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764B1 - 공작기계의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764B1
KR101464764B1 KR1020080114358A KR20080114358A KR101464764B1 KR 101464764 B1 KR101464764 B1 KR 101464764B1 KR 1020080114358 A KR1020080114358 A KR 1020080114358A KR 20080114358 A KR20080114358 A KR 20080114358A KR 101464764 B1 KR101464764 B1 KR 101464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automatic
spindle
unit
aa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5571A (ko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4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764B1/ko
Publication of KR20100055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 B23Q3/15713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14Structure of the control system, e.g. common controller or multiprocessor systems, interface to servo, programmable interface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종류의 주축 어태치먼트별로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작업 또는 자동 공구 교환(ATC)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공작기계의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제어 장치로서, 어태치먼트 판독 센서(210)와;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유닛(220)과; 자동 공구 교환(ATC) 유닛(230)과; 작업에 대한 명령어를 입력하기 위한 CNC 조작화면부(110)와; 상기 CNC 조작화면부(110)에 입력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번호를 호출하는 CNC 파라미터부(120)와; 상기 CNC 파라미터부(120)에 의해 호출된 프로그램 번호에 따라 상기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유닛(230) 또는 자동 공구 교환(ATC) 유닛(240)을 구동시키기 위한 매크로 프로그램부(150)와; 상기 각 주축 어태치먼트의 종류별로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및 자동 공구 교환(ATC)을 위한 주축 위치 정보가 저장된 PMC 데이터부(130); 및 상기 어태치먼트 판독 센서(210)에 의해 감지된 주축 어태치먼트의 종류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및 자동 공구 교환(ATC)을 위한 주축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매크로 프로그램부(150)에서 사용가능하도록 변수를 할당하는 PMC 래더부(140);를 포함한다.
ATC, AAC, 어태치먼트, 매크로 프로그램

Description

공작기계의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AUTOMATIC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 AXLE ATTACHMENT OF MACHINE TOOL}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주축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공작 기계의 주축 어태치먼트를 자동으로 교환하는 어태치먼트 자동 교환(Auto Attachment Changer, AAC)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에는 스핀들 주축에 공구를 장착하기 위한 주축 어태치먼트(Attachment)가 마련된다. 한편, 공작물을 효율적으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가공할 공작면의 방향과 공작물의 크기를 고려하여 공구를 다양한 위치 또는 방향으로 배치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일단 주축 어태치먼트가 스핀들 주축에 장착되고 나면 공구의 가공 방향 및 위치가 고정되는 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이 가공하기 위한 공작물의 가공면 위치(예컨대 상면, 좌우측면, 하면 등)와 및 가공물의 형상에 따라 공구를 다양한 위치 또는 방향으로 배치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다양한 형상의 주축 어태치먼트가 요구된다.
도 3은 다양한 형상의 주축 어태치먼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기본 적 형상의 더미 어태치먼트(10)와, 공작물의 가공면이 멀거나 깊은 경우에 요구되는 익스텐션 헤드형 어태치먼트(20)와, 측면 가공을 위해 공구 장착 방향이 수직으로 변환된 90도 앵글 헤드형 어태치먼트(3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어태치먼트의 종류별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비된 어태치먼트를 선택하여 교환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주축 어태치먼트의 탈착 및 부착이 각축의 임의위치에서 작업자에 의한 수동 조작(예: 볼트 체결, 유압공급 등)으로 행하여 지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와 같이 기존의 공작기계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주축 어태치먼트를 자동으로 교환해주는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uto Attachment Changer, AAC) 장치가 존재하지 않았다.
한편, 종래의 공작기계에는 입력된 가공 프로그램에 따라 가공에 필요한 공구를 주축 어태치먼트에 자동으로 교환해주는 자동 공구 교환 장치(Automatic Tool Changer, ATC)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도 3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장착된 주축 어태치먼트의 종류별로 공구 교환 위치가 서로 상이할 수 밖에 없는데(P2, P3, P4), 기존의 공작기계의 ATC에서는 각축에 대한 공구교환 위치가 각각 1개씩만 존재하기 때문에 ATC는 더미 어태치먼트(10)가 장착된 일반 주축의 경우에만 적용이 가능한 한계가 있었다.
그에 따라, 수동에 의해 다른 종류의 주축 어태치먼트(20, 30)가 장착된 경우에는 ATC를 활용하지 못하고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공구 교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주축 어태치먼트를 수동으로 탈부착하여야 하고, 수동으로 장착된 주축 어태치먼트에 대한 공구 교환 역시 수동으로 수행됨에 따라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무인자동화 가공 실현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주축 어태치먼트의 탈착 및 부착을 간단한 명령어 입력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TC가 하나 이상의 축 위치에서 공구 교환을 수행하도록하여 장착된 다양한 종류의 어태치먼트별로 요구되는 다양한 공구 교환 위치에서 ATC가 자동으로 공구 교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공구를 장착하기 위한 주축 어태치먼트가 하나 이상의 종류로 마련된 공작기계의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제어 장치를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제어 장치는 하나 이상의 종류의 주축 어태치먼트별로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작업 또는 자동 공구 교환(ATC)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제어 장치는, 상기 주축에 현재 장착된 어태치먼트의 종류 및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어태치먼트 판독 센서(210)와; 상기 주축 어태치먼트를 자동으로 교환하기 위한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유닛(230)과; 상기 주축 어태치먼트에 장착될 공구를 자동으로 교환하기 위한 자동 공구 교환(ATC) 유닛(240)과; 상기 주축 어태치먼트의 종류 및 상기 주 축 어태치먼트에 장착된 공구에 의해 수행될 작업에 대한 명령어를 입력하기 위한 CNC 조작화면부(110)와; 상기 CNC 조작화면부(110)에 입력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번호를 호출하는 CNC 파라미터부(120)와; 상기 CNC 파라미터부(120)에 의해 호출된 프로그램 번호에 따라 상기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유닛(230) 또는 자동 공구 교환(ATC) 유닛(240)을 구동시키기 위한 매크로 프로그램부(150)와; 공구 자동 교환(ATC)을 위한 주축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매크로 프로그램부(150)에서 사용가능하도록 변수를 할당하는 PMC 래더부(140);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종류의 주축 어태치먼트별로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작업 또는 자동 공구 교환(ATC)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작기계의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제어 장치는 상기 각 주축 어태치먼트의 종류별로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및 자동 공구 교환(ATC)을 위한 주축 위치 정보가 저장된 PMC 데이터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라 상기 PMC 래더부(140)는 상기 어태치먼트 판독 센서(210)에 의해 감지된 주축 어태치먼트의 종류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및 자동 공구교환(ATC)를 위한 주축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매크로 프로그램부(150)에서 사용하도록 변수를 할당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공구를 장착하기 위한 주축 어태치먼트가 하나 이상의 종류로 마련된 공작기계의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제어 방법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제어 방법은, (a) 상기 주축 어태치먼트의 종류 및 상기 주축 어태치먼트에 장착된 공구에 의해 수행될 작업에 대한 명 령어를 입력하는 단계와; (b) 상기 주축에 현재 장착된 어태치먼트의 종류 및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와; (c) 감지된 주축 어태치먼트의 종류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및 자동 공구 교환(ATC)을 위한 주축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이로부터 매크로 프로그램에서 사용가능하도록 변수를 할당하는 단계와; (d) 상기 입력된 명령어 및 할당된 변수에 따라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및 자동 공구 교환(ATC)을 수행시키기 위한 매크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 및 (e) 감지된 주축 어태치먼트의 종류에 상응하는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또는 자동 공구 교환(ATC)을 위한 주축 위치로 상기 주축을 이송시킨 후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작업 또는 자동 공구 교환(ATC)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어태치먼트 종류별로 어태치먼트 교환(AAC) 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위한 각 축의 위치 정보가 PMC 데이터부(130)에 저장되어 있고, 현재 장착된 어태치먼트의 종류를 센싱할 수 있는 어태치먼트 판독 센서(210)가 마련되며, PMC 데이터부(130)에 저장된 AAC 를 위한 각축의 위치 정보로부터 매크로 프로그램부(150)에 의해 실행가능한 변수로 전환 및 할당하는 PMC 래더부(140)가 마련되므로, 작업자는 수행될 작업 동작과 필요한 어태치먼트 정보가 포함된 명령어를 입력하기만 하면 다양한 종류의 어태치먼트별로 교환 작업을 수작업이 아닌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2)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PMC 데이터부(130)에는 각 어태치먼트별로 공구 교환이 일어나는 각 축의 위치도 저장되어 있으므로, 단 하나의 공구 교환 위치에서만 공구 교환이 이루어졌던 기존의 ATC와 달리 명령어를 입력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각 어태치먼트별로 요구되는 상이한 공구 교환 위치에서 자동으로 공구가 교환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다른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주축 어태치먼트별로 자동으로 주축 어태치먼트 교환 및 공구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제어 장치는 크게 CNC 제어부(100)와 기계부(200)로 구분된다.
CNC 제어부(100)는 기계부(200)의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유닛(220) 및 자동 공구 교환(ATC) 유닛(230)을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기계부(200)는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교환과 공구 자동 교환을 물리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우선, 기계부(200)의 구성을 살펴보면, 기계부(200)는 어태치먼트 판독 센서(210)와,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유닛(220)과, 자동 공구 교환(ATC) 유닛(2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태치먼트 판독 센서(210)는 주축에 현재 장착된 어태치먼트의 종류 및 위 치를 감지한다.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유닛(220)은 주축 어태치먼트를 자동으로 교환하기 위한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작업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자동 공구 교환(ATC) 유닛(230)는 주축 어태치먼트에 장착될 공구를 자동으로 교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다음으로, CNC 제어부(100)는 CNC 조작화면부(110)와, CNC 파라미터부(120)와, PMC 데이터부(130)와, PMC 래더부(140)와, 매크로 프로그램부(150)로 구성된다.
CNC 조작화면부(110)는 주축 어태치먼트의 종류 및 상기 주축 어태치먼트에 장착된 공구에 의해 수행될 작업에 대한 명령어를 입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CNC 조작화면부(110)에 입력되는 명령어의 형태는 수행되는 작업을 나타내는 작업 종류 지령부분과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주축 어태치먼트 종류를 표시하기 위한 부분의 2가지 부분으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명령어는 M400A** 또는 M06A** 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는 바, 여기서 M400, M06은 공작기계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을 나타내는 부분이고, A**는 장착될 주축 어태치먼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부분이다. 앞서 도 3에서 예시한 주축 어태치먼트(10, 20, 30)들의 경우 각각 A01, A02, A03과 같이 번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CNC 파라미터부(120)는 상기 CNC 조작화면부(110)에 입력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번호를 호출하여 후술할 매크로 프로그램부(150)가 해당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PMC 데이터부(130)에는 상기 각 주축 어태치먼트의 종류별로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위치(P1, 도 3의 (b) 참조)까지 주축(X, Y, Z, W축 등)을 이송하기 위한 주축 위치 정보 및 자동 공구 교환(ATC)을 위한 주축 위치 정보(P2, P3, P4, 도 3의 (c) 참조)가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PMC 데이터부(130)에는 각 어태치먼트별로 어태치먼트 번호, 어태치먼트 매거진 번호, AAC를 위한 각 축의 교환 위치(X, Y, Z, W축별 포지션), ATC를 위한 각 축의 교환 위치(X, Y, Z, W축별 포지션)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PMC 데이터부(130)에 저장되는 어태치먼트 종류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가능하다.
PMC 래더부(140)는 상기 어태치먼트 판독 센서(210)에 의해 감지된 주축 어태치먼트의 종류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및 자동 공구 교환(ATC)을 위한 주축 위치 정보를 PMC 데이터부(130)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AAC 및 ATC를 위한 축 위치 정보를 후술할 매크로 프로그램부(150)에서 사용가능하도록 변수를 할당한다.
변수 할당을 위해 PMC 데이터부(130) 내의 PMC 데이터를 변수로 변환하기 위한 테이블이 마련될 수 있다. 변수 변환 테이블에는 앞서 PMC 데이터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들(어태치먼트 번호, 어태치먼트 매거진 번호, AAC를 위한 각 축의 교환 위치, ATC를 위한 각 축의 교환 위치 등)에 대응하여 변환될 변수가 저장된다.
매크로 프로그램부(150)는 상기 CNC 파라미터부(120)에 의해 호출된 프로그 램 번호에 따라 상기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유닛(230) 또는 자동 공구 교환(ATC) 유닛(240)을 구동시킨다.
이 때, 장착되어 있는 주축 어태치먼트의 종류에 따라 AAC 또는 ATC 동작이 수행되기 위한 주축 위치 정보가 상이하므로, 매크로 프로그램부(150)는 PMC 래더부(140)에 의해 할당된 변수에 따라 주축 어태치먼트별로 지정된 AAC 또는 ATC를 위한 주축 위치로 주축을 이동시킨 후,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또는 자동 공구 교환(ATC)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공작기계의 주축 어태치먼트를 자동 제어하는 방법을 도 2의 흐름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작업자는 CNC 조작화면부(110)에 주축 어태치먼트의 종류 및 상기 주축 어태치먼트에 장착된 공구에 의해 수행될 작업에 대한 명령어를 입력한다(S 100).
이 때, 입력되는 명령어의 형식은 M400A** 또는 M06A** 와 같이 공작기계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을 나타내는 부분(M400, M06)과, 장착될 주축 어태치먼트의 종류(A**)를 나타내는 부분이 구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NC 조작화면부(110)에 명령어가 입력되면 어태치먼트 판독 센서(210)는 주축에 현재 장착된 어태치먼트의 종류 및 위치를 감지한다(S 200).
어태치먼트 판독 센서(210)에 의해 주축에 현재 장착된 어태치먼트의 종류가 감지되면, PMC 래더부(140)는 감지된 주축 어태치먼트의 종류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및 자동 공구 교환(ATC)을 위한 주축 위치 정보를 PMC 데이터부(130)로부터 추출한다.
그리고 PMC 래더부(140)는 PMC 데이터부(130)에서 추출된 AAC 및 ATC를 위한 어태치먼트별 축 위치 정보를 후술할 매크로 프로그램부(150)에서 사용가능한 변수로 변환한 후 할당한다(S 300).
이에 후속하여, 매크로 프로그램부(150)는 입력된 명령어로부터 상기 CNC 파라미터부(120)에 의해 호출된 프로그램 번호와, PMC 래더부(140)에 의해 할당된 어태치먼트별 AAC 또는 ATC 용 주축 위치 변수에 기초하여 매크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S 400).
매크로 프로그램부(150)에 의해 해당 매크로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유닛(230) 또는 자동 공구 교환(ATC) 유닛(240)이 구동되어 AAC 또는 ATC 작업이 수행된다(S 500).
이 때, 장착되어 있는 주축 어태치먼트의 종류에 따라 AAC 또는 ATC 동작이 수행될 주축 위치가 상이하게 변동되어야 할 것이므로, 매크로 프로그램부(150)는 앞서 PMC 래더부(140)에 의해 할당된 변수에 따라 주축 어태치먼트별로 지정된 AAC 또는 ATC를 위한 주축 위치로 주축을 이동시킨 후,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또는 자동 공구 교환(ATC)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어태치먼트 종류별로 어태치먼트 교환(AAC) 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위한 각 축의 위치 정보가 PMC 데이터부(130)에 저장되어 있고, 현재 장착된 어태치먼트의 종류를 센싱할 수 있는 어태치먼트 판독 센서(210)가 마련되며, PMC 데이터부(130)에 저장된 AAC 를 위한 각축의 위치 정보로부터 매크로 프로그램부(150)에 의해 실행가능한 변수로 전환 및 할당하는 PMC 래더 부(140)가 마련되므로, 작업자는 수행될 작업 동작과 필요한 어태치먼트 정보가 포함된 명령어를 입력하기만 하면 다양한 종류의 어태치먼트별로 교환 작업을 수작업이 아닌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PMC 데이터부(130)에는 각 어태치먼트별로 공구 교환이 일어나는 각 축의 위치도 저장되어 있으므로, 단 하나의 공구 교환 위치에서만 공구 교환이 이루어졌던 기존의 ATC와 달리 명령어를 입력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각 어태치먼트별로 요구되는 상이한 공구 교환 위치에서 자동으로 공구가 교환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종류별로 상이한 주축 어태치먼트들의 형상과 각 어태치먼트별 어태치먼트 교환과 공구 교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더미 어태치먼트 20: 익스텐션 헤드형 어태치먼트
30: 90도 앵글 헤드형 어태치먼트 P1: 어태치먼트 교환 위치
P2, P3, P4: 공구 교환 위치 100: CNC 제어부
110: CNC 조작화면부 120: CNC 파라미터부
130: PMC 데이터부 140: PMC 래더부
150: 매크로 프로그램부 200: 기계부
210: 어태치먼트 판독 센서 220: AAC 유닛
230: ATC 유닛

Claims (3)

  1. 공구를 장착하기 위한 주축 어태치먼트가 하나 이상의 종류로 마련된 공작기계의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제어 장치로서,
    주축에 현재 장착된 주축 어태치먼트의 종류 및 위치를 감지하는 어태치먼트 판독 센서(210);
    상기 주축 어태치먼트를 자동으로 교환하는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유닛(220);
    상기 주축 어태치먼트에 장착되는 공구를 자동으로 교환하는 자동 공구 교환(ATC) 유닛(230);
    상기 주축 어태치먼트의 종류 및 상기 주축 어태치먼트에 장착된 공구에 의해 수행될 작업에 대한 명령어가 입력되는 CNC 조작화면부(110);
    상기 CNC 조작화면부(110)에 입력된 명령어에 대응되는 프로그램 번호를 호출하는 CNC 파라미터부(120);
    상기 CNC 파라미터부(120)에 의해 호출된 프로그램 번호에 따라 상기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유닛(230) 또는 자동 공구 교환(ATC) 유닛(240)을 구동시키는 매크로 프로그램부(150);
    공구 자동 교환(ATC)을 위한 주축 위치 정보를 상기 어태치먼트 판독 센서(210)에서 추출하고, 이를 상기 매크로 프로그램부(150)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변수를 할당하는 PMC 래더부(140);
    를 포함하여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작업 또는 자동 공구 교환(ATC)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기계의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제어 장치는 ,
    상기 각 주축 어태치먼트의 종류별로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및 자동 공구 교환(ATC)을 위한 주축 위치 정보가 저장된 PMC 데이터부(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PMC 래더부(140)는 상기 어태치먼트 판독 센서(210)에 의해 감지된 주축 어태치먼트의 종류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및 자동 공구교환(ATC)를 위한 주축 위치 정보를 상기 PMC 데이터부(130)에서 추출하고, 이를 상기 매크로 프로그램부(150)에서 사용하도록 변수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제어 장치.
  3. 공구를 장착하기 위한 주축 어태치먼트가 하나 이상의 종류로 마련된 공작기계의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제어 방법으로서,
    (a) 주축 어태치먼트의 종류 및 주축 어태치먼트에 장착된 공구에 의해 수행될 작업에 대한 명령어를 입력하는 단계;
    (b) 주축에 현재 장착된 어태치먼트의 종류 및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c) 감지된 주축 어태치먼트의 종류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및 자동 공구 교환(ATC)을 위한 주축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이로부터 매크로 프로그램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변수를 할당하는 단계;
    (d) 상기 입력된 명령어 및 할당된 변수에 따라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및 자동 공구 교환(ATC)을 수행시키기 위한 매크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 및
    (e) 감지된 주축 어태치먼트의 종류에 상응하는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또는 자동 공구 교환(ATC)을 위한 주축 위치로 상기 주축을 이송시킨 후,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AAC) 작업 또는 자동 공구 교환(ATC)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제어 방법.
KR1020080114358A 2008-11-18 2008-11-18 공작기계의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64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358A KR101464764B1 (ko) 2008-11-18 2008-11-18 공작기계의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358A KR101464764B1 (ko) 2008-11-18 2008-11-18 공작기계의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571A KR20100055571A (ko) 2010-05-27
KR101464764B1 true KR101464764B1 (ko) 2014-11-25

Family

ID=42279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358A KR101464764B1 (ko) 2008-11-18 2008-11-18 공작기계의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7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3217B2 (ja) * 1990-03-26 1996-10-16 オークマ株式会社 自動プログラム装置
JP3207125B2 (ja) * 1996-08-22 2001-09-10 スター精密株式会社 タレット工具選択指令方法
JP2002166335A (ja) 2000-11-30 2002-06-11 Toyoda Mach Works Ltd 工具交換機能付工作機械用数値制御装置の操作盤
JP2005186185A (ja) * 2003-12-25 2005-07-14 Mazda Motor Corp 機械加工用ncデータの作成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該データを用いた機械加工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3217B2 (ja) * 1990-03-26 1996-10-16 オークマ株式会社 自動プログラム装置
JP3207125B2 (ja) * 1996-08-22 2001-09-10 スター精密株式会社 タレット工具選択指令方法
JP2002166335A (ja) 2000-11-30 2002-06-11 Toyoda Mach Works Ltd 工具交換機能付工作機械用数値制御装置の操作盤
JP2005186185A (ja) * 2003-12-25 2005-07-14 Mazda Motor Corp 機械加工用ncデータの作成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該データを用いた機械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571A (ko) 201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2377B2 (ja) 工作機械の工具交換装置
JP5143005B2 (ja) 機械における加工プロセスの最適化のための方法
EP2541355B1 (en) Machine control program creating device
CN103116316B (zh) 一种适应刀具类型或尺寸变化的数控加工控制方法
US20070225139A1 (en) Automatic tool changing method and device for machine tool controlled by numerical controller
JP6367857B2 (ja) 工作機械システム
US7177720B2 (en) Machine tool and method for operating a machine tool
US20220168858A1 (en) Automatic tool chang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nd machine tool including same
JP2006075916A (ja) 工作機械の保護カバー開閉装置
KR101464764B1 (ko) 공작기계의 주축 어태치먼트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TWI496638B (zh) 車銑複合加工機及其刀具編碼方式
JP5555422B2 (ja) 数値制御装置及び数値制御方法
KR20210111551A (ko) 공작기계의 툴 매거진 및 이의 작동방법
JP3054223B2 (ja) パンチプレスの金型管理システム
CN202362643U (zh) 一种组合机床控制系统
CN110958930A (zh) 自动附件更换机及具备其的镗床
KR20130128878A (ko) 자동 공구 교환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30116766A (ko) Cnc 공작기계장치 및 그 제어장치
JP6174986B2 (ja) タレットパンチプレスにおける金型取り扱い方法及び金型取り扱い装置
KR101540817B1 (ko) 공작기계 콜릿의 파지력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
WO2023067699A1 (ja) 加工面推定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CN104656552A (zh) 六轴数控抛光机cnc系统的移动式无线调试终端及其操作方法
KR20200125172A (ko) 자동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4341118B2 (ja) 工具交換装置及び工具交換方法
JP3382859B2 (ja) 放電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6