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736B1 -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 - Google Patents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736B1
KR101466736B1 KR1020140055301A KR20140055301A KR101466736B1 KR 101466736 B1 KR101466736 B1 KR 101466736B1 KR 1020140055301 A KR1020140055301 A KR 1020140055301A KR 20140055301 A KR20140055301 A KR 20140055301A KR 101466736 B1 KR101466736 B1 KR 101466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uide
roller
mov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우
전병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지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지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지티
Priority to KR1020140055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23C3/12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of pipes o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07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for end faces of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04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16Chamfer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40Using gui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터축의 상하 행정거리를 대폭 연장하여 용접모재의 최대 가공량을 확대하고, 상기 용접모재(파이프, 판재)의 외경이나 상부면을 단차 가공함은 물론 용접 개선을 위한 면취 가공 및 측면을 절삭 가공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수직이동 가이드판의 사이에 설치된 용접모재 가공기를 행정거리 조절구의 회전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직 이동하면서 커터축의 행정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이격상태로 고정 설치된 한 쌍의 외경 가이드롤러 및 상기 외경 가이드롤러의 사이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내경 가이드롤러가 파이프의 두께와 관계없이 내외경을 동시에 밀착 가이드하거나 판재의 상하면을 동시에 밀착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Multipurpose processing machine for welding base metal}
본 발명은 커터축의 상하 행정거리를 대폭 연장하여 용접모재의 최대 가공량을 확대하고, 상기 용접모재(파이프, 판재)의 외경이나 상부면을 단차 가공함은 물론 용접 개선을 위한 면취 가공 및 측면을 절삭 가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가스관공사 현장이나 산업용 플랜트 배관공사현장 등에서는 용접을 위한 사전작업으로 비교적 큰 규격의 용접모재(파이프, 판재)를 길이에 맞게 절단한 후 상기 용접모재에 용접면(면취 가공면)을 일정한 각도로 깎아내어 용접홈(root)을 만드는 개선 작업을 시행함으로써 작업자는 상기 용접모재에 형성된 용접면을 서로 맞대기 용접을 하여 간편하게 절단된 한 쌍의 용접모재를 상호 일체로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한 개선작업시 비교적 규격이 큰 용접모재는 용접면을 가공하기 위한 면취량이 많아 일반적인 소형 면취기로는 가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정확한 면취량을 측정하기 힘들며, 작업의 품질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따라서, 산업현장에서는 용접을 위한 용접면을 전용으로 가공하기 위한 대용량의 면취기가 절실하게 요구됨은 물론 상기 대용량의 면취기는 면취량의 조절이 간편하면서도 개선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성능을 구비하여야만 비로소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감안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 되어 특허결정이 허여된 「특허등록 제955216호, 명칭/ 원터치식 면취량 조절이 가능한 용접 비드면 가공용 면취기」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 전자의 선행기술은 가공량 조절구를 회전조작한 후 놓는 순간 상기 가공량 조절구의 고정홈에 위치 설정핀이 끼워지면서 면취량이 단위별로 정확하게 조절됨과 동시에 설정된 면취량의 록킹을 자동으로 유지하면서도 이와 같은 면취량의 조절이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용접모재에 용접 비드면을 전용으로 면취 가공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의 선행기술은 용접모재의 모서리를 면취 가공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용접모재의 측면을 절삭 가공하는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는바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인 「특허출원 제2014-0038496호, 명칭/ 용접모재 측면 가공기」가 연속적으로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양자의 선행기술은 원터치 조작으로 커터축을 이동시키면서 모서리의 면취량이나 측면의 절삭량을 조절하고 있으나, 상기 커터축의 최대 행정거리가 짧아 용접모재의 최대 가공량이 작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전자의 선행기술은 용접모재를 면취 가공할 수 있고, 후자의 선행기술은 용접모재의 측면을 절삭 가공하는 단일 용도로만 사용할 수밖에 없어 각각 장비의 활용도가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이들 작업을 복합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2대의 장비를 구비해야만 하는 불합리가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이 내포하고 있는 각각의 개선점을 종합적으로 해소하는 신개념의 다목적 가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수직이동 가이드판의 사이에 설치된 용접모재 가공기를 행정거리 조절구의 회전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직 이동하면서 커터축의 행정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격상태로 고정 설치된 한 쌍의 외경 가이드롤러 및 상기 외경 가이드롤러의 사이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내경 가이드롤러가 파이프의 두께와 관계없이 내외경을 동시에 밀착 가이드하거나 판재의 상하면을 동시에 밀착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경 가이드롤러 및 내경 가이드롤러는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상기 다목적 가공기의 선회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용접모재의 외경이나 상부면을 단차 가공함은 물론 용접 개선을 위한 면취 가공 및 측면을 절삭 가공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경 가이드롤러를 주행핸들의 조작에 따라 회전 구동하여 다목적 가공기를 간편하게 주행하면서 용접모재를 가공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지상판을 관통하여 배치된 용접모재 가공기를 한 쌍의 수직이동 가이드판의 사이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지지상판에 설치된 행정거리 조절구의 작동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이동나사축을 용접모재 가공기에 부착된 이동브라켓을 관통하여 나사결합하며, 상기 용접모재 가공기는 수평이동 가이더의 내측에 설치한다.
또한, 상기 수평이동 가이더의 하단에 배치된 롤러 장착판과 하우징 이동가이드판의 양측을 상호 로테이터를 매개로 앵글의 형태로 일체화 연결 설치하되, 상기 롤러 장착판의 후방 및 하우징 이동가이드판의 상부에는 커터축 이동공간을 함몰 형성하며, 상기 로테이터의 내면에는 수평이동 가이더의 양 측면이 밀착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 롤러 장착판의 저면 양측에는 각각 외경 가이드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 이동가이드판의 하단에 부착된 고정지지대의 하단에는 가이드롤러 위치조절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롤러 위치조절구의 상하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된 이동나사축의 상단에 부착된 롤러 하우징의 상부에는 내경 가이드롤러를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터축이 설치된 용접모재 가공기의 수직이동이 가능함으로써 커터축의 행정거리를 대폭 연장하여 용접모재의 최대 가공량을 확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격 설치된 한 쌍의 외경 가이드롤러와 상하 위치이동 가능한 내경 가이드롤러를 이용하여 용접모재의 두께에 관계없이 파이프의 내외경을 동시에 밀착하거나 판재의 상하면을 동시에 밀착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용접모재의 가공시 다양한 크기의 용접모재를 원활하게 가공함은 물론 작업도중 유동발생을 방지하고, 용접모재 가공기의 원활한 주행을 안내함으로써 작업품질이 우수하며, 커터의 파손을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접모재 가공기의 선회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커터축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용접모재(파이프, 판재)의 외경이나 상부면을 단차 가공함은 물론 용접 개선을 위한 면취 가공 및 측면을 절삭 가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 이와 같은 다목적의 가공작업을 1대의 다목적 가공기를 이용하여 복합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작업성이 우수함은 물론 작업시간을 단축하며, 2대의 장비(면취기, 측면 가공기)를 구비함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수평이동 조절장치의 작동상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에 파이프가 지지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행정거리 조절장치의 작동상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각지지틀, 수평이동 가이더 및 로테이터의 조립상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외경 가이드롤러 및 내경 가이드롤러의 사이에 판재가 지지된 상태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외경 가이드롤러 및 내경 가이드롤러의 사이에 판재가 지지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의 회전 주행상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용접모재 가공기가 경사상태로 선회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용접모재 가공기가 수평상태로 선회된 상태의 정단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용접모재 가공기(10), 행정거리 조절장치(20), 롤러 장착판(30) 및 하우징 이동가이드판(40), 한 쌍의 로테이터(50), 한 쌍의 외경 가이드롤러(60), 가이드롤러 위치조절장치(70), 내경 가이드롤러(80)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용접모재 가공기(10)는 가공기 본체(11)의 하부에 커터(12a)가 부착된 커터축(1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상판(13)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종래와 같이 고정상태로 설치됨을 탈피하여 상기 지지상판(13)의 양측 저면에 부착된 수직이동 가이드판(14)의 사이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공기 본체(11)의 전후면 및 수직이동 가이드판(14)의 양면에는 사각지지틀(15)이 부착되고, 이 사각지지틀(15)은 도 3과 같이 수평이동 가이더(16)의 내측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용접모재 가공기(10)는 수직이동 및 수평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직이동 가이드판(14)의 내면에는 도 3과 같이 슬라이딩홈(14a)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14a)에는 가공기 본체(11)의 양 측면에 부착된 슬라이더(17)가 끼움 설치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홈(14a)을 따라 슬라이더(17) 및 용접모재 가공기(10)가 상하로 원활하게 수직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이동 가이더(16)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6a)의 전단에 프론트 프레임(16b)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지지상판(13)의 상단에 부착된 연결프레임(16c)의 양측이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16a)의 후단에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견고한 일체성을 유지함은 물론 상기 용접모재 가공기(10)의 원활한 수평이동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이동 가이더(16)는 양측 내면에 각각 도 7과 같이 레일홈(18)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18)에는 사각지지틀(15)의 양측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가이드레일(15a)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15a)이 레일홈(18)을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하며, 이와 동시에 용접모재 가공기(10)는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접모재 가공기(10)를 원터치 조작으로 간편하게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이동 조절장치(90)의 기술구성이 추가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수평이동 조절장치(90)는 도 3과 같이 상기 수평이동 가이더(16)의 전면에 수평이동 조절구(91)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이동 조절구(91)의 작동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이동나사축(92)의 일측은 상기 사각지지틀(15)의 전면에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이동나사축(92)의 타측은 수평이동 조절구(91)의 양측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이동 조절구(91)의 정역회전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용접모재 가공기(10)가 수평상으로 이동하면서 가공포인트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가공기 본체(11)는 상부의 가공량 조절구(10a)를 회전조작하면 내부에 설치된 이동축이 상하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커터축(12)이 함께 이동하면서 가공량을 초간편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가공량 조절구(10a)를 회전조작한 후 놓는 순간 가공량이 단위별로 정확하게 조절됨과 동시에 설정된 가공량은 자동으로 록킹을 유지함으로써 가공량을 원터치 방식으로 더욱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용접모재 가공기(10)의 수직이동이 가능함으로써 커터축(12)의 행정거리를 대폭 연장하여 용접모재의 최대 가공량을 획기적으로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행정거리 조절장치(20)의 기술이 접목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행정거리 조절장치(20)는 도 6과 같이 상기 지지상판(13)의 상단에 행정거리 조절구(21)가 설치되고, 상기 행정거리 조절구(21)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역회전하는 고정나사축(22)이 상기 용접모재 가공기(10)의 전면에 부착된 이동브라켓(23)을 관통하여 나사결합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행정거리 조절구(21)를 회전시키면 고정나사축(22)이 제자리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고정나사축(22)과 나사결합된 이동브라켓(23) 및 용접모재 가공기(10)가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커터축(12)의 상하 행정거리를 대폭 늘릴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이동 가이더(16)의 하단에는 후방에 커터축 이동공간(31)이 함몰 형성된 롤러 장착판(30)이 배치되고, 상기 롤러 장착판(30)의 후단에는 상호 직각을 이루는 하우징 이동가이드판(40)이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이동가이드판(40)의 상부에는 커터축(12)이 간섭됨을 방지하는 커터축 이동공간(41)이 함몰 형성된다.
이와 같은 롤러 장착판(30)의 후단부 양측 및 하우징 이동가이드판(40)의 상단부 양측에는 각각 한 쌍의 로테이터(50)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로테이터(50)의 마주하는 내면에는 상기 수평이동 가이더(16)의 양 측면이 각각 밀착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수평이동 가이더(16)의 외면에는 원주상으로 선회홈(51)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로테이터(50)의 내면에는 선회돌기(5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선회돌기(52)는 선회홈(5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로테이터(50)에 형성된 가이드홀(53) 및 선회돌기(52)를 동시에 관통하는 선회각 조절구(54)가 수평이동 가이더(16)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선회각 조절구(54)를 풀어준 상태에서 상기 용접모재 가공기(10)의 선회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상기 롤러 장착판(30)의 상단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홀(111)이 형성된 선회 가이더(110)가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가이드홀(111)을 관통하여 수평이동 가이더(16)의 외면에 락 제어구(113)가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락 제어구(113)를 풀어준 상태에서 용접모재 가공기(10)의 선회각을 조절할 때 상기 가이드홀(111)을 따라 락 제어구(113)가 안내 이동함에 따라 선회각 조절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용접모재 가공기(10)가 도 4와 같이 수직을 이룰 때에는 커터(12a)가 파이프(1)의 외경이나 피막을 가공하거나 판재(2)의 상부면을 단차 가공함은 물론 도 11과 같이 용접모재 가공기(10)가 우측으로 경사를 이룰 때에는 파이프(1)나 판재(2)에 용접 개선을 위한 면취 가공을 하며, 상기 용접모재 가공기(10)가 도 12와 같이 수평을 이룰 때에는 커터(12a)가 파이프(1)나 판재(2)의 측면을 절삭 가공함으로써 다목적의 가공작업을 1대의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M)를 이용하여 복합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작업성이 우수함은 물론 작업시간을 단축하며, 2대의 장비(면취기, 측면 가공기)를 구비함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롤러 장착판(30)의 저면 양측에 각각 가공작업시 파이프(1)의 외주면이나 판재(2)의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외경 가이드롤러(6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이동가이드판(40)의 하단에는 고정지지대(42)가 부착되며, 상기 고정지지대(42)의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롤러 위치조절구(71)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역회전하는 이동나사축(72)의 일측이 롤러 하우징(74)의 저면에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이동나사축(72)의 타측은 가이드롤러 위치조절구(71)의 상하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롤러 위치조절장치(7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 하우징(74)의 상부에는 내경 가이드롤러(8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파이프(1) 및 판재(2)의 두께에 전혀 관계없이 도 2와 같이 상기 파이프(1)의 외주면이나 도 8과 같이 판재(2)의 상부면에 외경 가이드롤러(6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롤러 위치조절구(71)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롤러 하우징(74) 및 내경 가이드롤러(80)의 상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파이프(1)의 내주면이나 판재(2)의 하부면에 상기 내경 가이드롤러(80)를 밀착함으로써 면취 가공시 안정성을 유지함은 물론 유동발생을 방지하고, 상기 용접 모재용 다목적 가공기(M)의 전체적인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롤러 하우징(74)의 원활한 수직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이동가이드판(40)의 전면에는 슬라이딩홈(43)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43)에는 롤러 하우징(74)의 후면에 부착된 슬라이더(74a)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상기 롤러 하우징(74)의 수직이동에 따른 원활성을 제고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행정거리 조절장치(20), 상기 수평이동 조절장치(90) 및 가이드롤러 위치조절장치(70)에 관련한 세부 구성은 본 발명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인 「특허출원 제2014-28232호 명칭, 원터치 고정식 미세이동 제어장치」에 이미 개시된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에서 단지 상이한 점은 각 구성요소의 용어가 상이할 뿐 이에 대한 실질적인 기술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본 발명은 파이프(1)의 내경이나 판재(2)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내경 가이드롤러(8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여 힘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M)를 주행하면서 면취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가공기 주행장치(100)의 기술구성이 추가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가공기 주행장치(100)의 기술구성은 도 5 및 도 9와 같이 상기 롤러 하우징(74)의 내부에는 외부동력을 입력받아 회전하는 웜기어 축(10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웜기어 축(101)에 형성된 웜기어(101a)의 상부에는 롤러 하우징(74)의 전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웜휠 축(102)의 웜휠(102a)이 치합설치되며, 상기 웜휠 축(102)의 외측에 형성된 원동기어(102b)는 상기 내경 가이드롤러(80)의 롤러축(82)에 형성된 종동기어(83)와 치합 설치된 됨으로써 상기 웜기어 축(101)에 외부동력이 입력되면 웜기어(101a) 및 웜휠(102a)이 회전함과 동시에 이 회전동력은 내경 가이드롤러(80)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내경 가이드롤러(80)는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웜기어 축(101)에 모터의 동력을 입력하여 자동으로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M)를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주행핸들(103)의 조작에 따라 수동으로 상기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M)를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웜기어 축(101)의 일측은 외부로 노출 설치되고, 상기 외부로 노출된 웜기어 축(101)은 상기 롤러 하우징(74)의 일측면에 부착된 앵글형의 기어 하우징(104)의 일측 내부에 배치되고, 일측 선단에는 제2 베벨기어(105)가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 하우징(104)의 타측 내부에는 웜기어 축(101)의 선단에 결합된 제2 베벨기어(105)와 치합되는 제1 베벨기어(106)가 결합된 핸들축(107)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핸들축(107)은 외부로 노출된 선단에 주행핸들(103)이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주행핸들(103)의 회전조작에 따른 회전동력은 웜기어 축(101)으로 입력될 수 있게 된다.
M: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 1: 파이프
2: 판재 10: 용접모재 가공기
10a: 가공량 조절구 11: 가공기 본체
12: 커터축 13: 지지상판
14: 수직이동 가이드판 14a, 43: 슬라이딩홈
15: 사각지지틀 16: 수평이동 가이더
17, 74a: 슬라이더 20: 행정거리 조절장치
21: 행정거리 조절구 22: 고정나사축
23: 이동브라켓 30: 롤러 장착판
31, 41: 커터축 이동공간 40: 하우징 이동가이드판
50: 로테이터 54: 선회각 조절구
60: 외경 가이드롤러 70: 가이드롤러 위치조절장치
71: 가이드롤러 위치조절구 72, 92: 이동나사축
74: 롤러하우징 80: 내경 가이드롤러
82: 롤러축 83: 종동기어
90: 수평이동 조절장치 91: 수평이동 조절구
100: 가공기 주행장치 101: 웜기어 축
101a: 웜기어 102b: 원동기어
102: 웜휠 축 102a: 웜휠
103: 주행핸들 104: 기어 하우징
105: 제2 베벨기어 106: 제1 베벨기어
107: 핸들축 110: 선회 가이더
111: 가이드홀 113: 락 제어구

Claims (7)

  1. 가공기 본체(11)의 하부에 커터(12a)가 부착된 커터축(1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공기 본체(11)는 수평이동 가이더(16)의 후단 양측에 일체로 연결된 연결프레임(16c)의 상부에 부착된 지지상판(13)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상기 지지상판(13)의 양측 저면에 부착된 수직이동 가이드판(14)의 사이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공기 본체(11)의 전후면 및 수직이동 가이드판(14)의 양면에 부착된 사각지지틀(15)이 수평이동 가이더(16)의 내측에 설치된 용접모재 가공기(10)와;
    상기 지지상판(13)에 설치된 행정거리 조절구(21)의 작동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고정나사축(22)이 상기 용접모재 가공기(10)에 부착된 이동브라켓(23)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된 행정거리 조절장치(20)와;
    상기 수평이동 가이더(16)의 하단에 배치되고, 후방에 커터축 이동공간(31)이 함몰 형성된 롤러 장착판(30) 및 상기 롤러 장착판(30)과 직각을 이루고 상부에 커터축 이동공간(41)이 함몰 형성된 하우징 이동가이드판(40)과;
    상기 롤러 장착판(30) 및 하우징 이동가이드판(40)의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마주하는 내면에 상기 수평이동 가이더(16)의 양 측면이 각각 밀착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로테이터(50)와;
    상기 롤러 장착판(30)의 저면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외경 가이드롤러(60)와;
    상기 하우징 이동가이드판(40)의 하단에 부착된 고정지지대(42)의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롤러 위치조절구(71)의 작동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이동나사축(72)의 일측이 롤러 하우징(74)의 저면에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이동나사축(72)의 타측은 가이드롤러 위치조절구(71)의 상하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된 가이드롤러 위치조절장치(70)와;
    상기 롤러 하우징(74)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내경 가이드롤러(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 가이드판(14)의 내면에는 슬라이딩홈(14a)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14a)에는 가공기 본체(11)의 양 측면에 부착된 슬라이더(17)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 가이더(16)의 전면에는 수평이동 조절구(91)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이동 조절구(91)의 작동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이동나사축(92)의 일측이 상기 사각지지틀(15)의 전면에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이동나사축(92)의 타측은 수평이동 조절구(91)의 양측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된 수평이동 조절장치(9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
  4. 제 3항에 있어서,
    수평이동 가이더(16)의 양측 내면에는 레일홈(18)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18)에는 사각지지틀(15)의 양측 외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레일(15a)이 수평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수평이동 가이더(16)의 외면에 함몰 형성된 선회홈(51)에는 상기 로테이터(50)의 내면에 돌출 형성된 선회돌기(52)가 끼워지며, 상기 로테이터(50)에 형성된 가이드홀(53) 및 선회돌기(52)를 관통하는 선회각 조절구(54)는 수평이동 가이더(16)에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이동가이드판(40)의 전면에는 슬라이딩홈(43)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43)에는 롤러 하우징(74)의 후면에 부착된 슬라이더(74a)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하우징(74)의 내부에는 외부동력을 입력받아 회전하는 웜기어 축(10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웜기어 축(101)에 형성된 웜기어(101a)의 상부에는 롤러 하우징(74)의 전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웜휠 축(102)의 웜휠(102a)이 치합설치되며, 상기 웜휠 축(102)의 외측에 형성된 원동기어(102b)는 상기 내경 가이드롤러(80)의 롤러축(82)에 형성된 종동기어(83)와 치합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공기 주행장치(10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웜기어 축(101)의 일측은 외부로 노출 설치되고, 상기 외부로 노출된 웜기어 축(101)은 상기 롤러 하우징(74)의 일측면에 부착된 앵글형의 기어 하우징(104)의 일측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기어 하우징(104)의 타측 내부에는 상기 웜기어 축(101)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핸들축(107)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핸들축(107)은 외부로 노출된 선단에 주행핸들(103)이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
KR1020140055301A 2014-05-09 2014-05-09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 KR101466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301A KR101466736B1 (ko) 2014-05-09 2014-05-09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301A KR101466736B1 (ko) 2014-05-09 2014-05-09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736B1 true KR101466736B1 (ko) 2014-11-28

Family

ID=52292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301A KR101466736B1 (ko) 2014-05-09 2014-05-09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73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2094A (ja) * 2015-01-15 2016-07-25 イル リ,ジョン 移動式溶接改善用パイプ外径面取器
CN109014744A (zh) * 2018-09-30 2018-12-18 天津正本自控系统有限公司 一种能够调节的电池盒焊接操作平台
KR20190086842A (ko) * 2018-01-15 2019-07-24 주식회사 대성지티 파이프용 자동주행 면취기
KR20190086843A (ko) * 2018-01-15 2019-07-24 주식회사 대성지티 판재용 자동주행 면취기
CN110369922A (zh) * 2019-06-28 2019-10-25 淮阴工学院 旋耕机刀轴刀库自动焊接机
KR102050192B1 (ko) 2019-06-13 2019-11-28 곽두봉 에이치빔 면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0449A (ko) * 2011-03-29 2012-10-10 전영선 용접 개선각 가공용 면취기의 곡면 가이드장치
KR101286749B1 (ko) * 2013-04-30 2013-07-16 주식회사 대성지티 내외경 및 곡선용 면취기
KR20140008799A (ko) * 2012-07-12 2014-01-22 박태근 원형 모따기 장치
JP2014014888A (ja) * 2012-07-06 2014-01-30 Els Engineering Co Ltd 面取り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0449A (ko) * 2011-03-29 2012-10-10 전영선 용접 개선각 가공용 면취기의 곡면 가이드장치
JP2014014888A (ja) * 2012-07-06 2014-01-30 Els Engineering Co Ltd 面取り機
KR20140008799A (ko) * 2012-07-12 2014-01-22 박태근 원형 모따기 장치
KR101286749B1 (ko) * 2013-04-30 2013-07-16 주식회사 대성지티 내외경 및 곡선용 면취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2094A (ja) * 2015-01-15 2016-07-25 イル リ,ジョン 移動式溶接改善用パイプ外径面取器
KR20190086842A (ko) * 2018-01-15 2019-07-24 주식회사 대성지티 파이프용 자동주행 면취기
KR20190086843A (ko) * 2018-01-15 2019-07-24 주식회사 대성지티 판재용 자동주행 면취기
KR102003902B1 (ko) 2018-01-15 2019-07-25 주식회사 대성지티 파이프용 자동주행 면취기
KR102017049B1 (ko) 2018-01-15 2019-09-03 주식회사 대성지티 판재용 자동주행 면취기
CN109014744A (zh) * 2018-09-30 2018-12-18 天津正本自控系统有限公司 一种能够调节的电池盒焊接操作平台
KR102050192B1 (ko) 2019-06-13 2019-11-28 곽두봉 에이치빔 면취장치
CN110369922A (zh) * 2019-06-28 2019-10-25 淮阴工学院 旋耕机刀轴刀库自动焊接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736B1 (ko)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
KR101425824B1 (ko) 용접모재용 복합 가공기
KR100912485B1 (ko) 용접 비드면 가공용 면취기
CN102259226B (zh) 半自动短距切割机及其切割方法
KR101063951B1 (ko) 용접 2중 개선용 면취기
KR200467030Y1 (ko) 파이프 절단기
KR101158400B1 (ko) 파이프 단부 복합 면취장치
KR101276712B1 (ko) 파이프 용접비드면 가공용 가이드장치
KR100899957B1 (ko) 파이프용 면취장치
KR101159642B1 (ko) 안전성이 개선된 양축이동형 용접비드 가공기
KR101333139B1 (ko) 멀티 턴 테이블 장치
KR101286749B1 (ko) 내외경 및 곡선용 면취기
EP2121228B1 (en) Machine tool and method for cutting elongated profiled elements
EP1916057B1 (en) Beveling machine
KR102201895B1 (ko) 회전주행 안정성이 우수한 배관부속용 에어면취기
CN103407860B (zh) 一种电梯导轨安装矫正定位装置
KR101306915B1 (ko) 파이프 용접비드면 가공용 가이드유닛
CN105382376A (zh) 3d数控切割回转头及3d数控切割机
KR20120001490A (ko) 하이브리드운동을 하는 토치를 포함하는 자동 용접장치
EP2432614B1 (en) Machine tool
KR100978357B1 (ko) 파이프의 양단부 가공 장치
CN210475825U (zh) 一种等离子相贯线切割装置
JP2011148050A (ja) H形鋼の開先加工装置
KR101458829B1 (ko) 내외경 및 직선용 복합면취기
CN210232586U (zh) 一种钢建金属用切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