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230B1 -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230B1
KR101466230B1 KR20130068089A KR20130068089A KR101466230B1 KR 101466230 B1 KR101466230 B1 KR 101466230B1 KR 20130068089 A KR20130068089 A KR 20130068089A KR 20130068089 A KR20130068089 A KR 20130068089A KR 101466230 B1 KR101466230 B1 KR 101466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weight
parts
compound
adhes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8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덕
최은익
김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우
Priority to KR20130068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coating being discontinu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use of irradi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점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C4 내지 C12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광개시제, 실리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적어도 2 이상의 에틸렌계 이중결합을 가지는 가교성 모노머 및 유기기능성 실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에 의하면, 점착성이 개선되어 작은 압력에도 용이하게 점착시킬 수 있으며, 박리성이 우수하여 탈착하더라도 피점착면에 잔류물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REMOVABLE ADHESIVE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DHESIVE FILM COMPRISING REMOVABLE ADHESIVE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 보호 및 재박리의 용도에 사용할 수 있는 점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이 고도화됨에 따라 활용되는 소재들이 다양해지고, 특히 재료의 경량화와 공정 개선을 위해 다양하고 많은 양의 접착/점착 소재가 활용되고 있다.
점착은 두 가지의 다른 물체가 친화적인 계면 접촉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잇는 역학적인 힘이나 에너지가 계면을 통해 전달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점착제는 용도별로 영구형과 재박리형으로 나누는데 영구형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응집력은 일정하나 점착력이 변하는 형이고, 재박리형은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응집력과 점착력이 항상 일정한 형이다.
전세계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산업이 급성장하면서, 디스플레이의 보급률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수 있는 점착제,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재에 사용될 수 있는 재박리형 점착제에 대한 요구도 커지고 있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재에 적용하는 폴리머는 대부분 아크릴계 또는 실리콘계를 사용하고 있으며, 코팅 가공하기 위해서는 용제 휘발이 필수적으로 발생하고 그로 인해 용제나 물을 휘발하는데에 따른 대기 오염 유발, 에너지의 과다사용, 건조조건에 따른 점착 물성의 변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친환경적이면서도 재박리의 기능이 우수한 점착 필름에 대한 연구가 계속하여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점착물의 조성 및 함량을 최적화하여 초기 점착력 및 점착 유지력이 우수한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피점착면에 부착하더라도 잔류물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재박리성이 우수한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작은 압력으로도 바로 부착할 수 있는 점탄성(viscoelasticity)이 있는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점착 필름 제조시, 투명기재 상에 용이하게 코팅할 수 있도록 점도가 조절된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필름에 적용가능한 점착층을 구현할 수 있을 정도의 점도를 갖는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점착 필름의 구성을 최적화하여 시인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점착 필름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피점착면에 맞닿는 점착층의 일면의 형태를 변경하여 부착시 피점착면과 점착제 사이에 기포없이 점착층이 피점착면에 밀착하여 부착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점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은 C4 내지 C12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광개시제; 실리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적어도 2 이상의 에틸렌계 이중결합을 가지는 가교성 모노머; 및 유기기능성 실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옥틸데실아크릴레이트 또는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개시제는 포스핀옥사이드계 화합물, 알파하이드록시케톤계 화합물, 벤질케탈계 화합물 또는 알파아미노케톤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1,6-헥사디올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기기능성 실란은 베타-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화합물,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화합물 또는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란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제1 알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제1 아크릴산 모노머 및 제1 광개시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혼합물 준비단계; 상기 혼합물을 자외선 조사하여 올리고머로 중합하는 광중합단계; 및 상기 올리고머에 제2 알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제2 아크릴산 모노머, 제2 광개시제, 실리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적어도 2 이상의 에틸렌계 이중결합을 가지는 가교성 모노머 및 유기기능성 실란을 혼합하고 0 내지 40℃의 온도 하에서 교반하여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중합단계에서 상기 올리고머는 25℃에서 50 내지 5,000cps의 점도를 갖도록 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단계에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25℃에서 100 내지 5,000cps의 점도를 갖도록 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옥틸데실아크릴레이트 또는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개시제는 포스핀옥사이드계 화합물, 알파하이드록시케톤계 화합물, 벤질케탈계 화합물 또는 알파아미노케톤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1,6-헥사디올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기기능성 실란은 베타-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화합물,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화합물 또는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란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물 준비단계에서 상기 혼합물은 상기 제1 알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아크릴산은 5 내지 30중량부이고, 상기 제1 광개시제는 0.005 내지 0.0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단계에서 상기 올리고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 알킬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20 내지 100중량부이고, 상기 제2 아크릴산 모노머는 5 내지 30중량부이고, 상기 제2 광개시제는 1 내지 5중량부이고, 상기 실리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5 내지 30중량부이고,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1 내지 6중량부이고, 상기 유기기능성 실란은 1 내지 1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또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 필름은, 투명기재; 및 상기 투명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마련된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C4 내지 C12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광개시제, 실리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적어도 2 이상의 에틸렌계 이중결합을 가지는 가교성 모노머 및 유기기능성 실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옥틸데실아크릴레이트 또는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광개시제는 포스핀옥사이드계 화합물, 알파하이드록시케톤계 화합물, 벤질케탈계 화합물 또는 알파아미노케톤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1,6-헥사디올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유기기능성 실란은 베타-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화합물,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화합물 또는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란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층은 상기 투명기재와 반대하는 방향의 면에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턴은 홈부와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홈부와 상기 돌출부의 높이 차이는 1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부의 폭은 10 내지 70㎛이고, 상기 돌출부의 폭은 100 내지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 필름의 제조방법은,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는 점착 조성물 제조단계; 상기 점착 조성물을 이형 라이너의 일면에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 조성물 도포단계; 상기 점착층 상에 투명기재를 적층하여 점착 필름을 형성하는 투명기재 적층단계; 및 상기 점착 필름을 자외선 조사하여 상기 점착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자외선 조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형 라이너의 일면에는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점착 조성물 도포단계에서 상기 패턴이 형성된 방향의 면에 점착 조성물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턴은,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라인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점착 조성물은 조성물의 성분을 최적화함으로써 접착력, 키잉(keying)성이 우수하다.
또한, 피점착면에 오랜 기간 부착 후 제거하더라도 점착 조성물의 미세 잔사가 발생하지 않아 피점착체의 표면을 오염시키지 않으며, 시간에 따라 부착력이 증락하는 종래의 필름에 비하여 균일한 부착력을 가지므로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는 점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점착 조성물은 작은 압력으로도 점착이 용이하여 전기, 전자, 자동차 산업 등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점착 조성물은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점착 필름은 이형 라이너를 이용하여 피점착면에 맞닿는 점착층의 일면에 마이크로 단위의 패턴을 형성하여 피점착면에 점착을 방해하는 공기층을 쉽게 제거할 수 있고, 표면 젖음성(wettability)을 향상시켜 표면 부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만으로 피점착면에 점착 필름을 공기층의 발생없이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점착층과 피점착면 사이에 공기층이 없어 깨끗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층에 의한 굴절율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화면이 시야에 깨끗하고 선명하게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점착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점착 필름의 단면도 및 점착 필름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점착 필름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은 알킬아크릴레이트(alkylacrylate), 아크릴산(acrylic acid), 광개시제, 실리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silicone urethane acrylate), 적어도 2이상의 에틸렌계 이중결합을 가지는 가교성 모노머 및 유기기능성 실란(organo functional silane)을 포함한다.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의 알킬기는 탄소수가 4 내지 12인 알킬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옥틸데실아크릴레이트 또는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가 효과적이면 이 중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산은 통상 사용되는 아크릴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점도 및 분자 간 응집력이 적절한 범위로 조절되어, 점착제로 적용되기에 적합한 퍼짐성, 접착력, 초기 접착력 등의 제반 물성을 가질 수 있게 종류 및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빛의 흡수를 통해 초기 반응 속도와 경화정도를 제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광개시제라면 제한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포스핀옥사이드계 화합물, 알파하이드록시케톤계 화합물, 벤질케탈계 화합물 또는 알파아미노케톤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리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실리콘과 결합을 형성하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로, 통상의 실리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점착 조성물의 표면 장력을 낮추는 동시에 필름 구현시에 기재에 대한 코팅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에틸렌계 이중결합을 가지는 가교성 모노머는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클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알콕시레이티드핵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솔비톨트리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유도체,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핵사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아크릴레이트에스테르, 트리메틸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에톡시트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6-헥사디올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효과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6-헥사디올아크릴레이트가 가장 효과적이다.
상기 유기기능성 실란은 점착 조성물의 표면 퍼짐성과 부드러움을 부여하며, 기재와의 키잉(keying)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기기능성 실란은 RnSi(OR)4-n(여기서, R은 알킬기, 아릴기 또는 유기작용기이고, OR은 메톡시기, 에톡시기 또는 아세톡시기임)의 모든 물질을 총칭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예로는, 베타-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화합물,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화합물 또는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란 화합물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베타-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화합물일 수 있다. 이들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종래에는 유기 용제에 희석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또는 실리콘 점착제를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였으나, 본 발명의 점착 조성물은 유기 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구현가능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혼합물 준비단계(S11), 광중합단계(S12) 및 혼합단계(S13)를 포함할 수 있다.
혼합물 준비단계(S11)는 제1 알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제1 아크릴산 모노머 및 제1 광개시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는 추후 필름을 구현하는 경우 도포 과정에서 일정한 점도를 갖게하기위한 것으로 광중합성 올리고머를 형성하기 위한 준비단계이다.
여기서, 하기 혼합단계(S13)에서 첨가되는 물질과 구별하기 위하여 상기 혼합물 준비단계(S11)에서는 '제1'의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며, 혼합단계(S13)에서 첨가되는 물질과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옥틸데실아크릴레이트 또는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포스핀옥사이드계 화합물, 알파하이드록시케톤계 화합물, 벤질케탈계 화합물 또는 알파아미노케톤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1,6-헥사디올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유기기능성 실란은 베타-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화합물,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화합물 또는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란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1 알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제1 아크릴산 모노머 및 제1 광개시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상기 점착 조성물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제1 아크릴산은 상기 제1 알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중량부인 것이 효과적이다.
제1 아크릴산이 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휘발성이 증대되고 접착력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착 조성물의 광중합시 반응속도가 빠르나 강한 접착력으로 디스플레이용 보호 필름으로는 부적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개시제는 상기 제1 알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0.0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3중량부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혼합물을 비반응성 기체, 바람직하게는 질소 기체로 충전된 반응기에 투입하고 혼합한다.
광중합단계(S12)는 상기 혼합물 준비단계(S11)에서 준비된 상기 혼합물을 자외선 조사하여 광중합하는 단계이다. 이는 상기 혼합물을 광중합하여 올리고머로 합성하기 위함이다.
상기 광중합단계(S12)는 15 내지 60℃의 온도 분위기,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의 분위기 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며, 상기 온도 범위를 유지하기 위하여 통상 업계에서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항온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반응성 기체로 충전되어 산소가 없는 환경의 반응기에서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 조사하며, 320 내지 400nm의 범위인 UV-A 영역으로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파장이 상기 파장 범위보다 더 길거나 짧은 램프선이 사용될 수 있다.
자외선 원으로서, 수은 아크, 탄소 아크, 저압 수은 램프, 중압 수은 램프, 고압 수은 램프, 금속 할라이드 램프 등과 같은 일반적 자외선 조사 장치가 사용된다. 자외선의 강도는 자외선 원과 조사될 기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거나 조사 시간(생산성)의 관점에서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적합하게 측정된다.
자외선 조사는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중합율의 온도가 60℃를 넘지 않도록 수행한다.
자외선 조사하여 중합된 올리고머는 25℃에서 점도가 50 내지 5,000cps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0cps인 것이 효과적이다. 올리고머의 점도가 50cps 미만인 경우에는 묽어 코팅제로 사용하기 어려우며, 5,000cps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높은 점도 때문에 열 중합 후에 균일한 두께로 코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혼합단계(S13)는 상기 광중합단계(S12)에서 중합된 올리고머에 제2 알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제2 아크릴산 모노머, 제2 광개시제, 실리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적어도 2 이상의 에틸렌계 이중결합을 가지는 가교성 모노머 및 유기기능성 실란을 혼합 및 교반하는 단계이다. 이는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제2'라는 용어는 상기 혼합물 준비단계(S11)에서 사용되는 물질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다.
상기 혼합단계에서 상기 올리고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 알킬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20 내지 100중량부이고, 상기 제2 아크릴산 모노머는 5 내지 30중량부이고, 상기 제2 광개시제는 1 내지 5중량부이고, 상기 실리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5 내지 30중량부이고,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1 내지 6중량부이고, 상기 유기기능성 실란은 1 내지 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경우 5중량부 미만인 경우 점착 조성물의 표면 장력을 낮추는 효과가 떨어지고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접착력이 현저히 감소할 뿐만 아니라 비경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상기 유기기능성 실란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점착 조성물의 표면 퍼짐성이 떨어져 젖음성의 감소로 필름으로 구현시 기재의 밀착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실리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와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의 범위는 디스플레이용 보호 필름과 같은 필름에 사용될 수 있는 일정 시간 이상을 부착한 후 탈착하는 점착 조성물의 배합 비율로, 본 출원의 발명자가 오랜 연구의 결과로 상기 물질 및 함량을 개발한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물질이 상기 범위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점착력이 떨어지거나 탈착시 잔여물이 남아 피부착면이 오염될 수 있다.
상기 혼합단계(S13)는 공기 중에서 이루어지며, 0 내지 40℃의 온도,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의 온도 분위기 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온도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서 통상 업계에서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항온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단계(S13)는 0.2 내지 2시간동안 교반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시간동안 교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중합 시간이 0.5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교반이 이루어지지 않아 추후 코팅 점착 조성물로 적용할 때 균일한 점착 표면을 얻기가 힘들어 점착 필름의 균일한 물성을 구현하기 어렵고, 중합 시간이 2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양산 상용화하기 어려우며 비경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혼합단계(S13)에서 합성된 접착 조성물은 25℃에서 100 내지 5,000cps의 점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000cps인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상기의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을 포함한 점착 필름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투명기재, 점착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적용 유형에 따라 단면 타입의 점착 필름과 양면 타입의 점착 필름을 구현할 수 있다.
단면 타입의 점착 필름은 피착 표면 보호 또는 가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양면 타입의 점착 필름은 포론 또는 접착 테이프 가공용될 수 있으나, 적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면 타입의 점착 필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기재(10), 점착층(20) 을 포함한다. 상용성을 위하여 점착층(20)을 보호하는 이형 라이너(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투명기재(10)는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재는 투명한 재질, 예컨대 플라스틱 필름이나 글라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으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S), 캐스트 폴리프로필렌(CPP), 오리엔티드 폴리프로필렌(OPP) 또는 인플레이션 폴리프로필렌(IPP)일 수 있다.
점착층(20)은 상기 투명기재(10)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20)은 C4 내지 C12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광개시제, 실리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적어도 2 이상의 에틸렌계 이중결합을 가지는 가교성 모노머 및 유기기능성 실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옥틸데실아크릴레이트 또는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광개시제는 포스핀옥사이드계 화합물, 알파하이드록시케톤계 화합물, 벤질케탈계 화합물 또는 알파아미노케톤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1,6-헥사디올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유기기능성 실란은 베타-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화합물,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화합물 또는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란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점착층(20)은 10 내지 50㎛의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점착층의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표면 점착 효과가 떨어지고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착력이 지나쳐 측면에 끈적임이 발생할 수 있다.
이형 라이너(30)는 상기 점착층(2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형 라이너는 점착층 면에 접촉되어 면을 보호하고, 사용할 때에는 벗겨내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표면가공되어 있는 것으로, 이러한 이형 라이너는 라벨, 스티커류, PVC 시트와 같은 인테리어용 점착 필름 및 합성 피혁 제조와 같은 각종 산업용 캐스팅용으로 사용되는 이형 라이너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20)은 상기 투명기재와 반대하는 방향의 면에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층(20)의 패턴은 점착 필름이 부착될 때 점착층(20)과 피부착면 사이에 들어 있는 공기층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피점착면에 표면 점착 또는 부착을 방해하는 공기층을 제거하여 피점착면에 기포없이 점착 필름이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패턴은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라인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라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 개의 제1 라인과 수 개의 제2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격자 형태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패턴의 형태를 자세히 살피면, 도 3 아래에 도시된 확대도와 같이, 홈부와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a는 홈부와 돌출부의 높이 차이를 나타내고, b는 홈부의 폭을 나타내고, c는 돌출부의 폭을 나타낸다.
상기 a는 1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인 것이 효과적이다. a가 1㎛ 미만인 경우에는 공기층을 제거하는 효과가 미미하며,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공기층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나 표면 굴곡으로 인해 육안 시야각에 굴절이 크게 발생하여 디스플레이용 보호 필름으로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b는 10 내지 7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c는 100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모든 패턴 간의 간격이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직사각형, 마름모 등 다양한 형태인 경우 c의 값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a의 깊이, b 및 c의 폭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공기층 제거 효과가 떨어지거나 시인성 및 광학적 특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양면 타입의 점착 필름도 구현 가능하며, 이는 도 4와 같다. 투명기재(10) 양면에 점착층(20)이 적층되는데, 적층된 점착층(20)을 이형 라이너(10)가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양면 타입의 점착 필름의 경우도, 상기에서 설명한 패턴이 점착층의 투명기재와 반대하는 방향의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패턴은 적어도 1 이상의 점착층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을 포함한 점착 필름의 제조방법을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점착 필름의 제조단계는 점착 조성물 제조단계(S10), 점착 조성물 도포단계(S20), 투명기재 적층단계(S30) 및 자외선 조사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점착 조성물 제조단계(S10)는 상기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인 혼합물 준비단계(S11), 광중합단계(S12) 및 혼합단계(S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점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참고한다.
점착 조성물 도포단계(S20)는 상기 점착 조성물 제조단계(S10)에서 제조된 점착 조성물을 이형 라이너의 일면에 도포하는 단계이다.
이형 라이너의 일면에는 공기층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위한 패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점착 조성물은 상기 패턴이 형성된 방향의 면에 도포될 수 있으며, 10 내지 50㎛의 두께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턴은,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라인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라인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격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이형 라이너에 형성된 패턴 상에 점착 조성물이 도포되어, 이형 라이너와 맞닿는 쪽의 점착층은 반대의 패턴을 형성하게 한다.
투명기재 적층단계(S30)는 상기 점착층 상에 투명기재를 적층하여 합지하는 단계로, 이는 점착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 후, 자외선 조사단계(S40)에서 자외선 조사를 통하여 점착 조성물을 경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형 라이너에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패턴이 형성된 형태와 상응하는 패턴의 형태로 점착 조성물이 경화된다.
상기 방법을 통하여 투명기재의 단면 또는 양면에 점착층을 형성하여 단면 타입의 점착 필름 또는 양면 타입의 점착 필름 모두 구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점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점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의 효과를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살펴본다. 하기 표 1에서 하기 광중합 올리고머는 점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알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아크릴산 모노머, 광개시제를 혼합한 후 자외선 조사하여 중합된 올리고머를 말하며, 광중합 올리고머 100중량부를 기준하여 해당 물질의 중량부를 기재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광중합 올리고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50 50 10 130 50 50 50
아크릴산 15 15 15 15 5 40 15
광개시제 2 2 2 2 2 2 2
실리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20 20 20 20 20 20 20
1,6-헥사디올아크릴레이트 3 3 3 3 3 3 3
유기기능성 실란 5 - - - - - 15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6의 점착 조성물을 이용하여 단면 타입의 점착 필름을 형성한 후, 테스트하였다. 각 항목별 측정 방법은 아래와 같다.
<코팅 두께>
1/1000mm 디지털 두께 게이지로 점착층의 두께를 측정 평가하였다.
<점착력>
폭 25mm, 길이 125mm의 점착 필름을 두께 1.5mm 스테인리스 스틸 #304판에 길이 100mm로 접착시키고, 샘플을 상온 조건하에서 5Kg 롤러(Roller)로 약300㎜/분 속도로 1회 왕복 압착시키고, 각 주어진 조건하에서 24시간동안 방치한다. 그리고나서, 약 21℃의 상온 조건하에서 스테인리스 스틸 #304판 표면으로부터 300㎜/분의 인장 속도로 180°방향으로 잡아당겨 점착력을 평가하였다.
<점착 잔류성 정도>
폭 100mm, 길이 100mm의 이형 라이너를 제거한 점착 필름을 유리 표면에 24시간 각 조건별로 방치하여 점착 필름을 제거하였을 때 유리 표면에 남는 잔류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점착 잔류성 정도를 평가하였다. (있음, 없음으로 표기)
<들뜸 정도>
폭 100mm, 길이 100mm의 이형 라이너를 제거한 점착 필름을 유리 표면에 24시간 방치한 각 조건별로 방치하여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측면 들뜸 여부를 평가하였다. (있음, 없음으로 표기)
<키잉(keying)성>
폭 25mm, 길이 95mm의 점착 필름을 60℃, 95% 조건하에서 72시간 방치한 다음 점착 표면을 손으로 문질렀을 때 점착 조성물의 벗겨짐을 평가하였다.(있음, 없음으로 표기)
<점착 표면>
폭 25mm, 길이 125mm의 접착 필름을 두께 1.5mm 스테인리스 스틸 #304판에 길이 100mm로 접착시킬 때 부착되는 점착면에 대한 느낌을 평가하였다.
<측면 끈적거림>
폭 500mm, 길이 50m의 접착 필름을 폭 25mm폭으로 컷팅하여 접착 필름을 풀어 보았을 때 컷팅 측면에서의 끈적임의 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각 항목을 측정하여 표 2 및 표 3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코팅 두께 20 20 20 20 20 20 20
점착력
(gr/in)
상온
30분
10 25 78 6 8 316 4
상온
72시간
11 28 86 8 10 351 3
60℃, 90% 72시간 후 9 40 91 9 12 468 4
점착 잔류물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들뜸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측면들뜸
필름과의 키잉성 분리안됨 분리안됨 분리안됨 분리됨 분리안됨 분리안됨 분리안됨
점착 표면 부드러움 딱딱함 딱딱함 분리됨 딱딱함 부드러움 부드러움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2, 3을 비교하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낮은 경우 상대적으로 아크릴산의 함량이 높아져 점착력이 높아지고,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높은 경우 점착 조성물이 부드러워지면서 점착력이 떨어졌다. 또한, 필름과의 키잉성도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4와 같이 아크릴산의 함량이 낮은 경우 점착력이 감소하고, 비교예 5와 같이 아크릴산의 함량이 높은 경우 박리용 필름으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할 정도로 점착력이 컸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비교하면 유기기능성 실란이 첨가됨에 따라 점착력이 낮아지고 피점착면에 대한 점착력이 안정적임을 알 수 있어, 실시예 1의 점착 필름은 보호용 필름에 적합한 성질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코팅
두께
항목
7㎛ 상온 30분 점착력 6 13 43 3 5 62 1
측면 끈적거림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필름과의 키잉성 분리
안됨
분리
안됨
분리
안됨
분리됨 분리
안됨

리안됨
분리
안됨
20㎛ 상온 30분 점착력 10 25 78 6 8 116 4
측면 끈적거림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필름과의 키잉성 분리
안됨
분리
안됨
분리
안됨
분리됨 분리
안됨
분리
안됨
분리
안됨
70㎛ 상온 30분 점착력 15 36 117 15 26 214 6
측면 끈적거림 없음 없음 없음 있음 없음 있음 없음
필름과의 키잉성 분리
안됨
분리됨 분리됨 분리됨 분리됨 분리됨 분리됨
상기 표 3과 같이, 코팅 두께가 10 ㎛ 이하인 경우에는 점착력이 떨어지고, 점착 두께가 높을 경우 점착력이 높아졌다.
특히, 비교예는 코팅 두께가 70㎛일 때, 필름과의 키잉성이 현저히 떨어져 실시예 1과는 달리 분리되어, 실시예 1의 조성의 점착 조성물이 필름과의 키잉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6의 단면 타입의 점착 필름에 패턴의 유무에 따라, 필름 부착시 피점착면과 점착층 사이에 공기층이 남아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하기 표 4의 패턴 유는 점착층과 마주보는 이형 라이너에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점착 필름이고, 패턴 무는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이형 라이너가 합지되어 있는 점착 필름이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패턴 유 공기층
없음
공기층
없음
공기층
없음
공기층
없음
공기층
없음
공기층
없음
공기층
없음
패턴 무 공기층이 남음 공기층이 남음 공기층이 남음 공기층이 남음 공기층이 남음 공기층이 남음 공기층이 남음
상기 표 4에 의하면, 점착 조성물의 조성 및 함량에 무관하게 패턴이 형성된 이형 라이너를 사용하여 점착 필름을 구현한 경우에는 공기층이 없이 피점착면에 점착층이 밀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반면에, 패턴이 없는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이형 라이너를 사용하여 점착 필름을 구현한 경우에는 공기층이 일부 남아있어 외관이 깨끗하지 못하고,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이 떨어졌다.
패턴이 형성된 디스플레이용 보호 필름은 피점착층과 점착층 사이에 공기를 함유하고 있지않으며, 제거시에도 점착 조성물의 잔류없이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점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은 디스플레이용뿐만 아니라, 표면 보호 및 재박리성이 요구되는 용도라면 그 적용 범위에 무관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이형 라이너
20 : 점착층
30 : 투명기재

Claims (22)

  1. C4 내지 C12의 알킬기를 가지는 제1 알킬아크릴레이트; 제1 아크릴산; 및 제1 광개시제를 혼합하여 중합한 올리고머;
    상기 올리고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C4 내지 C12의 알킬기를 가지는 제2 알킬아크릴레이트 20 내지 100중량부;
    제2 아크릴산 5 내지 30중량부;
    제2 광개시제 1 내지 5중량부;
    실리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5 내지 30중량부;
    적어도 2 이상의 에틸렌계 이중결합을 가지는 가교성 모노머 1 내지 6중량부; 및
    유기기능성 실란 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알킬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제2 알킬아크릴레이트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옥틸데실아크릴레이트 또는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개시제 및 상기 제2 광개시제는 포스핀옥사이드계 화합물, 알파하이드록시케톤계 화합물, 벤질케탈계 화합물 또는 알파아미노케톤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1,6-헥사디올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기능성 실란은 베타-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화합물,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화합물 또는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란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
  6. 제1 알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제1 아크릴산 모노머 및 제1 광개시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혼합물 준비단계;
    상기 혼합물을 자외선 조사하여 올리고머로 중합하는 광중합단계; 및
    상기 올리고머 100중량부에 제2 알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0 내지 100중량부, 제2 아크릴산 모노머 5 내지 30중량부, 제2 광개시제 1 내지 5중량부, 실리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5 내지 30중량부, 적어도 2 이상의 에틸렌계 이중결합을 가지는 가교성 모노머 1 내지 6중량부 및 유기기능성 실란 1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고 0 내지 40℃의 온도 하에서 교반하여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단계에서 상기 올리고머는 25℃에서 50 내지 5,000cps의 점도를 갖도록 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에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25℃에서 100 내지 5,000cps의 점도를 갖도록 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알킬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제2 알킬아크릴레이트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옥틸데실아크릴레이트 또는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개시제 및 상기 제2 광개시제는 포스핀옥사이드계 화합물, 알파하이드록시케톤계 화합물, 벤질케탈계 화합물 또는 알파아미노케톤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1,6-헥사디올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기능성 실란은 베타-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화합물,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화합물 또는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란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 6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준비단계에서 상기 혼합물은 상기 제1 알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아크릴산은 5 내지 30중량부이고, 상기 제1 광개시제는 0.005 내지 0.0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삭제
  15. 투명기재; 및
    상기 투명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마련된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C4 내지 C12의 알킬기를 가지는 제1 알킬아크릴레이트, 제1 아크릴산 및 제1 광개시제를 혼합하여 중합한 올리고머; 상기 올리고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C4 내지 C12의 알킬기를 가지는 제2 알킬아크릴레이트 20 내지 100중량부; 제2 아크릴산 5 내지 30중량부; 제2 광개시제 1 내지 5중량부; 실리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5 내지 30중량부; 적어도 2 이상의 에틸렌계 이중결합을 가지는 가교성 모노머 1 내지 6중량부; 및 유기기능성 실란 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알킬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제2 알킬아크릴레이트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옥틸데실아크릴레이트 또는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1 광개시제 및 상기 제2 광개시제는 포스핀옥사이드계 화합물, 알파하이드록시케톤계 화합물, 벤질케탈계 화합물 또는 알파아미노케톤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1,6-헥사디올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유기기능성 실란은 베타-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화합물,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화합물 또는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란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투명기재와 반대하는 방향의 면에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홈부와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홈부와 상기 돌출부의 높이 차이는 1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폭은 10 내지 70㎛이고, 상기 돌출부의 폭은 100 내지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20. 제 6항의 방법에 의해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는 점착 조성물 제조단계;
    상기 점착 조성물을 이형 라이너의 일면에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 조성물 도포단계;
    상기 점착층 상에 투명기재를 적층하여 점착 필름을 형성하는 투명기재 적층단계; 및
    상기 점착 필름을 자외선 조사하여 상기 점착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자외선 조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의 제조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라이너의 일면에는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점착 조성물 도포단계에서 상기 패턴이 형성된 방향의 면에 점착 조성물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의 제조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라인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의 제조방법.
KR20130068089A 2013-06-14 2013-06-14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6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8089A KR101466230B1 (ko) 2013-06-14 2013-06-14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8089A KR101466230B1 (ko) 2013-06-14 2013-06-14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230B1 true KR101466230B1 (ko) 2014-11-28

Family

ID=52292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8089A KR101466230B1 (ko) 2013-06-14 2013-06-14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2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919B1 (ko) * 2016-05-24 2017-05-08 (주)로이츠나인 광고물이 삽입되어 유리에 탈부착되는 필름
KR20190119793A (ko) * 2018-04-13 2019-10-23 전자부품연구원 곡면 디스플레이용 광학투명접착조성물
KR102620650B1 (ko) * 2023-01-27 2024-01-05 (주)인터코닉스 시인성이 우수한 탄성 기재 필름, 이를 포함하는 적층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3558A (ko) * 2005-10-20 2007-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20100022945A (ko) * 2008-08-20 2010-03-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KR20120078059A (ko) * 2010-12-31 2012-07-1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용제형 점착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필름
KR20130031216A (ko) * 2011-09-20 2013-03-2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재박리용 점착제 조성물, 재박리용 점착제층 및 재박리용 점착 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3558A (ko) * 2005-10-20 2007-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20100022945A (ko) * 2008-08-20 2010-03-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KR20120078059A (ko) * 2010-12-31 2012-07-1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용제형 점착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필름
KR20130031216A (ko) * 2011-09-20 2013-03-2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재박리용 점착제 조성물, 재박리용 점착제층 및 재박리용 점착 시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919B1 (ko) * 2016-05-24 2017-05-08 (주)로이츠나인 광고물이 삽입되어 유리에 탈부착되는 필름
KR20190119793A (ko) * 2018-04-13 2019-10-23 전자부품연구원 곡면 디스플레이용 광학투명접착조성물
KR102375405B1 (ko) 2018-04-13 2022-03-17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곡면 디스플레이용 광학투명접착조성물
KR102620650B1 (ko) * 2023-01-27 2024-01-05 (주)인터코닉스 시인성이 우수한 탄성 기재 필름, 이를 포함하는 적층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4514B (zh)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影像顯示裝置之製造方法
KR102013467B1 (ko)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JP5304960B1 (ja)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043768B1 (ko)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706016B (zh) 光硬化型接著組成物
TWI671375B (zh) 光硬化型接著組成物
KR102031528B1 (ko)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30099957A (ko) 영상 표시 장치 제조 방법
CN102898956A (zh) 光固化的粘合剂组合物及其用途
CN112980338B (zh) 一种oca光学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及基于其的光学膜
CN106896551B (zh) 图像显示装置的制造方法
TW201631103A (zh) 光硬化性樹脂組成物
KR101466230B1 (ko)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재박리형 점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TW201817592A (zh) 層合玻璃的中間膜用光硬化性樹脂組成物、層合玻璃的中間膜用膜材料及層合玻璃的製造方法
KR20150138183A (ko) 점착제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JP6662528B2 (ja) 光学用粘接着組成物、これを多段硬化させる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TWI671205B (zh) 積層體之製造方法
JP6538252B1 (ja)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921064B1 (ko) 방수 필름, 방수 필름용 조성물 및 방수 필름의 제조방법
JP6807081B2 (ja) 相溶組成物、接着剤組成物、複合構造物並びに複合構造物の製造方法及び解体方法
JP2017218477A (ja) 曲面塗布用光硬化性樹脂組成物、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199663A (ja) 紫外線硬化型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KR101906805B1 (ko) 터치스크린의 광학투명접착제 제거공정을 위한,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광학투명접착제 제거용 점착필름과 이것의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터치스크린의 재생방법
JP2020046650A (ja)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50100036A (ko) 터치스크린 패널용 점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