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환기유닛과 블로어유닛의 사이에 각 유닛을 상호 연통시킴과 동시에 지지하는 지지덕트를 슬라이딩 결합하고 상기 지지덕트에 어스피레이터(ASPIRATOR)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지덕트와 어스피레이터를 일체로 구성하여 슬라이딩 조립함에 따라 조립공수를 줄이고 조립도 간편하여 조립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상기 어스피레이터에 연결되는 호스의 길이 및 루트(ROUTE)를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블로어의 흡입에 따른 부압과 열교환기유닛내의 정압을 동시에 이용하여 차량 실내공기를 흡입하기 때문에 풍속이 증대되어 인카 센서부가 실내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충분한 풍속을 얻을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40a)의 내부에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를 설치한 열교환기유닛(40)과, 상기 공조케이스(40a)의 일측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블로어케이스(10a)의 내부에 블로어(35)를 설치하여 공조케이스(40a)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블로어유닛(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40a)와 블로어케이스(10a)의 상호 마주하는 면에는 각각 브라켓(120)이 형성되고, 상기 각 브라켓(120)에는 공조케이스(40a)와 블로어케이스(10a)를 상호 연통시킴과 동시에 지지하는 지지덕트(1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덕트(100)에는 벤츄리작용을 발생시켜 차량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어스피레이터(110)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조장치, 열교환기유닛, 블로어유닛, 브라켓, 지지덕트, 어스피레이터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환기유닛과 블로어유닛의 사이에 각 유닛을 상호 연통시킴과 동시에 지지하는 지지덕트를 슬라이딩 결합하고 상기 지지덕트에 어스피레이터(ASPIRATOR)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지덕트와 어스피레이터를 일체로 구성하여 슬라이딩 조립함에 따라 조립공수를 줄이고 조립도 간편하여 조립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상기 어스피레이터에 연결되는 호스의 길이 및 루트(ROUTE)를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블로어의 흡입에 따른 부압과 열교환기유닛내의 정압을 동시에 이용하여 차량 실내공기를 흡입하기 때문에 풍속이 증대되어 인카 센서부가 실내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충분한 풍속을 얻을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 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시스템과 냉방시스템을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자동차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 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
도 1은 상기와 같은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상기 공조장치 중 세미 센터 타입 공조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공조케이스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조장치(1)는, 공조케이스(40a)와 연통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측에 내,외기유입구(21)(22)가 형성된 블로어케이스(10a)와,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내,외기전환도어(23)와,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통해 유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a)측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블로어(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블로어유닛(10);
상기 블로어유닛(1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입구측에 공기유입구(43)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모드도어(46)에 의해 개폐되는 다수의 공기토출구(44)가 형성된 공조케이스(40a)와, 상기 공조케이스(40a)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로 구성된 열교환기유닛(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증발기(41)와 히터코어(42)의 사이에는 상기 증발기(41)를 거친 냉풍과 히터코어(42)를 거친 온풍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45)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내,외기전환도어(23)의 개폐 선택에 따라 블로어(35)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도입하고, 이 공기를 공조케이스(40a)를 따라 증발기(41)를 통과하게 하고 온도조절도어(45)의 조작에 의해 히터코어(42)를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냉각 또는 가열한 후, 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조모드(벤트 모드, 바이레벨 모드, 플로어 모드, 믹스 모드, 디프로스트 모드)에 따른 다수의 모드도어들(46)의 개폐 선택에 따라 각 분기덕트(미도시)로 분기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난방 또는 환기한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공조케이스(40a)의 일측면에는 차량 실내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기 위해 차량 실내공기를 강제 흡입하기 위한 용도로 벤츄리 작용을 이용한 어스피레이터(ASPIRATOR)(60)가 설치된다.
상기 어스피레이터(60)는 공조케이스(40a)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벤츄리 작용이 발생하도록 통로를 축소한 벤츄리 통로(미도시)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차량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파이프(6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흡입파이프(61)의 입구는 차량 실내와 연통하고 출구는 어스피레이터(60)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공조케이스(40a)내에 작용하는 정압에 의해 공조케이스(40a)로부터 인출된 공기가 어스피레이터(6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벤츄리 작용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흡입파이프(61)를 통해 차량 실내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파이프(61)와 연결된 호스(미도시) 입구측 인카 센서부(미도시)를 통해 실내 공기의 온도와 습도 등을 측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유닛(40)과 블로어유닛(10)의 조립을 위해 각 유닛을 연결 지지하는 지지대(70)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열교환기유닛(40)과 블로어유닛(10)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서 상기 어스피레이터(60)를 조립할 경우, 상기 열교환기유닛(40)과 블로어유닛(10)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 지지대(70)로 인해 상기 어스피레이터(60)의 조립이 어렵고 상기 지지대(70)와 어스피레이터(60)를 각각 조립해야하므로 조립공수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40a)내의 정압만을 이용하거나 정압이 낮을 경우에는 어스피레이터(60)를 통한 충분한 풍속을 얻기가 어렵고 결국 상기 흡입파이프(61)를 통한 인카 센서부의 흡입 풍속이 낮아 실내온도를 감지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기유닛과 블로어유닛의 사이에 각 유닛을 상호 연통시킴과 동시에 지지하는 지지덕트를 슬라이딩 결합하고 상기 지지덕트에 어스피레이터(ASPIRATOR)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지덕트와 어스피레이터를 일체로 구성하여 슬라이딩 조립함에 따라 조립공수를 줄이고 조립도 간편하여 조립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상기 어스피레이터에 연결되는 호스의 길이 및 루트(ROUTE)를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블로어의 흡입에 따른 부압과 열교환기유닛내의 정압을 동시에 이용하여 차량 실내공기를 흡입하기 때문에 풍속이 증대되어 인카 센서부가 실내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충분한 풍속을 얻을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증발기 및 히터코어를 설치한 열교환기유닛과, 상기 공조케이스의 일측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블로어케이스의 내부에 블로어를 설치하여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블로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와 블로어케이스의 상호 마주하는 면에는 각각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각 브라켓에는 공조케이스와 블로어케이스를 상호 연통시킴과 동시에 지지하는 지지덕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덕트에는 벤츄리작용을 발생시켜 차량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어스피레이터(ASPIRATOR)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열교환기유닛과 블로어유닛의 사이에 각 유닛을 상호 연통시킴과 동시에 연결 지지하는 지지덕트를 브라켓을 통해 슬라이딩 결합하고 상기 지지덕트에 어스피레이터를 일체로 형성하여 블로어유닛내의 블로어 흡입에 따른 부압과 열교환기유닛내의 정압을 동시에 이용하여 차량 실내공기를 흡입함으로써, 흡입 풍속이 증대되어 인카 센서부가 실내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충분한 풍속과 풍량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덕트와 어스피레이터가 일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어스피레이터에 연결되는 호스의 길이 및 루트를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일체로 구성된 지지덕트와 어스피레이터를 공조케이스 및 블로어케이스에 브라켓을 통해 슬라이딩 조립함으로써, 조립공수를 줄이고 조립도 간편하여 조립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덕트 및 어스피레이터에서 토출된 공기가 차량 실내로 버려지지 않고 블로어케이스로 유입되게 되므로 실내로 버려졌을때 발생할 수 있는 승객의 불쾌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공조케이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서 지지덕트를 브라켓에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서 지지덕트 및 어스피레이터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열교환기유닛(40)과 블로어유닛(10)으로 구성되며,
먼저, 열교환기유닛(40)은, 입구측에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공기유입구(43)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다수의 공기토출구(44)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43)와 각 공기토출구(44)들을 연통시키도록 내부에 공기통로를 갖는 공조케이스(40a)와, 상기 공조케이스(40a)의 공기통로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와, 상기 증발기(41)와 히터코어(42)의 사이에 설치되어 히터코어(4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와 히터코어(42)를 통과하는 온풍통로의 개도를 조절하여 냉풍과 온풍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45)와, 상기 증발기(41)를 통과하여 히터코어(42)를 선택적으로 거친 공기를 차실내의 특정 토출구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각 공기토출구(44)들을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공조 모드를 변환하는 다수의 모드도어(4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온도조절도어(45) 및 모드도어(46)는 상기 공조케이스(40a)의 외측에 설치된 모드캠(미도시)에 연결되어 온도조절 및 다양한 공조모드를 실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모드캠은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엑츄에이터(미도시)와 연결되어 동작하게 된다.
즉, 상기 온도조절도어(45) 및 모드도어(46)는 사용자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공조장치 제어용 컨트롤러(미도시)를 조작함에 따라, 그 조작스위치에 연동하여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블로어유닛(10)은, 상기 공조케이스(40a)의 공기유입구(43)와 연통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부측에는 내,외기를 도입할 수 있도록 내,외기유입구(21)(22)가 형성된 블로어케이스(10a)와, 상기 블로어케이스(10a)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개폐하는 내,외기전환도어(23)와, 상기 블로어케이스(10a)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통해 유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a)측으로 강제 송풍하는 블로어(3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블로어케이스(10a) 내부의 블로어(35) 상류 공간에는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통해 유입되는 내,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에어필터(2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40a)와 블로어케이스(10a)의 상호 마주하는 면에는 각각 브라켓(120)이 형성되고, 상기 각 브라켓(120)에는 공조케이스(40a)와 블로어케이스(10a)를 상호 연통시킴과 동시에 연결 지지하는 지지덕트(1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공조케이스(40a)와 블로어케이스(10a)에는 각각 상기 지지덕트(100)와 연통하도록 연통홀(40b)(10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덕트(100)의 양단부에는 사각 형태의 슬라이딩판(101)이 형성되고, 상기 각 브라켓(120)에는 상기 슬라이딩판(101)이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슬라이딩홈(121)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덕트(100) 양단부의 슬라이딩판(101)이 상기 각 브라켓(120)의 슬라이딩홈(121)에 동시에 슬라이딩 결합되게 된다.
상기 브라켓(120)은 공조케이스(40a)와 블로어케이스(10a)의 외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되, 각 연통홀(40b)(10b)의 주변에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브라켓(120)의 상,하부에는 상기 지지덕트(100)의 슬라이딩판(101) 상,하단이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기 슬라이딩홈(121)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브라켓(120)은 지지덕트(100)의 조립방향으로 일단부는 개방되고 타단부는 폐쇄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덕트(100)의 양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딩판(101)을 공조케이스(40a)와 블로어케이스(10a)의 각 브라켓(120)의 개방부위쪽으로 삽입하여 밀어넣으면 간편하게 슬라이딩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120)의 타단부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덕트(100)의 조립위치를 정확히 맞출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판(101)과 슬라이딩홈(121)의 상호 마주하는 면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홈(122)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홈(122)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돌출부(102)가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슬라이딩홈(121)에 걸림홈(122)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판(101)에 돌출부(102)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지지덕트(100)의 슬라이딩판(101)을 브라켓(120)의 슬라이딩홈(121)에 슬라이딩 조립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판(101)의 돌출부(102)가 슬라이딩홈(121)의 걸림홈(122)에 삽입되어 걸리게 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 지지덕트(10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덕트(100)의 입구(100a)는 상기 공조케이스(40a)의 내부에서 증발기(41)를 기준으로 하류 영역과 연통하도록 설치되는데, 보다 바람직하게 는, 상기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를 통과한 공기가 섞이는 혼합영역(MC)과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덕트(100)의 출구(100b)는 상기 블로어케이스(10a)의 블로어(35) 상류 영역과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블로어(35)의 작동시, 블로어케이스(10a) 내부에 작용하는 블로어(35) 흡입 부압과 공조케이스(40a) 내부에 작용하는 정압에 의한 압력차에 의해 공조케이스(40a)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지지덕트(100)를 통해 블로어케이스(10a)내로 흡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블로어케이스(10a)의 내부에서 블로어(35) 상류 영역에 에어필터(25)가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지지덕트(100)의 출구(100b)를 블로어(35)의 상류와 에어필터(25) 하류 사이의 부압 형성구간에 연통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덕트(100)에는 벤츄리작용을 발생시켜 차량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어스피레이터(ASPIRATOR)(110)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어스피레이터(110)는 상기 지지덕트(100)의 내부 통로를 축소하여 형성된 벤츄리 통로부(111)와, 상기 지지덕트(100)의 벤츄리 통로부(111) 상류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차량 실내와 지지덕트(100)의 내부를 연통시켜 차량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파이프(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덕트(100)의 내부는 상기 벤츄리 통로부(111)가 형성된 부위에서 통로 단면적이 감소된 후 벤츄리 통로부(111)를 지나면 다시 확장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흡입파이프(112)의 입구는 차량 실내와 연통하도록 입구가 직접 실내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흡입파이프(112)의 입구측에 별도의 호스(미도시)를 연결하여 실내측과 연통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공조케이스(40a)로부터 인출된 공기가 지지덕트(100) 내부의 벤츄리 통로부(11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벤츄리 작용이 발생하게 되어 흡입파이프(112)를 통해 차량 실내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게 되며, 이때 상기 흡입파이프(112)와 연통하는 호스측에 설치된 인카 센서부(미도시)를 통해 실내 공기의 온도와 습도 등을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유닛(40)과 블로어유닛(10)의 사이에 각 유닛을 상호 연통시킴과 동시에 연결 지지하는 지지덕트(100)를 브라켓(120)을 통해 슬라이딩 결합하고 상기 지지덕트(100)에 어스피레이터(110)를 일체로 형성하여 블로어유닛(10)내의 블로어(35) 흡입에 따른 부압과 열교환기유닛(40)내의 정압을 동시에 이용하여 차량 실내공기를 흡입함으로써, 흡입 풍속이 증대되어 인카 센서부가 실내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충분한 풍속과 풍량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덕트(100)와 어스피레이터(110)가 일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어스피레이터(110)에 연결되는 호스의 길이 및 루트(ROUTE)를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일체로 구성된 지지덕트(100)와 어스피레이터(110)를 공조케이스(40a) 및 블로어케이스(10a)에 브라켓(120)을 통해 슬라이딩 조립함으로써, 조립공수를 줄이고 조립도 간편하여 조립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덕트(100) 및 어스피레이터(110)에서 토출된 공기가 차량 실내로 버려지지 않고 블로어케이스(10a)로 유입되게 되므로 실내로 버려졌을때 발생할 수 있는 승객의 불쾌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차량용 공조장치의 가동에 의하여 블로어(35)가 블로어케이스(10a)의 내부에서 회전하게 되면, 블로어케이스(10a)의 내부에는 부압이 작용하게 되고 이때의 흡입력에 의하여 상기 내기유입구(21) 또는 외기유입구(22)를 통하여 내기 또는 외기가 블로어케이스(10a) 내부로 흡입된다.
계속해서, 상기 블로어케이스(10a)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블로어(35)의 반경방향으로 토출되면서 공조케이스(40a)의 내부로 송풍된다.
상기 공조케이스(40a)의 내부로 송풍된 공기는, 냉,난방모드에 따라 상기 증발기(41)를 통과한 후 상기 온도조절도어(45)에 의해 상기 히터코어(42)를 거치거나 바이패스하여 온기 또는 냉기로 바뀐다. 상기 온기 또는 냉기로 바뀐 공기는 공조모드에 따라 개방된 공기토출구(44)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블로어(35)의 작동시, 블로어케이스(10a)의 내부에는 블로어(35)의 흡입 부압이 작용하고 공조케이스(40a)의 내부에는 정압이 작용하게 되어 이때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공조케이스(40a)의 내부 공기 중 일부가 지지덕트(100) 를 통해 블로어케이스(10a)로 흡입된다.
이때, 공기가 지지덕트(100) 내부의 벤츄리 통로부(11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벤츄리 작용이 발생하게 되어 흡입파이프(112)를 통해 차량 실내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흡입파이프(112)와 연통하는 호스(미도시)측에 설치된 인카 센서부(미도시)를 통해 실내 공기의 온도와 습도 등을 측정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인카 센서부를 통한 실내온도 및 습도 측정시 블로어(35)의 흡입 부압과 공조케이스(40a)내의 정압을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공기흡입 풍속이 증대되어 인카 센서부가 감지할 수 있는 충분한 풍속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세미 센터 타입 공조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공조케이스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공조케이스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4에서 지지덕트를 브라켓에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지지덕트 및 어스피레이터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블로어유닛 10a: 블로어케이스
40: 열교환기유닛 40a: 공조케이스
100: 지지덕트 101: 슬라이딩판
110: 어스피레이터 111: 벤츄리 통로부
112: 흡입파이프 120: 브라켓
121: 슬라이딩홈

Claims (5)

  1. 공조케이스(40a)의 내부에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를 설치한 열교환기유닛(40)과, 상기 공조케이스(40a)의 일측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블로어케이스(10a)의 내부에 블로어(35)를 설치하여 공조케이스(40a)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블로어유닛(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40a)와 블로어케이스(10a)의 상호 마주하는 면에는 각각 브라켓(120)이 형성되고,
    상기 각 브라켓(120)에는 공조케이스(40a)와 블로어케이스(10a)를 상호 연통시킴과 동시에 지지하는 지지덕트(1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덕트(100)에는 벤츄리작용을 발생시켜 차량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어스피레이터(ASPIRATOR)(110)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덕트(100)의 양단부에는 슬라이딩판(101)이 형성되며, 상기 각 브라켓(120)에는 상기 슬라이딩판(101)이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슬라이딩홈(121)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덕트(100) 양단부의 슬라이딩판(101)이 상기 각 브라켓(120)의 슬라이딩홈(121)에 동시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판(101)과 슬라이딩홈(121)의 상호 마주하는 면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홈(122)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홈(122)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돌출부(102)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덕트(1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스피레이터(110)는 상기 지지덕트(100)의 내부 통로를 축소하여 형성된 벤츄리 통로부(111)와, 상기 지지덕트(100)의 벤츄리 통로부(111) 상류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차량 실내와 지지덕트(100)의 내부를 연통시켜 차량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파이프(1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덕트(100)의 입구(100a)는 상기 공조케이스(40a)의 내부에서 증발기(41)를 기준으로 하류 영역과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출구(100b)는 상기 블로어케이스(10a)의 블로어(35) 상류 영역과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090053061A 2009-06-15 2009-06-15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66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061A KR101566321B1 (ko) 2009-06-15 2009-06-15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061A KR101566321B1 (ko) 2009-06-15 2009-06-15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437A KR20100134437A (ko) 2010-12-23
KR101566321B1 true KR101566321B1 (ko) 2015-11-05

Family

ID=43509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061A KR101566321B1 (ko) 2009-06-15 2009-06-15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3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032A (ko) * 2016-08-23 2018-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인카센서 모듈
CN108327481A (zh) * 2018-01-30 2018-07-27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空调及其壳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1936A (ja) * 2000-08-15 2002-02-28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誘導ダクト取付け構造
JP2007314056A (ja) * 2006-05-26 2007-12-06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1936A (ja) * 2000-08-15 2002-02-28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誘導ダクト取付け構造
JP2007314056A (ja) * 2006-05-26 2007-12-06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437A (ko)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230734A (ja) 車両用空調装置
CN112477543A (zh) 分体式汽车空调器
KR10173347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드레인호스
JP3488889B2 (ja) 自動車用薄型空気調和装置
KR10156632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3617157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6218908A (ja) 作業機械車両のキャビン用空調装置
KR10152921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07618338B (zh) 空气循环器
JPH075824U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52921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3285620A (ja) 車両用空調装置の内外気切換装置
JPH1118012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3873925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703203B1 (ko)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KR20100134435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7269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5527302B2 (ja) 送風装置
JP2015003684A (ja) 車両用空調装置
JP5724893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4492517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4098782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789023B1 (ko) 2층 공기유동구조를 가진 센터 마운팅 타입 자동차용공기조화장치의 송풍기
KR100810822B1 (ko) 2층 공기유동구조를 가진 센터 마운팅 타입 자동차용공기조화장치
KR100376009B1 (ko) 차량의 공기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